KR200438263Y1 -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 Google Patents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263Y1
KR200438263Y1 KR2020070002361U KR20070002361U KR200438263Y1 KR 200438263 Y1 KR200438263 Y1 KR 200438263Y1 KR 2020070002361 U KR2020070002361 U KR 2020070002361U KR 20070002361 U KR20070002361 U KR 20070002361U KR 200438263 Y1 KR200438263 Y1 KR 2004382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rosthesis
decoration
decorative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23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미화
Original Assignee
박미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미화 filed Critical 박미화
Priority to KR20200700023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2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2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2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04Ornamental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64Details
    • A44B17/0082Decoration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장식일체형 장식부재는, 각종 악세사리나 벨트나 헤어밴드 등과 같은 밴드류, 그리고 각종 의류 등과 같은 원제품에 결착시키는 장식소품이나 장식용 재료도구에 관한 것으로, 다이아몬드나 보석류와 같은 장식재료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한 후 장식몸체에 일체화시켜 형성한 장식부재로서, 장식몸체에 장식보형체가 일체화되어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종래의 장식부재와 달리 장식부재를 구성하는 장식몸체와 장식보형체를 일체화하여 장식부재를 형성함에 따라, 제품의 장식을 위한 공정시간을 줄이고 손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며, 장식의 실질적인 핵심이 되는 장식보형체를 원하는 형상과 재료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식의 멋과 아름다움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여기에 상부의 장식보형체를 보다 효과적으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거나, 보다 효율적인 안착방법이 개발해 나간다면 해당 업계에서 보다 높은 경쟁력을 갖추어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장식, 체결, 악세사리, 밴드

Description

장식일체형 장식부재{Ornamental outfitter being settled with ornamental material}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형태의 장식부재가 결착되어 있는 벨트(팔찌)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장식부재에 대한 일체형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 장식부재의 장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를 이용하여 장식한 제품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210 : 장식몸체
211 : 안착면부 211h : 안착홈
220 : 장식보형체
25 : 체결체 25h : 체결요홈
B : 벨트
본 고안은 각종 악세사리나 벨트나 헤어밴드 등과 같은 밴드류, 그리고 각종 의류 등과 같은 원제품에 결착시키는 장식소품이나 장식용 재료도구에 관한 것으로, 다이아몬드나 보석류와 같은 장식재료를 원하는 형태로 가공한 후 장식몸체에 일체화시켜 형성한 장식일체형 장식부재를 제시한 것이다.
각종 악세사리나 의류 등에는 보다 아름답고 화려한 멋을 내기 위한 다양한 장식부재(장식용 부재)들을 장식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악세사리나 의류 등에 단단히 결착시키는 생산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형태의 장식부재가 결착되어 있는 벨트(팔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의 벨트(B)에는 아름다운 멋을 내기 위해 다수의 장식부재(10)들이 결착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장식부재(10)들은 망치 등으로 타설하거나 가압하는 것에 의해 장식부재(10)의 하단 돌출부를 체결체(15)의 요홈(15h)에 결착시켜 고정하는 방식으로 벨트(B)에 장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일정한 미감을 갖도록 가공된 장식부재(10)들이 벨트(B)의 외부로 드러나게 되고, 따라서 벨트(B)가 더욱 아름답고 화려하게 장식됨으로써, 개인용 장신구나 악세사리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장식부재(10)는 최초 설계된 어느 특정한 형상대로 형성됨으로써, 아름다움을 내는 것에 한계가 있다. 즉 후술하는 본 고안을 통해 비교 파악되겠지만, 장식재료에 변화를 줄 수 없어 처음 장식하고자 했던 형상에 따라 하나의 몸체로 가공되므로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미적인 한계를 나타내게 된다.
이러한 한계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이아몬드나 보석, 인조보석 등 다양한 장식용 재료를 부착시켜 장식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도 있지만, 장식재료를 이용하여 악세사리를 수작업으로 제작하고 있는 현실에서 장식재료들의 형상이 획일화되어 있어 장식재료의 선택가능성이 매우 낮고, 새로운 장식재료를 사용하려면 악세사리 제작업자가 별도로 금형을 주문제작하여 특정의 장식재료를 얻을 수 있으며, 특정형상의 장식재료를 사용할 때, 예컨대 타 장식재료를 본딩 등의 방법으로 부가하고자 하는 경우, 크기가 작은 장식재료를 수작업으로 본딩하는 과정이 결코 용이하지 아니하여 악세사리 제작공정에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할애되는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멋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다 실용적이고 경제적이며 새롭게 장식할 수 있는 장식 재료나 부재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어, 장식재료를 구매하여 악세사리를 직접 제작하는 악세사리 제작업자들의 측면에서 공정개선을 위한 개선의 여지가 늘 존재하여 왔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에 비해 보다 아름다운 멋을 내면서도 그 실용성을 증대시킨 새로운 구조의 장식부재를 제 공함에 있다.
또한 장식부재를 장식몸체에 몇몇 구성부들을 갖도록 구성하고 그러한 구성부들을 보다 편리하게 장식할 수 있도록 구조화시킨 새로운 구조의 장식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그러한 구조로 형성된 장식부재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위 장식부재를 사용하여 악세사리 등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장식시간을 단축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증가시켜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장식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고안의 장식일체형 장식부재는, 장식이 필요한 원제품에 장식하기 위한 장식용 재료에 있어서, 상부에 중심이 파여져 장식을 위한 재료를 취부시키기 위한 소정 공간이 확보된 안착홈을 형성하고 있는 장식몸체와; 외부가 장식형상으로 가공되어 상기 장식몸체의 안착홈에 안착 고정되는 장식보형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안착홈은 테두리로부터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안착홈은 하향경사를 이루는 안착면 사이에 상기 장식보형체를 편리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긴 줄형태의 홈을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장식일체형 장식부재에 대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장식부재에 대한 일체형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 장식부재의 장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장식용재료 일체형 장식부재(20)는, 장식몸체(210)와 장식보형체(2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진다.
후술하겠지만 본 실시예의 장식부재(20)는 장식이 필요한 원제품이나 매개물, 이럴테면 벨트나 헤어밴드와 같은 밴드류, 그리고 각종 악세사리에서부터 의류에 이르기까지, 모양과 멋을 내기 위해 장식하는 하나의 장식용 부재 또는 장식용 재료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장식을 요하는 제품이나 매개물(각종 밴드, 악세사리, 의류, 벨트 등)에 본 장식부재(20)를 장식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고, 여기에 장식몸체(210)와 장식보형체(220)가 일체화되어 있는 본 장식부재(20)를 삽입하고 후술하겠지만, 이 장식부재(20)를 체결체(25)에 결합시킨다. 이후 체결체(25)에 결합된 본 장식부재(20)를 타설하거나 압력을 가해 완전히 결착시켜 장식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장식부재(20)에 있어서, 장식몸체(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장식보형체(220)와 같은 장식용 재료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평평한 면 형태의 안착면부(211)가 있으며, 이 안착면부(211)는 중심에 장식보형체(220) 등을 고정할 수 있도록 안착홈(211h)을 형성하고 있다.
이 안착홈(211h)은 도 3의 단면도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면부(211)의 외측 둘레가 약간 높은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끝단이 라운드져 있으며, 중심방향으로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장식보형체(220)는 안착홈(211h)의 상부에 안착 고정되는 장식용 재료 혹은 장식용 보형물이다. 이러한 장식보형체(220)는 외부가 다이아몬드와 같기 빛 등을 잘 반사할 수 있도록 각지거나 혹은 둥그렇게 라운드 지는 등 장식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가공되며, 고가의 보석에서부터 저가의 장식용 재료 등 보다 아름답고 멋있게 장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재료로 가공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장식부재(20)는 장식몸체(210)와 장식보형체(2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출시됨으로써 그 유용성과 경제성 그리고 장식시간의 단축 등 많은 효과를 제공한다. 즉 장식몸체(210)와 장식보형체(220)를 일체화되지 않고 하나의 물(物)로서 출시되는 경우에는 장식된 최종제품을 생산하기까지의 과정에서 파생되는 문제점이 한둘이 아니다.
본 실시예의 장식부재(20)를 구성하는 장식몸체(210)와 장식보형체(220)가 각각 출시되었을 경우 장식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장식하고자 하는 밴드제품이나 의류제품 등에 형성해 놓은 구멍에 먼저 장식몸체(210)를 삽입한 다음, 체결체(25)에 체결하고 그 많은 장식몸체(210)의 안착홈(211h)에 장식보형체(220)를 하나하나 부착시켜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분리되어 있는 장식몸체(210)와 장식보형체(220)를 각각 구입한 후 장식몸체(210)에 장식보형체(220)를 하나하나 붙여 고착시킨 다음, 장식보형체(220)가 고착된 장식몸체(210)를 체결체(25)를 이용하여 장식하고자 하는 제품에 체결하여 장식하는 과정이 될 것이다.
밴드나 악세사리, 의류제품에 장식하는 장식부재들은 동전크기와 같이 큼지막하게 장식될수 있는 부재들이 있는 반면, 일반적으로는 1~5 mm 내외 정도로서 손으로 작업하기에 용이치 않은 부재들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렇게 작업이 수월하지 않는 작은 크기의 장식용 재료들을 장식함에 있어 장식몸체(210)에 장식보형체(220)를 하나하나 부착시키는 것은 결코 만만한 작업이 아니며, 대량생산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부착에 따른 노동력과 시간이 요구되어 생산력과 경제성 그리고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결정적인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최초 장식몸체(210)에 장식보형체(220)를 일체화시킨 장식부재(20)를 제공하고 있는 것이며, 본 실시예의 장식부재(20)는 장식몸체(210)와 장식보형체(220)를 각각 단일한 제품으로출시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장식보형체(220) 자체를 보다 아름답고 멋있게 가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장식부재(20)가 생산적 측면에서의 문제해결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장식용 재료로서도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필요한 요구에 따라 일체화시키지 않고 장식몸체(210)와 장식보형체(220)를 각각의 제품으로 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화 시키지 않는데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일체화시킨 장식부재(2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장식몸체(210)와 장식보형체(220)를 일체로 형성함에 있어, 안착홈(211h)은 안착되는 장식보형체(220)의 가공형상과 연관이 많다. 즉 안착 홈(211h)의 파여진 형태가 원뿔형태와 같은 경우에는 장식보형체(220)의 하단부도 원뿔형태와 같은 형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안착홈(211h)의 음각형태와 약간의 차이가 있더라도 상부에 장식보형체(220)를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안착홈(211h)에 장식보형체(220)를 안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반드시 안착홈(211h)의 음각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모양으로 장식보형체(220)의 하단부가 양각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장식부재(20)에 있어, 입사되는 빛을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시키고 반사시켜 보다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투명한 형태의 재료도 많이 이용된다. 투명한 재료의 경우 장식보형체(220) 자체 뿐만아니라 안착홈(211h)의 형태와도 상호작용하는 것이 좋아, 빛을 다양하게 반사 굴절시켜 장식효과가 뛰어나다. 하나의 예로 장식보형체(220)가 다이아몬드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는 경우를 살펴보면, 다이아몬드 형상의 장식보형체(220)에 있어 그 하단부가 12면 뿔형태로 가공된 경우 안착홈(211h)도 이에 맞추어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령 안착홈(211h)이 각지지 않고 라운드 형태로 가공되었다 할지라도 안착홈(211h)과 장식보형체(220) 중간에 접착제와 같은 접착용 재료를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각진 형태와 다른 효과를 낼 수 있다. 아울러 장식보형체(220)를 스넥아이(snake eye)와 같이 라운드진 형상으로, 그리고 안착홈(211h)도 이와 어울리도록 가공하는 경우에도, 다이아몬드 형상의 경우와는 다른 또다른 장식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외에도 불투명한 재료는 물론, 장식보형체(220) 자체에 색감을 입혀 장식보형체(220)를 형성할 수 있는 등 보다 다양한 장식보형체(220)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의 장식부재(20)를 아름답게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안착홈(211h)에 안착시키는 공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십자형이나 일자형 혹은 눈꽃모양 등과 같은 긴 줄형태의 홈을 형성하는 경우 보다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체결체(25)는 본 실시예의 장식부재(20)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바닥면(일측면)이 평평하며, 이 평평한 면에 암(♀)형의 체결요홈(25h)이 형성되어 있다.
결국 밴드나 악세사리, 그리고 의류제품 등에 구멍을 뚫고 그 하부에 체결체(25)를 위치시킨 다음, 장식보형체(220)가 안착되어 일체화된 본 실시예의 장식부재(20)를 타설하거나 가압하여 장식하게 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장식부재를 이용하여 장식한 제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장식부재(20)로 장식하고 있는 벨트(B)는 외부적으로 나타나는 모양이 종래의 것과 큰 차이가 없어 보일 수도 있지만, 밴드나 악세사리, 의류, 벨트 등 장식하고자 하는 제품에 장식되어 있는 본 실시예의 장식부재(20)들은 장식몸체(210)에 장식보형체(220)를 일체화시켜 출시함으로 인해, 특정 제품에의 장식 공정을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 주며, 결국 작업소요시간을 줄여 생산성을 높이고 효율성을 배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본 장식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장식몸체(210)의 안착홈(211h)과, 장식보형체(220)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가 공하는 것이 가능하는 등,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의 기술개념을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본 장식부재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한정된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중요한 효과를 거두고 있다.
본 고안의 장식부재를 구성하는 장식몸체와 장식보형체를 일체화하여 장식부재를 형성함에 따라, 제품의 장식을 위한 공정시간을 줄이고 손쉽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또한 일체화시킨 본 장식부재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필요한 경우 장식몸체와 장식보형체를 분리시킨 상태로 출시하는 것도 가능하게 해 준다.
아울러 실질적인 장식의 핵심이 되는 장식보형체를 원하는 형상과 재료로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장식의 멋과 아름다움을 한층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따라서 보다 멋있고 아름다운 장식부재를 찾는 기호에 부응하여 관련 산업계 관련자들로부터 좋은 호응을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3)

  1. 장식이 필요한 원제품에 장식하기 위한 장식용 재료에 있어서,
    상부에 중심이 파여져 장식을 위한 재료를 취부시키기 위한 소정 공간이 확보된 안착홈을 형성하고 있는 장식몸체와;
    외부가 장식형상으로 가공되어 상기 장식몸체의 안착홈에 안착 고정되는 장식보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테두리로부터 중심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하향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안착면 사이에 상기 장식보형체를 편리하게 안착시키기 위한 긴 줄형태의 홈을 더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KR2020070002361U 2007-02-08 2007-02-08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KR2004382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361U KR200438263Y1 (ko) 2007-02-08 2007-02-08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2361U KR200438263Y1 (ko) 2007-02-08 2007-02-08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263Y1 true KR200438263Y1 (ko) 2008-02-04

Family

ID=4133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2361U KR200438263Y1 (ko) 2007-02-08 2007-02-08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26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263Y1 (ko) 장식일체형 장식부재
KR101204379B1 (ko) 한지를 이용한 자개 장신구
KR20050107350A (ko) 꽃모양의 장식부재를 가진 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477614B1 (ko) 이중 인조 보석 및 그 제조방법
CN210445934U (zh) 一种可选配宝石的首饰
JP3210197U (ja) 装飾具
KR200485425Y1 (ko) 개선된 심미감과 디자인 패턴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장신구용 체인
KR200425708Y1 (ko) 장신구용 보석 고정부재
JP3124105U (ja) 宝石体及び宝石体を備えた付爪
KR200319384Y1 (ko) 꽃모양 장신구
KR20090089565A (ko) 장식용 보석이 내재된 액세서리 메달
KR101386234B1 (ko) 동 메탈스톤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악세사리
KR102619602B1 (ko) 장신구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신구
KR200437300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0420656Y1 (ko) 장신구부재
KR101664117B1 (ko) 가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269780Y1 (ko) 브라이트 진주
CN210382922U (zh) 一种宝石饰品
JP2007167395A (ja) 宝石の支持構造
JP3140698U (ja) 装飾部材の係止構造及びその係止構造を有する装飾品
CN201230657Y (zh) 镶嵌古瓷片的首饰
IT202000000100U1 (it) Struttura decorativa ad incastro di elementi di materiali differenti.
KR20090011868U (ko) 장신구
KR200193516Y1 (ko) 장신구용 원판
JPH0672407U (ja) 装飾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