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691Y1 - 버스바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버스바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691Y1
KR200437691Y1 KR2020060031855U KR20060031855U KR200437691Y1 KR 200437691 Y1 KR200437691 Y1 KR 200437691Y1 KR 2020060031855 U KR2020060031855 U KR 2020060031855U KR 20060031855 U KR20060031855 U KR 20060031855U KR 200437691 Y1 KR200437691 Y1 KR 200437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seating
seating surface
junction box
mount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복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31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6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6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바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30) 장착구조는 일측에 안착면(22)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22)과 직교한 방향으로 고정홈(25)이 형성된 정션박스와, 상기 안착면(22)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홈(25)에 삽입되는 고정편(35)이 돌출되어 형성된 버스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 장착구조에 의하면, 버스바(30)가 정션박스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버스바(30)의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고, 버스바(30)와 링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안정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정션박스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정션박스, 버스바, 링터미널

Description

버스바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a busbar}
도 1a은 종래기술에 의한 버스바 및 정션박스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의한 버스바 장착구조에 링터미널이 결합된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션박스에 버스바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요부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스 20: 안착틀
22: 제1안착면 23: 수직면
25: 고정홈 26: 제2안착면
29: 결합홈 30: 버스바
31: 몸체부 32: 제1안착부
34: 직립부 35: 고정편
36: 제2안착부 38: 결합부
40: 퓨즈
본 고안은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정션박스에 설치되는 버스바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전장부품 측으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퓨즈 및 입력되는 값이 일정 값에 도달하는 경우에 작동되어 다른 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가 수납되는 정션박스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정션박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와이어하네스에는 링터미널이 결합되어 버스바와 연결된 상태로 정션박스에 고정된다.
도 1a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버스바 및 정션박스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b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정션박스에 링터미널이 결합된 모습이 사시도록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정션박스는 기본 골격을 형성하고 각종 부품이 실장되는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상부 및 하부에서 각각 결합되는 상부커버(미도시) 및 하부커버(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에는 버스바(3)가 장착된다. 상기 버스바(3)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각종 부품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후술할 링터미널(5)과 결합된다.
상기 정션박스에는 링터미널(5)이 장착된다. 상기 링터미널(5)은 와이어하네스(7)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동시에 상기 버스바(3)와 결합됨으로써, 와이어하네스(7)와 정션박스를 전기적으로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하네스(7)는 차량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버스바(3)는 상기 링터미널(5)과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결합된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바(3)의 상면에 상기 링터미널(5)이 안착된 상태에서 볼트를 조여 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링터미널(5)은 상기 와이어하네스(7)와 연결되어, 차량의 운행중에 발생하는 진동 등에 의해 와이어하네스(7)가 유동됨에 따라 외력이 전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터미널(5)과 결합되어 있는 상기 버스바(3)에도 이러한 외력이 전달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 버스바(3)는 상기 링터미널(5)에 비해 얇은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링터미널(5)이 케이스(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외력을 받거나, 좌우로 유동되는 경우, 상기 버스바(3)는 이러한 외력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심할 경우 버스바(3)의 일부가 절결되는 등 파손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특히, 상기 버스바(3)는 상기 체결구 외에는 별도의 고정구조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변형 및 파손은 쉽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버스바(3)는 상기 링터미널(5)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션박스 내부로 이를 분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버스바(3)가 유동되는 경우 링터미널(5)과의 결합이 불안정해지게 된다. 따라서, 버스바(3)와 링터미널(5) 간의 전기적 연결 역시 불안정해지게 되고,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션박스에 장착된 버스바의 변형 및 파손이 방지되는 버스바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션박스에 장착된 버스바와 링터미널이 서로 전기적으로 안정된 접속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 장착구조는 일측에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과 직교한 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정션박스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편이 돌출되어 형성된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션박스는 제1안착면과, 상기 제1안착면과 직교하게 형성되고 양측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안착면과 단차지게 형성된 제2안착면과, 상기 제2안착면의 선단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버스바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안착면에 안착되 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고,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편이 형성된 직립부와, 상기 직립부의 선단으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안착부와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안착면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의 선단으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에 고정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에는 체결구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 장착구조에 의하면, 버스바가 정션박스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버스바의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고, 버스바와 링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안정된 접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정션박스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스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정션박스에 버스바가 장착된 모습이 요부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정션박스의 골격은 케이스(1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후술할 버스바(30)를 비롯하여 퓨즈(40)나 릴레이(도시되지 않음)등 각종 부품이 장착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케 이스(10)의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와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삽입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2)은 후술할 버스바(30)의 몸체부(3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홈(12)은 몸체부(31)에 대응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안착틀(2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틀(20)은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후술할 버스바(30) 및 너트(N)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안착틀(20)은 다수개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버스바(30) 및 링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안착틀(20)에는 제1안착면(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면(22)은 후술할 버스바(30)의 제1안착부(32)가 안착되는 부분으로서, 중앙의 일부가 개방되어 너트(N)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해 너트(N)와 제1안착부(32)에 형성된 체결공(32')이 체결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안착면(22)과 연결되어 수직면(23)이 형성된다. 상기 수직면(23)은 상기 제1안착면(22)과 직교하게 연장되어, 후술할 버스바(30)의 직립부(34)와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수직면(23)은 상기 제1안착면(22)과 마찬가지로 중앙의 일부가 개방되어 너트(N)가 삽입될 수 있도록 된다. 특히, 너트(N)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된 부분에는 가이드부(24)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면(23)의 양측으로는 고정홈(2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5)은 후술할 고정편(35)이 삽입되어 버스바(30)의 유동 및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홈(25)의 폭은 버스바(30)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25)은 상기 수직면(23)의 양측으로 일정 깊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직면(23)으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어, 제2안착면(2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안착면(26)은 상기 수직면(23)을 중심으로 상기 제1안착면(22)과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안착면(26)은 후술할 버스바(30)의 제2안착부(36)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안착면(26)은 제1안착면(22)과 마찬가지로, 중앙의 일부가 개방되어 너트(N)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안착면(26)의 선단에는 결합홈(29)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9)은 후술할 버스바(30)의 결합부(38)를 고정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고정홈(25)과 함께 버스바(30)의 유동 및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홈(29)은 상기 제2안착면(26)의 선단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9)은 상기 고정홈(25)과 마찬가지로, 버스바(30)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을 갖고, 상기 제2안착면(26)의 개방된 양측으로 일정 깊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에는 버스바(30)가 장착된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버스바(3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3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31)는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케이스(10)에 장착된 기타 전장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몸체부(31)에는 제1안착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제1안착부(32)는 상기 제1안착면(22)에 안착되어, 후술할 퓨즈(40)와 연결된다. 상기 제1안착부(32)에는 체결공(3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32')은 볼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관통되 어 너트(N)와 체결됨으로써, 제1안착부(32)가 상기 케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안착부(32)에는 직립부(34)가 연결된다. 상기 직립부(34)는 상기 제1안착부(32)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상기 수직면(23)에 지지되는 부분이다.
이때, 상기 직립부(34)에는 고정편(35)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35)은 상기 직립부(34)의 양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25)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스바(30)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홈(25)은 상기 고정편(35)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고정편(35)은 고정홈(25)에 삽입되어 상기 버스바(30)가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직립부(34)의 선단으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안착부(32)와 단차지도록 제2안착부(36)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2안착부(36)는 상기 제1안착부(32) 및 직립부(34)와 함께 계단형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안착부(36)는 상기 제2안착면(26)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링터미널이 그 상면에 결합됨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안착부(36)에는, 상기 제1안착부(32)와 마찬가지로 체결공(36')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볼트가 너트(N)와 체결된다.
상기 제2안착부(36)의 선단에는 결합부(38)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8)는 상기 제2안착부(36)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어 상기 결합홈(29)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결합부(38)는 상기 고정편(35)과 함께, 상기 버스바(30)가 상기 케이스(10)에 보다 견고하게 장착되게 함으로써, 버스바(30)의 유동 및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38)는 상기 결합홈(29)의 폭에 대응되는 두께 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결합부(38)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격없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안착부(32)의 상면에는 퓨즈(40)가 장착된다. 상기 퓨즈(40)는 상기 정션박스 내부로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수치 이상의 전류가 흐르면 순간적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퓨즈(40)는 볼트에 의해 상기 버스바(30)와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안착부(36)의 상면에는 링터미널이 결합된다. 상기 링터미널은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와이어하네스(도시되지 않음)와 버스바(30) 사이를 연결하는 매개체가 된다. 상기 링터미널은 상기 버스바(30)와 볼트에 의해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 장착구조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상기 버스바(30)가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N)는 이미 케이스(10)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버스바(30)의 몸체부(31)를 상기 케이스(10)에 형성된 삽입홈(12)에 삽입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2,36)를 각각 상기 제1안착면(22) 및 제2안착면(26)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버스바(3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편(35)이 상기 고정홈(25)에 삽입되도록 한다. 동시에, 상기 결합부(38)를 상기 결합홈(29)에 삽입시킨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및 제2안착부(32,36)를 안착시킬 때, 상기 고정편(35) 및 결합부(38)가 각각 상기 고정홈(25) 및 결합홈(29)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버스바(30)는 케이스(10)에 고정되어 유동 및 변형이 방지된다. 즉, 상기 버스바(30)의 상면에 상기 링터미널이 안착되어 서로 체결된 후에, 상기 링터미널이 유동하게 되더라도 상기 버스바(30)는 고정편(35) 및 결합부(38)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므로 링터미널과 함께 유동됨으로써 변형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버스바(30)를 장착한 뒤에는, 퓨즈(40) 및 링터미널을 상기 버스바(30) 상면에 안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퓨즈(40)를 상기 제1안착부(32)의 상면에, 그리고 상기 링터미널을 상기 제2안착부(36)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버스바(30)의 관통공(32',36')에 의해 상기 너트(N)는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링터미널 및 상기 퓨즈(40)를 버스바(30) 상면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볼트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볼트를 너트(N)와 조립하게 되면, 상기 퓨즈(40) 및 링터미널은 각각 버스바(30)와 밀착되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 중에 발생하는 외력 등에 의해 상기 링터미널이 유동하게 되면, 링터미널과 결합된 상기 버스바(30)에도 외력이 전해지게 된다. 특히, 상기 직립부(34)의 경우에는 상기 케이스(10)에 볼트와 같은 별도의 체결구로 고정되지 않지만, 본 고안에서는 고정편(35)이 고정홈(25)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버스바(30)가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결합부(38)가 상기 결합홈(29)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버스바(30)의 선단이 제2안착면(26)으로부터 들어 올려지거나,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 다. 따라서, 상기 버스바(30)와 링터미널 사이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부커버 및 하부커버를 상기 케이스(10)에 결합시켜 차량의 내부에 장착하여 마무리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 장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버스바 장착구조에서는, 버스바에 형성된 고정편과 결합부가 각각 고정홈과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버스바에 결합되는 링터미널에 의해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버스바가 정션박스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버스바의 변형이나 파손이 방지되어 정션박스의 내구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버스바와 링터미널이 체결구에 의해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편과 결합부에 의해 버스바가 유동 없이 케이스에 고정되므로, 버스바와 링터미널 사이에 전기적으로 안정된 접속이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외부로부터 정션박스 내부로 안정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므로, 정션박스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일측에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과 직교한 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정션박스와;
    상기 안착면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편이 돌출되어 형성된 버스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스바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션박스는
    제1안착면과;
    상기 제1안착면과 직교하게 형성되고, 양측으로 고정홈이 형성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으로부터 직교하게 연장되어 상기 제1안착면과 단차지게 형성된 제2안착면과;
    상기 제2안착면의 선단으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스바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안착면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고,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편이 형성된 직립부와;
    상기 직립부의 선단으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1안착부와 단차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안착면에 안착되고, 선단에는 직교하게 절곡되어 상기 결합홈에 고정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2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버스바 장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에는 체결구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공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바 장착구조.
KR2020060031855U 2006-12-15 2006-12-15 버스바 장착구조 KR200437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855U KR200437691Y1 (ko) 2006-12-15 2006-12-15 버스바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855U KR200437691Y1 (ko) 2006-12-15 2006-12-15 버스바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691Y1 true KR200437691Y1 (ko) 2007-12-21

Family

ID=4162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855U KR200437691Y1 (ko) 2006-12-15 2006-12-15 버스바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6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131B1 (ko) 2007-12-10 2010-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8131B1 (ko) 2007-12-10 2010-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4379B2 (ja) 電気接続箱
US913036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437691Y1 (ko) 버스바 장착구조
JP4238783B2 (ja) 電気接続箱のヒューズ装着構造
JP5074989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の取付構造
JPWO2006115101A1 (ja) 電気接続箱
US6811412B2 (en) Separable structured electric connection box
JP2005168178A (ja) 電気接続箱
JP2000175333A (ja) 電気接続箱
KR100796030B1 (ko) 링터미널 및 링터미널의 고정구조
JP4055383B2 (ja) 電気接続箱
JP2012038643A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ズ
KR20080006132U (ko) 퓨즈 고정구조
JP5264373B2 (ja) ヒューズブロック
KR100547277B1 (ko) 정션박스용 기판의 터미널 설치구조
JP2007259590A (ja) 電気接続箱
JP2001102021A (ja) 電気接続箱のバッテリーへの組付け構造
JP4302656B2 (ja) 電気接続箱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83163B1 (ko) 정션박스
KR100948131B1 (ko) 버스바 고정구조
JP2020126766A (ja) クリップ部接続構造、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3783449B2 (ja) 電装品ブロック
KR200415181Y1 (ko) 휴즈박스용 버스바의 설치구조
JP5174576B2 (ja) 締結部材
JP4606371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