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826Y1 - T자형 바지선 - Google Patents

T자형 바지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826Y1
KR200428826Y1 KR2020060020073U KR20060020073U KR200428826Y1 KR 200428826 Y1 KR200428826 Y1 KR 200428826Y1 KR 2020060020073 U KR2020060020073 U KR 2020060020073U KR 20060020073 U KR20060020073 U KR 20060020073U KR 200428826 Y1 KR200428826 Y1 KR 2004288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der
hull
protruding
block
b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군
김병우
함철호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0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8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8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8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4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by sideways movement of ves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측면돌출부와 밀착돌출부를 갖는 선체구조에 의해, 초중량물을 선적시에 부족한 부력을 보충할 수 있고, 선박 안전성을 유지한 상태로 해상 운송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력기반형구조물과의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통해 하역 위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T자형 바지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T자형 바지선은 해양설비에서 초중량물에 해당하는 상부설비(topside)를 선적 및 하역하기 위한 선체구조(10)를 갖되, 상기 선체구조(10)는 상기 상부설비의 적재 또는 설치 작업도중 잠수할 수 있는 밸러스트탱크 및 기계실을 구비한 기본선체부(11)와; 상기 기본선체부(11)의 일측 끝단의 양측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스폰손(sponson)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측면돌출부(12, 13)와; 상기 기본선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측면돌출부(12, 13)의 돌출 거리(P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P2)를 갖도록 돌출되는 밀착돌출부(14)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부설비를 하역시킬 중량기반형구조물의 지형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안쪽 공간에서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카고, 바지선, 스폰손, 펜더구역, 중력기반형구조물

Description

T자형 바지선{T-shape Barg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지선 및 로드 아웃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T자형 바지선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선 C-C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T자형 바지선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체구조 11 : 기본선체부
12, 13 : 측면돌출부 14 : 밀착돌출부
5, 6, 7, 8 : 제1 내지 제4기둥 20, 30, 40 : 제1 내지 제3펜더구역
본 고안은 육상에서 일괄 조립된 초중량물을 안정되게 실어 나르는 T자형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유 관련 해양설비(offshore facilities)는 고정식 또는 부유식 해양 플랫폼(platforms), 석유 시추 설비(oil-drilling platforms), 시추선(drilling rig) 등을 포함한다.
원유 관련 해양설비의 구성을 살펴보면, 통상 물 밑에 잠기는 부분에 해당하는 하부 선체설비(hullside)와;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상측에 위치한 각종 드릴장비, 오일 처리장비, 숙소, 작업장 등으로 이루어진 상부설비(topside)와; 하부 선체설비와 상부설비를 연결시켜주는 인터페이스설비(interface)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해양설비는 유전 또는 유정 주위에 상존할 수 있는 상상을 뛰어넘는 고속의 바다 바람, 무서운 파도, 폭풍우, 육중한 부유 빙산 등과 같은 가혹한 자연 환경에서도 안정되게 유지되고, 전복될 염려가 없는 것 중에서 중력기반형구조물(GBS : Gravity Base Structure)이 있다.
중력기반형구조물은 설비자체의 육중한 무게로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대륙붕 등과 같은 해저에 고착된 기초부분에서 세워진 복수개의 콘크리트 기둥을 갖는다.
각각의 기둥 상부에는 그 기능상 유전 개발, 시추 등에 관한 모든 시설이 포함된 해상공장설비(platforms)에 해당하고 초중량물(예 : 27,000톤)인 상부설비가 설치된다.
종래 기술의 바지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평한 1자형 선체(1)를 갖는 것으로서, 화물 적재 용량 및 그에 대응한 부력 발생을 위해서, 선수 선미간 거리에 해당하는 선체 길이(L)와, 그와 수직한 방향의 선체 폭(W)을 갖는다.
종래 기술의 바지선은, 운송하려는 화물(2)의 중량만을 고려하여 선체 길이(L)와 선체 폭(W)을 갖도록 제작될 경우, 화물의 선적 및 하역 조건과 공법[예 : 로드 아웃(load out) 공법]의 제약 때문에 사용되지 못한다.
예컨대, 초중량물의 특성에 따라 로드 아웃 공법을 이용하여 화물을 선적해야 하고, 화물을 하역시키려는 장소에 해당하는 중력기반형구조물의 기둥 사이 간격이 47.2m로 미리 정해져 있을 경우, 선체 폭(W)을 약 45m 정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제약을 받는다. 여기서, 로드 아웃 공법은 화물을 밀어서 안벽(3)과 같은 육상에서 바지선과 같은 선체(1)로 옮겨 싣는 공법을 의미한다.
특히, 화물(2)이 앞서 언급한 초중량물(예 : 27,000톤)일 경우, 화물(2)을 밀어 올려 싣는 시점의 순간 중량을 상기 선체 폭(W) 약 45m만으로 감당하기 어렵고, 선체(1)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왜냐면, 안벽(3)에서 화물(2)을 밀어서 선체(1)에 싣는 순간, 상대적으로 큰 무게가 선체(1)의 일측 끝단 부위(1a)에 순간적으로 걸리기 때문이며, 이런 연유로, 선체(1)의 안정성 유지 불능과 함께, 안벽(3) 근처에서의 국부적인 부력 부족문제를 해결할 방안이 없는 상황이다.
또한, 종래의 바지선은 최종 목표 지점에 화물(2)을 안착시키기 위한 수많은 정위치 장치, 설치 유도 설비, 위치 고정 구조물 등과 같은 화물설치를 위한 부가 적인 장비 내지 설비(이하, '부가설비'라 칭함)를 선체(1)의 상부에 구비하여야 하나, 선체 폭(W)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되어 있어서, 화물(2) 이외의 부가설비의 적재 공간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바지선은 화물의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후, 바지선에 실려 있는 화물을 해상의 특정 위치에 정위치 및 설치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위치 조정을 정밀하고 세밀하게 수행하여야 겨우 정위치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측면돌출부와 밀착돌출부를 갖는 선체구조에 의해, 초중량물을 선적시에 부족한 부력을 보충할 수 있고, 선박 안전성을 유지한 상태로 해상 운송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력기반형구조물과의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통해 하역 위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T자형 바지선을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해양설비에서 초중량물에 해당하는 상부설비(topside)를 선적 및 하역하기 위한 선체구조를 갖는 T자형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선체구조는, 상기 상부설비의 적재 또는 설치 작업도중 잠수할 수 있는 밸러스트탱크 및 기계실을 구비한 기본선체부와; 상기 기본선체부의 일측 끝단의 양측에서 일체형으로 돌출되어 스폰손(sponson)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한 쌍의 측면돌출부와; 상기 기본선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측면돌출부의 돌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를 갖도록 돌출되는 밀착돌출부를 포함하여, 상기 상부설비를 하역시킬 중량기반형구조물의 지형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안쪽 공간에서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자형 바지선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제1 내지 제3펜더구역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내지 제6펜더블록은 상부열(上部列)과 하부열(下部列)로 선체구조의 적소에 배열 및 형성되어 있다.
이하, 첨부 도면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T자형 바지선은 기본선체부(11), 한 쌍의 측면돌출부(12, 13), 밀착돌출부(14)를 일체형으로 형성한 선체구조(10)를 갖는다.
선체구조(10)는 편평한 상면을 갖는 것으로서, 바지선 방식의 부력 발생이 가능하도록 통상의 선박 건조 기술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선체구조(10)는 중력기반형구조물에 해당하는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에서 최소 6개의 지점 또는 복수개의 지점에서 접촉하면서 정박 또는 계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특정 유전의 상황에 맞게 중력기반형구조물이 설계되어서,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 중 제2기둥(6)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지만, 사각형 배열을 이룸에 따라,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의 안쪽 공간이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의 지형적 또는 형상적 상황은 통상의 바지선에게 앞서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과 어려움으로 작용하나, 본 고안의 선체구조(10)에 있어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가능케 해준다.
또한,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 각각의 상단 부위는 콘(cone) 형상의 끼움돌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 위에 초중량물인 27,000톤급 상부설비(도시 안됨)를 올려놓을 때, 상부설비 하부의 콘 형상의 함몰홈과 상기 콘 형상의 끼움돌부가 상호 미끄럼대우 및 형상대우에 의해 자동으로 중심이 일치되어 정위치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기본선체부(11)는 그의 폭 거리(W1)(예 : 45m)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선수 선미간 거리(L1)를 갖는다. 기본선체부(11)는 무동력 또는 동력 타입의 선체 동력 구조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고, 각종 예인선과의 연결을 위한 해당 설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기본선체부(11)의 상면에는 상부설비를 밀어서 실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레일을 갖는다. 기본선체부(11)는 플롯트 오버(float over) 공법에 대응하여, 상부설비의 적재 또는 설치 작업도중 잠수할 수 있는 통상의 밸러스트탱크 및 기계실 등을 더 구비한다.
본 고안의 한 쌍의 측면돌출부(12, 13)는, ① 풍(風)하중에 대한 안정성(stability)을 확보하고; ② 선체구조(10)의 일측 끝단에서 부력을 보충 및 보강하고; ③ 선박 안전성을 유지한 상태로 해상 운송을 실현하고; ④ 중력기반형구조 물에서 형상적 교합을 수행하여 별도의 복잡한 위치 조정 없이 상부설비의 하역 또는 설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고; ⑤ 상부설비의 설치를 위한 부가설비를 탑재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역할들을 실현하기 위해서, 측면돌출부(12, 13)는 기본선체부(11)의 일측 끝단 양측면에서 각각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측면돌출부(12, 13)는 기본선체부(11)의 일측 끝단에서 돌출되어 영문 T자 형상을 갖는다.
이렇게 T자 형상을 갖는 본 고안의 바지선은 초중량물인 상부설비를 조선소에서 탑재하여 설치 해역까지 운항하는 중에 풍(風)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해준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에서 운반하려는 초중량물인 상부설비는 건물 30층 정도의 높이를 갖는다.
한편, 밀착돌출부(14)는 기본선체부(11)의 측면으로부터 측면돌출부(12, 13)의 돌출 거리(P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P2)를 갖도록 돌출되어 있다.
밀착돌출부(14)는 타측의 측면돌출부(13)의 측면을 시작점으로 하여 선수 선미간 방향으로 유한한 연장 거리만큼 연장된다.
이때 밀착돌출부(14)의 유한한 연장 거리는 제2기둥(6)과 제3기둥(7)의 중심간 사이 간격을 고려하여 정한 것으로서, 밀착돌출부(14)의 끝점이 제2기둥(6)에 접촉되지 않을 정도의 거리를 의미한다.
밀착돌출부(14)의 끝점 부위는 웨지(wedge)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기둥(7)과 제4기둥(8) 사이로 본 고안의 바지선이 진입할 때, 혹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분산시켜줄 수 있고, 본 고안의 바지선의 중심을 제3기둥(7)과 제4기둥(8) 사이의 중심으로 일치시켜 줄 수 있으며, 매끄러운 진입을 유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한편, 일측의 측면돌출부(12)와 기본선체부(11)가 직각으로 만나는 곳 주위에서는 제1코너공간(15)이 형성된다.
또한, 타측의 측면돌출부(13)와 밀착돌출부(14)가 직각으로 만나는 곳 주위에서는 제2코너공간(16)이 형성된다.
본 고안의 선체구조(10)는 로드 아웃 공법에 따라 상부설비를 싣는 순간에 부족한 부력을 한 쌍의 측면돌출부(12, 13)에 의해 보충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제2코너공간(15, 16)에서 제3기둥(7) 또는 제4기둥(8)당 2지점에서 각각 접촉하고, 제1기둥(5) 또는 제2기둥(6)의 1지점에서 각각 접촉함에 따라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실현하여, 하역 위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선체구조(10)는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과 각각 접촉하는 곳에 일종의 방현재(防舷材)인 제1, 제2, 제3펜더구역(20, 30, 40)(fender zone)을 갖고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제1, 제2, 제3펜더구역(20, 30, 40) 별로 사용될 6종류, 즉 제1 내지 제6펜더블록(21, 23, 31, 33, 41, 43)을 갖는다.
제1 내지 제6펜더블록(21, 23, 31, 33, 41, 43)은 바람, 파도, 파랑, 조류와 같은 자연조건과 선체구조(10)의 운동량을 고려하여 사용처 별로 각기 다르게 설계되어 있다.
또한, 제1 내지 제6펜더블록(21, 23, 31, 33, 41, 43)의 재질은 기본적으로 내구성, 내마모성, 내유성, 내피로성, 크립(creep) 저항성이 뛰어난 재질을 갖는 것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재질의 경도별로 구분할 경우, 소프트(soft)한 제2, 제4, 제6펜더블록(23, 33, 43)과 하드(hard)한 제1, 제3, 제5펜더블록(21, 31, 41)으로 구분 가능하고, 그 이유는 선체구조(10)의 요동에 의해 생기는 외력에 대해 충분하고 안정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단계(예 : 2단계)의 완충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선체구조(10) 및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 모두를 보호하게 된다.
이하, 제1, 제2, 제3펜더구역(20, 30, 40)을 개별적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에 보이듯이, 기본선체부(11)의 좌측과 우측 각각에 해당하는 제1펜더구역(20)의 시작 지점(28, 29)은 선수 선미간 중심라인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고, 선수보다 돌출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기본선체부(11)의 선수측 각진 코너부위가 제3기둥(7) 또는 제4기둥(8)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펜더구역(20)은 제1기둥(5)과 제2기둥(6)의 사이에서 선체구조(10)에 대한 1차적으로 쿠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선체부(11)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펜더구역(20)은 기본선체부(11)의 상단측 모서리 상부와 하부에서 평행을 유지하면서 선수 선미간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상부열과 하부열을 갖도록 배열 및 설치된 제1, 제2펜더블록(21, 23)을 갖는다.
이때, 제1, 제2펜더블록(21, 23)은 상기 기본선체부(11)의 상단측 모서리에 설치된 받침대(22, 24)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부열의 제1펜더블록(21)은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재질(예 : 염분에 강한 경질 고무 또는 그와 대등한 완충재)로서, 육면체 블록 형상을 갖고, 상대적으로 낮은 측면 돌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열의 제2펜더블록(23)은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재질(예 : 염분에 강한 연질 고무 또는 그와 대등한 완충재)로서, 사다리꼴 블록 형상을 갖고, 상대적으로 높은 측면 돌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펜더구역(30)은 제3기둥(7)과 제4기둥(8)의 사이에서 선체구조(10)에 대해 2차적으로 쿠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선체부(11)와 밀착돌출부(14)에서 대칭적으로 배열 및 형성되어 있다.
즉, 제2펜더구역(30)은 기본선체부(11)와 밀착돌출부(14) 각각의 상단측 모서리 상부와 하부에서 평행을 유지하면서 선수 선미간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된 제3, 제4펜더블록(31, 33)과; 상기 제3, 제4펜더블록(31, 33)을 지지하도록 상기 기본선체부(11) 또는 상기 밀착돌출부(14) 각각의 상단측 모서리에 설치된 받침대(32, 34)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부열의 제3펜더블록(31)은 앞서 도 3을 통해 설명한 제1펜더블록(21)의 체적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제1펜더블록(21)과 동일한 재질 및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런 제3펜더블록(31)은 본 고안에게 경제성을 제공함과 함께, 제3펜더블록(31)의 측면에 해당하는 밀착면을 상대적으로 제1펜 더(21)에 비해 축소시킴에 따라, 세밀하고 비교적 자유로운 움직임을 선체구조(10)에게 부여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펜더구역(40)은 선수 선미간 방향으로 측면돌출부(12, 13) 각각에 설치된 것으로서, 선체구조(10)가 진행 방향으로 움직일 때 직접적으로 접촉 가능한 제3기둥(7) 또는 제4기둥(8)에 대해 3차적으로 쿠션 역할을 안정되게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3펜더구역(40)은 측면돌출부(12, 13)의 상단측 모서리 부위의 높이와 일치한 곳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재질의 제5펜더블록(41)과; 상기 제5펜더블록(41)의 연직 상방에 위치한 곳에서 상기 제5펜더블록(41)에 비해 더 돌출되고 상대적으로 경도가 낮은 재질의 제6펜더블록(43)과; 상기 제5, 제6펜더블록(41, 43)을 지지하도록 상기 측면돌출부(12, 13)의 상단측 모서리에서 복수개의 론지형 보강빔을 적층 용접하여 고강성을 갖도록 형성한 받침대(42, 44)로 이루어져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3펜더구역(40)은 경도가 낮은 재질인, 즉 소프트한 제6펜더블록(43)을 상측에 배열하고 하드한 제5펜더블록(41)을 하측에 배열하고 있다.
이와 반대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제2펜더구역(20, 30)은 각각 하드한 재질의 제1, 제3펜더블록(21, 31)을 상측에 배열하고 소프트한 제2, 제4펜더블록(23, 33)을 하측에 배열하여 상기 제3펜더구역(40)과 반대되어 있다.
이런 대치적인 배열 관계는 선체구조(10)의 선수 선미간 방향의 요동 특성과, 폭 방향 요동 특성에 각각 대응함에 따라, 해당 요동에 의해 발생되는 교반적 인 하중 또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완충시켜줄 수 있으므로, 안정되게 계류 또는 정박시켜줄 수 있다.
도 6에 보이듯이, 본 고안의 바지선은, 선체구조(10)의 기본선체부(11)를 기준으로 한 쌍의 측면돌출부(12, 13)가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되, 일체형 밀착돌출부(14)를 제2코너공간(16)쪽에 형성함에 따라, 중력기반형구조물 또는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 등의 지형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안쪽 공간에서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실현하여, 자동으로 정확한 위치를 잡을 수 있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별도의 세밀하고 복잡한 위치 또는 자세 조정없이, 탑재 밍 운반해 온 초중량물인 상부설비를 플롯트 오버 공법에 대응하게 제1 내지 제4기둥(5, 6, 7, 8)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T자형 바지선은 스폰손 형상과 같은 한 쌍의 측면돌출부로 부력을 보충 및 보강하여 안정성을 확보함에 따라 로드 아웃 공법을 통해 초중량물인 상부설비를 안전하게 선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T자형 바지선은 선체구조의 요동에 의해 생기는 외력에 대해 충분하고 안정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단계의 완충력을 발생시키는 각종 펜더구역을 구비함에 따라, 선체구조 및 중력기반형구조물을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T자형 바지선은 'T'자 형상 또는 측면 돌출형의 선체구조와 함께 밀착돌출부를 더 형성하여, 선박 안전성을 유지한 상태로 해상 운송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력기반형구조물과의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이 가능하여, 하역 위치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해양설비에서 초중량물에 해당하는 상부설비(topside)를 선적 및 하역하기 위한 선체구조를 갖는 바지선에 있어서,
    상기 선체구조는,
    상기 상부설비의 적재 또는 설치 작업도중 잠수할 수 있는 밸러스트탱크 및 기계실을 구비한 기본선체부와;
    상기 기본선체부의 일측 끝단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지선이 영문 T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측면돌출부와;
    상기 기본선체부의 측면에서 상기 측면돌출부의 돌출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거리를 갖도록 돌출되는 밀착돌출부;
    상기 기본선체부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된 제1펜더구역;
    상기 기본선체부와 상기 밀착돌출부 각각의 상단측 모서리에 설치된 제2펜더구역;
    상기 측면돌출부 각각에서 선수 선미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3펜더구역;을 포함하여,
    상기 상부설비를 하역시킬 중량기반형구조물의 지형 구조에 의해 한정되는 안쪽 공간에서 형상적 끼워맞춤방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자형 바지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펜더구역은,
    상기 기본선체부의 상단측 모서리에서 선수 선미간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부열을 형성하는 제1펜더블록;
    상기 제1펜더블록과 평행하게 복수개로 설치되어 하부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펜더블록보다 높은 측면 돌출 높이로 형성된 제2펜더블록;
    상기 제1, 제2펜더블록을 상기 기본선체부의 상단측 모서리에서 지지시키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자형 바지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펜더구역은,
    선수 선미간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설치되어 상부열을 형성하는 제3펜더블록;
    상기 제3펜더블록과 평행하게 복수개로 설치되어 하부열을 형성하는 제4펜더블록;
    상기 제3, 제4펜더블록을 상기 기본선체부와 상기 밀착돌출부의 상단측 모서리에서 지지시키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T자형 바지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펜더구역은,
    상기 측면돌출부의 상단측 모서리 부위의 높이와 일치한 곳에서 외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5펜더블록;
    상기 제5펜더블록의 연직 상방에 위치한 곳에서 상기 제5펜더블록에 비해 더 돌출된 제6펜더블록;
    상기 제5, 제6펜더블록을 지지하도록 상기 측면돌출부의 상단측 모서리에서 복수개의 론지형 보강빔을 적층 용접하여 형성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자형 바지선.
KR2020060020073U 2006-07-25 2006-07-25 T자형 바지선 KR2004288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073U KR200428826Y1 (ko) 2006-07-25 2006-07-25 T자형 바지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073U KR200428826Y1 (ko) 2006-07-25 2006-07-25 T자형 바지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826Y1 true KR200428826Y1 (ko) 2006-10-13

Family

ID=41777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073U KR200428826Y1 (ko) 2006-07-25 2006-07-25 T자형 바지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8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156A (ko) 2015-02-25 2016-09-05 현대건설주식회사 레일 장착형 갠트리 크레인을 구비한 h형 바지선
KR20180101653A (ko) 2017-03-02 2018-09-13 설강석 차량의 적재공간이 설치된 바지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4156A (ko) 2015-02-25 2016-09-05 현대건설주식회사 레일 장착형 갠트리 크레인을 구비한 h형 바지선
KR20180101653A (ko) 2017-03-02 2018-09-13 설강석 차량의 적재공간이 설치된 바지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636B2 (en) Ring-wing floating platform
EP1339922B1 (en) Heave suppressed offshore drilling and production platform
US7918174B2 (en) Anti-sloshing device in moon-pool
Wang et al. Latest progress in floatover technologies for offshore installations and decommissioning
EP2426045B1 (en) Floating offshore structure
KR101205344B1 (ko) 부유식 구조물
CN101304916A (zh) 浮筒型浮动结构
O’Neill et al. History, trends and evolution of float-over deck installation in open waters
KR200428826Y1 (ko) T자형 바지선
WO2012039619A2 (en) Vessel comprising a hull with a deck and a cargo area extending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deck
WO1999006270A1 (en) Method and transporter for installation or removal of an offshore platform topsides
US20070204785A1 (en) Ballast extension-submersion truss stable platform
KR100907680B1 (ko) 건조 공법 및 건조 공법용 구조물
CN209351561U (zh) 张紧式系泊***
KR101454346B1 (ko) 해양 구조물의 상부갑판 구조물
Chen et al. Effect of heave plate on semisubmersible response
KR20150049623A (ko) 가설상판을 이용한 해상 재킷 구조물 시공방법
JP2007050814A (ja) 高速コンテナ船
CN217579997U (zh) 一种码头移动式护舷结构
KR101092487B1 (ko) 플로팅 안벽
Bax et al. A floating storage unit designed specifically for the severest environmental conditions
KR101487995B1 (ko) 반잠수식 해양 구조물
KR101801947B1 (ko) 해양 구조물
Xie et al. A new concept of a deepwater tumbler platform
Dung First jack-up rig load-out in Viet N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