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661Y1 - 전화선 접속기구 - Google Patents

전화선 접속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661Y1
KR200420661Y1 KR2020060008794U KR20060008794U KR200420661Y1 KR 200420661 Y1 KR200420661 Y1 KR 200420661Y1 KR 2020060008794 U KR2020060008794 U KR 2020060008794U KR 20060008794 U KR20060008794 U KR 20060008794U KR 200420661 Y1 KR200420661 Y1 KR 200420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line
telephone
connection
plu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8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청자
Original Assignee
김청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청자 filed Critical 김청자
Priority to KR2020060008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6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01R27/02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1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having a circ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화선 접속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기국선과 컴퓨터통신용 모뎀 등과 같은 개인통신기기 및 전화로 작동되는 보일러 등의 그 밖의 기기를 복수개 이상으로 상호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화선 접속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수개의 접속기구에 의해 일반 전화기국선 또는 통신용 모뎀과 같은 개인용 통신기기 및 그 밖의 기기로 전화선을 접속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잦은 교체설치작업에서 파생되는 번거로움의 해소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빈번한 교체설치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접속불량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사용효율이 증대되도록 한 전화회선 접속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접속단자봉을 갖는 플러그부와 모듈러 플러그가 본선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전화회선 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의 케이스 상부면으로 접속수단으로서 나팔형상의 접속스프링을 갖는 암커넥터를 구성시키고, 이 케이스의 일측벽으로는 상기 플러그부의 접속단자봉과 배선 연결되는 모듈러 잭을 형성시켜, 상기 암커넥터와 모듈러 잭에 통해 본선이외에 일반국선과 기타 통신기기를 복수개 이상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화회선 접속기구를 구비함으로서 달성된다.
접속단자봉, 플러그부, 외부 전화회선, 암커넥터, 전화선 접속기구, 접속단자봉, 접속스프링, 모듈러 잭

Description

전화선 접속기구{Plug for a telephone wir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 접속기구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 접속기구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기구에 있어 플러그부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기구에 있어, 플러그부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 접속기구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화선 접속기구 2 : 본선 3 : 플러그부
4 : 모듈러 플러그 5 : 암커넥터 31 : 케이스
32 : 암커넥터 33 : 모듈러 잭 34 : 결합판
35 : 나사결합구 311 : 설치홈 312 : 고정홈
321 : 접속스프링 322 : 이탈방지구 323 : 삽입홀
331 : 접속핀 332 : 슬라이딩 안내구 341 : 접속단자봉
342 : 삽압공 343 : 통공 344 : 기준돌기
345 : 나사결합구 J : 연결체 T : 접속터미널
N : 단자고정나사 H : 나사공
본 고안은 전화선 접속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화기 국선과 컴퓨터통신용 모뎀 등과 같은 개인통신기기 및 전화로 작동되는 보일러 등의 그 밖의 기기를 복수개 이상으로 상호 동시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화선 접속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 등에 구비되어져 있는 외부 전화회선과 전화기를 연결하는 수단으로는 전화선 접속기구가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전화선 접속기구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본선의 일측으로 대개가 4개의 홀을 갖는 암커넥터 형상을 갖는 외부 전화회선에 핀 결합되도록 4개의 접속단자봉이 돌출 구성되는 플러그부가 연결 형성되고, 본선의 타측으로는 전화기의 모듈러 잭에 끼움 결합되는 모듈러 플러그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가 규격화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또 다른 형태로서는 본선의 일측과 타측에 모듈러 플러그만이 구성된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이렇게 플러그부와 모듈러 플러그를 갖는 전화선 접속기구는 대개가 전화기를 구입하거나, 모뎀이 내설된 컴퓨터 등의 개인통신기기 및 전화선이 연결되어 사용되는 보일러 등기를 구입할 경우 패키지 형식으로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종래 전화선 접속기구는 외부 전화회선을 단수개의 전화기 또는 개 인통신기기로만 연결할 수 있는 규격화 된 단수개 전화회선에 단수개 전화기만을 연결하는 구조, 또는 외부전화회선에 연결된 기기와, 또 다른 전화기와 팩스와의 기기를 연결하는 구조로서 형성되는 것이었다.
한편, 근래에 들어, 급속한 경제발전에 편승하여 일반 사무실뿐만 아니라 각 가정에도 전화회선보급이 보편화되었으며, 이에 발맞춰 전화회선을 이용한 개인통신기기와 전화로 작동되는 기기 등이 실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위와 같이 단수개의 전화회선이 전화기 또는 개인통신기기 및 그 밖의 기기로 연결되는 대표적인 일례로는 모뎀이 내설된 개인용 컴퓨터의 사용 예를 들 수 있다.
이는 평상시 전화선 접속기구를 전화기 본체에 연결해 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전화기본체 모듈러 잭에서 전화회선 접속기구의 모듈러 플러그를 탈착한 후, 이를 연결코자하는 모뎀의 모듈러 잭으로 끼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었으며, 통신기기의 사용을 마친 후에는 다시 전화기본체로 모듈러 플러그를 재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전화선 접속기구의 모듈러 플러그를 선택적으로 필요한 기기에 교체 설치하는 작업은 바쁜 일상생활에서 상당한 번거로움을 초래하는 것이었으며, 이렇게 빈번히 되풀이되는 교체설치작업에 의해 접속기구의 모듈러 플러그와 이 모듈러 플러그가 결합되는 부위가 변형 또는 훼손되어 그 수명단축이 가속화됨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되는 또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전화선 접속기구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수개의 접속기구에 의해 일반전화기국선 또는 통신용 모뎀과 같은 개인용 통신기기 및 그 밖의 기기로 외부 전회회선을 동시에 접속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잦은 교체설치작업에서 파생되는 번거로움의 해소로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 다르게는 빈번한 교체설치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접속불량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함은 물론 사용효율이 증대되도록 한 전화선 접속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4개의 접속단자봉을 갖는 플러그부를 벽면측 외부 전화회선 암커넥터와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전화선 접속기구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의 케이스 상부면으로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접속단자봉과의 접속수단으로서 나팔형상의 접속스프링을 갖는 암커넥터를 구성시켜, 또 다른 접속기구의 접속단자봉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케이스의 일측벽으로는 적어도 플러그부의 적어도 2개 접속단자봉과 배선연결되는 모듈러 잭을 두어 별도의 통신기기의 모듈러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화선 접속기구를 구비함으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화회선 접속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 접속기구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 접속기구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속기구 에 있어 플러그부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기구에 있어, 플러그부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 접속기구의 사용상태도로서, 그 구성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접속스프링(321)을 갖는 암커넥터(32)와 모듈러 잭(33)이 구성되는 케이스(31)의 저면으로 접속단자봉(341)을 갖는 결합판(34)이 나사 결합되어 구성되는 플러그부(3)와, 이 플러그부(3)의 접속단자봉(341)으로 일측이 배선 연결되는 본선(2)과, 이 본선(2)의 타측으로 배선 연결되는 모듈러 플러그(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선(2)은 통상적인 전화선과 같이 4가닥, 즉 L1(빨간색선), L2(녹색선), N(노란색선), E(검정색선)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일반 전화기 및 그 밖의 기기로의 외부 전화회선을 연결할 경우에는 L1선과 L2선만을 사용하게 되며 키폰 등을 연결할 경우에는 4가닥선 모두를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상태를 갖는 본선(2)은 그 일측이 후술하는 플러그부(3)의 접속단자봉(341)에 각각 접속되며, 그 타측은 후술하는 모듈러 플러그(4)가 연결되는 것인데, 접속단자봉(341)으로의 용이한 접속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접속되어지는 각 선의 끝단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Y형상의 접속터미널(T)을 결합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러그부(3)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용기체의 케이스(31)와 이 케이스의 저면으로 나사 결합되는 사각판상태의 결합판(34)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31)는 그 상부면으로 암커넥터(32)로서 4개의 삽입홀(323)이 규격화된 치수로서 후술하게 될 결합판(34)의 삽입공(342)과 동일한 위치 로 관통 구성되어지되, 케이스(31)의 내측으로는 상기 삽입홀(323)의 연장선상으로 원통형상을 취하는 이탈방지구(322)가 각각 돌출구성되어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접속스프링(321)이 내설되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일측벽으로는 사각 설치홈(311)이 형성되어 4개의 접속핀(331)을 갖는 모듈러 잭(33)이 끼움 결합되는 것이며, 타측벽으로는 상기 본선(2)을 케이스(31) 내부로 연결 고정하는 연결체(J)가 끼움 결합되도록 사각 고정홈(312)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접속스프링(321)은 도 3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측 입구직경을 나팔형상으로 넓게 구성시켜, 상기 삽입홀(323)을 통해 수커넥터인 접속단자봉을 삽입할 경우, 그 삽입이 용이토록함은 물론이고, 이탈방지구(322)내로의 접속스프링(321) 삽입시에는 이탈방지구(322) 내측벽과의 결속력이 강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탈방지구(322)로의 삽입 설치시 그 일부가 이탈방지구(322)에서 돌출되도록 그 길이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모듈러 잭(33)의 접속핀(331)에서 인출되는 인출선의 끝단으로는 전술한 본선(2)과 같이 Y형상의 접속터미널(T)을 결합시켜 후술하는 접속단자봉(341)과의 선연결이 용이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설치홈(311)으로 끼움 결합되는 모듈러 잭(33)은 그 외측벽으로 끼움홈을 갖는 슬라이딩 안내구(332)를 구성시켜, 이 끼움홈(332)을 통해 상기 설치홈(311)상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구성되는 케이스(31)의 내측 중앙으로는 후술하는 결합판(34)과의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암나사산을 갖는 나사결합구(35)가 돌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판(3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인 4개의 삽입공(342)이 규격화된 치수로 구성되어, 각 삽입공(342)으로 접속단자봉(341)이 삽설되며, 중앙부로는 전술한 케이스(31)의 나사결합구(35)와 동일한 위치로 원형 통공(343)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접속단자봉(34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측으로 단자고정나사(N)가 결합되도록 나사공(H)이 형성되는 것이며, 각 삽입공(342)의 일측으로는 상기 본선(2) 및 모듈러 잭(34)의 선을 상기 접속단자봉(341)으로 연결할 경우에 각 선의 혼선이 방지되도록 선을 안내하는 기준돌기(344)를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판(34)의 상부면 일측으로는 케이스(31)와 결합판(34)의 나사 결합할 때 상기 연결체(J)의 하부를 지지고정토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취하는 지지구(345)가 일체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 접속기구(1)의 결합상태와 이에 따른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 작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본선(2)의 타측 끝단으로 상기 모듈러 플러그(4)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31)의 이탈방지구(322)로 접속스프링(321)을 끼움설치하고, 일측벽으로 구성되는 설치홈(311)으로는 상기 모듈러 잭(33)을 슬라이딩 안내구(332)에 의해 결합시키며, 타측벽으로 형성되는 고정홈(312)으로는 상기 본선(2)의 일측을 수용한 연결체(J)를 설치한다.
그 뒤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형 접속터미널(T)이 결합된 본선(2)의 일측 4가닥(L1,L2,E,N선)선과 상기 모듈러 잭(33)의 접속핀(331)과 연결된 4가닥 인출선(L1,L2,E,N선)을 각각 상기 결합판(331)의 접속단자봉(341)과 선연결시키되, 상기 단자고정나사(N)에 의해 접속터미널(T)을 수용한 상태에서 접속단자봉(341)의 나사공(H)으로 나사 고정시키고, 이와 같이 선연결을 마친 결합판(34)을 케이스(31)의 저면으로 위치시킨 후, 결합판(34)의 통공(343)과 케이스(31)의 나사결합구(35)를 통해 나사고정하여 플러그부(3)를 구성함으로서 그 조립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결합판(34)과 케이스(31)의 나사 결합시에는 이탈방지구(322)로 돌출 구성되는 접속스프링(321)의 끝단이 결합판(34)으로 구성되는 각 단자고정나사(N)와 맞닿는 형태로서 접합 연결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접속스프링(321)은 그 내경으로 접속단자봉을 삽입할 경우에 접속스프링(321) 자체가 신축작용을 행하며 그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 접속기구(1)는 외부 전화회선을 전화기 또는 개인통신기기 및 그 밖의 기기에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특히 전술한 기기들을 상호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여러기기로 외부 전화회선을 연결할 경우에는 본 고안에 따른 접속기구(1,1')가 다수개로 구비되어 사용되는 것이다.
우선, 플러그부(3)로 돌출 구성된 접속단자봉(341)을 건물의 벽 등에 구성된 외부 전화회선의 소켓(5)으로 삽입하여 외부 전화회선에 접속시킨 후, 본선(2)의 타측 끝단으로 구성된 모듈러 플러그(4)를 사용코자하는 기기로 결합하고, 케이스 (31)의 상부면으로 형성되는 암커넥터(32)와 측면으로 구성되는 모듈러 잭(33)으로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인통신기기 또는 그 밖의 기기를 다수개로 구비된 본 고안의 접속기구(1')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모듈러 플러그(4)를 사용코자하는 기기는 항상 사용하는 전화기를 연결함이 바람직함을 밝혀둔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커넥터(32)로 또 다른 접속기구(1')의 접속단자봉을 삽입한 후 연결코자 하는 기기로 모듈러 플러그를 연결하거나, 상기 모듈러 잭(33)을 통해 모듈러 플러그만으로 구성된 접속기구의 일측 모듈러 플러그을 끼움 결합시켜, 타측 모듈러 플러그을 연결코자 하는 기기로 연결함으로서 단수개의 접속기구(1)를 통해 다수개의 기기로 외부 전화회선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연계구조를 통해 계속적인 연결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연결코자하는 통신기기의 수에 관계없이 단수개 외부 전화회선을 각 통신기기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사용코자 하는 기기로 모듈러 플러그를 교체설치하지 않고도 각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배선구조를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선 접속기구는 단수개의 외부 전화회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복수개의 외부 전화회선을 전술한 방식으로 배선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화회선 접속기구는 기존의 접속기구 플러그부로 외부 전화회선을 배선할 수 있도록 암커넥터와 모듈러 잭을 구성시켜, 일반전화기국선과 통신용 모뎀과 같은 개인용 통신기기 및 그 밖의 기기를 동시 접속토록 함으로서, 잦은 교체설치작업에서 파생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함은 물론이고, 빈번한 교체설치작업을 미연에 방지하여 접속기구의 변형 및 훼손을 최소화하여 접속기구의 내구성과 사용효율이 증대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생산자 및 사용자에게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4개의 접속단자봉(341)을 갖는 플러그부(3)를 벽면측 외부 전화회선 암커넥터와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전화선 접속기구(1)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부(3)의 케이스(31) 상부면으로는 적어도 2개의 상기 접속단자봉(341)과의 접속수단으로서 나팔형상의 접속스프링(321)을 갖는 암커넥터(32)를 구성시켜, 또 다른 접속기구의 접속단자봉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케이스(31)의 일측벽으로는 적어도 플러그부(3)의 적어도 2개 접속단자봉(341)과 배선 연결되는 모듈러 잭(33)을 두어 별도의 통신기기의 모듈러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선 접속기구.
KR2020060008794U 2006-04-03 2006-04-03 전화선 접속기구 KR200420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794U KR200420661Y1 (ko) 2006-04-03 2006-04-03 전화선 접속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8794U KR200420661Y1 (ko) 2006-04-03 2006-04-03 전화선 접속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661Y1 true KR200420661Y1 (ko) 2006-07-05

Family

ID=41769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794U KR200420661Y1 (ko) 2006-04-03 2006-04-03 전화선 접속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6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E027451T2 (en) Optical fiber connection, optical fiber adapter and optical fiber connector
US7914333B2 (en) Plug-in adapter
US7670060B2 (en) Plug connector with an adaptor housing for receiving a plug or socket arrangement
US20130182427A1 (en) Fluorescent lamp holder assembly
CN208226257U (zh) 一种可多节连接的转接器
KR101145954B1 (ko) 전원 배선용 전선관의 접속 커넥터
KR100970778B1 (ko) 매설형 지중송전선 커넥터
US7881034B2 (en) Surge protector with spatial variation
KR200420661Y1 (ko) 전화선 접속기구
US6957984B1 (en) Errorproof device in combination with a modular socket
KR20000017882U (ko) 전화선 접속기구
KR20080006536U (ko) 전화선용 멀티콘센트
KR200234731Y1 (ko) 전화선 접속기구
CN211265808U (zh) 一种光纤防水连接器
KR100669914B1 (ko) 건축물용 안전콘센트
JP4592003B2 (ja) 接続状態維持具
KR200451610Y1 (ko) 전기 통신용 노출형 박스
US20060128227A1 (en) Modular socket with a preventer
CN206076663U (zh) 一种rj45接头
KR200256164Y1 (ko) 전화기용 콘센트
CN210156686U (zh) 一种拼接式插座
CN221379934U (zh) 一种转接数据线
US6848911B1 (en) Rotatable shunting socket housing for telecommunication devices
CN214505947U (zh) 一种能够增加网线连接牢固性的电子信息通信设备
CN220710794U (zh) 可拆卸插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