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811Y1 - 식생 호안용 부직포 - Google Patents

식생 호안용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811Y1
KR200413811Y1 KR2020060001616U KR20060001616U KR200413811Y1 KR 200413811 Y1 KR200413811 Y1 KR 200413811Y1 KR 2020060001616 U KR2020060001616 U KR 2020060001616U KR 20060001616 U KR20060001616 U KR 20060001616U KR 200413811 Y1 KR200413811 Y1 KR 200413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nonwoven fabric
fiber
slop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6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복
Original Assignee
이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복 filed Critical 이선복
Priority to KR20200600016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8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면에 식생블럭이 배열 설치되는 경우에는 식생블럭의 식생홀 내에서 성장하는 식물의 뿌리가 사면의 토양에 용이하게 활착될 수 있으며, 상면에 돌망태가 배열 설치되는 경우에는 사면에서 성장하는 풀 등의 식물이 돌망태를 구성하는 돌들의 간극을 통해 외부로 자랄 수 있는 식생 호안용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식생 호안용 부직포(10)는, 하천이나 제방, 농/배수로 등의 사면에 포설되고 그 위에 식생블럭이나 돌망태 등이 배열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합성섬유로 제조되고 식물의 뿌리가 통과하여 사면에 활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활착홀(11a)이 형성된 합성섬유 부직포(11)에 시간이 경과하면서 생분해가 진행되는 천연섬유(12)가 니들 펀칭법에 의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생 호안용 부직포, 활착홀, 합성섬유 부직포, 천연섬유

Description

식생 호안용 부직포{Non-woven fabric vegetation revetment}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식생 호안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직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용 부직포가 적용된 호안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용 부직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합성섬유로 된 부직포에 천연섬유를 일체화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식생 호안용 부직포 11 : 합성섬유 부직포
12 : 천연섬유 20 : 호안블럭
본 고안은 하천이나 제방, 농/배수로 등의 사면에 포설되고 그 위에 식생블럭이나 돌망태 등이 배열 설치되는 식생 호안용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섬유로 제조되고 식물의 뿌리가 통과하여 사면에 활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활착홀이 형성된 합성섬유 부직포 상에 천연섬유가 니들 펀칭법에 의해 일 체화된 식생 호안용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제방, 농/배수로 등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사면에서는 물의 흐름이나 빗물등에 의해 토양의 유실이 발생된다.
따라서, 하천 등의 사면에는 식물의 씨앗을 살포하는 시드 스프레이(Seed Spray)공법, 뗏장심기, 사석쌓기, 콘크리트 라이닝, 돌망태공법 등을 통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해왔다.
그러나, 시드 스프레이공법이나 뗏장심기의 경우 혼합종자를 살포하고 뗏장을 줄떼 형태로 심기 때문에 사면을 완전 피복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사면을 보호해주는 아무런 보호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홍수 등으로 인해 하천 등의 수량이 증가하거나 일시에 많은 비가 내릴 경우에는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석쌓기나 돌망태공법의 경우에는 수공작업으로 인해 많은 공사기간이 소요되며, 돌망태의 철선이 부식되어 유속에 의해 돌들이 빠져나오고 기초부위의 토사 유출로 인해 안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토양공극이 없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라이닝의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안정된 공법이기는 하나, 시멘트성분이 하천 등으로 유입되어 어폐류 등에 많은 피해를 줄 뿐만 아니라 사면의 온도차에 의해 균열이 발생되고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공법들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사면의 토양 유실을 방지하고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식생호안 블럭을 이용한 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식생호안 블럭을 이용한 공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에 부직포(1)를 포설하고 그 상부에 호안블럭(2)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시공되어 왔다.
이 때, 호안블럭(2)의 중심부에는 토양을 채우고 식물을 식행하기 위한 식생홀(30a)이 형성된다. 따라서 호안블럭(2)의 식생홀(2a)에 토양을 채우고 종자를 뿌리거나 묘목을 이식함으로써, 식생홀(2a) 내에서 식물이 성장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식생 호안구조의 경우, 식생홀 내에서 성장하는 식물의 뿌리가 합성섬유로 된 부직포를 뚫지 못하고 식생홀 내의 토양에서만 자라기 때문에, 홍수나 빗물 등에 의해 식생홀 내의 토양이 유실될 경우에는 식물이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함에 따라 사면의 안정성이 떨어져 사면의 유실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상면에 식생블럭이 배열 설치되는 경우에는 식생블럭의 식생홀 내에서 성장하는 식물의 뿌리가 사면의 토양에 용이하게 활착될 수 있으며, 상면에 돌망태가 배열 설치되는 경우에는 사면에서 성장하는 풀 등의 식물이 돌망태를 구성하는 돌들의 간극을 통해 외부로 자랄 수 있는 식생 호안용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식생 호안용 부직포는, 합성섬유로 제조되고 식물의 뿌리가 통과하여 사면에 활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활착홀이 형성된 합성섬유 부직포에 시간이 경과하면서 생분해가 진행되는 천연섬유가 니들 펀칭법에 의해 일체화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섬유의 굵기는 10~15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천연섬유는 대나무섬유 또는 황마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대나무섬유의 굵기는 3~4데니어이고 황마섬유의 굵기는 10~30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식생 호안용 부직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용 부직포가 적용된 호안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용 부직포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합성섬유로 된 부직포에 천연섬유를 일체화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용 부직포가 적용된 호안구조는, 하천이나 제방, 농/배수로 등의 사면에 포설되는 식생 호안용 부직포(10)와, 식생 호안용 부직포(10) 위에 설치되는 호안블럭(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용 부직포(10)는, 합성섬유를 가지고 니들 펀칭법에 의해 제조된 합성섬유 부직포(11)와, 합성섬유 부직포(11) 상에 니들 펀칭법에 의해 일체화되는 천연섬유(12)로 구성된다.
전술한 합성섬유 부직포(11)는 폴리에스테르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섬유 등과 같은 합성섬유로 제작되는 것으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사면을 안정화시켜주는 기능을 가지며, 식물의 뿌리가 통과될 수 있는 복수 개의 활착홀(11a)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된다.
이러한 합성섬유 부직포(11)의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섬유의 굵기는 10~15데니어(denier)일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
전술한 천연섬유(12)는 대나무섬유 또는 황마섬유 등이 이용되며 시간이 경과(약 6~8개월 가량)하면 부분적으로 생분해가 진행된다. 이러한 천연섬유(12)로서의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굵기는 대나무섬유의 경우 3~4데니어이고 황마섬유의 경우 10~30데니어이다.
한편, 합성섬유 부직포(11)와 천연섬유(12)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 식생 호안용 부직포(10)는 아래의 표와 같은 물성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험항목 종류 무게 g/㎡ 인장강도 N 신도 % 봉합강도 N 투수계수 ㎝/s
식생 호안용 부직포 300 이상 500 이상 50 이상 500 이상 α×10-1
400 이상 755 이상 50 이상 755 이상 α×10-1
500 이상 1000 이상 50 이상 1000 이상 α×10-1
700 이상 1490 이상 50 이상 1490 이상 α×10-1
1000 이상 2234 이상 50 이상 2234 이상 α×10-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호안블럭(20)은 식생 호안용 부직포(10) 위에 배열 설치되는 것으로, 식생 호안용 부직포(10)를 사면부에 밀착시켜줌과 아울러, 사면을 안정화시켜주고 세굴로 인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해주며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준다.
이러한 호안블럭(20)에는 토양이 채워지고 식물의 씨앗이나 묘목이 심워지는 식생홀(20a)이 형성된다. 이 때, 하나의 호안블럭에 하나의 식생홀이 형성될 수도 있고, 이웃하는 호안블럭들이 모여 식생홀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용 부직포가 적용된 호안구조의 시공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하천이나 제방, 농/배수로 등의 사면을 평평하게 고르고, 그 위에 식생 호안용 부직포(10)를 포설한다.
식생 호안용 부직포(10)의 포설이 완료되면, 그 위에 복수 개의 호안블럭(20)을 배열 설치한 후, 호안블럭(20)의 식생홀(20a)에 흙을 채운다.
그리고 나서, 식생홀(20a)에 채워진 흙에 식물의 종자를 파종하거나 묘목을 심음으로써 식생 호안구조의 시공이 모두 완료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식생 호안구조의 시공이 모두 완료된 후 시간이 경과되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식물이 성장하면서 그 뿌리가 식생 호안용 부직포(10)에 형성된 활착홀(11a)을 통해 사면부의 토양에 활착된다.
이 때, 식생 호안용 부직포(10)를 구성하는 합성섬유 부직포(11)는 합성섬유로 제조되므로 시간이 경과되더라도 분해되지 않으므로 호안블럭(20)과 더불어 세굴로 인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사면을 안정화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 천연섬유(12)의 경우에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분해되므로, 완전 분해되기 전까지는 토양의 유실을 방지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다가 완전 분해되면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식생 호안용 부직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본원고안의 식생 호안용 부직포는 하천이나 제방, 농/배수로 등의 사면뿐만 아니라 도로의 측면 절개지에 형성되는 절개사면에서도 채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 역시 본원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본원고안의 식생 호안용 부직포 위에 식생블럭 대신 돌망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사면에서 자라는 뿔 등이 식생 호안용 부직포의 활착홀을 통과한 후 돌망태의 돌들이 가지는 공극을 통해 자라게 되며, 이러한 실시예 역시 본원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식생 호안용 부직포에 따르면, 합성섬유로 제조되고 식물의 뿌리가 통과하여 사면에 활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활착홀이 형성된 합성섬유 부직포 상에 천연섬유가 니들 펀칭법에 의해 일체화됨으로써, 상면에 식생블럭이 배열 설치되는 경우에는 식생블럭의 식생홀 내에서 성장하는 식물의 뿌리가 사면의 토양에 용이하게 활착될 수 있으며, 상면에 돌망태가 배열 설치되는 경우에는 사면에서 성장하는 풀 등의 식물이 돌망태를 구성하는 돌들의 간극을 통해 외부로 자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식물의 뿌리가 사면에 활착되어 자람에 따라 식생블럭의 흙이 유실되더라도 식물의 성장에 지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세굴로 인한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사면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식물의 성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환경호안을 조성할 수 있고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다.

Claims (5)

  1. 하천이나 제방, 농/배수로 등의 사면에 포설되고 그 위에 식생블럭이나 돌망태 등이 배열 설치되는 식생 호안용 부직포에 있어서,
    합성섬유로 제조되고 식물의 뿌리가 통과하여 사면에 활착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활착홀이 형성된 합성섬유 부직포에 시간이 경과하면서 생분해가 진행되는 천연섬유가 니들 펀칭법에 의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용 부직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섬유는 폴리에스테르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용 부직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섬유 또는 폴리프로필렌섬유의 굵기는 10~15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용 부직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섬유는 대나무섬유 또는 황마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용 부직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섬유의 굵기는 3~4데니어이고 상기 황마섬유의 굵기는 10~3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 호안용 부직포.
KR2020060001616U 2006-01-18 2006-01-18 식생 호안용 부직포 KR200413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616U KR200413811Y1 (ko) 2006-01-18 2006-01-18 식생 호안용 부직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616U KR200413811Y1 (ko) 2006-01-18 2006-01-18 식생 호안용 부직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811Y1 true KR200413811Y1 (ko) 2006-04-11

Family

ID=4176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616U KR200413811Y1 (ko) 2006-01-18 2006-01-18 식생 호안용 부직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81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608B1 (ko) 2007-03-28 2011-06-22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복원 방법
KR101314919B1 (ko) 2011-07-19 2013-10-04 김병구 Pla 단섬유를 이용한 블럭형 강화 식생매트 제조방법과 그 제품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구축방법
CN108755592A (zh) * 2018-04-27 2018-11-06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针对硬质坡式护岸的原位植生式生态化改造结构及方法
KR102326713B1 (ko) * 2020-12-03 2021-11-16 (주)푸른공간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544774B1 (ko) * 2022-01-28 2023-06-15 손백송 친환경 사면보호용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608B1 (ko) 2007-03-28 2011-06-22 주식회사 한국종합환경연구소 연안 습지 복원용 블록 키트 및 이를 이용한 연안 습지복원 방법
KR101314919B1 (ko) 2011-07-19 2013-10-04 김병구 Pla 단섬유를 이용한 블럭형 강화 식생매트 제조방법과 그 제품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구축방법
CN108755592A (zh) * 2018-04-27 2018-11-06 中国水利水电科学研究院 针对硬质坡式护岸的原位植生式生态化改造结构及方法
KR102326713B1 (ko) * 2020-12-03 2021-11-16 (주)푸른공간 합포 부직포를 이용한 식생용 유공블록 녹화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544774B1 (ko) * 2022-01-28 2023-06-15 손백송 친환경 사면보호용 식생매트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3071B2 (ja) 自然生態自己復元式法面工法および法面構造
KR100920027B1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0723260B1 (ko) 하천 하안 버드나무 식재방법
KR101101281B1 (ko)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KR200413811Y1 (ko) 식생 호안용 부직포
CN110565586A (zh) 一种用于粉质砂土盐碱地护坡水土保持的施工工艺
KR100735459B1 (ko) 경사면의 녹화공법 및 이에 적용되는 녹화구조물
KR102122967B1 (ko) 사면 안정화를 위한 유공블록 녹화구조
KR101043361B1 (ko) 식생용 망태기 및 이를 이용한 생태 호안 조성방법
KR101178858B1 (ko) 해안사구 식생용 식생포트
KR100931619B1 (ko) 호안 및 법면보호 녹화용 보강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US9629341B2 (en) Method for inhibiting shore erosion
KR100518943B1 (ko)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CN107503425A (zh) 一种生态排水沟的构建方法
KR101031370B1 (ko) 옥수수섬유 식생 매트를 이용한 법면 보호공법
JP4257889B2 (ja) 斜面の緑化方法
KR100427226B1 (ko) 환경친화형 돌망태 공법
KR20070022425A (ko) 사면보호 겸용 씨드 발아용 매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814749B1 (ko) 기존 돌망태를 이용한 호안복원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2105962A (ja) 植生マットの製造方法
CN1864461A (zh) 喷附纤维层保护边坡基质的绿化施工结构
KR102293493B1 (ko) 사면 녹화공법
JP5414554B2 (ja) 緑化シートの製作方法および法面緑化方法
KR101187869B1 (ko) 테라매트와 이의 시공방법
KR20110040594A (ko) 지면 안정화용 식생매트 및 이 식생매트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