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619Y1 - 조리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619Y1
KR200413619Y1 KR2020060002669U KR20060002669U KR200413619Y1 KR 200413619 Y1 KR200413619 Y1 KR 200413619Y1 KR 2020060002669 U KR2020060002669 U KR 2020060002669U KR 20060002669 U KR20060002669 U KR 20060002669U KR 200413619 Y1 KR200413619 Y1 KR 200413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oking vessel
cooking
auxiliar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2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로
Original Assignee
이장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로 filed Critical 이장로
Priority to KR2020060002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6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름이 다른 다수의 조리용기를 호환성 있게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리용기 뚜껑의 뚜껑본체 중앙에 일정 높이의 통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통체 상단부를 보조뚜껑을 통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튀김요리와 같은 안전을 필요로 하는 조리의 경우 가열된 기름의 비산을 방지함은 물론, 통체를 통해 안전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외형을 이루는 뚜껑본체 및 뚜껑본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기 그 직경이 다르게 계단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곡부로 이루어져 지름이 다른 다수의 조리용기에 호환성 있게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리용기 뚜껑에 있어서, 뚜껑본체의 가장 작은 지름의 절곡부 내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지되 그 내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개방된 통체; 통체의 상단을 개폐시키되 투명한 내열플라스틱 또는 내열유리로 이루어진 보조뚜껑; 및 통체의 상단부 내주면 상에 절곡 형성되어지되 보조뚜껑이 안착되는 보조뚜껑 안착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리용기, 프라이 팬, 뚜껑, 범용 뚜껑

Description

조리용기 뚜껑{COVER COOKING VESSEL}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른 예의 조리용기 뚜껑을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기술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A-A"선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기술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을 조리용기에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다른 사용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다른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a. 조리용기 뚜껑 110, 110a. 뚜껑본체
120, 120a, 120-1, 120-1a, 120-2, 120-2a. 절곡부
130, 130a. 통체 132, 132a. 보조뚜껑 안착턱
140, 140a. 보조뚜껑 142, 142a. 보조뚜껑본체
144, 144a. 지지테 146, 146a. 손잡이
200. 조리용기
본 고안은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뚜껑으로 지름이 다른 다수의 조리용기를 호환성 있게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리용기 뚜껑 중앙부에 일정 높이의 통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통체 상단부를 보조뚜껑을 통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 뚜껑이라 함은 조리용기를 덮는 것으로, 이 조리용기 뚜껑은 음식물의 조리시 음식물의 증기의 배출을 방지하여 보다 짧은 시간에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조리용기 내부의 국물이 끓어 넘지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되는 음식물의 맛을 유지시키는 기능적인 면도 있다. 다음은 일반적인 조리용기 뚜껑을 보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다른 예의 조리용기 뚜껑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10)은 유리로 이루어진 뚜껑을 보인 것으로, 이러한 조리용기 뚜껑(10)은 통상 조리용기와 세트로 제조되어 유통되는데, 세트로 이루어진 조리용기 이외에는 잘 맞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리용기 뚜껑(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조리용기의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 유리로 형성된 뚜껑본체(12), 뚜껑본체(12)의 테두리 상에 구성되어 뚜껑본체(12)와 조리 용기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금속재의 지지테(14) 및 뚜껑본체(12)의 상부 중앙에 구성되어 조리용기의 개방 및 밀폐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6)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조리용기 뚜껑은 세트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에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당 조리용기 뚜껑이 파손되거나 손실되었을 경우 해당 조리용기도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조리용기가 파손되거나 손실되었을 경우 해당 조리용기 뚜껑 역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개실용신안 제90-15326호(고안의 명칭 : 다단의 밀폐층을 가진 프라이팬 뚜껑)가 제안되었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리용기 뚜껑(20)은 그 외형을 이루는 뚜껑본체(22), 뚜껑본체(22)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기 그 직경이 다르게 계단형으로 형성되어진 다수의 절곡부(24), 절곡부(24) 내주연에 구성되어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리로 된 투명창(26) 및 조리용기 뚜껑(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곡부(24) 일측으로 뚜껑의 개방 및 밀폐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28)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예의 조리용기 뚜껑의 출현으로 종래 뚜껑의 문제점을 일부분 상쇄하였으나, 뚜껑의 투명창과 절곡부가 일체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뚜껑 개방시 뚜껑 전체를 들어올려 조리용기를 개방시켜야 하기 때문에 튀김 요리시 고열로 가열된 기름의 비산을 막을 수 없어 가열된 기름 에 의해 조리자의 상해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을 개방하지 않고도 조리용기 내부의 음식물에 대한 요리가 가능하며 튀김 요리 등과 같은 고열의 가열에 의해 가열된 기름이 비산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조리용기 뚜껑이 요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뚜껑으로 지름이 다른 다수의 조리용기를 호환성 있게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리용기 뚜껑의 뚜껑본체 중앙에 일정 높이의 통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통체 상단부를 보조뚜껑을 통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튀김요리와 같은 안전을 필요로 하는 조리의 경우 가열된 기름의 비산을 방지함은 물론, 통체를 통해 안전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 뚜껑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리용기 뚜껑으로 조리용기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보조뚜껑만을 개방시켜 조리용기 내부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체를 통한 안전한 조리는 물론 보조뚜껑만을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통체를 개폐시키는 보조뚜껑을 유리 등과 같은 투명체로 제조하여 보조뚜껑을 덮은 상태에서도 조리용기 내부의 조리상황을 보조뚜껑의 개방 없이 육안으로 관찰 가능하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은 외형을 이루는 뚜껑본체 및 뚜껑본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기 그 직경이 다르게 계단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곡부로 이루어져 지름이 다른 다수의 조리용기에 호환성 있게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리용기 뚜껑에 있어서, 뚜껑본체의 가장 작은 지름의 절곡부 내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지되 그 내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개방된 통체; 통체의 상단을 개폐시키되 투명한 내열플라스틱 또는 내열유리로 이루어진 보조뚜껑; 및 통체의 상단부 내주면 상에 절곡 형성되어지되 보조뚜껑이 안착되는 보조뚜껑 안착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보조뚜껑은 통체의 상부에 상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투명한 내열플라스틱 또는 내열유리재의 보조뚜껑본체; 보조뚜껑본체의 외주면 상에 구성되어 통체 상단부와 보조뚜껑본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금속재의 지지테; 및 보조뚜껑본체의 중심에 구성되어 보조뚜껑의 개폐시 파지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구성에서 통체는 원통 또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뚜껑본체와 통체는 일체로 성형됨이 보다 양호하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은 본 고안의 기술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도 3 의 "A-A"선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기술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사용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을 조리용기에 사용하는 것을 보인 사용 상태도, 도 7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다른 사용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100)은 외형을 이루는 뚜껑본체(110), 지름이 다른 다수의 조리용기에 호환성 있게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뚜껑본체(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기 그 직경이 다르게 계단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절곡부(120, 120a 120b), 뚜껑본체(110)의 가장 작은 지름의 절곡부(120) 내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지되 그 내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개방된 통체(130), 통체(130)의 상단을 개폐시키는 보조뚜껑(140) 및 통체(130)의 상단부 내주면 상에 절곡 형성되어 보조뚜껑(140)이 안착되는 보조뚜껑 안착턱(132)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뚜껑본체(110)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기 그 직경이 다르게 계단형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절곡부(120, 120a 120b)는 프라이 팬이나 냄비 등의 조리용기(200)의 개방된 상단을 덮어 밀폐시키며 절곡부의 개수는 한정치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3~5개가 적절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100)은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200)를 덮는 경우 뚜껑몸체(110)에 형성된 다수의 절곡부(120, 120a 120b) 중 일치하는 절곡부(120 또는 120a 또는 120b)를 통해 조리용기(200)의 상단을 덮어 사용한다. 이때, 통체(130)의 상단 보조뚜껑 안착턱(132)에는 보조뚜껑(140)이 안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100)을 통해 조리용기(200)의 상단을 덮어 조리를 하는 경우 조리용기 뚜껑(100)이 조리용기(200) 아가리를 덮고 있기 때문에 튀김요리시에도 가열된 기름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리용기(200) 상에 조리되는 음식물을 뒤집거나 그 위치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통체(130) 상단의 보조뚜껑(140)만을 열어 통체(130) 상단부의 내측을 통해 조리용기(200) 내부의 음식물을 뒤집거나 그 위치를 변화시키면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리용기(200) 상에 조리되는 음식물을 뒤집거나 그 위치를 변화시키고자 하는 경우 통체(130) 상단의 보조뚜껑(140)만을 열어 통체(130) 상단부의 내측을 통해 조리용기(200) 내부의 음식물을 뒤집거나 그 위치를 변화시키게 되면 가열된 기름의 비산이 뚜껑본체(110)와 통체(130)에 의해 방지되어 보다 안전하게 조리를 할 수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100)의 구성에서 보조뚜껑(140)은 투명한 내열플라스틱 또는 내열유리로 이루어져 있어 통체(130)의 상단부를 덮고 있다고 하더라도 조리용기(200) 내부의 음식물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튀김요리와 같이 가열된 기름을 사용하는 조리의 경우 안전하게 조리를 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리용기 뚜껑(100)의 구성에서 보조뚜껑(140)은 통체(130)의 상부에 상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투명한 내열플라스틱 또는 내열유리재의 보조뚜껑본체(142), 보조뚜껑본체(142)의 외주면 상에 구성되어 통체(130) 상단부와 보조뚜껑본체(142)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금속재의 지지테(144) 및 보조뚜껑본체(142)의 중심에 구성되어 보조뚜껑(140)의 개폐시 파지하는 손잡이(146)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보조뚜껑(140)은 보조뚜껑본체(142)의 외주면 상에 금속재의 지지테(144)가 구성됨으로써 보조뚜껑본체(142)의 외주면인 테두리를 보강함은 물론, 통체(130)의 상단부에 형성된 보조뚜껑 안착턱(132) 상에 안착되는 경우 통체(130) 상단부와 보조뚜껑본체(142)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내열플라스틱 또는 내열유리재로 이루어진 보조뚜껑본체(142)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보조뚜껑(140)은 보조뚜껑본체(142)를 투명한 재질의 내열플라스틱 또는 내열유리재로 제조함으로써 음식물의 조리시 통체(130)의 상단부에 보조뚜껑(140)을 덮은 상태에서도 조리용기(200) 내부의 조리되는 음식물을 관찰할 수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100)의 구성에서 통체(130)는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후술하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100)의 뚜껑본체(110)와 통체(130)는 일체로 성형된다.
도 8 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다른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리용기 뚜껑(100a)은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통체(130a)의 구성에 있어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조리용기 뚜껑(100)의 통체(1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도 8 에 도시된 조리용기 뚜껑(100a)의 통체(130a)는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100, 110a)은 지름이 다른 다수의 조리용기(200)를 호환성 있게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뚜껑본체(110, 110a) 중앙에 일정 높이의 통체(130, 130a)를 일체로 형성하여 통체(130, 130a) 상단부를 보조뚜껑(140, 140a)을 통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튀김요리와 같은 안전을 필요로 하는 조리의 경우 가열된 기름의 비산을 방지함은 물론, 통체(130, 130a)를 통해 안전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은 하나의 뚜껑으로 지름이 다른 다수의 조리용기를 호환성 있게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리용기 뚜껑의 뚜껑본체 중앙에 일정 높이의 통체를 일체로 형성하여 통체 상단부를 보조뚜껑을 통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튀김요리와 같은 안전을 필요로 하는 조리의 경우 가열된 기름의 비산을 방지함은 물론, 통체를 통해 안전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는 조리용기 뚜껑으로 조리용기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보조뚜껑만을 개방시켜 조리용기 내부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체를 통한 안전한 조리는 물론 보조뚜껑만을 개방시킨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통체를 개폐시키는 보조뚜껑을 유리 등과 같은 투명체로 제조하여 보조뚜껑을 덮은 상태에서도 조리용기 내부의 조리상황을 보조뚜껑의 개방 없이 육안으로 관찰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외형을 이루는 뚜껑본체 및 상기 뚜껑본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각기 그 직경이 다르게 계단형으로 형성되어진 다수의 절곡부로 이루어져 지름이 다른 다수의 조리용기에 호환성 있게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리용기 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의 가장 작은 지름의 절곡부 내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되어지되 그 내부는 상하로 관통되어 개방된 통체;
    상기 통체의 상단을 개폐시키되 투명한 내열플라스틱 또는 내열유리로 이루어진 보조뚜껑; 및
    상기 통체의 상단부 내주면 상에 절곡 형성되어지되 상기 보조뚜껑이 안착되는 보조뚜껑 안착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뚜껑은 상기 통체의 상부에 상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진 투명한 내열플라스틱 또는 내열유리재의 보조뚜껑본체;
    상기 보조뚜껑본체의 외주면 상에 구성되어 상기 통체 상단부와 보조뚜껑본체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금속재의 지지테; 및
    상기 보조뚜껑본체의 중심에 구성되어 상기 보조뚜껑의 개폐시 파지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는 원통 또는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와 통체는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
KR2020060002669U 2006-01-27 2006-01-27 조리용기 뚜껑 KR200413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69U KR200413619Y1 (ko) 2006-01-27 2006-01-27 조리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2669U KR200413619Y1 (ko) 2006-01-27 2006-01-27 조리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619Y1 true KR200413619Y1 (ko) 2006-04-10

Family

ID=41763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2669U KR200413619Y1 (ko) 2006-01-27 2006-01-27 조리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6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46550B (en) Cookware handle assembly
US6824004B1 (en) Handle for lifting, moving and securing the lid of a cooking utensil
US9211034B2 (en) Utensil with simplified handling
US20040250690A1 (en) Cooking vessel and lid therefor
RU2608275C1 (ru) Кухонная посуда, включающая в себя крышку, имеющую ручку с опорой для кухонной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KR102163800B1 (ko) 다기능 조리용 뚜껑
US20090158940A1 (en) Kitchen appliance for heating foodstuff
KR200467826Y1 (ko) 프라이팬 커버
EP1919337A1 (en) Container for cooking foods
KR200413619Y1 (ko) 조리용기 뚜껑
EP2063745B1 (en) Cooking utensil
KR20060006886A (ko) 조리용기의 뚜껑구조
KR200454958Y1 (ko) 양면 후라이팬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KR101343151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0491879Y1 (ko) 조리용기 뚜껑
JP2890294B2 (ja) 電子レンジ用卵ゆで器
KR100988737B1 (ko) 조리용기
KR20190138162A (ko) 조리용 용기 뚜껑
CN217161761U (zh) 一种防溢锅具
KR101146362B1 (ko) 조리용기
KR200343559Y1 (ko) 가마솥의 뚜껑
KR200361871Y1 (ko) 남비 형상으로 된 찜통
JP2012024321A (ja) フライパン
CN202234860U (zh) 家用盖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