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524Y1 -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3524Y1
KR200413524Y1 KR2020060001130U KR20060001130U KR200413524Y1 KR 200413524 Y1 KR200413524 Y1 KR 200413524Y1 KR 2020060001130 U KR2020060001130 U KR 2020060001130U KR 20060001130 U KR20060001130 U KR 20060001130U KR 200413524 Y1 KR200413524 Y1 KR 200413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drainage
head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1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2020060001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3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3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35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에 있어서 배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배수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배수를 집수하여 유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통일적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배관헤드는 변기, 세탁기, 세면기 등 각각의 배수라인으로부터의 배수지관과 체결되는 복수의 배수지관체결부과, 상기 배수지관체결부과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배수지관으로부터 유입된 배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배수주관과 체결되는 배수주관체결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배관헤드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은 건축물 바닥에 배관헤드를 부착하는 단계와, 배관헤드에 배수지관 및 배수주관을 체결하는 단계, 서포트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서포트 상부에 바닥판을 설치하여 마감시공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배관헤드, 배수지관, 배수주관, 배수지관체결부, 배수주관체결부, 몸통부, 청소공, 청소공덮개, 다관절 자유곡관, 배수라인

Description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A PIPE LAYING HEAD AND METHOD USING IT FOR LAYING PIPE}
도 1a는 종래의 화장실 배관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b는 종래의 주방의 배관시스템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배관헤드의 기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관헤드를 건축물 바닥에 부착하여 배수주관과 배수지관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배관헤드에 있어 배수지관체결부 및 배수주관체결부에 패킹홈을 더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배수지관체결부 및 배수주관체결부를 다관절자유곡관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배수지관체결부가 경사라인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헤드의 일 실시예로서 몸통부를 유닛으로 구성하여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헤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몸통부를 하부가 타 원형이 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은 본 고안의 배관헤드를 사용한 배관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관헤드 110,110′,110″: 배수지관체결부
120, 120′: 배수주관체결부 130,130′,130″: 몸통부
140 : 청소공 150 : 지지부
160a,b : 지지구 170 : 서포트
본 고안은 건축물에 있어서 배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각의 배수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배수를 집수하여 유출라인을 통해 외부로 통일적으로 유출시킬 수 있는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관시스템은 일례로 화장실의 배수설비를 보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의 배수관(1)과 세면기의 배수관(2) 및 바닥배수관(3) 등이 있으며, 각 배수관은 바닥슬래브(4)를 관통하여 아래층 화장실의 천장마감재(5) 사이의 공간을 따라 배관되고 수직덕트벽(6)을 관통하여 수직덕트 내부에 시공된 공통 배수관(7) 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를 하고 있어 변기, 세면기, 화장실 바닥의 배수는 각각의 배수관을 통해 바닥슬래브(4)를 관통하여 상기 아래층 화장실의 천장마감재(5) 사이의 공간을 따라 수직덕트벽(6)을 관통하여 공통배수관(7)을 통해 외부로 배수가 유출된다.
또한, 주방의 배수설비의 경우는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수대 밑의 배수연결구에서부터 공통배수관(7)으로 연결되는 주방바닥배수관(8)이 상기 바닥슬래브(4) 상부의 온돌층(9)에 매설되어 주방의 배수는 상기 온돌층(9)에 매설된 주방바닥배수관(8)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공통배수관(7)으로 유출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관시스템에 의하면 각각의 배수관의 설비는 공장제작이 불가능하며, 현장에서 시공하여야만 하므로 공기가 길어지고, 화장실 배관시스템을 예로 보면 배수관이 각각 바닥슬래브(4)와 아래층 화장실의 천장마감재(5) 사이의 공간을 관통함으로서 배수의 이동에 따른 소음이 그대로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건축물의 리모델링에 따른 건축물 내부의 배관시스템을 새로이 구성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도 1a 및 도 1b의 화장실, 주방의 배관시스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래브바닥(4) 및 그 상부의 온돌층(9)을 모두 해체하여 새로이 배관시스템을 시공하여야 하므로 시공이 어려울 뿐 아니라 아래층에 리모델링에 따른 시공에 따라 생활방해가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건축물 시공도면에 따라 미리 배관헤드 및 이를 중심으로한 배수지관, 배수주관 등 배관시스템을 공장제작 함으로서 현장에서는 조립시공에 의해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한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건축물을 이중바닥구조로 시공하고 그 사이에 본 고안에 의한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에 의해 배관시스템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배수의 이동에 의한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지 않는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건축물의 리모델링 시 건축물의 바닥전체를 해체할 필요가 없이 이중 바닥구조의 상부 바닥판만을 해체하고, 그 내부의 배관헤드를 중심으로 한 배관시스템만을 교체하여 리모델링을 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아래층 등에 리모델링에 따른 생활방해를 방지할 수 있는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들은 변기, 세탁기, 세면기 등 각각의 배수라인으로부터의 배수지관과 체결되는 복수의 배수지관체결부과, 상기 배수지관체결부과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배수지관으로부터 유입된 배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배수주관과 체결되는 배수주관체결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헤드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몸통부의 상면에는 상기 몸통부의 내주연과 관통하도록 청소공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청소공에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청소공덮개가 더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배수주관체결부는 상기 몸통부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하여 배수가 역류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몸통부 하부에는 바닥과 배관헤드의 부착을 위한 복수의 지지부가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지관체결부는 상기 몸통부를 기준으로 각각의 측면에 구성되고, 상기 배수주관체결부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누운 형태의 경사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지관체결부에는 배수지관체결부에 배수지관이 체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몸통부 내부의 배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누수방지덮개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통부는 유닛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유닛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통부는 상부가 완만한 곡면으로 구성되고, 하부방향으로 가파른 곡면으로 구성하여 하부가 타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 2에서는 본 고안에 배관헤드의 기본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배관헤드를 건축물 바닥에 부착하여 배수주관과 배수지관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배관헤드에 있어 배수지관체결부 및 배수주관체결부에 패킹홈을 더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배수지관체결부 및 배수주관체결부를 다관절자유곡관으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c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배수지관체결부가 경사라인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헤드의 일 실시예로서 몸통부를 유닛으로 구성하여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배관헤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몸통부를 하부가 타원형이 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배관헤드를 사용한 배관시공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배관헤드는 복수의 배수지관체결부과, 몸통부와 배수주관체결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변기, 세탁기, 세면기 등 각각의 배수라인으로부터의 배수지관이 복수의 배수지관체결부과 체결되어 각각의 배수라인으로부터 배수가 몸통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배수는 몸통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배수주관과 체결되는 배수주관체결부를 통해 외부의 하수관 등으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각각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배수지관체결부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하에서 설명할 몸통부의 측면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내 주연에 각각의 배수지관(a)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지관체결부(110)의 내주연에 배수지관(a)이 삽입 체결되는 방식은 공지의 본드접착 방식으로도 가능할 것이며,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도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지관체결부(110)의 내주연에 하나 이상의 패킹홈(112)을 구성하여 패킹(P)에 의한 상기 배수지관체결부(110)의 내주연과 배수지관(a)의 수밀체결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배수지관체결부(110′)는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떠한 각도에서의 배수라인으로부터의 배수지관(a)의 체결도 용이하도록 자유곡관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일례로서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10-2005-74898에 게시되어 있는 다관절 자유곡관으로 상기 배수지관체결부(1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상기 배수지관체결부(110′)가 다관절 자유곡관으로 구성되는 경우 그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 1관(10)은 내관부가 굴곡이 없는 평평한 면으로 구성된 제 1관부(11)와 상기 제 1관부(11)의 끝단에서 일체로 형성된 항아리 형상의 확장관(12)으로 구성된다.
상기 확장관(12)은 항아리 형상으로서 그 내주연을 평평한 면으로 구성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자유결합멤버(40)의 외주연이 밀착하여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확장관(12)의 끝단에는 자유결합멤버(40)의 반대방향으로 구부림처리 하여 곡관형성시 상기 확장관(12)의 끝단이 제 2관부(52)에 압력을 가하여 관 형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20)에 있어서 지지대 일단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연결구(30)에 삽입되는 외주연을 일정길이로 평평한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구(30)의 내주연에 상기 지지대(20) 일단의 삽입이 용이함은 물론, 이하에서 설명할 자유결합멤버(40)의 회전에 의해 곡관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연결구(30)가 상기 지지대 일단상에서 전,후로 이동을 할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지지대 일단의 외주연이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됨에 따라 그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30)는 연결구 일단이 그 내주연에 상기 지지대 일단이 삽입되고, 연결구 타단이 이하에서 설명할 체결부 일단의 내주연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연결구(30) 일단은 그 내주연을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상기 지지대 일단의 외주연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향하면서 각각의 삽입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 일단의 외주연에서 상기 연결구(30)가 전,후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연결구(30) 타단은 그 외주연을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체결부(51) 일단에 용이하게 삽입함은 물론, 상기 체결부 일단이 상기 연결구 타단의 외주연 상에서 전,후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연결구(30)의 구성에 의해 자유곡관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연결구(30)을 기준으로 지지대(20)와 체결부(51)가 좁혀지는 부분과 지름방향으로 타측에서는 상기 연결구(30)을 기준으로 지지대(20)와 체결부(51)가 넓어지는 부분이 형성되는데, 좁혀지는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구 일단에 지지대 일단과 상기 연결구 타단 상에 체결부 일단이 좁혀지면서 즉 전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되는 것이고, 넓혀지는 부분에 있어서는 상기 연결구 일단 상에 지지대 일단과 상기 연결구 타단 상에 체결부 일단이 넓혀지면서 즉 후방향으로 각각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전, 후방향으로의 용이한 이동은 연결구 일단의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된 내주연과 연결구 타단의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된 외주연에 의해 달성되는 것이다.
상기 자유결합멤버(40)는 항아리 형상의 상기 확장관(12)의 내주연에 삽입되는 구조로 상기 자유결합멤버(40)의 형상 또한 상기 확장관(12)의 내주연에 대응하여 밀착되어야 하는 것으로 항아리 형상의 외주연으로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자유결합멤버(40)는 상기 확장관(12)에 슬라이딩에 의한 탄성체결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확장관(12)과 자유결합멤버(40)의 상기와 같은 탄성체결방식을 위해서는 각각의 재료가 탄성특성이 좋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어야만 할 것이다.
상기 자유결합멤버(40)는 그 일단의 내주연에는 체결돌기(41)를 구비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제 2관(50)의 체결부(51)와 체결되어 상기 제 1관부(11), 지지대(20), 연결구(30) 및 제 2관(50)의 각각의 내주연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자유결합멤버(40)의 외주연에는 패킹(P) 삽입되어 상기 확장관(12)의 내주연과 상기 자유결합멤버(40)의 외주연이 수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패킹홈(42)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패킹홈(42)에 안치되는 패킹(P)은 고무, 연질PVC, 실리콘 등 통상의 패킹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패킹(P)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밀을 유지하는 기능을 함과 더불어 상기 자유결합멤버(40)의 외주연에과 상기 확장관(12)의 내주연의 회전에 의한 곡관 형성시 상기 외주연과 내주연의 접촉면이 미끄러짐에 의해 곡관각도가 뜻하지 않게 변형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기능도 있다.
상기 제 2관(50)은 체결부(51)와 상기 체결부와 일체로 형성된 내관부가 굴곡이 없는 평평한 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몸통부(130)와 일체로 형성된 제 1관부(52)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51)는 상기 자유결합멤버(40) 내주연의 체결돌기(41)에 체결되어 결합되는 체결홈을 외주연에 구비함으로서 상기 확장관(12)과 탄성체결방식으로 결합된 상기 자유결합멤버(40)에 상기 체결부(51)를 회전에 의해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부 일단은 상기 연결구 타단의 외주연이 삽입되는 내주연을 평평한 경사면으로 구성하여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30)와 상기 체결부(51)의 삽입 체결이 용이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연결구 타단의 내주연 상에서 상기 체결부 일단이 전,후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다관절 자유곡관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의해 상기 배수지관체결부(110′)는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떠한 각도에서의 배수라인으로부터의 배수지관(a)의 체결도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c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지관체결부(110″)를 상기 몸통부를 기준으로 각각의 측면에 구성하되, 상기 배수주관체결부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몸통부 측면으로 각각 누운 형태의 경사라인을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배수지관체결부(110)를 상기 몸통부(130)와 직각으로 양측에 구성하는 경우에 양 방향의 배수지관체결부(110)에 각각 배수지관을 체결하면 배수가 역방향으로 흘러 역류할 수 있으므로 한쪽방향의 배수지관체결부(110)에만 배수지관을 체결할 수 밖에 없는 바, 상기와 같이 경사라인으로 배수지관체결부(110″)를 구성하면 양방향 모두 배수지관을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면에서 우수한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수지관체결부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지관(a)이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 몸통부(130) 내부의 배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누수방지덮개(111)를 더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 누수방지덮개(111)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지관체결부(110)의 내주연에 삽입되는 돌출부(111a)와 상기 돌출부(111a)의 테두리를 권회하면서 돌출 형성된 제어턱(111b)과, 나사돌기(111c)를 상기 제어턱(111b)에 구성하여 상기 배수지관체결부(110)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돌기(도면부호 도시되지 않음.)와 맞물리면서 공지의 나사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30)는 각각의 측면에 복수의 배수지관체결부(110)가 구성되어 있으며, 일측이 개구되며, 그 내부에 각각의 배수지관(a)으로부터 유입된 배수가 저장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그 형상은 성형, 시공의 용의성 등을 고려하 여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사각형상 등 측면에 각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모서리에 슬러지가 농축될 수 있으므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형관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통부(130) 상부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청소공(140)이 관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바, 이는 청소공(140)을 통해 몸통부(130) 내주연에 침적된 슬러지 등을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청소공(140)은 상기 몸통부 상부에 구성하되,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지관체결부(110)와 몸통부(130)가 접하는 지점에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배수지관체결부와 몸통부가 접하는 지점의 내부에 축적되기 쉬운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청소공(140)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하도록 청소공덮개(141)를 더 구성함으로서 청소공(140)을 통해 내부를 청소하지 않을 시에는 청소공덮개(141)를 덮어둠으로서 그 내부의 악취 등이 외부로 유출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청소공덮개(141)가 청소공에 착탈하는 방식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순히 삽입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나사결합 등 공지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몸통부(130) 하부에는 건축물의 바닥과 배관헤드의 부착을 위한 복수의 지지부(150)를 구성할 수 있는데, 그 형상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51)와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서 부착되어 판형상의 지지판(152)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대(151)의 높이와 지지판의 두 께(152)를 합한 지지부의 높이는 이하에서 설명할 몸통부(13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하향구배를 형성하는 배수주관체결부(120)의 끝단이 지면에 닿지 않을 만큼의 높이로 구성하여야 한다.
상기 지지부(150)는 몸통부 하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판(152) 양단에 볼트결합 등 공지의 체결방법에 의해 건축물 바닥에 부착할 수도 있으며,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판(152)의 양단에 지지구(160a)가 체결될 수 있는 지지구체결홈(153)을 구성하여 지지구(160a)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160a)에 의해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몸통부(13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닛으로 구성하여 현장시공 여건 등을 고려하여 조립시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30′)는 각각의 유닛의 양단에 플랜지(131′)를 구성하고, 상기 플랜지(131′)에 복수의 볼트공(132′)을 구성하여 각각의 유닛의 조립시 상기 각각의 플랜지(131′)를 맞대고 볼트공(132′)을 통해 볼트결합으로서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몸통부(130′)을 유닛화 함으로서 공장제작에 의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시공시는 건축물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그 유닛의 수를 선택하여 볼 고안의 배관헤드를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몸통부(130″)를 도 5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가 완만한 곡면으로 구성되고, 하부방향으로 가파른 곡면으로 구성하여 하부가 타원형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서 협소한 공간에도 본 고안을 설치하기가 용이하며, 하부가 좁아지는 형태에 의해 원형으로 구성하는 경우보다 동일한 배수량을 비교하면 잔류하는 슬러지량이 줄어들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 배수주관체결부(1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에 있어 개구된 측면과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그 내주연에는 배수주관(b)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배수주관체결부(120)의 내주연에 배수주관(b)이 삽입 체결되는 방식도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지의 본드접착 방식으로도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도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주관체결부(120)의 내주연에 하나 이상의 패킹홈(121)을 구성하여 패킹(P)에 의한 상기 배수주관체결부(120)의 내주연과 배수주관(b)의 수밀체결방식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배수주관체결부(120′)도 자유로운 곡관형성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떠한 각도에서의 배수주관의 체결도 용이하도록 자유곡관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바, 일례로서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10-2005-74898에 게시되어 있는 다관절 자유곡관으로 상기 배수주관체결부(12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배수주관체결부(120′)를 다관절 자유곡관으로 구성하는 경우의 구성요소는 상기 배수지관체결부(110′)의 구성과 동일하다.(동일한 구성에 해당하여 도면번호는 동일하게 하였음.)
상기 배수주관체결부(12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통부(13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하향경사구배를 이루도록 구성함이 타당하다. 이렇게 함으로서 유출되는 배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구비한 본 고안의 배관헤드의 사용상태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선 배수주관(b)을 체결하는 유출라인(c)만이 형성되어 있는 건축물의 바닥(d)에 상기 배관헤드(도면에서는 본 고안의 배관헤드의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배관헤드가 도시되고 있음.)를 지지구(160a)를 사용하여 부착시키는데 그 높이는 배수라인(a), 유출라인(c), 이하에서 설명할 바닥판(e)의 설계높이를 고려하여 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착된 배관헤드를 중심으로 각각의 변기, 세착기, 세면기 등 배수라인으로부터의 각각의 배수지관(a)을 각각 배수지관체결부에 체결하고, 배수주관(b) 역시 배수주관체결부에 체결한다. 각각의 배수지관 및 배수주관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구(160b)를 부착하여 유체의 흐름 등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구(160b)에 의해 상기 배수주관 및 배수지관의 높낮이도 조절이 가능할 것인 바, 상기 지지구(160b)에 의한 높낮이 방식 역시 공지의 기술로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배수지관, 배수주관 및 배관헤드를 제외한 바닥에 복수의 서포트(170)를 부착한다. 상기 서포트(170)의 높이는 배관헤드, 배수지관, 배수주관의 높이보다 높아야 하며, 건축물의 바닥판(e) 설계높이를 고려하여 선택하여야 한다. 그 다음으로 도 6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상부에 바닥판(e)을 마감 시공함으로서 건축물을 이중바닥 구조로 시공하고 그 사이에 배관시스템을 내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이중바닥구조에 본 고안의 배관헤드와 이를 중심으로한 배관시스템을 설비함으로서 배수 등의 흐름에 따른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지 않고, 리모델링시 상기 이중바닥구조에 있어 상판인 바닥판(e)만을 해체하고 내부의 배관시스템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도 6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e)에는 상기 배관헤드에서 임의의 청소공과 대향하도록 구멍을 뚫고 그 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청소공(140)에 삽입되도록 청소관(142)을 삽입한다. 이렇게 삽입된 청소관(142)을 통해서 배관헤드 내부를 주기적으로 청소할 수 있게 되어 사후적으로 내장된 배관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바닥을 이중구조로 구성하고 그 내부에 배관헤드를 중심으로한 배관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서 소음이 그 하부층으로 전달됨이 덜하고, 건축물의 리모델링시 바닥을 완전히 해체할 필요 없이 바닥판을 제거하고 그 내부에 배관헤드를 중심으로한 배관시스템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그 시공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관헤드를 사용하여 배관시공 하는 방법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바, 우선, 본 고안에 의해 배관헤드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은 건축물 바닥에 배관헤드를 부착하는 단계(S1)와, 배관헤드에 배수지관 및 배수주관을 체결하는 단계(S2)와, 서포트를 설치하는 단계(S3)와, 상기 서포트 상부에 바닥판을 설치하여 이중 바닥구조를 시공하는 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관헤드에 배수지관 및 배수주관을 체결하는 단계(S2)에는 각각의 배수주관 및 배수지관을 건축물 바닥에 지지구(160a, 160b)를 사용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 상부에 바닥판을 설치하여 마감시공하는 단계(S4)에는 바닥판에 임의의 청소공과 관통하는 구멍을 뚫고 청소관을 바닥판에서 청소공으로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관헤드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은 상기 예에서 배수를 위한 배관시스템에 적용하고 있으나, 이것은 일예에 해당하고 급수시스템, 보일러시스템 등에 있어서도 관 연결방법에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은 건축물 시공도면에 따라 미리 배관헤드 및 이를 중심으로 한 배수지관, 배수주관 등 배관시스템을 공장제작에 의해 현장에서 조립에 의해 시공할 수 있으므로 공기가 단축되고, 시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을 이중바닥구조로 시공하고 그 사이에 본 고안에 의한 배관헤 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에 의해 배관시스템을 시공할 수 있으므로 배수의 이동에 의한 소음이 아래층으로 전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리모델링 시 건축물의 바닥전체를 해체할 필요가 없이 이중 바닥구조의 상부 바닥판만을 해체하고, 그 내부의 배관헤드를 중심으로한 배관시스템만을 교체하여 리모델링을 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아래층 등에 리모델링에 따른 생활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변기, 세탁기, 세면기 등 각각의 배수라인으로부터의 배수지관과 체결되는 복수의 배수지관체결부과;
    상기 배수지관체결부과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배수지관으로부터 유입된 배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단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배수주관과 체결되는 배수주관체결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헤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상면에는 상기 몸통부의 내주연과 관통하도록 청소공이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헤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공에는 착탈이 가능하도록 청소공덮개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헤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주관체결부는 상기 몸통부의 높이보다 낮게 구성하여 배수가 역류됨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헤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하부에는 바닥과 배관헤드의 부착을 위한 복수의 지지부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지관체결부는 상기 몸통부를 기준으로 각각의 측면에 구성되고, 상기 배수주관체결부의 반대방향으로 각각 누운 형태의 경사라인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지관체결부에는 배수지관체결부에 배수지관이 체결되지 않을 경우 상기 몸통부 내부의 배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누수방지덮개가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헤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유닛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유닛을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헤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상부가 완만한 곡면으로 구성되고, 하부방향으로 가파른 곡면으로 구성하여 하부가 타원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헤드.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헤드는 건축물의 이중 바닥구조의 그 내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헤드.
KR2020060001130U 2006-01-13 2006-01-13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 KR200413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130U KR200413524Y1 (ko) 2006-01-13 2006-01-13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1130U KR200413524Y1 (ko) 2006-01-13 2006-01-13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3854 Division 2006-01-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3524Y1 true KR200413524Y1 (ko) 2006-04-07

Family

ID=41763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1130U KR200413524Y1 (ko) 2006-01-13 2006-01-13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352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96161A1 (en) Flexible Bathtub Waste Pipe Assembly for Bathtubs and the Like
KR200413524Y1 (ko) 배관헤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시공방법
JP2011137330A (ja) 槽体の配管構造
ITPI20100059A1 (it) Impianto idraulico di scarico di acque grigie da un&#39;utenza
JP2012012838A (ja) 槽体と排水器との接続構造
KR100906762B1 (ko) 배관 연결용 슬리브조립체
KR101478350B1 (ko) 자유자재로 방향 및 거리조정이 가능한 t-타입 조정구
KR101165150B1 (ko) 세면대용 배수관 연결구
JP3936549B2 (ja) 回転自在の接続継手
KR100777643B1 (ko) 벽체 매립형 수전연결시스템
JP4713910B2 (ja) 配管固定具
JP2009287175A (ja) 洗い場パン
KR20170002282U (ko) 층상배관용 바닥배수장치
JP4171272B2 (ja) 排水用ヘッダー
JPH11241383A (ja) 排水管路系の接続用カラー体および排水配管装置
JP5041334B2 (ja) 浴室ユニット及び洗面器排水装置取付方法
JP5041333B2 (ja) 浴室ユニット
KR200304846Y1 (ko) 벽체 매립형 수전함
KR100987648B1 (ko) 싱크대 배수용 연결관
KR101177490B1 (ko) 배수트랩의 배관 연결구조
US20220333366A1 (en) Method for interconnecting floor drains
JP4503763B2 (ja) 住宅用排水システム
JP2003096856A (ja) 住宅用排水システム
JP4130120B2 (ja) 管継手
JP2008038563A (ja) 排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