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034Y1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034Y1
KR200412034Y1 KR2020050036389U KR20050036389U KR200412034Y1 KR 200412034 Y1 KR200412034 Y1 KR 200412034Y1 KR 2020050036389 U KR2020050036389 U KR 2020050036389U KR 20050036389 U KR20050036389 U KR 20050036389U KR 200412034 Y1 KR200412034 Y1 KR 2004120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module
signal processing
case
circuit board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3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섭
원창연
신원균
김해식
황금란
이정대
Original Assignee
햄펙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햄펙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햄펙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63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0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0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0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75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associated to expansion card or bus, e.g. in PCMCIA, PC cards, Wireless US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40/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broadcast information
    • H04H40/1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ructure Of Receivers (AREA)

Abstract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직렬 시리얼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신호처리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수납부에 수납된 제1위치와 이 케이스의 외부로 빠져나온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일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는 사용과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신호처리모듈이 외부의 원치않는 충격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신호처리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신호처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의 Ⅶ-Ⅶ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도 2에 도시된 신호처리모듈과 케이스의 상대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a는 신호처리모듈이 케이스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b 및 도 8c는 신호처리모듈이 회전하여 케이스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d는 신호처리모듈이 케이스로부터 180˚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e는 도 8d 상태에서 신호처리모듈이 케이스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f는 도 8e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노트북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노트북에 장착할 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10 ... 안테나
12 ... 고정부재 13 ... 회전부재
14 ... 안테나 매개유닛 19 ... 나사
20 ... 신호처리모듈 21 ... 본체부
22 ... 안테나 장착부 23 ... 회로기판
24 ... 제1커버 25 ... 제2커버
27 ... 출력포트 30 ... 케이스
31 ... 제1케이스 32 ... 제2케이스
S1 ... 제1위치 S2 ... 제2위치
D ... 외부장치
본 고안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이하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본격적인 DMB 방송시대가 개막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DMB 수신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DMB 수신장치 중 DMB신호를 수신하여 직렬 시리얼 버스(이하 'USB', Universal Serial Bus)신호로 변환한 뒤 디스플레이 장치의 USB 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USB형태의 수신장치는 휴대성과 범용성으로 인해 그 사용량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종래의 USB 형태의 수신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USB 형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USB 형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9)는 DMB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와, 이 안테나(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직렬 시리얼 버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처리모듈(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신호처리모듈(2)의 선단에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의 USB포트에 접속하기 위한 출력포트(3)가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USB 형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9)는 신호처리모듈(2)의 출력포트(3)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먼지 등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9)가 오작동 되거나 장기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출력포트(3)에 탈부착되는 뚜껑(미도시) 등을 장착하기도 하였으나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뚜겅이 빈번하게 분실되어 실효성이 없었다.
또한, USB 형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9)의 신호처리모듈(2) 내측의 회로기판(미도시)에는 다수의 회로소자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이 회로소자들은 충격에 의하여 쉽게 고장이 발생하곤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신호처리모듈(9)을 보호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장치(9)를 떨어뜨리는 등 외부의 원치 않는 충격에 의하여 쉽게 고장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USB 형태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9)에서는 방송신호의 수신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평면형 안테나보다는 직립형 안테나(1)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직립형 안테나는(1) 일반적으로 신호처리모듈(2)에 고정되어 있어 휴대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호처리모듈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출력포트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과 휴대가 간편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직렬 시리얼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신호처리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수납부에 수납된 제1위치와 이 케이스의 외부로 빠져나온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처리 모듈의 일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빠져나온 제2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이 케이스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제3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회동포인트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고정홈과, 일단부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에 고정되어 있고 자유단부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일측면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휨변형이 가능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홈에 탄성적으로 삽입가능한 삽입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회동되는 동안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복수의 위치고정홈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삽입돌기가 위치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회동이 억제되어 위치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위치고정되는 복수의 지점은 제1고정위치와 제2고정위치 및 제3고정위치로 3개 마련되며, 상기 제1고정위치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상기 케이스에 완전히 수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고정위치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이 제1고정위치로부터 180°회동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고정위치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밑면이 평평한 지지면에 맞닿아 지지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지지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와 대응되되 록 상기 신호처리모듈을 상기 제1고정위치로부터 회동시킨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의 개략적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의 신호처리모듈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신호처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2의 Ⅶ-Ⅶ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100)는 안테나(10), 신호처리모듈(20) 및 케이스(30)를 구비한다.
상기 안테나(1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후술할 신호처리모듈(2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호처리모듈(20)의 안테나 장착부(22)에 결합된다. 상기 안테나(10)는 방송신호의 수신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 사용된 안테나(10)도 다단으로 구성되어 있어 안테나(10)를 뽑아 신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0)를 밀어 넣을 수 있어 수납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 신호처리모듈(20)은 회로기판(23)과, 제1커버(24) 및 제2커버(25)를 구비한다. 상기 회로기판(23)은 회로소자(26)들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21)와 상기 안테나(10)가 장착되는 안테나 장착부(22)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로기판(23)의 일측에는 USB출력포트(2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본체부(21)에 설치된 회로소자(26)들은 안테나(10)로부터 수신한 방송신호를 직렬 시리얼 버스신호로 변환시키고, 이 변환된 신호는 상기 USB출력포트(27)를 통해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된다. 상기 안테나 장착부(22)는 회로기판(23)의 일측 모서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안테나 장착부(22)와 본체부(21) 사이에는 회로기판(23)의 폭방향을 따라 지지홈(22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홈(222)은 안테나 장착부(22)의 폭 전체에 걸쳐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안테나(10)는 회로기판(23)의 안테나 장착부(22)에 설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테나 매개유닛(14)에 의하여 회로기판(23)에 설치된다. 상기 안테나 매개유닛(14)은 고정부재(12)와 회전부재(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고정부재(12)는 안테나 장착부(22)에 고정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나사(19)가 상기 고정부재(12)에 형성된 제1관통공(17)과 안테나 장착부(22)에 설치된 제2관통공(221)과 후술할 제2커버(25)에 마련된 나사공(251)에 순차적으로 체결됨으로써 고정된다. 상기 회전부재(13)는 핀(미도시) 등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12)의 상면 상에서 자전(自傳)가능하게 이 고정부재(12)에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재(13)에는 슬릿 형태의 삽입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입부(18)는 회전부재(13)가 자전되는 평면과 직교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안테나(10)의 단부가 삽입부(18)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나사(15)가 회전부재(13)에 대향되게 마 련된 제1,2결합공(16)과 안테나(10)에 마련된 제2결합공(11)에 체결됨으로써, 안테나(10)는 상기 안테나 매개유닛(14)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부(18)에 삽입된 안테나(10)는 이 삽입부(18)의 배치방향 즉, 회전부재(13)가 자전하는 평면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상기 나사(19)를 회동포인트로 하여 신호처리모듈(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23) 본체부(21)의 양측에는 이 회로기판(23)이 후술할 제1커버(22) 및 제2커버(23)에 장착되었을 때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고정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커버(24)와 제2커버(25)는 회로기판(23)을 감싸도록 회로기판(23)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된다. 이 제1커버(24)와 제2커버(25)는 고주파 용접에 의하여 서로 결합된다. 고주파 용접은 대략 450kHz 정도의 높은 주파수의 전류를 용접 대상물 즉, 제1커버(24)와 제2커버(25)가 상호 접촉하여 맞닿아 있는 부분에 흘려보내고, 이때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상호 맞닿는 부분이 열에 의하여 부착되는 방식을 말한다. 상기 제1커버(24)와 제2커버(25)의 내측면에는 회로기판(23)의 안테나 장착부(22)를 지지하기 위한 제1지지대(253)와 제2지지대(254)가 이 회로기판(23)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23)의 안테나 장착부(22)가 제1커버(24)와 제2커버(25) 사이에 배치되면, 상기 제1지지대(253)는 회로기판(23)의 지지홈(222)에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2지지대(254)는 안테나 장착부(22)의 끝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즉, 안테나 장착부(2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지지대(253)와 제2지지대(254)가 양측에 위치하여, 이 안테나 장착부(22)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대(253)와 제2지지대(254)는 안테나 장착부 (22)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이 안테나 장착부(22)의 폭 전체에 걸쳐 길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24)와 제2커버(25)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제3지지대(255)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3지지대(255)는 제1커버(24)와 제2커버(25)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23)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23)이 제1커버(24)와 제2커버(25) 사이에 배치되면 제3지지대(255)의 끝단이 회로기판(23)의 끝단과 접촉되어 회로기판(23)을 지지한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23)이 제1커버(24)와 제2커버(25)의 사이에 장착되면, 제1커버(24)와 제2커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고정돌기(252)가 회로기판(23)의 복수의 고정홈(28)에 각각 끼워지게 되는데, 이 고정돌기(252)는 상기 제1지지대(253), 제2지지대(254) 및 제3지지대(255)에 비하여 짧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커버(24)의 일측면(24a)에는 이 일측면(24a)에 대하여 돌출된 돌기(2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241)는 그 길이가 폭에 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커버(24)의 일측면(24a)에는 탄성편(242)이 구비되어 있다. 이 탄성편(242)은 제1커버(24)의 일측면(24a)을 절개하여 "⊃" 형태의 슬릿(243)을 형성함으로써 제1커버(24)와 일체로 제조되는 것이므로, 그 일단부는 상기 제1커버(24)로부터 연장되서 고정되어 있고 자유단부는 제1커버(24)의 일측면(24a)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휨변형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후술하겠지만 이 탄성편(242)은 신호처리모듈(20)의 케이스(30)에 대한 회동포인트로 작용하는 돌기(24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탄성편(242)에는 삽입돌기(24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신호처리모듈(20)이 안테나(10)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 변환 및 출력하는 전자적 구성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신호처리모듈(20)은 안테나커넥터(P21), RF부(P22), 베이스밴드부(P23), USB 신호처리부(P24), USB 커넥터(P25) 및 제어부(P26)를 구비한다. 안테나커넥터(P21)는 회로기판(23)에 인쇄패턴으로 형성되어 안테나(10)와 연결된다. RF부(P22)는 안테나(10)에 의해 수신되어 안테나커넥터(P2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 : I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 중에서 위성DMB모드의 주파수대역은 2.6 ~ 2.65GHz이고, 제1지상DMB모드의 주파수대역은 1452 ~ 1492MHz이며, 제2지상DMB모드의 주파수대역은 174 ~ 240MHz이다.
베이스밴드부(P23)는 RF부(P22)로부터 입력되는 IF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 후 원하는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한다. USB 신호처리부(P24)는 복조된 신호를 USB(Universal Serial Bus) 데이터로 변환한다. USB 커넥터(P25)는 USB 데이터를 외부장치(D)로 전달한다. USB 커넥터(P25)는 신호처리모듈(20)과 외부장치(D) 사이의 데이터 입출력수단으로 기능하는 동시에 외부장치로부터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300)로의 전원공급수단으로 기능한다. 한편, 신호처리모듈(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는 USB 커넥터(P25)를 통해 외부장치(D)로부터 입력된다. 외부장치(D)로는 MP3플레이어, LCD 모니터, PDP 모니터,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픽쳐 비디오 레코더(PVR), 카 오디오(CAR AUDIO), PDA, 휴대용 카셋트, 라디오 세트 등이 포함된다. 제어부(P26)는 외부장치(D)로부 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RF부(P33), 베이스밴드부(P23) 및 USB 신호처리부(P24)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안테나커넥터(P21), RF부(P22), 베이스밴드부(P23), USB 신호처리부(P24), USB 커넥터(P25) 및 제어부(P26)들은 회로소자(26)가 설치된 회로기판(23) 및 출력포트(27)가 방송신호를 변환 출력하는 전자적 구성과 작용에 대한 설명이 용이해지도록 별도의 참조번호를 붙여 설명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30)는 신호처리모듈(20)을 수납하여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호처리모듈(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케이스(31)와 제2케이스(32)를 구비하며, 제1케이스(31)와 제2케이스(32)의 내측에는 신호처리모듈(20)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33)가 마련된다. 상기 제1케이스(31)의 내측면에는 신호처리모듈(20)의 돌기(241)가 수용되어 회전될 수 있는 회전홈(311)이 마련되어 있다. 이 회전홈(311)은 원형으로서 그 직경은 상기 돌기(241)의 길이에 비하여 같거나 크게 형성된다. 상기 신호처리모듈(20)은 일단부가 케이스(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자유단부는 일단부를 회동포인트로 하여 회동된다. 이에 따라, 신호처리모듈(20)은 케이스(30)에 수납된 제1위치(S1)와 케이스(30)의 외부로 빠져나온 제2위치(S2) 사이에서 위치변경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케이스(31)의 내측면에는 가이드홈(312)이 마련된다. 이 가이드홈(312)은 상기 신호처리모듈(20)이 케이스(30)로 부터 이탈된 제2위치(S2)들 중 특히 제1위치(S1)로부터 180˚회전된 위치에서 케이스(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케이스(30)의 수납부(33)에 수납된 제3위치(S3)로 위치변경되는 것을 가이드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가이드홈(312)은 상기 회전홈(311)으로부터 케이스(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가이드홈 (312)의 폭은 상기 신호처리모듈(20)의 돌기(241)의 길이보다 작고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케이스(31)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위치고정홈 즉, 제1위치고정홈(313), 제2위치고정홈(314) 및 제3위치고정홈(315)들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위치고정홈들은, 신호처리모듈(20)이 상기 수납부(33)에 수납된 제1위치(S1)로부터 케이스(30)의 외부로 빠져나온 제2위치(S2) 사이에서 회동되는 동안, 사용자의 외력이 신호처리모듈(20)에 가해지지 않는 조건에서 상기 제1위치(S1)와 제2위치(S2)사이의 복수의 지점에서 신호처리모듈(20)의 회동을 억제시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신호처리모듈(20)의 삽입돌기(244)가 위치고정홈(313,314,315)에 탄성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사용자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신호처리모듈(20)이 케이스(30)에 대하여 회동되는 것이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위치고정홈(313) 내지 제3위치고정홈(315)은 신호처리모듈의 회동포인트인 회전홈(311)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위치고정홈(313)은 상기 신호처리모듈(20)이 케이스(30)에 완전히 수납된 제1고정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신호처리모듈(20)의 삽입돌기(244)가 놓여지는 위치에 배치되며, 제2위치고정홈(314)은 상기 신호처리모듈(20)이 제1고정위치로부터 180˚ 회전된 제2고정위치에 있을 때 신호처리모듈(20)의 삽입돌기(244)가 놓여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신호처리모듈(20)의 밑면이 책상면과 같은 평평한 지지면에 맞닿아 지지되어 있고 케이스(30)의 일측 모서리가 지지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와 대응되도록 상기 신호처리모듈(20)을 제1고정위치로부터 회동시킨 위치에서 신호처리모듈(20)의 삽입돌기(244)가 놓여지는 위치에 상기 제3위치고정홈(315)이 배치된 다.
한편, 상기 케이스(30)의 일측에는 케이스(30)의 일부를 절개하여 신호처리모듈(2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절개부(317)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부(317)는 신호처리모듈(20)이 케이스(30)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 신호처리모듈(20)을 케이스(30)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케이스(30)의 수납된 상태의 신호처리모듈을(20)을 사용자가 파지하여 케이스(30)의 외측으로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30)의 타측에는 케이스(30)의 일부를 절개한 파지부(3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신호처리모듈(20)이 제1위치(S1)로부터 180˚까지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30)에는 스토퍼부(319)가 구비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319)는 신호처리모듈(20)이 제1위치(S1)로부터 180˚회전된 지점에서 회전방향상 신호처리모듈(20)의 선단부가 위치한 지점에 위치하며, 신호처리모듈(20)의 회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100)의 작동과 사용예를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f는 도 2에 도시된 신호처리모듈과 케이스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8a는 신호처리모듈이 케이스에 완전히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b 및 도 8c는 신호처리모듈이 회전하여 케이스로부터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d는 신호처리모듈이 케이스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e는 도 8d 상태에서 신호처리모듈이 케이스의 내측으로 슬라이 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f는 도 8e 상태의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노트북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를 노트북에 장착할 때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10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처리모듈(20)이 케이스(30)에 수납된 제1위치(S1)와 도 8b, 8c,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처리모듈(20)이 케이스(30)의 외부로 빠져나온 제2위치(S2)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다. 신호처리모듈(30)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S2)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탄성편(242)의 삽입돌기(244)가 케이스(30)의 제1위치고정홈(313)에 삽입되어 있어 사용자가 신호처리모듈(20)을 밀거나 잡아 빼지 않고 원치 않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신호처리모듈(20)의 위치가 고정되어 회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가 케이스(30)의 절개부(317)를 통해 신호처리모듈(20)을 밀거나 파지부(318)를 통해 신호처리모듈(20)을 잡아 뺌으로써 제1위치(S1)에 있는 신호처리모듈(20)을 케이스(30)의 외측 제2위치(S2)로 위치변경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힘을 가하여 신호처리모듈(20)을 회동시키면, 삽입돌기(244)는 휨변형이 발생하여 제1위치고정홈(313)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이탈되게 된다. 이렇게 이탈된 삽입돌기(244)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에 눌린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신호처리모듈(20)이 계속적으로 회동하여,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고정위치에 놓이게 되면 삽입돌기(244)는 제3위치고정홈(315)에 탄성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조건에서는 회 동이 억제된다. 마찬가지로, 신호처리모듈(20)에 계속적으로 힘을 가하면 신호처리모듈(20)은 다시 회동되고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위치(S1)로부터 180˚회전된 제2고정위치로 위치변경되고, 삽입돌기(244)는 제2위치고정홈(314)에 삽입된다. 즉, 신호처리모듈(20)이 제1위치(S1)로부터 제2위치(S2)로 회동하는 동안, 상기 탄성편(242)에 설치된 삽입돌기(244)는 순차적으로 제1위치고정홈(313), 제3위치고정홈(315) 및 제2위치고정홈(314)에 삽입되게 된다. 한편, 신호처리모듈(20)이 제1위치(S1)로부터 180˚ 회전한 상태가 되면 상기 신호처리모듈(20)의 회동은 케이스(30)의 스토퍼부(319)에 의하여 방지된다.
한편, 상기 신호처리모듈(20)이 케이스(30)로부터 빠져 나온 제2위치에 놓여져 있는 상태 특히, 제1위치로부터 180˚회전된 제2고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신호처리모듈(20)은 케이스(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도 8e 및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30)의 수납부(33)에 수납된 제3위치로 위치변경 가능하다. 즉, 신호처리모듈(20)이 제2고정위치에 놓여 지게 되면, 신호처리모듈(20)의 돌기(241)의 길이방향과 케이스(30)의 가이드홈(312)의 길이방향이 일치하게 되고 돌기(241)의 폭은 가이드홈(312)의 폭보다 작게 되어 있으므로, 돌기(241)가 가이드홈(312)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신호처리모듈(20)이 다시 제1위치 쪽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 돌기(241)의 가이드홈(312)의 폭방향을 따른 길이가 가이드홈(312)의 폭보다 크므로 돌기(241)가 가이드홈(312)을 따라 슬라이딩 될 수 없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 송 수신장치(100)는 다양한 상태로 사용가능한데, 각각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고정위치는 신호처리모듈(20)이 케이스(30)에 수납된 상태이므로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신호처리모듈(20)의 출력포트(27)가 케이스(30)내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출력포트(27)에 이물질이 들어갈 위험이 줄어든다. 더욱이, 삽입돌기(244)가 제1위치고정홈(313)에 삽입되어 있어 신호처리모듈(20)이 케이스(30) 외부로 원치 않게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므로 이물질에 의하여 출력포트(27)가 오염되는 위험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또한, 신호처리모듈(20)이 케이스(30)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수신장치(100)를 떨어트리는 경우 등 원치 않는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신호처리모듈(20)이 파손되는 위험이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8d의 제2고정위치는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도 9에 이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신호처리모듈(20)을 케이스(30)로부터 완전히 이탈시킨 뒤 출력포트(27)를 외부장치(D)에 설치되어 있는 USB입력포트에 접속시킨다. 안테나(10)는 전방위로 회전되므로 안테나(10)를 회전시켜 방송신호가 잘 수신되도록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안테나 매개유닛(14)의 회전부재(13)는 자전가능하고 안테나(10)는 회전부재(13)의 자전평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사용자는 안테나(10)를 회전부재(13)의 상면 상에서 전방위로 회동시킬 수 있게 되고, 회동시 에 가해진 힘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 장착부(22), 특히 나사(19)가 체결된 부분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이렇게 안테나(10)가 회동될 때 상기 제1지지대(253)와 제2지지대(254)는 안테나 장착부(22)의 양측에서 안테나 장착부(22)를 지지함으로써 안테나 장착부(22)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신호처리모듈(20)이 외부장치(D)의 USB포트에 접속될 때 회로기판(23)이 뒤로 밀리면서 힘을 받게 되는데 제3지지대(254)는 회로기판(23)의 후방에서 회로기판(23)을 지지함으로써 힘을 분산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23)이 뒤로 밀리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8c의 제3고정위치도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로서 도 10에 이러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노트북과 같은 외부장치(D)에서 USB입력포트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근래에 노트북의 두께가 얇아지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100)를 도 8d와 같은 상태로 외부장치(D)에 접속시키려면 되면 책상과 같은 외부장치 지지면에 케이스(30)가 걸리게 된다. 제3고정위치는 이러한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서, 신호처리모듈(20)의 밑면이 상기 지지면에 맞닿아 있을 때 케이스(30)를 일정 각도 회전시켜 케이스(30)의 모서리가 지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만든 후, 신호처리모듈(20)과 케이스(30)가 상대회전될 수 없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신호처리모듈(20)의 밑면과 지지면에 접촉되어 있는 케이스(30)의 모서리가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 치(100)는 다양한 사용환경에서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신호처리모듈(20)이 오염되거나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회전구조로 인하여 휴대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제1지지대(253), 제2지지대(254) 및 제3지지대(255)가 신호처리모듈(20)의 제2커버(25)에만 있는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대들(253,254,255)은 대칭적으로 제1커버(24)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 돌기(241), 탄성편(242) 및 삽입돌기(244)는 신호처리모듈(20)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회전홈(311)과 가이드홈(312) 및 위치고정홈(313,413,415)들은 케이스(3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역으로 돌기(241), 탄성편(242) 및 삽입돌기(244)는 케이스(30)에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회전홈(311)과 가이드홈(312) 및 위치고정홈(313,413,415)들은 신호처리모듈(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지금까지 돌기(241), 탄성편(242) 및 삽입돌기(244)는 신호처리모듈(20)의 제1커버(24)에만 형성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제2커버(25)에도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 치는 신호처리모듈의 출력포트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호처리모듈이 원치 않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는 신호처리모듈과 케이스의 상대 회동구조와 위치고정구조를 통해 다양한 사용환경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는 안테나가 전방위로 회전되어 방송신호를 효율적으로 수신하면서도 회로기판이 힘을 받아 파손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9)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직렬 시리얼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신호처리모듈; 및
    상기 신호처리모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형성된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케이스의 수납부에 수납된 제1위치와 이 케이스의 외부로 빠져나온 제2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일단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일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그 일측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일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어 회전될 수 있는 회전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타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그 타측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는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타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타측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어 회전될 수 있는 회전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케이스로부터 빠져나온 제2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이 케이스의 수납부에 수납되는 제3위치 사이에서 위치변경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일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중 어느 하나에는 그 일측면에 대하여 돌출되어 있으며, 그 길이가 폭에 비하여 큰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일측면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기가 수용되어 회전될 수 있는 회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홈이 형성된 신호처리모듈 또는 케이스의 일측면에는, 상기 돌기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홈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홈의 폭은 상기 돌기의 길이보다 작고 돌기의 폭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의 복수의 지점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 회동이 억제되어 위치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회동포인트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고정홈과,
    일단부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에 고정되어 있고 자유단부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일측면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휨변형이 가능한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고정홈에 탄성적으로 삽입가능한 삽입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회동되는 동안 상기 삽입돌기는 상기 복수의 위치고정홈에 순차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삽입돌기가 위치고정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회동이 억제되어 위치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회로소자들이 설치되어 있는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와 함께 회로기판을 감싸도록 이 회로 기판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커버와 결합되는 제2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편은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제1커버의 일측면을 절개하여 '⊃' 형태의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커버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 탄성편은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회동포인트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위치고정되는 복수의 지점은 제1고정위치와 제2고정위치 및 제3고정위치로 3개 마련되며,
    상기 제1고정위치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상기 케이스에 완전히 수납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제2고정위치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이 제1고정위치로부터 180°회동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3고정위치는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밑면이 평평한 지지면에 맞닿아 지지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지지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와 대응되되록 상기 신호처리모듈을 상기 제1고정위치로부터 회동시킨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의 신호처리모듈을 이 케이스의 외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는 이 케이스의 일부를 절개하여 상기 신호처리모 듈이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수납된 상태의 신호처리모듈을 이 케이스의 외측으로 빼낼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의 타측에는 이 케이스의 일부를 절개하여 사용자가 상기 신호처리모듈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회로소자들이 설치되어 있는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와 함께 회로기판을 감싸도록 이 회로기판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커버와 결합되는 제2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버와 제2커버는 고주파 용접에 의하여 상호 맞닿아 있는 부분이 열에 의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회로소자들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안테나가 장착되는 안테나 장착부를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을 감싸며 배치되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회로기판의 안테나 장착부와 본체부 사이에는 이 회로기판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어 상기 안테나 장착부를 지지해주도록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제1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회로소자들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안테나가 장착되는 안테나 장착부를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을 감싸며 배치되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 장착부는 회로기판의 일측 모서리에 배치되며,
    상기 회로기판의 모서리에 배치된 안테나 장착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안테나 장착부의 끝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제2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대와 제2지지대는 상기 안테나 장착부의 폭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회로소자들이 설치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안테나가 장착되는 안테나 장착부를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이 회로기판을 감싸며 배치되는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그 끝단이 상기 회로기판의 끝단에 접촉되서 이 회로기판을 지지하는 제3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상기 회로기판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신호처리모듈의 상면 상에서 자전(自轉)가능하게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안테나 매개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는 상기 회전부재가 자전하는 평면과 직교하는 평면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상기 회전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이 제1위치로부터 180°까지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1위치로부터 180°회전된 신호처리모듈의 회전방향상 선단부가 위 치한 지점에 이 신호처리모듈의 회전방향과 교차하게 배치된 스토퍼부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모듈은,
    회로기판에 인쇄패턴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가 체결되는 안테나커넥터;
    상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되어 상기 안테나커넥터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중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선택하여 중간주파수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RF부;
    상기 RF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중간주파수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 후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베이스밴드부;
    상기 복조된 신호를 직렬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데이터로 변환하는 USB 신호처리부; 및
    상기 USB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거나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제어신호 및 전원을 입력받는 USB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KR2020050036389U 2005-12-26 2005-12-2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KR2004120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89U KR200412034Y1 (ko) 2005-12-26 2005-12-2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389U KR200412034Y1 (ko) 2005-12-26 2005-12-2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034Y1 true KR200412034Y1 (ko) 2006-03-22

Family

ID=41762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389U KR200412034Y1 (ko) 2005-12-26 2005-12-26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0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7358B2 (en)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US8339792B1 (en) Detachable adapter and handheld device
US20020142799A1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for connecting with a communtcations module
US832634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tegrated into a computer display
CN108604109B (zh) 具有支起功能的电子设备
US20080291178A1 (en) Touch pen having a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touch pen
TW201101578A (en) Digital mobile USB transceiver
US8086278B2 (en) Holding apparatus
JP2008516524A (ja) 補助パラサイトアンテナ装置
US20100214757A1 (en) Electronic device
US6812897B2 (en) Dual mode antenna system for radio transceiver
EP1619746B1 (en) Antenna mount for mobile terminal
JP2004128982A (ja) 着脱式アンテナ装置
EP1441411B1 (en) Antenna unit and portable wireless device
KR200412034Y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JP3138931U (ja) 外部画像処理装置
US7609225B2 (en) Clipping communication device
US7736189B2 (en) Rotatable bearing base
EP1995658B1 (en) Touch pen having a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touch pen
US20020119801A1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US8289704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073528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가변형 안테나 장치
US20130017861A1 (en) Antenna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JPH10283449A (ja) Pcカード
KR100465990B1 (ko) 무선랜카드가 장착되는 휴대용컴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