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6159Y1 -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6159Y1
KR200406159Y1 KR2020050026768U KR20050026768U KR200406159Y1 KR 200406159 Y1 KR200406159 Y1 KR 200406159Y1 KR 2020050026768 U KR2020050026768 U KR 2020050026768U KR 20050026768 U KR20050026768 U KR 20050026768U KR 200406159 Y1 KR200406159 Y1 KR 200406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or
vertical
sides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원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원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원기업
Priority to KR2020050026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61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6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61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처분되는 쓰레기 중에서 재활용 가능한 물품을 분리수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분리수거대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과 수직 이음부분을 분리 및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연결구의 몸체 일측 또는 직각 방향 2개소에 프레임에 끼워 고정되는 결속바가 몸체와 턱이 진 단부로 연결되고, 상기 결속바의 외면 소정부에 돌기부를 구성하여 프레임과 억지끼움이 가능하게 되며, 몸체의 일측에 재활용품을 담는 그물망을 걸 수 있도록 걸이핀이 나합 가능한 나공이 일체로 형성된 재활용품 분리수거대용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FRAME CONNECTOR AND ASSEMBLY OF FRAM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대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프레임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부를 확대한 프레임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C"부를 확대한 프레임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횡프레임 2 : 외측 횡간프레임
2a : 내측 횡간프레임 3 : 종프레임
4 : 지지프레임 5 : 걸이핀
6 : 체결나사 10 : 모서리연결구
11, 21 : 몸체 12, 13, 24 : 결속바
14, 25 : 단부 15, 26 : 돌기부
16, 27 : 나공 20 : 수직연결구
22 : 고정날개 23 : 체결공
본 고안은 프레임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기처분되는 쓰레기 중에서 재활용 가능한 물품을 분리수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된 분리수거대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과 수직 부분을 분리 및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회용품의 소비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생활쓰레기 및 산업폐기물의 배출량도 증가하고 있고, 이들 중 재활용이 충분히 가능한 물품이 그냥 버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아파트와 같은 주거지는 물론이고 공공건물에서도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분리수거하는 풍토가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재활용이 가능한 쓰레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쓰레기의 종류, 예컨대 병류, 고철류, 합성수지류 등으로 분리하여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거대가 아파트 단지나 건물 내부 곳곳에 설치되고 있으며, 분리수거 풍토가 확산됨에 따라서 분리수거대의 수요 또한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분리수거대를 합성수지제로 제조할 경우에는 그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금형 제작비 등 초기 비용이 대단히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취약한 단점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나 강도 등을 고려하여 대부분 분리수거대 프레임을 금속으로 제작하고 그 내부에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구분하여 담을 수 있도록 복수개의 그물망을 설치하고 있으며, 프레임의 고정 형태는 각 프레임 간 연결부분을 용접을 통해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용접으로 연결된 분리수거대의 경우, 부피가 매우 크기 때문에 차량 적재에 한계가 있는 점을 고려하면 운반비가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연결부위를 일일이 용접해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이 복잡하여 결국 제작비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X"자 형 프레임의 크로스(CROSS) 부분을 힌지로 연결하여 프레임을 절첩되게 한 접이식 분리수거대가 출시되고는 있으나, 이 역시 부피를 충분히 줄일 수 없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분리수거대를 구성하는 각 프레임 연결 부분을 간단하게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제작할 수 있으면서도 내구적 강도가 우수한 분리수거대용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분리수거대를 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되, 작업성을 고려하여 특별한 공구 없이 효율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조립을 완료할 수 있는 분리수거대용 프레임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 연결구의 몸체 일측 또는 직각 방향 2개소에 형성된 결속바가 몸체와 턱이 진 단부로 연결되고, 상기 결속바의 외면 소정부에 돌기부를 구성하여 프레임과 억지끼움이 가능하게 되며, 몸체의 일측 에 재활용품을 담는 그물망을 걸 수 있도록 걸이핀이 나합 가능한 나공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리수거대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리수거대의 일반적인 형태는 상부에 소정 거리 이격된 한 쌍의 횡프레임(1)이 평행하게 마련되고, 각 횡프레임(1)의 사이에는 각 선단에 외측 횡간프레임(2)이 설치되며, 내부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내측 횡간프레임(2a)이 설치되어 각 횡간프레임(2)(2a)의 사이 공간이 재활용품을 버릴 수 있는 투입구로 활용된다.
이때, 상기 횡프레임(1)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입설된 적어도 4개 이상의 종프레임(3)에 의해 지지되며, 이들 각 프레임(1)(2)(2a)(3) 간의 지지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프레임(3)의 하부에 각 종프레임(3)을 상호 연결하는 지지프레임(4)이 설치된다.
도시된 분리수거대의 예는, 분리수거대를 구성하는 일반적이고 최소한의 구성을 갖춘 형태로써, 대용량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종프레임(3)의 수를 늘리거나 각 종프레임(3)을 상호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이 선택적 위치에 더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이들 각 프레임은 경량화를 위해 대부분 속이 빈 중공상태로 제조된다.
본 고안은 상기 각 프레임(1)(2)(2a)(3)(4)의 단부를 모서리연결구(10)와 수 직연결구(20)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횡프레임(1)과 외측 횡간프레임(2)이 맞닿은 외곽 모서리 부분은 모서리연결구(10)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기타 횡프레임(1), 횡간프레임(2)(2a), 종프레임(3) 및 지지프레임(4)의 각 단부는 수직연결구(20)를 사용하여 연결한 것인데, 이들 연결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 2 및 도 3을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한 프레임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2a는 모서리연결구(10)로써 횡프레임(1)과 외측 횡간프레임(2)을 연결하기 전의 분해 상태를, 도 2b는 이들이 상호 조립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모서리연결구(10)는 6면체로 형성된 몸체(11)의 직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결속바(12)(13)를 구비하고, 몸체(11)에 대한 각 결속바(12)(13) 연결부분은 턱이 진 단부(14)를 형성하고 있으며, 단부(14)의 높이는 각 결속바(12)(13)에 결속될 횡프레임(1) 및 외측 횡간프레임(2)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각 결속바(12)(13)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1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1)의 소정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나공(16)이 천공되어 있어서 걸이핀(5)이 나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형성된 모서리연결구(10)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모든 구성요소를 일체로 성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재질 및 제조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2b는 모서리연결구(10)의 각 결속바(12)(13)에 외측 횡간프레임(2)과 횡프레임(1)이 각각 결속되고, 걸이핀(5)이 나공(16)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b와 같이 외측 횡간프레임(2) 및 횡프레임(1)이 각 결속바(12)(13)에 끼워져 결속될 때 돌기부(15)에 의해서 억지끼움이 가능하게 되어 외측 횡간프레임(2) 및 횡프레임(1)이 각 결속바(12)(13)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되고, 또한 몸체(11)의 외면과 각 프레임(1)(2)의 외면이 단부(14)에 의해 어느 한 쪽이 돌출되지 않고 평면 상태를 이루어서 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한편,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핀(5)은 재활용품을 담을 수 있는 그물망(부호 미표기)을 거는 용도로 사용되며, 상기 걸이핀(5)은 도 1에서와 같이 모서리연결구(10)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수직연결구(20)에도 결속됨으로써 재활용품을 용도별도 분리할 때 각 재활용품을 담는 그물망을 걸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도 1의 "B"부를 확대한 프레임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3a는 수직연결구(20)로써 횡프레임(1)과 내측 횡간프레임(2a)을 연결하기 전의 분해 상태를, 도 3b는 이들의 상호 조립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수직연결구(20)는 6면체로 형성된 몸체(21)의 대향 면에 각각 체결공(23)이 형성된 고정날개(22)를 구비하고, 고정날개(22)에 대해서 직각한 일 방향으로 돌출된 결속바(24)를 구비하며, 몸체(11)에 대한 결속바(24) 연결부분은 턱이 진 단부(25)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단부(25)의 높이는 결속바(24)에 결속될 내측 횡간프레임(2a)의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미관상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각 결속바(24)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기부(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21)의 소정부에는 내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나공(27)이 천공 되어 있어서 걸이핀(5)이 나합 고정이 가능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수직연결구(20)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모든 구성요소를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재질과 제조방법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3b는 수직연결구(20)의 결속바(24)에 내측 횡간프레임(2a)이 결속되고, 걸이핀(5)이 나공(27)에 체결되며, 고정날개(22)가 횡프레임(1)의 외면에 접촉된 상태로 체결나사(6)에 의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b와 같이 내측 횡간프레임(2a)이 결속바(24)에 끼워져 결속될 때 돌기부(26)에 의해서 억지끼움이 가능하게 되어서 내측 횡간프레임(2a)이 결속바(24)로부터 쉽게 이탈하지 않게 되고, 또한 몸체(21)의 외면과 내측 횡간프레임(2a)의 외면이 단부(25)에 의해 어느 한 쪽이 돌출되지 않고 평면 상태로 결속되므로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또한, 수직연결구(20)는 체결나사(6)가 체결공(23)을 관통하여 횡프레임(1)에 체결되기 때문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때 횡프레임(1)에는 체결나사(6)가 체결될 수 있는 구멍(부호 미표기)을 미리 천공하여도 좋다.
한편, 수직연결구(20)에 나합된 걸이핀(5)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서리연결구(10)에 나합된 걸이핀(5)과 함께 재활용품을 담는 그물망을 거는 용도로 사용된다.
이상, 설명된 모서리연결구(10) 및 수직연결구(20)는 도 1의 "A"부 및 "B"부에 한정된 도면으로 설명하였지만, 동일한 연결구로써 도 1의 각 프레임(1)(2)(2a)(3)(4)의 단부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절하게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므로, 각 연결부분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도 1의 "C"부를 확대한 프레임 연결구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종프레임(3)의 하단에서 지면에 접촉되는 면적을 넓게 하여 분리수거대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목적으로 구성된 받침대를 보인 것이지만, 이는 전술한 수직연결구(20)를 적용한 것이다.
즉, 수직연결구(20)의 몸체(21)와 고정날개(22)의 바닥면은 평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횡프레임(1)의 외면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으면서도 고정날개(22)에 의해 접촉면적이 넓어지므로 지면과 접촉될 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수직연결구(20)에 형성된 결속바(24)는 종프레임(3)의 하단으로 삽입되어 도 4b와 같은 상태로 결속되며, 이때 몸체(21) 하단과 고정날개(22) 하단이 지면에 접촉됨으로써 분리수거대가 지면에 설치되게 하는 것으로, 수직연결구(20)가 종프레임(4)의 하단에 결속되는 구조는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에 의하면, 각 프레임 및 연결구를 조립하지 않은 상태에서 한번에 많은 양의 분리수거대를 운반할 수 있고 분리수거대를 보관할 때에도 각 프레임을 분리하여 체적을 줄인 상태에서 보관이 가능하므로 물류비 및 관리비가 현저하게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분리수거대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까지 운반한 상태에서 각 프레임의 모서리 부분과 수직 연결부분을 각각 억지 끼움방식과 나사체결 방식으로 적절하게 혼용하여 조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직연결구는 프레임 연결과 분리수거대의 받침대로 사용이 가능하고 연결구에 그물망 걸이핀을 설치할 수 있는 나공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부품의 효율성 향상과 함께 복잡한 작업 없이 간단하게 체결, 조립이 가능하므로, 결국 분리수거대의 제조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설명된 프레임 연결구는 재활용품 분리수거대의 예시로써 설명되었지만, 동일한 기술사상 및 구성에 의해서라면 분리수거대로만 한정되지 않고, 프레임을조립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곳에 적용이 가능함은 당연하고, 그러한 변경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는 하기의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7)

  1.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중공 프레임을 직각 또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결시킨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각 프레임의 모서리부분을 결속하는 모서리연결구는 6면으로 형성된 몸체의 직각 방향 면 2개소에 마련된 결속바가 몸체와 턱이 진 단부를 가지도록 돌출 연장되게 구성되고,
    각 프레임의 수직 연결부분을 결속하는 수직연결구는 6면으로 형성된 몸체의 대향 면 2개소에 체결나사가 관통하는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날개가 돌출 연장되고 고정날개에 대한 몸체의 수직면에 마련된 결속바가 몸체와 턱이 진 단부를 가지도록 돌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연결구 및 수직연결구의 각 몸체 소정부에 나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구의 몸체와 고정날개의 바닥면은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각 결속바의 외면에는 프레임과 억지끼움이 가능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연결구 및 수직연결구의 단부 높이는 프레임의 판재 두께와 거의 동일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연결구.
  6. 소정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중공 프레임을 직각 또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연결시킨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프레임의 모서리연결구는 6면으로 형성된 몸체의 직각 방향 면 2개소에 마련된 결속바가 몸체와 턱이 진 단부를 가지도록 돌출 연장되어 중공 프레임에 내입 결속되고,
    프레임의 수직연결구는 6면으로 형성된 몸체의 대향 면 2개소에 체결나사가 관통하도록 체결공이 구비된 고정날개가 돌출 연장되고 고정날개에 대한 몸체의 수직면에 마련된 결속바가 몸체와 턱이 진 단부를 가지도록 돌출 연장되어 중공 프레임에 내입 결속되며,
    상기 각 몸체의 소정부에 나공을 마련하되 상기 나공에 걸이핀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프레임 연결구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7. 삭제
KR2020050026768U 2005-09-16 2005-09-16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KR200406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68U KR200406159Y1 (ko) 2005-09-16 2005-09-16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768U KR200406159Y1 (ko) 2005-09-16 2005-09-16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6159Y1 true KR200406159Y1 (ko) 2006-01-20

Family

ID=4175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768U KR200406159Y1 (ko) 2005-09-16 2005-09-16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61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68B1 (ko) * 2006-02-20 2007-04-17 양선아 접이식 분리수거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768B1 (ko) * 2006-02-20 2007-04-17 양선아 접이식 분리수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472B1 (ko) 조립식 컨테이너
CN201445121U (zh) 一种可自由扩展的组合柜
CZ295263B6 (cs) Konstrukční systém
KR101669575B1 (ko) 다양한 패널의 조립이 가능한 부스 프레임
KR200406159Y1 (ko) 프레임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프레임 조립체
JP3841177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101404424B1 (ko) D.i.y 조립식 창고
US7516864B2 (en) Built-up container
US7322483B2 (en) Cantilever shelving for utility shed
WO2012032517A1 (en) Strengthening element for an objec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359491B1 (ko) 조립식 가구 시스템
KR101852520B1 (ko) 고정편을 구비한 조립식 파렛트
KR200473130Y1 (ko) 조립식 수납장
KR101612531B1 (ko) 철재 파렛트
KR200419253Y1 (ko) 물품걸이구를 구비한 신발장 선반의 조립구조
CN112302281A (zh) 一种墙面石材可拆卸式设计结构及其安装方法
KR200478466Y1 (ko) 조립식 장롱
KR101844991B1 (ko) 모듈패널형 컨테이너
KR101902874B1 (ko) 바닥구조물
JP2004345737A (ja) 樹脂パレット
CN218736479U (zh) 一种具有折叠结构的猫厕所
KR960009818Y1 (ko) 장식대용 조립식 블럭
JPH0640101Y2 (ja) 箱の周壁構造
JP5377929B2 (ja) 浴室ユニットにおける浴室壁の壁パネルおよび浴室ユニット
CN214658436U (zh) 一种墙面石材可拆卸式设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