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683Y1 -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 Google Patents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683Y1
KR200402683Y1 KR20-2005-0027603U KR20050027603U KR200402683Y1 KR 200402683 Y1 KR200402683 Y1 KR 200402683Y1 KR 20050027603 U KR20050027603 U KR 20050027603U KR 200402683 Y1 KR200402683 Y1 KR 200402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ynthetic resin
hole
injec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원
이원규
Original Assignee
(주) 대아플라테크
이희원
이원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아플라테크, 이희원, 이원규 filed Critical (주) 대아플라테크
Priority to KR20-2005-0027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6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6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urface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압출경로를 통해 일정 형상으로 압출되는 제1합성수지 성형층의 외부 표면에 보조압출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제2합성수지를 피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압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제2합성수지를 제1합성수지 성형 제품의 외부 표면으로 유도하여 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피복금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피복금형들은 대부분 성형금형을 통과하여 제품 형태를 갖춘 제1합성수지의 외부 표면으로 제2합성수지를 제대로 유도하지 못하게 되어 각 부위의 제2합성수지 피복두께가 균일하게 되지 못하게 된다든지 무늬모양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게 되는 등 성형품질이 나쁘게 되고 불량률이 높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제2금형(420)의 전면과 제3금형(430)의 후면의 통과구멍(421)(431) 둘레에 주입구(422)(432)로부터 분기되는 상부 분기유로(423u)(433u)와 하부 분기유로(423d)(433d)를 형성하고, 제2금형(420)의 분기부위와 분기유로(423u)(423d)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유도구멍(424)을 형성하며, 제2금형(420) 후면의 통과구멍(421) 둘레에 각 유도구멍(424)과 연결되는 주입통로(425)(42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주입구(422)(432)로 공급되는 제2합성수지를 각 분기유로(423u)(433u)(423d)(433d)를 통해 각 유도구멍(424)으로 유도하여 제2금형(420) 후면의 통과구멍(421)의 사방 둘레에서 동시에 주입할 수 있게 되므로 제1합성수지 압출 성형 제품의 외부면에 보다 고르게 제2합성수지를 피복할 수 있게 되는 등 성형품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불량률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게 되며, 제2주입통로(426) 내에 사이에 후면에서 전면으로 요입되지 않는 흐름왜곡편(427)을 일정 간격으로 마련하게 되면 더욱 뚜렷하고 자연스러운 무늬모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a second plastic coating pattern for a dual extruding apparatus}
본 고안은 주압출경로를 통해 일정 형상으로 압출되는 제1합성수지 성형층의 외부 표면에 보조압출경로를 통해 공급되는 제2합성수지를 피복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압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제2합성수지를 제1합성수지 성형 제품의 외부 표면으로 유도하여 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피복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의 관체나 막대부재, 판상부재 등은 압출성형(extruding)으로 제작하는 것이 보통이다.
본 고안이 관계하는 이중압출성형장치는 도 1과 같이 주압출기(10)에서 공급되는 제1합성수지를 통해 제품의 형태를 성형하는 성형금형(11)의 토출측에, 보조압출기(20)에서 공급되는 제2합성수지를 제품의 외부 표면에 피복할 수 있도록 하는 피복금형(21)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이중압출성형장치에 의하면 제1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성형 제품의 외부 표면에 제2합성수지 피복층을 형성하여 다양한 색상이나 무늬모양을 표현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제2합성수지에 목분 및 안료 등을 첨가하게 되면 제1합성수지를 통해 성형되는 제품의 표면에 나무무늬모양의 피복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은 실용신안등록 제234331호, 실용신안등록 제258620호, 실용신안등록 제258621호, 공개특허공보 제2003-27759호, 실용신안등록 제279255호 등에 잘 나타나 있는 바, 이들에 나타난 것을 포함한 종래의 피복금형들은 대부분 성형금형을 통과하여 제품 형태를 갖춘 제1합성수지의 외부 표면으로 제2합성수지를 제대로 유도하지 못하게 되어 각 부위의 제2합성수지 피복두께가 균일하게 되지 못하게 된다든지 무늬모양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게 되는 등 성형품질이 나쁘게 되고 불량률이 높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전술한 종래의 피복금형 중에서 실용신안등록 제234331호의 피복금형(100)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샤시와 동일 형상의 압출공(111)이 몸체(11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몸체(110)의 일측면에는 원료가 주입되는 주입구(112)가 형성되며, 이 주입구(112)는 소폭을 갖는 제1공간부(113)의 일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제1공간부(113)의 타측면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수의 분배공(114)이 연통되게 형성되며, 각각의 분배공(114)은 소폭을 갖는 제2공간부(115)의 일측면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제2공간부(115)의 타측면에는 각각의 분배공(114)과 어긋나도록 다수의 배출공(116)이 형성되되, 각각의 배출공(116)은 분배공(114)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이 배출공(116)은 압출공(111)의 일측면에 형성된 슬롯(117)과 연통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입니다.
상기 종래의 피복금형(100)은 주입구(112)로 주입되는 제2합성수지가 제1공간부(113)에 의해 좌우로 퍼지고, 다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분배공(114)을 지나쳐 분배된 후 제2공간부(115)에서 다시 합쳐져 좌우로 퍼지는 단계를 거쳐 다시 분배공(114)과 같은 형태의 다수개의 배출공(116)을 통과하여 마지막으로 슬롯(117)을 경유하게 되는 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이 극히 번거롭게 될 뿐 아니라 각 분배공(114) 사이 및 각 배출공(116) 사이에는 제2합성수지가 공급되지 않게 되는 등 전체적으로 제2합성수지가 압출공(111)을 지나는 성형 제품의 외부 둘레에 고르게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피복상태가 나쁘게 되고 불량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실용신안등록 제258620호, 실용신안등록 제258621호, 공개특허공보 제2003-27759호에 나타난 피복금형(200)은 도 3과 같이 중앙에 형성되는 압출제품 통과구멍(211)의 둘레에 제2합성수지 주입구(212)와 연결되는 순환공급유로(213)가 형성되고, 이 순환공급유로(213)의 상부와 하부에 제1합성수지 이동유로(211)와 연결되는 다수의 연결유로(214)가 마련된 형태를 갖는 것인 바, 이 종래의 피복금형(200)은 제2합성수지 주입구(212)를 통해 제2합성수지가 공급되면 순환공급유로(213) 및 연결유로(214)를 통해 압출제품 통과구멍(211)을 통과하는 제1합성수지의 외부 표면으로 흘러 들어가게 되므로 제1합성수지의 외부 표면에 제2합성수지를 피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지만 제2합성수지 주입구(212)를 통해 주입되는 제2합성수지가 순환공급유로(213) 내에서 원활하게 순환하지 못하고 주입구(213) 반대편 쪽에서 정체되어 타버리게 되어 성형품질이 나쁘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와 같은 현상은 제1합성수지의 표면에 나무무늬모양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2합성수지에 목분 및 안료 등을 첨가한 경우에 더욱 심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용신안등록 제279255호의 피복금형(300)은 도 4와 같이 중앙에 압출제품 통과구멍(311)이 마련되고, 내부 일측에 제2합성수지 주입구(312)와 연결되는 제1분기부(313)가 마련되며, 제1분기부(313)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공급유로(314) 및 하부공급유로(315)가 마련되고, 압출제품 통과구멍(311) 상부 중앙과 하부 중앙에 위치하는 상부공급유로(314) 선단부와 하부공급유로(315) 선단부에 제2분기부(316)가 마련되며, 각 제2분기부(316)의 좌측과 우측에 좌측공급유로(317)와 우측공급유로(318)가 마련된 것인 바, 이 종래의 피복금형(300)은 주입구(312)를 통해 주입되는 제2합성수지를 제1분기부(313)를 통해 상부와 하부로 유도한 후 제2분기부(316)를 통해 성형 제품의 좌측과 우측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지만 주입구(312)에 주입되는 제2합성수지가 다수의 분기부(313)(316)에서 급격한 각도로 분기되면서 주입 압력이 크게 저하될 뿐 아니라 제2합성수지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제2분기부(316)를 통해 성형 제품 좌측과 우측으로 필요한 양만큼의 제2합성수지가 정확하게 분기되지 않게 되어 성형 제품의 각 피복 부위에 고르게 제2합성수지를 피복하기 어렵게 되며, 성형 제품의 표면에 미려한 무늬모양을 형성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이중압출성형장치 피복금형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이 제1합성수지를 통해 성형된 제품의 외부 표면 각 부위에 제2합성수지를 보다 원활하게 공급하는 것에 의해 압출 성형 제품의 외부 표면에 균일한 두께의 제2합성수지 피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을 제공하는 데에 있으며, 아울러 그 다른 목적이 압출 성형 제품의 외부 표면에 더욱 뚜렷하고 미려한 무늬모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2금형의 전면과 제3금형의 후면의 통과구멍 둘레에 주입구로부터 분기되는 상부 분기유로와 하부 분기유로를 형성하고, 제2금형의 분기부위와 분기유로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유도구멍을 형성하며, 제2금형 후면의 통과구멍 둘레에 각 유도구멍과 연결되는 주입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5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제1금형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및 도 7에는 동 실시예의 제2금형의 정면도와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동 실시예의 제3금형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중압출성형장치의 보조압출기에 접속되어 압출 제품(P)의 제1합성수지 성형층(f) 외부 표면에 제2합성수지 피복층(s)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의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400)은;
중앙에 제1합성수지 압출 성형 제품이 통과하는 통과구멍(411)이 형성된 제1금형(410)과;
상기 제1금형(410)과 마찬가지로 중앙에 제1합성수지 압출 성형 제품이 통과하는 통과구멍(421)이 형성되고, 전면 일측 중앙에 반원홈형 주입구(422)가 형성되며, 전면의 상기 통과구멍(421)의 상부 둘레와 하부 둘레에 주입구(422)의 전방에서 상부로 분기되는 반원홈형 상부 분기유로(423u)와 주입구(422)의 전방에서 하부로 분기되는 반원홈형 하부 분기유로(423d)가 형성되고, 주입구(422)의 분기부위 또는 각 분기유로(423u)(423d)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유도구멍(424)이 형성되며, 후면의 통과구멍(421) 둘레에 각 유도구멍(424)과 연결되는 주입통로(425)(426)가 전면쪽으로 요입 형성되고, 후면이 상기 제1금형(410)의 전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2금형(420);
상기 제1금형(410) 및 제2금형(420)과 마찬가지로 중앙에 제1합성수지 압출 성형 제품이 통과하는 통과구멍(431)이 형성되고, 후면 일측 중앙에 상기 제2금형(420)의 주입구(422)와 대응되는 반원홈형 주입구(432)가 형성되며, 후면의 상기 통과구멍(431)의 상부 둘레와 하부 둘레에 주입구(432)에서 상부, 하부로 분기되는 동시에 상기 제2금형(420)의 상부 분기유로(423u)와 하부 분기유로(423d)와 대응되는 상부 분기유로(433u)와 하부 분기유로(433d)가 형성되고, 후면이 상기 제2금형(420)의 전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3금형(43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제2금형(420) 전면의 상부 분기유로(423u)가 통과구멍(421) 일측의 주입구(422)의 전방에서 상부로 분기되어 통과구멍(421) 타측에 이르는 형태로 형성되는 동시에 하부 분기유로(423d)가 주입구(422)의 전방에서 하부로 분기되어 통과구멍(421)의 하부 중앙에 이르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2금형(420) 후면의 통과구멍(421) 일측인 주입구(422)의 분기부위 및 통과구멍(421) 상부인 상부 분기유로(423u)의 중앙부위, 통과구멍(421)의 타측인 상부 분기유로(423u)의 끝단부위, 그리고 통과구멍(421)의 하부인 하부 분기유로(423d)의 끝단부위에 모두 4개의 유도구멍(424)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 바, 본 고안에 있어서 제2금형(420) 및 제3금형(430)에 형성되는 분기유로(423u)(423d)의 형태 및 제2금형(420)에 형성되는 유도구멍(424)의 개수는 압출 성형 제품의 형태에 따라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는 도 7과 같이 제2금형(420) 후면의 각 유도구멍(424) 주변에 요입 깊이가 깊은 제1주입통로(425)가 형성되고, 제1주입통로(425)와 통과구멍(421) 사이에 요입 깊이가 낮은 제2주입통로(426)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 바, 본 고안에 있어서 각 주입통로(425)(426)의 형태 역시 도시된 것에만 국한되지 않고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금형(420)의 주입통로(425)(426)와 연결되는 각 유도구멍(424)의 후단부에 통과구멍(421) 쪽으로 경사진 경사부(424a)를 마련하게 되면 각 유도구멍(424)을 통해 유도되는 제2합성수지를 주입통로(425)(426)로 보다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2금형 제2주입통로(426) 내에 후면으로부터 전면쪽으로 요입되지 않는 작은 크기의 흐름왜곡편(427)을 일정 간격으로 마련하게 되면 각 제2주입통로(426)를 거쳐 성형 제품으로 주입되는 제2합성수지가 흐름왜곡편(427)이 마련된 부위에서는 흐름왜곡편(427)을 휘돌아 성형 제품에 주입되기 때문에 해당 부위의 주입시간이 지연되는 등 주입조건이 달라지게 되어 제2합성수지 피복층(s)에 더욱 아름답고 선명한 무늬모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피복금형(400)은 도 11과 같이 제1금형(410)의 전면에 제2금형(420)의 후면이 밀착 설치되고, 제2금형(420)의 전면에 제3금형(430)의 전면이 밀착 설치되며, 주압출기(10)에서 공급되는 제1합성수지를 통해 제품의 형태를 성형하는 성형금형의 토출측에 제1금형(410)의 후면이 밀착 설치되는 동시에 제2금형(420)과 제3금형(430)에 마련된 주입구(422)(432)에 보조압출기의 제2합성수지 토출측이 접속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2,3금형(420)(430)의 주입구(422)(432)로 공급되는 제2합성수지는 제2,3금형(420)(430)의 각 분기유로(423u)(433u)(423d)(433d)를 통해 제2금형(420)의 각 유도구멍(424)으로 진입하게 되어 제2금형(420)의 후면의 통과구멍(421) 사방에서 동시에 토출되고, 각 주입통로(425)(425)를 통해 제2금형 통과구멍(421)을 통과하는 압출 제품의 외부 표면에 주입되며, 이렇듯 제1합성수지 압출 제품을 본 고안의 피복금형(400)에 통과시키게 되면 제1합성수지 성형층(f)의 외부 표면에 제2합성수지 피복층(s)이 형성된 압출 제품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본원고안에 있어서는 제2금형(420)의 후면의 통과구멍(421) 사방에서 제2합성수지가 동시에 토출되어 주입되므로 제1합성수지 압출 제품의 각 부위에 동일한 주입조건으로 제2합성수지를 주입할 수 있게 되어 피복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등 피복상태를 좋게 할 수 있게 되고, 불량률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며, 성형품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제2합성수지에 목분과 안료를 첨가하여 제2합성수지 피복층(s)에 나무무늬모양을 표현하고자 할 때는 제2금형 제2주입통로(426) 내에 후면으로부터 전면쪽으로 요입되지 않는 작은 크기의 흐름왜곡편(427)을 일정 간격으로 마련하게 되면 각 제2주입통로(426)를 거쳐 성형 제품으로 주입되는 제2합성수지가 흐름왜곡편(427)이 마련된 부위에서는 흐름왜곡편(427)을 휘돌아 성형 제품에 주입되기 때문에 해당 부위의 주입시간이 지연되는 등 주입조건이 달라지게 되어 제2합성수지 피복층(s)에 더욱 아름답고 선명한 나무무늬모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제2금형(420)의 전면과 제3금형(430)의 후면의 통과구멍(421)(431) 둘레에 주입구(422)(432)로부터 분기되는 상부 분기유로(423u)(433u)와 하부 분기유로(423d)(433d)를 형성하고, 제2금형(420)의 분기부위와 분기유로(423u)(423d)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의 유도구멍(424)을 형성하며, 제2금형(420) 후면의 통과구멍(421) 둘레에 각 유도구멍(424)과 연결되는 주입통로(425)(426)를 형성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주입구(422)(432)로 공급되는 제2합성수지를 각 분기유로(423u)(433u)(423d)(433d)를 통해 각 유도구멍(424)으로 유도하여 제2금형(420) 후면의 통과구멍(421)의 사방 둘레에서 동시에 주입할 수 있게 되므로 제1합성수지 압출 성형 제품의 외부면에 보다 고르게 제2합성수지를 피복할 수 있게 되는 등 성형품질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불량률을 현저하게 저감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제2합성수지에 목분과 안료를 첨가하여 나무무늬모양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제2주입통로(426) 내에 사이에 후면에서 전면으로 요입되지 않는 흐름왜곡편(427)을 일정 간격으로 마련하게 되면 더욱 뚜렷하고 자연스러운 나무무늬모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이 관계하는 이중압출성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의 한 피복금형의 요부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피복금형의 요부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또 다른 피복금형의 요부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제1금형의 정면도,
도 6은 동 실시예의 제2금형의 정면도,
도 7은 동 실시예의 제2금형의 배면도,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동 실시예의 제3금형의 배면도,
도 11은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12는 동 실시예를 통해 성형된 압출 제품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400 : 피복금형 410 : 제1금형
411 : 통과구멍 420 : 제2금형
421 : 통과구멍 422 : 주입구
423u, 423d : 분기유로 424 : 유도구멍
424a : 경사부 425, 426 : 주입통로
427 : 흐름왜곡편 430 : 제3금형
431 : 통과구멍 432 : 주입구
433u, 433d : 분기유로

Claims (4)

  1. 중앙에 제1합성수지 압출 성형 제품이 통과하는 통과구멍(411)이 형성된 제1금형(410)과;
    상기 제1금형(410)과 마찬가지로 중앙에 제1합성수지 압출 성형 제품이 통과하는 통과구멍(421)이 형성되고, 전면 일측 중앙에 반원홈형 주입구(422)가 형성되며, 전면의 상기 통과구멍(421)의 상부 둘레와 하부 둘레에 주입구(422)의 전방에서 상부로 분기되는 반원홈형 상부 분기유로(423u)와 주입구(422)의 전방에서 하부로 분기되는 반원홈형 하부 분기유로(423d)가 형성되고, 주입구(422)의 분기부위 또는 각 분기유로(423u)(423d)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유도구멍(424)이 형성되며, 후면의 통과구멍(421) 둘레에 각 유도구멍(424)과 연결되는 주입통로(425)(426)가 전면쪽으로 요입 형성되고, 후면이 상기 제1금형(410)의 전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2금형(420);
    상기 제1금형(410) 및 제2금형(420)과 마찬가지로 중앙에 제1합성수지 압출 성형 제품이 통과하는 통과구멍(431)이 형성되고, 후면 일측 중앙에 상기 제2금형(420)의 주입구(422)와 대응되는 반원홈형 주입구(432)가 형성되며, 후면의 상기 통과구멍(431)의 상부 둘레와 하부 둘레에 주입구(432)에서 상부, 하부로 분기되는 동시에 상기 제2금형(420)의 상부 분기유로(423u)와 하부 분기유로(423d)와 대응되는 상부 분기유로(433u)와 하부 분기유로(433d)가 형성되고, 후면이 상기 제2금형(420)의 전면에 밀착 설치되는 제3금형(4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2. 제1항에 있어서, 제2금형(420) 후면의 각 유도구멍(424) 주변에 요입 깊이가 깊은 제1주입통로(425)가 형성되고, 제1주입통로(425)와 통과구멍(421) 사이에 요입 깊이가 낮은 제2주입통로(4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3. 제1항에 있어서, 주입통로(425)(426)와 연결되는 제2금형(420)의 각 유도구멍(424)의 후단부에 통과구멍(421) 쪽으로 경사진 경사부(424a)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금형 제2주입통로(426) 내에 후면으로부터 전면쪽으로 요입되지 않는 작은 크기의 흐름왜곡편(427)을 일정 간격으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KR20-2005-0027603U 2005-09-26 2005-09-26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KR200402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603U KR200402683Y1 (ko) 2005-09-26 2005-09-26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603U KR200402683Y1 (ko) 2005-09-26 2005-09-26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626A Division KR20070034210A (ko) 2005-09-23 2005-09-23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683Y1 true KR200402683Y1 (ko) 2005-12-02

Family

ID=4370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603U KR200402683Y1 (ko) 2005-09-26 2005-09-26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6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34B1 (ko) 2008-07-22 2010-07-21 김기영 이중 피복 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1234B1 (ko) 2008-07-22 2010-07-21 김기영 이중 피복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45898A1 (en) Method for making multicolored plastic mixed material of colored drawing
KR100979913B1 (ko) 다중 공압출 금형
US5320679A (en) Coating hopper with criss-cross flow circuit
KR200406449Y1 (ko)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KR200402683Y1 (ko)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KR100918797B1 (ko) 합성목재 제조방법
KR20070034210A (ko)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KR100523128B1 (ko) 표면에 나무질감의 무늬가 형성되는 프로파일을 제조하기위한 장치
KR20070034209A (ko)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피복금형
KR200279255Y1 (ko)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공급유로구조
KR20030073923A (ko) 이중압출성형장치의 제2합성수지 공급유로구조
JP3155735B2 (ja) マーブル調射出成形品の成形装置
JP4622116B2 (ja) 型内被覆成形方法及び型内被覆成形品
DE4408707A1 (de) Formkern zur Formkörperherstellung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3589606B2 (ja) 表皮木目模様の形成方法及びそのダイス構造
KR20090115415A (ko) 다 색상 자유무늬를 갖는 2개의 합성수지 제품 동시 사출방법
CN205631262U (zh) 微小型塑胶件进胶成型结构及***
JPH07195480A (ja) 表面に鮮明な模様を有する表面加飾押出成形品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装置およびその成形品
KR200258361Y1 (ko) 나무질감의 무늬가 있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압출성형용 다이
JP2002154137A (ja) 射出成形機
CN115990979B (zh) 一种等行程双层流道分流板及其制作方法
JP2000015657A (ja) 射出成形機
KR930007564Y1 (ko) 압출성형기의 다색상 성형물 토출구
CN109648800B (zh) 一种潜伏式流道插头模具
KR100971234B1 (ko) 이중 피복 금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