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088Y1 - 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088Y1
KR200402088Y1 KR20-2005-0025848U KR20050025848U KR200402088Y1 KR 200402088 Y1 KR200402088 Y1 KR 200402088Y1 KR 20050025848 U KR20050025848 U KR 20050025848U KR 200402088 Y1 KR200402088 Y1 KR 200402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crossbar
slot
coupled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84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20-2005-0025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08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088Y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로스바와 루프랙 간의 고정이 항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립이 편리하며, 크로스바와 루프랙 간의 고정을 해제하는 과정이 차량의 양측 중 어느 곳에서도 한 명의 운전자(혹은, 작업자)에 의해 간단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f carrier for a vehicle, and in particular, the fixing between the crossbar and the roof rack can always be made stabl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assemble, and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fixing between the crossbar and the roof rack can be performed on either side of the vehicle. The intention is to provide a new structure of crossbar fastening that allows a simple operation by one operator (or operator).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일단은 상기 크로스바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각 루프랙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상기 각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1조작레버 및 제2조작레버; 상기 각 하우징 내에 각각 탄력 장착되면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루프랙에 걸리는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 그리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한 조작레버가 회동될 경우 그에 인접한 어느 한 록킹핀 및 반대편 편에 위치된 다른 한 록킹핀이 동시에 록킹 해제 되거나 혹은, 록킹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crossbar fixing device of the vehicular roof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i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rossbar, the other end is coupled to each roof rack to be slidably movable first and second housings; First and second operating levers rotatably coupled to the respective housings in a vertical direction to allow a user's operation; First locking pins and second locking pins that are elastically mounted in the respective housings and are caught by the roof rack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In addition, when the at least one operating lever is rotated, any one locking pin adjacent to the other locking pi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and the other interlocking part for synchronously unlocking or locking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Description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를 보다 간단한 조작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크로스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ular roof carr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ossbar fixing device having a new structure that can more stably fix the crossbar of the roof carrier by simpler operation.

일반적으로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지붕에 결합되어, 각종 화물 혹은, 스키 등과 같이 차체의 폭에 비해 비교적 부피가 크거나 혹은, 차체의 전장에 비해 비교적 길이가 긴 짐들을 적재하는 장비이다.In general, the roof carrier is coupl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and is a device that loads loads that are relatively bulky relative to the width of the vehicle body or various lengths of the vehicle body, such as various cargoes or skis.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루프 캐리어가 도시되고 있다.1 is shown a conventional general loop carrier.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지붕 양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설치되는 루프랙(10)과, 상기 루프랙(10)에 결합되는 크로스바(20) 및 상기 크로스바(20)를 상기 루프랙(10)에 고정하는 고정부(30)로 구성된다.As shown, the conventional roof carrier is a roof rack 1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of of the vehic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ross bar 20 and the cross bar 20 coupled to the roof rack 10, the roof rack It consists of the fixing | fixed part 30 fixed to 10.

여기서, 상기 크로스바(20)는 상기 각 루프랙(1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크로스바(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다.Here, the crossbar 20 is installed to cross each roof rack 10, the fixing portion 3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rossbar 20, respectively.

이때, 상기 고정부(30)의 저면은 상기 각 루프랙(10)의 면상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bottom of the fixing part 30 is coupled to the sliding movement on the surface of each roof rack (10).

이와 함께,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루프랙(10)의 특정 위치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30 is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of the roof rack 10.

이렇듯, 전술한 종래의 루프 캐리어는 크로스바(20)의 양단에 결합된 각 고정부(30)가 서로 별개의 동작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20)를 루프랙(10)에 구속시키거나 혹은, 구속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loop carrier, each fixing part 30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rossbar 20 restrains or releases the crossbar 20 to the roof rack 10 by a separate operation. It is configured to.

이에 따라, 루프 캐리어에 적재되는 화물(짐)의 크기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20)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두 명의 작업자가 상기 크로스바(2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된 각 고정부(30)를 동시에 조작하여야만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Accordingly, in ord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crossbar 2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ad (baggage) loaded on the roof carrier, two operators must be fixed to each of the fixing portion 30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rossbar (20) The problem is that they must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물론, 한 명의 작업자가 각 고정부(30)를 순차적으로 조작하여 상기 크로스바(20)의 구속을 해제시킬 수도 있지만, 이의 경우라도 작업상의 불편함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을 가진다.Of course, one operator may release the restraint of the crossbar 20 by sequentially operating each fixing part 30, but even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d inconvenience in the work.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35591호에서는 상기 고정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전술한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시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5-0035591 proposes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so that the above-mentioned problem can be solved.

상기한 종래 기술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차량의 한 측편에서 캠(25)을 회전시킴에 따라 한 쌍의 압축로드(21)가 동시에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마찰패드(22)를 루프랙(10)에 밀착시켜 상기 마찰패드(22)와 상기 루프랙(10) 상호간의 마찰력으로 상기 크로스바(20)가 고정되도록 함을 제시하고 있다.In the related art, as the cam 25 is rotat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2, the pair of compression rods 21 simultaneously move inward to move the friction pad 22 to the roof rack 10. In close contact with the friction pad 22 and the roof rack 10, the crossbar 20 is fixed by the friction force.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 역시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also has many problems as follows.

첫째, 화물의 하중을 견디는 구성이 단순히 마찰패드(22)와 루프랙(10)의 마찰력으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정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을 가진다.Fir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xing force is weak because the configuration that withstands the load of the cargo is made only of the friction of the friction pad 22 and the roof rack 10.

즉, 상기 마찰력에 비해 차량의 주행시 화물에 작용되는 관성력이 더욱 클 경우(예컨대, 차량의 급정거 혹은, 급출발 등) 화물이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That is, when the inertia force acting on the cargo while driving the vehicle is greater than the frictional force (for example, sudden stop of the vehicle or sudden departure, etc.), the cargo may be separated.

이로 인해, 안전 운전에 큰 위험이 되고 있다.For this reason, it poses a great risk for safe driving.

둘째, 고정부를 구성하는 탄성부재(23)는 고정부의 고정이 해제될 경우 압축로드(21)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24)가 끊어지는 등과 같은 불의의 사고시 고정이 강제로 해제되어 화물이 분리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진다.Second, since the elastic member 23 constituting the fixing part is configured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compression rod 21 when the fixing part is released, the fixing is forced in case of an accident such as breaking of the wire 24. It has a problem that the cargo can be separated by being released.

셋째, 고정부를 구성하는 압축로드(21)의 이동 거리는 상기 마찰패드(22)를 상기 루프랙(10)에 안정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되, 과도한 가압은 이루어지지 않도록 정확히 조절되어야만 함으로써 높은 가공 정밀도를 필요로 하고, 그 조립시의 주의가 필요시 되어 제조 단가의 상승이 야기된 문제점을 가진다.Third, the moving distance of the compression rod 21 constituting the fixing portion can stably adhere the friction pad 22 to the roof rack 10, but must be precisely adjusted so as not to be excessively pressurized, thus requiring high processing precision. In this case, attention is required at the time of assembling, causing a problem of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넷째, 고정부의 조작을 위한 캠(25)이 크로스바(20)의 어느 한 측에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를 조작하고자 할 경우에는 반드시 동일한 위치에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진다.Fourth, since the cam 25 for manipulating the fixing part is provided only on one side of the crossbar 20, the operation of the fixing part must be performed at the same position.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크로스바와 루프랙 간의 고정이 항상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xing device for a vehicle roof carrier of a new structure to ensure that the fixing between the crossbar and the roof rack is always stable.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립이 편리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roof carrier fixing device of a new structure is simple and easy to assemble.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크로스바와 루프랙 간의 고정을 해제하는 과정이 차량의 양측 중 어느 곳에서도 한 명의 운전자(혹은, 작업자)에 의해 간단히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 고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roof carrier fixing device of a new structure in which the process of releasing the fixing between the crossbar and the roof rack can be simply performed by one driver (or operator) on either side of the vehicle. It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일단은 상기 크로스바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각 루프랙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 상기 각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1조작레버 및 제2조작레버; 상기 각 하우징 내에 각각 탄력 장착되면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루프랙에 걸리는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 그리고, 상기 적어도 어느 한 조작레버가 회동될 경우 그에 인접한 어느 한 록킹핀 및 반대편 편에 위치된 다른 한 록킹핀이 동시에 록킹 해제 되거나 혹은, 록킹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Crossba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roof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one end i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rossbar, the other end is coupled to each roof rack to be slidably movable first and second housings; First and second operating levers rotatably coupled to the respective housings in a vertical direction to allow a user's operation; First locking pins and second locking pins that are elastically mounted in the respective housings and are caught by the roof rack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In addition, when the at least one operating lever is rotated, any one locking pin adjacent to the other locking pi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and the other interlocking part for synchronously unlocking or locking at the same tim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

이하, 본 고안의 차량용 루프 캐리어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vehicular roof carri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먼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는 크게 좌측 루프백(110) 및 우측 루프랙(120)과, 크로스바(200) 및 고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left roofback 110 and a right roof rack 120, a crossbar 200 and a fixing device.

여기서, 상기 각 루프랙(110,120)은 차량의 천장 양측에 그 길이 방향(차량의 전장 방향)을 따라 각각 길게 설치된다.Here, each roof rack (110, 120) is install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ull length direction of the vehicle) on both sides of the ceiling of the vehicle.

이때, 상기 각 루프랙(110,120)의 내측면에는 다수의 걸림공(111,121)이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각각 형성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engaging holes (111, 121)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each roof rack (110, 120)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respectively.

또한, 상기 각 루프랙(110,12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고정장치의 끝단을 감싸면서 그 이동을 지지하는 가이드레일(112,122)이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guide rails 112 and 122 are formed on inner surfaces of the roof racks 110 and 120 to support the movement of the roof racks 110 and 120.

그리고, 상기 크로스바(200)는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두 루프랙(110,120)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crossbar 200 is formed in a hollow pipe shape, and is installed to cross the two roof racks 110 and 120.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크로스바(200)를 상기 각 루프랙(110,12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fixing device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fix the crossbars 200 to the roof racks 110 and 120.

상기한 고정장치는 크게 한 쌍의 하우징(510,520)과, 한 쌍의 조작레버(310,320)와, 한 쌍의 록킹핀(330,340) 및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ixing device includes a pair of housings 510 and 520, a pair of operating levers 310 and 320, a pair of locking pins 330 and 340, and an interlocking por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

우선, 상기 한 쌍의 하우징(510,520)은 일단이 상기 크로스바(200)의 좌측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좌측 루프랙(11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하우징(510)과, 일단이 상기 크로스바(200)의 우측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우측 루프랙(1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하우징(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the pair of housings 510 and 520 have one end coupled to a left end of the crossbar 200,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using 510 coupled to the left roof rack 110 so as to be slidably movable. The second end 520 is coupled to the right end of the crossbar 200 and the other end is slidably coupled to the right roof rack 120.

이때, 상기 각 하우징(510,520)의 양 끝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2,122)의 안내를 받으면서 이동되도록 다단으로 단턱지게 형성된 가이드돌기(511,521)가 일체로 형성된다.At this time, both ends of each of the housings 510 and 520 are integrally formed with guide protrusions 511 and 521 formed in multiple stages to be moved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rails 112 and 122.

또한, 상기 한 쌍의 조작레버(310,320)는 상기 각 하우징(510,520)에 그 상하 방향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1조작레버(310)와 제2조작레버(320)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operation levers 310 and 32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respective housings 510 and 520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respectively, to the first operation lever 310 and the second operation lever 320 in which a user's operation is performed. It is composed.

이때, 상기 각 조작레버(310,320)는 상기 각 하우징(510,520)의 끝단 상면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each of the operation lever (310, 320)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surface of each of the housing (510,520).

또한, 상기 한 쌍의 록킹핀(330,340)은 상기 제1조작레버(310)의 하부에 설치된 제1록킹핀(330)과 상기 제2조작레버(320)의 하부에 설치된 제2록킹핀(340)으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pair of locking pins 330 and 340 may include a first locking pin 330 installed below the first manipulation lever 310 and a second locking pin 340 installed below the second manipulation lever 320. It is composed of

이때, 상기 각 록킹핀(330,340)의 후방측에는 탄력부재(331,34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각 탄력부재(331,341)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각 록킹핀(330,340)이 상기 각 루프랙(110,120)의 각 걸림공(111,121)에 걸리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elastic members 331 and 341 are provided at the rear sides of the locking pins 330 and 340, respectively. Each of the resilient members 331, 341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ompression spring that provides a restoring force so that the locking pins (330, 340) is caught in each of the engaging holes (111, 121) of the roof rack (110, 120)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또한, 상기 연동부는 적어도 어느 한 조작레버(310,320)가 이동될 경우 그에 인접한 어느 한 록킹핀(330,340) 및 반대측 편에 위치된 다른 한 록킹핀(330,340)이 동시에 록킹 해제 되거나 혹은, 록킹되도록 연동시키는 구성된다.In addition, when the at least one manipulation lever 310 or 320 is moved, the interlocking part interlocks one of the locking pins 330 and 340 adjacent thereto and the other locking pins 330 and 340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to be simultaneously unlocked or locked. It is composed.

이때, 상기 연동부는 한 쌍의 풀리(350,360)와, 한 쌍의 와이어(370,380)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linkage unit includes a pair of pulleys 350 and 360 and a pair of wires 370 and 380.

상기 한 쌍의 풀리(350,360)는 상기 각 하우징(510,520)의 내부 중 상기 제1록킹핀(330)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록킹핀(33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풀리(350)와 상기 제2록킹핀(340)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록킹핀(34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풀리(360)로 구성된다.The pair of pulleys 350 and 360 are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locking pin 330 among the housings 510 and 520 so that the pair of pulleys 350 and 360 can flow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first locking pin 330. A second pulley 360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first pulley 350 and the second locking pin 340 to b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locking pin 340. It is composed.

또한, 상기 한 쌍의 와이어(370,380)는 양단이 상기 제1조작레버(310) 및 제1풀리(350)를 경유하여 상기 제1록킹핀(330)의 끝단 및 제2풀리(360)의 축(361)에 각각 연결된 제1와이어(370)와, 양단이 상기 제2조작레버(320) 및 제2풀리(360)를 경유하여 상기 제2록킹핀(340)의 끝단 및 제1풀리(350)의 축(351)에 각각 연결된 제2와이어(380)로 구성된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pair of wires 370 and 380 are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locking pins 330 and the shaft of the second pulley 360 via the first operating lever 310 and the first pulley 350. First wires 370 connected to the 361 and both ends of the second locking pin 340 and the first pulley 350 via the second operating lever 320 and the second pulley 360, respectively. And second wires 380 connected to the shafts 351 of FIG.

이때, 상기 각 조작레버(310,320)의 저면에는 연결고리(311,321)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와이어(370,380)는 상기 각 풀리(350,360)의 둘레면을 감싸도록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각 조작레버(310,320)의 연결고리(311,32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In this case, connecting rings 311 and 321 are integrally formed on bottom surfaces of the operation levers 310 and 320, and the wires 370 and 380 are connect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pulleys 350 and 360, respectively.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ing (311, 321) of (310,320).

한편, 상기 연동부에는 좌우방향으로 슬롯(251,261)이 형성된 제1풀리 지지구(250) 및 제2풀리 지지구(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linkage part further includes a first pulley support 250 and a second pulley support 260 having slots 251 and 261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각 풀리 지지구(250,260)는 상기 각 풀리(350,360)가 상기 크로스바(200) 내부에 안정적으로 유동되면서 회동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ulley supports 250 and 260 serve to fix the pulleys 350 and 360 so as to rotate while being stably flown in the crossbar 200.

이때, 상기 제1풀리 지지구(250)의 슬롯(251)에는 상기 제1풀리(350)의 축(351)이 상기 슬롯(25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풀리 지지구(260)의 슬롯(261)에는 상기 제2풀리(360)의 축(361)이 상기 슬롯(26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In this case, the shaft 351 of the first pulley 350 is coupled to the slot 251 of the first pulley support 250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slot 251, and the second pulley support ( A shaft 361 of the second pulley 360 is movably coupled to the slot 261 of 260 along the slot 261.

이하, 전술한 일련의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peration process of the vehicular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eries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우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화물을 루프 캐리어에 싣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화물의 크기에 따라 크로스바(20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First, when the cargo is to be loaded on the loop carrie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crossbar 2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rgo.

이때, 최초의 상태는 첨부된 도 3과 같다.At this time, the initial state is as shown in FIG.

즉, 한 쌍의 록킹핀(330,340)은 각 루프랙(110,120)의 어느 한 걸림공(111,121)을 관통하여 걸린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 인해 각 하우징(510,520)에 그 양단이 결합된 크로스바(200)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지 못하고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That is, the pair of locking pins 330 and 340 are held in a state of penetration through any one of the engaging holes 111 and 121 of the roof racks 110 and 120, and thus, the crossbars 200 having both ends coupled to each housing 510 and 520. Does not flow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is fix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이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어느 하나의 조작레버(310,320)가 조작되면 한 쌍의 록킹핀(330,340)이 그 후방측(크로스바의 내측)을 향해 이동되면서 록킹 해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In this state, when any one of the operating levers 310 and 320 is operated by the user's need, the pair of locking pins 330 and 340 are moved toward the rear side (inside of the cross bar) to achieve a unlocked state.

예컨대, 제1조작레버(310)가 첨부된 도 4와 같이 그 회동 중심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상향 회동될 경우 상기 제1조작레버(310)를 경유하도록 연결된 제1와이어(370)는 상기 제1조작레버(310)와 연결된 부위를 기준으로 그 양단이 당겨지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operating lever 310 is rotated upwar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rotation as shown in FIG. 4, the first wire 370 connected to pass through the first operating lever 310 is connected to the first operation lever 310. Both ends thereof are pulled on the basis of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manipulation lever 310.

이로 인해, 상기 제1와이어(370)의 일단에 연결된 제1록킹핀(330)은 후방측(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루프랙(110)의 걸림공(111)으로부터 이탈된다.Thus, the first locking pin 33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wire 370 is moved away from the locking hole 111 of the first roof rack 110 while being moved to the rea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또한, 상기 제1와이어(370)의 타단에 연결된 제2풀리(360)는 그 축(361)이 제2풀리 지지구(260)의 슬롯(261)을 따라 후방측(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풀리(360)의 둘레에 감긴 제2와이어(380)는 상기 제2풀리(360)를 기준으로 그 양단이 당겨지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pulley 360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wire 370 has its axis 361 moved to the rear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along the slot 261 of the second pulley support 260. do.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second wire 380 wound around the second pulley 360 are pulled based on the second pulley 360.

하지만, 상기 제2와이어(380)의 일단이 연결된 제1풀리(350)는 상기 제1와이어(370)에 의해 제1풀리 지지구(250)의 전방측(도면상 좌측)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국, 제2록킹핀(340)와 연결된 상기 제2와이어(380)의 타단이 상기 제2풀리(360)의 이동방향을 따라 당겨지면서 상기 제2록킹핀(340)을 후방측(도면상 좌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However, the first pulley 350 to which one end of the second wire 380 is connected is positioned on the front side (left side of the drawing) of the first pulley support 250 by the first wire 370. As a resul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380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pin 340 is pulled alo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econd pulley 360 so that the second locking pin 340 is rearward ( Left side in the drawing).

결국, 상기 제1록킹핀(330)은 좌측 루프랙(110)의 걸림공(111)으로부터 이탈되고, 제2록킹핀(340)은 우측 루프랙(120)의 걸림공(121)으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크로스바(200)의 양측 끝단은 상기 각 루프랙(110,120)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게 된다.As a result, since the first locking pin 33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111 of the left roof rack 110, the second locking pin 34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121 of the right roof rack 120, so that the crossbar Both ends of the 200 are free from the respective roof racks 110 and 120.

이때, 각 록킹핀(330,340)의 후방측에 구비된 각각의 탄력부재(331,341)는 압축된 상태이다.At this time, each of the resilient members (331, 341)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each of the locking pins (330, 340) is in a compressed state.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각 하우징(510,520)이 좌측 및 우측 루프랙(110,120)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면 사용자는 크로스바(200)를 차량의 전방측 혹은, 후방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켜 그의 필요에 따라(화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20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ousings 510 and 520 are free from the left and right roof racks 110 and 120 by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dures, the user moves the crossbar 200 to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ccording to his needs. The location of the crossbar 2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rgo).

이때, 상기 각 하우징(510,52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11,521)는 상기 각 루프랙(110,120)의 가이드레일(112,122)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s 511 and 521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s 510 and 520 are slidably moved along the guide rails 112 and 122 of the roof racks 110 and 120.

이후, 제1조작레버(310)를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하향 회동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각 록킹핀(330,340)은 그 후방측에 각각 구비된 탄력부재(331,341)의 복원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Then, when the first operating lever 310 is rotated downward in the clockwise direction on the drawing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each locking pin (330, 340) is the first by the restoration of the resilient members (331,341) provided on its rear side, respectively Return to position

즉, 각 탄력부재(331,341)의 복원에 의해 각 록킹핀(330,340)은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각 루프랙(110,120)의 걸림공(111,121)에 각각 삽입됨에 따라 크로스바(200)의 양측 끝단은 상기 각각의 루프랙(110,12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That is, as the locking pins 330 and 340 are moved to the front side by the restoration of the resilient members 331 and 341, the opposite ends of the crossbars 200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s 111 and 121 of the respective roof racks 110 and 120, respectively. A fixed state is achieved in the roof racks 110 and 120.

이때, 제2풀리(360)는 도면상 우측편으로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pulley 360 is moved to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각 하우징(510,520)은 각 루프랙(110,120)에 고정되고, 이로 인해 크로스바(200) 역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As a result, each of the housings 510 and 520 is fixed to the roof racks 110 and 120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us the crossbar 200 is also stably fixed.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 중 연동부를 이루는 와이어는 굳이 2개로만 구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the wire forming the interlocking portion of the crossbar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does not have to be composed of only two.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와이어가 4개로 구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첨부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ggests that the wire is composed of four,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먼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동부의 구조 중 각 하우징(510,520)과, 각 조작레버(310,320)와 각 록킹핀(330,340) 및 각 풀리(350,360)의 설치 구조는 전술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First,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each housing 510, 520, each operation lever 310, 320, each locking pin 330, 340, and each pulley 350, 360 in the structure of the link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하지만,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동부의 구조 중 와이어는 제1와이어(410)와, 제2와이어(420)와, 제3와이어(430) 및 제4와이어(440)로 구성됨을 제시한다.However, in the structure of the linkag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is composed of the first wire 410, the second wire 420, the third wire 430 and the fourth wire 440 is presented. do.

이때, 상기 제1와이어(410)는 그 일단이 상기 제1조작레버(310)의 연결고리(31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풀리(350)를 경유하여 상기 제1록킹핀(330)의 끝단에 연결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wire 4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 311 of the first operating lever 310, the other end of the first locking pin 330 via the first pulley 35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또한, 상기 제2와이어(420)는 그 일단이 상기 제1조작레버(310)의 연결고리(311)에 연결되고, 타단은 크로스바(2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풀리(360)의 축(361)에 연결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wire 42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 311 of the first operating lever 310,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wire 420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crossbar 200. Coupled to shaft 361.

또한, 상기 제3와이어(430)는 그 일단이 상기 제2조작레버(320)의 연결고리(3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풀리(360)를 경유하여 상기 제2록킹핀(340)의 끝단에 연결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third wire 43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 321 of the second manipulation lever 32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locking pin 340 via the second pulley 36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또한, 상기 제4와이어(440)는 그 일단이 상기 제2조작레버(320)의 연결고리(3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풀리(350)의 축(351)에 연결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fourth wire 4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 321 of the second manipulation lever 32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haft 351 of the first pulley 350.

이하,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크로스바 고정장치의 동작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rossbar fix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우선, 제1조작레버(310)가 첨부된 도 6과 같이 그 회동 중심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상향 회동되면 제1풀리(350)를 경유하도록 연결된 제1와이어(410)의 양단은 상기 제1풀리(350)를 기준으로 당겨진다.First, when the first operating lever 310 is rotated upwar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rotation as shown in FIG. 6, both ends of the first wire 410 connected to each other via the first pulley 350 are connected to the first pulley. It is drawn based on 350.

이로 인해, 상기 제1와이어(410)의 일단에 연결된 제1록킹핀(330)은 후방측(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루프랙(110)의 걸림공(111)으로부터 이탈된다.Thus, the first locking pin 33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wire 410 is moved away from the locking hole 111 of the first roof rack 110 while moving to the rear side (right side in the drawing).

또한, 상기 제2와이어(420)에 의해 상기 제1조작레버(310)와 연결된 제2풀리(360)는 상기 제1조작레버(310)의 회동에 의해 그 축(361)이 제2풀리 지지구(260)의 슬롯(261)을 따라 후방측(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풀리(360)의 둘레에 감긴 제3와이어(430)는 상기 제2풀리(360)를 기준으로 그 양단이 당겨지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pulley 360 connected to the first operating lever 310 by the second wire 420 has a shaft 361 formed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operating lever 310. Along the slots 261 of the earth 260 it is moved backwards (left in the drawing). Accordingly, both ends of the third wire 430 wound around the second pulley 360 are pulled based on the second pulley 360.

하지만, 상기 제3와이어(430)의 일단이 연결된 제2조작레버(320)는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 이동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상기 제3와이어(430)의 타단이 연결된 제2록킹핀(340)이 후방측(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된다.However, since the second operation lever 320 to which one end of the third wire 430 is connected is not fixed, the second operation lever 320 is not moved, and the second locking pin 340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third wire 430 is connected. ) Is moved to the rear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결국, 상기 제1록킹핀(330)은 좌측 루프랙(110)의 걸림공(111)으로부터 이탈되고, 제2록킹핀(340)은 우측 루프랙(120)의 걸림공(121)으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각 하우징(510,520)은 상기 각 루프랙(110,120)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게 된다.As a result, the first locking pin 33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111 of the left roof rack 110, and the second locking pin 340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hole 121 of the right roof rack 120. The housings 510 and 520 are free from the roof racks 110 and 120.

그리고,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각 하우징(510,520)이 좌측 및 우측 루프랙(110,120)으로부터 자유로운 상태를 이루면 사용자는 크로스바(200)를 차량의 전방측 혹은, 후방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시켜 그의 필요에 따라(화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20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housings 510 and 520 are free from the left and right roof racks 110 and 120 by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dures, the user moves the crossbar 200 to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vehic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ccording to his needs. The location of the crossbar 200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rgo).

이때, 상기 각 하우징(5105,2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된 가이드돌기(511,521)는 상기 각 루프랙(110,120)의 가이드레일(112,12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된다.In this case, the guide protrusions 511 and 521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s 5105 and 20 are slidably moved along the guide rails 112 and 122 of the roof racks 110 and 120.

이후, 제1조작레버(310)에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하향 회동시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각 록킹핀(330,340)은 그 후방측에 각각 구비된 탄력부재(331,341)의 복원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Thereafter, when the first operation lever 310 rotates clockwise downward in the drawing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each of the locking pins 330 and 340 is first restored by restoring the elastic members 331 and 341 provided on the rear side thereof. Return to position

즉, 각 탄력부재(331,341)의 복원에 의해 각 록킹핀(330,340)은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각 루프랙(110,120)의 걸림공(111,121)에 각각 삽입됨에 따라 크로스바(200)의 양측 끝단은 상기 각각의 루프랙(110,120)에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That is, as the locking pins 330 and 340 are moved to the front side by the restoration of the resilient members 331 and 341, the opposite ends of the crossbars 200 are inserted into the engaging holes 111 and 121 of the respective roof racks 110 and 120, respectively. A fixed state is achieved in the roof racks 110 and 120.

이때, 제2풀리(360)는 도면상 우측편으로 이동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pulley 360 is moved to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각 하우징(510,520)은 각 루프랙(110,120)에 고정되고, 이로 인해 크로스바(200) 역시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As a result, each of the housings 510 and 520 is fixed to the roof racks 110 and 120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thus the crossbar 200 is also stably fixed.

이렇듯,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그 다양한 구조적 변경이 가능한 유용한 고안이다.As such, the crossbar fixing device for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ful design capable of various structural changes.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각종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crossba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various effects as follows.

첫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크로스바의 고정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의 급정거나 급발진이 발생되더라도 화물의 떨어짐은 방지되어 안전 운행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First, since the crossbar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ble in the crossbar, even if the vehicle is suddenly or suddenly started, the dropping of cargo is prevented and thus safe driving is possible.

둘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한명의 사용자로만 루프 캐리어에 화물을 적재하거나 혹은, 화물을 내릴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가진다.Secondly, the crossba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that only one user can load or unload cargo on the roof carrier.

셋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차량의 양측 중 어느 곳이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고정을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Third, the crossbar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inconvenience of the user because it can release the fixing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in any one of both sides of the vehicle.

넷째,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는 크로스바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최대한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되어 제조 단가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Fourth, the crossba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structure for fixing the crossbar as much a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eneral vehicle roof carrier

도 2 는 종래 일반적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rossbar fixing device of a conventional general vehicle roof carrier

도 3 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ba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가 크로스바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rossbar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eases the crossbar from being fixed;

도 5 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를 나타낸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bar fixing device for a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가 크로스바의 고정을 해제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rossbar fixing device of the vehicle roof carri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eases the crossbar from being fixe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120. 좌/우측 루프랙 111,121. 걸림공110,120. Left / Right Roof Rack 111,121. Jam hole

112,122. 가이드레일 200. 크로스바112,122. Guide rail 200. Crossbars

250,260. 풀리 지지구 251,261. 슬롯250,260. Pulley Supports 251,261. slot

310,320. 조작레버 311,321. 연결고리310,320. Control lever 311,321. Link

330,340. 록킹핀 331,341. 탄력부재330,340. Locking pin 331,341. Elastic member

350,360. 풀리 351,361. 축350,360. Pulley 351,361. shaft

370,380,410,420,430,440. 와이어 510,520. 하우징370,380,410,420,430,440. Wire 510,520. housing

511,521. 가이드돌기511,521. Guide protrusion

Claims (5)

크로스바를 한 쌍의 루프랙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있어서,In the fixing device for selectively fixing the crossbar to a pair of roof racks, 상기 고정장치는The fixing device 일단은 상기 크로스바의 양측 끝단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각 루프랙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First and second housings,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rossbar,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each roof rack; 상기 각 하우징에 상하 방향으로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제1조작레버 및 제2조작레버;First and second operating levers rotatably coupled to the respective housings in a vertical direction to allow a user's operation; 상기 각 하우징 내에 각각 탄력 장착되면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루프랙에 걸리는 제1록킹핀 및 제2록킹핀; 그리고,First locking pins and second locking pins that are elastically mounted in the respective housings and are caught by the roof rack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reto; And, 상기 적어도 어느 한 조작레버가 회동될 경우 그에 인접한 어느 한 록킹핀 및 반대편 편에 위치된 다른 한 록킹핀이 동시에 록킹 해제 되거나 혹은, 록킹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When the at least one operating lever is rotated, any one of the locking pins adjacent to the other locking pin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and the interlocking portion for interlocking or unlocking at the same time, or locked: a vehicle loop comprising a Carrier crossbar fastener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동부는The linkage part 상기 각 하우징의 내부 중 상기 각 록킹핀의 후방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록킹핀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풀리 및 제2풀리와,A first pulley and a second pulley which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a rear side of each of the locking pins in the housing, and are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each of the locking pins; 양단이 상기 제1조작레버 및 제1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제1록킹핀의 끝단 및 제2풀리의 축상에 각각 연결된 제1와이어와,First wires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first locking pin and the shafts of the second pulley via the first operating lever and the first pulley, respectively; 양단이 상기 제2조작레버 및 제2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제2록킹핀의 끝단 및 제1풀리의 축상에 각각 연결된 제2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And a second wire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locking pin and the shaft of the first pulley via the second operating lever and the second pulley, respectively.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연동부는 좌우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된 제1풀리 지지구 및 제2풀리 지지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linkage part further comprises a first pulley support and a second pulley support having a slot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1풀리 지지구의 슬롯에는 상기 제1풀리의 축이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2풀리 지지구의 슬롯에는 상기 제2풀리의 축이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The shaft of the first pulley is coupled to the slot of the first pulley support to be movable along the slot, and the shaft of the second pulley is coupled to the slot of the second pulley support to be movable along the slot. Cross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roof carri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동부는The linkage part 상기 각 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록킹핀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풀리 및 제2풀리와,First and second pulleys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housings and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each of the locking pins; 일단은 상기 제1조작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제1록킹핀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1와이어와,A first wir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first operating lever and connected at the other end to the end of the first locking pin via the first pulley; 일단은 상기 제1조작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크로스바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2풀리의 축상에 연결되는 제2와이어와,A second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operating lever and the other end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crossbar and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second pulley; 일단은 상기 제2조작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제2록킹핀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3와이어와,A third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operation leve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second locking pin via the second pulley; 일단은 상기 제2조작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크로스바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1풀리의 축상에 연결되는 제4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lever,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fourth wire which penetrates the inside of the crossbar and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first pulley.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연동부는 좌우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된 제1풀리 지지구 및 제2풀리 지지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The linkage part further comprises a first pulley support and a second pulley support having a slot form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상기 제1풀리 지지구의 슬롯에는 상기 제1풀리의 축이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제2풀리 지지구의 슬롯에는 상기 제2풀리의 축이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크로스바 고정장치.The shaft of the first pulley is coupled to the slot of the first pulley support to be movable along the slot, and the shaft of the second pulley is coupled to the slot of the second pulley support to be movable along the slot. Cross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roof carrier.
KR20-2005-0025848U 2005-09-07 2005-09-07 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KR20040208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848U KR200402088Y1 (en) 2005-09-07 2005-09-07 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848U KR200402088Y1 (en) 2005-09-07 2005-09-07 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088Y1 true KR200402088Y1 (en) 2005-11-25

Family

ID=4370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848U KR200402088Y1 (en) 2005-09-07 2005-09-07 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088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431B1 (en) * 2006-01-04 2008-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Cross-bar fixing device of roof carrier for vehicle
KR100862204B1 (en) * 2005-12-02 2008-10-09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Single Side Release Vehicle Article Carrier System And Method
KR101241097B1 (en) * 2006-02-03 2013-03-08 (주)진원 Locking system of roof lack cross bar for vehicle
CN108515917A (en) * 2018-06-30 2018-09-11 福州市长乐区三互信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roof-rack of new-energy automobile
CN114347912A (en) * 2022-02-23 2022-04-15 国信军创(岳阳)六九零六科技有限公司 Roof fixing device for kayak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04B1 (en) * 2005-12-02 2008-10-09 제이에이씨 프로덕츠 인코포레이티드 Single Side Release Vehicle Article Carrier System And Method
KR100801431B1 (en) * 2006-01-04 2008-0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Cross-bar fixing device of roof carrier for vehicle
KR101241097B1 (en) * 2006-02-03 2013-03-08 (주)진원 Locking system of roof lack cross bar for vehicle
CN108515917A (en) * 2018-06-30 2018-09-11 福州市长乐区三互信息科技有限公司 A kind of roof-rack of new-energy automobile
CN108515917B (en) * 2018-06-30 2024-04-19 山东辰昇物流有限公司 Roof luggage rack of new energy automobile
CN114347912A (en) * 2022-02-23 2022-04-15 国信军创(岳阳)六九零六科技有限公司 Roof fixing device for kayak
CN114347912B (en) * 2022-02-23 2024-01-26 湖南六九零六信息科技股份有限公司 Roof fixing device for kaya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1172A (en) Cargo space covering for a motor vehicle
KR200402088Y1 (en) 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US7175004B2 (en) Wheel simultaneous brake mechanism and caster rotation preventing mechanism having simple mechanism
JP5897312B2 (en) Parking brake system
CN102712271B (en) Backrest folding mechanism for vehicle seat
KR200404770Y1 (en) 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US6126133A (en) Slide rail for vehicle seat and seat comprising such a slide rail
US6302483B1 (en) Revolving seat, in particular for a rail vehicle
JP2003118495A (en) Article carrier having cross bar removable at its single side
CN102143862A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vehicle seat
US7665704B2 (en) Seat rail apparatus
KR100916262B1 (en) Cross Bar Of A Roof Carrier For A Vehicle
KR20070073080A (en) Fixing apparatus for cross bar
KR100593857B1 (en) Locking apparatus for roof rack and cross bar of roof carrier
KR200404769Y1 (en) 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DE102013224965A1 (en) Foldable vehicle headrest assembly
KR100773157B1 (en) Roof carrier cross bar fixing device for vehicle
CN110001462A (en) Seat slide for vehicle
KR100599493B1 (en) Locking apparatus for roof rack and cross bar of roof carrier
KR20080042335A (en) Cross-bar locking device of roof carrier for vehicles
KR100822998B1 (en) Cross-bar fixing device of roof carrier for vehicle
KR20060062382A (en) Apparatus for locking a cross bar of a roof rack for automobiles
KR101241097B1 (en) Locking system of roof lack cross bar for vehicle
KR100666275B1 (en) Apparatus to unlock the cross bar on the side rail
KR100925686B1 (en) Locking device for a crossbar for a roof 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