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4093A -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4093A
KR20040104093A KR1020030035505A KR20030035505A KR20040104093A KR 20040104093 A KR20040104093 A KR 20040104093A KR 1020030035505 A KR1020030035505 A KR 1020030035505A KR 20030035505 A KR20030035505 A KR 20030035505A KR 20040104093 A KR20040104093 A KR 20040104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pipe
water
tank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태현
염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3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4093A/ko
Publication of KR2004010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09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2Preventing, monitoring, or locating lo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제철공장에서 조업중 발생되는 부생가스를 각 사용공장의 열원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된 가스 공급배관에서 필요시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는,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오버플로우관과 집수피트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제 1 레벨수조과, 상기 제 1 레벨수조의 하부와 연결관으로 연결되고 집수피트상에 설치되어 수봉레벨을 형성하는 제 2 레벨수조와, 상기 제 2 레벨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스배관 곡관부 수봉상태에 대응하여 레벨수조내의 레벨을 감지하는 제 1 감지수단 및, 상기 제 2 레벨수조의 벽면에 추가로 설치되어 가스배관 곡관부의 수봉상태에 대응하여 레벨수조내의 레벨을 2중으로 감지하는 제 2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배관 수봉설비에서 곡관부내의 물의 레벨상태인 수봉상태를 2중으로 완전하게 감지함으로서, 수봉설비의 수봉상태를 항상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수봉설비에서의 가스흐름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가스 오공급에 의한 대형 설비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보다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AN APPARATUS FOR SENSING WATER LEVEL IN WATER SEALED DEVICE OF GAS CONDUIT}
본 발명은 제철소에서 부생가스를 각 사용공장의 열원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된 가스배관에서 필요시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가스배관 수봉설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가스배관의 수봉설비에서 가스배관 곡관부에서의 물의 레벨상태 즉, 수봉상태를 2중으로 완전하게 감지함으로서, 수봉설비의 수봉상태를 항상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가스의 오공급을 효과적으로 차단토록 함으로서, 가스공급에 의한 대형 설비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는 석탄을 건류시키는 코크스 조업시 발생되는 코크스 오븐 가스와 같은 부생가스가 각종 공장의 열원으로 공급하는데, 이와 같은 제철공장에서의 부생가스는 저압이며 칼로리가 낮고 발생량이 많은 특성으로 대용량의 배관 예를 들어, 코크스오븐 가스(COG)인 경우에는 대략 그 직경이 2500mm 정도인 대형 배관을 설치하여 원하는 공장 또는 설비까지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대형 가스배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관을 따라 흐르는 가스의 흐름을 일반적인 기계식밸브를 이용하여 차단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가스배관내의 가스흐름을 차단시킬 수 방법으로 통상 수봉설비를 사용하여 대형 가스배관을 통한 가스흐름을 차단하는데, 도 1에서는 이와 같은 종래의 가스배관의 수봉설비(180)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배관(100)의 특정부분을 V자 형상의 곡관부(110)로 제작하고, 상기 곡관부(110)와 가스배관(100)의 경계부위 상측으로 연결된 공급배관(120)을 통하여 가스흐름을 차단하는 물을 공급하고, 이때 상기 곡관부(110)에는 가스배관(100)을 흐르는 가스 예를 들어, 코크스 오븐 가스의 압력에 대비하여 대략 1.5배 이상의 수두압을 갖도록 물을 채워넣는데, 이경우 가스배관 (100)을 흐르는 가스는 상기 곡관부(110)에 채워진 물의 수두압에 의하여 흐름이 차단되면서 가스배관(100)의 가스흐름을 관리 운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가스배관(100)의 곡관부(110)의 상단 곡관부위(110a)에는 오버플로우관(130)이 수두압을 형성하기 위한 높이로 신장되어 집수피트(140)로 연결되고, 상기 곡관부(100)의 하단 곡관부위(110b)에는 곡관부(110)에 채워진 물을 드레인시키고 필요시 가스배관 곡관부(110)에서의 가스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관 (150)이 연결되어 실포트(160)와 연결되고, 상기 실포트(160)에 연결된 다른 오버플로우관(170)은 상기 집수피트(140)와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가스배관 수봉설비(180)에서는, 실질적으로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는 곡관부(110)내에 항상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 원하는 수두압을 갖는물의 레벨을 유지하도록 수봉완료 시점부터 수봉해제시까지 공급관(120)을 통하여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 충수시키고, 오버플로우관(130)을 통하여 집수피트(140)로 흐르도록 한다.
따라서, 만일 공급관(120)을 통하여 물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으면, 수두압이 급속히 떨어지면서 가스배관내의 가스는 곡관부(110)를 통하여 흐르게 되고, 이경우 고온의 가스가 원하지 않는 곳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가스 오염, 중독, 폭발과 같은 대형 설비 및 안전사고를 초래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집수피트(140)에 오버플로우되어 충수되는 물을 항상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가스배관 수봉설비(180)에 있어서는, 작업자가 항상 수봉상태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인력운용에 있어서 낭비를 초래하고, 작업자의 감시소홀시 공급관(120)을 통한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앞에서 설명한 사고들이 발생되는 데, 예를 들어 가스배관(100)의 곡관부(110)를 통한 가스흐름으로 유해하고 고온인 가스 즉, 코크스 오븐가스등에 의한 인체중독, 화재, 폭발과 같은 대형 설비 및 안전사고를 완전하게 예발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철공장의 여러 공장에 열원으로 제공되는 가스의 공급을 위한 대형 가스배관에서 가스의 흐름을 차단하는 수봉설비의 수봉상태를 작업자의 직접확인없이 2중으로 완전하게 감지함으로서, 수봉설비의 수봉상태를 항상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어 수봉불량에 의한 가스 오공급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이에 따라 가스중독, 화재 또는 폭발과 같은 대형 설비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도록 하는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스배관 수봉설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를 도시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에서 제 1 감지수단을 도시한 요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에서 자력을 이용한 제 1 감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에서 근접센서를 이용한 다른 제 1 감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에서 제 2 감지수단을 도시한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10,30.... 레벨수조 50.... 제 1 감지수단
52.... 자석볼 54.... 원통관
56...,. 자석플레이트 70.... 제 2 감지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가스배관에서 가스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공급관이 연결되고, 집수피트와 오버플로우관으로 연결되는 곡관부를 갖춘 가스배관 수봉설비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의 집수피트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제 1 레벨수조;
상기 제 1 레벨수조의 하부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집수피트상에 설치되어 레벨을 형성하는 제 2 레벨수조;
상기 제 2 레벨수조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스배관 곡관부의 수봉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레벨수조내의 레벨을 감지하는 제 1 감지수단; 및
상기 제 2 레벨수조의 벽면에 추가로 설치되어 가스배관 곡관부의 수봉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레벨수조내의 레벨을 2중으로 감지하는 제 2 감지수단;
을 포함하여 가스배관 수봉상태를 2중으로 감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을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4는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에서 제 1 감지수단을 도시한 요부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에서 자력을 이용한 제 1 감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6은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에서 근접센서를 이용한 다른 제 1 감지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에서 제 2 감지수단을 도시한 상세도인데, 종래 가스배관 수봉설비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부호로 나타낸다.
먼저,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장치(1)가 설치되는 가스배관 수봉설비(18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에 관련된 가스배관 수봉설비(180)는, 가스배관 (100)의 특정부분을 V자 형상의 곡관부(110)로 형성시키어 그 경계부위 상측으로 곡관부(110)에 가스흐름을 실질적으로 차단하는 물을 채워넣기 위한 공급관 (120)을 연결 설치하여 가스배관(100)을 흐르는 가스 예를 들어, 코크스 오븐 가스의 압력에 1.5배 이상의 수두압을 형성하도록 물이 채워지도록 하여 가스배관(100)의 가스흐름을 관리 운용한다.
그리고, 상기 가스배관(100)의 곡관부(110)의 하단곡관부에는 오버플로우관 (130)이 수두압을 형성하기 위한 높이로 신장되어 집수피트(140)로 연결되고, 상기 곡관부(100)의 하단 곡관부 하부에는 가스의 흐름을 유지시키도록 곡관부(110)에채워진 물을 드레인시키고 필요시 가스배관 곡관부(110)에서의 가스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관(150)이 연결되어 실포트(160)와 연결되고, 상기 실포트(160)에 연결된 오버플로우관(170)은 상기 집수피트(140)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즉, 가스배관 곡관부부(110)의 물의 레벨상태를 감지하기 의한 장치(1)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1)는, 크게 제 1,2 레벨수조(10)(30) 및, 제 1,2 감지수단(50)(70)으로 이루어 지는데, 이들 구성요소(10)(30)(50)(70)들을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는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1)에서 상기 제 1 레벨수조(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레벨수조(10)는, 상기 오버플로우관(130)의 집수피트(140)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레벨수조(10)는, 상기 수봉설비 오버플로우관(130)이 상부중앙에 연결되어 있어, 가스배관 곡관부(110)내에 채워진 물의 레벨이 정상적으로 유지하는 경우 오버플로우된 물이 오버플로관 (130)을 통하여 본 발명의 제 1 레벨수조(10)내에 유입되고, 반대로 곡관부(110)내로의 물 공급이 중단되면 오버플로우되는 물이 없기 때문에, 상기 제 1 레벨수조 (10)내에 물이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레벨수조(10)는 상기 집수피트(140)상에 안착되며 상기 집수피트(140)와 연결되는 배출관(12)이 상부에 연결되는 원통수조로 구성되어 있고,상기 제 1 레벨수조(10)의 하부에는 집수피트(140)에 연결되는 드레인관(14)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레벨수조(10)내에 유입되는 물의 오버되는 상측의 배출관(12)을 통하여 오버플로우되어 집수피트(140)로 보내지고, 상기 드레인관(14)을 통하여는 곡관부(110)에 유입되어 오버플로우되는 물의 양만큼 드레인되도록 하여 만일, 곡관부(110)에 공급관(120)을 통하여 물의 공급이 중단되면 제 1 레벨수조(10)내의 물의 레벨이 점차 하강하게 된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1)의 상기 제 2 레벨수조(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레벨수조(30)는, 상기 제 1 레벨수조(10)의 하부와 연결관(32)으로 연결되어 집수피트(140)상에 설치되어 수봉레벨을 형성하도록 한다.
즉,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제 2 레벨수조 (30)는, 상기 제 1 레벨수조(10)의 일측으로 그 하단부가 연결관(32)으로 연결되고 집수피트(140)상의 베이스(34)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 1 레벨수조보다는 직경이 적은 원통수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레벨수조(10)내의 물의 레벨이 변하면 상기 제 2 레벨수조 (30)내의 수두상태 즉, 물의 레벨상태가 같이 변하게 되어 다음에 설명하는 제 1,2 감지수단(50)(70)들을 통한 레벨수조(30)내 물의 레벨상태 즉, 가스배관 곡관부 (110)내의 물의 수봉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 도 3 내지 도 5 에서는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1)에서 상기 제 1 감지수단(5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감지수단(50)은, 상기 제 2 레벨수조(3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스배관 곡관부 (110)의 수봉상태에 대응하여 레벨수조(30)내의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감지수단(5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감지수단(50)은 상기 제 2 레벨수조(30)의 내부 중앙에 수직 설치되고 내부에는 자석볼(52)이 레벨에 따라 부유되는 원통관 (54) 및, 상기 원통관(54)의 외측에 부착되고 자석볼의 유무에 따라 자력발생이 가변되어 레벨을 감지하는 자석플레이트(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석플레이트(56)는 가스관 곡관부의 설정레벨에 맞추어 그 길이가 조정되고, 상기 자석플레이트(56)는 제 2 레벨수조(30)의 상부에 설치된 신호변환기(5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변환기(58)는 경고등, 경고부져와 같은 경고기구(60)와 제어판넬(C)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볼(52) 즉, 내부는 중공되어 있어 수면상에서 부유되는 것이 가능한 자석볼(52)은 제 2 레벨수조(30)내의 레벨이 변화하여 예를 들어, 곡관부(110)에서의 수봉상태가 부량하여 레벨이 낮아지면, 원통관 (54)의 레벨과 일체로 하강하여 자석플레이트(56)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경우 자석볼(52)과 자석플레이트(56)에서 발생되는 자력이 자석플레이트(56)만에서 발생되는 자력으로 변화되면서 그 자력량의 차이를 상기 자석플레이트(56)와 연결된 신호변환기(58)에서 감지하여 제어판넬(C)로 보내면, 임의의 위치 즉, 수봉설비(180) 부근 또는 별도의 운전실에 설치된 경고기구(60)가 작동되어 작업자는 가스배관 수봉설비 (180)에 문제가 발생됨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6에서는 상기 제 1 감지수단(50)의 다른 설치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다른 제 1 감지수단(50)은, 상기 제 2 레벨수조(30)의 내부 중앙에 수직 설치되고 내부에는 부유볼(52')이 레벨에 따라 부유되는 원통관(54') 및, 상기 원통관(54')의 외측에 부착되고 부유볼의 유무에 따라 제 2 레벨수조(10)내의 레벨을 감지하는 근접센서(5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의 제 1 감지수단(50)은, 자석볼과 달리 볼형태로 물의 수면상에 부유되는 것이 가능한 부유볼(52')이 제 2 레벨수조(30)의 레벨하강으로 근접센서(56')에서 벗어나면 상기 근접센서(56')는 이를 감지하여 바로 제어판넬 (C)에 신호를 보내면 제어판넬(C)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고기구(60)를 작동시키면 된다.
이때, 상기 근접센서(56')의 외관에는 상기 원통관(54)의 외표면에 실링상태로 부착되는 케이싱(56")이 제공되고, 상기 원통관(54)은 투명재질로 되어 부유볼 (52')의 감지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본 발명인 제 1 감지수단(50)의 자석플레이트(56)와 근접센서(56')의 길이 즉, 자석볼(52)과 부유볼(52') 감지폭은 실제 가스관(100)의 곡관부(110)에서 가스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최소의 레벨에 맞추어 조정되어야 하는 것이다.
다음, 도 2, 도 4 및 도 7에서는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1)의 상기 제 2 감지수단(7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제 2 감지수단(70)은, 상기 제 2 레벨수조(30)의 벽면에 추가로 설치되어 가스배관 곡관부(110)의 수봉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레벨수조(30)내의 레벨을 2중으로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감지수단(70)은 상기 제 2 레벨수조(30)의 벽면(30a)을 따라 하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레벨변화시 작동하는 다수의 레벨스위치로 이루어 져 있다.
이때, 상기 레벨스위치인 제 2 감지수단(70)은 제 2 레벨수조(30)내에서 물의 레벨상태가 정상상태 즉, 가스배관 곡관부(110)내의 물의 레벨상태가 높아 수봉상태가 양호한 상측의 레벨위치와 가스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최소한의 곡관부(110)내에서의 물의 레벨 즉, 제 1 감지수단(50)의 자석플레이트(56) 또는 근접센서 (56')의 하단부와 맞추어진 중앙측의 레벨위치와 곡관부에서의 수봉상태가 불안정하여 물의 레벨이 낮추어진 하측의 레벨위치에 각각 총 3개가 설치된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감지수단(70)인 레벨스위치 (70)는 제 2 레벨수조(30)의 벽면(30a)에 케이싱(76)이 일체로 용접등으로 부착되어 물의 누수를 차단하면 상기 케이싱(76)의 내측에 레벨스위치 본체(72)가 제공되어 그 작동편(72a)이 수조벽면(30a)의 구멍(30a')을 통하여 삽입되어 물의 레벨에 따라 부유되는 부유구(74)가 고정되어 있고, 본체와 벽면사이에는 패킹(78)이 끼워진다.
따라서, 물의 레벨이 하강하면 상기 부유구(74)가 하강하면서 작동편(72a)이 하강하고, 이 하강하는 작동편(72a)에 의하여 본체(72)는 제어판넬(C)에 신호를 보내어 이를 통하여 경광등 또는 부져등의 경고기구(60)가 작동되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1)에 의하면, 가스배관(100)의 가스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곡관부(110)내의 물의 레벨이 하강하면 2중의 감지수단 즉, 자력을 이용하거나 근접센서를 이용하는 제 1 감지수단(50)과 레벨에 따라 부유되어 작동하는 레벨스위치(70)의 제 2 감지수단(70)으로 2중으로 감지하여 수봉상태가 불안정하면 바로 이를 작업자에서 경고하여 줌으로서, 가스의 곡관부에서의 가스흐름에 따른 가스 중독, 화재등의 설비 및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7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철공장에서 각 공정의 열원으로 고온의 코크스오본가스를 공급하는 때에, 대형의 가스배관(100)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계적인 밸브류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가스배관(100)에 곡관부(110)를 만들고, 이에 공급관(120)을 통하여 물을 채워넣는다.
따라서, 가스배관 곡관부(110)내에 물이 채워진후에는 가수흐름을 지속적으로 차단하는 경우 계속 몰을 공급하고, 이때 넘치는 물은 오버플로우관(130)을 통하여 본 발명인 감지장치(1)의 제 1 레벨수조(10)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제 1 레벨수조(10)와 연결된 제 2 레벨수조(30)에도 물이 유입되어 상기 곡관부(110)내의 물의 레벨상태에 대응하여 제 1,2 레벨수조(10)(30)내에는 레벨이 형성된다.
그리고, 계속적으로 오버플로우되는 물은 제 1 레벨수조(10)가 다 채워진 상태에서 상부의 배출관(12)을 통하여 집수피트(140)로 보내지고, 상기 제 2 레벨수조 (30)내의 원통관(54)내의 자석볼(52)은 부유된 상태에서 원통관외표면측의 자석플레이트(56)와 함께 자력을 발생시키어 제 1 감지수단(50)은 작동되면서 수봉상태가 정상임을 감지하고, 동시에 제 2 감지수단(70)인 레벨스위치중 최상측 레벨스위치만이 작동되면 제 2 감지수단(70)도 수봉상태가 정상임을 감지하고, 이경우에는 경광등과 같은 경고기구(60)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곡관부(110)의 물이 공급되지 않아 물의 오버플로우량이 줄고 따라서 제 1, 2 레벨수조(10)(30)내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 줄다가 중단되면, 제 1 레벨수조(10)와 연결된 드레인관(14)을 통하여 물이 조금씩 드레인되기 때문에, 제 1,2 레벨수조(10)(30)내의 물의 레벨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도 5 내지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감지수단(50)의 자석볼 (52) 또는 부유볼(52')은 물의 레벨이 하강함에서 따라 일체로 하강하다가 자석플레이트(56) 또는 근접센서(56')에서 벗어나면, 자력량이 변화되고 근접센서의 작동으로 자력량 변화는 신호변환기(58)를 통하여 그리고 근접센서의 신호가 각각 제어판넬(C)에 보내지면, 설정 레벨이하인 것을 제어판넬(C)을 통하여 경고기구(60)가 작동하여 주변의 장치 운용자는 손쉽게 가스배관 수봉설비(180)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수봉설비(180)의 오작동에 의한 곡관부(110)에서의 수봉상태에 바로 대응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종래 작업자가 항상 집수피트(140)에 물이 흐르고 있는 가를 파악할 필요가 없게 하고, 특히 가스배관 곡관부(110)를 통하여 가스가 흐르게 되는 것이 미연에 차단되어 대형 설비 또는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에 의하면, 수봉변이 정상 수봉된 상태에서 수봉변마다 수봉기간 동안 감시자를 배치, 감시함으로써 발생 되는 과다한 인력의낭비와 수봉변 감시자의 감시소홀에 의한 수봉변의 수봉 해제로 발생할 수 있는 인적,물적의 대형사고가 방지하도록 하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가스배관(100)에서 가스흐름을 차단하기 위한 공급관(120)이 연결되고, 집수피트(140)와 오버플로우관(130)으로 연결되는 곡관부(110)를 갖춘 가스배관 수봉설비(180)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관(130)의 집수피트(140)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제 1 레벨수조 (10);
    상기 제 1 레벨수조(10)의 하부와 연결관(32)으로 연결되어 집수피트(140)상에 설치되어 레벨을 형성하는 제 2 레벨수조(30);
    상기 제 2 레벨수조(30)의 내부에 설치되어 가스배관 곡관부(110)의 수봉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레벨수조(30)내의 레벨을 감지하는 제 1 감지수단 (50); 및
    상기 제 2 레벨수조(30)의 벽면에 추가로 설치되어 가스배관 곡관부(110)의 수봉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레벨수조(30)내의 레벨을 2중으로 감지하는 제 2 감지수단 (70);
    을 포함하여 가스배관 수봉상태를 2중으로 감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벨수조(10)는, 상기 수봉설비 오버플로우관 (130))이 상부중앙에 연결되고, 집수피트(140)상에 안착되며 상기 집수피트(140)와 연결되는 배출관(12)이 상부에 연결되는 원통수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레벨수조(10)의 하부에는 집수피트(140)에 연결되는 드레인관(14)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벨수조(30)는, 상기 제 1 레벨수조(10)의 일측으로 그 하단부가 연결관(32)으로 연결되고 집수피트(140)상의 베이스(34)상에 안착되고 상기 제 1 레벨수조보다는 직경이 적은 원통수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수단(50)은, 상기 제 2 레벨수조(30)의 내부 중앙에 수직 설치되고 내부에는 자석볼(52)이 레벨에 따라 부유되는 원통관 (54); 및, 상기 원통관(54)의 외측에 부착되고 자석볼의 유무에 따라 자력발생이 가변되어 레벨을 감지하는 자석플레이트(56); 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플레이트(56)는 가스관 곡관부의 설정레벨에 맞추어 그 길이가 조정되고, 상기 자석플레이트(56)는 제 2 레벨수조(30)의 상부에 설치된 신호변환기 (58)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경고기구(60)가 연결된 제어판넬(C)과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수단(50)은, 상기 제 2 레벨수조(30)의 내부 중앙에 수직 설치되고 내부에는 부유볼(52')이 레벨에 따라 부유되는 원통관 (54'); 및, 상기 원통관(54')의 외측에 부착되고 부유볼의 유무에 따라 제 2 레벨수조(10)내의 레벨을 감지하는 근접센서(56'); 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센서(56')의 부유볼 감지폭은 가스관 곡관부의 설정레벨에 맞추어 조정되고, 상기 근접센서(56')는 경고기구(60)와 제어판넬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감지수단(70)은, 상기 제 2 레벨수조(30)의 벽면(30a)을 따라 하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레벨변화시 작동하는 다수의 레벨스위치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레벨수단(50)과 추가로 수봉상태에 따른 제 2 레벨수조 (30)의 레벨을 감지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KR1020030035505A 2003-06-03 2003-06-03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KR20040104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505A KR20040104093A (ko) 2003-06-03 2003-06-03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505A KR20040104093A (ko) 2003-06-03 2003-06-03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093A true KR20040104093A (ko) 2004-12-10

Family

ID=3737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505A KR20040104093A (ko) 2003-06-03 2003-06-03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409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79B1 (ko) * 2011-08-01 2013-11-01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홀더 비상방산관의 수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봉 방법
KR101360644B1 (ko) * 2012-04-18 2014-02-10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배관 수봉장치
KR101410189B1 (ko) * 2012-07-20 2014-06-19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폐열을 이용한 수봉식 집진덕트 장치
CN105650479A (zh) * 2016-03-22 2016-06-08 广西华锐钢铁工程设计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u型双向煤气水封装置
KR102020427B1 (ko) 2018-04-12 2019-09-10 주식회사 포스코 수봉변 감시 장치
KR20190125112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관의 수봉 상태 유지 장치
KR102164691B1 (ko) 2020-04-01 2020-10-12 비피시 주식회사 가스배관의 수봉밸브
KR20220168461A (ko) 2021-06-16 2022-12-23 김태영 대형가스배관용 중간개폐장치 및 내부 청소를 위한 대형가스배관의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79B1 (ko) * 2011-08-01 2013-11-01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홀더 비상방산관의 수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봉 방법
KR101360644B1 (ko) * 2012-04-18 2014-02-10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배관 수봉장치
KR101410189B1 (ko) * 2012-07-20 2014-06-19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의 폐열을 이용한 수봉식 집진덕트 장치
CN105650479A (zh) * 2016-03-22 2016-06-08 广西华锐钢铁工程设计咨询有限责任公司 一种u型双向煤气水封装置
KR102020427B1 (ko) 2018-04-12 2019-09-10 주식회사 포스코 수봉변 감시 장치
KR20190125112A (ko) * 2018-04-27 2019-11-06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관의 수봉 상태 유지 장치
KR102164691B1 (ko) 2020-04-01 2020-10-12 비피시 주식회사 가스배관의 수봉밸브
KR20220168461A (ko) 2021-06-16 2022-12-23 김태영 대형가스배관용 중간개폐장치 및 내부 청소를 위한 대형가스배관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3744B2 (en) Storage container for water-endangering liquids
EA001831B1 (ru) Управление выкачиванием текучих сред из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скважин посредством эвм
KR101787965B1 (ko) 가스 배관의 수봉변 감지 장치
JPS6244102B2 (ko)
KR20040104093A (ko) 가스배관 수봉설비의 수봉상태 감지장치
KR20130117518A (ko) 가스배관 수봉장치
JP5995149B2 (ja) 漏洩検知装置
US65646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cuum testing water resistant and watertight risers and lids
JP2018080543A (ja) 悪臭防止型排水設備
KR101919334B1 (ko) 공기변실 긴급차단 시스템
US5810040A (en) Container for storing liquids
KR101599611B1 (ko) 공압식 자동 수위조절 씰포트
KR101056147B1 (ko) 송수관의 부압 방지장치
JPH0861531A (ja) V字形水封弁の水位検出装置
KR200352304Y1 (ko) 수봉장치의 첵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수봉장치
JP2008179199A (ja) 給油装置
KR102020427B1 (ko) 수봉변 감시 장치
KR100642999B1 (ko) 지하탱크 관리 시스템
CN210194775U (zh) 一种同层排水回填层中污水管检漏与排水一体化***
KR200368328Y1 (ko) 수위확인이 용이한 가스 차단용 수봉밸브
JPH08199638A (ja) 受水槽断水自動検出装置及び受水槽ボールタップ動作不良検出装置
GB2353593A (en) Drain blockage sensor
KR102226168B1 (ko) 오폐수 저장조의 수위인식 기구
JP2670368B2 (ja) ライニング容器の漏洩検出装置
JP2022100842A (ja) 配管、配管システム、配管の設置方法および管詰まりまたは溢液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