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875Y1 -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875Y1
KR200400875Y1 KR20-2005-0016746U KR20050016746U KR200400875Y1 KR 200400875 Y1 KR200400875 Y1 KR 200400875Y1 KR 20050016746 U KR20050016746 U KR 20050016746U KR 200400875 Y1 KR200400875 Y1 KR 2004008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ressing
machine tool
fluid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7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권
안규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원에이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원에이엘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원에이엘씨
Priority to KR20-2005-00167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8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8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6Bench 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6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pu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공작물의 가공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작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작물 공정 장치는 다수의 T 홈이 구비된 T 테이블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T 홈의 후방인 T 테이블의 상부에는 공작물의 후면이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T 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유체나 기체를 통해 공작물의 전면을 눌러주어 공작물을 T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하는 누름 고정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A machine tools of structure is fixation equipment}
본 고안은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공작물의 가공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것으로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공작물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머시닝센터, 조각기, 밀링머신, 드릴링머신, 호빙머신 등의 공작기계에는 공작물을 고정하는 T 테이블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T 테이블은 다수의 T 홈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T 홈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T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T 홈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고정할 경우에는, 공작물 고정 장치가 사용되는 것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 테이블(100)에 형성된 다수의 T 홈(200)에 끼울수 있도록 T 볼트(300)와, 상기 T 볼트(300)에 관통되게 장착되는 누름 판(400)과, 상기 T 볼트(300)에 체결되어 상기 누름 판(400)을 하부로 눌러 공작물(600)을 고정하는 너트(5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한 공작물 고정 장치를 사용하여 공작물을 고정한 경우에는, 공작물의 상부 둘레에 누름 판이 구비됨으로써, 공작물의 둘레를 가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부득이, 공작물의 둘레를 가공할 경우에는, 다수의 누름 판중 가공할 부분의 누름 판의 너트를 풀러 제거 시킨 다음 가공을 하는데, 이렇게 가공을 수행하면 공작물의 지지력이 약함으로써 정밀 가공을 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가공이 끝나 공작물을 교환할 경우 각각의 너트를 풀고 조여야 함으로써, 공작물 교환 작업이 지연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T 테이블의 상부에 형성된 밀착 돌출부와 누름 고정수단을 통해 공작물을 고정함으로써, 공작물 상부 둘레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작물을 교환할 경우 공작물 교체를 신속히 하여 공작물 교체 시간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T 홈이 구비된 T 테이블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T 홈의 후방인 T 테이블의 상부에는 공작물의 후면이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T 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유체를 통해 공작물의 전면을 눌러주어 공작물을 T 테이블의 상부에 고정하는 누름 고정수단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식 공작물 고정 장치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는, 다수의 T 홈(11)이 구비된 T 테이블(1)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T 홈(11)의 후방인 T 테이블(1)의 상부에는 공작물(3)의 후면이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T 홈(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유체나 기체를 통해 공작물(3)의 전면을 눌러주어 공작물(3)을 T 테이블(1)의 상부에 고정하는 누름 고정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 고정수단은 상기 T 홈(11)에 끼워지는 삽입판(221)과 수직 나사축(222)을 포함한 T 볼트(22)와, 상기 수직 나사축(222)을 관통하며 상기 공작물(3)의 전면을 눌러주는 피스톤(212)을 포함하는 실린더 본체(21)와, 상기 수직 나사축(222)이 체결되어 실린더 본체(21)를 T 테이블(1)의 상부에 고정하는 너트(23)로 구성된다.
즉 상기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를 구성하는 누름 고정수단은 유체나 기체를 통해 작동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누름 고정수단 누르는 유체나 기체중에 편의상 유체를 전제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로서, 상기 누름 고정수단(2)은 상술한 바와 같이 T 볼트(22)와 상기 T 볼트(22)를 구성하는 수직 나사축(222)에 너트(23)를 통해 고정되어 공작물의 전면을 눌러주는 실린더 본체(21)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실린더 본체(21)는 상기 피스톤(212)이 장착되는 실린더부(211)와, 이 실린더부(211)로 유체를 공급 시키거나 배출시켜 상기 피스톤(212)을 전, 후진시키는 유로(24)를 포함한다.
상기 유로(24)는 실린더부(211) 전방에 연결된 제 1유로와 상기 실린더부(211) 후방에 연결된 제 2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유로와 제 2유로는 유압펌프(도시않됨)에서 인출된 유체관과 연결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2 유로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거나 배출시킴으로써 피스톤(212)을 전진시킴에 따라 공작물을 T 테이블(1) 상부에 형성된 밀착 돌출부에 밀착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누름 고정수단(2)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T 테이블(1)에 형성된 T 홈에 삽입판(221)과 수직 나사축(222)으로 구성된 T 볼트(22)를 삽입한다.
다음 상기 수직 나사축(222)에 피스톤(212)을 포함한 실린더 본체(21)를 관통 삽입한 후 너트(23)로 체결한다.
다음 실린더 본체(21)에 구비된 제 1, 2 유로에 유압펌프(도시않됨)에서 인출된 유체관을 연결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식 공작물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의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를 작동시킬 경우에는, 먼저, T 테이블(1)의 후방 상부에 형성된 밀착 돌출부(12)와 상기 T 테이블(1)에 구비된 T 홈에 끼워 체결된 누름 고정수단(2)의 사이에 공작물(3)을 올려놓는다.
다음 유압 펌프(도시않됨)를 작동시켜 실린더 본체(21)에 구비된 제 1 유로에 유체를 공급시키고 제 2유로를 통해 유체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피스톤(212)이 후방으로 전진시킨다.
그러므로 피스톤(212)에 연결된 누름 고정대(25)가 후방으로 움직여 공작물(3)의 전면을 눌러주어 공작물(3)을 T 테이블(1)에 형성된 밀착 돌출부(12)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밀착 돌출부(12)와 상기 누름 고정대(25)의 사이에 공작물(3)을 고정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T 테이블(1)이 별도의 구동모터(도시않됨)를 통해 X, Y축으로 이송되면, 주축에 구비된 공구가 Z축으로 이송되어 공작물(3)을 가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가공이 끝나면 실린더 본체(21)에 연결된 제 2유로에 유체를 공급시키고 제 1유로를 통해 유체를 배출시킴으로써 피스톤(212)에 구비된 로드를 전방으로 후진시킨다.
그러면 상기 누름 고정대(25)가 전방으로 전진하여 상기 밀착 돌출부(12)와 상기 누름 고정대(25) 사이에 고정된 공작물(3)을 고정 해제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T 테이블(1)의 상부에 형성된 밀착 돌출부(12)와 누름 고정수단(2)을 통해 공작물(3)을 고정함으로써 공작물(3) 상부 둘레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작물(3)을 교환할 경우 공작물(3)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교체 시간의 낭비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T 테이블의 상부에 형성된 밀착 돌출부와 누름 고정수단을 통해 공작물을 고정함으로써 공작물 상부 둘레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가공범위를 확장 시킨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작물을 교환할 경우 공작물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교체 시간 낭비를 예방함으로써, 가공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식 공작물 고정 장치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식 공작물 고정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T 테이블
11 : T 홈
12 : 밀착 돌출부
2 : 누름 고정수단
21 : 실린더 본체
211 : 실린더 부 212 : 피스톤
22 : T 볼트
221 : 삽입판 222 : 수직 나사축
23 : 너트
24 : 유로
25 : 누름 고정대
3 : 공작물

Claims (3)

  1. 다수의 T 홈(11)이 구비된 T 테이블(1)을 포함하는 공작기계에 있어서;
    상기 T 홈(11)의 후방인 T 테이블(1)의 상부에는 공작물(3)의 후면이 밀착되는 밀착 돌출부(12)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T 홈(1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유체나 기체를 통해 공작물(3)의 전면을 눌러주어 공작물(3)을 T 테이블(1)의 상부에 고정하는 누름 고정수단(2)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고정수단(2)은 상기 T 홈(11)에 끼워지는 삽입판(221)과 수직 나사축(222)을 포함한 T 볼트(22)와, 상기 수직 나사축(222)을 관통하며 상기 공작물(3)의 전면을 눌러주는 피스톤(212)을 포함하는 실린더 본체(21)와,
    상기 수직 나사축(222)이 체결되어 실린더 본체(21)를 T 테이블(1)의 상부에 고정하는 너트(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본체(21)는 상기 피스톤(212)이 장착되는 실린더부(211)와, 이 실린더 부(211)로 유체를 공급시키거나 배출시켜 상기 피스톤(212)을 전, 후진시키는 유로(24)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
KR20-2005-0016746U 2005-06-11 2005-06-11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 KR2004008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746U KR200400875Y1 (ko) 2005-06-11 2005-06-11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746U KR200400875Y1 (ko) 2005-06-11 2005-06-11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5Y1 true KR200400875Y1 (ko) 2005-11-09

Family

ID=4370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746U KR200400875Y1 (ko) 2005-06-11 2005-06-11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8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79B1 (ko) 2017-09-20 2019-03-26 박명식 공작기계용 지그 어셈블리
KR20240055437A (ko) 2022-10-20 2024-04-29 (주)성현 테크놀로지 소재 클램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79B1 (ko) 2017-09-20 2019-03-26 박명식 공작기계용 지그 어셈블리
KR20240055437A (ko) 2022-10-20 2024-04-29 (주)성현 테크놀로지 소재 클램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34479A (ja) 縦型タレット旋盤
KR200400875Y1 (ko) 공작기계의 공작물 고정 장치
KR100928288B1 (ko) 개별이동형 절삭기를 갖는 복합 가공기
CN200984656Y (zh) 钻削加工用快换钻夹头
CN101829922B (zh) 贮液罐底端面多工位多工序多工件加工卡具
CN211161993U (zh) 一种便于固定工件的钻床
CN211249217U (zh) 铣床用固定夹具
CN106695375A (zh) 用于转接件的定位孔加工的工装夹具
CN209793099U (zh) 一种钻孔倒角攻丝一体机
CN211939998U (zh) 一种用于缸盖的四轴夹具
KR101641603B1 (ko) 홀 클램핑장치
CN210255288U (zh) 用于缸盖半精铣加工的夹具
KR200168003Y1 (ko) 유압용 부스터장치
CN107877290B (zh) 用于液压机横梁的去毛刺装置
CN214922548U (zh) 一种多工序专用气动夹具
JPH07266171A (ja) ワーク用位置決め装置
CN213701830U (zh) 一种新型车床用软硬爪快换式三爪卡盘
CN211332277U (zh) 一种新型快卸压板的装夹工装
CN218225594U (zh) 一种方便快捷的治具机构
CN218193921U (zh) 一种组合旋转夹具
CN214488860U (zh) 液压式车床尾座
KR101697999B1 (ko) 유압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nc공작기계 자동척
CN218136571U (zh) 汽车转向器阀体加工自定位气动工装
CN214162200U (zh) 一种用于加工中心的快换工装
CN218696051U (zh) 组合机床液压筒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