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847A - 축소 보관 가능한 증기식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축소 보관 가능한 증기식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847A
KR20040050847A KR1020030087738A KR20030087738A KR20040050847A KR 20040050847 A KR20040050847 A KR 20040050847A KR 1020030087738 A KR1020030087738 A KR 1020030087738A KR 20030087738 A KR20030087738 A KR 20030087738A KR 20040050847 A KR20040050847 A KR 20040050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steam
base
liquid recover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7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1960B1 (ko
Inventor
필립 뒤무
발레리 뷜르모뒤꺄름므
니꼴라 프레트르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040050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1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1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발생장치(1)를 갖는 기저부(8)의 상부에 배치되는 조리 부재(3)를 포함하고 있는 증기식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리 부재는 외측벽부(35)를 가지고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상부에 액체 회수용 용기(2) 및/또는 조리 지지대(9)가 놓여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조리 부재(3)는 기저부(8) 상에 뒤집힌 상태로 놓여질 수 있으며, 외측벽부(35)는 기저부(8)를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둘러싸고 있다.

Description

축소 보관 가능한 증기식 조리기구{Steam cooker having a reduced bulk}
본 발명은 증기식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증기식 조리기구는 기저부의 증기발생장치 위에 놓여지는 조리통을 포함하고 있다. 증기발생장치에는 자동 물 가열장치가 장착될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조리통은 상호 포개져 놓이며, 하나의 뚜껑에 의해 폐쇄되는 하나 혹은 다수의 조리용기를 포함하고 있다. 조리용기는 증기의 통행을 위한 다수의 구멍과 외측벽부를 가지고 있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있다. 조리용기의 바닥부는 크기가 더 큰 조리통을 획득하기 위해 탈착식으로 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에는, 액체 회수용 통이 조리용기 아래쪽에 놓여질 수도 있다.
증기식 조리기구의 크기를 축소하기 위해 다단식의 포개져 놓이는 조리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조리 시의 조리기구 전체 모양을 살펴보면, 조리용기의 크기가 조리기구의 바닥부에서 상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져가는 모양을 나타낸다. 미사용 시의 조리용기 정리를 위해서는, 반대 순서로 조리용기들을 뒤집어 넣으면 조리용기의 크기가 바닥부에서 상부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줄어들어 가장 큰 조리용기 내부로 다른 조리용기들이 들어가게 된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면 정리 상태에서 조리기구의 높이는 축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정리 상태에서 조리기구의 높이는 여전히 단 하나의 조리용기만을 포함하는 조리기구의 높이보다는 높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보다 더 컴팩트한 유형의 정리 상태를 위해, 다단식으로 포개져 놓이는 주발형 증기식 조리기구가 제안되었다. 이 유형에 따르면, 기저부의 증기발생장치가 가장 작은 크기를 가진 주발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하지만, 이 형태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조리대와 맞닿아 있는 증기발생장치의 하부를 조리용기 내에 위치시켜야 한다는 단점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조리기구의 사용 시에는 증기발생용 물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는 증기발생장치를 들어올려야 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게다가, 증기발생장치에서 나오는 전기선이 용기들의 정리를 방해하기도 한다. 아울러, 정리 상태의 조리기구는 조리주발의 하부 상에 놓여진다. 이러한 형태는 특히 조리기구의 정리 및 청소에 부적합한 형태로서, 사용자가 많은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면 청결성의 문제가 야기되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리 시 상당히 컴팩트한 형태를 나타내는 증기식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한가지는 정리 시 어렵고 불필요한 조작 조건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상당히 컴팩트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증기식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는 외측벽부를 가지며 조리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증기식 조리기구로서, 조리 부재는 증기발생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기저부 위에 놓여지며, 증기발생장치는 필요한 경우 액체 회수용 통 및/또는 조리 지지대 위에 놓여진다. 상기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목적들은, 조리 부재가 뒤집힌 형태로 기저부에 놓여질 수 있으며, 상기 외측벽부는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이 기저부를 둘러쌀 수 있다는 사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상당히 컴팩트한 정리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를 얻기 위해 사용자가 증기식 조리기구의 기저부를 조작할 필요가 없다. 상기 조리 부재는 하나의 조리용기를 형성하기 위해 바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바닥부는 탈착식일 수 있다. 조리 부재는 또한 이 바닥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하나의 조리 지지대가 조리 부재 및 증기발생장치 사이에 놓여진다. 이 조리 지지대는 상당히 낮은 높이만을 차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리 부재가 기저부 상에서 뒤집힌 위치로 놓여졌을 경우, 조리 부재의 바닥부는 기저부에 닿는 형태로 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조리 부재의 측벽부와 조리대가 접촉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를 통해 조리 부재의 측벽부가 조리기구 기저부의 측벽부에 끼어서 움직이지 못하게 됨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리 부재는 조리용기를 형성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증기식 조리기구가 상호 포개져 놓이는 다수의 조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각각의 조리 부재들은 외측벽부를 가지며, 조리 부재들은 컴팩트한 정리형태를 가지기 위해 다단식으로 포개져 놓이는 것이 좋다. 이 때 가장 작은 조리 부재는 기저부 위에 놓여지며, 나머지 조리 부재들은 작은 크기 순으로 서로 포개져 놓인다. 가장 상부에 위치한 조리 부재가 가장 큰 크기를 가진 조리 부재이다. 그 결과 조리 부재들은 컴팩트한 정리형태를 가지기 위해 뒤집힌 형태로 상호 겹쳐져 놓인다.
바람직하게는, 증기식 조리기구가 하나의 뚜껑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 뚜껑은 기저부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조리 부재를 폐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뒤집힌 형태로 놓여진 조리 부재의 외측벽부의 하부를 둘러쌀 수 있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컴팩트한 정리형태가 유지되기도 하면서 다른 용기 위에 뒤집힌 형태로 놓여진 상부 조리 부재의 바닥부 혹은 증기식 조리기구 위에 뒤집힌 형태로 놓여진 일체화 된 조리 부재의 바닥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형태를 통해 하나 혹은 다수의 조리 부재 및 기저부 내로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최상의 뚜껑 안정성을 획득하기 위해 상기 덮개부가 상기 뒤집힌 형태로 놓여진 조리 부재의 외측벽부의 하부에 지지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조리기구 취급을 쉽게하기 위해 액체 회수용 용기가 측면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조리기구의 취급을 용이하게 해주는 취급장치가 하나 혹은 다수의 조리 부재 상부에 놓여지는 것이 좋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하나 혹은 다수의 조리 부재를 쉽게 취급함과 동시에 이 조리 부재들을 컴팩트한 형태로 쌓아서 정리 보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저부는 넣었다 뺏다 할 수 있는 물 주입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형태는 물 주입의 용이성과 조리기구의 컴팩트한 정리형태를 상호 양립할 수 있게 해준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入出) 가능한 물 주입장치는 액체 회수용 용기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가열 기저부 내에 배치되는 것보다 더 최상의 컴팩트한 정리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상, 입출 가능한 물 주입장치를 액체 회수용 용기 아래에 배치하게 되면 물 주입장치가 액체 회수용 용기의 표면부만을 차지하게 되는 반면, 가열 기저부 내에 배치하게 되면 물 주입을 방해하는 방수성의 문제로 인해 일정 높이에서 가열 기저부의 표면부 전체를 막아버리게 된다. 그러므로 물 주입장치가 액체 회수용 용기 하부에 배치되는 형태를 통해 동등한 물 저장고 용량에서 더 낮은 높이를 만들어 주게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출 가능한 물 주입장치가 액체 회수용 용기 바닥부에서 솟아 있는 융기부 아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액체 회수용 용기의 용량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면서 이 용기의 크기를 최적화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입출 가능한 물 주입장치는 액체 회수용 용기의 바닥부 아래에 하나의 드로어(drawer)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물 주입장치가 저장용 통을 형성하는 이동식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측벽은 수평 회전 축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로어는 액체 회수용 용기의 바닥부 아래에서 하나의 회전축을 따라 회전식으로 장착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드로어가 슬라이드 방식으로 장착되는 유형의 또 다른 실시 형태가 예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기저부의 환형 외측벽이 상기 기저부 위에서 뒤집힌 형태로 놓여지는 쌀찜통을 둘러싸는 것이 좋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부속품의 정리에도 불구하고 컴팩트한 정리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쌀찜통이 액체 회수용 용기 바닥부의 융기부 상에 놓여지는 하나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컴팩트한 특성과 취급상의 용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물 주입장치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가 상기 쌀찜통의 측면부에서 파생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측면부가 상기 쌀주불의 내부쪽으로 휘어져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저부 위에서 뒤집힌 상태로 놓여진 조리 부재 가 쌀찜통 위에 놓여진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기저부가 취급의 용이성을 위한 취급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증기식 조리기구의 사용 상태의 정면 단면도로서, 기저부는 가열 기저부 및 액체 회수용 용기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증기식 조리기구의 정리 상태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증기식 조리기구의 정리 상태의 측면 단면도로서, 상부 조리용기 및 뚜껑은 나타나 있지 않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증기식 조리기구의 정면 단면도로서, 기저부는 단지 가열 기저부만을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증기식 조리기구의 사용 상태의 정면 단면도로서, 기저부는 가열 기저부 및 조리 지지대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증기식 조리기구의 정리 상태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증기식 조리기구의 정리 상태의 정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증기식 조리기구의 정리 상태에서 액체 회수용 용기 내에 놓여져 있는 쌀찜통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기술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세 가지 실시예와 한 가지 변형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도 1은 상호 포개져 놓여 있는 증기발생장치(1), 액체 회수용 용기(2), 조리 부재들(3, 4, 5) 그리고 뚜껑(6)을 포함하고 있는 증기식 조리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증기발생장치(1)는 비등실(11)과 통하는 물 저장고(10)를 포함하고 있다. 비등실 내에는 하나의 가열 부재(12)가 배치된다. 하나의 관(13)이 물 저장고(10)와 비등실(11)을 구획하고 있다. 증기발생장치(1)는 외측벽(14)을 가지고 있다. 물 저장고(10)는 하나의 베이스(19) 상에 장착된다. 조리기구의 전기 파트는 이 베이스(19) 내에 놓여진다. 취급의 용이성을 위한 취급장치(70)가 증기발생장치(1)의 측벽(14) 상에 배치된다. 이 취급장치(70)는 베이스(19)에 연결된 채 직경 반대쪽 방향으로 뻗어 있는 두 개의 손잡이로 형성된다. 취급장치(70)는 측벽(14)에 대해 돌출되어 있다.
증기발생장치(1) 상에 놓여지는 액체 회수용 용기(2)는 조리 액체 또는 조리 부재들(3,4,5)에서 흘러 나오는 응축물을 수용하는데 사용되는 하나의 바닥부(20)를 가지고 있다. 상기 바닥부(20)에서 파생되는 하나의 배출장치(21)는 그 측벽들(22)과 하나의 천장부(23)를 가지고 있다. 상기 측벽들(22)의 상부에는 비등실(11)에서 파생되는 증기의 통행을 위해 만들어진 구멍들(24)이 있다. 환형의 외측벽(25)이 상기 바닥부(20)를 둘러싸고 있다. 상기 배출장치(21)의 높이는 상기 환형의 외측벽(25)의 높이보다 낮다.
액체 회수용 용기(2)는 물 저장고(10)의 주입장치(7)를 포함하고 있다. 물 주입장치(7)는 넣었다 뺏다 할 수 있다. 물 주입장치(7)는 액체 회수용 용기(2)의 바닥부(20) 아래에 장착된 하나의 드로어(26)를 포함하고 있다. 이 드로어(26)는 하나의 회전축(27)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축(27)은 상기 바닥부(20)의 하부면에서 연장된다. 드로어(26)는 상기 바닥부(20)에서 솟아있는 융기부(28) 아래에 놓여진다. 특히, 상기 회전축(27)은 상기 융기부(28)로부터 연장된다. 드로어(26)는 물 저장고(10) 내로 물이 잘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물 저장고(10)의 내부쪽으로 기울어진 바닥 격벽(29)을 가진다.증기발생장치(1)의 외측벽(14)은 상기 드로어(26)를 자리잡게 하기 위해 마련된 상부 균열부(15)를 포함한다. 하나의 덮개(18)가 액체 회수용 용기(2)의 바닥부(20) 아래에 놓여진다. 물 주입장치(7)는 상기 덮개(18)의 외부쪽에 배치된다.
액체 회수용 용기(2)는 증기발생장치(1) 상에 놓이는 외부 환형 측면 리브(16)를 가지고 있다. 환형의 외측벽(25)은 상기 리브(16) 상에서 액체 회수용 용기(2)의 취급 용이성을 위해 형성된 측면 보강부(17)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조리 부재들(3,4,5)은 외측벽부(35,45,55)를 가지고 있다. 가장 작은 조리 부재(3)는 자신의 외측벽부(35)에 대해 고정된 바닥부(30)를 포함하고 있다. 중간 크기의 조리 부재(4)는 자신의 외측벽부(45)에 대해 탈착식 바닥부(40)를 포함하고 있다. 가장 큰 조리 부재(5)는 자신의 외측벽부(55)에 대해 탈착식 바닥부(50)를 포함하고 있다. 조리 부재들(3,4,5)은 탈착식 바닥부들(40,50)이 자리에 놓여졌을 때 각각 독립적인 조리용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조리 부재들(3,4,5)은 탈착식 바닥부들(40,50) 중 하나 혹은 둘 다 제거되었을 경우에는 더욱 크기가 커진 조리용기를 형성하게 된다.
각각의 탈착식 바닥부들(40,50)은 국제특허 WO 00/30511에서 상세히 기술되고 있는 고정 수단(41,51)을 포함하고 있다. 취급의 용이성을 위한 취급장치들(32, 42,52)이 각각의 조리 부재(3,4,5) 상부에 배치된다. 각각의 취급장치들(32,42,52)은, 예를 들어, 외부 플랜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외부 플랜지들은 그 상부에서 뚜껑(6)의 덮개부(60) 하부를 수용하도록 예정되어 있는 끼움부(33,43,53)를 포함하고 있다. 그 결과, 뚜껑(6)이 각각의 조리 부재(3,4,5)에 끼워 맞추어질 수있다.
조리 부재(3,4,5)들은 다단식으로 포개져 놓이는 형태를 나타낸다. 조리 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가장 큰 조리 부재(5)는 뚜껑 바로 밑에 놓여지고, 가장 작은 조리 부재(3)는 액체 회수용 용기(2) 바로 위에 놓여지며, 중간 크기의 조리 부재(4)는 상기 두 조리 부재들 사이에 놓여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리 시에는 가장 작은 조리 부재(3)가 중간 크기의 조리 부재(4) 속으로, 그리고 이 중간 크기 조리 부재는 다시 가장 큰 조리 부재(5) 속으로 들어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장 작은 조리 부재(3)는 증기발생장치(1) 상에 놓여지는 액체 회수용 용기(2) 위에서 뒤집혀져 놓여질 수 있다. 이 때, 나머지 조리 부재들(4, 5)도 마찬가지로 뒤집힌 채 쌓아 올려진다. 뚜껑(6)은 가장 큰 조리 부재(5) 위에 놓여진다. 그 결과 조리기구가 정리 위치에 놓여졌을 때, 증기발생장치(1)에 의해 형성되는 기저부(8)와 액체 회수용 용기(2)는 조리대 상에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사용자는 조리기구의 기저부(8)에 손댈 필요가 없는 것이다. 단지 조리 부재들(3,4,5)만을 세척 후 기저부(8) 상에 뒤집어 놓으면 되는 것이다.
뚜껑(6)은 조리 시 사용된 형태 그대로 보존될 수 있다. 뚜껑 덮개부(60)는 가장 큰 조리 부재(5)가 뒤집혀 놓여졌을 때 조리 부재의 바닥부(50)를 둘러싸게 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덮개부(60)는 뒤집힌 조리 부재(5)의 외측벽부(55) 하부 위에 놓여진다. 나머지 조리 부재들(3,5)이 뒤집혀 놓여졌을 때 중간 크기 조리 부재(4)의 외측벽부(45)는 나머지 조리 부재들의 외측벽부(35,55) 사이에 놓여진다. 가장 작은 조리 부재(3)의 외측벽부(35)는 조리 부재(3)가 뒤집혀 놓여졌을 때 증기발생장치(1) 상에 위치하는 액체 회수용 용기(2)를 둘러싸게 된다. 취급의 용이성을 위한 취급장치들(70,32,42,52)은 상호 포개져 놓여진다. 그 결과, 사용자는 기저부(8) 상에서 뒤집힌 채 놓여진 조리 부재(3,4,5)의 수가 몇개이던 간에 증기발생장치에 있는 취급장치(7) 및 조리 부재들에 있는 취급장치들 (32,42,52)을 잡고 정리 상태의 증기식 조리기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가장 작은 조리 부재(3)의 외측벽부(35)는 증기식 조리기구의 기저부(8)를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둘러싸게 된다.
증기발생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부(8) 상에서 뒤집힌 상태로 놓여 있는 조리 부재(3) 아래쪽에 있는 전기 코드(80) 및 타이머(71)를 포함하고 있다. 전기 코드(80)는 베이스(19)에 연결되어 있다. 전기 코드(80)는 증기식 조리기구가 정리 위치로 놓여 있을 경우에도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타이머(71)는 상기 베이스(19)의 측벽 상에 장착된다.
도 4는 상호 포개진 채 조리 상태에 놓여져 있는 증기발생장치(1'), 조리 부재(3', 4', 5') 및 뚜껑(6')을 포함하고 있는 증기식 조리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 변형 실시예는, 조리기구의 기저부(8')가 증기발생장치(1')는 여전히 포함하고 있지만 액체 회수용 용기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앞선 실시예와 다르다. 하부 조리 부재(3')는 증기발생장치(1') 위에 놓여진다.
증기발생장치(1')는 비등실(11')과 통하는 물 저장고(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비등실 내에는 하나의 가열 부재(12')가 장착되어 있다. 하나의 관(13')이 상기 물 조장고(10') 및 비등실(11')을 구획하고 있다. 증기발생장치(1')는 외측벽(14')을 가지고 있다. 하부 조리 부재(3')는 외측벽부(35') 및 바닥부(30')를 포함한다. 조리 부재(3')는 외측벽(14')의 정상부에 놓여진다. 관(13')은 측벽들(22')과 하나의 천장부(23')를 가지고 있다. 상기 측벽들(22')의 상부에는 비등실(11')에서 파생되는 증기의 통행을 위해 만들어진 구멍들(24')이 있다. 중간 크기 조리 부재(4')는 외측벽부(45') 및 탈착식 바닥부(4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부 조리 부재(5')는 외측벽부(55') 및 탈착식 바닥부(50')를 포함하고 있다.
조리 부재들(3',4',5')은 정리 위치를 취하기 위해서 기저부(8') 상에서 뒤집혀 놓여진다. 이때, 하부 조리 부재(3')는 증기발생장치(1) 위에 뒤집혀 놓여진다. 이때, 상기 조리 부재(3')의 외측벽부(35')는 증기식 조리기구의 기저부(8')를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둘러싸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식 조리기구의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상호 포개져 있는 증기발생장치(1"), 액체 회수용 용기(2"), 조리 지지대(9), 하나의 조리 부재(3") 및 뚜껑(6")을 포함하고 있는 증기식 조리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증기발생장치(1"), 액체 회수용 용기(2") 및 뚜껑(6")은 제 1 실시예에서 나타난 증기발생장치(1), 액체 회수용 용기(2) 및 뚜껑(6)과 동일한 것이다.
액체 회수용 용기(2")는 취급 용이성을 위해 예정된 보강부(17")를 갖추고있는 외측벽부(15")와 입출 가능한 물 주입장치(7")를 포함한다.
조리 부재(3")는 외측벽부(35")를 포함하고 있으나, 조리할 음식을 수용하기 위해 예정된 바닥부는 가지고 있지 않다.
조리 지지대(9)는 액체 회수용 용기(2")와 조리 부재(3") 사이에 배치된다. 이 조리 지지대는 구멍이 난 바닥부(90)를 포함하고 있다. 바닥부(90)는 취급 용이성을 위해 예정된 보강부(97)를 갖추고 있는 외측벽부(95)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기저부(8")는 증기발생장치(1"), 액체 회수용 용기(2"), 그리고 조리 지지대(9)에 의해 형성된다.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증기식 조리기구의 정리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조리 부재(3")의 외측벽부(35")는 증기식 조리기구의 기저부(8")를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둘러싸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식 조리기구의 제 3 실시예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상호 포개져 있는 증기발생장치(1"'), 액체 회수용 용기(2"'), 조리 부재들(3"',4"',5"') 및 뚜껑(6")을 포함하는 증기식 조리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증기발생장치(1"'), 액체 회수용 용기(2"') 및 뚜껑(6"')은 제 1 실시예에서 나타난 증기발생장치(1), 액체 회수용 용기(2) 및 뚜껑(6)과 유사한 구성을 나타낸다. 각각의 조리 부재들(3"',4"',5"')은 고정 수단(31"',41"',51"')을 갖춘 탈착식 바닥부(30"',40"',50"') 및 외측벽부(35"',45"',55"')를 나타낸다.
액체 회수용 용기(2"')는 취급 용이성을 위해 예정된 보강부(17"')를 갖추고있는 환형의 외측벽부(25"')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바닥부(20"')를 포함하며, 또한 입출 가능한 물 주입장치(7"')도 포함한다. 물 주입장치(7"')는 액체 회수용 용기(2"') 바닥부(20"')에서 솟아 있는 융기부(28"') 아래에 회동식으로 장착된 드로어(26"')를 포함하고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쌀 주발(100)은 배출장치(21"') 주변에서 액체 회수용 용기(2"') 내에 뒤집힌 상태로 놓여질 수 있다. 쌀찜통(100)은 네 개의 받침 발(109)을 갖추고 있는 하나의 바닥부(101)를 가지고 있다. 상호 대립된 상태로 놓여진 두 개의 손잡이(103, 104)가 붙어 있는 측벽(102)이 바닥부(101) 위로 올라와 있다. 손잡이들(103, 104)은 내부로 구부러져 있는 표면부(105, 106)에서 이어져 나온다. 손잡이들(103, 104)은 측벽(102)의 상부 가장자리(109)의 길이로 배열된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하나의 손잡이(103) 혹은 다른 손잡이(104)가 액체 회수용 용기(2"') 바닥부(20"')에서 솟아 있는 융기부(28"') 위에 위치될 수 있다. 측벽(102)은 외부로 굽은 형상을 띄는 두 개의 다른 표면(107, 108)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를 통해 쌀찜통(100)의 용량이 증대될 수 있다.
기저부(8"')는 증기발생장치(1"') 및 액체 회수용 용기(2"')에 의해 형성된다. 증기발생장치(1"')는 증기식 조리기구의 취급을 용이하게 해주는데 사용되는 취급장치들(70"')을 포함하고 있다.
정리 상태에서, 조리 부재(3"')는 기저부(8"') 상에 뒤집혀 놓여진다. 조리 부재(3"')는 기저부(8"') 내에서 뒤집혀 놓여 있는 쌀찜통(100) 위에 놓여진다. 조리 부재(3"')의 바닥부(30"')는 쌀찜통(100)의 바닥부(101) 상에 놓여지며, 특히상기 바닥부(101)의 받침 발(109) 위에 놓여진다. 쌀찜통(100)은 액체 회수용 용기(2"') 내에서 뒤집힌 상태로 놓여진다. 기저부(8"')의 환형 외측벽부(25"')는 기저부(8"') 상에서 뒤집힌 상태로 놓여있는 쌀찜통(100)을 둘러싸고 있다. 조리 부재(3"')의 외측벽부(35"')는 부분적으로 기저부(8"')를 둘러싸고 있다.
상기 실시예들 중의 한 가지 변형 실시예로서, 배출장치(21)의 높이는 액체 회수용 용기(2)의 환형 외측벽부(25) 정상부 높이와 같을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증기식 조리기구는 다수의 중간 크기 조리 부재들을 포함할 수도, 혹은 이들을 하나도 포함하지 않을 수도, 혹은 단 하나의 조리 부재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하나 혹은 다수의 조리 부재들은 증기식 조리기구의 기저부 상에 뒤집혀 놓여질 수 있는 것들이다. 각각의 조리 부재들은 조리할 음식을 수용하기 위한 고정식 바닥부를 포함할 수도, 혹은 탈착식 바닥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한 바닥부를 아예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하나 혹은 다수의 조리 부재들의 하나 혹은 다수의 탈착식 바닥부들은 기저부 상에 뒤집힌 상태로 놓여지는 하나 혹은 다수의 외측벽부 위에서 뚜껑 아래 부분에 정리될 수 있다. 만일 증기식 조리기구가 하나의 쌀찜통을 포함하고 있다면, 필요할 경우 하나 혹은 다수의 탈착식 바닥부들은 기저부 상에서 뒤집혀 놓여져 있는 쌀찜통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증기식 조리기구는 입출 가능한 물 주입장치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혹은 증기발생장치 내에 놓여지는 입출 가능한 물 주입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입출 가능한 물 주입장치(7,7",7"')의 드로어(26,26", 26"')는 꼭 회전식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슬라이식일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회전축(27)은 꼭 액체 회수용 용기(2)의 바닥부(20)로부터 연장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액체 회수용 용기(2)의 바닥부(20) 아래에 끼워 넣어진 하나의 부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증기식 조리기구의 기저부는 액체 회수용 용기를 포함하지 않은 채, 증기발생장치 및 이 증기발생장치 상에 놓여지는 조리 지지대 만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증기발생장치는 조리기구의 취급 용이성을 위한 취급장치들을 포함 할 수도, 혹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쌀찜통(100)은 액체 회수용 용기 없이 증기발생장치(1') 내에 뒤집혀 놓일 수도, 혹은 조리 지지대(9) 내에 뒤집혀 놓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증기발생장치(1')는 환형의 외측벽부(14')를, 조리 지지대(9)는 환형의 외측벽부(95)를 가지게 된다.
변형 실시예로서, 기저부(8"') 상에 뒤집힌 상태로 놓여져 있는 조리 부재(3"')가 꼭 쌀찜통(100) 위에 놓여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위에서 기술된 실시예 및 그 변형 실시예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이하의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실현 가능한 다양한 변이형들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식 조리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조리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다수의 조리 부재들을 뒤집어 다단식으로 포개어 정리할 수 있다는 구성 형태를 통해 매우 컴팩트한 정리 형태를 획득할 수 있다. 더우기 사용자는 본 발명의 구성상의 특성으로 인해 조리기구의 정리 시 조리기구를 들어올린다거나 하는 등의 불필요한 행동을 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이처럼 정리된 조리기구는 좁은 공간만을 차지하게 된다.

Claims (17)

  1. 증기발생장치(1,1',1",1"')를 갖는 기저부(8,8',8",8"')의 상부에 배치되는 조리 부재(3,3',3",3"')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 부재는 외측벽부(35,35',35",35"')를 가지며, 필요에 따라 상기 증기발생장치의 상부에 액체 회수용 용기(2, 2",2"') 및/또는 조리 지지대(9)가 놓여질 수 있고,
    상기 조리 부재(3,3',3",3"')는 상기 기저부(8,8',8",8"') 상에 뒤집힌 상태로 놓여질 수 있는 것과,
    이때, 상기 외측벽부(35,35',35",35"')는 상기 기저부(8,8',8",8"')를 최소한 부분적으로나마 둘러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부재(3,3')가 상기 기저부(8,8') 상에서 뒤집힌 상태로 놓여질 때, 상기 조리 부재(3,3')는 상기 기저부(8,8') 상에 놓여 지는 바닥부(30,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 외측벽부(45,55;45',55';45"',55"')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조리 부재들(4,5;4',5';4"',5"')을 더 포함하고,상기 조리 부재들(3,4,5;3',4',5';3"',4"',5"')은 다단식으로 포개져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8,8',8",8"')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조리 부재(5,5',3",5"')를 폐쇄하는데 사용되는 하나의 뚜껑(6,6',6",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6,6',6",6"')은 뒤집힌 상태로 놓여있는 상기 조리 부재(5)의 외측벽부(55) 하부를 둘러쌀 수 있는 덮개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60)는 뒤집힌 상태로 놓여있는 상기 조리 부재(5)의 외측벽부(55) 하부 위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회수용 용기 (2,2",2"')는 취급 용이성을 위해 예정된 보강부(17,17",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혹은 다수의 조리 부재(3,4,5)의 상부에는 취급 용이성을 위한 취급장치(32,42,5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8,8",8"')는 넣었다 뺏다 할 수 있는 물 주입장치(7, 7", 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가능한 물 주입장치(7, 7", 7"')는 상기 액체 회수용 용기(2, 2", 2"')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가능한 물 주입장치(7,7"')가 상기 액체 회수용 용기(2,2"') 바닥부(20,20"')에서 솟아 있는 융기부(28,28"')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입출 가능한 물 주입장치(7,7"')는 상기 액체 회수용 용기(2,2"')의 바닥부(20,20"') 아래에 놓여 있는 드로어(26, 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26,26"')는 상기 액체 회수용 용기(2,2"')의 바닥부(20,20"') 아래에서 회전축(2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8"')의 환형 외측벽부(25"')는 상기 기저부(8"') 상에서 뒤집힌 상태로 놓여 있는 하나의 쌀찜통(100)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8"')의 환형 외측벽부(25"')는 상기 기저부(8"') 상에서 뒤집힌 상태로 놓여 있는 하나의 쌀찜통(100)을 둘러싸고, 상기 쌀찜통(100)은 액체 회수용 용기(2"') 바닥부(20"')에서 솟아 있는 융기부(28"') 윗 부분에 있는 하나의 손잡이(10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3)는 상기 쌀찜통(100)의 측면부(105)에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105)는 상기 쌀찜통(100) 내부로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부(8"') 상에서 뒤집힌 상태로 놓여 있는 조리 부재(3"')는 상기 쌀찜통(100) 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발생장치(1,1"')는 취급 용이성을 위한 취급장치(70, 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식 조리기구.
KR1020030087738A 2002-12-10 2003-12-04 축소 보관 가능한 증기식 조리기구 KR100951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15591 2002-12-10
FR0215591A FR2848086B1 (fr) 2002-12-10 2002-12-10 Cuiseur vapeur a encombrement reduit
EP03356025.1 2003-02-14
EP03356025A EP1428462B1 (fr) 2002-12-10 2003-02-14 Cuiseur vapeur a encombrement red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847A true KR20040050847A (ko) 2004-06-17
KR100951960B1 KR100951960B1 (ko) 2010-04-09

Family

ID=3251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7738A KR100951960B1 (ko) 2002-12-10 2003-12-04 축소 보관 가능한 증기식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040112372A1 (ko)
EP (1) EP1428462B1 (ko)
JP (1) JP4142560B2 (ko)
KR (1) KR100951960B1 (ko)
CN (1) CN1283197C (ko)
AT (1) ATE322208T1 (ko)
CA (1) CA2452607C (ko)
DE (1) DE60304424T2 (ko)
FR (1) FR2848086B1 (ko)
RU (1) RU232441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8702B2 (en) * 2004-11-22 2007-04-24 Goodway Electrical Co., Ltd. Steam cooker
CN101357038B (zh) * 2007-07-30 2010-12-15 徐佳义 多功能汽锅及其控制方法
FR2925274A1 (fr) * 2007-12-21 2009-06-26 Seb Sa Base de cuiseur vapeur avec dispositif de remplissage
CN101822490A (zh) * 2009-12-04 2010-09-08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可减小包装体积的蒸煮器具
AU2011208446B2 (en) * 2010-01-20 2015-11-26 Chef 2000 (Pty) Ltd Food steaming apparatus
FR2955760B1 (fr) * 2010-02-04 2012-03-23 Herve Meledo Organe de jonction bord a bord d'un premier et d'un second plat de cuisson
JP5396370B2 (ja) * 2010-11-09 2014-01-2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蒸し調理装置
KR101307628B1 (ko) * 2011-07-21 2013-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응축수 안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기
CN202262892U (zh) * 2011-09-27 2012-06-06 周建章 多功能处理器
FR2980348B1 (fr) * 2011-09-28 2013-10-11 Seb Sa Cuiseur vapeur avec dispositif de remplissage du reservoir d'eau en cours de cuisson
CN202386521U (zh) * 2011-11-01 2012-08-22 周建章 一种食物处理机的蒸汽通道结构及食物处理机
CN102551512B (zh) * 2012-01-18 2014-07-16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电蒸锅的蒸汽发生装置
US20130216650A1 (en) * 2012-02-22 2013-08-22 Texas Sake Co. Steamer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02613883B (zh) * 2012-03-23 2014-10-0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可减少包装体积的电蒸锅
EP2852306B1 (en) * 2012-07-19 2015-11-18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steaming food
WO2014013417A2 (en) * 2012-07-19 2014-01-23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steaming food
RU2515462C1 (ru) * 2012-09-10 2014-05-10 Сергей Владимирович Шалаш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на пару
FR3014665B1 (fr) * 2013-12-13 2016-02-05 Seb Sa Procede et appareil de chauffage et/ou de cuisson d'aliments a la vapeur
CN203970079U (zh) * 2014-06-19 2014-12-03 湖北香江电器股份有限公司 水箱式电蒸锅
FR3051647B1 (fr) * 2016-05-31 2018-06-01 Seb S.A. Accessoire cuiseur vapeur pour chauffer et/ou cuire a la vapeur des aliments contenus dans un recipient
GB201616559D0 (en) * 2016-09-29 2016-11-16 Ocado Innovation Limited Robotic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R3060288B1 (fr) 2016-12-20 2019-05-31 Seb S.A. Cuiseur vapeur comportant un recipient et un accessoire pour chauffer et/ou cuire a la vapeur des aliments contenus dans le recipient
FR3060287B1 (fr) * 2016-12-20 2019-07-26 Seb S.A. Accessoire cuiseur vapeur perfectionne pour chauffer et/ou cuire a la vapeur des aliments contenus dans un recipient
CN106805784B (zh) * 2017-01-25 2023-10-24 罗江祺 一种光波炉的增高结构及其应用该结构的光波炉
US11253098B2 (en) * 2018-03-16 2022-02-22 Les Promotions Atlantiques Inc. Hot-dog steame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4063A (en) * 1875-06-01 Improvement in culinary steamers
US691380A (en) * 1901-04-15 1902-01-21 Aten Bowman Hower Steam-cooker.
US1751241A (en) * 1926-06-02 1930-03-18 Victoria A Kincannon Electric stove and attachment
DE1253879B (de) * 1956-06-11 1967-11-09 Ludwig Baumann Turmkochvorrichtung
US4574776A (en) * 1984-06-05 1986-03-11 Panhandle Industries, Inc. Cooking utensil
US4938202A (en) * 1985-04-24 1990-07-03 Pyromid, Inc. Outdoor cooking unit with disposable component
US4920251A (en) * 1989-02-28 1990-04-24 Acry Industries, Incorporated Compact, efficient, easy-to-clean food steamer for home use, with safety features and versatile modular food compartment
DE9101938U1 (de) * 1991-02-19 1992-06-17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7340 Geislingen Kochgeschirrsatz
US5097753B1 (en) * 1991-06-10 1997-03-18 Black & Decker Inc Steam cooking utensil
DE9321150U1 (de) * 1993-04-26 1996-07-11 Heinrich Berndes GmbH & Co KG, 59757 Arnsberg Stapel-Topfset
DE4330653A1 (de) * 1993-04-26 1994-10-27 Berndes Heinrich Gmbh Co Kg Stapel-Topfset
KR20000005187U (ko) * 1998-08-25 2000-03-25 신영열 다층찜통
FR2786082B1 (fr) 1998-11-19 2000-12-29 Seb Sa Recipient de cuisson pour cuiseur a la vapeur
FR2794014B1 (fr) * 1999-05-31 2001-07-27 Seb Sa Appareil culinaire electrique multi-fonctions
JP2002262995A (ja) 2001-03-07 2002-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蓋付きマイクロ波調理用鍋
FR2823962B1 (fr) * 2001-04-26 2003-08-01 Seb Sa Appareil electromenager de cuisson a la vapeur a degagement de vapeur red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12372A1 (en) 2004-06-17
CN1283197C (zh) 2006-11-08
RU2003135821A (ru) 2005-05-20
JP2004188197A (ja) 2004-07-08
CA2452607A1 (fr) 2004-06-10
ATE322208T1 (de) 2006-04-15
JP4142560B2 (ja) 2008-09-03
KR100951960B1 (ko) 2010-04-09
CA2452607C (fr) 2010-02-02
EP1428462B1 (fr) 2006-04-05
RU2324418C2 (ru) 2008-05-20
FR2848086B1 (fr) 2006-05-05
FR2848086A1 (fr) 2004-06-11
DE60304424T2 (de) 2007-04-19
CN1506010A (zh) 2004-06-23
EP1428462A1 (fr) 2004-06-16
DE60304424D1 (de) 2006-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1960B1 (ko) 축소 보관 가능한 증기식 조리기구
RU2638865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осуда
EP0739179B1 (en) Steam cooker
US6603099B2 (en) Multifunction electrical cooking appliance
EP2084084B1 (en) Culinary steamer
US20030167932A1 (en) Stackable and configurable colander apparatus
US11253098B2 (en) Hot-dog steamer system
US7487715B2 (en) Utensil for slow-cook cycle steaming
CA2530825C (en) Combined food cooker and steamer
KR100812295B1 (ko) 조리장치
KR20100033463A (ko)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JP3678214B2 (ja) 電気調理器
KR200422311Y1 (ko) 조리장치 및 이를 위한 가열장치
CN219803606U (zh) 电煮锅
CN220832793U (zh) 用于食品料理机的烹饪插件
KR200277098Y1 (ko) 전기 쿠커
JP3684923B2 (ja) シチリン
CN217610502U (zh) 一种防冷凝水的多功能锅
CN211722759U (zh) 烹饪器具
CN220898451U (zh) 电煮锅
KR100625291B1 (ko) 찜 조리용 가열기구
KR200406407Y1 (ko) 이동식 어묵 조리기
RU2192156C1 (ru) Насадка кулинарная
CA2998217A1 (en) Hot-dog steamer system
JP3147758U (ja) 調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