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7260A -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7260A
KR20040027260A KR1020030001857A KR20030001857A KR20040027260A KR 20040027260 A KR20040027260 A KR 20040027260A KR 1020030001857 A KR1020030001857 A KR 1020030001857A KR 20030001857 A KR20030001857 A KR 20030001857A KR 20040027260 A KR20040027260 A KR 20040027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data
recorded
defec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철
김성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3/00197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4029940A1/en
Priority to CA2480064A priority patent/CA2480064C/en
Priority to EP03798593A priority patent/EP1543507A1/en
Priority to CNB038120828A priority patent/CN100474403C/zh
Priority to AU2003264976A priority patent/AU2003264976A1/en
Priority to JP2004539640A priority patent/JP2006500723A/ja
Priority to TW092126738A priority patent/TWI286744B/zh
Priority to KR1020057005209A priority patent/KR101024921B1/ko
Priority to RU2004125875/28A priority patent/RU2373585C2/ru
Priority to US10/670,381 priority patent/US7532551B2/en
Publication of KR20040027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7260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와 같은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스페어 영역 또는 다른 데이터 영역에 효율적으로 대체 기록 및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시. 디펙트 영역 대신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독출 재생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데이터 기록동작 이전에 인식하게 되는 기록 가능한 데이터 용량과, 디펙트 영역으로 인해 감소하게 되는 실제 기록 가능한 데이터 용량간의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중요한 디펙트 리스트 정보의 손상으로 인해 치명적인 재생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며, 그리고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시 새롭게 검출되는 디펙트 영역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Method for managing a defect area on optical disc write once}
본 발명은,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 Blu-ray Disc Write Once)와 같은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광디스크, 예를 들어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W)가 개발 출시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편, 상기 BD-RW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광디스크 장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10)에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광픽업(11); 상기 광픽업(11)으로부터 독출되는 신호를 재생신호 처리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기록에 적합한 기록신호로 변조 및 신호 처리하는 VDR(Video Disc Recorder) 시스템(12);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엔코딩하여, 상기 VDR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엔코더(13) 등이 포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BD-RW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인 영역(LIA: Lead-In Area)과 데이터 영역(Data Area), 그리고 리드아웃 영역(LOA: Lead-Out Area)이 구분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영역의 선두 및 후단에는, 이너 스페어 영역(ISA: Inner Spare Area)과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 Outer Spare Area)이 구분 할당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광디스크 장치의 VDR 시스템(12)에서는, 외부 입력 데이터를 기록에 적합한 기록신호로 엔코딩 및 변조한 후, 소정의 기록크기를 갖는 에러정정 블록(ECC Block) 단위에 대응되는 클러스터(Cluster) 단위로 기록하게 되는 데, 이때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를 기록하던 도중, 상기 데이터 영역에 디펙트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그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클러스터 단위의 데이터를, 상기 스페어 영역, 예를 들어 이너 스페어 영역(ISA)에 대체 기록하는 일련의 대체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디스크 장치의 VDR 시스템(12)에서는, 상기 BD-RW의 데이터 영역에 디펙트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그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클러스터 단위의 데이터를, 상기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한 후, 재생동작 수행시, 상기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함으로써, 데이터 기록 오류를 사전에 방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 규격화 작업이 논의되고 있는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에 대한 효율적인 디펙트 영역 관리방안이 아직 마련되어 않아, 그 해결방안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와 같은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 영역 또는 스페어 영역에 효율적으로 대체 기록 및 관리하기 위한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광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W)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을 도식화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제2 및 제3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제4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제5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제6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디펙트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제7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제8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광디스크11 : 광픽업
12 : VDR 시스템13 : 엔코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은,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 도중, 새롭게 검출되는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특정 영역에 대체 기록하는 1단계; 상기 디펙트 영역과 대체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특정 영역에 기록하는 2단계; 및 상기 특정 영역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억세스하기 위한 정보를, 리드인 영역 내에 기록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은,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 도중, 새롭게 검출되는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특정 영역에 대체 기록하는 1단계; 상기 디펙트 영역과 대체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데이터 영역 이전의 특정 기록 구간 내에 기록하는 2단계; 및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억세스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영역 이전의 특정 기록 구간 내에 기록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으로, 예를 들어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에는, 리드인 영역(LIA)과, 데이터 영역(Data Area), 그리고 리드아웃(LOA) 영역이 구분 할당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바 있는 광디스크 장치의 VDR 시스템(12)에서는, 데이터 기록동작 수행시, 상기 데이터 영역의 소정 기록구간에 데이터를 연속 기록하게 되는 데, 상기 소정 기록구간은, 데이터 기록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디펙트 영역 검출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물리적 트랙(Physical Track) 또는 클러스터(Cluster)에 대응되는 기록크기의 디펙트 검출 유니트(DVU: Defect Verify Unit)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VDR 시스템(12)에서는, 상기 디펙트 검출 유니트(DVU)에 데이터를 기록한 후, 그 디펙트 검출 유니트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여, 데이터의 정상 기록여부를 확인함으로써, 디펙트 영역을 검출하는 일련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5 클러스터(Cluster #1∼#5)를 제1 디펙트 검출 유니트(DVU #1)로 연속 기록한 후(S10), 그 제1 디펙트 검출 유니트에 기록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디펙트 영역을 검출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클러스터에 디펙트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S11), 그 제2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 예를 들어 상기 VDR 시스템의 내부 버퍼(미도시)에 임시 저장된 제2 클러스터의 데이터를, 상기 제5 클러스터 이후에 연속하여 기록하는 대체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2).
그리고, 상기 대체 기록동작 이후, 상기 제1 디펙트 검출 유니트의 제3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하게 되는 데, 이때 제4 클러스터에 디펙트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S13), 그 제4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 예를 들어 상기 VDR 시스템의 내부 버퍼에 임시 저장된 제4 클러스터의 데이터를, 상기 제5 클러스터 이후에 연속하여 대체 기록된 제2 클러스터에 연속하여 기록하는 대체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4).
따라서, 상기 제1 디펙트 검출 유니트에는, 정상 기록된 제1, 제3 및 제5 클러스터와, 2 개의 디펙트 영역, 그리고 대체 기록된 제2 및 제4 클러스터가 포함 기록된다.
한편, 상기 VDR 시스템(12)에서는, 상기와 같은 디펙트 영역 검출 및 대체 기록동작을, 상기 디펙트 검출 유니트(DVU #1, DVU #2.. DVU #n) 단위로 반복 수행하던 도중, 시간적 연속성을 갖는 데이터 기록동작(Recording 1)이 종료되는 경우, 그 마지막 디펙트 검출 유니트(DVU #n) 이후에, 상기 디펙트 영역 및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관리하게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예를 들어 디펙트 리스트(DFL: Defect List) 정보로서 기록 관리될 수 있는 데, 상기 디펙트 리스트(DFL)에는, 다수의 디펙트 엔트리(Defect_Entry)들이 포함 기록되고, 또한 각각의 디펙트 엔트리에는, 디펙트 영역에 대한 물리적 섹터 번호(PSN of Defective)와, 해당 데이터가 대체기록된 물리적 섹터 번호(PSN of Replacement) 등이 서로 연계 기록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네비게이션 정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적 연속성을 갖는 또다른 데이터 기록동작(Recording 2)이 종료되는 경우, 그 마지막 디펙트 검출 유니트 이후에 연속적으로 기록된다.
또한, 상기 VDR 시스템(12)에서는, 상기와 같이 기록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신속하게 억세스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디펙트 리스트가 기록된 물리적 섹터 번호(PSN of Defect List)를, 리드인 영역(LIA) 내에 기록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억세스하기 위한 정보는, 디스크 정의 구조(DDS: Disc Definition Structure) 정보로서, 상기 리드인 영역에 포함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디스크 장치에서 데이터 재생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리드인 영역에 기록된 디스크 정의 구조(DDS) 정보를 독출 참조하여, 상기 디펙트 리스트(DFL)를 탐색 확인하게 되며, 또한 상기 디펙트 리스트에 포함된 디펙트 엔트리(Defect Entry)를 참조하여, 디펙트 영역 대신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으로, 상기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에는, 리드인 영역(LIA)과, 데이터 영역(Data Area), 그리고 리드아웃(LOA) 영역이 구분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영역의 선두 또는 후단에, 스페어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영역의 후단에 구분 할당된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 Outer Spare Area)은,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바 있는 디펙트 영역 검출 및 대체 기록동작에 의해, 기록 크기가 점차적으로 축소 가변(Variable Size)될 수 있는 데, 디스크 제작 초기에 할당된 아우터 스페어 영역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펙트 영역 검출 동작에 따라, 대체 기록되는 제2 및 제4 클러스터(Cluster #2,#4)와, 제1 디펙트 리스트(DFL #1)의 기록크기에 상응하는 만큼, 그 기록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의 최종 기록위치가, 디스크 제작 초기에 할당된 아우터 스페어 영역의 시작 기록위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기록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고, 데이터의 최종 기록위치가, 디스크 제작 초기에 할당된 아우터 스페어 영역의 시작 기록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그 기록 크기가 축소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기록크기가 가변 축소되는 아우터 스페어 영역을 할당하여 사용함으로써, 상기 VDR 시스템(12)에서, 데이터 기록동작 이전에 인식하게 되는 기록 가능한 데이터 용량과, 디펙트 영역으로 인해 감소하게 되는 실제 기록 가능한 데이터 용량간의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제4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으로, 상기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에는, 리드인 영역(LIA)과, 데이터 영역(Data Area), 그리고 리드아웃(LOA) 영역이 구분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영역의 선두 또는 후단에, 스페어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영역의 후단에 구분 할당된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은, 도 3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검출되는 디펙트 영역의 데이터를, 대체 기록하기 위한 스페어 영역으로서 고정된 기록크기(Fixed Size)로 할당되는 데, 상기 아우터 스페어 영역 대신, 상기 데이터 영역의 선두에 이너 스페어 영역(ISA: Inner Spare Area)이 고정된 기록크기로 할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VDR 시스템(12)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5 클러스터(Cluster #1∼#5)를 제1 디펙트 검출 유니트(DVU #1)로 연속 기록한 후(S10), 그 제1 디펙트 검출 유니트에 기록된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재생하여, 디펙트 영역을 검출하게 되고, 예를 들어 제2 클러스터에 디펙트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S11), 그 제2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아우터 스페어 영역에 기록하는 대체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2).
그리고, 상기 대체 기록동작 이후, 상기 제1 디펙트 검출 유니트의 제3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하게 되는 데, 이때 제4 클러스터에 디펙트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S13), 그 제4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아우터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된 제2 클러스터에 연속하여 기록하는 대체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14).
따라서, 상기 제1 디펙트 검출 유니트에는, 정상 기록된 제1, 제3 및 제5 클러스터와, 2 개의 디펙트 영역이 포함 기록되고, 상기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에는, 대체 기록된 제2 및 제4 클러스터가 포함 기록된다.
또한, 상기 VDR 시스템(12)에서는, 상기와 같은 디펙트 영역 검출 및 대체 기록동작을, 상기 디펙트 검출 유니트(DVU #1, DVU #2.. DVU #n) 단위로 반복 수행하던 도중, 시간적 연속성을 갖는 데이터 기록동작(Recording 1)이 종료되는 경우, 그 마지막 디펙트 검출 유니트(DVU #n) 이후에, 상기 디펙트 영역 및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관리하게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기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디펙트 리스트(DFL) 정보로서 기록 관리하게 되며, 상기 디펙트 리스트 정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간적 연속성을 갖는 또다른 데이터 기록동작(Recording 2)이 종료되는 경우, 그 마지막 디펙트 검출 유니트 이후에 연속적으로 기록된다.
또한, 상기 VDR 시스템(12)에서는, 상기와 같이 기록되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신속하게 억세스하기 위한 정보를 디스크 정의 구조(DDS) 정보로서, 상기 리드인 영역에 포함 기록하는 일련의 동작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VDR 시스템(12)에서는, 상기 디펙트 리스트(DFL) 정보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아우터 스페어 영역에 기록 관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광디스크 장치에서 데이터 재생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리드인 영역에 기록된 디스크 정의 구조(DDS) 정보를 독출 참조하여, 상기 디펙트 리스트(DFL)를 탐색 확인하게 되며, 또한 상기 디펙트 리스트에 포함된 디펙트 엔트리(Defect Entry)를 참조하여, 디펙트 영역 대신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아우터 스페어 영역(OSA)으로부터 독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VDR 시스템(12)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디펙트 리스트(DFL) 정보를, 시간적 연속성을 갖는 데이터 기록동작(Recording 1, 2..)이 종료되는 경우, 그 마지막 디펙트 검출 유니트 이후에 각각 연속적으로 기록하되, 이전에 기록된 디펙트 리스트(DFL) 정보를 누적 기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기록동작(Recording 1)이 종료되는 경우, 그 마지막 디펙트 검출 유니트 이후에, 제1 디펙트 리스트(DFL #1) 정보를 연속적으로 기록하고, 이후, 제2 데이터 기록동작(Recording 2)이 종료되는 경우, 그 마지막 디펙트 검출 유니트 이후에, 제1 및 제2 디펙트 리스트(DFL #1 & #2) 정보를 누적 기록하는 일련의 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데이터 기록동작(Recording 1) 종료시 기록된 제1 디펙트 리스트(DFL #1) 정보가 정상적으로 독출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2 데이터 기록동작(Recording 2)이 종료시 기록된 제1 및 제2 디펙트 리스트(DFL #1 & #2) 정보를 독출 참조할 수 있게 되어, 중요한 디펙트 리스트 정보의 손상으로 인해 치명적인 재생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와 같이 디펙트 리스트 정보를 누적하여 기록 및 관리하는 방법은,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전술한 바 있는 다양한 실시예 이외에도, 디펙트 리스트 정보를 기록 관리는 또다른 실시예에 확대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제7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 도중 새롭게검출되는 디펙트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에는, 리드인 영역(LIA)과, 데이터 영역(Data Area), 그리고 리드아웃(LOA) 영역이 구분 할당됨과 아울러, 상기 데이터 영역의 선두 또는 후단에, 보조 스페어 영역(SSA: Supplementary Spare Area)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데이터 영역의 후단에 구분 할당된 보조 스페어 영역(SSA)은, 고정된 기록크기(Fixed Size)로 할당되는 데, 상기 보조 스페어 영역은, 상기 데이터 영역의 선두에 고정 기록크기로 할당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VDR 시스템(12)에서는,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시, 상기 리드인 영역에 기록된 디스크 정의 구조(DDS) 정보를 독출 참조하여, 상기 디펙트 리스트(DFL)를 탐색 확인하게 되며, 또한 상기 디펙트 리스트에 포함된 디펙트 엔트리(Defect Entry)를 참조하여, 디펙트 영역 대신, 스페어 영역 또는 다른 데이터 영역에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데이터 재생동작을 수행하던 도중, 새로운 디펙트 영역, 예를 들어 데이터 기록동작 수행시, 검출되지 않았던 j+1 번째 클러스터(Cluster #j+1)에 디펙트 영역이 새롭게 검출되는 경우(S50), 그 j+1 번째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보조 스페어 영역(SSA)에 기록하는 대체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51).
그리고, 상기 대체 기록동작 이후, j+2 번째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하는 일련의 데이터 재생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되는 데, 이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디펙트 리스트(DFL #1)가 기록된 영역에 디펙트가 검출되는 경우(S52), 그 제1 디펙트 리스트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보조 스페어 영역(SSA)에 기록하는 대체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53).
따라서, 상기 보조 스페어 영역(SSA)에는,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시 새롭게 검출된 j+1 클러스터와 제1 디펙트 리스트의 네비게이션 정보가 순차적으로 대체 기록된다.
이후, 상기 VDR 시스템(12)에서는, 상기와 같은 디펙트 영역 검출 및 대체 기록동작을, 반복 수행하던 도중, 데이터 재생동작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보조 스페어 영역(SSA)에 대체 기록된 데이터와, 해당 디펙트 영역을 관리하게 위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보조 스페어 영역의 후단에 보조 디펙트 리스트(SDFL) 정보로서 기록 관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보조 디펙트 리스트(SDFL) 정보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보조 디펙트 엔트리(S_Defect_Entry)들이 포함 기록되고, 상기 보조 디펙트 엔트리에는, 디펙트 영역에 대한 물리적 섹터 번호(PSN of Defective)와, 해당 데이터가 대체 기록된 물리적 섹터 번호(PSN of Replacement), 그리고 상기 대체 기록된 데이터가, 일반 클러스터(Cluster)에 기록된 데이터인 지, 또는 디펙트 리스트(DFL)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정보인 지를 나타내기 위한 유형 정보(Type) 등이 연계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VDR 시스템(12)에서는, 상기와 같이 기록되는 보조 디펙트 리스트(SDFL) 정보를 신속하게 억세스하기 위한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보조 디펙트 리스트(SDFL)가 기록된 물리적 섹터 번호(PSN of Supplementary Defect List)를, 리드인 영역(LIA) 내에 디스크 정의 구조(DDS) 정보로서 추가 기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디스크 장치에서는, 상기 리드인 영역에 기록된 디스크 정의 구조(DDS) 정보 중 보조 디펙트 리스트(SDFL)가 기록된 물리적 섹터 번호를 독출 참조하여, 상기 보조 디펙트 리스트(SDFL)를 탐색 확인하게 되며, 또한 상기 보조 디펙트 리스트에 포함된 보조 디펙트 엔트리를 참조하여,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시 새롭게 검출된 디펙트 영역 대신, 상기 보조 스페어 영역(SSA)에 대체 기록된 데이터 또는 디펙트 리스트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에 대한 제8 실시예를 도식화한 것으로, 상기 디펙트 리스트(DFL)와, 보조 디펙트 리스트(SDFL)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영역(Data Area) 이전의 특정 기록구간, 예를 들어 리드인 영역(LIA)에 기록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VDR 시스템(1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시, 상기 리드인 영역에 기록된 디스크 정의 구조(DDS) 정보를 독출 참조하여, 상기 디펙트 리스트(DFL)를 탐색 확인하게 되고, 또한 상기 디펙트 리스트에 포함된 디펙트 엔트리(Defect Entry)를 참조하여, 디펙트 영역 대신, 스페어 영역 또는 다른 데이터 영역에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독출 재생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60).
한편, 상기와 같은 데이터 재생동작을 수행하던 도중, 새로운 디펙트 영역,예를 들어 데이터 기록동작 수행시, 검출되지 않았던 j+1 번째 클러스터(Cluster #j+1)에 디펙트 영역이 새롭게 검출되는 경우, 그 j+1 번째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보조 스페어 영역(SSA)에 기록하는 대체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61).
그리고, 상기 대체 기록동작 이후, j+2 번째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를 다시 재생하는 일련의 데이터 재생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되며(S62), 이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j+n 번째 클러스터(Cluster #j+n)에 디펙트 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그 j+n 번째 클러스터에 기록된 데이터를, 상기 보조 스페어 영역(SSA)에 기록하는 대체 기록동작을 수행하게 된다(S63).
또한, 상기 리드인 영역 내에 기록된 디펙트 리스트에 디펙트가 검출되는 경우, 그 디펙트 리스트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보조 스페어 영역에 대체 기록한 후, 그에 대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보조 디펙트 리스트(SDFL)에 기록 관리하여,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시 새롭게 검출된 디펙트 영역 대신, 상기 보조 스페어 영역(SSA)에 대체 기록된 데이터, 또는 디펙트 리스트의 네비게이션 정보를 독출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상기와 같이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 도중 새롭게 검출되는 디펙트 영역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로 전술한 바 있는 다양한 실시예 이외에도 또다른 실시예에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은, 1 회 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와 같은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스페어 영역 또는 다른 데이터 영역에 효율적으로 대체 기록 및 관리함으로써,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시. 디펙트 영역 대신 대체 기록된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독출 재생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데이터 기록동작 이전에 인식하게 되는 기록 가능한 데이터 용량과, 디펙트 영역으로 인해 감소하게 되는 실제 기록 가능한 데이터 용량간의 오차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고, 또한 중요한 디펙트 리스트 정보의 손상으로 인해 치명적인 재생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며, 그리고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시 새롭게 검출되는 디펙트 영역에 대해서도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9)

  1.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 도중, 새롭게 검출되는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특정 영역에 대체 기록하는 1단계;
    상기 디펙트 영역과 대체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상기 특정 영역에 기록하는 2단계; 및
    상기 특정 영역에 기록된 네비게이션 정보를 억세스하기 위한 정보를, 리드인 영역 내에 기록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은, 데이터 영역의 선두 또는 후단에 구분 할당되는 보조 스페어 영역(Supplementary Spare Are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는, 보조 디펙트 리스트(Supplementary Defect List) 정보로서, 상기 디펙트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와, 상기 대체 기록된 해당 데이터의 기록 위치 정보, 그리고 상기 대체 기록된 데이터의 유형을 나타내는 유형 정보가 연계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억세스하기 위한 정보는, 상기 리드인 영역 내의 디스크 정의 구조(Disc Definition Structure) 정보로서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정의 구조 정보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가 기록된 물리적 섹터 번호가 포함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인 영역에는,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가 더 포함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7. 데이터 재생동작 수행 도중, 새롭게 검출되는 디펙트 영역에 기록된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특정 영역에 대체 기록하는 1단계;
    상기 디펙트 영역과 대체 기록된 데이터에 대한 네비게이션 정보를, 데이터 영역 이전의 특정 기록 구간 내에 기록하는 2단계; 및
    상기 네비게이션 정보를 억세스하기 위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영역 이전의 특정 기록 구간 내에 기록하는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 이전의 특정 기록구간은, 리드인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 이전의 특정 기록구간에는, 디펙트 리스트와 보조 디펙트 리스트가 함께 포함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KR1020030001857A 2002-09-26 2003-01-11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KR200400272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3/001975 WO2004029940A1 (en) 2002-09-26 2003-09-26 Method for managing defective area on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CA2480064A CA2480064C (en) 2002-09-26 2003-09-26 Method for managing defective area on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EP03798593A EP1543507A1 (en) 2002-09-26 2003-09-26 Method for managing defective area on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CNB038120828A CN100474403C (zh) 2002-09-26 2003-09-26 在一次性写入光记录介质上管理有缺陷的区域的方法
AU2003264976A AU2003264976A1 (en) 2002-09-26 2003-09-26 Method for managing defective area on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JP2004539640A JP2006500723A (ja) 2002-09-26 2003-09-26 追記型光記録媒体上の欠陥領域を管理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用いた光記録媒体
TW092126738A TWI286744B (en) 2002-09-26 2003-09-26 Method for managing defective area on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KR1020057005209A KR101024921B1 (ko) 2002-09-26 2003-09-26 1회 기록가능한 광 기록매체상에서 결함 영역을 관리하는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광 기록매체
RU2004125875/28A RU2373585C2 (ru) 2002-09-26 2003-09-26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дефектной зоной на неперезаписываемом оптическом носителе записи и оптический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US10/670,381 US7532551B2 (en) 2002-09-26 2003-09-26 Method for managing defective area on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8516 2002-09-26
KR20020058516 2002-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7260A true KR20040027260A (ko) 2004-04-01

Family

ID=3732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1857A KR20040027260A (ko) 2002-09-26 2003-01-11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72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787B1 (ko)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에 있어서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장치
KR100991786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있어서의 결함 정보 관리방법 및 장치
KR20040028469A (ko)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KR100964688B1 (ko) 광 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상에서 결함 영역을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RU2288513C2 (ru) Дисковое запоми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с временной структурой описания диска (tdds) и с временным списком дефектов (tdfl) 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ефектом в этом дисковом запоминающем устройстве
US7372788B2 (en) Method for managing defective area on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KR101067777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기록매체 및 1회 기록가능한광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결함관리방법
JP4990839B2 (ja) 臨時欠陥情報及び臨時欠陥管理情報を利用した欠陥管理方法
KR20050109989A (ko) 1회 기록가능한 광기록매체 및 1회 기록가능한광기록매체에 있어서의 결함영역 관리방법 및 장치
KR20030094855A (ko) 고밀도 멀티 레이어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포맷팅관리방법
KR20060016774A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있어서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KR20040027259A (ko)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CA2480064C (en) Method for managing defective area on write-once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KR101041811B1 (ko) 광 저장매체의 기록 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979938B1 (ko)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KR20040027260A (ko) 1 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디펙트 영역 관리방법
KR100915872B1 (ko) 고밀도 멀티 레이어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기록층별데이터 기록방법
KR100701385B1 (ko) 광디스크 장치에서의 디펙트 관리방법과 그에 따른광디스크
KR20040078545A (ko) Drive & Disc Information 기록된임시 결함 관리 영역을 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그 장치및 그 디스크
KR20030094768A (ko) 고밀도 멀티 레이어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스페어 영역관리방법
KR20040077343A (ko) 임시 결함 관리 영역 및 임시 정리 결함 관리 영역을사용한 결함 관리 방법, 그 장치 및 그 디스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