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2732A - 역류방지밸브 및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역류방지밸브 및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2732A
KR20040012732A KR10-2003-7011888A KR20037011888A KR20040012732A KR 20040012732 A KR20040012732 A KR 20040012732A KR 20037011888 A KR20037011888 A KR 20037011888A KR 20040012732 A KR20040012732 A KR 20040012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alve body
opening
valve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1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시 하기하라
Original Assignee
타다시 하기하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07496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919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28436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91969A/ja
Application filed by 타다시 하기하라 filed Critical 타다시 하기하라
Publication of KR20040012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73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44Closures
    • B65D35/46Closures with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관통하는 통로를 가진 관상체와, 선단근방에 개구부를 가진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밸브체가 상기 관상체를 피복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선단근방에 개구부를 가진 외피체가 상기 밸브체를 피복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액체용기에 있어서,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고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역류방지밸브를 상기 배출구에 구비하는 동시에 그 배출구 앞에는 계량용기를 구비하고,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고 용기내 음압에 의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역류방지밸브를 가진 흡기구를 구비한 캡을 개구부에 구비함으로써, 계량분배시에 있어서 일단 계량용기 내로 배출한 내용물을 분배한 경우에 용기본체 내에서 계량한 양 이상으로 내용물이 용기본체로부터 유출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역류방지밸브 및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Check valve and liquid container with check valve}
종래, 용기의 입구에 설치된 탄성체에 슬릿을 설치하는 것과 함께, 용기에 부여된 외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용기내압으로 압출되는 액체 등에 의해 이 슬릿이 확대되어 개구되고, 액체 등이 토출된 후에 용기본체에 부여된 외압을 개방하면 이 탄성체가 복원력에 의해 저절로 슬릿을 닫는 구조의 역류방지밸브 또는 덮개구조로서,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소60-89143호와, 일본공개실용신안공보 평2-83257호의 고안이 있다.
전자는, 외관이 포탄형인 내부에 돔형의 공동을 가진 덮개를 탄성 또는 가연성소재로 형성하고, 그 선단에 적어도 1개의 슬릿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후자는 원호상(圓弧狀)으로 패인 얇은 판상의 상벽판을 탄성소재로 형성하고, 그 중앙부에 슬릿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어느 것의 선행기술에서도 밸브기구의 급소인 슬릿을 넣는 탄성부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부주의로 그 탄성부에 접촉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 탄성부는 슬릿으로부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응하는 탄성력이 필요하지만, 필요 이상으로 탄성력을 높게 하는 경우 토출하기 어렵게 되어 용기로서의 이용성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과도한 탄성력을 부여하지 않도록 하고 있지만, 슬릿을 닫히게 하는데 있어서 이 탄성체의 탄성력 이외에 어떤 것도 이용하고 있지 않은 기구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슬릿을 계속 밀착시키기 위해서는 탄성력만으로는 역부족이다. 그래서, 도 13에 보인 바와 같이, 탄성체에 어떤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용이하게 변형되어 슬릿의 밀착이 해제되어 버리기 때문에, 용기 내의 액체가 누설되거나 반대로 용기 내로 공기가 빨려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오늘날, 튜브용기의 대부분은 라미네이트 소재로 이루어져 있고, 그것 자체가 탄성체이기 때문에 용기본체의 복원력이 강하다. 즉, 용기본체의 복원력에 의해 용기본체 내가 음압으로 되어, 노즐개구부까지 압출된 내용물이 다시 용기내로 들어가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상기 전자에 있어서는, 탄성부가 용기내압으로 인해 과도하게 팽창하지 않도록 고안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고, 반대로 탄성부가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는 어떠한 것도 없다. 이 때문에, 도 14에 보인 바와 같이, 탄성체는 관상부가 손상되어 슬릿이 열린 방향으로 작용하여 버린다.
한편, 상기 후자의 예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원호상으로 패인 상벽판은, 용기내가 음압으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자의 기술과는 완전히 정반대의 상황으로 되어 용이하게 슬릿이 열려 버린다.
양자는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내용물의 누설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공기를 빨아들인다는 문제를 가진다.
이와 같이, 종래기술은 슬릿을 간이한 밸브로 이용하는 기술로서, 용기내압이 높은 경우에는 토출을 허용하고, 내압이 낮은 경우에는 토출을 저지하는 기술로만 제안되어 있는데 불과하고, 용기내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적 사상은 없다. 그 때문에, 밸브기구로서는 매우 간편한 구성이지만, 식품과 화장품, 화학약품 등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산화를 일으키는 내용물을 넣는 용기에는 실제로 사용할 수 없었다.
한편, 계량을 필요로 하는 액체는 약품, 화장품을 비롯하여, 도료, 세제 등 다양하다.
약품 등에 있어서는, 병 내지 계량컵으로 계량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이 고려된다. 또한, 약품보다도 1회의 사용량이 많은 세제 등의 액체용기로는, 병 뚜껑이 계량컵으로 되어 있는 것과 펌프식의 합성수지제의 병이 보급되어 있다. 전자는 계량컵을 용기본체로부터 떼어내어 사용하는 것으로, 필요량을 자유로 계량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고 정확한 계량에는 역부족이다. 또한, 후자는 합성수지제의 병용기본체의 상방개구부에 수압식의 펌프를 구비하고, 필요시 그 펌프를 손으로 눌러 내용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에 따르면, 1회의 수압으로 토출되는 양은 거의 일정하다.
그러나, 계량컵을 구비한 용기는, 계량컵에 설치된 눈금에 맞추어 내용량을 용기본체로부터 꺼내어 사용하는 것이므로 정확한 계량에는 역부족인 동시에 주출방향이 좋지 않으면 흘러넘치고, 또한 주출구는 항상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계량컵으로 계량한 내용물을 분배하는 경우에 용기본체내로부터 여분의 내용물이 유출하여 버린다. 게다가 뚜껑의 잠금이 느슨한 경우, 만약 용기가 전도되는 경우에는 내용물이 누설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펌프식의 병에서는, 펌프의 리턴스프링이 금속제 등 단일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기술적으로는 가능해도 비용문제 등으로 인해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못하다. 때마침 환경보전의식이 사회적으로 높은 가운데, 쓰레기처리문제는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동시에, 확실하게 기능하는 역류방지밸브 및 그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계량기능을 구비한 용기는,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단일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단순한 구조인데도 불구하고 역류방지밸브에 의해 부주의한 토출을 방지하면서 계량한 액체 이상의 양의 액체가 용기본체로부터 유출됨 없이 정확한 계량이 가능한 액체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역류방지밸브 및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이 발명의 역류방지밸브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외관사시도이다.
도 2는 그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3은, (a)는 관상체, (b)는 밸브체 및 (c)는 외피체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밸브체에 칸막이된 공간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조정치수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작용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캡을 닫은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8은, (a)는 1개의 슬릿을 설치한 경우의 정면도, (b)는 그 평면도 및 (c)는 슬릿이 개구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a) 내지 (e)는 슬릿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병에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가제트백에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스탠드파우치에의 적용예를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종래기술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일부기능을 생략한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관상체와 밸브체의 변화 중 일례를 보여주는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18은 관상체와 밸브체의 변화 중 일례에 있어서, (a)는 정상상태 및 (b)는 토출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19는, (a)는 관상체와 밸브체의 변화 중 일례를 보여주는 정상상태의 요부종단면도이고, (b)는 밸브체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관상체와 밸브체의 변화 중 일례를 보여주는 요부종단면도로, (a)는 토출상태 및 (b)는 닫힘상태를 보여준다.
도 21은, (a)는 관상체와 밸브체의 변화 중 일례를 보여주는 요부종단면도이고, (b)는 관상체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관상체와 밸브체의 변화 중 일례에서 토출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23은 제2실시예에서 관상체와 밸브체의 변화 중 일례에 대한 정상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24는 제2실시예에서 관상체와 밸브체의 변화 중 일례에 있어서, (a)는 토출상태 및 (b)는 닫힘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25는 제2실시예에서 관상체와 밸브체의 변화 중 일례에 있어서, (a)는 정상상태 및 (b)는 토출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26은 이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를 액체계량기능을 구비한 용기에 적용한 경우의 개념도이다.
도 27은 이 발명의 액체계량기능을 구비한 용기의 제1실시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그 덮개를 제거한 상태의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29는 그 덮개를 장착한 상태의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30은 계량용기를 교체한 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사시도이다.
도 31은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배출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33은 계량완료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34는 외부공기의 흡입상태를 보여주는 요부종단면도이다.
즉,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는 이하의 특징을 가진다.
(1) 유체용기의 토출구에 설치된 밸브에 있어서, 관통하는 통로를 가진 관상체와, 선단근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밸브체가 이 관상체를 피복하도록 설치하고, 또한 선단근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외피체가 이 밸브체를 피복하도록 설치하는 것.
(2) 유체용기의 토출구에 설치된 밸브에 있어서, 관통하는 통로를 가진 관상체와, 선단근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밸브체가 이 관상체를 피복하도록 설치하고, 또한 선단근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외피체가 이 밸브체를 피복하도록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이 외피체의 개구부만 노출시키는 보호캡을 구비하는 것.
(3) 유체의 토출방향에 있어서, 관상체의 선단과 외피체 내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밸브체를 이 공간을 전후로 격리하도록 구성되는 것.
(4) 밸브체가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과 동시에, 꼭대기부 근방에 형성된 개구부가 밸브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정상상태에서는 밀착하여 입구가 닫혀있고 용기내압에 따라 밀착이 해제되어 개구하는 슬릿인 것.
(5) 슬릿이 복수의 절단부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것.
(6) 관상체와 밸브체를 일정하게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
(7) 관상체의 상단과 밸브체의 내면을 상호 적합한 형상으로 하고, 또한 관상체의 통로를 관상체내에서 분지시키는 것과 동시에 밸브체의 개구부를 피하는 위치의 꼭대기부에 개구를 형성하고, 정상상태에서는 밸브체의 개구부가 닫히고 관상체의 개구부가 관상체의 상단표면과 밀착하는 것으로 막히게 되고,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밸브체가 토출구방향으로 팽창하는 경우에 양자의 밀착이 해제되는 것과 동시에 밸브체의 개구부가 개구하여 내용물이 토출가능하게 되는 것.
(8) 관상체의 상단과 밸브체의 내면을 상호 적합한 형상으로 하고, 밸브체의 꼭대기부의 내측에, 관상체의 통로개구부에 적합하여 이것을 막는 돌기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돌기의 주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정상상태에서는 밸브체의 돌기가 관상체의 개구부를 막고 있지만 용기의 내압상승에 의해 밸브체돌기가 토출구방향으로 밀리는 경우에는 통로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토출가능하게 되는 것.
(9) 관상체의 상단과 밸브체의 내면을 상호 적합한 형상으로 하고, 관상체의 꼭대기부에는 토출구방향으로 돌출한 돌기와 그 주위에 통로인 개구를 형성하고, 밸브체의 꼭대기부에는 관상체의 돌기에 적합하여 통로를 막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정상상태에서는 관상체의 돌기가 밸브체의 개구부를 막고 있지만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밸브체가 토출구방향으로 팽창하는 경우에 통로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토출가능하게 되는 것.
(10) 관상체의 상단과 밸브체의 내면을 상호 적합한 형상으로 하고, 밸브체의 꼭대기부 내측에, 관상체의 통로개구부에 적합하여 이것을 막는 돌기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돌기의 주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또한 밸브체는 관상체의 선단과 외피체내측 사이를 토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고, 또한 밸브체와 외피체 사이에는 밸브체를 정상상태에서 관상체에 강압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을 형성하고, 정상상태에서는 밸브체의 돌기가 관상체의 개구부를 막고 있지만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밸브체돌기가 상기 용수철에 저항하여 토출구방향으로 이동하는 때에 통로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토출가능한 것.
(11) 관상체의 상단과 밸브체의 내면을 상호 적합한 형상으로 하고, 관상체의 꼭대기부에는 토출구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와 그 주위에 통로인 개구를 형성하고, 밸브체의 꼭대기부에는 관상체의 돌기에 적합하여 통로를 막는 개구를 형성하고, 또한 밸브체는 관상체의 선단과 외피체의 내측 사이를 토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하고, 또한 밸브체와 외피체 사이에는 밸브체를 정상상태에서 관상체에 강압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을 형성하고, 정상상태에서는 관상체의 돌기가 밸브체의 개구부를 막고 있지만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밸브체가 상기 용수철에 저항하여 토출구방향으로 이동하는 때에 통로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토출가능한 것.
(12) 용기에 부여된 외압이 일정 크기까지는 밸브체의 개구가 열려 토출구로부터 내용물이 토출되지만, 일정 크기를 초과하는 때에는 밸브체의 상면이 외피체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밸브체의 개구를 막아 토출을 저지하는 것.
또한,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는, 상기 특징을 가진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튜브 및 용기본체가 가연성 소재로 형성된 병, 가제트백 또는 스탠드파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의 액체용기는, 이하의 특징을 구비하는 것이다.
(1)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한 액체용기에 있어서,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고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역류방지밸브를 상기 배출구에 구비하는 것과 동시에 그 배출구 앞에는 계량용기를 구비하고, 또한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고 용기내 음압에 의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역류방지밸브를 가진 흡입구를 구비한 캡을 개구부에 구비함으로써, 계량분배시에 있어서 일단 계량용기 내로 배출한 내용물을 분배하는 경우에 용기본체내로부터 계량한 양 이상의 내용물이 용기본체로부터 유출되지 않는 것.
(2) 내용물을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한 액체용기에 있어서, 관통하는 통로를 가진 관상체와, 선단근방에 정상상태에서는 닫혀 있고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밸브체가 그 관상체를 피복하도록 설치하고, 또한 선단근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외피체가 그 밸브체를 피복하도록 설치한 역류방지밸브를 상기 배출구에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그 배출구 앞에는 계량용기를 구비하고, 선단근방에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고 용기내 음압에 의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역류방지밸브를 가진 흡기구를 구비한 캡을 개구부에 형성함으로써, 계량분배시에 있어서 일단 계량용기 내로 배출한 내용물을 분배한 경우에 용기본체내로부터 계량한 양 이상의 내용물이 용기본체로부터 유출되지 않는 것.
(3) 밸브체의 개구부가 슬릿인 것.
(4) 상기 계량용기는 다른 용량의 것을 바꾸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외관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역류방지밸브본체, 2는 토출구 및 3은 용기본체이다. 도 2는 역류방지밸브본체 주변의 요부종단면도이다.
역류방지밸브(2)는, 도 3의 (a)(b)(c)에 각각 보인 바와 같이, 관상체(4), 밸브체(5), 외피체(6) 및 도 2에 보인 보호캡(7)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보인 바와 같이, 관상체(4)는 용기본체측단부(8)가 유체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상체(4)는 밸브체(5)의 형상유지기능도 구비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는 정도의 경도를 가지는 소재가 바람직하다.
도 3(b)에 보인 바와 같이, 밸브체(5)는 중공(中空)의 포탄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슬릿(9)이 설치되어 있다. 밸브체(5)는 고무 등의 탄성체로 형성되어 있고, 슬릿(9)은 정상상태에서는 밸브체(5) 자체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밀착하여 있지만, 용기본체(3)를 손으로 누르는 것 등에 의해 부여된 외압으로 용기가 변형되는 경우에는 용기내압으로 슬릿(9)의 밀착이 용이하게 해제되어 개구부로 된다.
또한, 도 3(c)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5)를 피복하기 위한 외피체(6)가 구비되어 있다. 외피체(6)는 밸브체(5)의 팽창변형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형상은 밸브체(5)와 거의 동일하지만, 그 선단에는 항상 개구되어 있는 토출구(2)가 형성되어 있다. 소재로는, 다소의 탄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2)는 도 2에 보인 캡(11)에 형성된 돌기(12)에 적합하도록 형성되고, 양자가 밀착함으로써 토출구통로(20) 내에 잔류하는 내용물(액체, 반유동체 등)이 공기에 접촉하여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외피체(6)에는 외면에 플랜지부(13)가 있어,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용기본체(3)의 관상부(14)선단에 감합(嵌合)하고, 또한 보호캡(7)에 고정된다. 보호캡(7)은 용기본체(3)의 관상부(14)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에 맞도록 되어 있다.
반대로, 이와 같은 구성이 아닌 경우, 즉 도 14에 보인 바와 같이 관상체가 없는 경우에는, 용기본체(3)의 탄성(복원)력에 따라 용기내압이 음압으로 되는 경우에는 밸브체(5)가 내측으로 변형하여 슬릿(9)이 열리거나, 밸브체와 외피체 사이에 격간이 형성되어 용기본체 내로 공기가 유입해 버린다. 또한, 도 15에 보인 바와 같이 외피체(6)가 없는 경우에는 밸브체의 슬릿(9)이 거의 개구되지 않고 팽창만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반드시, 관상체(4), 밸브체(5) 및 외피체(6)의 3개의 기능이 유기적으로 작용하여 합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관상체(4)의 선단(15)과 밸브체(5)의 내측면(16), 및 밸브체선단(17)과 외피체내측면(18) 사이에는 각각 공간(A 및 B)이 형성되어 있다. 공간(A)은 용기본체내로부터 관상체(4)의 통로(19)를 통과해온 내용물의 집합소이다. 이 용적이 클수록 밸브체(5)의 내측면(16)을 분산시키는 압력으로 누르는 것으로 된다. 공간(B)은 밸브체(5)의 이동량을 결정한다. 이 공간(B)의 깊이(C, 도면상 상하방향의 높이)가 클수록 밸브체(5)가 크게 팽창하고 슬릿(9)이 크게 열려 개구부도 크게 된다. 그리고, 이들 공간(A, B)은 도 5에 보인 관상체(4) 통로의 입구직경(D), 토출구의 입구직경(E)과 함께, 내용물의 점도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토출량과 토출용이성(토출을 위하여 용기본체에 가해진 외압의 크기)의 조정을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2)는,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작용한다.
즉, 용기본체(3)를 손으로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부여된 외압에 의해 용기내압이 상승하여, 내용물은 도면 중 긴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토출구(2)로 향하여 압출된다. 압출된 내용물은 관상체(4)의 통로(19)를 통하여 공간(A)으로 들어간다. 그러면 공간(A)의 내압이 상승하여 밸브체(5)선단의 내면(16)을 바깥으로 향하게 누르기 때문에, 밸브체선단(17)은 외피체(6)의 내면(18)에 접할 때까지 공간(B)을 축소하면서 팽창한다. 그와 동시에 밸브체(5)의 선단에 설치된 슬릿(9)이 개구하여 내용물이 유출되어 외피체(6)선단의 토출구(2)로부터 토출된다.
용기본체(3)의 외압을 개방하면 밸브체(5)의 탄성(복원)력으로 슬릿(9)이 닫혀 토출은 정지되지만, 밸브기구 특히 밸브체(5)는 내용물에 잠긴 상태에서 닫히기 때문에 밸브체(5)로부터 용기본체(3)측으로 공기를 끌어들이지 않는다.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캡(11)을 닫으면 그 중심에 형성된 돌기(12)가 토출구(2)선단에 밀착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밸브체(5)의 내측에 공간(A)이 있어 밸브체(5)가 용기본체(3)측으로 변형하기 쉬운 구조일지라도, 가능한한 밸브체(5)로 구분되는 공간(A, B) 사이의 압력을 균형잡히게 하기 위하여, 일단 용기본체(3)측으로 끌어들여 슬릿(9)이 열리게 하고, 균형잡히면 정상상태로 되돌아와 슬릿(9)은 밀착한 채로 된다. 캡(11) 자체는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감합식(嵌合式)의 타입 외에, 도시하지 않은 힌지부의 타입과 스크류식 타입까지 모든 타입이 선택될 수 있지만, 어느 것의 타입에서도 중심에 돌기(12)를 형성하여 토출구(2)를 막는 구조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관상체(4)의 입구직경(D), 토출구의 입구직경(E) 및 공간(A, B)의 조정에 의해, 토출구(2)에서의 내용물토출을 적하시부터 연속적으로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
도 8의 (a) 내지 (c)는 각각 밸브체(5)의 선단에 설치된 슬릿(9)을 보여주고 있다. (a)는 1개의 슬릿(9)을 설치한 경우의 정면도, (b)는 그 평면도 및 (c)는 슬릿이 개구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9의 (a) 내지 (e)는 다른 형태의 슬릿(9)의 평면도이다.
또한, 밸브체(5)에 형성된 개구는 이와 같은 슬릿(9)에 한정되지 않고,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개구하고 용기내압이 개방될 때에는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작용하는 것이라면 기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소위 개구홀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2)의 각종 용기본체(3)의 적용예이다. 도 10은 샴푸 등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용기본체(3)가 외압으로 변형가능한 플라스틱병, 도 11은 가제트백 및 도 12는 스탠드파우치용기의 적용예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모두 소위 주머니형 용기이다. 이와 같이, 용기본체(3)를 손으로 눌러 외압을 부여하여 용기본체 내로 내압을 발생시킴으로써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모든 타입의 용기에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가 적용가능하다. 반대로, 유리병 등과 같이 용기본체가 외압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용기에는 적용할 수 없다.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2)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6은 2개의 슬릿을 구비한 것을 보여주고, 도 17은 상기 관상체(4)와 밸브체(5)를 일체로 구성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전체를 고무 등의 탄성소재로 하여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고, 관상체(4)를 플라스틱 등의 경질소재로 형성하고 그것을 밸브체(5)의 탄성소재로 피복하여도 좋다. 반대로, 전체를 유연한 소재로 형성하여도 관상체부분(21)에 충분한 두께의 물질을 형성한다면 내측에의 변형을 억제할 수는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관상체부분(21)은 단단하고, 개구부를 가지는 꼭대기부는 개구부를 막기 위하여 필요충분한 탄성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라면 부드러운 것이 좋다.
도 18의 각 도면은 관상체(4)의 통로(19)를 밸브체(5)와 접한 꼭대기부 근방까지 연장하여 2개로 분지하고 있다. 이 경우는, 관상체(4)의 꼭대기부(15)와 밸브체(5)의 선단부내측(16)이 밀착하여 이 통로(19)의 개구부를 막는 모양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기구로는, 이 부분과 밸브체(5)에 설치된 슬릿(9)과의 2단계 구성으로 된다. 요컨대, 도 18의 (b)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3)에서 압출되어 관상체(4)의 통로(19)를 통과해온 내용물은 밸브체(5)를 밀어올려서 관상체선단(15)과 밸브체선단부내측(16) 사이에 공간(A, 집합소)을 만들고, 그 내압으로 밸브체(5)를 다시 밀어올려 팽창시킴으로써 슬릿(9)을 넓게 개구시킨다. 그렇게 하여, 외피체(6)의 토출구(2)로부터 토출한다. 물론, 전자만으로도 밸브로서 충분한 기능을 달성하기 때문에, 밸브체(5)에 형성한 것은 슬릿(9)에는 없고 개구홀로도 좋은 것은 물론이고, 사용하는 액체의 점도에 따라 구별하여 사용하면 좋다.
도 19 및 도 20은 토출조정기구부의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즉, 항상, 밸브와 토출구가 개구하여 있으면 용기내압의 상승에 수반하여 토출량이 변화되지만, 부주의로 용기본체(3)의 내압이 상승하는 경우 등에도 토출구(2)로부터 내용물이 튀어나오게 된다. 이런 이유에서, 이것은 그와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구이다. 도 19 중 (a)는 정상상태의 종단면도, (b)는 밸브체의 평면도이고, 도 20 중 (a)는 토출상태의 종단면도 및 (b)는 닫힌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상기에서 화살표는 모두 내용물(액체, 반유동체 등)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즉, 밸브체(5)에는 관상체(4)의 선단의 개구부(22)에 적합한 돌기(23)가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고, 도 19의 (a)에 보인 정상상태에서는 관상체(4)의 선단개구(22)와 밸브체(5)의 돌기(23)가 적합하게 밀착하여 통로(19)의 개구부(22)를 막고 있다. 그래서 용기본체(3)의 내압상승에 의해 압출되어 통로(19)를 통과한 내용물이, 도 20의 (a)에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5)의 돌기(23)를 밀어올려 양자의 밀착을 해제한다. 그러자, 격간이 열리게 되고 그곳에서 유출한 내용물이 밸브체(5)의 돌기(23)의 주위에 형성된 개구(24)로부터 흘러나와 외피체(6)의 토출구(2)로부터 토출된다.
그런데, 용기본체내압을 더 상승시키는 경우, 도 20의 (b)에 보인 바와 같이 밸브체(5)의 돌기(23) 또한 밀어올려져서, 그 상면 즉 밸브체(5)의 선단(17)이 외피체(6)의 토출구(2)의 하단(25)에 밀착하여 토출구(2)를 막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일정한 용기본체내압의 경우에만 내용물이 토출하게 된다. 결국 용기본체(3)를 눌러버리거나 하는 부주의한 외압에 대하여는 내용물이토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구성은 내용물을 적하시키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매우 바람직하며, 연속하여 토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용물이 토출가능한 용기본체(3)에 가해진 압력의 폭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에 보인 관상체(4)의 통로(19)의 내부직경(D), 밸브체(5)의 개구부의 직경 및 외피체(6)의 토출구(2)의 직경(E)에 더하여, 밸브체(5)의 탄성력의 세기 및 밸브체(5)의 상단으로부터 외피체(6)의 토출구 하단까지의 거리를 적절하게 조정하여 설정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밸브체(5)와 외피체(6) 사이의 공간(B)의 용적을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밸브체(5)의 꼭대기부에 돌기를 형성하여도 좋다.
도 21 및 도 22는, 관상체(4)의 꼭대기부에 형성된 돌기(26)와 밸브체(5)에 형성된 개구홀(27)이 적합하게 밸브기구를 이루는 것이다. 도 21의 (a)는 정상상태의 종단면도 및 (b)는 관상체(4)의 평면도이고, 도 22는 토출상태의 종단면도이다.
관상체(4)의 돌기(26) 주위에는 개구홀(22)을 형성하고 있다. 도면에는 4개의 개구홀로 되어 있지만, 몇 개를 형성하여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22에 보인 바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용기본체(3)로부터 압출된 내용물은 관상체(4)의 통로(19)를 경유하여 개구홀(22)을 막고 있는 밸브체(5)를 내측에서 누른다. 그러자, 관상체(4)의 돌기(26)와 밀착하고 있던 밸브체(5)의 개구홀(27)이 밀려올라가 양자 사이에 격간이 형성되어, 내용물이 외피체(6)의 토출구(2)로부터 토출된다.
도 23 내지 도 25는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양자 모두, 밸브체(5)가 관상체(4)와 외피체(6) 사이에 형성된 공간(B)을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밸브체(5)와 외피체(6) 사이에 슬릿(28)을 구비하고, 정상상태에서 밸브체(5)가 관상체(6)에 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본적인 밸브기구로는 상술한 각 구성과 동일하다. 즉, 도 23은, 관상체(4)의 선단개구부(22)에, 밸브체(5)에 형성된 돌기(23)가 밀착한 타입이고, 도 25는 관상체(4)선단의 돌기(26)와 밸브체(5)의 개구홀(27)이 밀착한 타입이다.
상기 어느 것도 용기본체(3)의 내압상승에 의해 압출되어 내용물이 밸브체(5)를 밀어올리는 경우, 밸브체(5)는 상기 슬릿(28)에 저항하여 미끌어지며 개구하기 때문에, 그 곳으로부터 내용물이 유출되어 외피체(6)의 토출구(2)에서 토출된다. 도 23 및 도 24는 도 19의 예와 마찬가지로, 일정 이상의 용기본체 내압에는 밸브체(5)가 외피체(6)의 토출구(2)를 막아서 토출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 23은 정상상태를 보여주고, 도 24의 (a)는 토출상태 및 (b)는 닫힘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6은 보호캡(7)의 상부를 컵형상으로 형성하여 계량부(29)를 형성한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토출구(2)로부터 토출된 내용물을 계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이 계량부(29)를 투명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 예에서는, 캡(11)을 떼어놓은 후, 계량부(29)를 위로 향하게 하고 용기본체(3)를 눌러 필요량을 계량한다. 약품과 세제용기에 매우 적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밸브를 액체계량기능을 구비한 용기로 적용하는 경우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액체계량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30은 액체계량용기, 3은 용기본체, 7은 보호캡, 29는 계량용기(이하, '컵'), 31은 흡기구 및 32는 흡인관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요부인 보호캡(7) 근방의 종단면도이다. 보호캡(7)의 내측중앙부에는 그 오목부분에 역류방지밸브(1)가 설치되어 있고, 그 선단의 토출구(2)는 보호캡(7)의 중앙에 형성된 개구(32)에 삽입되어 컵(29)내로 개구하고 있다.
역류방지밸브(1)는 관상부재(14)에 삽입되고 관상부재(14)는 보호캡(7) 내측의 오목부에 끼워져 있다. 이 보호캡(7)과 관상부재(14)의 이음은 나사를 이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관상부재(14)의 하부에는 흡인관(33)이 늘어져 있고, 그 선단은 용기본체(3)의 저부에 도달하고 있다. 이것은 용기본체(3)의 저부로부터 액체를 빨아올리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 흡인관(33)은 사용한 액체의 점도에 따라 굵기(내경)를 변경한다. 고점도액체의 경우는 내경을 크게 하고, 반대로 저점도액체의 경우는 가늘게 한다.
도 28에서 11은 컵(29)의 덮개이다. 이 덮개(11)는 종단면이 T자형, 즉 원반형부재(34)의 중앙에 기둥형부재(35)를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형상으로 하고, 원반형부분(34)의 바깥둘레에는 단차(36)가 형성되어 있어서, 도 29에 보인 바와 같이 컵(29)의 상단(37)에 맞추어 끼워지고, 기둥형부재(35)의 선단은 가늘게 되어 있어 역류방지밸브(1)의 선단부개구(2)에 끼워져서 개구를 막도록 되어 있다.
컵(29)은 보호캡(7)의 상단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보호캡(7)과 컵(29)의결합방법은, 나사 이외에 끼워지도록 하여도 좋지만, 컵(29)에 쌓인 액체의 누설이 없어야 한다. 그것을 위하여, O링의 사용도 효과적이다. 다만, 컵(29)은 고착시키지 않고,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도록 둔다. 이렇게 함으로써 컵(29)을 떼어내어 세정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고, 또한 도 30에 보인 바와 같이 계량할 양에 맞추어 다른 용량의 컵(29)을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컵(29)은 투명소재로 하는 바람직하고, 측면에서 용이하게 양을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을 형성하여 두는 것이 좋다.
도 28에 보인 바와 같이, 보호캡(7)의 측면에는 흡기구(38)가 형성되어 있다. 도 28에서 보호캡(7)의 측면으로부터 중심으로 향하여 관통홀(39)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캡 내부에는 단차(40)가 있고, 관상부재(14)의 바깥둘레와의 사이에 간격(4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39)은 이 간격(41)으로 개구되어 있다.
관통홀(39)의 측면측 개구부는 일정한 깊이에 있어서 내부직경이 크게 되어 상기 부분에 관상부재(42)가 끼워지며, 그 내부에 역류방지밸브(43)가 삽입되고, 또한 캡(44)으로 역류방지밸브(43)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있다. 캡(44)에는 그 중심에 공기흡입구(45)가 개구되어 있다.
역류방지밸브(43)는 상기 배출경로의 역류방지밸브(1)보다도 간략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밸브체(5)만의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역류방지밸브(1)와 동일한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흡기구는 용기본체내의 압력이 양압인 경우는 닫히고, 음압인 경우는 열리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이 흡기구(38)는 본 실시예에서는 캡(7)에 형성되어 있지만, 용기본체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31에 보인 바와 같이, 용기본체(3)를 손가락 등으로 눌러 내압을 상승시킨다. 내압의 상승에 따라 내용물(액체)은 흡인관(32)으로 들어와 배출구로 향한다. 그리고, 도 32에 보인 바와 같이 역류방지밸브(1)를 개구하여 컵(29)내로 유출한다. 이 경우는 배출측의 역류방지밸브(1)만이 개구되고, 흡기측의 역류방지밸브(43)는 닫혀 있다. 액면이 컵의 눈금에 도달할 때까지 용기본체(3)를 계속 가압한다.
도 33은 컵 내에 소망량을 계량한 상태를 보여준다. 컵(29)에 소망량이 모아지면 용기본체(3)를 누르고 있던 손을 떼어 용기본체(3)에 가해진 외압을 배제하고, 그에 따라 역류방지밸브(1)는 밸브체(5)의 탄성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된다. 그러면 도 3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3)의 탄성에 의한 복원력으로 용기본체내가 음압으로 되고, 이번에는 흡기구(38)의 역류방지밸브(43)가 열려, 외부공기가 용기본체내로 유입된다. 용기본체내압과 용기외부공기압이 균형맞추면 흡기구(38)의 역류방지밸브(43)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적으로 폐쇄된다. 그런 다음 컵 내의 내용물을 분배하면 좋다.
그 결과, 계량 후의 내용물을 컵으로부터 배출(분배)하는 경우에 토출구(2)로부터 여분으로 흘러나가는 것이 없으며, 용기본체가 부주의하게 전도되는 경우에도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기 때문에, 내용물(액체, 반유동체 등)의 적하토출에 적합한 역류방지밸브, 및 이것을 구비한 것으로 보존성이 높은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내용물을 적하토출시키기 위하여 용기에 가해진 압력제어가 매우 용이하게 행해지고, 게다가 밸브기구부분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밸브기구가 외압 등을 받는 것 없이 역류방지밸브로서의 작용이 확실하며, 용기본체내로의 공기의 역류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와의 접촉을 꺼리는 혐기성의 내용물(식품, 화장품, 화학약품 등)에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내용물의 토출량도 점도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계량기능을 구비한 액체용기에 따르면, 유연성을 구비한 액체용기라면 다양한 용기에 적용할 수 있고, 내용물의 토출량조정을 용이하게 행하면서 계량을 어렵지 않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부주의로 용기본체가 가압되어도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계량한 양보다 더 많은 내용물이 용기본체에서 배출되지 않음으로써, 계량정밀도가 높다.
또한, 계량컵을 떼어서 세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위생적이다.

Claims (19)

  1. 유체용기의 토출구에 설치된 밸브에 있어서, 관통하는 통로를 가진 관상체와, 선단근방에 개구부를 가진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밸브체가 상기 관상체를 피복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선단근방에 개구부를 가진 외피체가 상기 밸브체를 피복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2. 유체용기의 토출구에 설치된 밸브에 있어서, 관통하는 통로를 가진 관상체와, 선단근방에 개구부를 가진 밸브체가 상기 관상체를 피복하도록 형성하고, 또한 선단근방에 개구부를 가진 외피체가 상기 밸브체를 피복하도록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외피체의 개구부만 노출시키는 보호캡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체의 토출방향에서 관상체의 선단과 외피체의 내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밸브체를 상기 공간을 전후로 격리하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밸브체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꼭대기부 근방에 형성된 개구부는 밸브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정상상태에서는 밀착하여 닫혀있고 용기내압에 따라 밀착이 해제되어 개구하는 슬릿인 것을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복수의 절단부들의 조합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상체와 밸브체를 일정하게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상체의 상단과 밸브체의 내면을 상호 적합한 형상으로 하고, 관상체의 통로를 관상체 내에서 분지하는 동시에 밸브체의 개구부를 피하는 위치의 꼭대기부에 개구를 형성하고, 정상상태에서는 밸브체의 개구부가 닫히고 관상체의 개구부가 관상체의 상단표면과 밀착하는 것으로 막게 되고,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밸브체가 토출구방향으로 팽창한 때에 양자의 밀착이 해제되는 동시에 밸브체의 개구부가 개구하여 내용물이 토출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상체의 상단과 밸브체의 내면을 상호 적합한 형상으로 하고, 밸브체의 꼭대기부 내측에 관상체의 통로개구부에 적합하여 이것을 막는 돌기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돌기의 주위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정상상태에서는 밸브체의 돌기가 관상체의 개구부를 막고 있지만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밸브체돌기가 토출구방향으로 압출되는 때에 통로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토출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상체의 상단과 밸브체의 내면을 상호 적합한 형상으로 하고, 관상체의 꼭대기부에는 토출구방향으로 돌출한 돌기와 그 주위에 통로인 개구를 형성하고, 밸브체의 꼭대기부에는 관상체의 돌기에 적합하여 통로를 막는 개구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정상상태에서는 관상체의 돌기가 밸브체의 개구부를 막고 있지만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밸브체가 토출구방향으로 팽창하는 때에 통로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토출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역류방지밸브.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상체의 상단과 밸브체의 내면을 상호 적합한 형상으로 하고, 밸브체의 꼭대기부 내측에 관상체의 통로개구부에 적합하여 이것을 막는 돌기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돌기의 주위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밸브체는 관상체의 선단과 외피체의 내측 사이를 토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밸브체와 외피체 사이에는 밸브체를 정상상태에서 관상체에 강압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을 설치하고, 정상상태에서는 밸브체의 돌기가 관상체의 개구부를 막고 있지만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밸브체돌기가 상기 용수철에 저항하여 토출구방향으로 이동하는 때에 통로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토출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상체의 상단과 밸브체의 내면을 상호 적합한 형상으로 하고, 관상체의 꼭대기부에는 토출구방향으로 돌출된 돌기와 그 주위에 통로인 개구를 형성하고, 밸브체의 꼭대기부에는 관상체의 돌기에 적합하여 통로를 막는 개구를 형성하고, 밸브체는 관상체의 선단과 외피체의 내측 사이를 토출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고, 밸브체와 외피체 사이에는 밸브체를 정상상태에서 관상체에 강압하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용수철을 설치하고, 정상상태에서는 관상체의 돌기가 밸브체의 개구부를 막고 있지만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밸브체가 상기 용수철에 저항하여 토출구방향으로 이동하는 때에 통로가 개방되어 내용물이 토출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12. 제7항 내지 제11항에 있어서, 용기에 부여되는 외압이 일정 크기까지는 밸브체의 개구가 열려 있어 토출구로부터 내용물이 토출하지만, 일정 크기를 초과하는 때에는 밸브체의 상면이 외피체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밸브체의 개구를 막음으로써 토출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
  13.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가연성소재로 형성된 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가제트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스탠드파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17.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액체용기에 있어서,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고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역류방지밸브를 상기 배출구에 구비하는 동시에 그 배출구 앞에는 계량용기를 구비하고, 정상상태에서는 닫혀있고 용기내압에 의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역류방지밸브를 가진 흡기구를 구비한 캡을 개구부에 구비함으로써 계량분배시에 있어서 일단 계량용기 내로 배출된 내용물을 분배한 경우에 용기본체내에서 계량한 양 이상으로 내용물이 용기본체로부터 유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18.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한 액체용기에 있어서, 관통하는 통로를 가진 관상체와, 선단근방에 정상상태에서는 닫혀 있고 용기내압의 상승에 의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밸브체가 상기 관상체를 피복하도록 형성하고, 선단근방에 개구부를 구비한 외피체가 상기 밸브체를 피복하도록 형성하는역류방지밸브를 상기 배출구에 형성하는 동시에 그 배출구 끝에는 계량용기를 구비하고, 선단근방에 정상상태에서는 닫혀 있고 용기내 음압에 의해 개구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역류방지밸브를 가진 흡기구를 구비한 캡을 개구부에 구비함으로써 계량분배시에 있어서 일단 계량용기 내로 배출한 내용물을 분배하는 경우에 용기본체 내에서 계량한 양 이상의 내용물이 용기본체로부터 유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19. 제18항에 있어서, 밸브체의 개구부는 슬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KR10-2003-7011888A 2001-03-15 2002-03-13 역류방지밸브 및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KR200400127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74962 2001-03-15
JP2001074962A JP2004291968A (ja) 2001-03-15 2001-03-15 逆止弁及び逆止弁を備えた容器
JPJP-P-2001-00284366 2001-09-19
JP2001284366A JP2004291969A (ja) 2001-09-19 2001-09-19 液体計量容器
PCT/JP2002/002390 WO2002076845A1 (fr) 2001-03-15 2002-03-13 Clapet et recipient de liquide a clap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732A true KR20040012732A (ko) 2004-02-11

Family

ID=26611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1888A KR20040012732A (ko) 2001-03-15 2002-03-13 역류방지밸브 및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112916A1 (ko)
EP (1) EP1386850A1 (ko)
KR (1) KR20040012732A (ko)
CN (1) CN1498184A (ko)
CA (1) CA2441026A1 (ko)
TW (1) TW577844B (ko)
WO (1) WO20020768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5346B (zh) * 2009-04-21 2014-01-29 泰尔茂株式会社 医疗用容器
US20120114800A1 (en) * 2010-11-10 2012-05-10 Ecosentials, Llc Drink Enhancer System
JP5333611B2 (ja) * 2012-01-10 2013-11-06 サーモス株式会社 飲料用容器
CN102795396B (zh) * 2012-08-18 2014-12-24 李红彪 可自动开闭的瓶盖
CN102795398B (zh) * 2012-08-18 2015-03-25 李红彪 一种自动开闭的瓶盖
WO2018119066A1 (en) * 2016-12-21 2018-06-28 Stoneridge Kitchen & Bath Llc Glue gun
JP6180009B1 (ja) * 2017-05-08 2017-08-16 瑟芬 洪 流量調節機構を備えた真空機構
EP3874241B1 (en) 2018-10-31 2024-05-2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Dosing cap with adjustable volume
CN110812535A (zh) * 2019-10-24 2020-02-21 自贡市第四人民医院(自贡市急救中心) 耳挂式鼻腔分泌物收集装置及收集方法
KR102279627B1 (ko) 2021-03-02 2021-07-21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EP4302638A1 (en) 2021-03-02 2024-01-10 Kolmar Korea Co., Ltd. Container for contents
CN113598509B (zh) * 2021-07-30 2024-06-28 绍兴市佳彩塑业有限公司 一种复合软管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67781A (ko) * 1972-10-14 1974-07-01
JPS5631956Y2 (ko) * 1976-07-20 1981-07-30
JPS5330438U (ko) * 1977-09-16 1978-03-15
JPS6081862U (ja) * 1983-11-10 1985-06-06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押出容器
JPH047092Y2 (ko) * 1984-09-06 1992-02-26
JP3820489B2 (ja) * 1997-06-05 2006-09-13 忠 萩原 空気の混入を防止した自立型容器
JP2000203605A (ja) * 1998-11-16 2000-07-25 Waterfall Co Inc 汚染のない分配送出システムのためのカ―トリッ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76845A1 (fr) 2002-10-03
US20040112916A1 (en) 2004-06-17
CN1498184A (zh) 2004-05-19
CA2441026A1 (en) 2002-10-03
EP1386850A1 (en) 2004-02-04
TW577844B (en) 200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9694B2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AU626969B2 (en) Dosing cap
KR930004461Y1 (ko) 유체 및 유동물질 저장 분배용 통
US7350673B2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US7222755B2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with flexible-T dip tube
US7331489B2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having a dip tube with a rotatable leg
US20090302073A1 (en) Liquid Dispenser with Anti-Retraction Feature
EP1371579A1 (en) Valve mechanism for tube-type fluid container
KR20040012732A (ko) 역류방지밸브 및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액체용기
DE69909834D1 (de) Quetschbehälter zur dosierten und keimfreien abgabe von flüssigkeiten
KR20040023734A (ko) 토출 유속 제어 용기
CA2318134A1 (en) Self-closing manual dispenser
US7549816B2 (en) Metered dose squeeze dispenser with brush
EP1590096B1 (en) Outlet device for a container or vessel
JP2004291968A (ja) 逆止弁及び逆止弁を備えた容器
JPH08230920A (ja) 注出キャップ
JP2004291969A (ja) 液体計量容器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CA1084881A (en) Non-inverting fluid dispenser
KR200170002Y1 (ko) 내용물 토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