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879Y1 -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 Google Patents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879Y1
KR200395879Y1 KR20-2005-0018200U KR20050018200U KR200395879Y1 KR 200395879 Y1 KR200395879 Y1 KR 200395879Y1 KR 20050018200 U KR20050018200 U KR 20050018200U KR 200395879 Y1 KR200395879 Y1 KR 2003958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rm
joint
walking
knee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광철
Original Assignee
오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광철 filed Critical 오광철
Priority to KR20-2005-0018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8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8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8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는 신체의 관절에 착용하여 각각의 관절운동에 부하를 부여하면서 올바른 보행을 유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 유도 및 근력 강화 착용수단에 있어서, 인체의 상체에 착의되는 상의 착용수단(110)과, 상기 인체의 상체의 허리(12) 부위와 하체의 대퇴부(14a) 부위를 연결하여 신축성 있게 탄력성을 부여함으로서 보행 시 상체의 무게중심을 전방으로 추진되도록 하는 상하체 근력부하수단(120)과, 상기 팔관절(13)을 중심으로 상완부(13a)와 전완부(13b) 측을 연결하여 탄력적으로 팔관절(13)을 구부리면서 펼 때 근력 운동을 부여하도록 하는 팔관절근력부하수단(130)과, 상기 무릎관절(14)을 중심으로 대퇴부(14a)와 정강이부(14b)측을 연결하여 탄력적으로 무릎관절(14)을 구부리면서 펼 때 무릎관절(14)의 근력운동을 부여하도록 하는 무릎관절근력부하수단(140)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The clothes band for the walking campus and a muscular power reinforcement }
본 고안은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시 신체의 상체와 하체, 팔관절, 무릎관절 등이 올바른 보행법에 맞추어 보행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보행 시 반복적인 관절의 구부림과 펴는 행위를 통하여 근력강화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에 관한 것이다.
걷기 운동은 같은 거리를 운동했을 경우 조깅과 거의 같은 양의 에너지가 소비되어 체중조절에 매우 유리하며 운동 중 상해의 위험이 거의 없는 안전한 운동이다.
반면. 이러한 걷기운동은 조깅에 비해 시간이 보다 많이 걸려 지루한 감을 가질 수 있어 꾸준히 하고자 하는 인내심이 요구되며 과다체중자나 운동을 처음으로 시작한 사람이 성급하게 속도나 거리를 중가시키거나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걷게 될 경우 근육이나 무릎, 발목 등의 관절에 통증 및 부상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렇게, 걷기 운동에 있어 걸음과정 그 자체 보다는 걸음 형태 또는 그 태도를 말하는 보행(Gait)에 더욱 유념하여 걷기운동을 하여야 부상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올바른 보행법은 도 1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발뒤꿈치가 땅에 도달한 순간부터 다음 번 땅에 도달할 때까지의 보행주기로 세분화 되며, 입각기와 유각기로 구분된다.
즉, (b)발뒤축 접지기, (d)중립입각기, (e)진출기를 입각기라 하고, (a)진출기, (c)유각기, (f)발뒤축 접지기를 유각기라 하여 입각기는 발이 땅에 닿아 있는 시점을 말 하는 것이고 유각기는 다리가 공중에서 떠 있는 시기를 말하는 것이다.
이렇게 정상적인 걷기 요령은 입각기와 유각기를 균형 있게 진행 하여야 하며, 발의 균형 뿐만 아니라 신체의 모든 부분을 통하여 보행에 있어 여러 가지 형태로 진행된다.
다시 말해, 보행의 바른 자세는 도 1b에서 도시한 같이, 흉곽과 어깨의 자세가 바르고 척추의 곡선이 정상적 이여야 한다.
즉, 도 1b의 (a)는 올바른 자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흉곽과 어깨의 자세가 바르고 척추의 곡선이 정상인 반면, (b)는 늑골이 아래로 위치하고 어깨가 앞으로 굽혔으며, (c)는 흉곽을 위. 앞으로 내민 자세로 어깨가 엉덩이보다 더 뒤로 나와 있는 것으로 도 1b의 (b),(c)는 잘못된 자세로서, 오랜 거리를 걷게 될 경우 척추와 관절에 손상을 주게 되는 자세이다.
더불어, 양 발의 벌어짐 각도는 15°~20°정도 밖으로 향하여 있어야 하며, 걸을 때의 무게 중심은 발의 볼에 있으며, 몸은 앞으로 약간 기울어져야 한다.
또한, 무릎은 부드럽게 하여 약간 앞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보행의 자세라 하겠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보행자세 교정기구는 의료업계에서 재활운동 차원에서 정상적인 보행을 돕기 위한 기구로서, 그 구성은 하부에 바퀴가 설치되고 이와 일체로 수직방향으로 입설 시킨 지지대로 구성되어 보행자가 지지대를 파지한 상태로 팔을 이용하여 몸무게를 지지대에 실어 지탱 하면서 보행기를 통하여 이동, 간접적으로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 보행기가 제시되어 있으나, 이는 초기 재활 보행에만 도움을 줄 뿐 재활 보행을 이행하고 난 후의 정상적인 보행의 유도를 통하여 환자나 보행자에게 보행에 따른 관절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올바른 보행의 교정장치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아 보다 환자 개개인에 맞추어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보행 교정에 따른 재활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재활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재활치료 전문 의료기관을 통하여만 치료의 목적과 보행의 근력운동의 목적에 맞는 의료 및 운동행위를 받을 수 있어 가정에서나 일상적인 생활에서 손쉽게 보행교정 및 이에 필요한 근력운동을 손쉽게 이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29570호, 동 20-310711호, 동 1997-2962 호에서 제시되어 있는 기술은 하체 운동용 기구로서, 보행자가 걷기 운동을 실행할 때 하체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여 하체의 근력을 배가시키기 위한 장치가 제시되어 있긴 하지만, 단순히 하체 근력 운동만을 목적으로 하는 운동기구로만 제시되어 있어, 정상적인 보행법을 유도하지 못하고 잘못된 보행법에 의한 부상 및 질병을 미연에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비만인인 경우 허리, 무릎, 발목 및 골관절에 염증의 위험성이 높아 올바른 보행법을 숙지하지 아니한 상태로 방치되는 경우 허리, 무릎에 피로도를 축적시켜 관절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정상적인 보행법으로 교정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여 보행자의 상체와 하체 그리고 각 관절이 보행시 정상 각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각 관절에 운동 부하를 제공하여 올바른 보행법을 자연스럽게 숙지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행자의 근력운동을 병행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초적인 보행 재활치료에서 벗어나 착의식으로 신체에 착용 및 착의하여 일생생활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보행 교정을 행 할 수 있어 올바른 보행법을 손쉽고 간편하게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체와 하체 및 무릎관절과 팔관절에 탄력성 있는 신축밴드를 장착하여 보행시 상체를 적정한 각도로 구부린 상태로 무게중심을 보행방향으로 추진 될 수 있도록 하면서 팔관절 및 무릎관절 운동을 통하여 관절을 구부리거나 펼 경우 신축밴드에 의하여 근력의 부하를 부여하여 보행시 필요한 하체의 각 근육을 발달시켜 보행운동의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올바른 보행 교정 및 근육강화를 위하여 평상복의 내피에 착의식 밴드를 장착시켜 일상생활이나 외부에 외출할 때 장소에 상관없이 언제든지 올바른 보행법을 숙지하면서 근력 강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착의식 밴드의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는 신체의 관절에 착용하여 각각의 관절운동에 부하를 부여하면서 올바른 보행을 유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 유도 및 근력 강화 착용수단에 있어서, 인체의 상체에 착의되는 상의 착용수단과, 상기 인체의 상체의 허리 부위와 하체의 대퇴부 부위를 연결하여 탄력있게 긴장력을 부여함으로서 보행 시 상체의 무게중심을 전방으로 추진되도록 하는 상하체 근력부하수단과, 상기 팔관절을 중심으로 상완부와 전완부 측을 연결하여 탄력적으로 팔관절을 구부리면서 펼 때 근력 운동을 부여하도록 하는 팔관절근력부하수단과, 상기 무릎관절을 중심으로 대퇴부와 정강이부측을 연결하여 탄력적으로 무릎관절을 구부리면서 펼 때 무릎관절의 근력운동을 부여하도록 하는 무릎관절근력부하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체의 상체의 어깨의 앞뒤 양측에 견착밴드를 수직 방향으로 걸어 견착밴드의 하방에 허리밴드를 수평방향으로 고정시켜 인체의 상체에 착의 할 수 있도록 하는 상의 착용수단과, 상기 상의 착용수단의 허리밴드에 신축밴드의 상단부을 연결하고 하단부는 인체의 대퇴부에 착의 시킨 대퇴부밴드에 신축성 있게 결합시킨 상하체근력부하수단과, 상기 인체의 팔관절에 팔관절밴드를 결합시켜 팔관절밴드가 절곡되는 중심부 일측의 상완부측과 타측의 전완부측을 연결하는 신축밴드를 탄력성 있게 결합시킨 팔관절근력부하수단과, 상기 인체의 무릎관절에 무릎관절밴드를 결합시켜 무릎관절밴드가 절곡되는 중심부 일측의 대퇴부 측과 타측의 정강이 측을 연결하는 신축밴드를 무릎 안쪽으로 탄력성 있게 결합시킨 무릎관절근력부하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인체의 상체에 착의되는 상의의 내피의 어깨 부분에 착의 시킬 견착밴드를 수직하향으로 재봉하고 견착밴드의 하단과 상의 내피에 일체로 허리밴드를 수평방향으로 재봉시킨 상의 착용수단과, 상기 상의에서 팔이 들어가는 팔 내피에서 상완부가 위치하는 팔내피에 고리형의 손견착부를 일단에 결합시킨 신축밴드의 타단을 재봉하여 평소에는 손견착부를 팔 내피에 안쪽으로 위치시키고 운동할 때에 신축밴드를 탄력적으로 신장시켜 손견착부를 손에 걸어 파지시킴으로서 신축밴드에 긴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팔관절 근력부하수단과, 상기 상의의 허리에 착의되는 허리밴드에 수직하향으로 신축밴드의 상단부를 재봉하여 하단부가 하의의 대퇴부 앞쪽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하의의 대퇴부가 위치되는 하의의 다리 내피에 대퇴부밴드를 재봉시켜 신축밴드를 탄력적으로 신장시켜 대퇴부밴드에 결합함으로서 신축밴드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상하체근력부하수단과, 상기 하의의 다리내피에 다리관절이 구부러지는 부위를 중심으로 무릎관절밴드를 재봉한 다음 무릎관절밴드의 상부 뒤쪽의 대퇴부측에 신축밴드의 상부를 재봉하고 신축밴드의 하단에는 발견착부를 일체로 형성시켜 평소에는 다리 내피에 안쪽으로 발견착부를 위치시키고 운동 할 때에 는 신축밴드를 탄력적으로 신장시켜 발견착부를 발에 걸어 파지시킴으로서 신축밴드에 긴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무릎관절근력부하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허리밴드의 측방과 대응되게 위치한 팔관절밴드의 측면 사이에 간격유지밴드를 결합하여 보행 시 팔과 상체 사이의 움직임 폭과 전후로 움직이는 팔의 이동 폭을 제한 할 수 있도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팔관절밴드, 무릎관절밴드, 대퇴부밴드에 결합되는 신축밴드를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신축밴드 상하부에 걸림고리를 결합하고 이와 결합되는 고정고리를 팔관절밴드, 무릎관절밴드, 대퇴부밴드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시킬 수 있고 , 더불어 팔관절밴드, 무릎관절밴드, 대퇴부밴드와 신축밴드의 결합을 벨크로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의 착용수단의 견착밴드에는 다수개의 포켓을 장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된 본 고안의 올바른 보행 교정 및 근력강화운동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올바른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올바른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를 신체의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올바른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신체의 관절에 착용하여 각각의 관절운동에 부하를 부여하면서 올바른 보행을 유도 할 수 있도록 하는 올바른 보행 유도 및 근력 강화 착용수단에 있어서,
인체의 상체에 착의되는 상의 착용수단(110)과, 상기 인체의 상체의 허리(12) 부위와 하체의 대퇴부(14a) 부위를 연결하여 탄력있게 긴장력을 부여함으로서 보행 시 상체의 무게중심을 전방으로 추진되도록 하는 상하체 근력부하수단(120)과, 상기 팔관절(13)을 중심으로 상완부(13a)와 전완부(13b) 측을 연결하여 탄력적으로 팔관절(13)을 구부리면서 펼 때 근력 운동을 부여하도록 하는 팔관절근력부하수단(130)과, 상기 무릎관절(14)을 중심으로 대퇴부(14a)와 정강이부(14b)측을 연결하여 탄력적으로 무릎관절(14)을 구부리면서 펼 때 무릎관절(14)의 근력운동을 부여하도록 하는 무릎관절근력부하수단(140)으로 구성한다.
또한, 인체의 어깨(11)의 앞뒤 양측에 견착밴드(111)를 수직 방향으로 걸어 견착밴드(111)의 하방에 허리밴드(112)를 수평방향으로 고정시켜 인체의 상체에 착의 할 수 있도록 하는 상의 착용수단(110)과, 상기 상의 착용수단(110)의 허리밴드(112)에 신축밴드(122)의 상단부을 연결하고 하단부는 인체의 대퇴부(14a)에 착의 시킨 대퇴부밴드(121)에 신축성 있게 결합시킨 상하체근력부하수단(120)과, 상기 인체의 팔관절(13)에 팔관절밴드(131)를 결합시켜 팔관절밴드(131)가 절곡되는 중심부 일측의 상완부(13a)측과 타측의 전완부(13b)측을 연결하는 신축밴드(132)를 탄력성 있게 결합시킨 팔관절근력부하수단(130)과, 상기 인체의 무릎관절(14)에 무릎관절밴드(141)를 결합시켜 무릎관절밴드(141)가 절곡되는 중심부 일측의 대퇴부(14a) 측과 타측의 정강이(14b) 측을 연결하는 신축밴드(142)를 무릎 안쪽으로 탄력성 있게 결합시킨 무릎관절근력부하수단(140)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의식 밴드의 다른 실시예로서, 허리밴드(112)의 측방과 대응되게 위치한 팔관절밴드(131)의 측면 사이에 간격유지밴드(114)를 결합하여 보행 시 팔과 상체 사이의 움직임 폭과 전후로 움직이는 팔의 이동 폭을 제한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하체근력부하수단(120)에서 대퇴부밴드(121)의 구성을 제외시키고 허리밴드(112)에서 신축밴드(122)를 수직하향으로 무릎관절밴드(141)까지 직결 시킬 수도 있도록 결합 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의식 밴드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체에 착의되는 상의(100a)의 내피에 어깨(11) 부분에 착의 시킬 견착밴드(111)를 수직하향으로 재봉하고 견착밴드(111)의 하단과 상의(100a) 내피에 일체로 허리밴드(112)를 수평방향으로 재봉시킨 상의 착용수단(110)과, 상기 상의(100a)에서 팔이 들어가는 팔 내피(133)에서 상완부(13a)가 위치하는 팔내피(133)에 고리형의 손견착부(134)를 일단에 결합시킨 신축밴드(132)의 타단을 재봉하여 평소에는 손견착부(134)를 팔 내피(133)에 안쪽으로 위치시키고 운동할 때에 신축밴드(132)를 탄력적으로 신장시켜 손견착부(134)를 손에 걸어 파지시킴으로서 신축밴드(132)에 긴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팔관절 근력부하수단(130)과, 상기 상의(100a)의 허리에 착의되는 허리밴드(112)에 수직하향으로 신축밴드(122)의 상단부를 재봉하여 하단부가 하의(100b)의 대퇴부 앞쪽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하의(100b)의 대퇴부(14a)가 위치되는 하의(100b)의 다리 내피(143)에 대퇴부밴드(121)를 재봉시켜 신축밴드(142)를 탄력적으로 신장시켜 대퇴부밴드(121)에 결합함으로서 신축밴드(122)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상하체근력부하수단(120)과, 상기 하의(100b)의 다리내피(143)에 다리관절이 구부러지는 부위를 중심으로 무릎관절밴드(141)를 재봉한 다음 무릎관절밴드(141)의 상부 뒤쪽의 대퇴부(14a)측에 신축밴드(142)의 상부를 재봉하고 신축밴드(142)의 하단에는 발견착부(145)를 일체로 형성시켜 평소에는 다리 내피(143)에 안쪽으로 발견착부(145)를 위치시키고 운동 할 때에 는 신축밴드(142)를 탄력적으로 신장시켜 발견착부(145)를 발에 걸어 파지시킴으로서 신축밴드(142)에 긴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무릎관절근력부하수단(130)으로 구성한다.
더불어, 팔관절밴드(131), 무릎관절밴드(141), 대퇴부밴드(121)에 결합되는 신축밴드(122,132,142)를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신축밴드(122,132,142) 상하부에 걸림고리(151)를 결합하고 이와 결합되는 고정고리(152)를 팔관절밴드(131), 무릎관절밴드(141), 대퇴부밴드(121)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팔관절밴드(131), 무릎관절밴드(141), 대퇴부밴드(121)와 신축밴드(122,132,142)의 결합을 벨크로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의 착용수단(110)의 견착밴드(111)에는 다수개의 포켓(113)을 장착시켜 운동에 필요한 제품들을 수납 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착의식 밴드(100)를 신체의 각 관절 부위에 장착 하면서 올바른 보행교정을 위한 보행자세가 자연스럽게 연출된다.
즉, 상체와 대퇴부(14a) 사이를 연결하여 긴장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허리밴드(112)에 연결시킨 신축밴드(122)를 탄력있게 신장시켜 상하체근력부하수단(120)의 대퇴부밴드(121)에 걸림고리(151)와 고정고리(152)를 이용하거나 벨크로(153)를 통하여 연결 시킨다.
연결된 신축밴드(122)는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상체를 전방으로 적정한 각도로 약간 굽혀지게 하여 보행 할 때 전방으로 몸의 무게중심이 추진 될 수 있도록 하여 올바른 보행을 위한 상체의 자세를 교정시킨다.
그리고, 무릎관절(14)에 착의시킨 무릎관절밴드(141)를 통하여 대퇴부(14a)와 정강이부(14b)를 잇는 신축밴드(142)를 무릎 뒤쪽으로 결합시킴에 따라 올바른 보행법 에서 다리가 입각기로 접어 들 때 무릎관절(14)이 신축밴드(142)에 의해 적정 각도로 무릎을 구부려 지도록 하여 상체 및 무릎을 올바르게 교정시키고, 유각기 일 때에는 무릎근육 및 대퇴부 근육과 정강이부 안쪽의 장딴지 근육을 사용하여 무릎을 펼 때 신축밴드의 탄력성을 더욱 반대로 이완시켜 다리 근육에 부하를 부여하도록 하여 대퇴부(14a)와 장딴지 및 무릎인대 측의 근육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올바른 보폭의 길이는 보행자의 키에서 100을 뺀 길이만큼 보폭을 유지하면서 보행 할 수 있도록 보행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신축밴드의 탄성력을 적정 수준으로 부여하여 적정보폭(보행자의 키-100= 적정보폭 )을 항상 유지하면서 보행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팔관절(13)의 올바른 움직임은 팔관절근력부하수단(130)의 신축밴드(132)로 상완부(13a)와 전완부(13b)의 상호 각도를 적정하게 유지시키면서 상체에서 팔의 벌어짐 폭과 전후방향으로의 이동 폭을 간격유지밴드(114)를 통하여 보정하도록 함으로서 팔의 올바른 보행에 따른 움직임을 보장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팔관절(13)은 다리의 보행과 교차되도록 엇갈리게 흔들어 주되 보행자의 엄지손가락이 허벅지를 스칠 정도의 폭으로 하고, 팔관절(13)이 상체의 앞으로 위치될 때에는 대략 90°각도로 유지하도록 하며, 팔관절(13)을 상체 뒤로 젖힐 때에는 팔관절밴드(131)에 부착시킨 신축밴드의 탄력성을 반대로 이완 시켜 팔관절(13)의 각도를 90°이상 확개 시키면서 팔근육을 사용하도록 하여 팔과 다리의 관절 근육 강화운동을 효과적으로 실행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의식 밴드(100)의 다른실시예는 사용자가 입는 상의(100a)와 하의(100b)의 내피에 재봉을 통하여 장착시켜 가정 내에서나 외부 어느 장소에서나 보행의 교정 및 근력을 강화 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상생활에서 외출 할 때나 보행교정을 하려 할때에는 상의(100a)의 팔내피 안쪽에 위치된 신축밴드(132)를 외부로 잡아당겨 고리형태의 손견착부(134)를 손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끼우도록 파지하여 팔의 상완부(13a)와 전완부(13b)가 긴장력을 갖도록 유도하여 보행시 팔의 근육운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체의 보행각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허리밴드(112)에 재봉시킨 신축밴드(132)를 대퇴부밴드(121)에 연결시켜 상체와 하체 사이에 긴장력을 부여함으로서 상체가 일정한 각도로 전방을 향해 숙여지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보행시 전방으로의 추진이 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다리의 적정 보행폭 및 근육운동을 위하여 하의(100b)의 다리내피(143) 안쪽에 위치한 신축밴드(142)를 외부로 잡아 당겨 신축밴드(142)와 일체로 형성시킨 발견착부(145)를 보행자의 발바닥에 견착시켜 신축밴드(142)를 통하여 보행시 다리의 입각기 및 유각기를 통하여 적정 보행폭으로 다리의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리근육 운동을 동시에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행 교정 및 근육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는 정상적인 보행법으로 교정이 가능하도록 유도하여 보행자의 상체와 하체 그리고 각 관절이 보행시 정상 각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각 관절에 운동 부하를 제공하여 올바른 보행법을 자연스럽게 숙지 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행자의 근력운동을 병행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기초적인 보행 재활치료에서 벗어나 착의식으로 신체에 착용 및 착의하여 일생생활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보행 교정을 행 할 수 있어 올바른 보행법을 손쉽고 간편하게 숙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상체와 하체 및 무릎관절과 팔관절에 탄력성 있는 신축밴드를 장착하여 보행시 상체를 적정한 각도로 구부린 상태로 무게중심을 보행방향으로 추진 될 수 있도록 하면서 팔관절 및 무릎관절 운동을 통하여 관절을 구부리거나 펼 경우 신축밴드에 의하여 근력의 부하를 부여하여 보행시 필요한 하체의 각 근육을 발달시켜 보행운동의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나아가,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올바른 보행 교정 및 근육강화를 위하여 평상복의 내피에 착의식 밴드를 장착시켜 일상생활이나 외부에 외출할 때 장소에 상관없이 언제든지 올바른 보행법을 숙지하면서 근력 강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착의식 밴드의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a,b는 올바른 보행법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올바른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올바른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를 신체의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올바른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인체 11 : 어깨
12 : 허리 13 : 팔관절
13a : 상완부 13b : 전완부
14 : 무릎관절 14a : 대퇴부
14b : 정강이부 100 : 착의식 밴드
100a : 상의 100b : 하의
110 : 상의 착용수단 111 : 견착밴드
112 : 허리밴드 113 : 포켓
114 : 간격유지밴드 120 : 상하체근력부하수단
121 : 대퇴부밴드 122 : 신축밴드
130 : 팔관절근력부하수단 131 : 팔관절밴드
132 : 신축밴드 133 : 팔 내피
134 : 손견착부 140 : 무릎관절근력부하수단
141 : 무릎관절밴드 142 : 신축밴드
143 : 다리내피 145 : 발견착부
151 : 걸림고리 152 : 고정고리
153 : 벨크로

Claims (6)

  1. 신체의 관절에서 착용하여 각각의 관절운동에 부하를 부여하면서 올바른 보행을 유도 할 수 있도록 하는 보행 유도 및 근력 강화 착용수단에 있어서,
    인체의 상체에 착의되는 상의 착용수단(110)과,
    상기 인체의 상체의 허리(12) 부위와 하체의 대퇴부(14a) 부위를 연결하여 탄력있게 긴장력을 부여함으로서 보행 시 상체의 무게중심을 전방으로 추진되도록 하는 상하체 근력부하수단(120)과,
    상기 팔관절(13)을 중심으로 상완부(13a)와 전완부(13b) 측을 연결하여 탄력적으로 팔관절(13)을 구부리면서 펼 때 근력 운동을 부여하도록 하는 팔관절근력부하수단(130)과,
    상기 무릎관절(14)을 중심으로 대퇴부(14a)와 정강이부(14b)측을 연결하여 탄력적으로 무릎관절(14)을 구부리면서 펼 때 무릎관절(14)의 근력운동을 부여하도록 하는 무릎관절근력부하수단(1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인체의 상체의 어깨(11)의 앞뒤 양측에 견착밴드(111)를 수직 방향으로 걸어 견착밴드(111)의 하방에 허리밴드(112)를 수평방향으로 고정시켜 인체의 상체에 착의 할 수 있도록 하는 상의 착용수단(110)과,
    상기 상의 착용수단(110)의 허리밴드(112)에 신축밴드(122)의 상단부을 연결하고 하단부는 인체의 대퇴부(14a)에 착의 시킨 대퇴부밴드(121)에 신축성 있게 결합시킨 상하체근력부하수단(120)과,
    상기 인체의 팔관절(13)에 팔관절밴드(131)를 결합시켜 팔관절밴드(131)가 절곡되는 중심부 일측의 상완부(13a)측과 타측의 전완부(13b)측을 연결하는 신축밴드(132)를 탄력성 있게 결합시킨 팔관절근력부하수단(130)과,
    상기 인체의 무릎관절(14)에 무릎관절밴드(141)를 결합시켜 무릎관절밴드(141)가 절곡되는 중심부 일측의 대퇴부(14a) 측과 타측의 정강이(14b) 측을 연결하는 신축밴드(142)를 무릎 안쪽으로 탄력성 있게 결합시킨 무릎관절근력부하수단(1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인체의 상체에 착의되는 상의(100a)의 내피의 어깨(11) 부분에 착의 시킬 견착밴드(111)를 수직하향으로 재봉하고 견착밴드(111)의 하단과 상의(100a) 내피에 일체로 허리밴드(112)를 수평방향으로 재봉시킨 상의 착용수단(110)과,
    상기 상의(100a)에서 팔이 들어가는 팔 내피(133)에서 상완부(13a)가 위치하는 팔내피(133)에 고리형의 손견착부(134)를 일단에 결합시킨 신축밴드(132)의 타단을 재봉하여 평소에는 손견착부(134)를 팔 내피(133)에 안쪽으로 위치시키고 운동할 때에 신축밴드(132)를 탄력적으로 신장시켜 손견착부(134)를 손에 걸어 파지시킴으로서 신축밴드(132)에 긴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팔관절 근력부하수단(130)과,
    상기 상의(100a)의 허리에 착의되는 허리밴드(112)에 수직하향으로 신축밴드(122)의 상단부를 재봉하여 하단부가 하의(100b)의 대퇴부 앞쪽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하의(100b)의 대퇴부(14a)가 위치되는 하의(100b)의 다리 내피(143)에 대퇴부밴드(121)를 재봉시켜 신축밴드(122)를 탄력적으로 신장시켜 대퇴부밴드(121)에 결합함으로서 신축밴드(122)에 긴장력을 부여하는 상하체근력부하수단(120)과,
    상기 하의(100b)의 다리내피(143)에 다리관절이 구부러지는 부위를 중심으로 무릎관절밴드(141)를 재봉한 다음 무릎관절밴드(141)의 상부 뒤쪽의 대퇴부(14a)측에 신축밴드(142)의 상부를 재봉하고 신축밴드(142)의 하단에는 발견착부(145)를 일체로 형성시켜 평소에는 다리 내피(143)에 안쪽으로 발견착부(145)를 위치시키고 운동 할 때에는 신축밴드(142)를 탄력적으로 신장시켜 발견착부(145)를 발에 걸어 파지시킴으로서 신축밴드(142)에 긴장력이 유지되도록 하는 무릎관절근력부하수단(140)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밴드(112)의 측방과 대응되게 위치한 팔관절밴드(131)의 측면 사이에 간격유지밴드(114)를 결합하여 보행 시 팔과 상체 사이의 움직임 폭과 전후로 움직이는 팔의 이동 폭을 제한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팔관절밴드(131), 무릎관절밴드(141), 대퇴부밴드(121)에 결합되는 신축밴드(122,132,142)를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각각의 신축밴드(122,132,142) 상하부에 걸림고리(151)를 결합하고 이와 결합되는 고정고리(152)를 팔관절밴드(131), 무릎관절밴드(141), 대퇴부밴드(121)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시킬 수 있고 , 더불어 팔관절밴드(131), 무릎관절밴드(141), 대퇴부밴드(121)와 신축밴드(122,132,142)의 결합을 벨크로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의 착용수단(110)의 견착밴드(111)에는 다수개의 포켓(113)을 장착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KR20-2005-0018200U 2005-06-23 2005-06-23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KR2003958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00U KR200395879Y1 (ko) 2005-06-23 2005-06-23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200U KR200395879Y1 (ko) 2005-06-23 2005-06-23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879Y1 true KR200395879Y1 (ko) 2005-09-14

Family

ID=43697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200U KR200395879Y1 (ko) 2005-06-23 2005-06-23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87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192B1 (ko) * 2006-12-14 2007-10-17 윤상근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KR20170006367A (ko) 2015-07-08 2017-01-18 권혁도 작업용 근력 보조기구
KR101970533B1 (ko) 2017-10-25 2019-04-19 서기원 자세 교정용 로봇 슈트 및 이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
KR20190070051A (ko) * 2017-12-12 2019-06-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착용형 근력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20200122236A (ko) * 2019-04-17 2020-10-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 강성 지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192B1 (ko) * 2006-12-14 2007-10-17 윤상근 편마비환자를 위한 보행보조기구
KR20170006367A (ko) 2015-07-08 2017-01-18 권혁도 작업용 근력 보조기구
KR101970533B1 (ko) 2017-10-25 2019-04-19 서기원 자세 교정용 로봇 슈트 및 이를 이용한 자세교정방법
KR20190070051A (ko) * 2017-12-12 2019-06-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착용형 근력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177136B1 (ko) * 2017-12-12 2020-11-1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착용형 근력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20200122236A (ko) * 2019-04-17 2020-10-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 강성 지지장치
KR102339188B1 (ko) 2019-04-17 2021-12-1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가변 강성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1267B2 (en) Resistance training system
US20160101309A1 (en) Sports Performance Enhancement System
US7896784B2 (en) Stride stretching apparatus and method
CN111230840B (zh) 一种用于下肢助力的柔性功能外衣本体
KR200395879Y1 (ko) 보행 교정 및 근력 강화를 위한 착의식 밴드
US20170105864A1 (en) Triple flexion device
JP5948072B2 (ja) クライミング用トップス及びクライミング用ボトムス
JP2008274493A (ja) インナーマッスルの活動連鎖促進用ウェア
JP5300991B2 (ja) 下半身部用衣類
JP6924056B2 (ja) 衣類
JP5068324B2 (ja) 上半身部用衣類
US20180200572A1 (en) Sports strap
JP2020151433A (ja) 着用可能な歩行中の腕運動器具
JP2011019737A (ja) 引上げ式自力歩行用装具
JP4481934B2 (ja) サポータ
KR102395942B1 (ko) 보행 재활 훈련용 하지 로봇 보조기
JP7138274B2 (ja) ストレッチ器具
KR200329570Y1 (ko) 발관절운동밴드
Ward et al. The influence of the re-link trainer on gait symmetry in healthy adults
KR200351861Y1 (ko) 상시 착용 가능한 하체 운동용 탄력 밴드
KR101563701B1 (ko) 체형 교정이 되는 발목 보조기 및 그 착용 방법
KR101414320B1 (ko) 장애아동용 보행 벨트
US20240065921A1 (en)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limb movement
US11980584B2 (en) Wearable device for assisting limb movement
JP6725789B1 (ja) 身体調整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