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846Y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846Y1
KR200395846Y1 KR20-2005-0017112U KR20050017112U KR200395846Y1 KR 200395846 Y1 KR200395846 Y1 KR 200395846Y1 KR 20050017112 U KR20050017112 U KR 20050017112U KR 200395846 Y1 KR200395846 Y1 KR 2003958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lenticular lens
display device
lenticula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다지까
겐지 가와조에
유우지 곤노
노리히로 가와또꼬
다까유끼 오가사하라
데쯔야 에다무라
데쯔히로 마에다
아쯔히꼬 마스야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2005-0017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8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8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8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4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apertured or refractive resolving means on screens or between screen and ey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3/00Colour photography, other than mere exposure or projection of a colour film
    • G03B33/10Simultaneous recording or projection
    • G03B33/14Simultaneous recording or projection using lenticular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표시 장치(10)에 있어서, 렌티큘러 렌즈(2)는 프레임(1)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그로부터 탈거 가능하다. 수평방향으로 표시되는 물체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슬롯(3)이 프레임(1)과 렌티큘러 렌즈(2)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인물 사진 또는 풍경 사진 위치로 표시 장치를 직립시키도록 위치시키는데 사용되는 아암(4) 및 아암(4)을 수용하는 부착 홈(5)은 프레임(1)의 후방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표시되는 물체가 그 삽입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정되면 상, 하, 좌, 우 방향 중 하나로 표시 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도록 아암(4) 및 상, 하, 좌, 우 대칭 부착 홈(5)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DISPLAY APPARATUS}
본 고안은 입체 화상 및 이동 화상용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체 화상 또는 이동 화상이 예로서, 렌티큘러(lenticular) 방법, 시차(parallax) 차단 방법 등의 소정의 스펙터클(spectacles)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렌티큘러 렌즈를 통해 인쇄/기록되어 표시될 물체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스펙터클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입체 화상을 형성/표시하는 방법과, 렌티큘러 렌즈 용지를 사용하여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렌티큘러 방법과 시차 차단물이라 불리우는 슬릿을 사용하여 입체 화상을 표시하는 시차 차단 방법은 널리 공지되었고, 입체 화상이 형성되는 피표시물, 그 표시 장치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기타의 것들이 공지되어 있다.
렌티큘러 방법은 1970년 이후로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그 효과는 예로서, 1993년 11월자 오프러스 이(Oplus E)의 제100면 내지 제104면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시차 차단 방법은 예로서, 에스. 에이치. 캐플란(S. H. Kaplan)의 "시차 차단 이론(Theory of Parallax Barriers)", 1952년 제이. 에스엠피티이 (J.SMPTE)의 제59권 제7번 페이지 제11면 내지 제21면에 개시되어 있다.
인간의 좌우 눈의 존재는 입체 화상의 표시에 중요하며, (시차 화상은 수평 방향으로 거의 입체식으로 인지되지 않기 때문에) 수직 방향으로 시차 또는 불균형 화상을 인지하도록 랜티큘러 렌즈의 (렌즈 형성 상태) 생성 라인 방향을 특정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실시 형태이다.
이동 화상은 동일한 방식으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공정은 아래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종래에, 렌티큘러 렌즈를 사용하는 이동 화상 표시 패널은 완구에 사용되거나 또는 판촉을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패널은 단일면 상에 복수의 화상을 표시하고, 관찰자는 패널을 관찰하는 방향에 따라 제1 또는 제2 화상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은 원래의 화상들이 특별한 방법으로 평면 렌즈(렌티큘러 렌즈)의 이면과 많은 수의 원통형 렌즈[호그-백(hog-backed)(반원통형) 섹션을 갖는 2차 렌즈]의 관찰 표면에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 및 제2 화상을 스트라이프(stripe)로 커팅함으로서 얻어진 스트라이프 화상은 예로서, 각각의 개별적인 원통형 렌즈의 폭 내에,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로 교반식으로 배열되고, 제1 또는 제2 화상 중 어느 하나가 관찰자가 렌티큘러 렌즈를 관찰하는 각도에 따라 눈으로 도입되기 때문에, 관찰자는 제1 화상이 제2 화상으로 이동(변화)되는지를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은 형상적으로는 연속적이지 않는 특성을 사용하거나 또는 골프 스윙과 같은 연속적인 이동 화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의 수는 두 개로 제한되지 않고, 세 개 이상의 상이한 화상이 화상을 순서대로 표현하도록 혼합될 수 있다.
인간의 좌측 눈 및 우측 눈의 존재는 이동 화상의 표시를 간섭하며, (화상이 수직 방향으로 혼합되어 화상에서의 변화가 희미해지기 때문에) 수평 방향으로 화상을 인식하도록 렌티큘러 렌즈의 모선 방향(렌즈 형성 상태)을 특정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실시 형태이다.
또한, 입체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을 용이하게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갖는다.
예로서, 간단한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일본특허공개공보 제10-293266호에는 화상 생성 장치가 제안되었다. 렌티큘러 렌즈와 화상 사이의 피치 정렬로서는, 일본특허공개공보 제6-340099호에는 광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일본특허공개공보 제9-15766호에는 잉크-제트 방출 타이밍을 제어하는 방법에 제안되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공보 제6-209400호에는 용지형 렌티큘러 렌즈의 이면에 직접 화상을 프린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며, 일본특허공개공보 제9-102968호에는 바이너리 프린터(binary printer)와의 관계에 적합한 제안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입체 화상을 장식하기 위한 많은 표시 장치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표시 장치의 예로서, 일본특허공개공보 제8-320659호 및 제8-320660호에는 복수의 패턴들 사이에서 접촉을 증가시키기 위해 렌티큘러 렌즈를 갖는 저장 케이스에 복수의 패턴을 정렬시키는 정렬이 제안되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1-259614호에는 카드 케이스 및 카드가 제안되었다. 또한, CD 케이스, 카세트 케이스 등의 많은 용도가 제안되었다. 예로서, 일본특허공개공보 제9-30581호 및 제9-309583호에 공지되었다.
그러나, 일본특허공개공보 제8-320659호 및 제8-320660호에 설명한 것처럼, 복수의 패턴으로 렌티큘러 렌즈를 정렬시키는 방법에서, 조절 마진으로서 하나의 위치를 참조하여 복수의 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장치만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단지 한 위치를 참조하여 경사진 수정값 또는 정밀한 정렬을 얻는 것은 어렵다. 또한, 접촉을 위해, 이면으로부터 탄성 부재 등과 같은 스프링 부재를 사용하는 가압 부재에 의해 복수의 부품을 선형으로 가압함으로써 접촉을 증가시키기 위한 배치만이 공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종이 용지와 같이 강성이 없는 얇고 편평한 물체의 전체면을 압력을 균일하게 가함으로써 상기 케이스에 접촉하게 하는데 적절하지 않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11-259614호에 나타난 종래의 표시 장치에서는 장치의 윤곽만 설명되었을 뿐, 최근 고해상도 입체 화상(입체 화상의 복수의 층) 및 이동 화상(두 개 이상의 이동 화상 층)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설명되지 않았고 이 장치는 상용으로 입수 가능하다. 상기 렌즈 및 케이스들이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할 때, 특히 이동 화상의 경우 정렬이 불충분할 경우, (관찰자는 관찰자가 관찰하기를 원하지 않는 화상의 부분을 보며 산란함을 느끼는) 화상의 크로스토크가 발생한다. 고해상도 입체 화상 및 고화질의 이동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렌티큘러 렌즈 및 인쇄 화상/이동 화상(피표시물)들 사이의 접촉이 중요하다. 만일 화상이 국부적으로 리프팅된다면, 상기 화상은 무뎌져서 입체 효과를 손상시킨다. 실험의 결과로써, 특별히 고화질을 갖는 고해상도 입체 화상(출력 해상도 400 dpi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600 dpi 또는 그 이상을 갖는 프린팅 장치에 의해 출력된 화상)을 표시하기는 매우 힘들다. 한편, 잉크 제트 프린터에 의해 표현된 최근 포토 프린터와 호환성에 관한 설명이 없다. 또한, 프린트 크기에 관한한, 단지 카드의 케이스 또는 대부분 카세트 케이스가 설명되었지만, 상기 설명은 출력 물체의 크기가 커짐(옆서 크기 또는 그 이상)에 따라 성장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고해상도 출력과 호환성을 갖는 렌티큘러 렌즈는 매우 작은 렌지 피치를 갖고, 최종 사용자는 렌즈의 표면 및 이면을 구별할 수 없다. 만일 사용자가 잘못된 표면을 사용한다면, 입체 화상/이동 화상의 효과는 얻어질 수 없으며, 렌즈의 표면 및 이면을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 상황을 고려하여 이루어졌고, 그 목적은 렌티큘러 렌즈의 모선 방향과 피표시물을 표시할 때 렌티큘러 렌즈를 통해 입체 화상(시차) 또는 이동 화상(시간차)이 형성되는 화상 사이의 위치적 관계의 관점에서 입체 화상 및 이동 화상 양자에 호환가능하고, 렌즈와 피표시물 사이의 양자 긴밀 접촉을 달성할 수 있으며, 화상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가 렌즈의 표면/이면을 실수없이 화상을 삽입할 수 있게 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표시 장치는 피표시물을 수용하는 표시 유닛의 표시 표면 상에 렌티큘러 렌즈를 갖고, 표시 유닛이 직립으로 유지되게 하는 배면 상에 아암을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아암은 표시 유닛이 상부, 하부, 우측 및 좌측의 어느 것 상에 직립하게 하고, 표시 유닛의 배면에 대한 아암의 부착 패턴은 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에서, 피표시물은 표시 유닛과 일체로 형성된 렌티큘러 렌즈의 후방 표면에 긴밀하게 접촉되도록 삽입되고, 상기 피표시물이 삽입된 후, 피표시물에 형성된 화상의 위치는 표시 유닛의 배면 상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조절부에 의해 피표시물을 2차원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에 있어서, 피표시물은 표시 유닛과 별개로 탈거 가능하게 형성되는 렌티큘러 렌즈의 후방 표면과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삽입되어 있고, 피표시물이 삽입된 후, 피표시물 상에 형성된 화상의 위치는 표시 유닛의 배면 상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조절부에 의해 피표시물 및 렌티큘러 렌즈를 2차원으로 독립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중 일예에 있어서, 2차원 화상으로부터 스트라이프형으로 복수의 시차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입체 화상 또는 스트라이프형으로 복수의 시간차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이동 화상이 피표시물 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중 일예에 있어서, 3차원 화상으로부터 스트라이프형으로 복수의 시차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입체 화상이 피표시물 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입체 화상 또는 이동 화상은 잉크 제트 인쇄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입체 화상 또는 이동 화상은 400 dpi 또는 600 dpi 이상의 해상도로 인쇄된다.
바람직하게는, 렌티큘러 렌즈의 외부 에지부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부분과 상이한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렌티큘러 렌즈의 외부 에지부 중 적어도 일부는 노치(notch)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렌티큘러 렌즈는 사용자가 피표시물을 렌티큘러 렌즈가 인물 사진 위치에 있으면 입체 화상으로서, 렌티큘러 렌즈가 풍경 사진 위치에 있으면 이동 화상으로서 관찰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피표시물은 상기 조절부로 형성된 압박판에 의해 체결되면 렌티큘러 렌즈의 후방 표면과 긴밀하게 접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렌티큘러 렌즈는 볼록형으로 형성되고, 피표시물 및 조절부를 갖는 압박판은 렌티큘러 렌즈와 대응하는 볼록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렌티큘러 렌즈는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피표시물 및 조절부를 갖는 압박판은 렌티큘러 렌즈와 대응하는 오목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렌티큘러 렌즈는 스티렌계 재료로 형성된다.
관련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있어 전술된 것들 이외에 다른 목적 및 장점은 이어지는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질 것이다.
설명에 있어서, 설명의 일부로서 본 고안의 예시를 도시하는 첨부 도면이 참조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들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를 모두 포함하지는 못하므로, 설명에 이어지는 청구범위가 본 고안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렌티큘러 렌즈 상에서 인쇄하도록 사용되는 인쇄 장치의 구성 및 인쇄 작동이 도면을 참조하여 먼저 설명될 것이다.
도1 내지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제트 인쇄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1은 제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잉크 제트 인쇄 장치의 주요부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3은 도2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부터 보여지는 캐리지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1에 있어서, 도면 부호(101)는 전체 잉크 제트 인쇄 장치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제트 인쇄 장치는 인쇄 수단(잉크 제트 헤드, 109)과 잉크 탱크를 장착하는 캐리지(121), 인쇄될 매체(렌티큘러 인쇄 매체)로서 렌티큘러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 수단(렌티큘러 용지를 이송시킬 때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용지 공급 모터(103) 및 모터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 구동 회로(104)) 및 이러한 수단들을 포함하는 전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수단(CPU형태의 제어기)을 포함한다. 복수의 토출부로부터 잉크를 토출하는 잉크 제트 헤드(109)는 렌티큘러 용지(120)의 이송 방향(부 주사 방향)에 직각인 방향(주 주사 방향)으로 연속으로 주사되는 반면에, 인쇄하지 않는 기간 동안 렌티큘러 용지(120)는 인쇄 폭에 대응하는 정도로 간헐적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캐리지 모터(105)의 구동력에 의해 주사되는 캐리지의 위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형 센서(107)에 의해 감지된다. 용지 피치 센서(108)는 캐리지를 주사할 때 렌티큘러 용지(120) 상에서 원통형 렌즈의 피치를 감지한다. 인쇄 위치(토출 위치; 후술됨)는 용지 피치 센서(108)의 출력 감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잉크-제트 헤드(109)는 인터페이스(112)를 거쳐 호스트 컴퓨터(111)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헤드 드라이버(110)에 의해 구동된다. 즉, 잉크-제트 헤드(109)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근거로 캐리지를 주사할 때 렌티큘러 용지 상으로 잉크를 토출하여, 소정의 디지털 화상이 인쇄된다. 본 실시예의 잉크 제트 헤드는 에너지 발생 수단으로서 전열 변환 요소를 이용한다. 그러므로, 기포가 구동 전기 펄스 신호와 일대일로 대응하여 잉크 채널 내의 잉크에 형성되고, 신속하고 충분하게 성장 및 수축할 수 있으므로, 짧은 응답 시간에 잉크 토출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잉크-제트 헤드를 소형으로 제조하는 것이 용이하며, 최근의 반도체 분야에서 주목할만한 진전과 고 신뢰성을 갖는 IC 및 마이크로패턴 기술의 장점을 충분히 이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고밀도의 패키지가 달성되며 저 제조 비용으로 수행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잉크-제트 인쇄 장치(101)에 이용된 화상 데이터는 호스트 장치로서 호스트 컴퓨터(111) 상에서 합성되며, 인터페이스(112)를 거쳐 제어기(102)에 보내진다. 제어기(102)로 보내어진 데이터는 이후 기술되어질 시차를 갖는 화상을 복합시킴으로써 얻어지며, 제어기(102)는 토출 데이터를 발생시키기 위해 이러한 화상의 소정의 화상 공정을 실행하고 소정의 메모리(도시되지 않음) 내에서 일시 저장한다.
도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전술한 캐리지(121)는 두 개의 가이드 샤프트(126, 127)와 활주식으로 결합한다. 캐리지(121)의 일부분은 가이드 샤프트(126, 127)에 평행하고 가이드 샤프트(126, 127)와 거의 동일한 범위가 되도록 풀리(115a, 115c) 사이에서 펼쳐지는 벨트(115b)에 연결된다. 캐리지 모터(105)의 구동력은 가이드 샤프트(126, 127)를 따라 캐리지를 이동(주 주사)시키기 위해 상기 구성 요소들을 거쳐 캐리지(121)에 전달된다.
본 실시예의 잉크-제트 인쇄 장치(101)는 컬러 인쇄에 적합하며, 복수개의 컬러의 잉크 제트 헤드에 의해 토출된 잉크 도트를 오버레이(overlaying)시킴으로써 컬러 화상을 형성한다. 그러므로, 장치(101)는 3 또는 4가지 타입의 잉크 제트 헤드 및 3개의 주 컬러 즉, 옐로우(Y), 마젠타(M), 및 시안(C), 또는 이러한 주 컬러에 부가하여 블랙(B)을 포함하는 4가지 컬러에 대응하는 잉크-카트리지를 장착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 잉크 제트 헤드와 잉크 탱크를 각각 일체화시키는 잉크-제트 카트리지(122 내지 125)는 캐리지(121)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카트리지는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잉크에 대응하여 제공되고, 캐리지(121)에 탈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캐리지(121)의 일부분에 제공된 선형 센서(107)는 선형 스케일(107a)과 활주식으로 결합하며, 가이드 샤프트(126, 127)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부품으로, 캐리지(121)의 주사 위치가 검지될 수 있다. 공지의 장치가 검출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자기 또는 광학 검지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에 주목하여야 한다. 반면에, 용지 피치 센서(108)는 캐리지(121)의 잉크-제트 헤드의 주사 영역에 마주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센서로 인해, 렌티큘러 용지의 개별 원통형 렌즈의 피치는 이후 기술되어질 바와 같이, 검지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참조번호(109B, 109C, 109M, 109Y)는 거기에 합체되는 각각 잉크 탱크로부터 블랙, 시안, 마젠타 및 옐로우 잉크를 수용하여, 렌티큘러 용지(120, 도2 참조) 상으로 잉크를 토출하며, 상기 용지 상에 잉크 도트를 형성하는 잉크-제트 헤드를 나타낸다.
전술한 본 실시예의 잉크 제트 인쇄 장치(101)에서, 캐리지(121)는 렌티큘러 용지(120)의 개별 렌티큘러 렌즈(원통형 렌즈)의 길이방향 즉, 렌티큘러 렌즈의 모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도2에 화살표(B)의 방향)으로 주사하며, 잉크-제트 헤드(109Y, 109M, 109C, 109B)를 이용하여 화상을 인쇄한다. 이러한 기구로 인해,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를 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센서(108)는 렌티큘러 렌즈의 모선 방향에서 캐리지를 주사함으로써 화상의 인쇄 방법에 효과적으로 이용되며, 인쇄 위치의 정확도는 이후 기술되어질 바와 같이 보다 용이하게 개선될 수 있다.
도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된 렌티큘러 용지 상에 화상의 입체 화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사람이 물체 또는 화상을 깊이가 있는 입체 화상으로서 인지할 때, 좌측 및 우측 눈에 시차 또는 불균형이 제공되어야만 한다. 도4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50R은 관찰자의 우측 눈을 나타내며, 50L은 관찰자의 좌측 눈을 나타내며, 51은 렌티큘러 용지, 52a, 52b, 52c, 52d는 렌티큘러 용지(51) 상에 기록된 화상(도트)을 나타낸다. 렌티큘러 방식에서, 우측 및 좌측 눈(50R, 50L)이 도입된 화상은 도4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렌티큘러 용지(51)에 의해 분리된 개별 화상(52c, 52b)이며, 미리 지정된 시차가 이러한 두 화상에 주어질 때, 입체 화상이 달성된다. 입체 화상은 두 화상 즉, 우측 및 좌측 눈에 대한 각각의 화상이 존재한다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두 개의 화상이 이용된다면, 입체시 영역은 좁아지며,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갖는 역입체시 영역은 나란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2개 이상의 화상의 다중 화상 변환(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화상)이 행해진다. 이러한 경우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화상의 수가 커짐에 따라, 입체시 영역은 보다 넓어지고 역입체시 영역은 더 좁아진다.
본 실시예의 원화상 합성 조성 및 인쇄 순서가 아래에서 설명되어질 것이다.
< ① 호스트 컴퓨터에 의한 화상 처리 >
스트라이프 처리, 합성 처리 등을 포함한 화상 처리는 렌티큘러 입체시를 달성하기 위해 실행된다.
< ②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잉크-제트 인쇄 장치로의 데이터의 공급 >
호스트 컴퓨터(111)에 의해 발생된 합성 화상은 압축 또는 비압축 데이터로 발송된다. 잉크-제트 인쇄 장치는 계조 표현으로서 면적 계조 방법을 이용하여 수용된 화상에 대한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경우에, 면적 계조의 계조 매트릭스는 그 길이 방향이 렌티큘러 렌즈의 모선 방향과 일치하는 장방형에 의해 특정화되며, 그로 인해 렌티큘러 다중 화상 변환이 달성된다. 또한, 다중-화상 변환은 모든 n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하여 스트라이프형 계조 매트릭스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
< ③ 렌티큘러 용지의 공급 >
렌티큘러 용지(120)는 수동 삽입 또는 자동-용지 공급기에 의해 본 실시예의 잉크-제트 인쇄 장치에 공급된다.
< ④ 인쇄 >
도2에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잉크-제트 인쇄 장치는 소위 시리얼 프린터(serial printer)의 형상을 취한다. 즉, 도2에서, 공급된 렌티큘러 용지(120)는 용지 이송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잉크-제트 헤드(109)에 마주하는 위치로 이송되며, 1라인(1 주사)을 인쇄하기 위해 캐리지(121)의 각 주사에 대해 잉크를 토출하며, 용지는 1-라인 폭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주기 중에, 용지 피치 센서(108)는 렌티큘러 용지(120)의 렌티큘러 렌즈의 피치(용지 피치)를 검지하며, 선형 센서(107)는 캐리지 위치 즉, 잉크-제트 헤드(109)의 위치를 검지한다. 이러한 용지 피치 및 잉크-제트 헤드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기(102)는 잉크-제트 헤드(109)의 잉크 토출 타이밍을 제어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지 피치 센서는 잉크-제트 헤드 주사 방향으로 선단 위치에 제공된다.
캐리지의 각 주사에 대한 전술한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렌티큘러 용지(120)는 인쇄 공정을 수행한다.
< ⑤ 렌티큘러 용지의 배출 >
렌티큘러 용지(120)는 이송 수단(도시되지 않음)을 이용하여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렌티큘러 용지(120)는 일련의 형태의 잉크-제트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인쇄 공정을 수행한다. 다르게는, 소위 전체-라인형 잉크-제트 인쇄 장치 즉, 이송되어질 용지의 폭에 대응하는 범위로 잉크 토출 포트를 갖춘 잉크-제트 헤드를 이용하는 잉크 제트 인쇄 장치는 전술한 인쇄 공정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렌티큘러 용지(120)는 렌즈의 모선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송되며, 용지 피치는 용지가 이송되면 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용지형 매체는 렌티큘러 인쇄 매체로서 이용되나, 연속 형상이 이용될 수 있다.
도5는 본 실시예에 발생되어질 렌티큘러 입체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처리 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 단계 S1 : N개의 원 화상의 포착 (N ≥2) ]
호스트 컴퓨터(111) 상에 시차 화상으로서 처리되어질 화상의 화상 포맷은 호스트 컴퓨터(111)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TIFF, PICT, JPEG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N개의 원 화상의 우측(또는 좌측)으로부터의 n번째(n ≤N) 렌티큘러 화상으로서의 시차 화상의 정보 및 베이스 길이, 포토그래프 카메라의 초점 길이 등과 같은 포토그래핑 조건을 화상 헤더의 헤더 필드에 동시에 기입하는 것이 후처리에 있어 효과적이다. 시차 화상을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소정의 베이스 길이로서 화상을 촬영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다수의 광학 시스템을 구비한 멀티노큘러 카메라, 기계적 평행 이동 수단을 사용하여 카메라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그것들의 화상 감지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스캐너 또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에서 그 화상이 처리될 수 있는 한, 은(silver) 할로겐화물 시스템, CCD 등을 이용하는 광전 변환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차 화상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실제 물체의 포토그래프 화상을 위한 전술한 수단 외에도 예를 들어 컴퓨터 그래픽에 의해 N개의 소정의 시차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단계 S2 : 각각의 개별 원 화상을 수평 방향으로 압축]
단계(S1)에서 얻어진 원 화상은 최종 렌즈 화상의 렌티큘러 렌즈의 모선에 수직인 방향(수평 방향)으로 1/N으로 압축된다. 이것은 렌티큘러 렌즈마다 N개의 화상을 인쇄하는 것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수평 방향으로 Nx의 해상도를 갖는 잉크 제트 프린터가 사용되면, 그 화상들은 압축될 필요가 없다. 반면에, 수직 및 수평 프린터 해상도 비가 NP = (수평 해상도)/(수직 해상도)로 제공되면, 렌티큘러 입체시(stereovision)에 사용되는 각각의 개별 원 화상은 수평 방향으로 NP/N의 비로 압축될 수 있다. 화상들이 호스트 컴퓨터 상에서의 처리의 초기 단계에서 압축되므로, 메모리가 절감될 수 있고 처리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 때, N개의 시차 화상들이 매우 높은 상호 관련성을 가지므로, 그 화상들은 차등 신호들을 사용하여 또는 모션 벡터를 추가하여 압축될 수 있고 처리될 신호 체적이 줄어들 수 있다.
[단계 S3 및 S4 : 스트라이프 처리 및 렌티큘러 화상의 재배열]
렌티큘러 입체시 화상을 형성하는 각각의 개별 시차 화상은 기본적으로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분리되고, 그 얻어진 스트라이프 패턴은 도4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입체시 화상을 얻도록 재배열된다. 이 때, 화상들이 렌티큘러 렌즈에 의해 역전되므로, 화상들이 배열된 순서가 그에 따라 역전된다. 호스트 컴퓨터(111)의 메모리를 절감하기 위해, 전술한 압축된 화상들이 사용될 수 있고 확장시에 재배열될 수 있다.
[단계 S5 : 면적 계조 표현]
잉크 제트 프린트 설계는 잉크 토출하거나 토출하지 않음으로써 화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화상이 조립 유닛으로서 2차원 세트의 다수의 픽셀로서의 디지털 화상이므로, 하나의 픽셀에 대응하는 단지 하나의 도트는 계조를 나타낼 수 없고 계조 표현은 소정 면적을 갖는 매트릭스 패턴에 의해 달성된다.
도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적용되는 면적 계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렌티큘러 렌즈의 하나의 피치에 대응하는 화상의 매트릭스 패턴은 X 방향(렌티큘러 렌즈의 반경 방향)으로 8개의 픽셀과 Y 방향(렌티큘러 렌즈의 모선 방향)으로 8개의 픽셀로 한정된다. 즉, 도6에서 참조 부호 XL은 렌티큘러 렌즈의 하나의 피치에 대한 폭을 나타내고, YL은 렌티큘러 렌즈의 생선 라인 방향으로의 하나의 매트릭스 패턴의 크기를 나타낸다. 4개의 화상들이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므로, 그 화상들은 폭(XL) 내에서 2 x 8 도트마다 인쇄된다.
도7은 도6에 도시된 화상들에서 하나의 화상의 매트릭스 패턴을 도시한다. 이러한 매트릭스 패턴은 모선 방향에서 8개의 도트로 그리고 그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2개의 도트로 한정된다. 따라서, 16 그레이 레벨이 나타날 수 있다.
면적 계조 표현 방법을 실시할 때, 원 화상의 톤 값과 인쇄될 화상의 색조 값 사이의 어떤 오차도 보정되어야 한다. 이 목적으로, 오차 분산 법이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도8은 오차 분산을 이용하는 본 실시예에서 오차 분산을 도시하고, 도8에서 LD는 렌티큘러 렌즈의 모선 방향을 나타낸다. 원 화상에서 소정의 픽셀 P(x, y)의 오차(Exy)는 단지 Y 방향(렌티큘러 렌즈의 모선 방향)으로 분산된다. 이 실시예에서, 그 오차는 Y 방향으로 늘어선 픽셀(PA, PB, PC, PD)로 분산된다. 또한, 그 거리에 따라 중량이 정해지고(즉, 오차의 분산 비가 결정되고), 중량 계수는 증가된 거리에 따라 더 작아진다.
[단계 S6 : 인쇄]
이 방식으로, 잉크 제트 헤드의 토출을 제어하도록 화상 또는 신호 처리가 수행되어서 화상이 인쇄된다. 잉크 유무에 따라 인쇄되는 2원 인쇄 공정이 설명된다. 또한, 잉크량을 조절할 수 있는 멀티 값 인쇄 공정이 그에 적용된다.
[제1 실시예]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다른 입체시 화상(이동 화상) 표시 장치가 아래에 설명된다.
도9a 및 도9b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는 프레임(1)에 독립적으로 탈거 가능하고 또는 그에 합체되는 렌티큘러 렌즈(2)를 구비한다. 수평 방향으로부터 피표시물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삽입 슬롯(3)은 프레임(1) 및 렌티큘러 렌즈(2) 사이에 형성된다. 프레임(1)의 배면 상에서, 표시 장치를 인물 또는 풍경 위치에서 직립하여 세우기 위해 사용되는 아암(4)과 그 아암(4)을 수용하는 부착 홈(5)이 형성된다.
부착 홈(5)은 프레임(1)의 배면 상에서 교차 패턴으로 형성된다. 아암(4)의 한 단부(4a)는 상부, 하부, 우측 및 좌측 부착 홈(5) 중 하나에 끼워맞춤되고, 다른 단부(4b)는 프레임(1)의 배면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표시 장치를 인물 또는 풍경 위치에서 직립하여 배치하게 된다.
표시 장치(10)는 인물 또는 풍경 위치에서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화상이 인쇄되는 종이 용지와 같이 피표시물이 그 삽입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설치될 때, 아암(4) 및 상부, 하부, 우측 및 좌측 대칭 부착 홈(5)은 표시 장치(10)를 상부, 우측, 우측 및 좌측 중 하나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고, 부착 홈(5)들 중 어느 하나가 아암(4)을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피표시물이 프레임(1)의 종방향에 수직인 방향(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삽입 슬롯(3)으로부터 삽입된다. 이 삽입 슬롯은 오른손잡이 및 왼손잡이 양 사용자들에 맞게 형성된다.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잡이 사용자는 물체를 그 또는 그녀의 우측에 표시되도록 보유하고 프레임을 삽입 또는 제거를 위해 그 또는 그녀의 좌측에 보유하며 아암(4)을 그 또는 그녀의 우측에서 프레임의 배면 상에 장착한다.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잡이 사용자가 물체를 전술한 것과 반대 방식으로 표시되도록 삽입할 때, 그 또는 그녀는 프레임의 배면 상에서 아암(4)을 상부 또는 하부 대칭 부착 홈(5)에 부착시킬 수 있다. 각 경우에, 사용자는 프레임(1)을 한 손에서 다른 손으로 전달할 필요 없이 표시 장치를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도12는 프레임의 배면 상에 아암이 보관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표시 장치(10)가 사용되지 않을 때, 또는 아암(4)을 사용하지 않고 벽에 걸려져 있는 동안에 표시 장치(10)가 사용될 때, 아암(4)을 프레임(1)의 배면에 보관하기 위해 프레임(1)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부착부(6) 상에 아암(4)의 중심부에 형성된 홈(4c)이 끼워맞춤된다. 이 경우에, 벽 현수부(11)가 이용될 수 있다. 이 때, 아암(4)은 사용되지 않는 중에 손실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표시 장치(10)는 물체가 렌티큘러 렌즈(2)의 배면과 긴밀하게 접촉되어 표시되도록 가압하는 압박판(도시안됨)을 구비한다.
렌티큘러 렌즈(2)는 렌즈의 투명도, 볼록면의 높은 성형 정밀도, 높은 렌즈 피치 정밀도를 보장할 수 있고 작은 온도 변화 계수를 가지며 높은 환경 적합성을 갖는 재료를 선택하여야 하고, 스티렌계 재료,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이 무해한 재료가 사용된다(스티렌계 재료가 비용면에서 바람직함). 또한, 프레임은 렌즈 재료와 유사한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된다(동일한 재료가 사용되는 것이 요구되지 않을 지라도 크기면에서 작은 변화를 보장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작은 온도 변화 계수를 갖는 재료가 선택됨).
피표시물(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압박판)가 프레임(1)의 삽입 슬롯(3)으로부터 삽입되고 피표시물의 화상 면은 볼록면을 갖는 렌티큘러 렌즈(2)의 배면에 접촉되고 슬롯의 단부로 가압된다. 피표시물을 삽입한 후, 렌티큘러 렌즈(2)들의 볼록면 측부로부터 화상을 관찰하는 동안 피표시물은 적어도 2개의 조절 구멍(9)[아암(4)을 구비한 상태의 2개의 구멍, 최대 4개의 구멍] 들을 통하여 손가락에 의해 정렬되어서 피표시물의 스트라이프 화상들은 렌즈들(입체 화상; 수직 방향/이동 화상; 수평 방향)의 모선(generating line) 방향에 평행하게 된다. 이 후, 정렬은 가장 입체적인 효과가 얻어지는 지점[이동 화상; 크로스토크(crosstalk)가 최소화되는 지점에서 하나 이상의 화상들이 관찰되지 않음]에서 멈추며, 이에 따라 최상의 입체 화상(이동 화상)이 얻어진다.
정렬 상태에서, 적어도 2개의 조절 구멍(9)들이 형성되므로, 피표시물이 단지 하나의 구멍만을 통하여 조절되는 기존의 장치와 비교할 때 피표시물은 곧바로 2차원적으로 이동될 수 있어서, 입체 상태 및 위치 조절을 탄력적으로 확인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정렬을 용이하게 하도록, 렌티큘러 렌즈(2)를 입체 화상(이동 화상)이 인쇄되는 피표시물와 함께 프레임에 고정할 때, 표시 장치의 프레임의 내측 크기[폭(Dw)와 길이(D1)], 피표시물의 외측 크기[폭(Pw)과 길이(P1)] 및 렌티큘러 렌즈(2; 도10a 내지 도10c 참조)의 외측 크기[폭(Rw)과 길이(R1)] 사이의 관계는 다음식을 만족하도록 사전에 결정된다:
D(w,1) = D(w,1)- α(w,1) = P(w,1)= D(w,1) - α(w,1) - β(w,1) = R(w,1)에 대해서, D(w,1) > P(w,1) ≥ R(w,1)
여기서, α(w,1)는 1.0 내지 2.0 mm, β(w,1)는 0 내지 2.0 mm. 렌티큘러 렌즈(2)와 화상 사이의 정렬은 피표시물을 이동시키거나 또는 표시되는 2개의 물체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서 달성될 수 있어서, 고해상도 입체 화상 또는 이동 화상을 위해 요구되는 높은 정렬 정밀도(대략 수십 ㎛)를 얻게 된다.
렌티큘러 렌즈(2)와 프레임은 주형 또는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자.
사용자가 이러한 렌즈들을 통하여 입체 화상/이동 화상을 관찰하도록 허용하는 원리는 종래 기술과 동일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입체 화상[시차(parallax)] 또는 이동 화상(시간차)이 렌티큘러 렌즈를 통하여 형성되는 피표시물을 표시할 때, 렌티큘러 렌즈의 모선 방향과 화상 사이의 위치 관계는 입체 화상과 이동 화상 모두에 호환성이 있고, 렌즈들과 피표시물 사이는 긴밀한 접촉을 이루며, 화상의 용이한 정렬이 달성될 수 있고, 화상은 렌즈의 표면과 이면을 혼동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아암은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표시 유닛의 배면으로의 아암 부착 패턴은 변화될 수 있어서, 표시 유닛은 그 상, 하, 좌 및 우측 중 어느 하나 상에 직립으로 세워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왼손잡이이든 오른손잡이든 간에 피표시물을 삽입하고 화상을 정렬하는 동안 표시 유닛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화상이 형성되는 피표시물은 필요에 따라 교체될 수 있으므로, 높은 정렬 정밀도를 요구하고 렌즈에 맺힐 때에만 사용 가능한 고화질(400 dpi 이상) 입체 화상 또는 이동 화상은 필요에 따라 교체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 등을 사용하는 2차원 화상 입력은 단순 화상 처리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3차원 시차 화상들로 변환될 수 있고, 화상 출력 장치로서의 잉크 제트 인쇄 장치 등의 인쇄 출력물은 화상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사람들은 저가로 이러한 화상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13, 도14a 및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서, 프레임(1)과 렌티큘러 렌즈(2)는 탈거 가능하게 별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피표시물을 삽입할 때 쉽게 혼동되는 렌티큘러 렌즈(2)의 표면과 이면을 용이하게 구별하도록, 도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2)의 적어도 일측(모서리)이 노치될 수 있다. 렌즈의 표면에 대해 상부좌측 모서리가 이러한 방식으로 노치될 때, 렌즈는 그 상부 좌측 모서리가 상방으로 향하게 하도록 렌즈를 삽입함으로써 대면하는 그 볼록면을 가지게 설정될 수 있고, 입체 화상/이동 화상은 안정적으로 삽입되고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렌티큘러 렌즈(2)의 볼록면(2a)의 이면은 도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체 화상을 관찰하게 하도록 피표시물(8)의 화상 표면(8a)과 접촉할 수 있고, 도15c에 도시된 피표시물(8)의 화상 표면(8a)과 렌티큘러 렌즈(2)의 볼록면(2a)이 접촉하여 단순히 스트라이프 상에 얼룩진 화상들을 표시하는 상태는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매우 작은 피치를 갖는 고해상도 렌티큘러 렌즈(2)의 경우에, 그 표면과 이면을 구별하는 것은 어렵고, 삽입 에러들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사용자 가이드에서 삽입용 지시 사항을 설명함으로써 테스트에서 증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13, 도14a 및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으로부터 탈거 가능한 지지 부재가 추가되므로, 표시 장치는 자체적으로 직립으로 세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로, 표시 장치는 2개의 다른 위치들, 즉 인물 사진과 풍경 사진 위치들에 위치할 수 있다. 종래 기술의 원리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물 사진의 위치에서는, 렌티큘러 렌즈(2)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여, 입체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풍경 사진의 위치에서는, 렌티큘러 렌즈(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여, 이동 화상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를 통하여 입체 화상/이동 화상을 사용자가 관찰하도록 하는 원리는 종래 기술에서와 동일하며,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3 실시예]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16과 도17은 고해상도 입체 화상(이동 화상)에 부합되는 탈거 가능한 렌티큘러 렌즈를 갖춘 표시 장치를 도시한다. 제3 실시예에서, 프레임(1), 렌티큘러 렌즈(2) 및 압박판은 표시 방향에 대해 양의 곡률을 갖는다.
렌티큘러 렌즈 개략도에 따르면, 대체적으로 렌티큘러 렌즈(2)의 두께는 높은 입체 효과를 달성하도록 증가되며, 렌즈 피치는 높은 깊이감을 얻도록 증가된다. 이에 따라 깊이감이 얻어질 수 있지만, 헤어의 해상도, 미세한 패턴 등이 악화된다. 따라서, 높은 입체 효과와 수용가능한 해상도를 달성하도록, 렌즈 두께가 증가되는 동안 렌즈 피치는 감소되어야 한다. 그러나, 렌즈 피치가 감소될 때, 렌즈 피치 내에 형성될 수 있는 스트라이프 화상의 수는 저해상도 인쇄 장치(예를 들어, 400 dpi 미만)에서 제한되고, 높은 입체 효과를 얻기 위하여 요구되는 스트라이프 화상의 수는 매우 작게됨으로 인해 입체 효과는 떨어지게 된다. 이와 반대로, 고해상도 인쇄 장치(400 dpi 이상)에서는, 렌즈 피치 내에 형성될 수 있는 스트라이프 화상의 수가 증가될 수 있고, 높은 입체 효과를 얻도록 요구되는 스트라이프 화상의 수가 크게 됨으로 인해 입체 효과는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스트라이프 화상들은 렌티큘러 렌즈(2)의 피치 내에 해당하도록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하고, 렌즈와 긴밀하게 접촉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도록, 전체 프레임(1)은 제3 실시예에서 양의 곡률을 가지기 때문에, 입체 화상(이동 화상)이 인쇄되는 피표시물이 렌티큘러 렌즈(2)와 압박판 사이에 클램핑될 때, 피표시물은 약간의 곡률을 가질 수 있고, 그 강성만큼 렌티큘러 렌즈(2)의 이면과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고해상도(400 dpi 이상 및 양호하게는, 600 dpi 이상) 입체 화상(이동 화상)이 더 높은 입체 효과를 얻도록 처리될 때조차도, 입체 효과는 높은 접촉도로 인해 최대화될 수 있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티큘러 렌즈(2)와 프레임(1)은 폭(L)과 전방 측면부를 향하여 l만큼 중앙부가 돌출하는 곡률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L은 105 mm이고 l은 1.5 mm이다. 이러한 경우에, 곡률 반경(R)은 대략 500 mm이다.
이러한 곡률은 명확히 명시될 수 없지만, 폭(L)에 대해 0.5 % 내지 20 %까지 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돌출량(l)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곡률은 항상 일정한 R을 가질 필요는 없으나, 2차 함수, 3차 함수, 삼각 함수 등과 같은 함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러한 장치는 사용자가 두 개의 다른 위치 즉, 인물 사진이나 풍경 사진 위치에 표시 장치를 위치시키도록 한다. 인물 사진 위치에서, 렌티큘러(lenticular) 렌즈(2)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고, 종래 기술의 원리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체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풍경 사진 위치에서, 렌티큘러 렌즈(2)는 수평 상태로 연장하고, 이동 화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시험 결과들은 입체 효과가 약간의 곡률을 줌으로써 증가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든 렌즈, 프레임 및 압박판은 약간의 곡률을 갖는다. 그러나, 필요한 만큼 렌즈 및 압박판이 변형 가능하다면, 약간의 곡률이 프레임에만 주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 있어서, 구멍들은 배면의 네 모퉁이에 대칭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구멍들은 두 개의 대각선 위치 또는 단지 상부 또는 하부 두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복수의 조절 구멍을 형성하는데 충분하다.
예를 들어, 단지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면, 경사진 정렬을 균형 잡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그러므로, 정렬이 화상을 왕복 이동시킴으로써 만들어지면, 화상은 수십 마이크론의 증가에서도 좌우 핑거에 의해 두 개 이상의 위치에서 매우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고, 동시에 화상을 확립한다.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는, 볼록형 렌티큘러 렌즈가 설명되고 예로서 설명된다. 렌티큘러 렌즈는 오목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오목형 렌티큘러 렌즈에 따르면, 렌즈와 피표시물 사이의 긴밀한 접촉이 달성될 수 있고 볼록형 렌티큘러 렌즈와 동일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의 공개를 평가하기 위해, 다음 청구항이 만들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렌티큘러 렌즈의 모선 방향과 피표시물을 표시할 때 렌티큘러 렌즈를 통해 입체 화상(시차) 또는 이동 화상(시간차)이 형성되는 화상 사이의 위치적 관계의 관점에서 입체 화상 및 이동 화상 양자에 호환가능하고, 렌즈와 피표시물 사이의 양자 긴밀 접촉을 달성할 수 있으며, 화상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고, 렌즈의 표면/이면을 실수없이 화상을 삽입할 수 있게 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 제트 인쇄 장치의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잉크 제트 인쇄 장치의 주요부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3은 도2에 도시된 캐리지의 외관 및 캐리지에 장착된 잉크 제트 헤드를 도시하는 입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렌티큘러 용지가 사용될 때의 입체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따라 잉크 제트 인쇄 장치에 의해 렌티큘러 입체 화상을 형성할 때의 화상 처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면적 계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면적 계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오차 분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a 및 도9b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0a 내지 도10c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렌티큘러 렌즈 및 피표시물의 정면도.
도11은 도9a 및 도9b의 배면도.
도1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따른 표시 장치의 프레임 레그부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13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따른 표시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14a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14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도15a 내지 도15c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따른 렌티큘러 렌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따른 표시 장치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17은 도16의 상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잉크 제트 인쇄 장치
103 : 용지 공급 모터
104 : 모터 구동 회로
105 : 캐리지 모터
107 : 선형 센서
108 : 용지 피치 센서
109 : 잉크 제트 헤드
110 : 헤드 드라이버
120 : 렌티큘러 용지
121 : 캐리지

Claims (11)

  1. 피표시물을 수용하는 표시 유닛의 표시 표면 상에 렌티큘러 렌즈를 갖추고 표시 유닛이 직립하도록 그 배면에 아암을 갖춘 표시 장치이며,
    상기 아암이 표시 유닛을 그 상, 하, 좌, 우 측면 중 하나에 직립시키도록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표시 유닛의 배면에 대하여 아암의 부착 패턴이 변화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표시 유닛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상기 표시 유닛과 별도로 상기 표시 부재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 렌티큘러 렌즈의 배면에 밀접한 상태에서 상기 피표시물이 삽입되고, 상기 피표시물을 삽입한 후, 상기 표시 유닛의 이면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조정 수단에 의해 상기 피표시물을 2차원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피표시물에 형성된 화상의 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2차원 화상으로부터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복수의 시차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입체 화상,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복수의 시차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이동 화상 또는 3차원 화상으로부터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복수의 시차 화상을 형성함으로써 얻어지는 입체 화상이 피표시물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화상 또는 이동 화상은 잉크 제트 인쇄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체 화상 또는 이동 화상은 400 dpi 또는 600 dpi 이상의 해상도로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렌티큘러 렌즈의 외부 에지부 중 적어도 일부는 다른 부분과 상이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렌티큘러 렌즈의 외부 에지부 중 적어도 일부는 노치(notch)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러 렌즈는 상기 렌즈의 모선 방향과 단책형으로 형성된 피표시물의 화상을 평행한 상태로 하고, 그 모선 방향을 수직 방향에 배치하면 상기 피표시물이 입체 화상으로 보이고, 수평 방향에 배치하면 이동 화상으로 보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피표시물은 피표시물이 상기 조절부로 형성된 압박판에 의해 체결되면 렌티큘러 렌즈의 후방 표면과 긴밀하게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렌티큘러 렌즈는 볼록형으로 형성되고, 피표시물 및 조절부를 갖는 압박판은 렌티큘러 렌즈와 대응하는 볼록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렌티큘러 렌즈는 오목형으로 형성되고, 피표시물 및 조절부를 갖는 압박판은 렌티큘러 렌즈와 대응하는 오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렌티큘러 렌즈는 스티렌계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KR20-2005-0017112U 2001-09-07 2005-06-15 표시 장치 KR2003958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112U KR200395846Y1 (ko) 2001-09-07 2005-06-15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72556 2001-09-07
KR20-2005-0017112U KR200395846Y1 (ko) 2001-09-07 2005-06-15 표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679A Division KR20030022055A (ko) 2001-09-07 2002-09-06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846Y1 true KR200395846Y1 (ko) 2005-09-14

Family

ID=4369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112U KR200395846Y1 (ko) 2001-09-07 2005-06-1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8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2693B2 (en) Display apparatus
US5812152A (en) Image formation method for forming images on lenticular plate,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rovided with such recording apparatus
JP3420394B2 (ja) レンチキュラープリント媒体、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7726762B2 (en) Printing method and printing apparatus
US7407248B2 (en)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system
US6709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printing on a lenticular foil
US81369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on lenticular sheets
US739007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lignment for printing with a printhead
JP3409810B2 (ja) 画像出力方法
US5764266A (en)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data
EP0805041A1 (en) Image recorder, image data generator and recording method
CN101618638B (zh) 打印装置、透镜片及打印方法
US7593132B2 (en) Method for calibrating printing of lenticular images to lenticular media
EP1479220A1 (en) Technique for printing a color image
JPH07281327A (ja) インクジェット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方法
US6688728B2 (en) Ink-jet recording head, ink-jet recording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6276678A (ja) レンチキュラレンズシート記録媒体及び画像記録装置
KR200395846Y1 (ko) 표시 장치
JP5862188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およびレンズシート
US7652777B2 (en) Method in a copy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orientation of a document
JP4835110B2 (ja) 画像処理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5532778B2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印刷装置
JP2007199452A (ja) 画像処理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KR100301590B1 (ko) 플로터를이용한실시간렌티큘러인쇄장치
JP2015031816A (ja) 画像処理方法および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