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667Y1 -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667Y1
KR200395667Y1 KR20-2005-0012928U KR20050012928U KR200395667Y1 KR 200395667 Y1 KR200395667 Y1 KR 200395667Y1 KR 20050012928 U KR20050012928 U KR 20050012928U KR 200395667 Y1 KR200395667 Y1 KR 2003956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vehicle body
width direction
sea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2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필
권오석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2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6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6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6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6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transversally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60N2/0875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in a vertic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성 부품수를 줄이고, 그 구조를 단순화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그 차체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시트가 고정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걸림부를 가진 걸림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고, 걸림턱을 구비하고, 그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재의 복수의 걸림부중 어느 하나와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이 방지되는 제1위치와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이 가능한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Seat side-slide mechanism for an automobile}
본 고안은 구성 부품수를 줄이고, 구조를 단순화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객의 체형에 맞도록 차체의 폭 방향으로 이송되는 시트의 이송장치를 개선하여,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의 제조원가 절감과 승객의 편의성 향상에 효과가 크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시트는 버킷 시트(bucket seat), 벤치 시트(bench seat), 및 리클라이닝 시트(reclining seat)로 구분된다. 상기 버킷 시트는 승객의 몸을 체형에 맞게 편안하도록 유지할 수 있는 시트를 말하고, 시트가 1인용으로 나누어져 있어 일명 세퍼레이트 시트(separate seat)라고도 한다. 그리고 벤치 시트는 승용차의 뒷좌석에 사용되는 시트를 말하며, 상기 리클라이닝 시트는 시트백이 조정가능하도록 된 시트로서 적절한 운전을 할 수 있는 목적 외에, 휴식을 위해 시트백을 눕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차량용 시트는 시트의 형태뿐만 아니라 시트의 위치를 변경하여 운전자나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위치변경을 위한 이송장치는 전후 방향의 이동만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었으나, 체형이 큰 복수의 승객이 나란이 탑승하는 경우에 서로간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서 어깨등이 서로 닿아 탑승한 동안 승객들이 불편함을 느껴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차체의 폭 방향으로 시트의 이동이 가능한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개발되어 있는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는 유압실린더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유압실린더를 사용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는 각 시트마다 유압실린더가 필요하고, 그 작동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유체의 공급원이 필요하고, 그 유체를 실린더에 전달해주기 위한 수단 및 이를 제어하는 장치가 필요하므로 이송장치의 크기가 커지며, 구성 부품수도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는 제조원가가 비싸서 범용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구조가 복잡하여 차량에 설치공간도 많이 필요하게 되어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구성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여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의 제조 비용이 절감될 수 있고, 장치의 수용 공간도 적게 하여 승객의 편의성 향상에 효과가 크도록 구조가 개선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는, 차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그 차체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시트가 고정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걸림부를 가진 걸림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고, 걸림턱을 구비하고, 그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재의 복수의 걸림부중 어느 하나와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이 방지되는 제1위치와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이 가능한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회전부재를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며 ,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의 회전부재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의 주요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본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S)의 폭 방향 이송장치(20)는, 차체(B)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 차체(B)는 연결부재(37)와 한 쌍의 레일(36) 및 한 쌍의 보조레일(3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연결부재(37)는 상기 차체(B)에 용접이나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37)는 상기 차체(B)에 대해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일(36) 및 보조레일(39)은 상기 연결부재(37)에 용접이나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36) 및 보조레일(39)은 상기 연결부재(37)를 통해 차체(B)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차체(B)에 대해 상대 이동이 불가능하다.상기 차량용 시트(S)의 폭 방향 이송장치(20)는 이동부재(30)와 걸림부재(40)와 회전부재(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동부재(30)의 상부에는 시트(S)가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고정되어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재(30)는 상기 차체측에 결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이동부재(30)는 상기 차체(B)의 레일(36)에 끼워져 결합되어 있다. 상기 레일(36)은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단면이 차체(B)의 폭 방향(도1에서 "A"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형상이다. 상기 이동부재(30)는 상기 레일(36)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차체(B)에 대해 폭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부재(30)는 상기 차체(B)측에 고정된 상기 레일(36)에 대해 상대적으로 그 차체(B)의 폭 방향으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30)에는 결합부재(3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볼트(33)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3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원형의 구멍(3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원형의 구멍(34)의 중심 축선은 차체(B)의 폭 방향을 향하고 있다. 상기 원형의 구멍(34)은 일정한 간격으로 2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이동부재(30)에는 보조결합부재(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보조결합부재(32)는 상기 이동부재(3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조결합부재(32)는 후술하는 회전부재(50)를 상기 이동부재(30)에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보조결합부재(32)는 상기 결합부재(31)에 마련된 구멍(34)과 그 구멍의 중심축선상에 나란하게 배열된 구멍(38)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이동부재(30)는 고정된 시트의 거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장하는 보조이동부재(3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조이동부재(35)는 상기 이동부재(30)와 나란하게 배열되어 있다. 상기 보조이동부재(35)는 보조레일(39)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보조레일(39)은 상술한 바와 같이 차체(B)측에 상기 연결부재(37)를 통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보조레일(39)은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그 단면이 차체(B)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이다. 상기 보조이동부재(35)는 상기 보조레일(39)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차체(B)에 대해 폭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보조이동부재(35)는 상기 이동부재(30)에 결합되어 있는 시트(S)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S)에 상기 차체(B)의 폭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져서 그 시트(S)가 움직일 때, 상기 이동부재(30)와 보조이동부재(35)가 시트(S)와 함께 차체(B)의 폭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40)는 상기 차체(B)측에, 구체적으로는 상기 연결부재(37)에, 용접이나 볼트(미도시)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40)는 차체(B)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걸림부(41)를 가지고 있다. 상기 걸림부(41)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2개 마련되어 있고 각 걸림부(41)는 한쪽이 열려 있는 사각형상의 홈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41)는 후술하는 회전부재(50)의 걸림턱(52)이 고정되어 상기 이동부재(30) 및 상기 보조이동부재(35)에 결합된 시트(S)가 차체(B)측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50)는 상기 이동부재(3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50)는 몸체(51)와 걸림턱(5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몸체(51)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진 파이프로서 상기 결합부재(31) 및 보조결합부재(32)에 마련된 구멍들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재(3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걸림턱(52)은 상기 몸체(51)에 결합된후 상기 걸림턱(52)이 상기 구멍들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핀(53)으로 상기 몸체(5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52)은 상기 회전부재(50)의 몸체(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몸체(51)와 같은 각도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52)은 상기 걸림부재(40)의 2개의 걸림부(41)중 어느 하나와 마주하는 상태에 놓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재(50)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다. 상기 제 1 위치는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52)이 상기 걸림부(41)에 걸려 상기 이동부재(30)의 이동이 방지되는 위치를 말한다. 즉, 상기 시트(S)의 이동이 방지되어 고정되어 있는 위치를 말한다. 상기 제 2 위치는 도 4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턱(52)과 상기 걸림부(41)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이동부재(30)의 이동이 가능한 위치를 말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41)가 상기 제2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시트(S)가 차체(B)측에 대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재(50)의 일단부에는 손잡이(5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54)는, 그 손잡이(54)가 없는 경우에 비해 보다 작은 힘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5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손잡이(54)는 상기 회전부재(50)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54)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50)의 몸체(51)에, 예컨대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54)의 길이가 길수록 적은 힘으로 상기 회전부재(50)를 회동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50)와 상기 이동부재(30) 사이에는 탄성부재(5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55)는 도 3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50)가 상기 제 1 위치에 위치하도록 그 회전부재(50)에 탄성력을 가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55)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이 사용되었다.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탄성부재(50)의 몸체(51)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이동부재(30)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50)가 상기 회전하면 상기 탄성부재(50)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50)는 탄성복원력을 갖게 되어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려는 힘을 받게 된다.
이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20)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20)가 차체(B)에 조립되어 있고, 상기 이동부재(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50)의 걸림턱(52)이 상기 걸림부재(40)의 걸림부(41)들 중 도면상에서의 왼쪽의 걸림부(41)에 걸려 있는 위치에 있는 상태(시트(S)가 도 9에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 즉 시트(S)간의 간격이 좁혀져 있는 상태)로부터 설명을 시작한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시트(S)간의 간격을 넓혀서 차량에 탑승하여 시트에 앉은 승객들에게 편안한 공간을 마련해 주고자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2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회전부재(50)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회동시켜야 한다. 이 회동을 위해, 상기 회전부재(50)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손잡이(54)를 차체(B)의 하단으로 누르면 상기 손잡이(54)에 결합된 상기 회전부재(50)의 몸체(51)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50)의 몸체(51)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걸림턱(52)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55)는 탄성변형되면서 복원력을 지니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50)가 도 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위치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걸림턱(52)이 상기 걸림부재(40)의 걸림부(41)와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이동부재(30)가 차체(B)의 폭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54)를 잡은 상태로 시트(S)를 도 9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 즉 시트간의 간격이 넓어지는 위치로 밀면 그 시트(S)의 하부에 연결된 이동부재(30)는 시트(S)와 함께 이동한다. 그러한 상태로, 상기 회전부재(50)의 걸림턱(52)이 상기 걸림부재(40)의 오른쪽 걸림부(41)의 제2위치에 있을 때, 상기 손잡이(54)를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5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5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위치로 회동하면서 상기 걸림턱(52)이 상기 걸림부재(40)의 걸림부(41)들 중 도면에서의 오른쪽 걸림부(41)에 걸리게 되어 상기 이동부재(30)의 차체(B)의 폭 방향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부재(30)에 고정된 시트(S)는, 그 변경된 위치, 즉 시트(S)간의 간격이 넓어진 위치에서 고정된다.
반대로 상기 시트(S)간의 간격을 좁히기 위해서는 상기 차량용 시트(S)의 폭 방향 이송장치(20)를 상술한 절차를 역순으로 작동시키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20)는 종래에 차량의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에 비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구성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어 차량용 시트의 이송장치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체형이 다른 복수의 승객이 차량에 탑승할 경우 서로에게 피해가 가지 않고 안락한 여행이 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36)은 T자형의 단면형상이 예시되어 있으나 상기 레일(36)의 형상은 이 것으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가 구체화 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이동부재(30)와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되어 리벳(33)으로 결합한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그 결합수단을 리벳(33)으로 한정하고 있지 아니하며, 상기 결합부재(31)는 상기 이동부재(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조이동부재(35)가 없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결합부재(32)를 구비하고 있으나 상기 보조결합부재(32)가 없더라도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41)는 한쪽이 열려있는 사각형상의 홈부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는 상기 걸림부(41)의 형상이 사각형상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41)는 2개 마련되어 있으나 그 이상의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52)은 상기 회전부재(50)의 몸체(51)와 별도의 부품으로서 고정핀(53)에 의해 상기 몸체(51)에 고정되었으나, 상기 걸림턱(52)의 고정수단은 고정핀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걸림턱(52)과 상기 회전부재(50)의 몸체(51)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4)는 상기 회전부재(50)의 몸체(51)에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었으나, 상기 몸체(51)와 상기 손잡이(54)의 결합수단은 억지끼움이 아니더라도 상기 몸체(51)에 숫나사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54)이에 관통 구멍을 마련하여 너트로 체결할 수도 있으며 그 결합수단이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손잡이(54)가 설치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손잡이(54)가 있는 경우에 비해, 상기 회전부재(50)를 회동시키는데,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이 필요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이 탄성부재(55)로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으나 본 고안에서 상기 탄성부재(55)의 범위가 상기 코일스프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서술된 상기 보조이동부재(35)가 적용되지 아니하여도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그러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에 비하여 구조가 단순하고 구성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어 차량용 시트의 이송장치의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체형이 다른 복수의 승객이 차량에 탑승할 경우 서로에게 피해가 가지 않고 안락한 여행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의 조립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의 회전부재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의 주요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의 회전부재가 제2위치에 있는 경우의 주요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의 이동부재가 이동되어 회전부재가 제1위치에 있는 경우의 주요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Ⅵ-Ⅵ선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Ⅶ-Ⅶ선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Ⅷ-Ⅷ선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차량의 시트에 본 고안이 적용된 경우의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 30...이동부재
31...결합부재 32...보조결합부재
33...리벳 34,38...구멍
35...보조이동부재 36...레일
37...연결부재 39...보조레일
40...걸림부재 41...걸림부
50...회전부재 51...회전부재의 몸체
52...걸림턱 53...고정핀
54...손잡이 55...탄성부재
A... 차량의 폭 방향 B...차체 S...시트

Claims (4)

  1. 차체의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그 차체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시트가 고정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차체의 폭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걸림부를 가진 걸림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고, 걸림턱을 구비하고, 그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재의 복수의 걸림부중 어느 하나와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부에 걸려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이 방지되는 제1위치와 상기 걸림턱과 상기 걸림부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이 가능한 제2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한 회전부재를 구비하는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 큰 토크를 가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일단에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손잡이를 더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설치되며, 회전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도록 그 회전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차체에 대해 차체의 폭 방향 이동이 가능하고, 시트에 고정되는 보조이동부재를 더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
KR20-2005-0012928U 2005-05-09 2005-05-09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 KR2003956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928U KR200395667Y1 (ko) 2005-05-09 2005-05-09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2928U KR200395667Y1 (ko) 2005-05-09 2005-05-09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667Y1 true KR200395667Y1 (ko) 2005-09-13

Family

ID=43696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2928U KR200395667Y1 (ko) 2005-05-09 2005-05-09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6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373A (ko) * 2020-10-16 2022-04-25 문용찬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0373A (ko) * 2020-10-16 2022-04-25 문용찬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KR102402937B1 (ko) 2020-10-16 2022-05-27 문용찬 차량용 시트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7468C (zh) 用于车辆的座椅滑动装置
US7963607B2 (en) Reclining device for seats in vehicles
CN102431470B (zh) 具有轨道接合结构的可调节的座椅轨道
JP5327002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472515B2 (ja) 回転シート、特に鉄道車両用の回転シート
US9694716B2 (en) Vehicle seat
EP2444277A1 (en) Seat slide apparatus for vehicle
EP2620318A1 (en) Vehicle seat device
DE102016221149B4 (de) Fahrzeugsitz
US7665704B2 (en) Seat rail apparatus
US5618083A (en) Linear seat back recliner mechanism
KR200395667Y1 (ko) 차량용 시트의 폭 방향 이송장치
EP1241045B1 (en) Universal seat track assembly
US20220090678A1 (en) Vehicle parking lock mechanism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JP3696709B2 (ja) 自動車用シート
US20060170265A1 (en) Cam lock for vehicle seating
CN103754253A (zh) 转向管柱四方向手动调节机构
JP2005225262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2283888A (ja) 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WO2021100552A1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KR20050110265A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JP4816108B2 (ja) シートアセンブリの支持機構及び車両のシートシステム
KR100410721B1 (ko) 버스용 시트 이동장치
KR101551209B1 (ko) 위치조절 스텝의 무단화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시트 트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