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299Y1 -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299Y1
KR200393299Y1 KR20-2005-0014063U KR20050014063U KR200393299Y1 KR 200393299 Y1 KR200393299 Y1 KR 200393299Y1 KR 20050014063 U KR20050014063 U KR 20050014063U KR 200393299 Y1 KR200393299 Y1 KR 200393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belt
belt pulley
main body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식
Original Assignee
한세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세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한세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20-2005-0014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2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65G17/126Bucket elev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8Protective roofs or arch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의 선별공정 중 곡물을 다른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하부에 위치한 곡물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구체적으로는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회전하는 상·하부 벨트풀리와, 상기 벨트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상기 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버킷을 통해 본체 하부에 위치한 곡물을 상부로 이송시키는 일반적인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벨트풀리의 상부에 경사면을 갖는 별도의 유도커버를 구비시킴으로서, 이송과정에서 하단부로 떨어지는 곡물이 경사면에 의해 하부 벨트풀리와 벨트사이에 유입되지 않도록 유도하여 곡물이 하부 벨트풀리와 벨트사이에 끼어 부서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cereal conveyance device of elevator type}
일반적으로 수확한 곡물은 시중에 최종출하 하기 전에 이물질과 곡물을 별도로 선별하는 여러 선별공정들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선별공정들은 대부분 곡물을 선별기에 넣어 위에서 아래로 낙하시키고, 곡물이 낙하하는 과정에서 여러 방법을 통해 이물질과 곡물이 선별된다.
이렇게 선별작업을 거친 곡물은 선별기의 하부에 모이게 되고, 이러한 곡물은 다른 선별기의 상부로 다시 이송되어 또다시 낙하하면서 다음 선별작업을 거치게 된다.
이처럼 선별기의 하부에 모인 곡물을 다른 선별기의 상부로 이송시킬 때에는 별도의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이용한다.
종래의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일측에 곡물투입구(1)가 구비되고, 상부 일측에는 곡물배출구(2)가 구비된 본체(3)와,
상기 본체(3) 내부의 상부에 구비된 상부 벨트풀리(4) 및 상기 상부 벨트풀리(4)와 벨트(5)를 통해 연결되되 본체(3) 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벨트풀리(8)와,
상기 벨트(5)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벨트(5)를 따라 이동하는 버킷(6)과,
상기 상부 벨트풀리(4) 또는 하부 벨트풀리(8)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7)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통해 곡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구동수단(7)을 작동시켜 상부 벨트풀리(4)를 회전시키면 벨트(5)를 통해 하부 벨트풀리(8)도 함께 회전한다. 이로 인해 벨트(5)에 설치된 버킷(6)이 벨트(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곡물투입구(1)를 통해 본체(3) 내부로 투입된 곡물은 이동하는 버킷(6)에 담겨 상부 벨트풀리(4)까지 이송되고, 버킷(6)이 상부 벨트풀리(4)를 지나면서 젖혀지면 곡물은 곡물배출구(2)로 유입되어 최종 배출된다.
상기 버킷(6)은 벨트(5)가 움직이는 일정궤도를 따라 이동하고, 벨트(5)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이송과정과 배출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곡물투입구(1)를 통해 버킷(6)에 담기는 곡물 중 일부는 버킷(6)외부로 튀어 본체(3) 바닥에 떨어져 쌓이게 된다.
또한 버킷(6)이 상부 벨트풀리(4)를 지나면서 젖혀짐에 따라 버킷(6)에 담겨있는 곡물이 곡물배출구(2)로 투입되는 과정에서도 곡물 중 일부가 본체(3)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렇게 본체(3) 바닥에 쌓인 곡물은 본체 바닥에 형성된 수거구(9)를 통해 수거되어 다시 곡물투입구(1)로 투입된다.
그러나 이처럼 이송되는 곡물 중 일부가 본체(3)바닥으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상당량의 곡물이 하부 벨트풀리(8)에 걸쳐있는 벨트(5)와 하부 벨트풀리(8) 사이로 유입된다.
하부 벨트풀리(8)와 벨트(5)는 계속 회전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하부 벨트풀리(8)와 벨트(5)사이로 유입된 곡물은 유입과 동시에 부서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는 장시간 작동된다는 것을 감안 하였을 때, 앞에 설명한 것처럼 하부 벨트풀리(8)와 벨트(5)사이로 유입되어 부서지는 곡물의 양은 상당히 많고, 곡물의 손실이 많은 만큼 많은 비용손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부서진 곡물이 각종 장치사이에 끼어서 장치고장의 원인이 되고, 좁은 틈새에 끼인 곡물은 제거가 까다롭기 때문에 시간이지나 부패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또한 이미 쇄곡(碎穀)선별공정을 거친 상태에서 이처럼 부서진 곡물이 본체바닥에 떨어져 일반 곡물과 석이게 되면, 또다시 쇄곡선별공정을 다시 거쳐야 함으로, 공정이 복잡해지고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첫째, 곡물의 이송과정에서 본체의 바닥쪽으로 이탈하는 곡물이 하부 벨트풀리와 벨트사이에 떨이지지 않도록 하기위한 구조를 제안함으로서, 곡물이 하부 벨트풀리와 벨트사이에 유입되어 부서지는 현상을 방지 할 수 있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부서져 손실되는 곡물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서, 곡물손실에 따른 비용손실을 줄일 수 있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곡물이 분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쇄곡선별공정을 다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곡물손실 방지와 동시에, 구동 중 벨트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승상기형 곡물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하부 벨트풀리 및 상기 벨트에 구비되는 버킷을 포함한 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기본구성 중 하부 벨트풀리의 상부에 경사면을 가지는 유도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단면도이다.
본 고안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본체(10)와 구동장치(30), 상기 구동장치(30)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수단(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내부에는 설치공간(12)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는 외부에서 본체 내부로 곡물을 투입시기 위한 곡물투입구(14)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 중 상기 곡물투입구(14)의 반대쪽 상부에는 상부로 이송된 곡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곡물배출구(16)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바닥에는 개폐구(18)가 구비되어 바닥에 쌓인 곡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10)의 내부에는 이송수단(20)과 구동수단(30) 및 곡물의 이송에 필요한 구성모두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수단(20)은 본체(10) 내부에 투입된 곡물을 상부로 이송시켜 곡물배출구(16)로 보내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이송수단(20)은 본체(10) 내부 중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벨트풀리(22)와,
본체(10) 내부 중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벨트풀리(24)와,
상기 상부 벨트풀리(22) 및 하부 벨트풀리(24)에 감겨 상·하부 벨트풀리(22,24)를 함께 회전시키기 위한 벨트(26) 및 상기 벨트(26)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는 버킷(28)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부 벨트풀리(22)의 설치위치는 곡물배출구(16)의 위치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버킷(28)이 젖혀지면서 버킷(28)내부에 위치한 곡물들이 원활하게 곡물배출구(16)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 벨트풀리(24)는 곡물투입구(14)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하여 곡물투입구(14)를 통해 본체(10)내부로 투입된 곡물이 버킷(28)으로 원활하게 담길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 벨트풀리(24) 중 본체(10)와 맞닿는 면은 본체(10)와 일정 거리만큼 떨어뜨려 본체(10)와 하부 벨트풀리(24) 간에 공간부(50)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상부 벨트풀리(22) 또는 하부 벨트풀리(24)에는 구동수단(30)이 연결되어 상부 벨트풀리(22) 또는 하부 벨트풀리(24)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송수단(20) 중 하부 벨트풀리(24)에는 별도의 유도커버(40)가 설치되어 곡물이 하부 벨트풀리(24)와 벨트(26)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 2]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유도커버(40)는 하단부가 개방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41)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소정 각도의 경사면(4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는 상기 경사면(42)이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한쪽으로만 경사면(42)이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이때 상기 경사면(42)의 기울기 방향은 벨트(26)쪽이 아닌 하부 벨트풀리(24)의 축(29)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함으로서, 경사면(42)에 부딪힌 곡물이 경사면(42)을 따라 하부 벨트풀리(24)와 본체(10)사이에 형성된 공간부(50)로 유도되도록 한다.(도5참조)
또한 유도커버(40)에 부딪힌 곡물이 벨트(26)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도커버(40)의 양측, 즉 벨트(26)와 유도커버(40)가 맞닿는 면에는 측벽(44)이 상기 경사면(42)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측벽(44)의 전면과 후면에는 설치공(46)이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수단(B)을 이용하여 유도커버(40)를 이송장치 본체(1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측벽에는 벨트의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판(4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판(47)은 벨트(26)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되, 벨트(26)의 폭과 거의 동일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즉 벨트(26)가 가이드판(47)과 가이드판(47)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유도커버(40)는 하부 벨트풀리(24)의 상부에 얹히는데, 하부 벨트풀리(24) 상부의 일부가 유도커버(40) 내부의 수용공간(41)으로 수용되는 형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때 유도커버(40)가 하부 벨트풀리(24)와 닿지 않도록 설치하여 하부 벨트풀리(24)의 회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유도커버의 폭(L)과 벨트와 벨트간의 간격(L')이 거의 동일하도록 제작하여 유도커버(40)가 하부 벨트풀리(24)에 설치되었을 때, 유도커버(40)와 벨트(26)사이에 간격이 거의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유도커버(4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절개부(48)를 형성시켜 유도커버(40)가 하부 벨트풀리(24)에 설치되었을 때 하부 벨트풀리 축(29)이 유도커버(40)와 닿지 않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경사면(42)의 소정위치에 손잡이(49)를 구비시켜 유도커버(40)의 설치와 해체 및 운반을 손쉽게 하도록 한다.
이처럼 일반적인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100)를 구성하는 하부 벨트풀리(24)에 경사면(42)을 갖는 유도커버(40)를 설치하되, 상기 경사면(42)의 방향을 벨트(26)쪽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형성시켜 상부에서 떨어진 곡물이 벨트(26)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다.
다음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구동수단(30)을 통해 상부 벨트풀리(22)나 하부 벨트풀리(24) 중 하나를 회전시키면 벨트(26)에 의해 다른 벨트풀리도 함께 회전한다.
이로 인해 벨트(26)에 설치된 버킷(28)들은 벨트(26)의 이동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하부 벨트풀리(24)를 거쳐 상부로 이동하고 상부 벨트풀리(22)를 거치면서 젖혀진 상태로 하부도 다시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곡물투입구(14)를 통해 곡물을 본체 내부에 투입하면 곡물은 이동 중인 버킷(28)에 담겨 상부로 이송된다. 그 후 버킷(28)이 상부 벨트풀리(22)를 지나면서 젖혀지게 되고 이로 인해 버킷(28)에 담겨있는 곡물은 곡물배출구(16) 쪽으로 배출되게 된다.
벨트(26)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치된 버킷(28)에 의해 이러한 과정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곡물투입구(14)를 통해 투입된 곡물이 버킷(28)에 담기는 과정에서 곡물의 일부는 본체(10) 바닥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 중에서도 일부는 하부 벨트풀리(24) 쪽으로 떨어지는데, 이렇게 하부 벨트풀리(24) 쪽으로 떨어지는 곡물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유도커버(40)의 상면, 즉 경사면(42)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곡물들은 경사면(42)보다 높게 위치한 측벽(44)에 의해 벨트쪽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하부 벨트풀리(24)의 축(29)방향으로 경사진 상기 경사면(42)을 따라 곧바로 하부 벨트풀리(24)와 본체(10)사이에 형성된 공간부(50)로 유입된다.
공간부(50)로 유입된 곡물은 아무런 방해 없이 본체(10)의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측벽(44)과 벨트(26)간의 간격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므로 측벽(44)과 벨트(26)사이로 곡물이 끼어들지 못하고, 결국 유도커버(40)의 경사면(42)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외에도 곡물이 버킷(28)으로부터 곡물배출구(16)로 배출되는 과정에서도 곡물 중 일부가 곡물배출구(16)로 투입되지 못하고 아래로 떨어지는데, 이러한 곡물 도 상기 유도커버(40)에 부딪혀 하부 벨트풀리(24)와 벨트(26)사이로 떨어지지 않고 곧바로 본체(10) 바닥으로 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본체(10) 바닥에 쌓인 곡물들은 개폐구(18)를 통해 수거되어 다시 곡물투입구(14)로 투입되 이송과정을 또다시 거치게 된다.
그리고 벨트풀리에 의해 벨트(26)가 구동되는 과정에서 벨트(26)는, 벨트의 전측과 후측에 위치한 가이드판(47)에 의해 흔들리거나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처럼 하부 벨트풀리(24)에 상기 유도커버(40)를 구비시킴으로서, 곡물이 하부 벨트풀리(24)와 벨트(26)사이로 유입되어 부서지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유도커버(40)에 구비된 가이드판(47)에 의해 벨트(26)가 안정감 있게 구동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들이 경사면이 형성된 별도의 커버를 이용하여 곡물이 하부 벨트풀리와 벨트 사이에 유입되지 않도록 유도하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첫째, 유도커버를 통해 곡물이 하부 벨트풀리와 벨트사이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곡물이 부서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부서져 손실되는 곡물의 양을 최소화함으로서, 곡물손실에 따른 비용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곡물이 부서져 각종 장치에 끼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장치의 고장발생 및 곡물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곡물이 부서져 손실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별도의 쇄곡 선별공정을 다시 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전체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중 유도커버와 하부 벨트풀리와의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 중 유도커버와 하부 벨트풀리의 결합사시도
도 5 는 유도커버와 하부 벨트풀리가 결합된 상태에서 곡물이 유도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2 : 설치공간
14 :곡물투입구 16 : 곡물배출구
18 : 개폐구 20 : 이송수단
22 : 상부 벨트풀리 24 : 하부 벨트풀리
26 : 벨트 28 : 버킷
29 : 하부 벨트풀리축 30 : 구동수단
40 : 유도커버 42 : 경사면
44 : 측벽 46 : 설치공
48 : 절개부 50 : 공간부

Claims (5)

  1. 본체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고 본체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되어 벨트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상·하부 벨트풀리 및 상기 벨트에 설치되는 버킷을 포함한 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진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소정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유도커버가 더 포함되되, 상기 유도커버와 본체사이에는 일정간격의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각기형 곡물이송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커버의 측면에는 상기 경사면보다 높게 설치되는 측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경사방향은 하부벨트풀리의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호 반대방향으로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커버의 양측면에는 벨트 폭 이상의 간격을 두고 위치한 가이드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KR20-2005-0014063U 2005-05-18 2005-05-18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KR200393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063U KR200393299Y1 (ko) 2005-05-18 2005-05-18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063U KR200393299Y1 (ko) 2005-05-18 2005-05-18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299Y1 true KR200393299Y1 (ko) 2005-08-22

Family

ID=43694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063U KR200393299Y1 (ko) 2005-05-18 2005-05-18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2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00B1 (ko) 2010-09-03 2011-01-14 오성택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00B1 (ko) 2010-09-03 2011-01-14 오성택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3807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oreign matter from coins or similar disk-like objects
EP2093717B1 (en) Coin processor
KR20120106097A (ko) 곡물탈곡기
KR200393299Y1 (ko)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JP6336344B2 (ja) 石抜選別機
WO2013175870A1 (ja) 色彩選別機
AU1665301A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KR102028632B1 (ko) 적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버력 선별장치
JP4324270B2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を用いた梅実前処理装置
KR200453178Y1 (ko) 곡물선별기
KR200393300Y1 (ko)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JP7510870B2 (ja) 粒状体搬送用の昇降機及び昇降機用のスクレーパバケット
JPH0549751A (ja) 遊技機用メダルの研磨及び研磨材分離装置
JP5297914B2 (ja) 硬貨処理機の硬貨ブリッジ解消機構
JPS6338232B2 (ko)
US5423412A (en) Rubber tire separation and transport apparatus
JP2004091164A (ja) バケットエレベータの輸送対象物落下防止装置
JPH0351017Y2 (ko)
KR200163406Y1 (ko) 곡물용승강장치
JPS6319878Y2 (ko)
KR100954791B1 (ko) 경사형 벨트컨베이어의 낙석수집 및 재장입장치
JP6052127B2 (ja) 穀物用昇降機
CN118479199A (en) Intelligent leak-proof Z-shaped elevator
JPH0141384B2 (ko)
JP2753572B2 (ja) 遊技媒体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