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800B1 -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 Google Patents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800B1
KR101008800B1 KR1020100086288A KR20100086288A KR101008800B1 KR 101008800 B1 KR101008800 B1 KR 101008800B1 KR 1020100086288 A KR1020100086288 A KR 1020100086288A KR 20100086288 A KR20100086288 A KR 20100086288A KR 101008800 B1 KR101008800 B1 KR 10100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casing
frame
plat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택
Original Assignee
오성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택 filed Critical 오성택
Priority to KR102010008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8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59/00Equipment for binding harvested produce
    • A01D59/02Pac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5/00Baling presses for straw, hay or the like
    • A01F15/08Details
    • A01F15/14Ty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aling pr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2Implements for collecting grain cro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6/00Harvesters
    • Y10S56/11Hydraul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사료용 곡물수확기에 관한 것으로써, 수확 후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수평판에 안착된 포대 내부로 자동으로 보다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포대에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상기 포대에 수용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포대의 내부에 수용되는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압축하는 압축부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포대의 내부에 삽입된 케이싱이 상기 포대의 상부방향으로 자동으로 상승한 후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기 포대에서 완전이탈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사료용 곡물수확기{GRAIN HARVESTER}
본 발명은 수확 후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수평판에 안착된 포대 내부로 자동으로 보다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포대에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상기 포대에 수용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포대의 내부에 수용되는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압축하는 압축부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포대의 내부에 삽입된 케이싱이 상기 포대의 상부방향으로 자동으로 상승한 후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기 포대에서 완전이탈될 수 있게 되는 조사료용 곡물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은 수확 후 파쇄되어 포대에 담겨진 상태로 트랙터 등을 포함한 운반차량을 통해 특정장소로 운반된다.
그러나, 작업자는 수확 후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직접 일일이 포대에 수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됨은 물론 상기 포대에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수용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수확 후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수평판에 안착된 포대 내부로 자동으로 보다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포대에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상기 포대에 수용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포대의 내부에 수용되는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압축하는 압축부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포대의 내부에 삽입된 케이싱이 상기 포대의 상부방향으로 자동으로 상승상승한 후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기 포대에서 완전이탈될 수 있게 되는 조사료용 곡물수확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면에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을 수용하는 포대가 안착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와; 상기 승강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외주연에 걸쳐진 상태로 전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고, 후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따라 승강하고,상기 수평판에 안착된 포대의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케이싱을 통해 상기 포대의 내부로 수용되는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을 압축하는 임펠러로 구성되는 압축부와; 상기 케이싱과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포대로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을 공급하는 호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곡물수확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풀리의 외주연에 걸쳐진 상태로 전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고, 후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회전체는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스프로켓에 걸쳐진 상태로 전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에 고정되고, 후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고정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호퍼는 상기 케이싱과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구비되는 호퍼몸체와; 상기 호퍼몸체의 전측 하부에 하단부가 축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부와 접하는 보조호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압축부의 임펠러는 상기 회전축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압축부의 구동부재는 유압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에 상기 수평판이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수평판은 상기 수평프레임에 구비되는 실린더에 의해 전후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플레이트를 따라 승강하는 상기 케이싱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와; 상기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확 후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수평판에 안착된 포대 내부로 자동으로 보다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포대에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상기 포대에 수용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포대의 내부에 수용되는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압축하는 압축부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포대의 내부에 삽입된 케이싱이 상기 포대의 상부방향으로 자동으로 상승한 후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기 포대에서 완전이탈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승강실린더가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킬 시 풀리 또는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회전체와,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승강프레임에 구비된 승강플레이트가 보다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플레이트에 고정된 상기 케이싱 또한 보다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호퍼의 보조호퍼의 하단부가 호퍼몸체의 전측 하부에 축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포대의 내부에 수용되는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을 압축하는 상기 압축부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포대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싱이 상기 포대의 상부방향으로 자동으로 상승하는 과정 중에 상기 보조호퍼의 상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승강프레임의 상단부와 접한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케이싱이 자동으로 상승하는 과정 중에도 상기 호퍼몸체와 보조호퍼의 내부로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이 보다 정확하게 수용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압축부의 임펠러가 회전축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임펠러가 상기 케이싱을 통해 상기 포대의 내부로 수용되는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을 하부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압축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압축부의 구동부재가 유압모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재에 과부하 및 잔고장이 발생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압축부의 회전축과 함께 상기 임펠러를 보다 용이하게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을 수용하는 포대가 안착되는 수평판이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의 실린더에 의해 전후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케이싱이 이탈된 상기 포대가 상기 케이싱의 전방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전후이동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싱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부저가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부저의 경보음을 통해 상기 케이싱이 상기 포대의 상단부 내부방향으로 상승되었음을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조사료용 곡물수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승강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승강플레이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고,
도 5는 압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압축부의 임펠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압축부의 압축력에 의해 케이싱이 자동으로 승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는 회전체와 연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수평판이 수평프레임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조사료용 곡물수확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승강프레임(5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승강플레이트(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조사료용 곡물수확기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직프레임(10), 수평판(30), 승강프레임(50), 승강실린더(70), 승강플레이트(90), 회전체(100), 연결부재(130), 케이싱(150), 압축부(170) 및 호퍼(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수직프레임(10)은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전측 하부 중심부에 구비되는 상부링크결합구(121)와,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부 일측면과 하부 타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하부 일측링크결합구(123) 및 하부 타측링크결합구(125)로 구성되는 공지된 3점링크(12)에 의해 트랙터 등을 포함한 농기계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후측면 상부 일측과 후측면 상부 타측에는 포대(도 7의 31)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고정바(11)가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는 각각 단면형상이 '
Figure 112010057307298-pat00001
', '
Figure 112010057307298-pat00002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가이드홈(14)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14)의 상측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일측 상부 내부와 타측 상부 내부에는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돌출형성되는 단면형상이 각각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돌출판(52)의 내측에 수용되는 제 1바퀴(16)가 각각 축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1바퀴(16)로 인해 상기 승강프레임(50)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돌출판(52)은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판(30)은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수평판(30)의 상부면에는 파쇄된 옥수수, 총체보리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도 7의 3)을 수용하는 포대(31)가 작업자에 의해 안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프레임(50)은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일측과 타측은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14)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14)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는 각각 단면형상이 '
Figure 112010057307298-pat00003
' '
Figure 112010057307298-pat00004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가이드홈(54)이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실린더(70)는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 각각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70)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70)의 상단부는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상단부 전면 일측과 상단부 전면 타측에 각각 연결고정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승강실린더(70)의 상하길이가 신장됨에 따라 상기 승강프레임(50)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가이드홈(14)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플레이트(90)는 상기 승강프레임(5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승강플레이트(90)는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일측 승강판(910), 제 1타측 승강판(930), 중간 승강판(950), 제 2일측 승강판(970) 및 제 2타측 승강판(9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일측 승강판(910)의 일측면과 상기 제 1타측 승강판(930)의 타측면에는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일측 내부와 타측 내부에 각각 형성된 상기 가이드홈(54)의 내부에 수용되는 제 2바퀴(920)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축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 2바퀴(920)로 인해 상기 승강플레이트(90)가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 승강판(950)의 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는 상기 제 1일측 승강판(910)과 제 1타측 승강판(930)이 일체형으로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승강판(950)은 상기 제 1일측 승강판(910)과 제 1타측 승강판(930)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승강판(970)과 제 2타측 승강판(990)은 상기 중간 승강판(950)의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 일체형으로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승강판(970)과 제 2타측 승강판(990) 역시 상기 제 1일측 승강판(910)과 제 1타측 승강판(930)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체(100)는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100)는 도 1,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상단부 전면에 수평으로 일체형성되어 상기 승강프레임(50)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바(510)의 일측 하부면과 타측 하부면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부재(130)는 도 1,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상단부 전면에 수평으로 일체형성된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승강바(510)의 일측 하부면과 타측 하부면에 각각 축결합된 상기 회전체(100)의 외주연에 걸쳐진 상태로 전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0)에 각각 고정되고, 후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90)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단부에는 도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30)의 전측이 체결고정되는 고정바(18)가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바(18)는 상측 고정바(181)와 하측 고정바(18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고정바(181)는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상단부 전방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고정바(181)의 일단부와 타단부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일측면과 타측면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고정바(183)는 상기 상측 고정바(181)의 상기 연결부재(130)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측 고정바(181)의 하부 일측과 하부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고정바(183)의 하단부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10)방향으로 수평으로 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0)의 전측은 고정부재(60)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고정바(18)의 하측 고정바(183) 하단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60)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축(610)과 너트(6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610)은 상기 연결부재(130)의 하단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610)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610)은 상기 수직프레임(10)의 고정바(18)의 하측 고정바(183) 하단부를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630)는 상기 고정축(610)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플레이트(90)의 제 1일측 승강판(910)의 전면 하측과 제 1타측 승강판(930)의 전면 하측에는 상기 제 1일측 승강판(910)의 전방방향 및 상기 제 2타측 승강판(930)의 전방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판(940)이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0)의 후측은 고정부재(80)에 의해 상기 승강플레이트(90)의 제 1일측 승강판(910) 및 제 1타측 승강판(930)의 돌출판(94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80)는 도 2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축(810)과 너트(8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810)은 상기 연결부재(130)의 하단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810)의 외주연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축(810)은 상기 돌출판(940)을 수직으로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너트(830)는 상기 고정축(810)의 하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150)은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플레이트(90)에 수직고정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90)를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0)의 하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0)은 상기 수평판(30)에 안착된 상측이 개방된 상기 포대(31)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케이싱(150)의 전측 외주연은 상기 승강플레이트(90)의 중간 승강판(950)에 일체형으로 용접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0)의 일측 외주연과 타측 외주연은 상기 승강플레이트(90)의 제 2일측 승강판(970)과 제 2타측 승강판(990)에 각각 일체형으로 용접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압축부(1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부(170)는 구동부재(171), 회전축(173) 및 임펠러(17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171)는 상기 케이싱(10)의 상부면 중심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73)은 상기 구동부재(171)의 구동축(171a)과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싱(10)의 내부 중심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171)의 구동축(171a)이 정역회전할 시 상기 회전축(173)은 상기 구동부재(171)의 구동축(171a)을 따라 정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175)는 상기 회전축(173)에 등간격으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압축부(170)의 임펠러(175)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압축부(170)의 압축력에 의해 케이싱(150)이 자동으로 승강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임펠러(175)가 상기 회전축(173)을 따라 정역회전(도 6의 실선화살표 ① 참조.)하면서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3)을 상기 포대(31)의 내부 하측 방향으로 통과(도 6의 점선 화살표 참조.)시킴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10)을 통해 상기 포대(31)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점차 수용되는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3)을 하부방향으로 압축((도 6의 실선화살표 ② 참조.)할 수 있도록, 상기 임펠러(175)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단부에서 전단부방향으로 갈수록 예각(α)으로 예를 들어 약 10°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최초에 상기 승강실린더(70)에 의해 상기 승강플레이트(90)가 도 7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고정바(11)의 상부방향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일정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3)이 상기 케이싱(150)의 내부로 공급될 시,
상기 압축부(170)의 임펠러(175)는 정역회전하면서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3)을 상기 포대(31)의 내부 하측 방향으로 통과시킴과 동시에 상기 포대(31)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점차 수용되는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3)을 하부방향으로 압축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도 7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플레이트(90)와 함께 상기 케이싱(150)은 상기 포대(31)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자동으로 상승하여 상기 포대에서 이탈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포대(31)의 상단부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고정바(11)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인 상기 포대(31)의 상단부를 수평관통하는 고정핀 등의 고정부재(5)에 의해 위치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호퍼(190)는 상기 케이싱(15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150)의 상부 후측에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파쇄된 옥수수, 총체보리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3)을 배출하는 공지된 곡물배출기를 통해 상기 호퍼(190)의 내부로 파쇄된 옥수수, 총체보리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3)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호퍼(190)는 상기 케이싱(150)을 통해 파쇄된 옥수수, 총체보리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3)을 상기 포대(31)로 공급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체(100)는 풀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풀리는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승강바(510)의 일측 하부면과 타측 하부면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연결부재(130)는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는 상기 풀리의 외주연에 걸쳐진 상태로 전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고정바(18)의 하측 고정바(183)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고, 후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90)의 돌출판(94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는 회전체(100)와 연결부재(1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체(100)는 풀리 대신에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로켓(10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와이어 대신에 체인(1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프로켓(101)은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승강바(510)의 일측 하부면과 타측 하부면에 각각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인(131)은 상기 스프로켓(101)의 외주연에 걸쳐진 상태로 전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고정바(18)의 하측 고정바(183)의 하단부에 각각 고정될 수 있고, 후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90)의 돌출판(94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70)가 상기 승강프레임(50)을 승강시킬 시 풀리 또는 스프로켓(101)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회전체(100)와, 와이어 또는 체인(1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연결부재(131)를 통해 상기 승강프레임(50)에 구비된 상기 승강플레이트(90)가 보다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플레이트(90)에 고정된 상기 케이싱(150) 또한 보다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도 5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호퍼(190)는 호퍼몸체(191)와 보조호퍼(1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호퍼몸체(191)는 상기 케이싱(150)과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150)의 상부 후측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호퍼(193)는 상기 호퍼몸체(191)의 전측 하부에 하단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호퍼(193)의 상단부는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상단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호퍼(190)의 보조호퍼(193)의 하단부가 상기 호퍼몸체(191)의 전측 하부에 축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포대(31)의 내부에 수용되는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3)을 하부방향으로 압축하는 상기 압축부(170)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포대(31)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싱(150)이 상기 포대(31)의 상부방향으로 자동으로 상승하는 과정 중에 상기 보조호퍼(193)의 상단부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상단부와 접한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케이싱(150)이 자동으로 상승하는 과정 중에도 상기 호퍼몸체(191)와 보조호퍼(193)의 내부로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3)이 보다 정확하게 수용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부(170)의 임펠러(175)는 상기 회전축(173)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5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170)의 임펠러(175)가 상기 회전축(173)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5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임펠러(175)가 상기 케이싱(150)을 통해 상기 포대(31)의 내부로 수용되는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3)을 하부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압축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압축부(170)의 구동부재(171)는 유압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축부(170)의 구동부재(171)가 유압모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재(171)에 과부하 및 잔고장이 발생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상기 구동부재(171)가 상기 압축부(170)의 회전축(173)과 함께 상기 임펠러(175)를 보다 용이하게 정역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0은 수평판(30)이 수평프레임(310)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310)에 상기 수평판(30)이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30)은 상기 수평프레임(310)에 구비되는 실린더(330)에 의해 전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310)은 전측 지지바(311), 일측 가이드바(313), 타측 가이드바(315), 후측 지지바(31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지지바(311)의 상부면에 상기 수직프레임(10)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가이드바(313)와 타측 가이드바(315)는 서로 평행을 이루도록 전측이 각각 상기 전측 지지바(311)의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 일체형으로 연결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 지지바(317)는 상기 전측 지지바(311)와 평행을 이루도록 상기 일측 가이드바(313)의 후측과 상기 타측 가이드바(315)의 후측 사이에 일체형으로 연결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30)의 일측 하부와 타측 하부는 상기 수평프레임(310)의 상기 일측 가이드바(313)와 타측 가이드바(315)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330)는 상기 일측 가이드바(313)와 타측 가이드바(315) 사이에 위치하도록 전측이 상기 전측 지지바(311)의 후면 중심부에 연결고정될 수 있고, 후측이 상기 수평판(30)의 후측 하부면에 형성되는 고정바(32)의 중심부에 연결고정될 수 있다.
이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330)의 길이가 전후방향으로 신장됨에 따라 상기 수평판(30)이 전후이동할 수 있게 된다.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3)을 수용하는 상기 포대(31)가 안착되는 상기 수평판(30)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수평프레임(310)의 실린더(330)에 의해 전후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케이싱(150)이 이탈된 상기 포대(31)가 상기 케이싱(150)의 전방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전후이동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플레이트(90)를 따라 승강하는 상기 케이싱(150)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2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20)는 홀센서(21)와 자석(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저(4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타측면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홀센서(2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후측면 상부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고정바(11)의 중심부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23)은 상기 케이싱(150)의 하부 타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0)이 상기 압축부(170)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포대(31)의 내부에서 상기 포대(31)의 상단부 내부 방향으로 자동으로 상승하여 상기 케이싱(150)의 하부 타측면에 구비된 상기 자석(23)이 상기 홀센서(21)에 인접하게 되면, 상기 홀센서(21)는 상기 자석(23)의 자력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홀센서(21)가 상기 자석(23)의 자력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부저(40)가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승강실린더(70)의 상하길이가 늘어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상기 케이싱(150)이 상기 포대(31)의 상부방향으로 더 승강하여 상기 포대(31)에서 완전이탈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50)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상기 위치감지부(20)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부저(40)가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작업자가 상기 부저(40)의 경보음을 통해 상기 케이싱(150)이 상기 포대(31)의 상단부 내부방향으로 상승되었음을 보다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확 후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3)을 상기 수평판(30)에 안착된 포대(31) 내부로 자동으로 보다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능률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포대(31)에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3)을 상기 포대(31)에 수용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포대(31)의 내부에 수용되는 파쇄된 총체보리, 옥수수 등을 포함한 조사료용 곡물(3)을 압축하는 상기 압축부(170)의 압축력에 의해 상기 포대(31)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싱(150)이 상기 포대(31)의 상부방향으로 자동으로 상승한 후 상기 승강실린더(70)에 의해 상기 포대(31)에서 완전이탈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10; 수직프레임, 30; 수평판,
50; 승강프레임, 70; 승강실린더,
90; 승강플레이트, 100; 회전체,
130; 연결부재, 150; 케이싱,
170; 압축부, 190; 호퍼.

Claims (8)

  1. 수직프레임(10)과;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부면에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3)을 수용하는 포대(31)가 안착되는 수평판(30)과;
    상기 수직프레임(1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프레임(50)과;
    상기 수직프레임(10)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프레임(50)을 승강시키는 승강실린더(70)와;
    상기 승강프레임(5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플레이트(90)와;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회전체(100)와;
    상기 회전체(100)의 외주연에 걸쳐진 상태로 전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0)에 고정되고, 후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90)에 고정되는 연결부재(130)와;
    상기 승강플레이트(90)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플레이트(90)를 따라 승강하고,상기 수평판(30)에 안착된 포대(31)의 내부에 삽입되는 케이싱(150)과;
    상기 케이싱(150)의 상부에 구비되는 구동부재(171)와, 상기 구동부재(171)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싱(15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축(173)과, 상기 회전축(173)에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축(173)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케이싱(150)을 통해 상기 포대(31)의 내부로 수용되는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3)을 압축하는 임펠러(175)로 구성되는 압축부(170)와;
    상기 케이싱(150)과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15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포대(31)로 파쇄된 조사료용 곡물(3)을 공급하는 호퍼(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00)는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풀리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풀리의 외주연에 걸쳐진 상태로 전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0)에 고정되고, 후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90)에 고정되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00)는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상부에 축결합되는 스프로켓(10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부재(130)는 상기 스프로켓(101)에 걸쳐진 상태로 전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0)에 고정되고, 후측이 상기 승강플레이트(90)에 고정되는 체인(131)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190)는 상기 케이싱(150)과 연통되도록 상기 케이싱(150)의 상부에 구비되는 호퍼몸체(191)와;
    상기 호퍼몸체(191)의 전측 하부에 하단부가 축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프레임(50)의 상단부와 접하는 보조호퍼(19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170)의 임펠러(175)는 상기 회전축(173)의 하단부에 등간격으로 수평형성되어 상기 케이싱(15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170)의 구동부재(171)는 유압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평프레임(310)에 상기 수평판(30)이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수평판(30)은 상기 수평프레임(310)에 구비되는 실린더(330)에 의해 전후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플레이트(90)를 따라 승강하는 상기 케이싱(150)의 승강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20)와;
    상기 위치감지부(20)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부저(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KR1020100086288A 2010-09-03 2010-09-03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KR101008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288A KR101008800B1 (ko) 2010-09-03 2010-09-03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288A KR101008800B1 (ko) 2010-09-03 2010-09-03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8800B1 true KR101008800B1 (ko) 2011-01-14

Family

ID=43616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288A KR101008800B1 (ko) 2010-09-03 2010-09-03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8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22B1 (ko) * 2011-04-04 2012-06-22 이찬호 조사료용 곡물배출기
KR101216043B1 (ko) 2011-04-04 2012-12-28 이찬호 조사료용 곡물배출기
KR101313216B1 (ko) * 2011-12-06 2013-10-14 연재득 농작물 수확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146Y1 (ko) * 1992-05-14 1995-10-04 정성준 · 조성옥 풍압을 이용한 곡물이송장치의 곡물토출용 노즐
KR200259632Y1 (ko) 2001-08-22 2002-02-06 정길동 곡물 이송트레일러의 곡물배출장치
KR20020059632A (ko) * 1999-10-21 2002-07-13 캐롤린 에이. 베이츠 중력 공급식 유체 분배 밸브
KR200292925Y1 (ko) 2002-07-19 2002-10-25 정길동 곡물의 수직 이송장치
KR20020092925A (ko) * 1999-12-15 2002-12-12 페르마노바 레이저시스템 에이비 광섬유 접속 수단에서의 광출력 손실을 측정하는 방법 및장치
KR20030093299A (ko) * 2001-04-19 2003-12-06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구동 모터의 코일 온도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0393299Y1 (ko) 2005-05-18 2005-08-22 한세엔지니어링(주)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146Y1 (ko) * 1992-05-14 1995-10-04 정성준 · 조성옥 풍압을 이용한 곡물이송장치의 곡물토출용 노즐
KR20020059632A (ko) * 1999-10-21 2002-07-13 캐롤린 에이. 베이츠 중력 공급식 유체 분배 밸브
KR20020092925A (ko) * 1999-12-15 2002-12-12 페르마노바 레이저시스템 에이비 광섬유 접속 수단에서의 광출력 손실을 측정하는 방법 및장치
KR20030093299A (ko) * 2001-04-19 2003-12-06 베에스하 보쉬 운트 지멘스 하우스게랫테 게엠베하 구동 모터의 코일 온도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0259632Y1 (ko) 2001-08-22 2002-02-06 정길동 곡물 이송트레일러의 곡물배출장치
KR200292925Y1 (ko) 2002-07-19 2002-10-25 정길동 곡물의 수직 이송장치
KR200393299Y1 (ko) 2005-05-18 2005-08-22 한세엔지니어링(주) 승강기형 곡물이송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722B1 (ko) * 2011-04-04 2012-06-22 이찬호 조사료용 곡물배출기
KR101216043B1 (ko) 2011-04-04 2012-12-28 이찬호 조사료용 곡물배출기
KR101313216B1 (ko) * 2011-12-06 2013-10-14 연재득 농작물 수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1047B1 (en) Square bale loading platform and processing apparatus
US4923128A (en) Bale shredding and dispensing device for use with a tractor
US7793873B2 (en) Bale grinder
KR101008800B1 (ko) 조사료용 곡물수확기
CN101253831B (zh) 牧草联合收获粉碎机
CN105123132B (zh) 一种圆草捆捡拾车
KR101366639B1 (ko) 옥수수수확기를 탑재한 자주식 톤백사일리지 제조장치
GB2535281A (en) A trailer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trailer
KR101946663B1 (ko) 베일러용 픽업유닛의 승하강 자동 제어장치
KR101869468B1 (ko) 높이조절기능이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KR101840304B1 (ko) 콤바인
CA2291319C (en) Square bale processor
KR102499256B1 (ko) 포트 충전용 상토 리프트 분쇄기
CN107371556A (zh) 牵引式多功能甜菜收获机
JP2007117015A (ja) コンバインの分草装置
US5368242A (en) Bunk silo unloader
US4226565A (en) Ensilage storing apparatus
JP5005560B2 (ja) とうもろこし畑の切り株処理装置
KR101869467B1 (ko) 수평 조절장치가 구비된 농업용 베일러
JP2007117016A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昇降構造
US2804219A (en) Baled hay loader attachment for vehicles
JP2006211952A (ja)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昇降構造
RU2399199C1 (ru) Кормораздатчик
CN218113187U (zh) 一种圆盘式玉米秸秆青贮机用快速装袋机构
CN210558058U (zh) 自走式青储取料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