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0847Y1 -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 - Google Patents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0847Y1
KR200390847Y1 KR20-2005-0013177U KR20050013177U KR200390847Y1 KR 200390847 Y1 KR200390847 Y1 KR 200390847Y1 KR 20050013177 U KR20050013177 U KR 20050013177U KR 200390847 Y1 KR200390847 Y1 KR 200390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height
plate portion
upper plate
elast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31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옥
Original Assignee
정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옥 filed Critical 정병옥
Priority to KR20-2005-00131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08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0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08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 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는 소정두께로 메모리 폼(foam)재질로 되어 쿠션기능을 가진 베개쿠션내에 일정높이를 가진 한 쌍의 고정용 형상부재가 소정간격 떨어져 내장되어 전체적으로 베개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고정용 형상부재 사이에 상기 높이자동변환장치가 내장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는 하판부 및 쿠션부와 일체로 결합된 상판부 사이에 힌지핀들을 통해 서로 교차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위치되어 한 쌍의 X형 레버를 형성하며, 일측단부는 상기 상하판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에 힌지핀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상하판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재에 결합된 레버부재들과, 상기 상하판부의 폭방향 측면에서 부터 각각 연장형성되어 인체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도록 ㄷ자형 지지부들과 일단부는 상기 레버부재의 유동단을 연결하는 힌지핀에 걸쳐져 고정되고 일정한 스프링상수를 가지는 복귀스프링 및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스프링 위치가변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 위치가변수단을 통해 복귀스프링의 양단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레버부재들의 사이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상판부를 누르는 힘에 따라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와의 사이의 높이가 적응적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는 사람의 눕는 자세에 따라 달라지는 머리의 무게에 적응적으로 베개의 높이가 스스로 변환되도록 해서 사용자가 수면을 편하게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바로 누웠을 때, 베개가 눌리어 목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베개가 높아짐에 따라 직각으로 펴지게 되고 이로인해 인체 어깨의 상단부분이 베개를 밀어낼 여지가 없게 되고 따라서 베개가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PILLOW HAVING AN AUTOMATIC HEIGHT CHANGE ELASTIC APPARATUS}
본 고안은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의 취침 자세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와 접촉하는 머리 요입부분과 사용자의 목과 접촉하는 목 받침부분의 높이가 적응적으로 자동변환되는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잠을 잘 때, 똑 바로 누워자는 것이 아니고, 바로 누웠다 옆으로 누웠다 하루 밤 2,30번을 뒤척인다고 한다. 베개를 베고 바로누워 잘 때와 옆으로 누워 잘 때 인체의 구조상 바닥으로부터 베개와 접촉하는 사용자의 머리 및 목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사용자의 머리가 몸체와 인체 공학적으로 직선을 이루기 위해서는 바로 누울 때는 베개 자체의 높이는 낮아져야 하고 옆으로 누울 때는 베개의 높이가 높아져야 한다. 그러나 잠을 자면서 베개를 높이거나 낮추어 주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이 분야의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본 고안의 출원인이 이미 출원한 바 있는 종래기술(실용신안등록출원 제95-29130호)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높낮이 변환 베개는 목과 머리 부분의 구분이 없이 머리를 높이변환기능 구조물을 통해 단순하게 받쳐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베개는, 사용자의 목의 경추 C자형을 유지하고 보호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이 딱딱하게 경직되어 사용자의 머리 뒤통수에 딱딱함이 그대로 전달되어 베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피로를 덜어주지 못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베개를 베고 누울 때 누운 자세의 인체에 대해 인체공학적으로 적응적으로 인체와 접촉하는 부위의 높낮이가 스스로 자동으로 변환되는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에 있어서, 상기 베개는 소정두께로 메모리 폼(foam)재질로 되어 쿠션기능을 가진 베개쿠션내에 일정높이를 가진 한 쌍의 고정용 형상부재가 소정간격 떨어져 내장되어 전체적으로 베개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고정용 형상부재 사이에 상기 높이자동변환장치가 내장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는 하판부 및 쿠션부와 일체로 결합된 상판부사이에 힌지핀들을 통해 서로 교차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위치되어 한 쌍의 X형 레버를 형성하며, 일측단부는 상기 상하판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에 힌지핀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타측단부는 상하판부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의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재에 결합된 레버부재들과, 상기 상하판부의 폭방향 측면에서 부터 각각 연장형성되어 인체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도록 ㄷ자형 지지부들과 일단부는 상기 레버부재의 유동단을 연결하는 힌지핀에 고정되고 일정한 스프링상수를 가지는 복귀스프링 및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스프링 위치가변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 위치가변수단을 통해 복귀스프링의 양단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레버부재들의 사이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상판부를 누르는 힘에 따라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와의 사이의 높이가 적응적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 위치가변수단은 상기 상판부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사이에 이탈방지핀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 봉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일단에는 상판부의 측단면 외측으로 일부 노출되는 원형 조절부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의 타단부가 고정된 가이드홈부재의 가이드홈내에 판형 고정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되는 나사부가 형성된 봉형태의 스프링 위치조절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이드홈부재가 상기 나사부의 왕복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이 왕복이동되어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 위치가변수단을 통한 레버부재들의 사이각도는, 상기 상판부가 상한선에 있을 때, 받쳐 올려 주는 힘이 바로 누웠을 때의 머리의 무게 보다 약하게 설정되도록 조절되고, 옆으로 누웠을 때의 머리무게 보다 강하게 설정되도록 조절되고, 또한 상기 상판부가 하한선에 있을 때는 상기 상판부를 밀어 올려주는 힘이 남아 있도록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람의 머리의 무게는 바로 누웠을 때나 옆으로 누웠을 때 모두 같다. 그러나 베개에 미치는 사람의 머리 무게는 눕는 자세에 따라 다르다. 바로 누웠을 때는 머리의 무게가 그대로 베개에 하중으로 가해지지만 옆으로 누웠을 때는 어깨가 받침대 구실을 하여 베개에 미치는 하중은 머리 무게의 1/2이하로 줄어든다.
사람이 바로 누웠을 때와 옆으로 누웠을 때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베개에 미치는 머리의 무게가 달라지므로, 이하 기술되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사람의 눕는 자세에 따라 달라지는 머리의 무게에 적응적으로 베개의 높이가 스스로 자동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수면을 편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1 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 는 도 1의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를 180도 회전시킨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3 은 도 1의 각 구성부품의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3 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100)가 내장된 베개에 있어서, 상기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100)는 하판부(110) 및 상판부(120)사이에 한 쌍의 X형 레버를 형성하는 레버부재들(212,214,222,224)이 힌지들을 통해 서로 교차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위치된다. 상기 상판부(120)에는 인체의 목부분이 접촉되는 쿠션부(125)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판부(110,120)의 폭방향 측면에는 머리부분을 향하여 인체의 머리부분이 접촉되도록 ㄷ자형 지지부(140,142)들이 각각 연장형성되어있다.
상기 한 쌍의 X형 레버를 형성하는 레버부재들(212,214,222,224)은 각각 일측단부는 상하판부(110,120)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112,114,122,124)에 힌지핀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타측단부(212a,214a,222a,224a)는 상하판부(110,120)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116,118,128)의 가이드홈(116a,118a,128a)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재(213,223,226)에 결합된다(도3 참조). 상기 한 쌍의 X형 레버를 형성하는 레버부재들(212,214,222,224)은 힌지핀(161,162,163,164,165)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힌지핀들은 상기 레버부재들의 반복되는 승강동작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참조부호 136은 복귀스프링을 나타낸 것으로 일정한 스프링 상수를 가지며 복원력을 가진 스프링이다. 상기 복귀스프링(136)의 일단부(136b)는 상기 힌지핀(161)에 걸쳐져 고정되며 타단부(136a)는 스프링 위치가변수단의 일부품으로 이동가능한 가이드홈부재(134)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참조부호 132는 봉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진 스프링 위치조절부재를 나타내며, 상기 상판부(12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135)사이에 이탈방지핀(137)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 위치조절부재(132)의 일단에는 원형 조절부(130)가 형성되어 상판부(120)의 측단면 외측으로 일부 노출되며, 상기 가이드홈부재(134)의 가이드홈(134a)내에 고정부재(132a)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134a)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나사부(13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100)는 목을 받쳐주는 부위(도1 의 A부분)와 옆으로 누웠을 때 머리를 받쳐주는 부위(도1 의 B부분) 및 똑 바로 누웠을 때 머리가 위치하는 부분(도1 의 C부분)으로 구분되며, 높이자동변환기능을 하는 상판부(120)의 구조물의 가로폭을 좁혀(도1 의 A 참조), 목의 경추 C자형이 변형되지 않으면서 유지되도록 하며, 머리를 받쳐주는 부위(도1 의 B)는 후술하는 ㄷ자형 지지부(140,142)를 통해 받쳐줌으로써 머리와 목, 어깨에 이르는 인체의 자연스러운 곡선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점에 특징이 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바로 누울때는(도 5참조)를 머리의 뒤통수가 도1 의 C부분에 접촉되어 뒤통수가 부드러운 베개쿠션(200)에 의해 편하게 받쳐지고 옆으로 누울때는 도1 의 B부분이 받쳐준다. 가운데(즉 도1 의 C부분)를 비운 ㄷ자형 지지부(140)를 형성한 것은 바로 누웠을 때, 뒤통수가 베개쿠션(200)에 많은 부분이 접촉되어 편안함을 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상기 ㄷ자형 지지부(140,142)들은 철로 만들어져 상기 상하판부(110,120)에 삽입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다르게는 철심이 내장된 형태로 상기 상하판부(110,120)와 동시에 사출물로 사출성형될 수도 있다.
옆으로 누웠을 때의 앞뒤 높이 설정
본 고안에 따른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100)가 내장된 베개(500)에 따르면, 옆으로 누운 자세의 높은 베개로 변환되었을 때, 인체의 두상 구조가 목과 턱의 부위는 좁고 두상의 부위는 넓다. 따라서, 두상의 구조에 따라 베개의 목과 턱이 놓이게 되는 부분(도1 의 A부분)은 높게 하고 두상이 놓이게 되는 부분(도1 의 B부분)은 낮게 하여 경추를 포함한 척추와 두상의 중심선이 인체구조에 맞게 자연스러운 직선이 되게 한다.
통상의 베개는 바로 누웠다 옆으로 돌아누울 때 베개가 어깨의 상단부에 밀려나 이탈되기 쉽지만, 본 고안의 베개는 바로 누웠을 때, 베개(500)가 눌리어 목쪽으로 베개쿠션(200)의 돌출된 부분(도6 의 D부분)이 베개가 높아짐에 따라 직각으로 펴지게 되고 이로인해 인체 어깨의 상단부분이 베개를 밀어낼 여지가 없게 되고 따라서 베개(500)가 이탈되지 않는다.
도1 을 참조하면, 복귀스프링(136)은 일정한 스프링상수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복귀스프링(136)의 타단에 연결된 스프링 위치가변수단을 통해 상기 복귀스프링(136)을 전후방으로(나사부(133)가 회전되면서 가이드홈부재(134) 전체를 전후로 이동시키고 가이드홈부재(134)에 연결된 복귀스프링(136)도 이동됨) 이동시킴으로써 복귀스프링(136)의 일단에 연결된 한 쌍의 X형 레버를 형성하는 레버부재들간의 사이각도를 가변시켜 조절할 수 있다.
도4 는 도1 의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4 를 참조하면, 도1 의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100)는 베개(500)내에 내장된다. 베개(500)는 베개쿠션(200)상에 일정높이를 가진 한 쌍의 고정용 형상부재(310,320)가 고정되어 있고, 이 고정용 형상부재(310,320)사이에 상기 높이자동변환장치(100)가 내장된다.
도5a 및 도5b 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의 한 쌍의 X형 레버를 형성하는 레버부재들의 작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본다.
본 고안에 따르면, 한 쌍의 X자 형의 레버를 형성하는 레버부재들의 일단을 고정단으로 하여 고정시키고 타단을 유동단으로 하여 유동단 쪽에 복귀스프링(136)의 일단부(136b)를 고정시킨 상태에서(도3 참조), 도5a에서와 같이 레버부재들은 일정한 높이(h1)와 각도(??1)를 유지하고 있다가, 상판부(120)에 일정 수준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면 상판부(120)가 하판부(110)쪽으로 접근하면서 상기 높이(h1)가 줄어들면서 레버부재들의 유동단에 걸려있던 복귀스프링(136)이 당겨져서 복귀스프링(136)의 복원력이 커지지만, 상기 복귀스프링(136)의 복원력이 하판부(110)의 고정단 방향과 상판부(120)를 밀어 올리는 쪽으로 분산되어 상판부(120) 복원력이 초기 하중에 큰 변화없이 유지된다. 상기 하판부(110)와 한 쌍의 X형 레버를 형성하는 레버부재가 도5b에서와 같이 일정 수준의 각도(??2) 및 높이(h2)에 도달하도록 상기 복귀스프링(136)의 양단의 위치를 가변시키면 복귀스프링(136) 자체의 복원력은 아주 강해진다.
한편 만약 레버부재들이 거의 수평을 이루게 된다고 가정하면 상기 복귀스프링(136) 자체의 복원력은 최고조에 달하지만 그 복원력이 100% 고정단 쪽으로 가해져 상판부(120)를 밀어올리는 힘은 0상태가 되므로, 본 고안에서는 상하판부(110,120)들이 맞닿아 있을 때, 상판부(120)를 밀어 올리는 힘이 0상태가 되지 않고 상판부(120)를 밀어 올리는 힘이 약간 남아 있도록 상하판부(110,120)와 한 쌍의 X형 레버를 이루는 레버부재들이 수평이 되지 않고 약간의 예각으로 장착되어야 옆으로 돌아누우면 누름 압력이 제거되어 상판부(120)가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으로 해서 사람의 눕는 자세에 적응적으로 자동적으로 높이가 변환되게 된다.
위의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다음과 같은 설정이 필요하다.
상기 상판부(120)가 상한선(도시안됨, 도 5a 혹은 도 5b에서와 같이 높이가 정해진 상태를 말함)에 있을 때, 받쳐 올려 주는 힘이 바로 누웠을 때의 머리의 무게 보다 약하게 설정해야 하고, 옆으로 누웠을 때의 머리무게 보다 강하게 설정해야 한다.
또한 상판부(120)가 하한선(더이상의 레버부재들이 하강하지 않는 위치를 말함)에 있을 때는 상기 상판부(120)를 밀어 올려주는 힘이 남아 있도록 장착할 필요가 있다.
상하판부(110,120)들이 맞닿아 있을 때, 상판부(120)를 밀어 올리는 힘이 0상태가 되지 않고 상판부(120)를 밀어 올리는 힘이 약간 남아있도록 하기 위해선 한 쌍의 X형 레버를 이루는 레버부재들의 고정단과 교차점이 수평이 되지않고 교차점이 고정단 보다 약간 높게 설정되도록 결합하면 상판부(120)를 밀어 올리는 힘이 남아 있게 된다.
옆으로 누웠을 때는 베개에 미치는 머리 무게가 실제 머리의 무게의 1/2 밖에 되지 않으므로 몸통과 머리가 직선을 이루어 편한 수면을 취할 수 있고, 바로 누우면 머리의 무게가 100% 베개에 그대로 미치어 상판부(120)를 밀어내려 상판부(120)와 하판부(110)가 거의 맞닿게 되었을 때엔(도 6참조) 사람이 바로 누웠을 때의 인체구조상 직선을 이루게 되고 상판부(120)를 밀어 올리는 힘이 머리의 무게에 미치지 못해 복귀스프링(136)의 강한 복원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상태로 편한 수면을 취할 수 있다.
다시 옆으로 돌아누울 때는 상판부(120)에 가해지는 머리의 무게가 줄어들거나 거의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복귀스프링(136)의 긴장이 해소되면서 상판부(120)가 거의 상한선에 도달하게 된다.
도6 및 도7 은 도4 의 사용상태들을 나타낸 사용상태도들이다.
도6 및 도7 를 참조하면, 지면에 베개(500)를 똑 바로 베고 누운 사용자의 상태를 볼 수 있고, 또한 지면에 베개(500)를 옆으로 베고 누운 사용자의 상태를 볼 수 있다.
이를 통해보면,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100)의 높이가 자동으로 변환된 상태로서, 서로 h3,h4로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식으로 본 고안의 따른 베개(500)는 사용자의 사용상태에 따라 높이가 자동으로 변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는 사람의 눕는 자세에 따라 달라지는 머리의 무게에 적응적으로 베개의 높이가 스스로 변환되도록 해서 사용자가 수면을 편하게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는 바로 누웠을 때, 베개가 눌리어 목쪽으로 돌출된 부분이 베개가 높아짐에 따라 직각으로 펴지게 되고 이로인해 인체 어깨의 상단부분이 베개를 밀어낼 여지가 없게 되고 따라서 베개가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1 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 는 도1 의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를 180도 회전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3 은 도1 의 각 구성부품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4 는 도1 의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a 및 도5b 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의 한 쌍의 X형 레버를 형성하는 레버부재들의 작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6 은 도4 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7 은 도4 의 또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 110,120: 상하판부
116,118,128,112,113,114,115,122,124: 가이드부
125: 쿠션부 116a,118a,128a: 가이드홈
136: 복귀스프링 140,142: ㄷ자형 지지부
213,223,226: 가이드부재 212,214,222,224: 레버부재
212a,214a,222a,224a: 타측단부 200: 베개쿠션
500: 베개 310,320: 고정용 형상부재

Claims (3)

  1.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100)가 내장된 베개(500)에 있어서,
    상기 베개(500)는 소정두께로 메모리 폼(foam)재질로 되어 쿠션기능을 가진 베개쿠션(200)내에 일정높이를 가진 한 쌍의 고정용 형상부재(310,320)가 소정간격 떨어져 내장되어 전체적으로 베개(500)의 형상을 이루며, 상기 고정용 형상부재(310,320) 사이에 상기 높이자동변환장치(100)가 내장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100)는
    하판부(110) 및 쿠션부(125)와 일체로 결합된 상판부(120)사이에 힌지핀들을 통해 서로 교차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위치되어 한 쌍의 X형 레버를 형성하며, 일측단부는 상기 상하판부(110,120)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112,114,122,124)에 힌지핀에 의해 제자리에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며, 타측단부(212a,214a,222a,224a)는 상하판부(110,120)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116,118,128)의 가이드홈(116a,118a,128a)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부재(213,223,226)에 결합된 레버부재들(212,214,222,224)과;
    상기 상하판부(110,120)의 폭방향 측면에서 부터 각각 연장형성되어 인체의 머리부분을 지지하도록 ㄷ자형 지지부(140,142)들과;
    일단부(136b)는 상기 레버부재(214,224)의 유동단을 연결하는 힌지핀(161)에 걸쳐져 고정되고 일정한 스프링상수를 가지는 복귀스프링(136); 및
    상기 복귀스프링(136)의 타단부(136a)에 고정되어 상기 복귀스프링(136)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스프링 위치가변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 위치가변수단을 통해 복귀스프링의 양단의 위치를 가변시켜 상기 레버부재들의 사이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상판부(120)를 누르는 힘에 따라 상기 상판부(120)와 하판부(110)와의 사이의 높이가 적응적으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100)가 내장된 베개(5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위치가변수단은
    상기 상판부(120)의 하면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135)사이에 이탈방지핀(137)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설치된 봉형태의 몸체를 가지며, 일단에는 상판부(120)의 측단면 외측으로 일부 노출되는 원형 조절부(130)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상기 복귀스프링(136)의 타단부(136a)가 고정된 가이드홈부재(134)의 가이드홈(134a)내에 판형 고정부재(132a)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134a)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삽입고정되는 나사부(133)가 형성된 봉형태의 스프링 위치조절부재(1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이드홈부재(134)가 상기 나사부(133)의 왕복이동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복귀스프링(136)이 왕복이동되어 위치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100)가 내장된 베개(5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위치가변수단을 통한 레버부재들(212,214,222,224)의 사이각도는, 상기 상판부(120)가 상한선에 있을 때, 받쳐 올려 주는 힘이 바로 누웠을 때의 머리의 무게 보다 약하게 설정되도록 조절되고, 옆으로 누웠을 때의 머리무게 보다 강하게 설정되도록 조절되고, 또한 상기 상판부(120)가 하한선에 있을 때는 상기 상판부(120)를 밀어 올려주는 힘이 남아 있도록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100)가 내장된 베개(500).
KR20-2005-0013177U 2005-05-11 2005-05-11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 KR200390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177U KR200390847Y1 (ko) 2005-05-11 2005-05-11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3177U KR200390847Y1 (ko) 2005-05-11 2005-05-11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0847Y1 true KR200390847Y1 (ko) 2005-07-28

Family

ID=4369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177U KR200390847Y1 (ko) 2005-05-11 2005-05-11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0847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56B1 (ko) * 2005-11-08 2006-12-19 서점란 기능 베개
KR100902572B1 (ko) * 2007-08-03 2009-06-11 이승재 베개
KR100959235B1 (ko) 2008-01-03 2010-05-19 김흥용 높이자동조절베개
KR200448936Y1 (ko) 2009-10-16 2010-06-08 황종범 부위별 쿠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CN104188449A (zh) * 2014-09-12 2014-12-10 沈国定 一种健身垫及其自动调节枕头的组合件
KR101602945B1 (ko) * 2015-08-27 2016-03-21 장미숙 자동 높이 조절 베개
KR20200003727A (ko) * 2018-07-02 2020-01-10 김기온 경추교정기
JP2020089725A (ja) * 2018-12-05 2020-06-11 ▲黄▼賢達Huang, Hsien−Ta 昇降平衡装置の高位置微調整機構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56B1 (ko) * 2005-11-08 2006-12-19 서점란 기능 베개
KR100902572B1 (ko) * 2007-08-03 2009-06-11 이승재 베개
KR100959235B1 (ko) 2008-01-03 2010-05-19 김흥용 높이자동조절베개
KR200448936Y1 (ko) 2009-10-16 2010-06-08 황종범 부위별 쿠션 높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
CN104188449A (zh) * 2014-09-12 2014-12-10 沈国定 一种健身垫及其自动调节枕头的组合件
KR101602945B1 (ko) * 2015-08-27 2016-03-21 장미숙 자동 높이 조절 베개
KR20200003727A (ko) * 2018-07-02 2020-01-10 김기온 경추교정기
KR102186814B1 (ko) 2018-07-02 2020-12-04 김기온 경추교정기
JP2020089725A (ja) * 2018-12-05 2020-06-11 ▲黄▼賢達Huang, Hsien−Ta 昇降平衡装置の高位置微調整機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90847Y1 (ko) 높이자동변환 탄성장치가 내장된 베개
KR100960348B1 (ko) 베개
US9173498B2 (en) Adjustable armrest for a seating unit
US8408647B2 (en) Movable chair backrest
KR101044430B1 (ko) 요추받이를 포함하는 의자의 등 지지 장치
KR101094604B1 (ko) 의자 등받이용 쿠션 장치
KR20170132418A (ko) 침구용 탄성부재
KR102053835B1 (ko) 사무의자용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KR200478039Y1 (ko) 등압착식 허리받침대
KR200319932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침대
KR102565650B1 (ko) 허리베개 지지력 조절 구조와 시트
KR200364717Y1 (ko) 베게 높이 조절장치
CN204306464U (zh) 一种沙发头枕伸缩铰链
KR200411915Y1 (ko) 의자용 팔걸이 높이 조절 장치
KR200380966Y1 (ko) 의자가 구비된 책상
KR200419801Y1 (ko) 메모리 폼 베개
KR100946664B1 (ko) 등받이 각도 조정이 가능한 의자
JP2010088663A (ja)
KR100991359B1 (ko) 요추를 지지하는 돌출가능한 등받이판이 구비된 의자
KR102104922B1 (ko) 완충용 등받이를 포함하는 의자
CN106419239B (zh) 座背联动椅阻尼机构的调节结构
KR200226847Y1 (ko) 경추 보호용 목베개
KR200347144Y1 (ko) 의자 등받이에 결합되는 척추받침의 높낮이 조절기구
KR101323985B1 (ko) 높이조절용 베개
CN219613418U (zh) 一种椅子及其头枕调节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