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8481Y1 -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 Google Patents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8481Y1
KR200388481Y1 KR20-2005-0008042U KR20050008042U KR200388481Y1 KR 200388481 Y1 KR200388481 Y1 KR 200388481Y1 KR 20050008042 U KR20050008042 U KR 20050008042U KR 200388481 Y1 KR200388481 Y1 KR 2003884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icture frame
frame
reservo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80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영태
Original Assignee
백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영태 filed Critical 백영태
Priority to KR20-2005-00080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84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84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84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A01G27/06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83Picture frames having means for hold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을 액자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연결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내부를 상부의 식재부와 하부의 저수부로 구분하며 배수공을 포함하는 중간판, 및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중간판의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식재부로 연장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기존의 액자에도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며, 액자의 그림과 화분의 식물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식물에 물 등을 주는 시기를 알기 쉽게 한다.

Description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THE FLOWERPOT DETACHABLE FROM FRAME}
본 고안은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재를 이용하여 기존의 액자에도 착탈가능한 화분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화분을 수평면인 책상 등에 놓는 것이 아닌, 수직면인 벽 등에 걸려는 기술이 있었다. 종래기술은 화분 자체를 벽에 거는 기술로서, 벽에 걸 수 있는 형상으로 된 화분에 구멍을 형성한 후 스크류 등을 사용하여 벽에 거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또한, 화분에 식재된 식물 뿐만 아니라, 액자에 그려진 그림을 동시에 감상하는 종래기술도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최초의 제작시부터 액자에 화분이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화분만을 벽에 거는 종래기술은, 액자그림을 같이 감상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 벽에 화분과 액자가 모두 걸려야 하는 공간활용 상의 불합리가 있다.
둘째, 액자와 일체화된 화분의 경우, 사용자가 그림이나 식물을 다른 것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때에는 액자와 화분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사용자가 식물에 물을 주는 주기를 놓치기 쉬워, 식물의 관리가 힘든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액자에도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며, 액자의 그림과 화분의 식물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으며, 나아가 사용자가 식물에 물을 주는 시기를 알기 쉽게 하며, 한번 주입된 물로 장기간 식물에 수분공급이 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을 액자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연결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내부를 상부의 식재부와 하부의 저수부로 구분하며 배수공을 포함하는 중간판, 및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중간판의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식재부로 연장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에 탈착가능한 화분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은, 상기 연결재의 한 단부가 액자의 액자면과 테두리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은, 단부가 위쪽으로 구부러져 연장된 배출호스에 의해 상기 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은, 상기 저수부의 유량을 알 수 있도록, 상기 배출호스에 적어도 하나의 눈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은, 액체를 상기 저수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와 상기 배출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급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배출부가 있는 쪽에 배치되는 급수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은, 상기 연결재는, 상기 케이싱이 안정되게 놓이도록 연장형성된 상기 지지부 상에 패드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은, 상기 연결재가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분이 장착된 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에 흙 등이 충전된 경우의 단면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배출부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액자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인 화분은, 케이싱(100)과 연결재(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싱(100)은, 위로부터 식재부(110), 중간판(120), 저수부(130)로 이루어진다.
식재부(1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물이 배양될 수 있도록, 흙, 자갈 등이 소정의 방식으로 충전된다. 중간판(120)에는, 식재부(110)로부터 주입되는 물 등의 액체가 아래로 배수되도록 하는 복수의 배수공(121)이 형성된다. 저수부(130)에는, 중간판(120)을 통해 식재부(110)에서 배수된 액체가 저장된다.
배출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부(130)의 일측에 마련된 배출공(141)과, 이 배출공(141)에 연결된 배출호스(142)를 가진다. 이때 배출호스(142)는 배출공(141)에 방수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배출부(140)는 저수부(130)에 저장된 액체가 과다한 경우에 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호스(142)는 저수부(130)의 액체저장상태를 파악하도록 눈금(143)을 가짐이 바람직하다. 눈금(143)은 상, 중, 하를 나타내는 3개의 눈금(143)이 바람직하나, 다양한 눈금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배출호스(142)는, 위쪽으로 절곡된 상태로 연장형성되어 배출공(141)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된 식물에 의해 저수부(130)가 보이지 않더라도, 저수부(130)의 유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배출호스(142)는 유동가능한 유연성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위로 절곡된 부분을 반듯이 펴서 저수부(130)의 액체를 배출시킬수도 있으며, 위로 절곡된 부분을 손으로 잡고,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저수부(130)의 액체를 배출시킬 수도 있다.
심지(150)는, 일 단이 저수부(130)에 배치되며, 타 단은 중간판(120)의 배수공(121)을 관통해 식재부(110)에 충전된 흙, 자갈 등에 배치된다. 심지(150)는 통상적으로 섬유소재로 구성되며, 모세관력에 의해 저수부(130)의 액체를 식재부(11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심지(150)에 의해, 식재부(110)에서 배수된 물을 다시 피드백(feed-back)시켜 식재부(110)로 이동시킬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일 회의 수분공급으로 장기간의 수분충족효과를 얻을수 있다. 또한 영양제 등의 주입이 있는 경우에도, 배수된 후에 다시 피드백되므로 영양제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수 있다.
도 5a는 본 고안의 연결재(200)의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의 연결재(200)에 패드(220)가 마련된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재(200)는, 지지부(210)와 절곡된 형상의 양 단부로 이루어진다.
연결재(200)의 지지부(210)에는, 케이싱(100)이 놓이게 된다. 따라서 지지부(210)의 길이는 케이싱(100)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가 바람직하다.
또한 안정적으로 케이싱(100)을 지지하기 위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10) 상에 마찰성이 있는 소재로 된 패드(220)를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연결재(200)가 삽입된 액자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액자는 그림이 배치되는 액자면(10)과, 액자면(10)을 둘러 싸는 테두리(11)로 형성된다. 연결재(200)의 절곡된 형상의 일 단부는 그 틈에 삽입될 정도로 얇게 형성된다.
케이싱(1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의 연결재(2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연결재(200)를 사용하였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300)가 배치된 화분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탱크(300)는 액체가 주입될 수 있는 급수부(310)와, 그 배면에 저수부(130)로 액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급수공(320)이 형성된다. 배출부(140)의 배출호스(142)는 급수공(320)에 체결된다.
사용자는 식물이 무성한 식재부(110)에 직접 물 등의 액체를 주입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식물줄기나 잎 등을 타고 액체가 바닥에 흘러 내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액체를 주입하는 급수탱크(300)를 별도로 케이싱(100)의 일 측에 마련하여, 케이싱(100)을 통해 저수부(130)로 액체를 주입하고, 또한 저수부(130)에 주입된 액체는 심지(150)의 모세관력에 의해 식재부(110)에 이동되는 메카니즘을 이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영양제 등이 액상 뿐 아니라, 분말상 등으로 주입되어도, 같이 주입되는 액상의 물에 의해 용해되면서 저수부(130)로 주입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된다.
먼저, 연결재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액자에도 용이하게 착탈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자유로이 액자의 그림이나, 화분의 식물을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심지의 모세관력을 이용함으로써, 일회의 수분공급으로 장기의 수분공급효과가 제공된다.
그리고, 급수탱크를 사용함으로써, 마루바닥 등을 훼손시키지 않고, 쉽게 수분 등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분이 장착된 액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케이싱에 흙 등이 충전된 경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출부의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액자의 사시도,
도 5a는 본 고안의 연결재의 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연결재에 패드가 부착된 경우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연결재가 삽입된 액자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급수탱크가 배치된 화분의 부분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싱 110 : 식재부
120 : 중간판 121 : 배수공
130 : 저수부 140 : 배출부
141 : 배출공 142 : 배출호스
143 : 눈금 150 : 심지
200 : 연결재 210 : 지지부
220 : 패드 300 : 급수탱크
310 : 급수부 320 : 급수공

Claims (7)

  1.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을 액자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한 연결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은, 케이싱 내부를 상부의 식재부와 하부의 저수부로 구분하며 배수공을 포함하는 중간판, 및 상기 저수부로부터 상기 중간판의 배수공을 관통하여 상기 식재부로 연장되는 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에 탈착가능한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의 한 단부가 액자의 액자면과 테두리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3. 제2항에 있어서, 단부가 위쪽으로 구부러져 연장된 배출호스에 의해 상기 배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의 유량을 알 수 있도록, 상기 배출호스에 적어도 하나의 눈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5. 제3항에 있어서,
    액체를 상기 저수부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와 상기 배출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급수공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싱의 배출부가 있는 쪽에 배치되는 급수탱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는, 상기 케이싱이 안정되게 놓이도록 연장형성된 상기 지지부 상에 패드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재가 상기 케이싱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KR20-2005-0008042U 2005-03-24 2005-03-24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KR2003884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042U KR200388481Y1 (ko) 2005-03-24 2005-03-24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042U KR200388481Y1 (ko) 2005-03-24 2005-03-24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8481Y1 true KR200388481Y1 (ko) 2005-06-30

Family

ID=4368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042U KR200388481Y1 (ko) 2005-03-24 2005-03-24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848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458Y1 (ko) 2012-02-06 2013-02-22 주식회사 윤토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액자용 화분
KR101341839B1 (ko) 2011-05-30 2013-12-16 심석규 액자형 화분
KR101681209B1 (ko) 2014-11-21 2016-11-30 김동욱 화초식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839B1 (ko) 2011-05-30 2013-12-16 심석규 액자형 화분
KR200465458Y1 (ko) 2012-02-06 2013-02-22 주식회사 윤토 수분공급수단이 구비된 액자용 화분
KR101681209B1 (ko) 2014-11-21 2016-11-30 김동욱 화초식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5963B1 (en) Vertical garden
JP3195747U (ja) 自動給水植木鉢
KR101248076B1 (ko) 심지관수용 서랍식 화분
KR200388481Y1 (ko) 액자에 착탈가능한 화분
JP4898161B2 (ja) 植木鉢
KR200302520Y1 (ko) 수분 공급장치 및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
JP2001327222A (ja) 花壇システム
CN201138958Y (zh) 节水免浇花盆
JP3827680B2 (ja) 花卉植栽構造
KR20070000806U (ko) 액자화분
CN100563428C (zh) 水培花卉盆
CN217445972U (zh) 多功能绿植盆
WO1998053668A1 (en) Fluid store and dispenser
CN205648609U (zh) 一种带有滤网的植物水培装置
KR200437492Y1 (ko)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20080002196U (ko) 저수조를 갖는 화분 구조물
JP2014039522A (ja) 差し込み式植木鉢給水具
CN212306260U (zh) 一种观赏花卉种植用幼苗放置架
JP3055023U (ja) 植木鉢の給水具
CN220799255U (zh) 一种转基因棉花种子用培育装置
JP2003310061A (ja) 底面潅水を利用する植物栽培用容器
JP3177958U (ja) 植木鉢の給水ベース
JP2004305691A (ja) 多様性器体
CN202979742U (zh) 园林景观用一体式贮水植物种植槽
KR20240000083U (ko) 확장형 저면 관수 화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