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748Y1 -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748Y1
KR200387748Y1 KR20-2005-0009733U KR20050009733U KR200387748Y1 KR 200387748 Y1 KR200387748 Y1 KR 200387748Y1 KR 20050009733 U KR20050009733 U KR 20050009733U KR 200387748 Y1 KR200387748 Y1 KR 200387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outdoor air
passage
indoo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73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규태
Original Assignee
(주) 휴니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휴니웰 filed Critical (주) 휴니웰
Priority to KR20-2005-0009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74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748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외의 온도차이가 클 경우 일정량의 실외공기를 유입 받음과 동시에 동일량의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면서 열교환이 일어나게 함으로서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로 하면서 환기를 할 수 있는 공기정화겸용 외부공기유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 중간에는 전,후방으로 교차되게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통과되게 하는 실외공기 통과유로와 실내공기 통과유로가 포함되는 에너지 교환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실외공기 통과유로를 통해 실외공기를 정화하면서 실내로 강제 유입되게 하는 실외공기 유입수단과 상기 실내공기 통과유로를 통해 실내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하는 실내공기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실외공기의 유입과 배출공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is large,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certain amount of outdoor air and at the same time discharges the same amount of indoor air to the outside, allowing heat exchange to occur, thereby minimizing the loss of energy. An air inflow apparatus, the middle of which is provided with an energy exchange means including an outdoor air passage and an indoor air passage to allow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to cross the front and rear, and the outdoor air passage A main body including an outdoor air inlet means for purifying the outdoor air and forcibly introducing the indoor air through the air and an indoor air discharge means for forcibly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air passag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nlet and exhaust of the outdoor air discharge.

Description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Out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for combined air purification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본 고안은 공기정화겸용 외부공기유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실내외의 온도차이가 클 경우 일정량의 실외공기를 유입 받음과 동시에 동일량의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면서 열교환이 일어나게 함으로서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로 하면서 환기를 할 수 있는 공기정화겸용 외부공기유입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air inlet device for combined air purification, and more specifically,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is large, the heat exchange occurs while receiving a certain amount of outdoor air and discharging the same amount of indoor air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and external air inlet system capable of providing ventilation with a minimum of loss.

최근 실내공기의 질에 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현재 미국을 포함해 일본, 유럽, 한국 등에서 시판되고 있는 환기장치는 그 주 목적이 환기를 하되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로 하기 위한 것이 주목적이다. 따라서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것에는 큰 비중을 두지 않고 있다. 즉, 기존의 환기장치에 사용되는 필터는 사람의 건강을 위해서라기보다 그것이 사용하는 에너지교환기와 공기의 유동을 위해 설치된 팬의 수명을 늘리기 위한 측면이 더 강조되어 대부분의 경우 그 성능이 그리 높지 않은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Recently, with increasing interest in the quality of indoor air, the ventilators currently marketed in Japan, Europe, Korea, etc.,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re intended to provide ventilation but to minimize energy loss. Therefore, there is no great emphasis on purifying the air flowing into the indoors from the outdoor. In other words, the filter used in the existing ventilation system is emphasized in terms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fan installed for the flow of the energy exchanger and the air used rather than for the health of the human being, and in most cases, its performance is not so high. It is common to use filters.

하지만, 최근에 개발되는 환기장치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가급적 많이 제거하기 위해 플라즈마, 즉 전자공기청정장치와 성능이 우수한 필터를 함께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런 환기장치도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recently developed ventilation devices have been installed with plasma, that is, an electronic air purifier and a high-performance filter, to compensate for this and to remove as much foreign substances as possible in the air. However, such a ventilation device also has the following problems.

먼저, 플라즈마 공기정화방식은 높은 전압을 사용하므로 몸에 해로운 오존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또 우리나라 대도시와 같이 먼지가 많은 환경에 장시간 사용을 할 경우 그 집진판에 많은 먼지가 끼게 되어 집진의 효율이 극히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First of all, the plasma air purifying method uses high voltage, which may cause harmful ozone, and when used for a long time in a dusty environment, such as a large city in Korea, the dust collecting plate may cause a lot of dust, resulting in extremely efficient dust collection. There is a problem of being lowered.

그리고 일반적으로 필터를 장착할 때 필터케이스에 있는 ㄷ자형의 레일에 밀어넣는 방식으로 삽입을 하는데, 이 때 필터레일과 필터사이에 틈이 있어 그 틈새를 통해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유출되는 문제가 있다. In general, when the filter is mounted, the filter is inserted into the U-shaped rail in the filter case. At this time, there is a gap between the filter rail and the filter, and unclean air flows out through the gap. .

또한 기존의 환기장치는 에너지의 교환을 위해 동일량의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교환하는 것이므로 실내의 압력을 양압으로 유지할 수 없다. 이런 균형된 압력은 출입문이나 창문 등의 틈을 통해 정화되지 않은 실외의 공기가 실내로 쉽게 유입되므로 실내의 공기가 다시 오염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것은 특히 알러지가 만연하는 계절의 경우 알러지를 일으키는 알러젠의 실내침투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공기청정기나 청정의 기능을 높인 환기장치를 아무리 가동한다 하더라도 알러지의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In addition, the existing ventilator is to exchange the same amount of indoor and outdoor air for the exchange of energy, so the indoor pressure cannot be maintained at a positive pressure. This balanced pressure has a problem that the indoor air is contaminated again because the unpurified outdoor air is easily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a gap such as a door or a window. This facilitates the infiltration of allergens that cause allergies, especially in the season of allergies, so there is a limit to alleviate the symptoms of allergy, no matter how the air purifier or the ventilation system that improves the clean function is operated.

이에,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4-101771호의 "실내 공기 정화장치"를 기출원 하였다. Accordingly, the present applicant has filed an "indoor air purifier" of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04-101771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즉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공기 정화장치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강제 유입시켜 실내의 공기압이 실외의 대기압보다 높게 하여 실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외부와 연통되는 창틈 및 문틈으로 배출되게 함은 물론, 실외에서 창틈 및 문틈을 통해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That is, the applicant's previously applied air purifier forcibly introduces outdoor air into the room so that the indoor air pressure is higher than the outdoor air pressure to allow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in the room to be discharged into window and door gaps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contaminated air from entering the room through the window and door openings outdoors.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실내공기 정화장치"를 개량한 것으로, 실내외의 온도차이가 클 경우에는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와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에너지 교환수단을 통과 하도록 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로부터 실내를 쾌적하게 하는 에너지를 상당부분 흡수하도록 하여 에너지를 보존하면서 환기를 실현할 수 있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mprovement of the "indoor air purifier", which has been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is large,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pass through the energy exchange means. Therefor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ying and outdoor air inlet device capable of realizing ventilation while preserving energy by absorbing a substantial portion of energy that makes the room comfortable from the air flowing into the room.

또한, 실내외의 온도차이가 별로 크지 않을 경우 실내의 공간에 실외의 공기를 일방적으로 공급하여 실내의 공기압을 약간 양압으로 유지하여 실외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정화없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목적도 있다. In addition,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is not large,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inflow of polluted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room without purifying by keeping the indoor air pressure at a positive pressure by unilaterally supplying the outdoor air to the indoor space. There is also.

또, 필터부가 들어갈 면적을 최대로 확보함과 동시에 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필터,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제거필터, 미세필터 등을 사용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중에 있는 오염물질을 거의 여과하고자 하는 목적도 있다. In addition, by using a pre-filter, a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removal filter, and a fine filter to remove large dust while maximizing the area for the filter part, the contaminants in the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are almost filtered. There is also a purpose.

또 필터부의 둘레를 완전히 밀폐하여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목적도 있다. Another purpose is to completely enclose the circumference of the filter unit to prevent contaminated air from entering the roo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 중간에는 전,후방으로 교차되게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통과되게 하는 실외공기 통과유로와 실내공기 통과유로가 포함되는 에너지 교환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실외공기 통과유로를 통해 실외공기를 정화하면서 실내로 강제 유입되게 하는 실외공기 유입수단과 상기 실내공기 통과유로를 통해 실내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하는 실내공기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실외공기의 유입과 배출공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n energy exchange means including an outdoor air passage and an indoor air passage to allow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to cross the front and rear in the middle, A main body including an outdoor air inlet means for purifying the outdoor air through the outdoor air passage flow path and forcibly introducing the indoor air and an indoor air discharge means for forcibly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air passage flow path;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nlet and exhaust of the outdoor air discharg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실외공기유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door air inl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이에 본 고안의 실외공기유입장치는; 내부 중간에 전,후방으로 교차되게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통과되는 실외공기 통과유로(22)와 실내공기 통과유로(23)가 포함되는 에너지 교환수단(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실외공기 통과유로(22)를 통해 실외공기를 정화하면서 실내로 강제 유입되게 하는 실외공기 유입수단(3)과 상기 실내공기 통과유로(4)를 통해 실내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하는 실내공기 배출수단(4)을 포함하는 본체부(1)와; 상기 실외공기의 유입과 배출공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으로 구성된다.The outdoor air inl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nergy exchange means (2) including an outdoor air passage passage 22 and an indoor air passage passage 23 through which outdoor air and indoor air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to intersect the inside and the rear is provided in the middle, and passes through the outdoor air. Outdoor air inlet means (3) for purifying outdoor air through the flow path (22) and indoor air discharge means (4) for forcibly discharging indoor air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door air passage passage (4) And main body portion 1 including; Control means (5)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the outdoor air and the discharge of the exhaust air.

그리고, 상기 에너지 교환수단(2)은, 전,후방의 중간을 경계하는 열전도판(21)과 이 열전도판(21)의 전방에 구비되어 실외공기가 일측 상부에서 타측 하부로 경사지게 통과되게 하는 상기 실외공기 통과유로(22) 및 상기 열전도판(21)의 후방에 구비되어 실내공기가 타측 상부에서 일측 하부로 경사지게 통과되게 하는 상기 실내공기 통과유로(23)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energy exchange means (2) is provided in front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21 and the heat conduction plate 21 bordering the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to allow the outdoor air to pass inclin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of the other side. The outdoor air passage flow passage 22 and the heat conduction plate 21 ar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indoor air passage passage 23 to allow the indoor air to be inclined to pass from one side lower portion from the other side.

즉 상기 에너지 교환수단(2)은 상기 실외공기 유입수단(3)과 실내공기 배출수단(4)을 통해 상호 교차되는(엇갈리는)지점에서 실내의 공기에 포함된 에너지가 유입되는 실외공기로 전달됨으로써, 실내공기의 에너지를 보존하면서 환기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그 구체적인 작동은 후술한다. That is, the energy exchange means 2 is transferred to the outdoor air into which the energy contained in the indoor air flows through the outdoor air inflow means 3 and the indoor air discharge means 4 at the point where they cross (cross).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air is conserved while preserving the energy of the indoor air, and the specific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실외공기 유입수단(3)은, 본체부(1)의 일측에 실,내외 구획벽(1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실외공기 유입구(31)와, 본체부(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31)와 상기 실외공기 통과유로(22)를 연결하고 중간에 필터부(33)가 구비된 실외공기 유입통로(32)와, 상기 본체부(1)의 타측에 구비된 실외공기 배출구(34), 및 상기 본체부(1)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34)와 상기 실외공기 통과유로(22)를 연결하고 중간에 실외공기 공급팬(36)이 구비된 실외공기 배출통로(35)로 구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outdoor air inlet means (3),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the outdoor air inlet 31 provided through the inner and outer partition walls 10, and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I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unit 1 and the outdoor air inlet passage 31 and the outdoor air inlet 31 and the outdoor air passage passage 22 and the filter unit 33 is provided in the middle The outdoor air outlet 34,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 are connected to the outdoor air outlet 34 and the outdoor air passage 22, and an outdoor air supply fan 36 is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composed of the outdoor air discharge passage 35 provided.

그리고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31)는 길이의 가변이 가능할 수 있도록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And the outdoor air inlet 31 may be formed of a corrugated pipe so that the length can be changed.

또한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31)의 내부에는 실외공기에 함유된 큰먼지를 걸러내는 제거망(311)이 더 구비됨으로서, 큰먼지가 직접적으로 필터부(33)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outdoor air inlet 31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moval net 311 for filtering the large dust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to prevent large dust from entering the filter unit 33 directly.

또, 상기 실내공기 배출수단(4)은, 본체부(1)의 타측인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34)와 위치를 달리하여 구비된 실내공기 유입구(41)와, 본체부(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41)와 상기 실내공기 통과유로(23)를 연결하는 실내공기 유입통로(42)와, 상기 본체부(1)의 일측인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31)와 위치를 달리하면서 실,내외 구획벽(10)을 관통하게 구비되는 실내공기 배출구(43), 및 상기 본체부(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43)와 상기 실내공기 통과유로(23)를 연결하고 중간에 실내공기 배출팬(45)이 구비된 실내공기 배출통로(44)로 구성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indoor air discharge means (4), the indoor air inlet (41) provided in a different position than the outdoor air outlet 34,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It is provided differently from the indoor air inlet passage 42 for connecting the indoor air inlet 41 and the indoor air passage passage 23 and the outdoor air inlet 31 which is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 While the indoor air outlet 43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inside and outside partition walls 10, and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is provided with the indoor air outlet 43 and the indoor air passage passage 23 The connection is made up of the indoor air discharge passage 44 is provided with an indoor air discharge fan 45 in the middle.

그리고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43)는 길이의 가변이 가능할 수 있도록 주름관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And the indoor air outlet 43 may be formed of a corrugated pipe so that the length can be changed.

또한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43)의 내부에는 실외로부터 큰 먼지가 실내공기 배출구(43)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거망(431)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indoor air outlet 43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moval net 431 to prevent large dust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indoor air outlet 43 from the outside.

이하, 본 고안의 실외공기유입장치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outdoor air inl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먼저, 상기 실외공기 유입통로(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압력손실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실외공기 유입구(31)가 본체부(1)의 타측 내부로 안내덕트(321)를 통해 확장되게 구비됨으로써,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흐름이 정체, 충돌, 역류 등으로 인한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로 함은 물론 이로 인한 소음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First, as illustrated in FIG. 2, the outdoor air inflow passage 32 smoothly induces the flow of outdoor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to minimize pressure loss. By being provided to extend through the guide duct 321 into the other side of the inside 1), the flow of the outdoor air introduced to minimize the loss of energy due to stagnation, collision, backflow, etc., as well as to reduce the noise.

그리고, 상기 필터부(33)는, 상기 안내덕트(321)의 내측인 본체부(1)의 내부 타측을 전체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면적을 극대화 하면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필터부(33)는, 황사, 알러지를 일으키는 꽃가루, 곰팡이 포자, 크기가 비교적 큰 박테리아 등 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필터(331)와, 새집증후군 등에서 문제가 되는 포름알데하이드 등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들을 제거할 수 있는 유해화합물 제거필터(332), 크기가 아주 작은 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기 위한 미세필터(33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필터는 실외 공기의 유입방향에서 배출방향으로 프리필터(331)와 유해화합물 제거필터(332) 및 미세필터(333)가 순서적으로 적층되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filter unit 33 is provided while maximizing the area so as to entirely block the oth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 that is the inner side of the guide duct 321. In addition, the filter unit 33 is a pre-filter 331 for removing large dust such as yellow dust, allergens causing pollen, mold spores, bacteria of relatively large size, and various volatile organic materials such as formaldehyde, which is a problem in sick house syndrome and the like. It is composed of a toxic compound removal filter 332 that can remove the compounds (VOC), a fine filter 333 for removing very small dust, bacteria, viruses and the like. That is, the filter includes a pre-filter 331, a harmful compound removal filter 332, and a fine filter 333 sequentially stacked in the inflow direction of the outdoor air.

또한, 상기 실내공기 유입통로(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압력손실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실내공기 유입구(41)가 본체부(1)의 일측 내부로 안내덕트(421)를 통해 확장되게 구비됨으로서,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흐름이 정체, 충돌, 역류 등으로 인한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로 함을 물론 이로 인한 소음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indoor air inflow passage 42, as shown in Figure 3, the indoor air inlet 41 is the main body portion to smoothly induce the flow of indoor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minimize pressure loss As it is provided to extend through the guide duct 421 into one side of the 1), the flow of the indoor air discharged to minimize the loss of energy due to stagnation, collision, backflow, etc., as well as to reduce the noise.

그리고 상기 안내덕트(421)의 내측인 실내공기 유입통로(42)에는 에너지 교환수단(2)이 먼지 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자가 큰 먼지 등의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필터(422)가 면적이 극대화 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 protection filter 422 is provided in the indoor air inflow passage 42 inside the guide duct 421 to prevent inflow of large particles such as to prevent the energy exchange means 2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dust. It is equipped to maximize the area.

아울러,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41)의 내측에는,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배출공기 차단댐퍼(41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의 배출공기 차단댐퍼(411)의 가동을 통해 실내공기 유입구(41)의 개폐단속은 물론 실내공기의 배출 공기량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배출공기 차단댐퍼(411)를 개폐시키는 구동수단은 모터나 실린더 또는 여러 종류 구동장치 중 하나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구동수단을 구동모터(411)로 도시하였다. In addition, the inside air inlet 41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scharge air blocking damper 411 for adjusting the discharg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That is,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exhaust air blocking damper 411,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indoor air inlet 41 can be adjusted as well as the amount of exhaust air of the indoor air. That is, the driv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haust air blocking damper 411 may be used by adopting one of a motor, a cylinder, or several kinds of driving devices. In the drawing, the driving means is shown as a driving motor 411.

한편,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34)에는, 여러 실내 공간으로 공기를 분기시켜 배출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한 분기덕트가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the outdoor air outlet 34 may further include a detachable branch duct so as to branch and discharge the air into various indoor spaces.

그리고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41)에도, 여러 실내 공간에서 실내 공기를 동시에 유입받을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한 분기덕트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indoor air inlet 41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etachable branch duct so that indoor air can be simultaneously introduced in various indoor spaces.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외공기유입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outdoor air inl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본 고안의 장치는 실외공기를 유입받으면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실외공기만을 유입받을 수 있는 작동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door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receiving the outdoor air and optionally, only the outdoor air can be introduced.

이에,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유입, 배출되는 작동과 실외공기만 유입되는 과정을 나누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us, the operation described in which the outdoor air and indoor air flows in and out, and the process of introducing only outdoor air ar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실외공기와 실내공기가 동시에 유입,배출되는 작동을 설명하면, 실외공기 유입수단(3)을 구성하는 실외공기 배출통로(35)에 구비된 실외공기 공급팬(36)을 작동시키고, 이와 동시에 실내공기 배출수단(4)을 구성하는 실내공기 배출통로(44)에 구비된 실내공기 공급팬(45)을 작동시킨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to 3, the operation of simultaneously introducing and discharging outdoor air and indoor air will be described. An outdoor air supply fan provided in the outdoor air discharge passage 35 constituting the outdoor air inlet means 3 will be described. (36), and at the same time to operate the indoor air supply fan 45 provided in the indoor air discharge passage 44 constituting the indoor air discharge means (4).

그러면 실외공기는, 실외공기 유입구(31)를 통해 실외공기 유입통로(32)를 통과한 후 에너지 교환수단(2)의 실외공기 통과유로(22)를 통과한 다음 실외공기 배출통로(35)와 실외공기 배출구(34)를 통과하여 실내로 투입된다. 반면에 실내공기는, 실내공기 유입구(41)를 통해 실내공기 유입통로(42)를 통과한 후 에너지 교환수단(2)의 실내공기 통과유로(23)를 통과한 다음 실내공기 배출통로(44)와 실내공기 배출구(43)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Then, the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passage 32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31 and then through the outdoor air passage passage 22 of the energy exchange means 2 and then with the outdoor air discharge passage 35. Passed through the outdoor air outlet 34 is introduced into the room. On the other hand, the indoor air passes through the indoor air inflow passage 42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41 and then through the indoor air passage passage 23 of the energy exchange means 2, and then the indoor air exhaust passage 44. And it passes through the indoor air outlet 43 is discharged to the outdoors.

그리고 실외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실외공기 유입통로(32)에 형성된 필터부(33)를 통과하면서 정화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것이다. 즉 상기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는, 상기 필터부(33)를 구성하는 프리필터(331)와 유해화합물 제거필터(332) 및 미세필터(33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황사, 알러지를 일으키는 꽃가루, 곰팡이 포자, 크기가 비교적 큰 박테리아 등 큰 먼지와 새집증후군 등에서 문제가 되는 포름알데하이드 등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및 아주 작은 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이 제거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s purified while being supplied to the room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3 formed in the outdoor air inflow passage 32. That is,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indoor, pollen causing yellow dust and allergy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the pre-filter 331 constituting the filter unit 33, the harmful compound removal filter 332 and the fine filter 333, Large dust such as mold spores and relatively large bacteria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such as formaldehyde, which are problematic in sick house syndrome, and very small dust, bacteria, and viruses are removed.

또한 상기 실내,외 공기가 상기의 에너지 교환수단(2)에 구비된 실내,외공기 통과유로(23,2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에너지(열)가 열전도판(21)을 통해 유입되는 실외공기로 전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에너지 교환수단(2)은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유입되는 실외공기가 열전도판(21)의 사이로 서로 섞이지 않으면서 교차되게 지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실내공기에 함유된 현열(sensible heat) 또는 잠열(latent heat)이 유입되는 실외공기로 전달됨으로써, 실내공기의 에너지를 보존하면서 환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에너지 교환수단(2)은 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이나 폴리프로필렌 또한 종이로 만든 제품이 알려져 있는데 본 고안은 상술한 에너지 교환수단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indoor and outdoor air through the indoor and outdoor air passage passages 23 and 22 provided in the energy exchange means 2, the energy (heat) of the indoor air discharged is transferred to the heat conduction plate 21. It is conducted to the outdoor air flowing through. That is, the energy exchange means 2 is sensible heat or latent heat contained in the indoor air discharg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e indoor air discharged and the outdoor air introduced therethrough without being mixed with each other between the heat conduction plates 21. By transmitting latent heat to the outdoor air, the ventilation is possible while preserving the energy of the indoor air. In addition, the energy exchange means 2 is a product made of aluminum, polypropylene or paper with high conductivity,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use the above-described energy exchange means.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동을 수행함으로써, 실내외의 온도차이가 클 경우 에너지 교환수단(2)을 통해 일정량의 실외공기를 유입 받음과 동시에 동일량의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함으로써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로 하면서 환기를 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by performing the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is large, the energy loss means receives a certain amount of outdoor air and discharges the same amount of indoor air to the outside to minimize the loss of energy. We can do ventilation while doing it.

즉 하절기나 동절기의 경우와 같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클 경우에는, 실외의 공기를 정화시켜 실내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할 때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conditions is large, such as in summer or winter, it is possible to purify the outdoor air and introduce it into the room, and minimize the loss of energy when discharging indoor polluted air to the outside. .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외공기유입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실외공기만이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에, 본 고안의 실외공기유입장치를 통해 실외공기만을 유입받을 경우에는, 먼저 실외공기 유입수단(3)을 구성하는 실외공기 배출통로(35)에 구비된 실외공기 공급팬(36)을 작동시키는 반면에, 실내공기 배출수단(4)을 구성하는 실내공기 배출통로(44)에 구비된 실내공기 공급팬(45)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실내공기 유입구(41)의 배출공기 차단댐퍼(411)를 닫는다. In addi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air inl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outdoor air flows. Thus, when only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o operate the outdoor air supply fan 36 provided in the outdoor air discharge passage 35 constituting the outdoor air inlet means (3)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indoor air supply fan 45 provided in the indoor air discharge passage 44 constituting the indoor air discharge means (4) is stopped and the discharge air blocking damper 411 of the indoor air inlet (41). Close it.

그러면, 실외공기는, 실외공기 유입구(31)를 통해 실외공기 유입통로(32)를 통과한 후 에너지 교환수단(2)의 실외공기 통과유로(22)를 통과한 다음 실외공기 배출통로(35)와 실외공기 배출구(34)를 통과하여 실내로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실외에서 유입된 공기는 실외공기 유입통로(32)에 형성된 필터부(33)를 통과하면서 정화되는 것이다. Then, the outdoor air passes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passage 32 through the outdoor air inlet 31 and then through the outdoor air passage 22 of the energy exchange means 2 and then the outdoor air discharge passage 35. And it passes through the outdoor air outlet 34 is introduced into the room. And th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is to be purifi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3 formed in the outdoor air inlet passage (32).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함으로써 실내에 양압을 조성하여 외부로부터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문틈이나 창틈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때 실외공기가 유입되는 중간지점에 위치한 에너지 교환수단(2)에서는 실내로부터 실외로 나가는 공기가 없기 때문에 에너지의 교환은 일어나지 않고 단지 공기를 통과시키는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by introduc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as described above to create a positive pressure in the room to prevent the unpurified air from entering the room through the door or window openings. In this case, the energy exchange means 2 located at the intermediate point where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does not have an air going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 so that the exchange of energy does not occur but only a function of passing air.

그러므로, 실내외의 온도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는 기능만을 가동하여 실내의 공기압을 약간 높게 함으로써 실외로부터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is not large, only the function of introducing outdoor air into the room is operated to slightly increase the indoor air pressure, thereby preventing the infiltration of unpurified air from the outside into the room.

즉 춘추기와 같이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그렇게 크지 않고 또 알러지가 만연하는 시기에는 실외의 공기를 클린룸의 수준으로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키되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실내의 공기압을 실외의 대기압보다 약간 높게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창틈이나 문틈을 통해 실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 and outdoor is not so large and allergy is widespread, like spring and spring, the outdoor air is purified to the level of the clean room and introduced into the room, but the air flow from the room is blocked by block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to the outside. By slightly higher than the outdoor atmospheric press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unpurified air from penetrating into the room through the window opening or the door opening.

또한 하절기나 동절기라 하더라도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을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실내로부터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실내의 공기를 깨끗하고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even in summer or winter, even if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is not so large, it is possible to keep the indoor air clean and fresh by blocking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indoor to the outdoor as described above.

도 5는 도 1의 C-C선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본체부(1)는 내부를 용이하게 수리하거나 청소할 수 있도록 개방수단(11)를 더 포함한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1,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1 further includes an opening means 11 to easily repair or clean the interior.

그리고 상기 개방수단(11)은, 상기 본체부(1)의 하판과 후방벽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부(111)와, 상기 개방부(111)에 전방은 개방 가능하게 경접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후방은 고정고리(113)와 고정클립(114)을 통해 본체부(1)와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커버판(11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And the opening means 11, the opening portion 111 is formed on the lower plate and the rear wall of the main body portion 1, the front is connected to the opening portion 111 via a hinge so as to be open and rearward Is composed of a cover plate 112 which is provided to be fixed to the main body portion 1 through the fixing ring 113 and the fixing clip 114.

또한 상기 커버판(112)과 본체부(1)의 내측에는, 상기 에너지 교환수단(2)의 외측 둘레와 필터부(33)의 둘레에 밀착되어 에너지 교환수단(2)과 필터부(33)의 둘레에서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는 개스켓(115)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late 112 and the main body portion 1,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ergy exchange means 2 and the circumference of the filter portion 3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ergy exchange means 2 and the filter portion 33 The gasket 115 is further provided to prevent the air from leaking around.

따라서, 상기 커버판(112)의 개폐를 통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에너지 교환수단(2)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다수의 필터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커버판(112)을 포함하는 본체부(1)의 내부에 구비된 에너지 교환수단(2)과 필터부(33)의 둘레를 개스켓(115)으로 밀폐시킴에 따라서 공기의 유입과 배출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plate 112 can facilitate the cleaning of the energy exchange means 2 provided therein and has the advantage of facilitating a plurality of filter replacements. In addition, the ai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by sealing the periphery of the energy exchange means 2 and the filter unit 33 provided in the main body 1 including the cover plate 112 with the gasket 115. You can prevent the phenomenon.

즉 상기 커버판(112)을 닫는 과정을 통해 에너지 교환수단(2)과 필터부(33)의 둘레를 커버판(112)의 내측에 구비된 개스켓(115)을 누르면서 밀착시킴에 따라서, 특히 필터부(33)의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That is, by pressing the gasket 115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late 112 in close contact with the energy exchange means 2 and the filter unit 33 by closing the cover plate 112, in particular It also ha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replace the filter unit 33.

한편,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5)은 상술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실외공기 공급팬(36)과 실내공기 배출팬(45)의 가동과 중지를 제어하며 배출공기 차단댐퍼(411)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51)와, 상기 제어부(51)를 조정하는 리모콘(5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control means 5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air supply fan 36 and the indoor air discharge fan 45 and A control unit 51 for controlling the stop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haust air blocking damper 411, and a remote control unit 52 for adjusting the control unit 51.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5)을 통해 상기 실외공기 공급팬(36)과 실내공기 배출팬(45)은 필요에 따라 완전꺼짐은 물론 풍량도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배출공기 차단댐퍼(41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외의 기온차이가 크지 않을 경우 또는 알러지시즌일 때 실내에 약한 양압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되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의 배출공기 차단댐퍼(411)가 실외로의 공기배출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Accordingly, the outdoor air supply fan 36 and the indoor air discharge fan 45 may be completely turned off as necessary and the air volume may be adjusted through the control means 5. In addition, the exhaust air shutoff damper 411,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create a weak positive pressure in the room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is not large, or in an allergic season, the out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indoor, but the indoor air flows to the outdoor The discharge air blocking damper 411 serves to block the discharge of air to the outdoors.

그러므로 상기의 실외공기 공급팬(36)과 실내공기 배출팬(45)의 풍량조절 및 배출공기 차단댐퍼(411)의 개폐는 상기 제어수단(5)을 구성하는 제어부(51)와 리모콘(52)을 통해 조정됨으로써, 리모콘(52)의 조작을 통해 상기 실외공기 공급팬(36)과 실내공기 배출팬(45) 및 배출공기 차단댐퍼(411)의 작동을 제어함에 따라 항상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air volume control of the outdoor air supply fan 36 and the indoor air discharge fan 45 and the opening / closing of the exhaust air blocking damper 411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51 and the remote controller 52 constituting the control means 5. By adjusting through the remote control unit 52, the indoor air supply fan 36, the indoor air exhaust fan 45, and the exhaust air shutoff damper 411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52 to maintain comfortable indoor air at all times. To ensure that

상술한 바와 같이, 실내외의 기온차이가 큰 여름철 오후나 밤, 또는 겨울철에는 실외의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를 에너지 교환수단을 통해 실외로 배출함으로써 에너지의 손실이 별로 없이 환기를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하절기나 동절기에 환기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ummer afternoon, night, or winter,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door and outdoor air is large, the outdoor air is purified and supplied to the interior, and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energy exchange means, so that there is little energy loss. In terms of being able to perform the function of the ventilation device in the summer or winter.

또한 봄가을이나 여름철의 이른 아침 등 실내외의 기온차이가 크지 않은 때에 실외의 공기를 클린룸 수준으로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킴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실내공기 배출구의 댐퍼를 닫아서 실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외부와 연통되는 창틈 및 문틈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게 하여 실내의 압력을 약한 양압으로 유지함으로써 실외의 정화되지 않은 공기가 창틈이나 문틈을 통해 실내로 침투되는 것을 예방하여 실내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indoors and outdoors is not large, such as early spring and summer mornings, the outdoor air is purified to the clean room level and the indoor air is discharged by closing the damper at the indoor air outlet to discharge the indoor air. To keep the indoor air clean 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into the room through the window gap or door gap by keeping the indoor pressure at a positive positive pressure through the window gap and the door gap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It will also have the effect.

또, 다중으로 구성된 필터부를 제공함으로서 유입되는 실외공기에 포함되는 오염물질을 거의 여과시켜 실내를 항상 쾌적하게 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지는 것이다. In addition, by providing a filter unit composed of multiple, it is also effective to filter the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outdoor air flowing in to make the room always comfortable.

또 본체부 내부에 장착되는 필터부의 둘레를 완전히 밀폐시킴으로써 오염된 실외공기가 여과되지 않고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이 우수한 실외공기 유입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t is also effective to provide a safe outdoor air inlet device that can prevent the contaminated outdoor air from flowing into the room without being filtered by completely sealing the periphery of the filter unit mounted inside the main body.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various obv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is descrip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claims described to include many such variations.

도 1은 본 고안의 실외공기유입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door air inle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외공기유입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실외공기만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outdoor air inle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outdoor air inflow state.

도 5는 도 1의 C-C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본체부1: main body

11 : 개방수단    11: opening means

111 : 개방부, 112 : 커버판, 113 : 고정고리, 114 : 고정클립,          111: opening part, 112: cover plate, 113: fixing ring, 114: fixing clip,

115 : 개스켓         115: gasket

2 : 에너지 교환수단2: energy exchange means

21 : 열교환기    21: heat exchanger

22 : 실외공기 통과유로    22: Passage of outdoor air

23 : 실내공기 통과유로    23: passage of indoor air

3 : 실외공기 유입수단3: Outdoor air inflow means

31 : 실외공기 유입구    31: outdoor air inlet

311 : 제거망         311: removal net

32 : 실외공기 유입통로    32: outdoor air inflow passage

321 : 안내덕트         321: Guide duct

33 : 필터부    33: filter unit

331 : 프리필터. 332 : 유해화합물 제거필터, 333 : 미세필터         331: prefilter. 332: filter for removing harmful compounds, 333: fine filter

34 : 실외공기 배출구    34: outdoor air outlet

35 : 실외공기 배출통로    35: outdoor air discharge passage

36 : 실외공기 공급팬    36: outdoor air supply fan

4 : 실내공기 배출수단4: indoor air discharge means

41 : 실내공기 유입구    41: indoor air inlet

411 : 배출공기 차단댐퍼, 412 : 구동모터411: damper block of exhaust air, 412: drive motor

42 : 실내공기 유입통로    42: indoor air inflow passage

421 : 안내덕트, 422 ; 보호필터         421: guide duct, 422; Protection filter

43 : 실내공기 배출구    43: indoor air outlet

431 : 제거망         431 Removal Net

44 : 실내공기 배출통로    44: indoor air discharge passage

45 : 실내공기 배출팬     45: indoor air exhaust fan

5 : 제어수단 5: control means

51 : 제어부    51: control unit

52 : 리모콘    52: remote control

10 : 구획벽10: partition wall

Claims (15)

내부 중간에는 전,후방으로 교차되게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가 통과되게 하는 실외공기 통과유로(22)와 실내공기 통과유로(22)가 포함되는 에너지 교환수단(2)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실외공기 통과유로(22)를 통해 실외공기를 정화하면서 실내로 강제 유입되게 하는 실외공기 유입수단(3)과 상기 실내공기 통과유로(4)를 통해 실내 공기를 실외로 강제 배출하는 실내공기 배출수단(4)을 포함하는 본체부(1)와; In the middle of the interior is provided with an energy exchange means (2) including an outdoor air passage passage 22 and an indoor air passage passage 22 through which the outdoor air and the indoor air pass through the front and the rear. Outdoor air inlet means (3) for purifying the outdoor air through the passage passage (22) and forced to flow into the room, and indoor air discharge means (4) for forcibly discharging indoor air through the indoor air passage passage (4). A main body portion 1 including); 상기 실외공기의 유입과 배출공기의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 유입장치.Air purifying combined outdoor air inl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inflow of the outdoor air and the discharge of the exhaust air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교환수단(2)은, 전,후방의 중간을 경계하는 열전도판(21)과 이 열전도판(21)의 전방에 구비되어 실외공기가 일측 상부에서 타측 하부로 경사지게 통과되게 하는 상기 실외공기 통과유로(22) 및 상기 열전도판(21)의 후방에 구비되어 실내공기가 타측 상부에서 일측 하부로 경사지게 통과되게 하는 상기 실내공기 통과유로(2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 유입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energy exchange means (2) is provided in front of the heat conduction plate 21 and the heat conduction plate 21 bordering the middle of the front and rear, so that the outdoor air is inclined from one upper part to the other lower part The outdoor air passing passage 22 and the heat conduction plate 21 to be passed through are provided in the indoor air passage passage 23 to allow the indoor air inclined to pass down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characterized in that Outdoor air inlet for combined air purifica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 유입수단(3)은, 본체부(1)의 일측에 실,내외 구획벽(10)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실외공기 유입구(31)와, 본체부(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31)와 상기 실외공기 통과유로(22)를 연결하고 중간에 필터부(33)가 구비된 실외공기 유입통로(32)와,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구비된 실외공기 배출구(34), 및 상기 본체부(1)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34)와 상기 실외공기 통과유로(22)를 연결하고 중간에 실외공기 공급팬(36)이 구비된 실외공기 배출통로(35)로 구성되고; According to claim 2, The outdoor air inlet means 3, the outdoor air inlet 3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through the inside and outside partition wall 10, the main body portion (1) I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door air inlet 31 and the outdoor air passage passage 22, the outdoor air inlet passage 32 and the filter unit 33 is provided in the middle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The outdoor air outlet 34,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1, are connected to the outdoor air outlet 34 and the outdoor air passage 22, and an outdoor air supply fan 36 is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composed of an outdoor air discharge passage 35 provided; 상기 실내공기 배출수단(4)은, 본체부(1)의 타측인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34)와 위치를 달리하여 구비된 실내공기 유입구(41)와, 본체부(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41)와 상기 실내공기 통과유로(23)를 연결하는 실내공기 유입통로(42)와, 상기 본체부(1)의 일측인 상기 실외공기 유입구(31)와 위치를 달리하면서 실,내외 구획벽(10)을 관통하게 구비되는 실내공기 배출구(43), 및 상기 본체부(1)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실내공기 배출구(43)와 상기 실내공기 통과유로(23)를 연결하고 중간에 실내공기 배출팬(45)이 구비된 실내공기 배출통로(4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 유입장치. The indoor air discharge means (4) is provided in the interior air inlet (41) provided in a different position from the outdoor air outlet (34), which is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The indoor air inlet passage (42) connecting the indoor air inlet (41) and the indoor air passage flow path (23), and the actual air while varying the position with the outdoor air inlet (31) that is one side of the main body (1) , The indoor air outlet 43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interior and exterior partition wall 10, and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 to connect the indoor air outlet 43 and the indoor air passage passage 23. And the air purification combined outdoor air inl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the indoor air discharge passage 44 is provided with an indoor air discharge fan 45 in the middl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 유입통로(32)는,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부드러운 흐름을 유도하여 압력손실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실외공기 유입구(31)에서 본체부(1)의 타측 내부로 안내덕트(321)를 통해 확장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outdoor air inlet passage 32,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 in the outdoor air inlet 31 to induce a smooth flow of the outdoor air flowing into the room to minimize the pressure loss The outdoor air inlet device for combined air pur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extended through the guide duct 321 to the insid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33)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lter unit 33, 상기 안내덕트(321)의 내측인 본체부(1)의 내부 타측을 전체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면적이 극대화 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 Air purifying combined outdoor air inl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rea is provided to maximize the area so as to completely block the other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 inside the guide duct (32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33)는,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lter unit 33, 황사, 알러지를 일으키는 꽃가루, 곰팡이 포자, 크기가 비교적 큰 박테리아 등 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프리필터(331), 새집증후군 등에서 문제가 되는 포름알데하이드 등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VOC)들을 제거할 수 있는 유해화합물 제거필터(332), 크기가 아주 작은 먼지,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을 제거하기 위한 미세필터(33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Harm that can remove various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such as formaldehyde, which is a problem in sick house syndrome, etc. Compound removal filter 332, the air purifier and outdoor air inle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fine filter 333 for removing very small dust, bacteria, viruses and the lik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유입통로(42)는, 실외로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부드러운 흐름을 유도하여 압력손실을 최소로 할 수 있도록 실내공기 유입구(31)에서 본체부(1)의 일측 내부로 안내덕트(421)를 통해 확장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 According to claim 3, The indoor air inflow passage 42, one side of the main body 1 in the indoor air inlet 31 so as to induce a smooth flow of indoor air flowing into the outdoor to minimize the pressure loss The outdoor air inlet device for combined air pur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extended through the guide duct (421) to the insid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덕트(421)의 내측인 실내공기 유입통로(42)에는, According to claim 7, The indoor air inflow passage 42 that is inside the guide duct 421, 상기 에너지 교환수단(2)이 먼지 등으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자의 크기가 큰 먼지의 유입을 방지하는 보호필터(422)가 면적이 극대화 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 In order to prevent the energy exchange means 2 from being contaminated with dust, a protective filter 422 for preventing the inflow of dust having a large particle size is provided to maximize the area.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41)의 내측에는, According to claim 3, Inside the indoor air inlet (41), 별도의 구동수단을 통해 실내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배출량을 조정하는 배출공기 차단댐퍼(411)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Outdoor air inlet device for combined air pur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charge air blocking damper (411) for adjusting the discharg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room through a separate drive means.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control means (5) 실외공기 공급팬(36)과 실내공기 배출팬(45)의 가동과 중지를 제어하며 배출공기 차단댐퍼(411)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어부(51)와, A control unit 51 for controlling the start and stop of the outdoor air supply fan 36 and the indoor air discharge fan 45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xhaust air shutoff damper 411; 상기 제어부(51)를 조정하는 리모콘(5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점화겸용 실외공기 유입장치. Outdoor air inlet device for combined air igni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emote control 52 for adjusting the control unit (5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portion 1, 내부를 용이하게 수리하거나 청소할 수 있도록 개방수단(11)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 The outdoor air inlet device for combined air pur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means (11) to easily repair or clean the interio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수단(11)은,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opening means 11, 상기 본체부(1)의 하판과 후방벽에 형성되어 있는 개방부(111)와, An open part 111 formed on the lower plate and the rear wall of the main body part 1, 상기 개방부(111)에 전방은 개방 가능하게 경접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후방은 고정고리(113)와 고정클립(114)을 통해 본체부(1)와 고정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커버판(112)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 The cover plate 112 which is connected to the opening part 111 through a hinge to be openable and the rear part of the opening part 111 is fixed to the main body part 1 through a fixing ring 113 and a fixing clip 114. Outdoor air inlet device for combined air pur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판(112)과 본체부(1)의 내측에는,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late 112 and the main body portion 1, 상기 에너지 교환수단(2)의 외측 둘레와 필터부(33)의 둘레에 밀착되어 에너지 교환수단(2)과 필터부(33) 및 보호필터(422)의 둘레에서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는 개스켓(115)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 A gasket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energy exchange means 2 and the periphery of the filter part 33 to prevent air from leaking around the energy exchange means 2, the filter part 33, and the protective filter 422 ( The outdoor air inlet device for combined air pur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115) is further provided.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 배출구(34)는,According to claim 3, The outdoor air outlet 34, 배출구(34)에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여러 실내 공간으로 공기를 분기시켜 배출하는 분기덕트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 Removable outlet 34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duct for outdoor air inle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ranch duct for discharging the air to the various indoor spac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기 유입구(41)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door air inlet (41), 배출구에 착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여러 실내 공간에서 공기를 동시에 유입받는 분기덕트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겸용 실외공기유입장치.The outdoor air inlet device for combined air pur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branch duct receiving air at the same time in a plurality of indoor space is detachable at the outlet.
KR20-2005-0009733U 2005-04-08 2005-04-08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KR20038774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733U KR200387748Y1 (en) 2005-04-08 2005-04-08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733U KR200387748Y1 (en) 2005-04-08 2005-04-08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625A Division KR20060106466A (en) 2005-04-08 2005-04-08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748Y1 true KR200387748Y1 (en) 2005-06-21

Family

ID=4368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733U KR200387748Y1 (en) 2005-04-08 2005-04-08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748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982B1 (en) 2009-12-28 2012-04-09 김미경 A filter integrated heat exchanger
KR101208349B1 (en) 2011-04-14 2012-12-05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Ventilation system
KR20190009585A (en) * 2017-07-19 2019-01-29 탑에어주식회사 Casing for ventilator and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having the sam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982B1 (en) 2009-12-28 2012-04-09 김미경 A filter integrated heat exchanger
KR101208349B1 (en) 2011-04-14 2012-12-05 주식회사 그렉스전자 Ventilation system
KR20190009585A (en) * 2017-07-19 2019-01-29 탑에어주식회사 Casing for ventilator and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having the same
KR101973530B1 (en) * 2017-07-19 2019-04-29 탑에어주식회사 Casing for ventilator and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065B1 (en) Ventilation System with Air Filter and Bypass Route, and Ventilating Method using such System
KR101860891B1 (en) Wall penetration type selectively clean air supply system
KR101860904B1 (en) Clean air supply device, support plate supportting the same and window farame installing the same
CN110529947B (en) Centralized fresh air treatment machine integrating ion waterfall purification and automatic cleaning functions
KR101973371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170003286A (en) Bus shelter wiht an air purification device
KR20170035481A (en) Air purification system for vehicle
KR102608622B1 (en) An air cleaning all-in-one that can control the inflow of outdoor air and indoor air to perform both ventilation function and air cleaning function
KR100587315B1 (en) ventilating system
KR102256209B1 (en) Appratus of purifying of indoor air
KR20200067691A (en) Air-changeable Ventilation Cleaner
CN213146846U (en) Ventilation unit temperature regulation system
KR200387748Y1 (en)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JP2018110689A (en) Cleaning/purification system connected through interchangeable ventilation joint
CN106091183A (en) Air cleaning system
KR20120094731A (en) Air cleaner
KR200407836Y1 (en) Air cleaning system using ventilation unit
EP3306218A1 (en) Air purifier
KR20060106466A (en)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KR102081188B1 (en) Window-frame-combined Ventilation Cleaner
CN204902110U (en) Ventilate and air purification device
KR102383783B1 (en) Energy saving air purification type ventilation system linked with weather information
KR20130016676A (en) Filter package for air cleaning
KR101765226B1 (en) Air purification apparatus for inflow air
KR200377288Y1 (en) Indoor air purific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