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6746Y1 - 움직이는 섀시 구성품이 있는 장난감 자동차 - Google Patents

움직이는 섀시 구성품이 있는 장난감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6746Y1
KR200386746Y1 KR20-2004-7000001U KR20047000001U KR200386746Y1 KR 200386746 Y1 KR200386746 Y1 KR 200386746Y1 KR 20047000001 U KR20047000001 U KR 20047000001U KR 200386746 Y1 KR200386746 Y1 KR 2003867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chassis portion
central
vehicl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7000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이클 존 린더스
제임스 마이클 페로
노아 루서 키스레비츠
앤독 루서 키스레비츠
애담 루서 키스레비츠
Original Assignee
더 오브,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오브, 엘엘씨 filed Critical 더 오브, 엘엘씨
Priority to KR20-2004-7000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67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67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67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5Other wheeled vehicles with moving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7/00Toy vehicles, e.g. with self-drive; ; Cranes, winches or the like; Accessories therefor
    • A63H17/26Details; Accessorie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제1 종단부(12) 및 대향하는 제2 종단부(14)를 가지며, 중앙 섀시부긔 제1 및 제2 측면(16, 18) 각각에 상기 중앙 섀시부와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측면 섀시부(40, 70)가 있는 중앙 섀시부를 포함하는 힌지고정된 3개의 섀시를 구비하는 장난감 자동차.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섀시부는 중앙 섀시부에 대하여 공통 평면상에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중앙부에 대해 바이어스된 스프링이 있고, 각각의 측면 섀시부에는 그 섀시부내의 양방향 구동 가능한 모터(46)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로드휠(42, 44)이 포함되어 있다.

Description

움직이는 섀시 구성품이 있는 장난감 자동차{Toy Vehicle with Movable Chassis Components}
본 고안은 바퀴가 있는 장난감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독특한 동작 특성을 갖는 원격 조정 장난감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원격 조종 자동차는 널리 알려져 있다. 알려진 장난감 자동차 중 한 종류로는 쉽게 뒤집어지고 주된 2개의 면 중 어느 쪽 면으로도 작동하도록 고안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429,543호에는 한쪽에 바퀴가 3개씩 달려 총 6개의 바퀴가 구비된 원격 조종 가능한 장난감 자동차가 개시되어 있다. 이 자동차는 중앙의 바퀴쌍 및 뒤쪽의 바퀴쌍에 의해 주로 지지되도록 동력학적으로 균형이 잡혀있다. 이 자동차는 중앙 바퀴쌍을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 자동차가 앞쪽으로 넘어지고 그 중앙 바퀴쌍에 의해서만 지지되도록 동력학적으로 균형이 잡혀있다. 또한, 미국 특허 제5,727,985호에는 벌룬 타이어(ballon tire)로 이루어진 두 개의 "앞쪽" 및 두 개의 "뒤쪽" 바퀴를 구비하는 섀시를 갖는 원격 조종 가능한 장난감 자동차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바퀴는 자동차의 외주면을 한정할 정도로 크다. 섀시는 그 외주면 내부에 배치된다. 자동차의 어느 부분도 타이어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타이어의 탄력으로 인하여 자동차는 다양한 텀블링 및 편향 동작이 가능하다. 국제특허공보 WO 00/07681 및 대응 미국 특허 제6,589,098호에는 유사한 자동차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자동차의 중앙 섀시부는 1개의 휠지지빔 또는 1쌍의 휠 지지빔에 장착되고 이 휠 지지빔은 중앙 섀시부의 측면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자동차의 주된 면에 대하여 수직인 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은 차량이 장애물을 만났을 때 이를 넘어갈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다양한 변형에도 불구하고, 장난감 제조업자들은 다양한 기능 및 새로운 동작 패턴을 제공하는 원격 조종이 가능한 장난감 자동차를 추구하고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요약된 설명과 이하에 기재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읽으면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에는 현재로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배열과 설치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난감 자동차의 제1 종단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첫번째 주된면이 위쪽을 향한 것을 나타내고 있고;
도 2는 제1 및 제2 측면 섀시부가 서로 평행하고 중앙 섀시부쪽으로 선회 가능하여 접근한 상태인 도 1의 장난감 자동차의 두번째 주된면의 상부 평면도;
도 3은 제1 및 제2 측면 섀시부가 서로 평행하고 중앙 섀시부쪽으로 선회 가능하여 접근한 상태인 도 1의 장난감 자동차의 첫번째 주된면의 상부 평면도;
도 4는 제1 (우측) 측면 섀시부가 중앙 섀시부로부터 선회하여 멀어진 상태의 도 1-3의 장난감 자동차의 첫번째 주된면의 상부 평면도;
도 5는 제2 (좌측) 측면 섀시부가 중앙 섀시부로부터 선회하여 멀어진 상태인 장난감 자동차의 첫번째 주된면의 상부 평면도;
도 6은 중앙 섀시부로부터 각각의 측면 섀시부로 연장되는 링크가 중앙 섀시부에서 선회가능하게 장착됨을 보여주는 장난감 자동차의 제1 종단부 및 첫번째 주된 면의 사시도;
도 7은 측면 섀시부 중 하나의 제2 종단부가 중앙 섀시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됨을 보여주는 장난감 자동차의 제2 종단부의 사시도;
도 7a는 중앙 섀시부에 대해 앞에서 도시된 측면섀시부를 바이어스시키는 토션 스프링을 보여주는 상세도; 그리고
도 8은 도 1의 장난감 자동차의 전기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블럭 다이어그램이다.
기본적으로, 본 고안은 장난감 자동차로서, 제1 종단부 및 대향하는 제2 종단부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이 있는 중앙 섀시부를 구비하는 힌지고정된 세 개의 섀시를 포함한다. 제1 측부 섀시부는 중앙 섀시부의 제1 측면상에 중앙 섀시부와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측부 섀시부는 중앙 섀시부의 제2 측면상에 중앙 섀시부와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및 제2 측부 섀시부는 중앙 섀시부에 대하여 공통 평면상에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다수개의 로드휠(road wheel)이 제1 섀시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다른 다수개의 로드휠은 제2 섀시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추가의 다른 특징이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측면 섀시부 각각은 자동차의 제2 종단부에서 중앙 섀시부에 직접 선회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 장난감 자동차는 한 쌍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각 링크는 중앙 섀시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자동차의 상기 제1 종단부에서 제1 및 제2 측부 섀시부 중 하나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측면 섀시부의 제1 종단부가 중앙 섀시부로부터 및 중앙 섀시부쪽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장난감 자동차는 각 링크 내에 별개 광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장난감 자동차는 중앙 섀시부에 대해 제1 및 제2 측면 섀시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이어스 되도록 위치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장난감 자동차는 자동차의 제2 종단부에 배치된 전력 공급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력공급기는 자동차의 제2 종단부에서 중앙 섀시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장난감 자동차는 제1 및 제2 측면 섀시부 각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휠의 외주 접지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다수개의 스트립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각 로드휠은 탄성이 있는 유연한 타이어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 스트립은 이 스트립을 수용하는 타이어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더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스트립은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로드휠의 회전축에 대하여 비영각(non-zero angle)을 한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 섀시부 각각에는 상기 측면 섀시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다수개의 로드휠 중 적어도 하나와 구동가능하게 결합된 전기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전기 모터 각각은 양방향으로 구동 가능할 수도 있으며, 모터를 포함하는 측면 섀시부상에서 회전 가능한 적어도 한 쌍의 로드휠과 구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장난감 자동차는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주요 외부면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다수개의 로드휠은 다수개의 로드휠 중 적어도 4개의 바퀴가 평면 지지면상에서 제1 및 제2 주요 외부면 중 어느 하나가 평면 지지면과 대면한 상태로 자동차의 주요한 제1 및 제2 주요 외부면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크기를 갖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그 의미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우측", "좌측", "상부" 및 "하부" 라는 단어들은 참조되는 도면상에서의 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내부" 및 "외부" 라는 단어들은 각각 장난감 자동차 또는 지정된 부품의 기학학적 중심을 향하는 방향 및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지칭한다. 위 용어에는 앞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된 단어, 그로부터 파생된 단어 및 유사한 뜻을 가진 단어들이 포함된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면, 대체로 참조번호 "10"으로 표기된 본 고안에 따른 장난감 자동차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10)에는 제1 종단부(12), 대향하는 제2 종단부(14), 제1 측면(16) 및 대향하는 제2 측면(18)이 있다. 자동차(10)에는 제1 주요 외측부(20)(도 1 및 3-5) 및 대향하는 제2 주요 외측부(22)(도 2에 가장 잘 나타나 있음)가 더 있다. 자동차(10)는 대체로 참조번호 "26"으로 표시된 힌지고정된 섀시에 의하여 특징지워진다. 힌지고정된 섀시(26)는 중앙 섀시부(30) 및 제1 및 제2 측면 섀시부(40,70)를 구비한다. 제1 측면 섀시부(40)는 자동차(10) 및 중앙 섀시부(30)의 제1 측면(16) 상에서 중앙 섀시부(30)와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 측면 섀시부(70)는 제1 측면 섀시부(40)와 면대칭이며 자동차(10) 및 중앙 섀시부(30)의 제2 측면(18)상에서 중앙 섀시부(30)와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복수개, 구체적으로, 2개의 로드휠(42,44)이 제1 섀시부(4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동일한 형태의 다른 복수개의 로드휠(42,44)은 제2 섀시부(7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 및 제2 측면 섀시부(40,70)는 중앙 섀시부와 결합되는 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평면과 평행이고 4개의 로드휠(42,44) 모두에 동시에 접하는 평면에 평행인 공통 평면상에서 중앙 섀시부(30)에 대해 선회할 수 있다. 자동차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다수개의 로드휠(42,44)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즉, 4개의 로드휠(42,44) 모두가 평평한 지지면 상에서 자동차의 제1 및 제2 주요 외측부(20,22) 중 어느 한쪽과 접축하여 이를 지지할 수 있어 평평한 지지면을 바라보는 제1 및 제2 주요 외측면(20,22)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도 자동차가 구동될 수 있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제1 및 제2 섀시부(40,70)가 면대칭이므로, 이하에는 제1 측면 섀시부(40)만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측면 섀시부(40)는 제1 측면 섀시부(40) 상의 제1 커버(50) 밑에 하우징된 양방향 구동 가능한 전기모터(46)를 구비한다. 자동차(10)의 제2 주요 외측부(22)상의 제2 커버(51)는 도 2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모터(46)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휠(예를 들어, "44")과 구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면 섀시부(40) 상에 지지되어 있는 로드휠(42,44) 각각과 결합되어 섀시부(40) 내부의 구동 트레인(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해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휠이 회전하도록 한다. 구동 트레인(도시되지 않음)은 다양한 공지된 구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트레인은 중앙 기어가 모터 피니언에 의해 직접 구동되는 스퍼 기어 트레인(spur gear train)일 수 있고, 중앙 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스퍼 기어(spur gear)일 수 있으며, 스퍼 기어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휠 기어(wheel gear)일 수 있는데, 기어 각각은 휠(42,44) 중 어느 하나 내에 회전이 않되게 수용된 스플라인 구동축(splined drive shaft)이 포함되어 있다. 휠 기어는 중앙 기어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측면 새시부(40)는 자동차의 제2 종단부(14)에서 중앙 섀시부(30)와 직접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측면 섀시부(40)의 제1 종단부(12)는, 중앙 및 제2 섀시부(30,70)와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안쪽 위치와 중앙 섀시부(30)를 통과하는 중앙 종축(28) 사이에서 자유롭게 선회된다. 제2 섀시부(70)의 바깥쪽 위치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바깥쪽 위치에서, 제2 측면 섀시부(70)는 중앙 종축(28)에 대해 약 40°내지 60°의 각도를 형성하며, 대략 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제1 측면 섀시부(40)도 가장 바깥쪽 위치로 선회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측면 섀시부(40)의 제1 종단부(12)는 제1 링크(54a)를 통해 중앙 섀시부(30)의 제1 종단부(12)와 결합된다. 링크(54a)는 중앙 섀시부(30)와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근단부를 구비하고, 자동차의 주요면을 가로지르는 축에 대해 선회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링크(54a)의 원단부에도 핀 또는 핀과 등가인 형태를 갖는 횡 가이드 부재(56)가 제공 되며, 이 횡 가이드 부재는 자동차(10)의 제2 주요 평면상에서 제1 측면 섀시부(40)의 내부 측면상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52)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슬롯을 따라 슬라이딩 된다.
도 7 및 7a는 자동차(10)의 제2 종단부(14)에서 상기 섀시부(30)와 제1 측면 섀시부(40)가 직접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제2 측면부(70) 장착은 거울상이다. 피봇 부재(62)(예를 들어, 핀)는 자동차(10)의 주요면과 직교하며, 중앙 섀시부(30)의 오버래핑 플렌지(30a, 30b) 및 제1 측면 섀시부(40)의 "40a", "40b"를 통해 연장된다. 토션 코일 스프링(64)은 피봇 부재(62) 주위에 위치한다. 이 스프링의 제1 탱(tang)(도시하지 않음)은 제1 측면 섀시부(40)의 플렌지와 맞물린다. 대향하는 제2 탱(도시하지 않음)은 중앙 섀시부(30)의 플렌지 부재와 유사하게 맞물린다. 토션 코일 스프링(64)은 중앙 섀시부(30)의 안쪽 방향, 즉, 도 2 및 도 3에서의 안쪽 위치로 제1 측면 섀시부(40)를 바이어스 시키도록 위치한다. 그러나, 스프링(64)의 바이어스는 자동차(10)가 동작하는 동안 없을 수 있는데, 이로서 측면 섀시부(40,7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중앙 섀시부(30)로부터 바깥쪽으로 선회된다. 거울상의 링크(54b)(도 4)는 제2 섀시부(70)의 제1 종단부(12)와 중앙 섀시부(30)를 동일하게 결합시킨다.
도면상에서 나타나 있는 다른 요소들로는, 중앙 섀시부(30)의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주요외측부(20,22) 상의 제1 및 제2 보디 커버(31, 32) 및 제2 주요외측부(22)상의 온/오프 스위치(34)가 있다. 탄성있는, 거울상 펜더(fender)(41, 71)는 각각의 섀시부(40,70)의 제1 단부(12)에 선택적으로 제공되며, 휠(42)을 부분적으로 감싼다. 도 7에 도시된 전력 공급기(38)는 재충전 가능한 배터리 형태가 적절하고, 바람직하게는, 중앙 섀시부(30)의 단부상에서 자동차(10)의 제2 종단부(14) 최외곽에 위치하여 자동차(10)가 특정 스턴트 동작을 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자동차(10)의 중력 중심을 자동차의 제2 종단부(14) 쪽으로 가깝게 이동되도록 한다.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각각의 측면 섀시부(40, 70)에는 섀시부(40,70)의 제1 종단부(14)에 폴리머 플라스틱 투명 커버(60)가 구비되고, 이들 각각은 고휘도 발광 다이오드(LED)(36)(도 1 참조)를 덮고 있다. 또한, 적절하게는 링크(54) 각각은 투명한 폴리머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며, 또한 도 1 및 도 4-6에 표기된 위치에 고휘도 LED(36)을 포함한다.
자동차(10)의 순회 운동 제어는 통상적이다. 특히 도 8을 참고하면, 자동차는, 바람직하게는 중앙 섀시부(30)에 제어 회로(10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제어 회로는 무선 신호 수신기(102), 사전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104) 및 모터 제어 회로(106, 106')를 구비하고, 이들의 동작은 조작 제어 신호를 수신 및 발신하는 원격 제어 유닛(112)으로부터 수신기(102)에 의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4)에 의해 제어된다. 무선 주파수(RF)가 적절하지만, 광(예를 들어, IR) 또는 음파(예를 들어, 초음파) 제어도 가능하다. 자동차(10)는 모터(46,46') 각각을 제어하여 복수개의 로드휠(42,44)이 동일한 속도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앞으로 나가게 하고, 각 모터를 제어하여 측면 섀시부(40, 70) 중 어느 하나의 측면(16,18) 상의 휠들을 서로 다른 방향 또는 서로 다른 속도 또는 서로 다른 방향과 다른 속도가 되도록 구동함으로써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대향하는 측면(16,18)상의 휠(42,44)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자동차(10)는 제자리에서 회전할 수 있다. 원심력에 의해, 각 측면 섀시부(40, 70)의 자유 종단부가 자동차(10)의 제1 종단부(12)에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벌어지게 된다. 측면 섀시부(40, 70)의 펼쳐진 부분은 자동차(10)의 중력 방향을 상기 제2 종단부(14)쪽으로 더 이동하게 만들어, 만약 자동차(10)가 제자리에서 계속 회전한다면, 제1 종단부(12)는 상승하고 수직으로 선 상태에서 제2 종단부(14)에 대해 회전할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런 동작이 진행되는 동안, 자동차(10)는 제2 종단부(14)에서 자신의 로드휠(44)의 코너 및 측벽으로 지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이 계속 진행되는 동안, LED(36)는 빛이 고리 모양으로 보이는 특이한 현상을 만들어 내는데, 이 효과는 어두운 환경에서 보다 극적이다.
자동차(10)가 수행하는 다른 특이한 조작은 힌지고정된 섀시(26)가 펼쳐지도록 서로 다른 통제 특성(gripping characteristics)을 가진 휠(42 및 44)을 준비하여 자동차를 살짝 방향을 바꾸게 하고 회전시키는 것(slip turns and spin outs)이다. 적절하게는, 상기 휠(42, 44) 각각에는 타이어(420 또는 440)가 포함되어 있는데, 동일한 플라스틱 허브(hub)상에 있는 것이 적절하며, 상기 기어 트레인의 최외곽 기어로부터 돌출된 키로 고정된 구동축(keyed drive shaft)을 수용하여 휠(42, 44)을 구동시킨다. 적절하게는, "앞쪽" 타이어(420)는 반-공압식(semi-pneumatic) 타이어로서 속이 비어 있고 대기중에 개방되어 있으며 탄성이 있고 유연하여, 물체와 부딪쳤을 때 쉽게 눌리고 다시 원래 모양으로 탄성적으로 되돌아 갈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섀시부(40,70)의 제1 종단부("자유" 단부)에 제공되는 타이어(420)에는 "422"로 표기되고 점선으로 도시된 다수개의 "슬립 스트립"이 구비될 수 있다. 이 스트립(422)은 사용자가 원하면 각각의 타이어(4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적절하며, 타이어(420, 440)를 형성하는 재료(예를 들어, 고무, 크라톤 또는 PVC)보다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예를 들어, 나일론)로 만드는 것이 적절하다. 가능한 한 예로는 트레드의 측면 단부(즉, 측벽 또는 거의 측벽쪽)에 타이어(420)내에 다수개의 구멍쌍 또는 슬릿쌍을 만들어 각각의 슬립 스트립(422)의 대향 단부를 수용하도록 한다. 구멍/슬릿은 스트립을 마찰력으로 움켜쥘 수 있는 크기일 수 있으며 스트립은 구멍 또는 슬릿의 측면을 움켜쥐기에 충분한 탄성을 가진다. 다른 탈착 가능한 구성들도 사용될 수 있다. 스트립(422)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어 사용자가 장착된 스트립의 수를 변경하고 다양한 자동차 성능을 위해 앞쪽 휠(42)의 상대적인 통제 능력을 변경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적절하게는 스트립(422)은 타이어(420)에 장착되어 있어서 스트립(422)의 길이방향 축(422a)이 휠(42) 각각의 회전축(42c)에 직교하는 각(410)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은, 측면 섀시부(40,70)가 바깥쪽으로 배치된 상태로 자동차(10)가 회전하는 경우, 스트립(422)이 자동차의 회전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정열되도록 한다. "뒤쪽" 휠(44)의 타이어(44) 역시 탄성적으로 유연하며 완전 공압식이고 팽창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시일되어 자동차(10)가 그 단부(14)로 서있는 것을 지원하고 그 위치에서 도우넛 형태를 유지하도록 충분히 견고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는 자동차(10)가 단부(14)로 지지된 상태에서 휠(44)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그러나, 적절히 설계되고 기능이 조금 떨어져도 괜찮다면, 반-공압식 타이어(440)를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완전 공압식 뒤쪽 타이어(440)의 탄성을 조금 더 크게 하는 것은 뒤쪽 단부(14)에서의 측면 섀시부(40,70)의 분리시 소리가 나게 한다. 원한다면, 상기 앞쪽 및 뒤쪽 타이어(420,440)를 서로 다른 마찰계수를 갖는 서로 다른 재료로 만들어 슬립 스트립(422)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앞쪽" 타이어(420)의 슬립을 일으킬 수 있다.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그 고안의 걔념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설명된 특정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3)

  1. 제1 종단부(12) 및 대향하는 제2 종단부(14)를 가지며,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측면(16,18)를 갖는 중앙 섀시부, 상기 중앙 섀시부의 제1 측면상에 상기 중앙 섀시부와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측부 섀시부(40), 및 상기 중앙 섀시부의 제2 측면상에 상기 중앙 섀시부와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측부 섀시부(70)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섀시부는 상기 중앙 섀시부에 대하여 공통 평면상에서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힌지고정되는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 섀시(26);
    상기 제1 섀시부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다수개의 로드휠(road wheel); 및
    상기 제2 섀시부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다른 다수개의 로드휠을 포함하는 장난감 자동차(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 섀시부 각각은 자동차의 상기 제2 종단부에서 상기 중앙 섀시부에 직접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3.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링크(54a, 54b)를 더 포함하며, 각 링크는 상기 중앙 섀시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자동차의 상기 제1 종단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섀시부 중 하나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되어 각 측부 섀시부의 제1 종단부가 상기 중앙 섀시부로부터 및 상기 중앙 섀시부쪽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 내에 별개의 광원(36)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섀시부에 대해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섀시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바이어스 되도록 위치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부재(6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6. 제5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제2 종단부에 배치되는 전력 공급기(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7. 제1항에 있어서,
    자동차의 제2 종단부에서 상기 중앙 섀시부에 장착되는 전력 공급기(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섀시부 각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휠(42a, 42b)의 외주 접지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다수개의 스트립(4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9. 제8항에 있어서,
    각 로드휠(42, 44)은 탄성이 있는 유연한 타이어를 구비하며, 각 스트립은 이 스트립을 수용하는 상기 타이어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더 낮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로드휠의 회전축(42c)에 대하여 비영각(410)(non-zero angle)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부 섀시부 각각에는 이 측부 섀시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기 다수개의 로드휠(42, 44) 중 적어도 하나와 구동가능하게 결합된 전기 모터(46)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모터 각각은 양방향으로 구동 가능되며, 이 모터를 포함하는 측부 섀시부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로드휠과 구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13.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 주요 외측부(20, 22)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개의 로드휠(42, 44)은 이 다수개의 로드휠 중 적어도 4개의 바퀴가 평면 지지면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주요 외측부 중 어느 하나가 평면 지지면과 대면한 상태로 자동차의 상기 제1 및 제2 주요 외측부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고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난감 자동차.
KR20-2004-7000001U 2002-11-01 2003-10-30 움직이는 섀시 구성품이 있는 장난감 자동차 KR2003867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7000001U KR200386746Y1 (ko) 2002-11-01 2003-10-30 움직이는 섀시 구성품이 있는 장난감 자동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423,183 2002-11-01
KR20-2004-7000001U KR200386746Y1 (ko) 2002-11-01 2003-10-30 움직이는 섀시 구성품이 있는 장난감 자동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6746Y1 true KR200386746Y1 (ko) 2005-06-16

Family

ID=43688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7000001U KR200386746Y1 (ko) 2002-11-01 2003-10-30 움직이는 섀시 구성품이 있는 장난감 자동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67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9894A3 (en) * 2008-08-15 2010-05-06 Rehco, Llc Vehicle with controlled motorized movement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19894A3 (en) * 2008-08-15 2010-05-06 Rehco, Llc Vehicle with controlled motorized movements
US7927174B2 (en) 2008-08-15 2011-04-19 Rehco, Llc Vehicle with controlled motorized movements
CN102264442A (zh) * 2008-08-15 2011-11-30 雷科有限责任公司 具有受控的机动化移动的车
CN102264442B (zh) * 2008-08-15 2014-11-12 雷科有限责任公司 具有受控的机动化移动的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6581B2 (en) Toy vehicle with movable chassis components
US5667420A (en) Rotating vehicle toy
US5228880A (en) Climbing vehicle
US6589098B2 (en) Toy vehicle with pivotally mounted side wheels
KR200318779Y1 (ko) 3개 휘일의 무선 제어 장난감 묘기 차량
CA2493139C (en) Screw drive vehicle
US5803790A (en) Toy vehicle with selectively positionable wing
US7234992B2 (en) Remotely controlled toy vehicles with light(s)
JPH05245270A (ja) 無線操縦無限軌道式玩具乗物
US4695266A (en) Steerable electric toy car
US7033241B2 (en) Toy vehicle
KR200386746Y1 (ko) 움직이는 섀시 구성품이 있는 장난감 자동차
JPH0671056A (ja) 車両玩具の駆動装置
US20230118786A1 (en) Toy vehicle suspension and wheels
JP2516376Y2 (ja) 走行玩具
JP3704403B2 (ja) ジャンプ機構を備えた無線操縦自動車玩具
CN2810700Y (zh) 带有活动底盘构件的玩具车
US20030226696A1 (en) Non-slip clutch assembly for remote control vehicle
JPH05319327A (ja) 走行装置
WO2004041383A2 (en) Improved remotely controlled toy vehicles with light(s)
MXPA02005753A (es) Ensamble del embrague antideslizante para juguetes motorizados.
CA1093820A (en) Toy vehicle and toy vehicle game
JPH0226556Y2 (ko)
KR200386747Y1 (ko) 장난감 자동차
MXPA06005303A (en) Toy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3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