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722Y1 - 삭도용 윈치 - Google Patents

삭도용 윈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722Y1
KR200379722Y1 KR20-2004-0036234U KR20040036234U KR200379722Y1 KR 200379722 Y1 KR200379722 Y1 KR 200379722Y1 KR 20040036234 U KR20040036234 U KR 20040036234U KR 200379722 Y1 KR200379722 Y1 KR 2003797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wing cable
sprocket
winch
winding drum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2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권
복기용
Original Assignee
동부건설 주식회사
(주) 통일전력
복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건설 주식회사, (주) 통일전력, 복기용 filed Critical 동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62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7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7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7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02Driving gear
    • B66D1/14Power transmissions between power sources and drums or barrels
    • B66D1/20Chain, belt, or friction drives, e.g. incorporating sheaves of fixed or variable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1Winches, capstans or pivots
    • B66D2700/0183Details, e.g. winch drums, cooling, bearings, mounting, base structures, cable guiding or attachment of the cable to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삭도용 윈치에 관한 것으로, 권취장치를 윈치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하여 두개의 예인케이블을 동시에 끌어당기거나 풀어주어 두대의 캐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 운반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킨 삭도용 윈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원동기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원동기 후방의 동력전달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출력축이 마련된 윈치에 권취장치를 대칭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출력축의 일측 끝단에 연결 설치되어 일방으로는 회전되나 역회전은 못하도록 제동하는 래칫과, 상기 래칫 중심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축과, 상기 연장축의 끝단에 연장설치되는 제1스프로킷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설치되면서 예인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끝단에 연결설치되는 제2스프로킷과, 상기 제2스프로킷의 연장축의 끝단에 형성되는 제3스프로킷과, 상기 연장축의 제1스프로킷과 권취드럼의 제2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제1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삭도용 윈치{Rope way winch}
본 고안은 삭도용 윈치에 관한 것으로, 권취장치를 윈치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하여 두개의 예인케이블을 동시에 끌어당기거나 풀어주어 두대의 캐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물 운반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킨 삭도용 윈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삭도(Pope way)는 2지점간의 공중에 매달린 로프나 레일 등에 운반기구를 설치하고 그 운반기구를 와이어로프로 당겨서 사람이나 화물을 이동시키는 설비이다.
삭도는 광석 또는 화물 운반용, 여행객의 운송용 등 산간지방과 같이 2지점간에 경사도가 큰 지역에서 화물이나 승객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삭도는 산악지대나 산등성이와 같은 고도가 높은 지역에 설치되어 고지대의 송전선 건설에 사용되는 화물을 저지대로부터 고지대로 운반하게 되는데 이때 삭도에 설치된 캐리지가 삭도를 따라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동하는 장치가 윈치이다.
이러한 종래의 윈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을 발생시키는 원동기(110)와; 상기 원동기(11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변속시키는 변속기(120)와; 동력전달축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140)와; 상기 감속기(140)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예인케이블(105)을 감거나 풀어주는 드럼장치(150)와; 상기 드럼장치(150)와 일체로 형성되는 와이어드럼(154)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럼밴드 제동장치(160)와; 상기 감속기(140)와 축설된 출력축(151)과; 상기 출력축(151) 전방에 설치되는 회전축(15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종래의 윈치의 작동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지대의 송전선을 지지해 주는 송전탑 등을 건설하기 위하여 화물들이 운반되어 적재되어 있는 저지대의 지상에 하부 주기둥(101)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주기둥(101)에 주삭(106)이 지지되고, 그 주삭(106)은 주삭 텐션장치(102)에 의해 텐션이 유지된다.
상기 주삭 텐션장치(102)는 지반내 매설된 파이프 앵커(103)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 고정되는데, 파이프 앵커(103)는 지반내에 통나무 또는 콘크리트 등을 매립하고 거기에 로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고정 설치된다.
송전선 건설용 화물이 운반될 고지대에는 상부 주기둥(107)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주삭(106)이 상기 상부 주기둥(107)에 지지되어 지반내 매설된 파이프 앵커(109)에 고정된다.
이렇게 저지대와 고지대 사이에 주삭(106)이 설치된 상태에서 주삭(106)에 캐리지(104)가 설치되어, 이 캐리지(104)는 예인케이블(105)에 의해 주삭(106)을 따라 고지대와 저지대 사이를 왕복하며 화물을 운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예인케이블(105)은 고지대에 설치된 윈치(108)에 감기거나 풀려서 캐리지(104)를 끌어당기거나 풀어주거나 함으로써 상기 캐리지(104)가 저지대와 고지대 사이를 왕복하면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윈치는 캐리지 이동이 단선의 예인케이블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윈치를 상부 주기둥 부근에 설치하여 캐리지를 하부로부터 상부로 끌어올리는 것은 가능하나, 윈치를 하부 주기둥 부근에 설치하여 캐리지를 하부로부터 상부로 끌어올리는 것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윈치의 설치시 윈치의 이동이 가능한 하부 주둥이 설치된 산 아래의 도로 주변에는 설치가 불가능하고 이동이 불가능한 상부 주기둥이 설치된 산 정상 부근에 설치됨에 따라 윈치를 산 정상까지 운반해야 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산 정상에 설치되는 윈치는 예인케인블이 감기는 드럼의 분리가 불가능하고 설치 장소상 윈치 자체의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만일 작업장소가 여러 곳일 경우 상부 주기둥을 작업장소 마다 각각 설치하고 윈치 또한 상부 주기둥이 설치된 장소마다 한 대씩 설치되어야 함으로 작업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와이어드럼을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하여 두개의 예인케이블을 끌어당기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두대의 캐리지를 상, 하부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는 작업효율이 대폭 향상된 삭도용 윈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양측의 권취드럼을 거쳐 예인케이블이 권취되는 릴와인더를 동력전달부의 후방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필요시 예인케이블이 귄취된 릴와인더를 분리하여 윈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 삭도용 윈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원동기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원동기 후방의 동력전달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출력축이 마련된 윈치에 권취장치를 대칭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출력축의 일측 끝단에 연결 설치되어 일방으로는 회전되나 역회전은 못하도록 제동하는 래칫과, 상기 래칫 중심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축과, 상기 연장축의 끝단에 연장설치되는 제1스프로킷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설치되면서 예인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끝단에 연결설치되는 제2스프로킷과, 상기 제2스프로킷의 연장축의 끝단에 형성되는 제3스프로킷과, 상기 연장축의 제1스프로킷과 권취드럼의 제2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제1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권취드럼에 예인케이블을 귄취함에 있어서, 일측 권취드럼에는 예인케이블이 하측으로 감기게 하고, 대향되는 타측 귄취드럼에는 예인케이블이 상측으로 감기도록 함으로써, 일측 귄취드럼은 예인케이블을 끌어당기고 타측 귄취드럼은 예인케이블을 풀어주어 두대의 캐리지가 상,하로 동시에 이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권취드럼의 전방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되는 지지대 상의 브래킷에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리드 스크루와, 상기 리드 스크루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3스프로킷과 제2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제4스프로킷과, 상기 리드 스크루의 나사부를 따라 정역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시 및 상기 이동부시의 하부로 고정설치되는 상,하판 사이에 예인케이블의 통과 공간을 두고 대향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지는 이동뭉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예인케이블 텐션장치를 설치하여 예인케이블이 권취드럼에 정렬권취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3,4스프로킷의 사이에는, 상기 제3,4스프로킷과 더불어 제2체인에 의해 연결되면서 상기 제2체인을 하향으로 당겨 제2체인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5스프로킷이 지지대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대향설치되는 권취드럼 전방으로 예인케이블 텐션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예인케이블이 하측으로 감기는 권취드럼의 전방에는 예인케이블의 권취 높이에 맞추어 예인케이블 텐션장치를 낮게 설치하고, 예인케이블이 상측으로 감기는 권취드럼의 전방에는 예인케이블의 권취 높이에 맞추어 상대적으로 예인케이블 텐션장치가 높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동력전달부의 후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설치되는 지지바의 선단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결합 되거나, 상기 힌지축에서 분리되는 릴와인더를 설치하여 권치드럼을 거친 예인케인블을 이어받아 권취하거나, 예인케이블의 귄취가 완료되면 릴와인더를 분리하여 윈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예인케이블 텐션장치의 발췌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원동기(10)기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축(13)과, 상기 원동기(10) 후방의 동력전달부(11) 양측으로 형성되는 출력축(12)으로 구성되는 윈치(8)에 있어서, 윈치(8) 양측으로 권취장치(20)가 대칭설치 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권취장치(20)는, 윈치(8)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출력축(12)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래칫(24)과, 상기 래칫(24)의 중심으로부터 연장 설치되는 연장축(25)과, 상기 연장축(25)의 끝단에 연결 설치되는 제1스프로킷(21)과, 상기 회전축(13)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권취드럼(26)과, 상기 귄취드럼(26)의 끝단에 형성되는 제2스프로킷(22)과, 상기 연장축(25)의 제1스프로킷(21)과 제2스프로킷(22)을 연결하는 제1체인(27)으로 구성된다.
상기 래칫(24)은, 출력축(12)과 연결설치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서 끝단에는 연장축(25)이 형성되며, 이 연장축(25)은 래칫(24)으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출력축(12)의 회전력을 제1스프로킷(21)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스프로킷(21)은, 체인 전동(傳動)에서 체인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이가 새겨져 있는 바퀴로서, 상기 연장축(25)의 끝단에 형성되어 제1체인(27)에 의해 전방의 제2스프로킷(22)과 연결되어 출력축(12)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제2스프로킷(22)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권취드럼(26)은, 회전축(1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인케이블(5)을 감거나 풀어 캐리지(4)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끝단에는 제2스프로킷(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스프로킷(22)은, 권취드럼(26)과 연결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스프로킷(21)과 제1체인(27)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권취장치(20)는, 윈치(8)의 양측 즉, 좌우로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일측에 설치된 권취장치(20)는 예인케이블(5)을 당기고 타측에 설치된 권취장치(20)는 상대적으로 예인케이블(5)을 풀어주어 두대의 캐리지(4)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일측 권취장치(20)의 권취드럼(26)에는 예인케이블(5)이 권취드럼(26)의 상측으로 권취되고 이와 대칭되는 타측 권취장치(20)의 권취드럼(26)에는 예인케이블(5)이 권취드럼(26)의 하측으로 권취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양측의 권취드럼(26)이 동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일측 권취드럼(26)의 예인케이블(5)은 감기게되고 타측의 권취드럼(26)의 예인케이블(5)은 풀어지게 되므로 두대의 캐리지(4)가 동시에 하나는 하강하고, 하나는 상승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권취드럼(26) 전방에는 예인케이블 텐션장치(50)가 설치된다.
이 예인케이블 텐션장치(50)는, 권취드럼(26)의 전방에 설치되어 권취드럼(26)에 순서대로 정확히 예인케이블(5)의 권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예인케이블 텐션장치(50) 구성은, 상기 권취드럼(26) 전방에 설치되는 지지대(40)의 브래킷(41)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리드 스크루(52)와, 상기 리드 스크루(52)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권취드럼(26)의 제2스프로킷(22) 끝단에 형성되는 제3스프로킷(23)과 제2체인(71)에 의해 연결되는 제4스프로킷(51)과, 상기 리드 스크루(52)의 나사부를 따라 정역으로 이동되는 이동뭉치(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드 스크루(52)는, 이송봉으로서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설치되는 지지대(40)의 브래킷(41)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드 스크루(52)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나사부는 이동뭉치(60)를 정역방향으로 번갈아 이동되게 하여 예인케이블(5)이 권취드럼(26)에 정렬권취 되도록 한다.
상기 제4스프로킷(51)은, 상기 리드 스크루(52)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권취드럼(26)에 형성된 제2스프로킷(22) 끝단의 축에 축설되는 제3스프로킷(23)과 제2체인(71)에 의해 연결되어 리드 스크루(52)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이동뭉치(60)는, 상기 리드 스크루(52)의 나사부를 따라 정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서, 이의 구성은 상기 리드 스크루(52)에 끼움 결합되어 리드 스크루(52)의 나사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시(61)와, 상기 이동부시(61)의 하부에 고정되는 상,하판(62) 사이에 예인케이블(5)이 통과할 수 있는 사이공간을 두고 대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롤러(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부시(61)는, 리드 스크루(52)의 회전시 리드 스크루(52)의 나사부를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되다가 나사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다시 역방향으로 이동되고, 다시 나사부가 끝나는 지점에서 정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을 연속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물론, 상기 이동부시(61)의 내측에는 리드 스크루(52)의 사나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리드 스크루(52)의 사나부에 부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63)는, 상기 이동부시(61) 하측으로 고정설치되는 상,하판(62)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예인케이블(5)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간격으로 두고 대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일측 권취드럼(26)에는 예인케이블(5)이 권취드럼(26)의 상측으로 권취되고 이와 대칭되는 타측 권취드럼(26)에는 예인케이블(5)이 권취장치(20)의 하측으로 권취되어 있기 때문에, 양측으로 설치되는 예인케이블 텐션장치(50)의 설치높이를 달리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인케이블(5)이 상측으로 권취된 권취드럼(26)의 전방에 설치되는 예인케이블 텐션장치(50)는, 예인케이블(5)과 수평을 이루도록 높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인케이블(5)이 하측으로 권취된 권취드럼(26)의 전방에 설치되는 예인케이블 텐션장치(50)는, 예인케이블(5)과 수평을 이루도록 낮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4스프로킷(23,51) 사이에는 지지대(4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는 제5스프로킷(70)이 설치된다.
이 제5스프로킷(70)은 제3,4스프로킷(23,51)과 함께 제2체인(71)과 연결되어 제2체인(71)을 하측으로 당겨서 제2체인(71)의 처짐을 방지하여 항상 제2체인(71)이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동력전달부(11)의 후방에는 힌지축(32)이 구비된 지지바(31)에 탈부착이 가능한 릴와인더(30)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지지바(31)의 선단에는 힌지축(32)이 결합되는데 이 힌지축(32)은 릴와인더(30)의 중심과 결합되어 릴와인더(30)를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한편, 필요시 분리되어 릴와인더(30)를 지지바(31)에서 때 낼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부(11) 후방에 릴와인더(30)가 설치될 경우에는 예인케이블(8)이 권취드럼(26)에 바로 귄취되지 않고 권취드럼(26)을 거쳐 최종 릴와인더(80)에 권취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권취장치(20)를 윈치(8)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하여 양측의 권취드럼(26)의해 두개의 예인케이블(5)을 끌어당기거나 풀어줌으로써, 두대의 캐리지(4)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윈치(8)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윈치(8)는 설치장소에 있어서, 종래의 윈치가 이동이 불가능한 고지대인 상부 주기둥(6) 부근에 설치되는 것과는 달리, 이동이 가능한 하부 주기둥(1) 부근의 저지대에 설치되며 두대의 캐리지(4)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윈치(8)는 고지대인 상부 주기둥(6) 부근에 설치되어 이동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고안의 윈치(8)는 하부 주기둥(1) 부근인 도로 주변에 설치되므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작업이 가능하며, 권취장치(20)가 윈치(8)의 양측으로 설치되므로 두대의 캐리지(4)를 동시에 이동시켜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다.
상기 권취장치(20)의 작동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력이 출력축(12)에 전달되면 상기 출력축(12)이 회전되고, 이 회전력은 래칫(24)을 거쳐 연장축(25)에 전달되고 상기 연장축(25)에 전달된 회전력은 제1스프로킷(21)에 전달된다.
이때, 제1스프로킷(21)은 제2스프로킷(22)과 제1체인(27)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력이 제2스프로킷(22)에 전달되며, 제2스프로킷(22)이 회전됨에 따라 권취드럼(26)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권취드럼(26)의 회전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26)에 연결된 예인케이블(5)이 감기거나 풀리게되어 캐리지(4)가 작동된다.
여기서, 상기 예인케이블(5)은 윈치(8)의 좌우 양측으로 설치된 권취드럼(26)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즉 일측 권취드럼(26)에는 예인케이블(5)이 하부측으로 귄취되고 타측 권취드럼(26)에는 예인케이블(5)이 상측으로 귄취되어 있어, 양측의 권취드럼(26)이 동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일측 권취드럼(26)에 연결된 예인케이블(5)은 당겨지고 타측 권취드럼(26)에 연결된 예인케이블(5)은 풀어지게 된다.
따라서, 좌우측으로 설치된 두대의 캐리지(4) 중 한대는 주삭(6)을 따라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상향으로 이동되면서 화물을 운반하게 되고, 다른 한대는 주삭(6)을 따라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하향 이동되어 두대의 캐리지(4)가 동시에 작동되기 때문에 화물운반 작업의 효율성이 배가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드럼(26)의 전방에는 예인케이블 텐션장치(50)가 설치되어 있어 예인케이블(5)이 권취드럼(26)에 정렬권취가 이루어진다.
즉, 권취드럼(26)이 회전하면 제3스프로킷(23)이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제3스프로킷(23)과 제2체인(71)에 의해 연결된 제4스프로킷(51)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체인(71)은 제5스프로킷(70)에 의해 하향으로 당겨지기 때문에 제2체인(71)은 항상 팽팽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제4스프로킷(51)과 연결된 리드 스크루(52)의 회전에 의해 이동뭉치(60)의 이동부시(61)가 리드 스크루(52)의 나사부를 따라 정역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하부의 상,하판(62) 사이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63) 또한 이동부시(61)를 따라 이동되고 가이드롤러(63) 사이를 통과하는 예인케이블(5)이 정역으로 연속 반복적으로 이동되면서 권취드럼(26)에 감기기 때문에 정렬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6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11) 후방에 탈부착이 가능한 릴와인더(30)를 설치함으로써 예인케이블(5)이 릴와인더(30)에 권취되게 한 것이다.
즉, 상기 예인케이블(5)을 권취드럼(26)에 바로 귄취하는 것이 아니라 권취드럼(26)을 거쳐서 릴와인더(30)에 권취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릴와인더(30)에 예인케이블(5)을 권취할 경우 화물 이송작업이 완료되면 지지바(31)에서 릴와인더(30)를 분리한 후 윈치(8)를 다른 하부 주기둥(1)이 설치된 작업장소로 이동하여 새로운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같이 주기둥 마다 한대의 윈치가 필요치 않고 한대의 윈치만으로도 화물운반 작업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어 화물운반에 소요되는 작업경비를 대폭 절감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권취장치를 윈치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하여 두대의 캐리지를 동시에 이동시킴으로써, 화물 이송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양측의 권취드럼을 거쳐 예인케이블이 권취되는 릴와인더를 동력전달부의 후방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필요시 예인케이블의 귄취가 완료된 릴와인더를 분리하여 윈치를 새로운 작업장소로 이동시 킬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윈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윈치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예인케이블 텐션장치의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하부 주기둥 2:텐션장치 3:앵커
4:캐리지 5:예인케이블 6:상부 주기둥
8:윈치 9:앵커 10:원동기
11:동력전달부 12:출력축 13:회전축
20:권치장치 21:제1스프로킷 22:제2스프로킷
23:제3스프로킷 24:래칫 25:연장축
26:권취드럼 27:제1체인 30:릴와인더
31:지지바 32:힌지축 40:지지대
41:브래킷 50:예인케블 텐션장치 51:제4스프로킷
52:리드 스크루 60:이동뭉치 61:이동부시
62:상,하판 63:가이드롤러 70:제5스프로킷
71:제2체인

Claims (6)

  1. 원동기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원동기 후방의 동력전달부 양측으로 형성되는 출력축이 마련된 윈치에 권취장치를 대칭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출력축의 일측 끝단에 연결 설치되어 일방으로는 회전되나 역회전은 못하도록 제동하는 래칫과, 상기 래칫 중심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연장축과, 상기 연장축의 끝단에 연장설치되는 제1스프로킷과, 상기 회전축과 연결설치되면서 예인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드럼과, 상기 권취드럼의 끝단에 연결설치되는 제2스프로킷과, 상기 제2스프로킷의 연장축의 끝단에 형성되는 제3스프로킷과, 상기 연장축의 제1스프로킷과 권취드럼의 제2스프로킷을 연결하는 제1체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윈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에 예인케이블을 귄취함에 있어서, 일측 권취드럼에는 예인케이블이 하측으로 감기게 하고, 대향되는 타측 귄취드럼에는 예인케이블이 상측으로 감기도록 함으로써, 일측 귄취드럼은 예인케이블을 끌어당기고 타측 귄취드럼은 예인케이블을 풀어주어 두대의 캐리지가 상,하로 동시에 이동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윈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드럼의 전방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 설치되는 지지대 상의 브래킷에 양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리드 스크루와, 상기 리드 스크루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3스프로킷과 제2체인에 의해 연결되는 제4스프로킷과, 상기 리드 스크루의 나사부를 따라 정역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시 및 상기 이동부시의 하부로 고정설치되는 상,하판 사이에 예인케이블의 통과 공간을 두고 대향 설치되는 가이드 롤러로 이루어지는 이동뭉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예인케이블 텐션장치를 설치하여 예인케이블이 권취드럼에 정렬권취 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윈치.
  4. 제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4스프로킷의 사이에는, 상기 제3,4스프로킷과 더불어 제2체인에 의해 연결되면서 상기 제2체인을 하향으로 당겨 제2체인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5스프로킷이 지지대 상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윈치.
  5.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설치되는 권취드럼 전방으로 예인케이블 텐션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예인케이블이 하측으로 감기는 권취드럼의 전방에는 예인케이블의 권취 높이에 맞추어 예인케이블 텐션장치를 낮게 설치하고, 예인케이블이 상측으로 감기는 권취드럼의 전방에는 예인케이블의 권취 높이에 맞추어 상대적으로 예인케이블 텐션장치가 높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삭도용 윈치.
  6. 제 1항에 있어서,
    동력전달부의 후방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대향설치되는 지지바의 선단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결합 되거나, 상기 힌지축에서 분리되는 릴와인더를 설치하여 권치드럼을 거친 예인케인블을 이어받아 권취하거나, 예인케이블의 귄취가 완료되면 릴와인더를 분리하여 윈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삭도용 윈치.
KR20-2004-0036234U 2004-12-21 2004-12-21 삭도용 윈치 KR2003797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234U KR200379722Y1 (ko) 2004-12-21 2004-12-21 삭도용 윈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234U KR200379722Y1 (ko) 2004-12-21 2004-12-21 삭도용 윈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722Y1 true KR200379722Y1 (ko) 2005-03-23

Family

ID=4368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234U KR200379722Y1 (ko) 2004-12-21 2004-12-21 삭도용 윈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7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12B1 (ko) * 2006-06-13 2007-03-02 김관중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101636358B1 (ko) * 2015-03-05 2016-07-06 국방과학연구소 케이블 이용 이송수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12B1 (ko) * 2006-06-13 2007-03-02 김관중 소형 케이블 윈치형 집재기
KR101636358B1 (ko) * 2015-03-05 2016-07-06 국방과학연구소 케이블 이용 이송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92790A (zh) 用于山地施工材料运输的架空索道的安装使用方法
CN216235734U (zh) 幕墙单元板块垂直运输吊装结构
KR200379722Y1 (ko) 삭도용 윈치
CN102709849B (zh) 手动多功能紧线装置及一种导线紧线方法
CN201033858Y (zh) 塔架高度可调的双承载索货运索道
CN212475874U (zh) 一种大桥缆索吊机***
CN205442268U (zh) 一种多功能电力现场传送设施
WO2018080310A1 (en) Cableway system for forestry, and method for use of same
JP3692409B2 (ja) 架線の移線工法及び移線装置
CN206986731U (zh) 一种斜拉索穿束牵引***
CN111874010B (zh) 一种覆盖面高的竹材采集***
CN110240076B (zh) 改进的用于调车绞车钢丝绳的更换***和更换方法
CN214543330U (zh) 10kV架空线自动绕线式牵引机
CN215364589U (zh) 一种钢丝绳轨道运输装置
CN108483295A (zh) 一种绞车自动排绳装置
CN210027401U (zh) 一种免张紧被动索引车
CN216805416U (zh) 简易轻质快速索道
CN215854821U (zh) 一种井下卷绳机构
KR200348966Y1 (ko) 멀티 텐셔너
CN214523768U (zh) 一种高陡破碎边坡架空索道装置
JP2698496B2 (ja) 空中懸垂型索輪装置
JPH05162633A (ja) 支索と軌条走行併用懸垂輸送設備の索条張架配設方法
CN218863424U (zh) 一种布管车
JP7417325B1 (ja) 送電線を用いた資材の簡易キャリア運搬装置及び当該運搬装置を使用した資材の運搬方法
CN220847103U (zh) 一种悬索桥塔顶门架起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