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141Y1 - The crawl facility for demersal fish - Google Patents

The crawl facility for demersal fi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141Y1
KR200375141Y1 KR20-2004-0032904U KR20040032904U KR200375141Y1 KR 200375141 Y1 KR200375141 Y1 KR 200375141Y1 KR 20040032904 U KR20040032904 U KR 20040032904U KR 200375141 Y1 KR200375141 Y1 KR 200375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fixed
buoyancy member
fish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90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고경화
고정봉
고지영
Original Assignee
고지영
고정봉
고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지영, 고정봉, 고경화 filed Critical 고지영
Priority to KR20-2004-00329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14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141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ge facility for benthic fish.

본 고안의 가두리 시설은, 일측에 부구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 사료투입관이 연결되어 있는 상부중심판과; 단단한 재질의 내부가 빈 다수 개의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가 내측으로 서식공간을 형성한 채 조립되어 형성되되,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는 내부가 연통되어 있고, 상부중심판에 상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에 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면에 육성어망이 고정되어 있는 부력구조물과; 부력구조물의 하부 둘레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내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면에 보조어망이 설치되어 있어 어류를 서식공간 내부에 가두도록 된 바닥구조물과; 부력구조물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공급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공급관과; 일측은 부력구조물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배출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배출관;로 구성된다.The cag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center plate is connected to the mouth is connected to one side, feed feed pip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A plurality of horizontal buoyancy members and vertical buoyancy members, each of which is made of a solid material, are assembled and formed with a form space therein.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s and the vertical buoyancy members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center plate. A buoyancy structure in which a water outle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lower side, and the fishing net is fixed to the upper side; A support frame fixed around the bottom of the buoyancy structure; A bottom structure installed to be detachable inside the support frame, and having an auxiliary fishing ne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o confine the fish in the habitat space; An air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buoyancy structure underneath, the air supply valve is installed, and the other side fixed to the buoy;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structure, the air discharge valve is installed, the other side is an air discharge pipe is fixed to the buckle; consists of.

본 고안에 의해, 천적으로부터 육성어를 보호할 수 있고, 파손이 쉬운 바닥구조물을 쉽게 교체할 수 있으며, 어종을 분리하여 육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rearing fish from natural enemies, to easily replace the bottom structure easy to break, and to be able to grow by separating fish species.

Description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THE CRAWL FACILITY FOR DEMERSAL FISH} CURWL FACILITY FOR DEMERSAL FISH}

본 고안은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ge facility for benthic fish.

일반적으로 가두리 시설은 내부에 어류를 육성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주로 해수면에서 10m 이내의 공간에 설치되어 왔다.In general, cage facilities are installed to raise fish inside, and have been installed mainly within 10m of sea level.

이러한 해수면 가까이나 수중에 가두리를 설치한 기술로, 로프를 이용하여 설치 위치를 조절하고, 링 형태로 된 다수 개의 부력부재로 그물을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한 '가두리양식장용어망구조물'(한국 등록특허공보 10-0281366호)이 안출되었다.This technology is used to install cages near or at sea level, using the ropes to adjust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o fold or unfold the net with a plurality of buoyant members in the form of a 'cage caged fishnet structure' (registered in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281366) was devised.

그런데, 위와 같은 가두리 시설은 가두리의 형태가 표층성 어류에는 적당하나 넙치, 가자미 등과 같이 바다 밑바닥 쪽에 주로 서식하는 저서어류를 육성시키기에는 적절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the above cage structure has a problem that the shape of the cage is suitable for surface fish, but not appropriate to nurture benthic fish mainly inhabiting the bottom of the sea such as flounder and flounder.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파도의 영향이 없는 바다 바닥에 가라앉혀 사용하고, 수면위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한 '연해안천해저용 어류·어패 양축 가두리'(한국 특허공개 특1992-0000484)가 안출되었다.A technology to solve this problem, it is used to sink to the bottom of the sea without the influence of waves, and it is easy to move on the surface of the coastal fish and shellfish for both coastal and seashore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992-0000484) Was drafted.

저서어류(底棲魚類 ; Demersal fish)는 바닥에 사는 어류를 지칭하는 것으로 넙치, 가자미, 광어, 대구, 갈치, 조기, 명태, 청어, 돔, 볼락, 낭태, 참서대, 톱상어 등이 이에 속한다.Demersal fish refers to fish that live on the bottom, such as flounder, flounder, flatfish, cod, cutlass, predator, pollock, herring, dome, rockfish, cypress, sesame and saw sharks.

그런데, 위와 같이 가두리를 바닥에 가라앉히게 되면 육성시키고자 하는 저서어류가 어린 상태일 때 천적 종류의 게, 가재 같은 갑각류와 천적 저서어류가 하부 그물을 뚫고 가두리 내부로 들어와 육성시키고자 하는 어류를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cage is settled on the grou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enthic fish that is to be nurtured is young, the natural crabs, crayfish, such as lobsters, and nephew fish enter the cage through the lower net, There was a problem harmed.

또, 위와 같은 가두리는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공기를 부양함(90)에 주입할 때 각각의 부양함(90)에 공기를 균등하게 공급시키기 위해 공기 배관 라인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ir pipe line is complicated to supply air evenly to each of the flotation 90 when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flotation 90 to maintain the balance above.

또한, 저서어류가 바닥쪽에 붙어 서식하려는 습관, 많은 양의 저서어류가 내부에 서식하게 되는 환경 등으로 인해 가두리의 저면부가 파손되기 쉽고, 일단 파손되면 수리하기 힘든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bottom part of the cage is easily damaged due to the habit that the benthic fish is attached to the bottom side,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a large amount of the benthic fish are inhabited, etc., ha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repair once broken.

또한, 어류 배출을 위해 별도의 어류배출관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separate fish discharge pipe must be installed for fish discharge.

본 고안의 가두리 시설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저면부의 면적이 넓어 바다 밑바닥에서 주로 서식하는 저서어류를 대량 육성하려는 목적이 있다.The cag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is problem, and has a purpose of cultivating a large amount of benthic fish mainly inhabiting the bottom of the sea due to the large area of the bottom.

또, 가두리 시설을 바닥 위 수중의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킨 후 내부에 저서어류를 육성시킴으로써 천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be able to protect from natural enemies by fixing caged facilities in a certain position in the water on the floor and then growing benthic fish inside.

또한, 별도의 시설 없이 부력구조물 관내의 공기와 물의 공급, 배출을 통해 가두리를 일정 위치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되 상승 또는 하강시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게 하려는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supply and discharge of air and water in the buoyancy structure tube without a separate facility is to lower or raise the cage to a certain position to maintain a good balance during the rise or fall.

또한, 바닥구조물을 부력구조물에 고정된 지지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해 파손이 쉬운 바닥구조물을 쉽게 교체, 수리하고, 어류 배출을 용이하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structure is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pport frame fixed to the buoyancy structure to easily replace, repair the easy-to-damage floor structure, and t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fish.

또한, 칸막이망을 이용해 저서어류 이외의 유영성 어류를 저서어류와 분리한채 육성 가능하도록 하려는 목적도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lso a purpose to enable the rearing of non- benthic fishes swimmers apart from benthic fishes using the partition net.

본 고안은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ge facility for benthic fish.

본 고안의 가두리 시설은 저면부의 면적이 넓어 바다 바닥에 주로 서식하는 저서어류를 대량 육성하되 가두리를 바다 바닥으로부터 띄워 천적으로부터 육성 어류를 보호하려는 목적이 있다.The cag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rge area at the bottom, and aims to protect a large number of benthic fish that inhabit the sea bottom, but to keep the cage from the sea bottom to protect the fish from natural enemies.

또, 별도의 시설 없이 부력구조물 내부 공기의 공급, 배출을 통해 가두리를 소정 위치로 하강 또는 상승시키되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good balance while lowering or raising the cag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through the supply and discharge of air inside the buoyancy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facility.

또한, 가두리 바닥구조물은 상측면의 부력구조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파손이 쉬운 바닥구조물을 쉽게 교체, 수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ge bottom structure is formed of a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uoyancy structure of the upper side can easily replace, repair the easy-to-break floor structure.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은, 일측에 부구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 사료투입관이 연결되어 있되 사료투입관 일측이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중심판과; 단단한 재질의 내부가 빈 다수 개의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가 내측으로 서식공간을 형성한 채 조립되되 서식공간은 상부보다 하부가 넓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는 내부가 연통되어 있고, 상부중심판에 상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에 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면에 육성어망이 고정되고,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 내부의 공기 양에 따라 수중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부력구조물과; 부력구조물의 하부 둘레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내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면에 보조어망이 설치되어 있어 어류를 서식공간 내부에 가두도록 된 바닥구조물과; 일측은 부력구조물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공급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공급관과; 일측은 부력구조물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배출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배출관; 으로 구성된다.For this purpose, the cage fish cag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ckle is connected to one side, the feed input pipe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but the feed core is one side of the upper core plate is fixed to the float; A plurality of horizontal buoyancy members and vertical buoyancy members, each of which is made of a solid material, are assembled with a form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form space is formed to have a lower portion than the upper portion. It is in communication,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center plate, the water outle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the rearing fishing net is fixed on the upper side, depending on the amount of air in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and vertical buoyancy member up and down in water A buoyant structure adapted to be movable; A support frame fixed around the bottom of the buoyancy structure; A bottom structure installed to be detachable inside the support frame, and having an auxiliary fishing ne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o confine the fish in the habitat spac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buoyancy structure, the air supply valve is installed, the other side and the air supply pipe is fixed to the buckle;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structure, the air discharge valve is installed, the other side is an air discharge pipe is fixed to the float; It consists of.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one example for illustra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and thu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상부중심판(10)은 일측에 부구(11)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 사료투입관(12)이 연결되어 있되 사료투입관(12) 일측이 부구(11)에 고정되어 있다.The upper center plate 1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uoy 11 on one side, and the feed input pipe 12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but one side of the feed input pipe 12 is fixed to the float 11 It is.

상부중심판(10)은 질량이 큰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내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스틸 판 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center plate 10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having a large mass,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a stainless steel plate having corrosion resistance.

사료투입관(12)은 사료투입구에서부터 부구(11)까지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구(11)에 연결되는 고무 등의 유동성 재질로 된 유동관(12b)과,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재질로 된 고정관(12d)을 형성해 유동관(12b)을 고정관(12d)에 끼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eed feed tube 12 may be formed integrally from the feed inlet to the float 11,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8 flow tube 12b made of a fluid material such as rubber connected to the float 11 and It is preferable to form a fixed tube 12d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and sandwich the flow tube 12b with the fixed tube 12d.

이때, 유동관(12b)과 고정관(12d)를 고정시키는 고정장치(12c)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장치(12c)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램프 형식으로 할 수도 있고, 공지되어 있는 볼트식, 단추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xing device 12c for fixing the flow pipe 12b and the fixing pipe 12d, the fixing device 12c may be in the form of a clamp as shown in Figure 8, a known bolt Can be fixed in various ways, such as expressions, buttons.

또, 부구(11)에 연결되는 부분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료투입밸브(12e)를 설치해 사료투입밸브(12e)를 열고 닫음에 따라 내부에 사료를 공급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buckle 11 may be provided with a feed input valve 12e as shown in FIG. 2 to feed the feed as the feed input valve 12e opens and closes.

이때, 사료를 공급함에 있어서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부구(11)에 의해 뜰 수 있는 사료보관함을 구성하고, 사료보관함으로부터 사료가 일정량 사료투입관(12)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more easily supply the feed may be configured to float the feed container floated by the floats 11,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feed from the feed container to a certain amount feed tube 12.

도 8은 상부중심판(10)에 사료투입관(12)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사료투입관(12) 저면에 보는 바와 같이 그물망(12a)을 쳐 어류가 사료투입관(12) 위쪽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막도록 하였다.8 shows a state in which the feed tube 12 is installed in the upper center plate 10. As shown on the bottom of the feed tube 12, the fish hit the net 12a and the fish feed tube 12 is upward. It prevented you from moving.

상부중심판(10)의 예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면 위로 떠오르는 부구(11)와 체인, 로프 등의 줄로 연결되어 있고, 상면에 사료투입관(1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upper center plate 10 is connected to a buoy 11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with a string such as a chain and a rope, and the feed input pipe 1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상부중심판(10)의 평면 형태는 원형 이외에 다양한 각형, 구형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The planar shape of the upper center plate 10 may be formed in various squares, spheres and the like in addition to the circular shape.

도 7은 상부중심판(10)에 크레인인양고리(13)를 설치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크레인인양고리(13)는 본 고안의 가두리를 크레인으로 강제로 들어올릴 때 크레인의 고리를 걸도록 되어 있다.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rane lifting ring 13 is installed on the upper center plate 10, the crane lifting ring 13 is to be hooked to the crane hook when forcibly lifting the cag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crane. have.

또, 크레인인양고리(13)는 상부중심판(10)에 완전 고정하지 않고 간격부재(13a) 등을 이용해 약간 유동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In addition, the crane lifting ring 13 was able to give a little flow using the gap member 13a and the like without being completely fixed to the upper center plate (10).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부력구조물(20)은 도 2,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단한 재질의 내부가 빈 다수 개의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가 내측으로 서식공간을 형성한 채 조립되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buoyancy structure 2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horizontal buoyancy members 21 and vertical buoyancy members 22 having hollow interiors of a hard material, and form a space therein. It is assembled and formed.

도 2와 도 3을 보면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이 서식공간임을 알 수 있다.2 and 3 it can be seen that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and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is a habitat space.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는 내부가 연통되어 있어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에 공기가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과정에서 균형을 유지하기 쉽게 되어 있다.Since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and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and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are easily maintained in balance in the process of supplying or discharging air.

이러한 부력구조물(20)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중심판(10)에 상단이 고정되어 있고, 하부 일측에 물배출구(24)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 내부에 공기가 공급 배출됨에 따라 수중의 물이 배출 또는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buoyancy structure 20 has an upper end fixed to the upper center plate 10, and a water discharge port 24 is formed at one lower side thereof so that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and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are formed. ) As water is supplied and discharged inside, water in the water is discharged or supplied.

즉,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 내부의 공기 양에 따라 수중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in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and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i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underwater.

이때, 물배출구(24)에 물배출밸브(24a)를 달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물배출밸브(24a)를 여닫음으로써 부력구조물(20) 내부에 물의 출입을 제어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discharge valve 24 may be attached to the water discharge valve 24a to open and close the water discharge valve 24a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control water in and out of the buoyancy structure 20.

또, 부력구조물(20)에 유입되는 물이 균등하게 들어오도록 하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수평부력부재(21)에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된 물분배관(24b)을 연결한 후 물분배관(24b) 일측에 물배출구(24)와 물배출밸브(24a)를 형성하게 되면 물이 수직부력부재(22)에 골고루 유입 또는 배출된다.In addition, in order to make the water flowing into the buoyancy structure 20 evenly, as shown in FIG. 3, water distribution pipes 24b made of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re connected to each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24b) When the water outlet 24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24a is formed on one side, the water is evenly introduced or discharged to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또는, 수평부력부재(21)가 부력구조물(20) 하부에 형성되어 있을 경우 별도의 물분배관(24b)을 형성하지 않고, 수평부력부재(21)에 물배출구(24)와 물배출밸브(24a)를 설치해도 된다.Alternatively, when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is formed below the buoyancy structure 20, the water outlet 24 and the water discharge valve 24a are not formed in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without forming a separate water distribution pipe 24b. ) May be installed.

이때, 부력구조물(20)의 구성요소인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를 물보다 비중이 큰 재질과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의 관을 일정한 질량 비율러 섞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and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which are components of the buoyancy structure 20, by mixing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water and a tube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water at a constant mass ratio. Do.

구체적으로, 부력구조물(20) 내부에 공기가 가득찬 상태에서는 수면 위로 상승하도록 하는 것이 좋으나 일정량의 물이 부력구조물(20) 내부에 들어갔을 때는 해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rise above the surface of the buoyancy structure 20 when the air is full, but when a certain amount of water enters the buoyancy structure 20, it is preferable to position it above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sea floor.

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다 밑바닥에 서식하는 가재나 게 기타 천적 생물이 가두리 내부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lobsters, crabs and other natural creatures inhabiting the bottom of the sea, as described above.

부력구조물(20)을 수직 이동시키기 위해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는 내부가 빈 관으로 형성되며,In order to vertically move the buoyancy structure 20,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and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is formed of a hollow tube,

특히, 스테인레스 관 등과 같이 물보다 비중이 큰 부재와 폴리에틸렌 관 같이 물보다 비중이 작은 부재를 일정한 비율로 조절해 부력구조물(20) 내부에 공기를 과도하게 공급하거나 배출시키지 않아도 부력구조물(20)이 수중에서 상하로 쉽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buoyancy structure 20 is controlled without excessively supplying or discharging air inside the buoyancy structure 20 by controlling a member having a specific gravity more than water such as a stainless steel pipe and a member having a specific gravity less than water, such as a polyethylene tube. It can be easily moved up and down underwater.

위와 같이 다수 개의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가, 내부가 연통된 채 조립된 부력구조물(20)은 기존의 가두리에서 선보인 부력부재, 에어링 등이 설치된 것과는 차별된 것으로 수중에서의 균형 유지가 훨씬 쉽고, 상하로 이동 중에도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uoyancy structure 20 in which a plurality of horizontal buoyancy members 21 and vertical buoyancy members 22 are assembled while communicating inside is different from that of buoyancy members, air rings, etc. installed in the existing cages. It is much easier to maintain the balance,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balance well while moving up and down.

부력구조물(20)의 예로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As an example of the buoyancy structure 20, as shown in Figure 2 and 3,

상부가 상부중심판(10)에 고정되어 있고, 다수 개의 제1수직부력부재(22a)와;An upper portion is fixed to the upper center plate 10, and 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s 22a;

상기 제1수직부력부재(22a)가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서식공간의 둘레를 따라 튜브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1수평부력부재(21a)와;A first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a)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and installed in a tube shape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habitat space;

상기 제1수평부력부재(21a)에 상부가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서식공간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2수직부력부재(22b)와;A second vertical buoyancy member (22b) having an upper portion fixed to the first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a), the lower portion being inclined out of the habitat space;

상기 제2수직부력부재(22b)가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서식공간의 둘레를 따라 튜브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2수평부력부재(21b)와;A second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b)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buoyancy member (22b) and installed in a tube form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habitat space;

상기 제2수평부력부재(21b)에 상부가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제2수평부력부재(21b)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3수직부력부재(22c);로 구성할 수 있다.A third vertical buoyancy member 22c having an upper portion fixed to the second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b and a lower portion formed vertically from the second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b.

위와 같은 구성은 부력구조물(20) 내부의 서식공간 하부 면적이 넓게 형성된 것으로 바닥면에 대량의 어류를 육성시킬 수 있게 된다.The above configuration is to form a wide area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abitat space inside the buoyancy structure 20, it is possible to grow a large amount of fish on the bottom surface.

이때, 수평부력부재(21)의 평면 형태는 원, 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형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lanar shape of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may form a variety of shapes, such as circles, squares.

또, 도 4와 같이 수평부력부재(21)와 수직부력부재(22)의 갯수를 줄이거나 늘릴 수도 있는데, 도 4에서는 제3수직부력부재(22c)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제3수평부력부재(21c)를 설치하고, 제3수평부력부재(21c) 하부에 제4수직부력부재(22d)를 더 설치한 것을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and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may be reduced or increased as shown in FIG. 4. In FIG. 4, the third horizontal buoyancy member 22 is horizontally below the third vertical buoyancy member 22c. 21c) was installed, and the fourth vertical buoyancy member 22d was further installed below the third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c.

도 9, 도 10은 상부중심판(10)과 제1수직부력부재(22a)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상부중심판(10)에 하부가 고정되고,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브라켓(26)을 구비한 후,9 and 10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upper center plate 10 and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bracket 26 having a lower portion fixed to the upper center plate 10 and having a bolt hole formed therein. ),

브라켓(26)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구멍에 일치되도록 볼트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플레이트(25)를 끼워 볼트(26a)로 체결하고,Fasten with the bolts 26a by inserting the plate 25 with the bolt holes to match the bolt holes formed in the brackets 26,

제1수직부력부재(22a)의 끝을 플랜지(27)로 용접 고정하고, 플랜지(27)에 플레이트(25)의 일측 끝을 용접 고정하였다.The end of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was welded to the flange 27, and one end of the plate 25 was welded to the flange 27.

위와 같은 방법은 제1수직부력부재(22a)가 볼트(26a)를 축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조립을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The above method is to facilitate the assembly by allowing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to flow in the axis of the bolt 26a.

위와 같은 실시예는 제1수직부력부재(22a)와 상부중심판(10)을 연결하는 수많은 연결방법중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상부중심판(10)에 제1수직부력부재(22a)가 삽입되는 볼트구멍을 형성하고, 제1수직부력부재(22a) 끝단에 나사산을 형성해 상부중심판(10)에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The above embodiment is only one example of a number of connection methods for connecting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and the upper center plate 10, and in some cases,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on the upper center plate 10. May be configured to form a bolt hole to be inserted, and to form a screw thread at the end of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to be inserted into the upper center plate 10.

물론 나사결합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고무바킹 등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a rubber bar or the like is installed so that water does not flow when screwing.

또, 제1수직부력부재(22a) 끝단에 플랜지(27)를 용접 고정하고, 브라켓(26)을 플랜지(27)와 상부중심판(10)에 용접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lange 27 may be welded and fixed to the end of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and the bracket 26 may be welded to the flange 27 and the upper center plate 10 to be formed.

도 9는 제1수직부력부재(22a)와 제2수직부력부재(22b)가 제1수평부력부재(21a)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9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and the second vertical buoyancy member 22b are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a.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수평부력부재(21a)의 상부와 하부에 홀을 형성한 후 연결관을 홀에 용접 고정한 후 연결관과 제1수직부력부재(22a), 연결관과 제2수직부력부재(22b)를 서로 맞댄 후 조립플랜지(28)와 볼트(26a), 고무바킹으로 연결, 고정하였다.As shown in the figure, after forming holes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a) and then welding the fixing pipe to the hole, the connecting pipe and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the connecting pipe and the second vertical buoyancy After joining the members 22b to each other, the assembly flange 28, the bolts 26a, and rubber bars were connected and fixed.

이를 위해 조립플랜지(28)는 연결관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였다.To this end, the assembly flange 28 was used that is formed with a hole into which the connector is inserted.

이때, 위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제1수평부력부재(21a)에 홀을 형성한 후 제1수직부력부재(22a), 제2수직부력부재(22b)를 홀에 끼워 용접 고정하는 방법으로 연결,고정시킬 수도 있다.At this time, 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the hole is formed in the first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a, and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and the second vertical buoyancy member 22b are inserted into the hole to be connected and fixed. It may be.

기타 조립방법으로는 서로 조립되는 관의 일측은 직경을 크게 하여 한쪽 관을 다른쪽 관에 삽입한 후 외부고무바킹 등으로 삽입부위를 밀폐시킬 수도 있다.In other assembling methods, one side of the tubes to be assembled with each other may have a larger diameter to insert one tube into the other tube, and then seal the insertion part by external rubber baring or the like.

위와 같은 연결방법은 기타 다른 수직부력부재(22)와 수평부력부재(21)의 연결 방법에 같이 적용된다.The above connection method is applied to the connection method of the other vertical buoyancy member 22 and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together.

이러한 부력구조물은 외부에 육성어망(23)이 고정되어 있는데, 육성어망(23)은 부력구조물(20)의 수평부력부재(21)나 수직부력부재(22)에 로프나 고리 등으로 고정되어 서식공간에 어류를 가둘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is buoyancy structure is fixed to the development fishing net 23, the development fishing net 23 is fixed to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or vertical buoyancy member 22 of the buoyancy structure 20 is fixed to the rope or ring, etc. It is designed to trap fish in the space.

또, 육성어망(23)은 부력구조물(20)의 수평부력부재(21)나 수직부력부재(22)가 연결되는 관절부를 이용해 로프로 고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eloping fishing net 23 may be fixed with a rope by using a joint portion to which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or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of the buoyancy structure 20 is connected.

이때, 육성어망(23)의 상단은, 상부중심판(10)에 고리 등의 고정부재를 설치해 연결하는 방법과, 상부중심판(10)과 최상부 수직부력부재(22)의 연결지점에 매듭하는 방법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rearing fishing net 23, a method of connecting a fixing member such as a hook to the upper center plate 10, and knotted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upper center plate 10 and the uppermo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 It can be fixed by a method or the like.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지지프레임(30)은 부력구조물의 하부 둘레에 고정되어 있다.The support frame 3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around the bottom of the buoyancy structure.

지지프레임(30)의 형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장방형 관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고, 도면에서 제시하지 않은 원형 관이나 장방형,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shape of the support frame 30 may be formed to have a cross section of a rectangular tube shape as shown in FIG. 2, and may have a circular tube, a rectangular shape, or a circular shape not shown in the drawing.

도 3에서는 부력구조물 최하단부의 수직부력부재(22)에 지지프레임(30)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3 shows that the support frame 30 is fixed to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at the lower end of the buoyancy structure.

고정방법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부력부재(22) 하단부에 플랜지를 용접 고정하고, 지지프레임(30) 상부에 수직부력부재(22)에 대응되도록 연결관을 용접고정한 후 연결관 끝에 플랜지를 용접고정한 후 각 플랜지를 볼트고정함으로써 고정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flange is welded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and the welding tube is fixed to correspond to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on the support frame 30, and then the flange is welded to the end of the connector. After fixing, each flange was bolted to allow fixing or detachment.

위와 같은 고정방법 이외에도 수직부력부재(22)의 끝단을 직접 지지프레임(30) 상부에 용접고정하거나 수직부력부재(22) 끝단에만 플랜지를 설치해 플랜지를 지지프레임(30)에 용접고정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fixing method, the end of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may be directly fixed by welding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30, or the flange may be installed only at the end of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to fix the flange to the support frame 30.

이때, 육성어망(23)의 하단을 부력구조물(20)에 고정하지 않고, 지지프레임(30)에 고정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the developing fishing net 23 may be fixed to the support frame 30 without fixing the buoyancy structure 20.

구체적으로, 지지프레임(30) 측면에 덧대는 플레이트판을 구비한 후 육성어망(23) 하단을 플레이트판과 지지프레임(30) 사이에 끼운 후 플레이트판을 볼트 등으로 지지프레임(30)에 고정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육성어망(23)을 고정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after having a plate plate pad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30, the bottom of the rearing fishing net 23 is sandwiched between the plate plate and the support frame 30 and then fixed to the support frame 30 with a bolt or the like. By doing so, the developing fishing net 23 can be fixed more firmly.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바닥구조물(40)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 내측에 설치되며, 상면 또는 저면에 보조어망(43)이 설치되어 있다.The floor structure 40,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frame 30 as shown in the drawing, and an auxiliary fishing net 43 is installed on the top or bottom surface.

바닥구조물(40)는 도 2에서와 같이 외부프레임(41) 내측으로 다수 개의 연결부재(42)가 조립된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외부프레임(41) 내측으로 일체형 스테인레스 스틸 플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The bottom structure 4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42 are assembled into the outer frame 41 as shown in FIG. 2, and an integral stainless steel plate or polyethylene plate is formed inside the outer frame 41. It may be provided by installing.

이러한 바닥구조물(40)은 도 2에서와 같은 사각형 형태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의 부력구조물과 지지프레임(30)의 형태에 따라 서식공간의 하부를 막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조립할 수 있다.The floor structure 40 is not limited to the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2, and may be assembled in various forms so as to prevent the lower portion of the formatting spac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uoyancy structure and the support frame 30 at the top.

또, 바닥구조물(40)의 외부프레임(41)과 연결부재(42)는 충분한 중량을 갖도록 구성하여 바다 바닥에 안착된 후 해류에 잘 휩쓸려 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frame 41 and the connecting member 42 of the bottom structure 4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sufficient weight so as not to be easily swept away by the current after being seated on the sea floor.

외부프레임(41)과 연결부재(42)간의 조립방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플랜지를 만댄 후 용접 또는 볼팅으로 조립할 수도 있고, 플랜지 없이 직접 용접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The assembly method between the outer frame 41 and the connecting member 42 may be assembled by welding or bolting after touching each flange as shown in Figure 2, or may be directly welded and connected without the flange.

또, 외부프레임(41) 상에 연결부재(42)의 양 끝단이 삽입되는 홀을 형성한 후 연결부재(42)를 홀에 끼워 조립한 후 너트로 조이는 방법 등으로 조립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fter forming a hole into which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42 are inserted on the outer frame 41, the connecting member 42 may be assembled into the hole, and then assembled by tightening with a nut.

보조어망(43)은 바닥구조물(40)의 상면 또는 저면에 외부프레임(41) 내측으로 고정되는데, 보조어망(43)을 바닥구조물(40)에 고정하는 방법은 각 외부프레임(41)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거나 외부프레임(41)과 연결부재(42)가 연결되는 관절부에 로프 등으로 고정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The auxiliary fishing net 43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rame 41 on the top or bottom of the bottom structure 40, the method of fixing the auxiliary fishing net 43 to the bottom structure 40 is bolted to each outer frame 41 It may be fixed in a variety of ways, such as fixed by a rope or the like to the joint portion to which the outer frame 41 and the connecting member 42 is connected.

이러한 바닥구조물(40)은 걸림장치(44)나 고정봉(45) 등을 통해 지지프레임(30)의 내측으로 지지프레임(30)과 분리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bottom structure 40 is installed to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 frame 30 into the support frame 30 through the locking device 44 or the fixing rod 45.

예를 들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에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홀을 형성한 후,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5, after forming the rotating holes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upport frame 30,

일측은 회전홀에 삽입되어 회전하고, 타측은 내측방향으로 상부와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 바닥구조물(40)의 상부와 하부 모서리가 걸림턱 사이에 걸리는 걸림장치(44)를 다수 개 설치할 수 있다.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rotary hole to rotate,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locking jaw in the upper and lower in the inward direction to install a plurality of locking devices 44 that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bottom structure 40 is caught between the locking jaw Can be.

이러한 걸림장치(44)를 설치하는 방법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0) 양측에 설치하거나 한쪽에 걸림장치(44)를 설치하고, 다른 한측에는 걸림턱을 형성하여 걸림턱에 걸리도록 바닥구조물(40)을 지지프레임(30) 내측으로 밀어넣은 후 걸림장치(44)를 회전시켜 바닥구조물(40)을 지탱하도록 할 수 있다.The method of installing the locking device 44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30 as shown in FIG. 5 or the locking device 44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locking devic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o that the locking device is caught on the locking jaw. After pushing the bottom structure 40 into the support frame 30, the locking device 44 may be rotated to support the bottom structure 40.

또, 걸림장치(44)의 단면 형태는 꼭 지지프레임(40)을 감싸는 형태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프레임(40)의 중량이 충분할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하부의 걸림턱만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locking device 44 is not necessarily to surround the support frame 40, and if the weight of the support frame 40 is sufficient, only the lower locking jaw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위와 같은 방법 이외에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닥구조물(40)의 높이에 맞게 지지프레임(30)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 간격으로 볼트구멍을 형성한 후, 지지프레임(30)의 일측에서 타측을 가로지르는 고정봉(45)을 삽입해 너트 등으로 고정시켜 바닥구조물(40)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method as shown in Figure 6 after forming a bolt ho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30 to match the height of the bottom structure 40,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30 Inserting the fixed fixing rod 45 may be fixed with a nut or the like to secure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ottom structure (40).

비단 위의 두 예 외에도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고정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two examples above, various known fixing methods can be applied.

위와 같이 부력구조물 하부에 바닥구조물(40)이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육성어망과 보조어망(43)이 설치됨으로써 서식공간 내부의 어류는 외부로 이탈하지 못한 채 서식공간 내부에서 육성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structure 40 is installed below the buoyancy structure so that the bottom structure 40 can be separated, and the breeding fishing net and the auxiliary fishing net 43 are installed so that the fish inside the habitat can be grown inside the habitat without leaving the outside.

이때, 육성어망(23)과 보조어망(43)으로 둘러쌓인 서식공간 내부에 치어망을 설치할 수도 있는데, 치어망을 설치하게 되면 치어망 내부에서 치어를 성장시킨 후 치어망을 서식공간 내부 일측으로 치워 로프 등으로 치어망을 부력구조물(20)에 고정시킨 후 육성어망(23) 내부에서 어류를 육성시키면된다.At this time, a cheer ne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abitat space surrounded by the nurturing fish net 23 and the auxiliary fish net 43. When the cheer net is installed, the cheer net is grown inside the cheer net and the cheer net is removed to one side of the habitat space by a rope or the like. After fixing the cheer net to the buoyancy structure 20, it is enough to grow the fish in the developing fishing net (23).

치어망을 육성어망(23)과 보조어망(43) 내부 공간에 설치하는 방법으로, 부력구조물(20)과 지지프레임(30)을 조립한 후 부력구조물(20)을 들어올린 후 부력구조물(20)의 저면 공간에서 치어망을 설치한다.After installing the cheerfish net 23 and the auxiliary fishing net 43 in the inner space, the buoyancy structure 20 and the support frame 30 after lifting the buoyancy structure 20 and then buoyancy structure 20 Install the cheering nets in the bottom space.

치어망의 설치가 끝난 후 바닥구조물(40)을 지지프레임(30)에 고정하면 된다.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cheer net, the bottom structure 40 may be fixed to the support frame 30.

이와 같이 치어망 내부에서 치어를 육성한 후에는 치어망을 치우기 위해 치어망 내부에 다이버나 인부가 들어가야 할 경우가 있다.In this way, after nurturing the cheerfish inside the fishnet, a diver or worker may need to enter the cheernet to remove the fishnet.

이때는 종래와 같이 칼로 그물을 찢어 출입한 후 그물을 묶을 수도 있고, 육성어망(23)과 치어망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에 자크나 단추 등을 달아 그물을 찢지 않은 상태에서 내부에 쉽게 출입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net can be tied with a knife and then tied with the net as in the prior art, and the openings are formed in the rearing fishing net 23 and the fry net, and a jacket or button is attached to the opening so that the net can easily enter and exit the state. It may be.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공기공급관(50)은 부력구조물(20)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 공기공급밸브(51)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부의 부구(11)에 고정된다.Air supply pipe 50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structure 20, the air supply valve 51 is installed on one side,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upper mouth (11).

공기공급관(50)의 끝단은 부력구조물(20) 하부의 수직부력부재(22) 또는 수평부력부재(21)에 설치할 수 있다.An end of the air supply pipe 50 may be installed in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or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below the buoyancy structure 20.

도 2는 공기공급관(50)을 제2수평부력부재(21b)에 설치한 것으로 부력구조물(20)의 하부로 균등하게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2 shows that the air supply pipe 50 is installed on the second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b to uniformly supply air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oyancy structure 20.

또, 도 4는 제2수평부력부재(21b) 하부에 제3수평부력부재(21c)가 구비될 때 제3수평부력부재(21c)에 공기공급관(50)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ir supply pipe 50 is installed in the third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c when the third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c is provided below the second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b.

이때, 부력구조물(20) 하부에 수평부력부재(21)가 없는 경우 최하측의 수직부력부재(22)를 연결하는 고무관 등을 설치한 후 고무관에 공기공급관(50)을 연결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there is no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in the buoyancy structure 20, after installing a rubber tube for connecting the lowe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 may b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50 to the rubber tube.

그러나, 공기는 수중에서 골고루 위로 상승하므로 꼭 공기공급관(50)을 수평부력부재(21)에 연결할 필요는 없으므로 수직부력부재(22)에 공기공급관(50)을 연결할 수도 있다.However, since the air rises evenly in the water, it is not necessary to connect the air supply pipe 50 to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so the air supply pipe 50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공기배출관(60)은 부력구조물(20)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일측에 공기배출밸브(61)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부의 부구(11)에 고정된다.Air discharge pipe 60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structure 20, the air discharge valve 61 is installed on one side,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upper opening (11).

공기배출관(60)과 부력구조물(20)이 연결되는 위치는 제1수직부력부재(22a) 나 제1수평부력부재(21a)와 같이 최상부의 수직부력부재(22) 또는 수평부력부재(21)에 연결된다.The air discharge pipe 60 and the buoyancy structure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top of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or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such as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or the first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a. Is connected to.

이때, 상부에 수평부력부재(21)가 없는 경우 공기분배관으로 수직부력부재(22) 사이를 연결한 후 공기분배관에 연결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hen there is no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in the upper portion may be connected to the air distribution pipe after connecting between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with the air distribution pipe.

위의 공기공급관(50)과 공기배출관(60)은 각각 타측이 상부의 부구(11)와 연결되는데, 부력구조물(20)의 외측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부력구조물(20)의 내측으로 관을 설치하고 상부중심판(10)에 구멍을 뚫어 상부중심판(10)의 구멍을 통과한 후 부구(11)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ther side of the air supply pipe 50 and the air discharge pipe 60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buckle 11,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buoyancy structure 20, but preferably to the inside of the buoyancy structure 20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pipe and drill a hole in the upper center plate 1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buckle 11 after passing through the hole of the upper center plate 10.

또, 두 관을 커플링이나 클램프(12f) 등으로 묶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구(11)에 연결된 쪽에도 공기공급밸브(51)와 공기배출밸브(6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pipes are bundled with a coupling, a clamp 12f, or the like, and an air supply valve 51 and an air discharge valve 61 are also provided on the side connected to the mouth 11 as shown in FIG.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가두리는 어류의 육성이 끝나 수면 위로 가두리를 부양시킨 후 어류를 배출하고자 할 때 하부의 바닥구조물(40)을 지지프레임(30)으로부터 분리시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이다.The c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 structure capable of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bottom structure 40 from the support frame 30 when a fish is discharged after raising the cage over the surface of the fish.

그런데, 이때 한꺼번에 많은 양의 어류가 배출되면 어류가 손상을 입을 염려가 있다.However, if a large amount of fish is discharged at once, there is a risk that the fish are damaged.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력구조물의 측면에 어류배출고리를 설치한 후 어류배출고리를 크레인 등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가두리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취하게 된다.To solve this problem, 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fish discharge ring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uoyancy structure and the fish discharge ring is lifted by a crane, the cage is inclined to one side.

이런 상태에서 보조어망(43)의 최하단부를 칼 등으로 찢어 개구부를 형성하게 되면 개구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어류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lower end of the auxiliary fishing net 43 is torn with a knife or the like to form an opening, the fish can be sequentially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이때, 보조어망(43)을 찢지 않고 보조어망(43)의 일측 하부에 미리 개구부르 형성한 후 지퍼나 단추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without opening the auxiliary fishing net 43, one side of the auxiliary fishing net 43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in advance, and then a zipper or a button may be installed.

가두리가 이동하는 바다 바닥에서 조금씩 이동하여 자리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래와 같이 앵커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도 있다.An anchor or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order to prevent the cage from moving away from the bottom by moving little by little from the bottom of the sea.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In the above configuration,

부력구조물의 최하단부가 수직부력부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최하단의 수평부력부재 내측으로 칸막이망(23a)을 설치할 수 있다.When the lowest end of the buoyancy structure is formed of a vertical buoyancy member, the partition net 23a may be installed inside the lowest horizontal buoyancy member.

칸막이망(23a)을 설치하게 되면 서식공간의 내부는 두 개의 칸으로 구분되게 되며, 칸막이망(23a) 하부에는 저서어류, 갑각류나 패류 등을 육성시키게 되고, 칸막이망(23a) 상부에는 바다 바닥에서 약간 떨어져 서식하는 어류 어류를 육성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partition net (23a) is installed, the interior of the habitat space is divided into two compartments, the bottom of the partition net (23a) to foster benthic fish, crustaceans and shellfish, etc.,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net (23a) sea bottom It is possible to cultivate fishes that inhabit slightly from.

즉, 해저의 안전한 곳에서 다양한 어류를 육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 variety of fish can be raised in a safe place on the sea floor.

이때, 사료투입관은 칸막이망(23a) 상부와 칸막이망(23a) 하부의 공간에 별도로 연결해 서식 어종에 따라 다른 사료를 투입함으로써 보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eed tube is connected to the space of the upper parting net (23a) and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ing net (23a) separately to be a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by injecting different feed according to the fish species.

위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력구조물(20), 지지프레임(30), 바닥구조물(40) 중 어느 하나에 고정추(70)와 앵커(80)을 더 설치할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 the anchoring weight 70 and the anchor 80 may be further installed on any one of the buoyancy structure 20, the support frame 30, and the bottom structure 40.

고정추(70)는 로프나 체인 등의 줄에 의해 부력구조물(20)에 연결되어 부력구조물(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보조 역할을 한다.Fixing weight 70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structure 20 by a rope or chain rope serves to assist in fixing the position of the buoyancy structure 20.

고정추(70)를 부력구조물(20), 지지프레임(30), 바닥구조물(40)에 연결하는 시점은 본 고안의 가두리 시설이 수중에 위치를 잡은 후 설치할 수도 있고, 부력구조물(20), 지지프레임(30), 바닥구조물(40)에 먼저 연결한 후 가두리 시설의 위치를 세팅할 수도 있다.The time point connecting the fixing weight 70 to the buoyancy structure 20, the support frame 30, the bottom structure 40 may be installed after the cag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in the water, buoyancy structure 20, After connecting to the support frame 30, the bottom structure 40, it is also possible to set the location of the cage facility.

따라서, 고정추(70)는 설치후 상태가 가두리 시설에 탱탱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xed weight 70 is firmly connected to the cage facility after installation.

앵커(80)는 고정추(70)와 마찬가지로 부력구조물(20)에 로프나 체인 등의 줄로 연결되어 있으며, 수중 해류의 흐름에 의해 부력구조물(2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anchor 80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structure 2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xed weight 70 by ropes or chains, and prevents the buoyancy structure 20 from being moved by the flow of underwater currents.

위와 같은 구성에서, 부구(11)는 공지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자가발전식 램프나 야광판를 설치해 야간에 가두리 시설의 위치를 파악하기 쉽게 하는 것이 좋다.In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self-powered lamp or luminous plate as is known, the buckle 11 is easy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cage facility at night.

또, 상부중심판(10)과 부구(11)를 연결하는 줄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마킹물을 달면 부력구조물(20)의 수중 위치가 몇 미터 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attaching a marking object at regular intervals between the upper core plate 10 and the line connecting the buckle 11, it is possible to easily determine how many meters the underwater position of the buoyancy structure 20.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가두리 시설은 넓은 저면부 면적을 갖기 때문에 저서어류의 육성에 유리하나 꼭 저서어류만을 육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은 아니며 내부에 저서어류와 유영성 어류를 동시에 육성할 수도 있고, 유영성 어류만을 육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The cage fac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above has a large bottom area,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development of benthic fishes, but it is not necessarily configured to grow only benthic fishes. You can also nurture the ba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조립하는 과정은, 먼저 상부중심판(10)에 부력구조물(20)의 수직부력부재(22)를 고정시킨 후 수직부력부재(22)에 수평부력부재(21)를 조립하는 방법으로 계속 조립한 후 하단의 수직부력부재(22)에 지지프레임(30)을 고정시킨다.First of all, the process of assembling continues by first assembling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 to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and then fixing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of the buoyancy structure 20 to the upper center plate 10. After fixing the support frame 30 to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22 at the bottom.

그 후 미리 조립된 바닥구조물(40)을 지지프레임(30) 내측으로 고정시키면 된다.Thereafter, the prefabricated bottom structure 40 may be fixed inside the support frame 30.

공기공급관(50)과 공기배출관(60) 등의 설치는 부력구조물(20) 설치 전, 후에 상관없이 설치하면 된다.The installation of the air supply pipe 50 and the air discharge pipe 60 may be installed regardless of whether the buoyancy structure 20 is installed before or after the installation.

이때, 상부중심판(10)에 홀을 뚫은 후 공기공급관(50)과 공기배출관(60)이 홀을 통해 상부의 부구(11)와 연결되도록 해 공기공급관(50) 및 공기배출관(60)이 외부로부터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air supply pipe 50 and the air discharge pipe 60 so that the air supply pipe 50 and the air discharge pipe 6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11 through the hole after drilling a hole in the upper center plate (10) It is desirable to prevent damage from the outside.

위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가두리 시설을 소정 위치로 침강시킬 때는 상부의 공기배출밸브(61)를 개방한 후 침강시키면 부력구조물(20) 내부의 공기가 공기배출밸브(6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부력구조물(20) 하부부터 물이 유입되면서 부력구조물(20)이 침강하게 된다.When the cage is settl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above state, if the air discharge valve 61 of the upper side is settled and then settled, the air inside the buoyancy structure 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valve 61 and buoyancy. As water flows in from the bottom of the structure 20, the buoyancy structure 20 is settled.

소정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는 공기배출밸브(61)를 잠굴 수도 있고, 그대로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도 있다.In the state where the predetermined position is reached, the air discharge valve 61 may be locked or may be kept open as it is.

가두리 시설을 상면위로 상승시키고자 할 때는 공기배출밸브(61)는 잠겨진 상태가 되면 공기공급밸브(51)를 개방시키고, 외부에서 공기공급관(50)을 통해 공기를 공급시킨다.When the cage is to be rais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discharge valve 61 is in a locked state to open the air supply valve 51, and supplies air through the air supply pipe 50 from the outside.

이때, 물배출구는 개방된 상태로 부력구조물 내부에 공기가 들어 차면서 부력구조물 내부의 물은 물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At this time, the water discharge port is open to the air in the buoyancy structure inside the buoyancy structure while the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ort.

부력구조물 내부에 충분히 공기가 공급되면 가두리 시설이 수면 위로 상승하는데, 공기공급은 임의대로 중단할 수도, 계속 공급할 수도 있다.When enough air is supplied inside the buoyancy structure, the cage rises above the surface, and the air supply can either be stopped or supplied continuously.

수면까지 부력에 의해 상승한 가두리 시설은 크레인을 통해 크레인 장착 선박의 어류 보관함이나 별도의 선박 위에 어류를 배출시키게 된다.The cage, which rises by buoyancy to the surface, discharges the fish through a crane onto a fish tank of a crane-equipped vessel or a separate vessel.

어류 배출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구조물(40)을 지지프레임(30)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가두리시설을 기울인 후 그물을 개방시켜 배출시키면 된다.Fish discharge may be discharged by opening the net after separating the bottom structure 40 from the support frame 30 or tilting the cage as described above.

위와 같은 구성은 부력구조물(20)이 침강이나 상승 중에 부력구조물(20) 내부의 공기가 균등하게 상부부터 채워진 상태가 되므로 안전하게 원하는 위치에 세팅할 수 있게 된다.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safely set to the desired position because the air in the buoyancy structure 20 is evenly filled from the top during the sedimentation or rise.

본 고안에 의해, 저면부의 면적이 넓어 저서어류를 대량 육성할 수 있으며 수중의 일정한 위치에서 육성시키므로 천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of the bottom part is large, so that the benthic fish can be grown in large quantities, and it can be protected from natural enemies because it is grown in a certain position in the water.

또, 별도의 시설 없이 부력구조물 관내의 공기와 물의 공급, 배출을 통해 가두리를 소정 위치로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승 또는 하강시 균형을 잘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supplying and discharging air and water in the buoyancy structure tube without a separate facility, the cage can be lowered or rais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good balance when raising or lowering.

또한, 바닥구조물을 부력구조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어 파손이 쉬운 바닥구조물을 쉽게 교체, 수리할 수 있으며 어류의 배출 또한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or structur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buoyancy structure can be easily replaced, repair the easy-to-damage floor structure can also facilitate the discharge of fish.

또한, 칸막이망에 의해 하나의 가두리 내부에 다양한 어류를 분리하여 육성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cultivate a variety of fish inside a cage by the partition network.

도 1은 종래의 가두리 시설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cage facility.

도 2는 본 고안의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ge cage for fish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 가두리 시설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cage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 가두리 시설에 칸막이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artition network is installed in the cage design.

도 5는 본 고안 바닥구조물이 걸림장치에 의해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by the locking device.

(A) : 걸림장치에 홈이 형성된 경우의 단면 개략도.(A): Schematic cross section in the case where the groove | channel is formed in the locking device.

(B) : 걸림장치 하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경우의 단면 개략도.(B): Schematic diagram of the cross section in the case where the locking step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cking device.

도 6은 본 고안 바닥구조물이 고정봉에 의해 지지프레임에 설치되는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loor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by a fixed rod.

(A) : 고정봉이 바닥구조물의 하부에 설치된 경우의 단면 개략도.(A): Schematic diagram of the cross section where the fixed rod is installed below the floor structure.

(B) : 고정봉이 바닥구조물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경우의 단면 개략도.(B): Schematic diagram of the cross section where fixing rods are installed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floor structure.

도 7은 본 고안 상부중심판에 크레인인양고리가 설치된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rane lifting ring installed on the upper cor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 상부중심판에 사료공급관이 설치된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feed pipe is installed on the upper cente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고안 상부중심판과 부력구조물이 연결된 측면을 나타낸 개략도.Figure 9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ide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plate and buoyanc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고안 상부중심판과 부력구조물의 연결된 단면을 나타낸 개략도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upper core plate and buoyanc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는 본 고안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간의 연결을 나타낸 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nection betwee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and the vertical buoyancy member.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 상부중심판 11 : 부구10: upper center plate 11: float

12 : 사료투입관 12a : 그물망12: feed tube 12a: mesh

12b : 유동관 12c : 고정장치12b: flow tube 12c: fixing device

12d : 고정관 12e : 사료투입밸브12d: fixed pipe 12e: feed injection valve

12f : 클램프 13 : 크레인인양고리12f: Clamp 13: Crane lifting ring

13a : 간격부재 20 : 부력구조물13a: spacing member 20: buoyancy structure

21 : 수평부력부재 21a : 제1수평부력부재21: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a: first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b : 제2수평부력부재 21c : 제3수평부력부재21b: 2nd horizontal buoyancy member 21c: 3rd horizontal buoyancy member

22 : 수직부력부재 22a : 제1수직부력부재22: vertical buoyancy member 22a: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22b : 제2수직부력부재 22c : 제3수직부력부재22b: second vertical buoyancy member 22c: third vertical buoyancy member

22d : 제4수직부력부재 23 : 육성어망22d: fourth vertical buoyancy member 23: breeding fishing net

23a : 칸막이망 24 : 물배출구23a: partition network 24: water outlet

24a : 물배출밸브 24b : 물분배관24a: water discharge valve 24b: water distribution pipe

25 : 플레이트 26 : 브라켓25 plate 26 bracket

26a : 볼트 27 : 플랜지26a: Bolt 27: Flange

28 : 조립플랜지 29 : 어류배출고리28: assembling flange 29: fish discharge ring

30 : 지지프레임 40 : 바닥구조물30: support frame 40: floor structure

41 : 외부프레임 42 : 연결부재41: outer frame 42: connecting member

43 : 보조어망 44 : 걸림장치43: auxiliary fishing net 44: locking device

45 : 고정봉 50 : 공기공급관45: fixed rod 50: air supply pipe

51 : 공기공급밸브 60 : 공기배출관51: air supply valve 60: air discharge pipe

61 : 공기배출밸브 70 : 고정추61: air discharge valve 70: fixed weight

80 : 앵커 90 : 부양함80: anchor 90: flotation

Claims (8)

가두리 시설에 있어서,In the cage facility, 일측에 부구가 연결되어 있고, 타측에 사료투입관이 연결되어 있되 사료투입관 일측이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상부중심판과;The upper center plate is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feed port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but the feed tube is fixed to the side of the feed tube; 단단한 재질의 내부가 빈 다수 개의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가 내측으로 서식공간을 형성한 채 조립되되, 서식공간은 상부보다 하부가 넓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는 내부가 연통되어 있고, 상부중심판에 상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에 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면에 육성어망이 고정되고, 수평부력부재와 수직부력부재 내부의 공기 양에 따라 수중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부력구조물과;A plurality of horizontal buoyancy members and vertical buoyancy members, each of which is made of a solid material, are assembled with a form space formed therein, and the form space is formed to have a lower portion than the upper portion. , The upper end is fixed to the upper center plate, the water outlet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the rearing fishing net is fixed to the upper side, the upper and lower in the wat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inside the horizontal buoyancy member and vertical buoyancy member A buoyant structure adapted to move to; 상기 부력구조물의 하부 둘레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프레임과;A support frame fixed to a lower circumference of the buoyancy structure; 상기 지지프레임 내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면에 보조어망이 설치되어 있어 어류를 서식공간 내부에 가두도록 된 바닥구조물과;A bottom structure installed to be detachable inside the support frame, and having an auxiliary fishing ne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to confine the fish in the habitat space; 일측은 상기 부력구조물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공급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공급관과;One side is connected to the lower buoyancy structure, the air supply valve is installed, the other side and the air supply pipe is fixed to the buckle; 일측은 상기 부력구조물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고, 공기배출밸브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측은 부구에 고정되어 있는 공기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One side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uoyancy structure, the air discharge valve is installed, the other side is configured to include;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Cages for benthic fish.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부력구조물 내지 지지프레임 내지 바닥구조물 중 어느 하나에 앵커와 고정추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in that the anchor and the fixing rod is installed on any one of the buoyancy structure to the support frame to the bottom structure,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Cages for benthic fish.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사료투입관 하부에 그물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in that the net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eed tube,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Cages for benthic fish.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부력구조물은 물보다 비중이 큰 재질로 된 파이프와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된 파이프가 일정한 질량 비율을 가진 채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buoyancy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water and a pipe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smaller than water are assembled with a certain mass ratio.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Cages for benthic fish.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부력구조물의 최상부 수직부력부재는 상부중심판에 수직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The uppermost vertical buoyancy member of the buoyancy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upper center plate so as to be able to ro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Cages for benthic fish.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부력구조물은,Buoyancy structures, 상부가 상부중심판에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서식공간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다수 개의 제1수직부력부재와;A plurality of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s, the upper portion of which is fixed to the upper center plate and the lower portion of which is inclined out of the habitat space; 상기 제1수직부력부재가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서식공간의 둘레를 따라 튜브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1수평부력부재와;A first horizontal buoyancy member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vertical buoyancy member and installed in a tube shape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habitat space; 상기 제1수평부력부재에 상부가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서식공간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 제2수직부력부재와;A second vertical buoyancy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fixed to the first horizontal buoyancy member and having a lower portion inclined out of the habitat space; 상기 제2수직부력부재가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서식공간의 둘레를 따라 튜브 형태로 설치되어 있는 제2수평부력부재와;A second horizontal buoyancy member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vertical buoyancy member and installed in a tube form along a circumference of the habitat space; 상기 제2수평부력부재에 상부가 고정되어 있고, 하부가 제2수평부력부재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끝단이 지지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제3수직부력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And a third vertical buoyancy member having an upper portion fixed to the second horizontal buoyancy member, a lower portion formed perpendicularly from the second horizontal buoyancy member, and having a lower end fixed to the support frame.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Cages for benthic fish.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부력구조물 내측으로 칸막이망이 설치되어 서식공간을 상부와 하부로 분리시키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tion network is installed inside the buoyancy structure to separate the formatting space into the upper and lower,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Cages for benthic fish.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사료투입관은 상기 칸막이망의 상부와 하부에 별도로 연결되어 칸막이망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에 별도의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Feed input pipe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rtition networ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supply a separate feed to the upper space and the lower space of the partition network, 저서어류용 가두리 시설.Cages for benthic fish.
KR20-2004-0032904U 2004-11-20 2004-11-20 The crawl facility for demersal fish KR20037514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04U KR200375141Y1 (en) 2004-11-20 2004-11-20 The crawl facility for demersal fi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04U KR200375141Y1 (en) 2004-11-20 2004-11-20 The crawl facility for demersal fish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505A Division KR100643778B1 (en) 2004-11-20 2004-11-20 The crawl facility for demersal fi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141Y1 true KR200375141Y1 (en) 2005-03-11

Family

ID=43677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904U KR200375141Y1 (en) 2004-11-20 2004-11-20 The crawl facility for demersal fi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14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448A1 (en) * 2015-03-04 2016-09-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eabed bottoming-type apparatus for catching benthic organis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448A1 (en) * 2015-03-04 2016-09-09 한국해양과학기술원 Seabed bottoming-type apparatus for catching benthic organis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530A (en) Submergible fish cage
KR100876227B1 (en) Floating and submersible piercing removable cages
US10512252B2 (en) Cage farming apparatus
KR100796119B1 (en) Submersible cage facility for fish culture
KR101253372B1 (en) Containment pens for finish aquaculture
CA2849676C (en) Fish farming plant, module, method and use
JP2019512223A (en) Semi-submersible aquaculture system
EP2787806B1 (en) Floating element and method of forming a buoyancy system
KR101174864B1 (en) Apparatus for integrated multi-tropic aquaculture with a purpose of tourism
US5596947A (en) Aquaculture apparatus for use adjacent an offshore fixed platform
KR101845500B1 (en) Submersible cage device
JP7313436B2 (en) A ship that farms marine life
KR100643777B1 (en) The underwater crawl facility
KR101947319B1 (en) Submersible marine aquaculture apparatus
JP3157283U (en) Container for raising seafood algae
CN113615621B (en) Method for grading and catching cultured fishes
KR100906601B1 (en) Artificial fishing reef
KR100643779B1 (en) The crawl facility for shellfish
KR100643778B1 (en) The crawl facility for demersal fish
KR200375141Y1 (en) The crawl facility for demersal fish
KR101947320B1 (en) The method using submersible marine aquaculture apparatus
KR20160004171U (en) Aquaculture cages fo abalone growhouse
KR101613850B1 (en) Uniserial aquaculture cages for abalone growhouse
KR200374986Y1 (en) The underwater crawl facility
JP2003061513A (en) Impounding 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