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500B1 - Submersible cage device - Google Patents

Submersible cag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500B1
KR101845500B1 KR1020170084282A KR20170084282A KR101845500B1 KR 101845500 B1 KR101845500 B1 KR 101845500B1 KR 1020170084282 A KR1020170084282 A KR 1020170084282A KR 20170084282 A KR20170084282 A KR 20170084282A KR 101845500 B1 KR101845500 B1 KR 10184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age
rope
main rope
c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2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민석
오승용
명정구
박용주
최희정
박흥식
박진우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084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50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5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ubmersible c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mersible cage apparatus includes: a frame part combined with hollow pipes to form a farming space, and forming a polygonal frame including a parallelepiped; a net installed on each of the pipes forming each side of the frame part; an attaching part disposed on the frame part and comprising an air injection valve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from a compressor into the pipes, and a seawater passage valve for injecting seawater into or discharging it from the pipes; a weight object installed in the bottom of the frame part; and a mooring part fixing the frame part to the sea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me of the case apparatus is polygonal, the cage apparatus is capable of preventing a net from being transformed or blown by tidal currents. Moreover, since the cage apparatus has a submerging and floating function and includes a moving unit, the apparatus is capable of being submerged and floated as well as being selectively moved underwater, thereby providing an improved farming environment.

Description

잠수형 가두리장치{SUBMERSIBLE CAGE DEVICE}[0001] SUBMERSIBLE CAGE DEVICE [0002]

본 발명은 잠수형 가두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류를 포함한 생물자원들의 사육공간을 제공하는 가두리를 필요에 따라 이동 및 부상시키거나 잠수시켜 생물자원의 사육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잠수형 가두리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bmerged cage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bmerged cage apparatus capable of moving a cage providing a breeding space for living resources including fishes, ≪ / RTI >

일반적으로 각종 수산자원(또는 생물자원)을 양식하기 위한 가두리 양식장은 육지와 인접하고 있는 바다의 연안을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다. 연안을 벗어난 외해지역은 파도가 심하고 수심이 깊기 때문에, 파도가 심하지 않고 수심이 깊지 않은 연안지역에서 가두리 양식장은 활발히 이용되어 왔다.Generally, a cage culture farm for cultivating various kinds of fishery resources (or biological resources) is widely used around the coast of the sea adjacent to the land. In coastal areas outside the coast, deep-sea waves are deep and water depths are so deep that cage farms have been actively used in coastal areas where the waves are not severe and deep water is not deep.

종래의 가두리 양식장 어망 구조물은 바다 표면 상부에 가두리틀이 부유하도록 설치하고, 그 틀 내부의 바다 속으로 어망이 위치한다. 어망은 그 상부에서 끈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가두리 틀에 고정된다. 어망의 하부에는 로프를 연장하여 고정추로 고정시킨다. 어망의 내부는 양식하고자 하는 어류의 활동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 내에서 어류가 성장하게 된다.Conventional cage farm fishing nets structure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a surface so that the nets are floating, and the fishing net is located in the sea inside the frame. The fishing net is secured to the frame at the top by means such as a string. At the bottom of the fishing net, the rope is extended and fixed with a fixed weight. The interior of fish nets is the activity space of the fish to be cultivated, and the fish grow in this space.

가두리 틀은 그 저면에 복수개의 부력물질을 필요한 만큼 고정시켜 부력에 의해 바다 위로 부상할 수 있도록 한다. 가두리 틀은 그 표면에 부유한 다각형 형태로 발판이 구성되며, 그 위로 사람이 걸어다니면서 어망속으로 사료를 공급하거나 기타 필요한 작업을 한다.The cage frame fixes a plurality of buoyant materials on the bottom as necessary so that it floats above the sea by buoyancy. The cage frame is made up of a floating polygonal shape on the surface of which a footrest is constructed, on which people walk as they feed the fish into the nets or do other necessary work.

그러나, 종래의 가두리 틀은 부유식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태풍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가두리 틀이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수면위에 부유하는 종래의 가두리 틀은 태풍 피해가 비교적 적은 연안을 중심으로 설치되고 있었다. 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frame has a floating structure, when the typhoon occurs, the frame often breaks down. Therefore, the conventional cage frame floated on the surface of the water was installed around the coast where the damage of the typhoon was relatively small.

이와 같은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76227호(공고일 : 2008.12.26)에는 부유 및 잠수가 가능한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파성 이동식 가두리는, 내부식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원통체로 된 메인프레임(11)의 양측단부가 체크밸브(21)를 갖는 플랜지관(20)에 의해 연결되며, 메인프레임(11) 내측에는 내부식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재질의 봉체로 된 무게링(30)이 내장되며, 하부 일측면에는 해수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밸브(12)가 장착되고, 플랜지관(20)에 의해 연결된 메인프레임(11)의 안쪽둘레면에는 수중으로 펼쳐지는 그물망(50)이 연결고리(13)에 묶음 결합 되고, 바깥둘레면에는 수개의 부구(14)가 연결고리(13)에 묶음결합되며, 상면에는 덮개 역할을 수행하는 상부그물망(51)이 분리가능토록 상부그물망의 테두리가 연결끈으로 연결고리(13)에 묶음결합되고, 그물망(50)의 하단부에는 로프(43)에 의해 무게추(42)가 매달린 하부링(40)이 결합되며, 하부링(40)의 저면에는 하부그물망(52)이 결합되고, 그물망(50)의 중앙부에는 수개의 보조링(44)이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무게링(30)에 의해 높은 파고나 심한 조류의 영향에도 메인프레임(11)이 요동치지 않고 안정적인 부유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기상조건이 악화되거나 적조가 발생하면 가두리(10)를 잠수시켜 어류를 안전하게 수중으로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uch conventional technolog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876227 (Publication Date: Dec. 26, 2008) discloses a ridge wave movable cage capable of floating and diving. As shown in Fig. 1, the internal-wave movable cage is constructed such that both end portions of a main frame 11 made of a polyethylene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are connected by a flange tube 20 having a check valve 21, Inside the frame 11, a weight ring 30 made of a polyethylene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is incorpor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ame 11, an inlet valve 12 through which seawater can enter and exit is mounted, A mesh net 50 extending in the water is bundled to the linking ring 13 and a plurality of ports 14 are connected to the linking ring 13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frame 11, The rim of the upper ne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ing 13 by a connecting cord so that the upper net 51 can serve as a lid and the lower ne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net 50 by a rope 43, The lower ring 40 to which the weight 42 is suspended is engaged, A lower mesh network 52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ing 40. Several auxiliary rings 44 ar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mesh network 50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 high- So that the main frame 11 can be stably suspended without being influenced, and when the weather condition is deteriorated or red tide occurs, the cage 10 can be submerged and the fish can be safely evacuated to the water.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가두리는, 기상조건이 악화되거나 적조가 발생하면 잠수시킴으로써 수산자원을 수중으로 대피시킬 수 있었으나, 그 위치가 한곳으로 고정되어 었었기 때문에 태풍과 같은 파도에 의한 파손은 방지할 수 있었으나 적조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age of this structure was able to evacuate fishery resources by submerging when the weather conditions deteriorated or red tide occurred, but since the location was fixed to one place,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by waves like typhoon Howeve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ot free from red tide.

또한, 종래기술에 의한 가두리는 부상 및 잠수 기능만을 있었기 때문에 사료에 의해 주변 해역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남은 사료가 가라앉아 해저면에 쌓임으로써 해양을 오염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In addition, since the c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only a function of floating and diving,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marine area is contaminated by the feed. In other words, the rest of the feed was submerged and accumulated on the ocean floor, polluting the ocean.

한편, 종래기술에 의한 가두리는, 그물이 하부링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파도나 조류가 심한 경우에 망날림(조류에 의해 그물이 변형되어 어류와 마찰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어류의 피부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조류의 세기에 따라 용적율이 감소되어 사육공간의 협소로 인한 어류의 사육환경이 악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the c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net is supported by the lower rings, so that when a wave or an algae is severe, a net fly (a phenomenon in which the net is deformed due to algae and friction with the fish) And the volume ratio i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he algae, so that the breeding environment of the fish due to the narrowness of the breeding space is deteriorated.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76227호(공고일 : 2008.12.26). Korean Patent No. 10-0876227 (Published on December 26, 2008)

본 발명의 목적은, 잠수형 가두리장치로서 부상 및 잠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중에서 수평이동(장소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선된 사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자연재해로부터 가두리를 보호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bmerged cage apparatus capable of floating and submerging as well as providing an improved rearing environment by allowing selective horizontal movement (movement of the place) in water as needed, Thereby minimizing the dam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두리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의 구조를 기존의 구조와 다르게 하여 조류에 의한 망날림이나 변형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for preventing the structure of the frame forming the cage from being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ventional structure, and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net rusting or deformation due to algae.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t least partially solve the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arts. It can be understoo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공형으로 된 파이프들이 사육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연통되어 결합되고, 다각면체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각 변을 이루는 각 상기 파이프에 구비되는 그물망;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콤프레셔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상기 파이프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밸브와, 상기 파이프 내부로 해수를 유입시키거나 배출하도록 된 해수출입밸브로 이루어진 부침부; 상기 프레임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중량물; 및 상기 프레임부를 해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계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가두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 object can be attained by providing a hollow frame structure comprising: a frame part which is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form a breeding space; A mesh provided in each of the pipes forming each side of the frame portion; An air injection valve provided in the frame unit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generated in the compressor into the pipe, and a seawater inlet / outlet valve for introducing or discharging seawater into the pipe; A weigh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And a mooring part for fixing the frame part to the sea floor.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파이프의 각 단부가 결합되어 육각형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 상기 파이프의 각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같은 육각형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그 사이에 사육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하부 프레임을 연결하여 육각면체를 이루는 중간 프레임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부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에는 그물망을 걸기 위한 걸림고리들이 구비될 수 있다. Wherein the frame portion comprises: an upper frame having a hexagonal shape formed by joining the ends of the pipe; A lower frame coupled to each end of the pipe to form a hexagon like the upper frame; And intermediate frames formed by join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frames maintain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to form a hexagonal body,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and the intermediate frame There may be hooks for hooking the mesh.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지지 프레임들이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지지 프레임들의 상단부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upper frame, the support frames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support frames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작업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발판이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frame may be provided with a foot plate for use by an operator.

상기 계류부는, 부이와 앵커를 연결하는 메인로프; 및 상기 프레임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타단은 상기 메인로프에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로프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oring part includes: a main rope connecting the part and the anchor; And a plurality of support ropes each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the middle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main rope so as to maintain the frame portion in a horizontal state.

상기 메인로프에는, 상기 메인로프가 현수곡선을 이루도록 중간 침자와 체인이 구비되고, 메인로프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충하기 위한 중간부자가 설치될 수 있다. The main rope is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rope and a chain so that the main rope forms a suspension curve, and an intermediate rope for buffering the impact force acting on the main rope may be installed.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그물망은, 지퍼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지퍼를 구비할 수 있다. The mesh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may include a zipper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by a zipper.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부가 부상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잠수시에는 해상의 급이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해상에 부유하는 플랙시블한 구조의 급이관이 설치되되, 상기 급이관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급이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커플링을 구비하여 부력체와 결합될 수 있다.Wherein 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feed pipe of a flexible structure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when the frame is floated and floats in the sea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eeding device at the time of diving, One end of which is located inside the frame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buoyant body by having a connecting coupling for connection with the feeding device.

상기 중간 프레임의 양쪽에는, 상기 프레임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추진체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추진체는, 자체 전원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구비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frame, a propellant for moving the frame portion is provided, and the propellant may include a propeller driven by a self power or an external power source.

상기 메인로프와 지지로프는, 연결링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부이는, 2개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부이 연결링들에 의해 상기 연결링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추진체가 구동되어 상기 프레임부가 이동될 때, 상기 지지로프를 상기 메인로프와 분리하고 하나의 상기 부이만 상기 지지로프와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rein the main rope and the support rope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ring, the two parts being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buoy connecting rings, When the frame portion is moved, the support rope may be separated from the main rope and only one of the buoys may be connected to the support rope.

본 발명에 의하면, 잠수형 가두리장치의 프레임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류에 의한 망날림이나 변형 등이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두리장치에 잠수 및 부상 기능이 구비되고 이동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잠수 및 부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중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사육되는 생물에게 개선된 사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태풍이나 적조가 발생이 예보되면 가두리장치를 심해로 잠수시키거나, 적조 발생이 되지 않은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태풍의 영향이 적은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적조나 태풍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ame of the submergible cage apparatus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net crushing or deformation by algae, and the cage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diving and floating function and a moving means, An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move horizontally in water according to nee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mproved breeding environment for living creatures. In other words, if a typhoon or red tide is predicted to occur, the cage device can be submerged into deep sea, moved to a place where no red tide occurs, or moved to a place where the influence of typhoon is less, thereby minimizing damage caused by red tides or typhoons .

또한, 가두리의 골격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류에 의한 망날림이나 프레임이 변형되는 등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Also, since the frame of the cage is made of a polygonal shap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the net fly caused by the bird or the frame being deforme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가두리를 도시한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가두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잠수형 가두리장치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가두리장치에 급이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잠수형 가두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잠수형 가두리장치에 추진체가 구비된 상태를 표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잠수형 가두리장치가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잠수형 가두리장치가 해상풍력구조물에 적용되는 상태(계류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a cag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bmerged c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submerged cage apparatus shown in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eeding device is provided in a submerged cag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ubmerged cage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FIG. 8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pellant is provided in the submergible cage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FIGS. 9 and 10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the submergible cage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Figs. 11 and 12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bmerged cage apparatus shown in Fig. 2 is applied to an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 (mooring stat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가두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잠수형 가두리장치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가두리장치에 급이장치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잠수형 가두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3 and 4 are a plan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submergible cage apparatus shown in FIG. 2,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bmerged c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eeding device is provided in the device. 6 and 7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ubmerged cage apparatus shown in FIG.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잠수형 가두리장치(100)는, 중공형으로 된 파이프(220)들이 사육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연통되어 결합되고, 다각면체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부(200)와, 프레임부(200)의 각 변을 이루는 각 파이프(220)에 구비되는 그물망(300)과, 프레임부(200)에 구비되어 콤프레셔(410)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파이프(220)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밸브(420)와, 파이프(220) 내부로 해수를 유입시키거나 배출하도록 된 해수출입밸브(440)로 이루어진 부침부(400)와, 프레임부(200)의 저면에 구비되어 프레임부(200)가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중량물(500)과, 프레임부(200)를 해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계류부(600)를 포함한다. 2 to 7, the submergible cage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hollow pipes 220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breeding space, A mesh network 300 provided in each of the pipes 220 constituting each side of the frame unit 200 and a mesh network 300 provided in the frame unit 200 to supply the compressed air generated in the compressor 410 to the pipe An inflow port 400 for inflowing or discharging seawater into the pipe 220 and an inflow and outflow valve 440 for injecting or discharging the inside of the pipe 220, And a mooring part 600 for fixing the frame part 200 to the sea floor. The weight part 50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art 200 to keep the frame part 200 in a vertical position at all times.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프레임부(200)는, 가두리장치(100)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중공형 파이프(220)의 각 단부가 결합되어 육각형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240)과, 중공형 파이프(22)의 각 단부가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240)과 같은 육각형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260)과, 상부 프레임(240)과 하부 프레임(260)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그 사이에 사육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부 프레임(240,260)을 연결하여 육각면체를 이루는 중간 프레임(280)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프레임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면체의 골격을 이룬다. The frame part 200 constitutes the skeleton of the cage device 100 and includes an upper frame 240 having hexagonal shapes each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hollow pipe 220, The upper frame 240 and the lower frame 26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to form a hexagonal lower frame 260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frames 240 and 26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240 and 260 to form a hexahedron.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rame portion 200 is a skeleton of a hexagon.

그리고, 상,하부 프레임(240,260)과 중간 프레임(280)에는 그물망(300)을 걸기 위한 걸림고리(210)들이 구비된다. 이러한 걸림고리(210)는 그물망(300)을 걸어 고정한 후 구부려 그물망(300)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할 수도 있고, 개폐형 비너(carabiner) 등으로 구성되어 그물망(30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frames 240 and 260 and the intermediate frame 280 are provided with hooks 210 for hooking the mesh 300. The hooking ring 210 may be fixed by hanging the net 300 and then bent so as to prevent the net 300 from being separated. Alternatively, the hooking ring 210 may be made of a carabiner or the like to easily engage and disengage the net 300. [ .

상부 프레임(240)에는 다수개의 지지프레임(242)들이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고 각 지지프레임(242)들의 상단부는 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부 프레임(240)에는 작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발판(244)이 구비된다. 이러한 발판(244)은 작업자가 지지프레임(242)을 잡고 발판(244)을 밟으며 가두리장치(100)를 정비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The upper frame 24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242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upper ends of the support frames 24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upper frame 240 is provided with a foot plate 244 that can be used by an operator. The footrest 244 may be used when an operator grasps the support frame 242 and steps on the footstep 244 to maintain the cradle apparatus 100.

상부 프레임(240)에는, 프레임부(200)가 부상한 상태에서는 상부 프레임(240)에 결합되고, 잠수시에는 해상의 급이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해상에 부유하는 플랙시블한 구조의 급이수단(800)이 구비된다. 급이수단(800)은, 사료가 공급되도록 구성되고 플렉시블하며 신축 가능하도록 된 급이관(810)의 일단은 프레임부(200)의 상부 프레임(240)의 내부에 위치하고, 급이관(810)의 타단은 해상의 급이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커플링(830)을 구비하여 부력체(820)와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급이수단(800)은 가두리장치(100)가 잠수하였을 때에는 급이관(810)이 늘어나면서 부력체(820)에 고정된 연결 커플링(830)과 가두리장치(100)를 연결한다. 따라서, 가두리장치(100)가 잠수한 상태에서도 사료의 공급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두리장치(100)가 이동하더라도 부력체(820)가 자유롭게 가두리장치(100)를 따라 이동되므로 급이장치와의 연결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upper frame 240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240 in a state in which the frame unit 200 is lifted and is flexibly suspended in the sea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a water feeding device A feeding means 800 of one structure is provided. One end of the feed pipe 810 which is configured to feed the feed and is flexible and stretchable is located inside the upper frame 240 of the frame part 200 and is connected to the feed pipe 810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with the buoyant body 820 by having a coupling coupling 830 for connecting with the water feeding device. When the cage device 100 is submerged, the feeding device 800 extends the feed pipe 810 and connects the cage device 100 to the connection coupling 830 fixed to the buoyant body 820. Accordingly, even when the cage apparatus 100 is submerged, feeding of the feed can be performed smoothly. Even if the cage apparatus 100 moves, the buoyant body 820 is freely moved along the cage apparatus 100, The connection can be made smoothly.

한편, 상부 프레임(240)에 결합되는 그물망(300)은, 도 2에 도시된 확대도와 같이 지퍼(31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 프레임(240) 쪽에 결합되는 그물망(300)에 지퍼(310)가 구비되는 것은, 가두리장치(100)가 잠수하였을 때, 어류가 이탈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물망(300)을 개폐하는 동작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그물망(30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Meanwhile, the mesh 300 coupled to the upper frame 240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zipper 310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The provision of the zipper 310 on the mesh 300 coupled to the upper frame 240 prevents the fish from escaping when the cage 100 is submerged and opens and closes the mesh 300. [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and easi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onfigurations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mesh 300 may be applied.

이러한 그물망(300)의 재질은 나일론 랏셀 그물망, 구리망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기타 규격은 일반가두리의 경우와 같다. 표층 천장망(상부 프레임에 결합된 그물망)은 지퍼(310)에 의해 몸그물(중간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에 결합된 그물)과 분리되도록 구성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잠수시에도 어류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지퍼(310)는 본 실시예에서 원형으로 설치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T"자 또는 "E"로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그물망(300)은 부착생물의 저감문제, 망갈이, 편리성, 경제성과 연관하여 재료를 황동 어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The material of the mesh 300 can be nylon Rassel mesh, copper mesh, etc. Other specifications are the same as those of a general rim. The top layer ceiling net (net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body net (net connected to the middle frame and the lower frame) by the zipper 310, . At this time, although the zipper 310 is provided in a circular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zipper 310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provided with a "T" character or an "E" character. On the other hand, the mesh 300 may constitute a brass netting material in connection with the problem of abatement of attached organisms, mangalis, convenience, and economy.

중량물(500)은, 프레임부(200)의 하부 프레임(260)에 결합되어 프레임부(200)가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연결체인이나 연결로프에 의해 하부 프레임(260)과 연결된다. 이러한 중량물(500)이 구비되어 프레임부(200)를 항상 하부로 당기는 역할을 하게 됨으로써 가두리장치(100)가 조류에 의해 옆으로 넘어지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The heavy object 500 is coupled to the lower frame 260 of the frame unit 200 to keep the frame unit 200 in a horizontal state at all times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frame 260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chains or connecting ropes, Lt; / RTI > Such a heavy object 500 is provided to always pull the frame part 200 downward, thereby preventing the cage device 100 from being sideways by the algae.

계류부(600)는, 부이(610)와 앵커(620)를 연결하는 메인로프(630)와, 프레임부(20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부 프레임(240), 중간 프레임(280) 및 하부 프레임(260)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타단은 메인로프(630)에 연결링(632)들에 의해 연결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로프(640)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메인로프(630)에는, 메인로프(630)가 현수곡선을 이루도록 중간 침자(634)와 체인(635)이 구비되고, 메인로프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충하기 위한 중간부자(636)가 설치된다. 메인로프(630)가 중간 침자(634)와 체인(635)의 무게에 의해 현수곡선을 형성하게 되므로, 가두리장치(100)에 급격한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메인로프(630)는 전달되는 급격한 하중을 완충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중간부자(636)가 메인로프(630)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충하게 된다. The mooring unit 600 includes a main rope 630 connecting the buoy 610 and the anchor 620 to each other so that the frame unit 200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And one end of each of the support ropes 640 is connected to the main rope 630 by connection rings 632. [ The main rope 630 is provided with a middle rope 634 and a chain 635 so that the main rope 630 forms a suspension curved line and an intermediate rope 636 for buffering impact force acting on the main rope is installed do. Since the main rope 630 forms a suspension curved line by the weight of the intermediate rope 634 and the chain 635, even if a sudden load is generated in the cage apparatus 100, the main rope 630 can buffer And particularly the middle portion 636 absorbs the load acting on the main rope 630. [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잠수형 가두리장치에 추진체가 구비된 상태를 표현한 개략적 평면도이다. FIG. 8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pellant is provided in the submergible cage apparatus shown in FIG. 2. FIG.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프레임(280)의 양쪽에는, 프레임부(200) 즉 가두리장치(100)를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중용 추진체(700)가 각각 마련되고, 추진체(700)는, 자체 전원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710)를 구비한다. 이러한 추진체(700)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좌측의 추진체(700)와 우측의 추진체(700)를 각각 제어하여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중용 추진체(700)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8, a water frame propellant 700 for moving the frame part 200, that is, the cage device 100 to another posi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frame 280, Has a propeller (710) driven by its own power source or external power source. Such a propellant 700 can be controlled wirelessly or by wire, and can control the direction of movement by controlling the propellant 700 on the left side and the propellant 700 on the right side, respectively. Such a propellant for water use 700 is a well-known technology,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프레임부(200)의 양쪽에 추진체(700)가 구비되는 경우에, 전술한 계류부(6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메인로프(630A)에 결합된 큰 연결링을 메인 연결링(632A)으로 하고, 지지로프와 연결된 연결링을 지지로프 연결링(632B)로 하며, 각 제1 부이(610A), 제2 부이(610B), 제3 부이(610C)를 지지로프 연결링(632B) 또는 메인 연결링(632A)에 연결하는 연결링을 부이 연결링(632C)으로 한다.
전술한 계류부(6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로프(630A)의 단부에 하나의 큰 메인 연결링(632A)이 결합되고, 지지로프(640)의 단부는 서로 결합된 상태로 하나의 지지로프 연결링(632B)에 의해 메인 연결링(632A)에 연결되며, 부이(610)는 제1 부이(610A)와 제2 부이(610B) 및 다른 위치에 배치된 새로운 제3 부이(610C)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조는, 가두리장치(100)가 각 추진체(700)에 의해 이동할 때, 제1 부이(610A)는 메인로프(630A)과 연결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고, 제2 부이(610B)는 지지로프(640)와 연결된 지지로프 연결링(632B)과 결합됨으로써 메인로프(630A)와 분리된다. 따라서 가두리장치(100)가 이동될 수 있다. 즉, 가두리장치(100)가 이동될 때 제1,2 부이(610A,610B)는 서로 분리되고, 메인로프(630A)와 지지로프(640)가 분리되어 가두리장치(100)의 이동이 허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가두리장치(100)가 새로운 장소로 이동되면, 그 이동된 장소에 미리 설치된 메인로프(630B) 및 제3 부이(610C)를 지지로프(640)의 지지로프 연결링(632B) 및 제2 부이(610B)와 연결하여 이동이 완료된 가두리장치(100)를 새로운 장소에 계류시키는 것이다.
When the propellant 70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ame unit 200, the mooring unit 600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configured as shown in FIGS. 9 and 10. FIG. Hereinafter, a large connecting ring coupled to the main rope 630A is referred to as a main connecting ring 632A, a connecting ring connected to the supporting rope is defined as a supporting rope connecting ring 632B, and each of the first buoy 610A, The connection ring for connecting the buoy 610B and the third buoy 610C to the support rope connecting ring 632B or the main connecting ring 632A is referred to as a buoy connecting ring 632C.
9 and 10, one large main connection ring 632A is coupled to an end of the main rope 630A, and the ends of the support rope 640 are coupled to each other Is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ing ring 632A by one support rope connecting ring 632B in a state where the first buoy 610A and the second buoy 610B and the new buoy 610A, 3 buoy 610C. This structure is such that when the cage apparatus 100 is moved by each propellant 700 the first buoy 610A is connected and fixed in position to the main rope 630A and the second buoy 610B is fixed in position, And is joined to the support rope connection ring 632B connected to the main rope 640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rope 630A. So that the cage device 100 can be moved. That is, when the cage apparatus 100 is moved, the first and second buoys 610A and 610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main rope 630A and the support rope 640 are separated to allow movement of the cage apparatus 100 . Of course, when the cage device 100 is moved to a new location, the main rope 630B and the third buoy 610C, which are previously installed in the moved location,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rope connecting ring 632B of the support rope 640, The cage apparatus 100 connected to the buoy 610B is moved to a new place.

정리하면, 메인로프(630A,630B)와 지지로프(640)는, 연결링(632,632A,632B)들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부이(610)는, 제1 부이(610A), 제2 부이(610B) 및 새로운 위치에 배치된 제3 부이(610C)로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각 부이(610)들을 연결하는 각 부이 연결링(632C)들에 의해 메인 연결링(632A)에 각각 연결되며, 추진체(700)가 구동되어 가두리장치(100)의 프레임부(200)가 이동될 때, 지지로프(640)를 전술한 과정으로 메인로프(630A)와 분리하고 하나의 제2 부이(610B)만 지지로프(640)와 연결하도록 된 것이며, 가두리장치(100)가 새로운 곳으로 이동된 후에는, 제2 부이(610B)를 제3 부이(610C)와 연결하고 지지로프(640)도 제3 부이(610C)와 연결하는 것이다. 이때, 제3 부이(610C)는 새로운 메인로프(630B)와 메인 연결링(632A)으로 연결된 상태이다. In summary, the main ropes 630A, 630B and the support ropes 640 are re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on rings 632, 632A, 632B, and the buoy 610 is connected to the first buoy 610A, Are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ion ring 632A by respective secondary connection rings 632C which are independently formed from each other by a second partition 610B and a third partition 610C disposed at a new position, And the support rope 640 is separated from the main rope 630A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when the propellant 700 is driven and the frame portion 200 of the cage device 100 is moved, and one second portion 610B After the cage apparatus 100 is moved to a new location, the second buoy 610B is connected to the third buoy 610C and the support rope 640 is also connected to the support rope 640, Lt; RTI ID = 0.0 > 610C. ≪ / RTI > At this time, the third buoy 610C is connected to the new main rope 630B and the main connection ring 632A.

이와 같이 구성된 가두리장치(100)의 잠수 및 부상 작용 및 이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diving, floating, and moving processes of the cage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장치(100)의 프레임부(200)의 내부에 압축공기를 주입하고, 해수를 배출하면, 프레임부(200)가 부력을 갖게 되므로 부상하게 된다. 이때, 압축공기의 공급량과 해수의 배출량을 조절함으로써 가두리장치(100)의 부상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when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frame part 200 of the cage device 100 and the seawater is discharged, the frame part 200 floats because it has buoyancy. At this time, the degree of floating of the cage apparatus 100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supply amount of compressed air and the discharge amount of seawater.

이와 같이 가두리장치(100)가 부상한 상태에서 작업자 발판(244) 위에서 작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육이 완료된 어류를 출하하거나, 가두리장치(100)를 정비하는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aretaker 100 can work on the worker's foot plate 244 in a floating stat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work such as shipment of breeding fish, maintenance of cage apparatus 100, and the like.

이러한 상태에서, 적조가 예상되거나 태풍이 예상되어 가두리장치(100)를 잠수시켜야 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상부 쪽 그물망(300)의 지퍼(310)를 닫는다. 이어서, 프레임부(200)에 마련된 공기주입밸브(420)를 제어하여 공기를 배출하고, 이와 동시에 해수출입밸브(440)를 제어하여 해수를 주입한다. 이 과정으로 프레임부(200)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배출되고 해수가 주입되므로 프레임부(200)는 가라앉게 된다. 이때, 공기의 배출량이나 해수의 주입량을 제어함으로써 가두리장치(100)의 잠수깊이를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red tide is expected or a typhoon is expected and the cage apparatus 100 is to be submerged, the operator closes the zipper 310 of the upper net 300. Subsequently, the air injection valve 420 provided in the frame unit 200 is controlled to discharge air, and at the same time, the seawater inlet / outlet valve 440 is controlled to inject seawater. In this process, since the air inside the frame part 200 is discharged and the sea water is injected, the frame part 200 sinks. At this time, the diving depth of the cage apparatus 100 can be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or the amount of sea water injected.

한편, 가두리장치(100)가 잠수할 때 급이장치(800)의 급이관(810)은 늘어나기 때문에 연결 커플링(830)과 부력체(820)는 해수면에 위치하고, 연결 커플링(830)과 가두리장치(100)는 급이관(81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사료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심해로 잠수하는 경우에는 급이관(810)을 추가로 연결할 수도 있다. Since the feed pipe 810 of the feeding device 800 is extended when the cage device 100 is submerged, the connecting coupling 830 and the buoyant member 820 are located on the sea surface and the connecting coupling 830, And the cage device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feed pipe 810 to feed the feed. Of course, in the case of submerging in the deep sea, the feed pipe 810 may be further connected.

이와 같이 가두리장치(100)가 잠수한 상태에서, 강한 조류가 발생하더라도 그물망(300)이 육각면체 골격을 갖는 프레임부(200)에 지지되므로 그물망(300)이 조류에 의해 내측으로 변형되는 망날림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육되는 어류에 쾌적한 사육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net 300 is supported by the frame portion 200 having a hexagonal skeleton structure even when a strong alga is generated in the state where the cage device 100 is submerged, The phenomenon does not occu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easant breeding environment to the fishes being reared.

한편, 도 9 및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잠수형 가두리장치가 이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태풍이나 적조와 같은 자연재해가 예보될 경우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장치(100)를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9 and 10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of moving the submergible cage apparatus shown in FIG. When a natural disaster such as a typhoon or a red tide is predicted, the cage apparatus 100 can be moved to another place as shown in Figs. 9 and 10.

그 과정을 살펴본다. Let's look at the process.

가두리장치(100)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이(610A)와 제2 부이(610B)를 분리하되, 제1 부이(610A)는 메인로프(630A)와 메인 연결링(632A)으로 연결시키고, 제2 부이(610B)는 다른 지지로프 연결링(632B) 및 부이 연결링(632C)들을 이용하여 지지로프(640)과 연결한다. 이 과정으로 가두리장치(100)는 메인로프(630A)과 분리된 상태가 된다.9, the first buoy 610A and the second buoy 610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first buoy 610A is separated from the main rope 630A by a main connection Ring 632A and the second buoy 610B connects to the support rope 640 using another support rope connecting ring 632B and buoy connecting rings 632C. In this process, the cage apparatus 100 is separated from the main rope 630A.

이 상태에서 추진체(700)를 작동시켜 가두리장치(100)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장소에 미리 설치된 메인로프(630B)와 제3 부이(610C)가 연결된 메인 연결링(632A)에 제2 부이(610B)와 지지로프(640)를 지지로프 연결링(632B) 및 부이 연결링(632C)들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따라서 가두리장치(100)는 새로운 장소에서 메인로프(630B)에 계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새로운 장소로 이동된 가두리장치(100)는 별도의 계류수단에 의해 계류될 수도 있다. In this state, the propulsion body 700 is operated to move the cage apparatus 100 to a desired position. Then, as shown in FIG. 10, the main rope 630B and the third buoy 610C The second buoy 610B and the support rope 640 are connected to the main connection ring 632A using the support rope connecting ring 632B and the buoy connecting rings 632C. Thus, the cage device 100 can be moored to the main rope 630B at a new location. At this time, the cage apparatus 100 moved to a new place may be moored by a separate mooring means.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1 및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잠수형 가두리장치가 해상풍력구조물에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Meanwhil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11 and 12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ubmerged cage apparatus shown in Fig. 2 is applied to an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두리장치(100)는 해상풍력구조물(900)에 계류될 수 있고, 해상풍력구조물(900) 자체에 결합되어 계류될 수도 있다. 11 and 12, the cage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ored to an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 900 and moored to the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 900 itself.

즉,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상풍력구조물(900)에 도르래 장치(910)가 설치되고, 가두리장치(100)의 계류부(600)가 도르래 장치(910)에 연결됨으로써, 가두리장치(100)가 부상하거나 잠수할 때 계류부(600)가 도르래 장치(91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부상이나 잠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도르래 장치(910)를 조작하여 가두리장치(100)를 부상시키거나 잠수시킬 수도 있다. 이때 도르래 장치(910)의 로프 일부분은 해상풍력구조물(900)의 상부에 설치된 도르래에 지지되고 다른 부분은 해상풍력구조물(900)의 하부에 설치된 도르래에 지지되고, 계류부(600)가 이 로프에 결합되므로 가두리장치(100)의 부상과 잠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11 (a), the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 900 is provided with the pulley device 910, and the mooring part 600 of the cage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pulley device 910 When the cage apparatus 100 floats or sinks, the mooring unit 600 is moved upward and downward by the pulley apparatus 910 to smoothly float or dive, and by operating the pulley apparatus 910, (100) may be floated or submerged. At this time, a part of the rope of the pulley device 910 is supported by the pulley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 900 and the other part is supported on the pulley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 900, The cage device 100 can be smoothly lifted and dived.

그리고,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두리장치(100)는 두 개의 해상풍력구조물(900) 사이에 전술한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11 (b), the cage device 10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two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s 900 in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수형 가두리장치(100)가 부상하면, 발판(244)은 관광 레저용 낚시터로 활용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2, when the submergible cage apparatus 100 floats, the foot plate 244 may be utilized as a fishing port for tourism and leisur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가두리장치 200 : 프레임부
300 : 그물망 400 : 부침부
500 : 중량물 600 : 계류부
700 : 추진체 800 : 급이수단
900 : 해상풍력발전구조물
100: cage device 200: frame part
300: mesh network 400:
500: Heavy item 600: Mooring part
700: Propellant 800: Feeding means
900: offshore wind power structure

Claims (10)

중공형으로 된 파이프들이 사육공간이 형성되도록 서로 연통되어 결합되고, 육각면체를 포함하는 다각면체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의 각 변을 이루는 각 상기 파이프에 구비되는 그물망;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콤프레셔에서 발생된 압축공기를 상기 파이프 내부로 주입하기 위한 공기주입밸브와, 상기 파이프 내부로 해수를 유입시키거나 배출하도록 된 해수출입밸브로 이루어진 부침부; 상기 프레임부의 저면에 구비되는 중량물; 및 상기 프레임부를 해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계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파이프의 각 단부가 결합되어 육각형을 이루는 상부 프레임; 상기 파이프의 각 단부가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과 같은 육각형을 이루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그 사이에 사육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상,하부 프레임을 연결하여 육각면체를 이루는 중간 프레임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부 프레임과 중간 프레임에는 그물망을 걸기 위한 걸림고리들이 구비되며,
상기 계류부는,
부이와 앵커를 연결하는 메인로프; 및 상기 프레임부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 중간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 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 타단은 상기 메인로프에 결합되는 각각의 지지로프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프레임의 양쪽에는,
상기 프레임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추진체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추진체는, 자체 전원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펠러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로프와 지지로프는,
연결링에 의해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부이는, 2개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부이 연결링들에 의해 상기 연결링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추진체가 구동되어 상기 프레임부가 이동될 때, 상기 지지로프를 상기 메인로프와 분리하고, 하나의 상기 부이만 상기 지지로프와 연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가두리장치.
A frame part connected to the hollow pipe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breeding space and forming a skeleton of the polyhedron including a hexagon body; A mesh provided in each of the pipes forming each side of the frame portion; An air injection valve provided in the frame unit for injecting compressed air generated in the compressor into the pipe, and a seawater inlet / outlet valve for introducing or discharging seawater into the pipe; A weight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rame portion; And a mooring portion for fixing the frame portion to the sea floor,
The frame unit includes:
An upper frame having a hexagonal shape at each end of the pipe; A lower frame coupled to each end of the pipe to form a hexagon like the upper frame; And intermediate frames formed by joining the upper and lower frames so that the upper and lower frames maintain a predetermined gap therebetween to form a hexagonal body, and the upper and lower frames and the intermediate frame There are hooks for hanging the net,
The mooring unit includes:
A main rope connecting the part and the anchor; An intermediate frame, and a lower frame, and the other ends of the support ropes are coupled to the main rope so that the frame portion maintains a horizontal state,
On both sides of the intermediate frame,
A propellant is provided for moving the frame portion, and the propellant has a propeller driven by a self power or an external power source,
The main rope and the support rope,
Wherein the frame is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connecting ring, the two parts being independ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buoy connecting rings, and when the frame is moved by the propella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ope is separated from the main rope and only one of the sections is connected to the support rope.
Submersible cage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지지 프레임들이 수직으로 각각 결합되고, 각각의 지지 프레임들의 상단부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가두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pper fram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frames are ver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upper ends of the respective support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ubmersible cage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작업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발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가두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upper frame is provided with a footrest for use by an operator.
Submersible cage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로프에는,
상기 메인로프가 현수곡선을 이루도록 중간 침자와 체인이 구비되고, 메인로프에 작용하는 충격력을 완충하기 위한 중간부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가두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main rope,
Characterized in that a middle ladder and a chain are provided so that the main rope forms a suspension curve and an intermediate ladle is provided for buffering an impact force acting on the main rope.
Submersible cag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는 그물망은, 지퍼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지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가두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esh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comprises a zipper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by a zipper,
Submersible cag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프레임부가 부상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결합되고, 잠수시에는 해상의 급이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해상에 부유하는 플랙시블한 구조의 급이관이 설치되되, 상기 급이관의 일단은 상기 프레임부의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급이장치와 연결되기 위한 연결 커플링을 구비하여 부력체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형 가두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upper frame,
A feed pipe connected to the upper frame in a floating state of the frame part and floating in a floating manner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a feeding device in the sea when the boat is submerged,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buoyant body with a coupling coupling for connection with the feeding device.
Submersible cage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70084282A 2017-07-03 2017-07-03 Submersible cage device KR1018455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82A KR101845500B1 (en) 2017-07-03 2017-07-03 Submersible cag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282A KR101845500B1 (en) 2017-07-03 2017-07-03 Submersible cage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500B1 true KR101845500B1 (en) 2018-04-04

Family

ID=61975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282A KR101845500B1 (en) 2017-07-03 2017-07-03 Submersible cag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500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8642A (en) * 2018-12-20 2019-04-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A kind of laminaria culture device be easily managed, harvest, drying and its working method
WO2019222863A1 (en) * 2018-05-23 2019-11-28 Badinotti Chile S.A. Submersible multi-chamber cage for aquaculture
KR20200092089A (en) 2019-01-24 2020-08-03 우영수 Fish cultivation farm easy to feed
KR102180978B1 (en) * 2019-08-06 2020-11-19 김영식 Offshore submergible fish farm apparatus
KR20210061723A (en) * 2019-11-20 2021-05-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ultivating Facility Including Inclosed Ne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reof
CN116235809A (en) * 2022-12-08 2023-06-09 山东高烽畜牧科技有限公司 Floating movement pushing device of mariculture net cag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986Y1 (en) * 2004-11-16 2005-02-04 고지영 The underwater crawl fac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4986Y1 (en) * 2004-11-16 2005-02-04 고지영 The underwater crawl facility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2863A1 (en) * 2018-05-23 2019-11-28 Badinotti Chile S.A. Submersible multi-chamber cage for aquaculture
GB2589755A (en) * 2018-05-23 2021-06-09 Chile S A Badinotti Submersible multi-chamber cage for aquaculture
GB2589755B (en) * 2018-05-23 2023-06-14 Badinotti Chile S A Submersible multi-chamber cage for aquaculture
CN109548642A (en) * 2018-12-20 2019-04-02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A kind of laminaria culture device be easily managed, harvest, drying and its working method
KR20200092089A (en) 2019-01-24 2020-08-03 우영수 Fish cultivation farm easy to feed
KR102200748B1 (en) * 2019-01-24 2021-01-08 우영수 Fish cultivation farm easy to feed
KR102180978B1 (en) * 2019-08-06 2020-11-19 김영식 Offshore submergible fish farm apparatus
KR20210061723A (en) * 2019-11-20 2021-05-28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ultivating Facility Including Inclosed Ne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reof
KR102382732B1 (en) 2019-11-20 2022-04-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Cultivating Facility Including Inclosed Net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reof
CN116235809A (en) * 2022-12-08 2023-06-09 山东高烽畜牧科技有限公司 Floating movement pushing device of mariculture net cage
CN116235809B (en) * 2022-12-08 2023-11-24 菏泽鑫锟鹏机械股份有限公司 Floating movement pushing device of mariculture net ca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500B1 (en) Submersible cage device
EP3426024B1 (en) Semi-submersible fish farming system
KR100876227B1 (en) Floating and submersible piercing removable cages
KR101772341B1 (en) Cage facility for fish culture
KR101948670B1 (en) Center spar fish pen
JP3847587B2 (en) Fish farming system and method
KR102146159B1 (en) Submergible fish cage having double buoys and net made of multiple materials
KR101174864B1 (en) Apparatus for integrated multi-tropic aquaculture with a purpose of tourism
US7341021B2 (en) Submersible farm
JP2008518604A (en) Sacrifice for fish farming
CN105638532A (en) Submerged net cage
KR101947319B1 (en) Submersible marine aquaculture apparatus
KR102200748B1 (en) Fish cultivation farm easy to feed
KR101639477B1 (en) Float-type cage farm
JP2022002544A (en) System and method for fish culture
WO2004016079A1 (en) Fish enclosure
JP2007000039A (en) Oyster raft
KR19990055863A (en) Aquaculture Equipment
JP6149333B1 (en) Water swimming pool
WO2007125363A1 (en) Fish enclosure
KR101947320B1 (en) The method using submersible marine aquaculture apparatus
JP2004305042A (en) Method for cultivating bottom layer fishes such as flounder or turbot on sea bottom and method for feeding the fishes
CN110313428A (en) Large-scale finished product fish culture net cage
CN217136519U (en) Sea cucumber trapping device
JP2000245293A (en) Live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