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938Y1 -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 Google Patents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938Y1
KR200370938Y1 KR20-2004-0026952U KR20040026952U KR200370938Y1 KR 200370938 Y1 KR200370938 Y1 KR 200370938Y1 KR 20040026952 U KR20040026952 U KR 20040026952U KR 200370938 Y1 KR200370938 Y1 KR 2003709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milk bottle
milk
hea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키히로다카시
Original Assignee
차이,슈-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슈-첸 filed Critical 차이,슈-첸
Priority to KR20-2004-0026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9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9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9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6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for improv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7Teats having orthodontic properties, e.g. for promoting correct teeth develop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는 우유병으로 수유할 때 영유아의 구윤근 내의 표정근 단련에 사용된다.
그 중 우유병용 젖꼭지의 몸체부 내에는 후렉시블한 재질로 만들어진 컵 형상의 내부조립부가 수납된다. 상기 내부조립부의 기부면 주위에는 다수 개의 절단홈이 형성되고, 상기 젖꼭지의 머리부 및 몸체부의 연결부에는 경사부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영유아가 입술을 다물 때, 입술이 경사부를 붙잡고 몸체부를 압출하여 변형되게 함과 동시에 내부조립부도 이로 인하여 압출 변형되어 절단홈이 열리도록 하게 되고, 우유병 내의 내용물이 절단홈을 따라 젖꼭지의 머리부 쪽으로 유출되도록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NIPPLE FOR A NURSING BOTTLE}
본 고안은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유아의 입주위 표정근육을 훈련할 수 있도록 한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뇌출혈이나 뇌경색 등과 같은 뇌혈관 질병을 일으키는 신체 국부마비시에 항상 구강운동 기능을 돕는 적당한 건강회복기구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출원인은 구강건강회복기구를 연구 개발하여 구윤근 단련을 통하여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음을 발견함과 아울러, 영유아기 때부터 구윤근 내에 포함된 표정근육 단련의 필요성에 주의하게 되었다.
상기 표정근 특히 구윤근의 단련은 치매의 예방과 치료, 구강호흡, 코골기, 막힘형 수면시 무호흡증후군의 예방 및 개선, 충치 및 치주병 예방, 알레르기 및 감염병 병원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구윤근 발육기의 영유아 시기부터 단련을 시작하면 발육이 완전해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젖꼭지는 영유아가 젖을 빠는 동작을 완전하게 재현할 수가 없고, 광범위한 표정근육을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영유아 구윤근을 단련할 수 있는 우유병용 젖꼭지를 설계하여 제공하므로서 구윤근 내 표정근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한 우유병용 젖꼭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는,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는 후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용물이 유출되는 출구를 구비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몸체부 내에는 내용물의 유출을 제어하는 컵 형상의 내부조립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젖꼭지는 위아랫입술을 다물 때 젖꼭지의 변형을 촉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젖꼭지가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내용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컵 형상의 내부조립부를 압출 변형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머리부 및 몸체부의 연결부에는 위아랫입술로 붙잡기 위한 용도의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젖꼭지의 변형을 촉진하는 구조는 상기 머리부 및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구성 및 젖꼭지의 후렉시블한 성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컵 형상의 내부조립부의 기부면은 그 중심부가 오목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기부면의 외측 둘레에는 다수 개의 내외측 절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는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증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 몸체부는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짐에 따라 후렉시블한 성질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주위에는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후렉시블한 성질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가 우유병 덮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를 영유아가 입에 문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7의 영유아가 입술을 다물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를 나타내는 일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10": 젖꼭지, 11: 플랜지,
11a: 홀, 12, 12', 12": 몸체부,
13: 머리부, 14: 경사부,
15: 연결부, 16: 허리부,
17: 홈, 20: 내부조립부,
21: 플랜지베이스, 21a: 개구,
22: 컵, 22a: 절단홈,
23: 기부면, 23a: 오목면,
23b: 측면틈, 30: 우유병덮개,
31: 상단, 31a: 원형개구,
31b: 홈, 32: 나선무늬,
40: 우유병, 50: 음료.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를 설명한 것으로, 영유아는 위아랫입술을 다물어 젖을 압출하여 모유를 흡입하게 되는데, 이 영유아의 흡입동작은 구윤근 내에 포함된 영유아의 표정근을 단련하는 작용을 할 뿐만 아니라 발육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최근 수유환경의 변화에 따라 우유병을 사용하여 수유하는 상황이 주류를 이루고, 현재 시판되는 우유병은 구윤근을 사용할 필요가 없이 우유를 먹을 수 있어 현재 영유아의 구윤근은 거의 훈련받을 기회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젖을 빨아먹는 동작이 구윤근 내에 포함된 영유아의 표정근을 단련시킨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우유병을 사용하여 수유하면서도 모유를 빠는 동작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우유병용 젖꼭지를 고안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가 우유병 덮개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흡입구는 인체 유두 및 유방 주위 형상을 모방한 우유병용 젖꼭지(10) 및 컵 형상의 내부조립부(20)로 구성된다.
상기 컵형상의 내부조립부(20)는 젖꼭지(10)의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우유병용 젖꼭지(10)는 고무, 실리카겔, 폴리에스터 일러스터머(polyesterelastomer), 스틸렌 일러스터머(styrene elastomer) 등 굽어지는 성질의 재료로 제조되었으며, 플랜지베이스(21) 및 컵형상의 본체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조립부(20)는 몸체부(12)의 내부 측면 중앙의 공간에 수납되어 있다.
또, 상기 내부조립부(20)는 임의대로 상기 젖꼭지(10)에 탈착할 수 있어, 위생적인 관점에서 보면, 씻을 때 상기 내부조립부(20)를 젖꼭지(10)로부터 분리시켜 각각 씻을 수가 있는 한편, 경제적인 관점에서 보면, 상기 내부조립부(20)나 젖꼭지(10)가 파손되었을 때 파손된 부분만 교환하면 된다.
상기 젖꼭지(10) 머리부(13)의 상단 중앙부에 머리부(13)로부터 음료를 유출할 수 있는 개구(13a)가 한 개 있는데, 이는 음료가 유출되도록 하는 구멍으로 그 형상은 원형으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젖꼭지(10)의 몸체부(12)를 둘러싸고 있는 주변 둘레에는 플랜지(11)가 있고,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젖꼭지(10)는 우유병덮개(30)의 내측으로부터 우유병덮개(30)의 상단(31) 중앙부의 원형 개구(31a)를 관통하여 우유병덮개(30)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원형개구(31a)의 크기는 몸체부(12)의 바닥과 같다.
따라서, 상기 젖꼭지(10)를 우유병덮개(30)에 끼우고 그것을 바닥까지 눌렀을 때, 상기 플랜지(11)는 항상 상단(31)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조립부(20)의 본체는 컵(22)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컵(22)의 주위에는 상기 젖꼭지(10)의 플랜지(11)와 같은 치수의 플랜지가 구성된다.
상기 내부조립부(20)를 젖꼭지(10)에 끼워 넣을 때, 플랜지베이스(21)의 위쪽으로 향하는 면은 상기 플랜지(11)의 아래로 향하는 면과 밀착된다.
상기 우유병덮개(30) 내벽의 나선무늬(32)를 우유병(도시안됨)의 나선무늬와 돌려 맞출 때, 상기 플랜지(11) 및 플랜지베이스(21)는 상기 우유병 입구와 우유병덮개(30)의 내측 기부면 사이에 끼워지게 되는데, 이와 같이 우유병용 젖꼭지(10)가 우유병에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플랜지(11) 및 플랜지베이스(21)는 그 내용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 외에, 상기 우유병덮개(30)의 내측 기부면에는 환형의 홈(31b)이 한 개 있고, 젖꼭지(10)의 플랜지(11) 위에서 상기 홈(31b)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한 개의 홀(11a)이 있으며, 상기 내부조립부(20)의 플랜지베이스(21)에는 상기 홀(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한 개의 개구(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홈(31b)과 홀(11a) 및 개구(21a)는 빨아먹을 때의 통기홀로서, 상기 우유병 안과 밖의 기압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젖꼭지(10)의 머리부(13)는 대직경의 몸체부(12)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부분을 가리킨다.
이때, 상기 머리부(13)의 시작부분은 완만한 경사의 내측 방향으로 상승을 하면서 점차 경사가 증가되고, 상단에서 다시 완만해져 원형의 꼭대기를 형성하게 된다.
그 외, 상기 젖꼭지(10)의 외측 벽면의 머리부(13) 및 몸체부(12)의 연결부는 원주를 도는 경사부(1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머리부(13)는 모친 유방의 유두와 유사하고, 상기 경사부(14)는 유방의 주변부와 유사하다.
이와 같이, 영유아의 위아랫입술은 상기 경사부(14)를 붙잡을 수가 있고, 위아랫입술을 다물어 젖꼭지(10)의 변형을 촉진하여 영유아가 젖을 빨아먹는 동작을 충실히 재현할 수가 있게 된다.
본 실시예 중에서, 상기 머리부(13)의 기부, 즉 몸체부(12)의 상단으로부터 머리부(13) 상단의 길이(d)는 예를 들어 15밀리미터(mm) 이내, 11밀리미터(mm) 내지 12밀리미터(mm) 범위 내가 가장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11.5밀리미터(mm)이다.
일반 우유병용 젖꼭지는 길어진 후의 모의 형상이고, 그 길이는 20밀리미터(mm) 이상이며, 본 실시예의 젖꼭지는 변형을 거치지 않은 모의 젖꼭지 형상이다.
그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이어,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의 내부조립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컵(22) 본체의 기부면(23) 중앙에는 약간 안쪽으로 움푹 패인 오목부(23a)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23a)는 컵(22) 본체의 다른 부분에 비해 그 두께가 비교적 두텁고 근성도 비교적 크다.
컵(22) 본체의 외측 표면에 8가닥의 대칭하는 대략 나선형의 절단홈(22a)이 있고, 상기 각 절단홈(22a)은 모두 측면의 일정한 높이로부터 모선을 따라 위쪽 기부면(23)까지 형성된 후 상기 기부면(23) 중심으로부터 약간 왼쪽으로 기울어져 오목부(23)의 가장자리까지 뻗어 형성된다.
상기 오목부(23a)를 감싸고 있는 상기 기부면(23)의 외측은 굽어지는 볼록형태로 이루어지고, 컵(22) 본체의 측면 연결부는 절단홈(22a)에 의해 8개의 공간으로 분리된다.
또, 각각의 공간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 가닥의 측면틈(23b)이 있다.
이 외에, 상기 플랜지베이스(21)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길이의 개구(21a)가 설계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21a)는 플랜지베이스(21)에 의해 상기 젖꼭지(10)의 플랜지(11) 위의 홀(11a)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설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흡입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은 영유아가 흡입구를 빨아 우유병(40) 내부의 음료(50)를 취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상기 젖꼭지(10)를 영유아가 입술을 벌려 입속에 넣은 상태에서 아직 젖꼭지(10)를 압출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영유아가 양 입술로 음료를 빨아먹는 상태로 입술로 젖꼭지(10)의 몸체부(12)를 "A" 방향으로 압출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에서는, 영유아의 입술은 아직 다물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젖꼭지(10)는 변형되지 않았고, 상기 내부조립부(20)도 외부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이다.
이때, 기부면(23)의 측면틈(23b)은 닫혀서 막혀 있으므로, 우유병(40) 내의음료(50)가 유출되지 않는다.
도 8에서는, 영유아는 입술로 젖꼭지(10)의 몸체부(12) 양측("A" 방향)을 압출하여 빨아먹는다.
이때, 영유아의 위아랫입술은 젖꼭지(10)의 경사부(14)에 놓여, 몸체부(12)와 머리부(13)의 연결부를 확실하게 장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영유아는 위아랫입술을 다물어 몸체부(12)의 변형을 촉진하여 젖을 빨아먹는 동작을 재현하게 된다.
상기 젖꼭지(10)의 몸체부(12) 변형을 따라 상기 컵(22) 본체의 선단부분은 압출 변형 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기부면(23)의 굽어지는 정도가 변형되어 절단홈(23b)이 열리게 되고, 우유병(40) 내의 음료(50)는 절단홈(23b)을 거쳐 출구(13a)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때 영유아가 젖꼭지를 빨기만 하면 우유병(40) 내의 음료(50)가 출구를 거쳐 영유아의 입속으로 보내지게 된다.
또한, 측면틈(23b)은 오목부(23b)의 근성이 기부면(23)의 굽어지는 부분보다 크도록 한 설계 및 컵(22) 본체의 표면 절단홈의 설계를 통해 측면틈(23b) 부근의 비틀어짐이 최대가 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부(12)가 압출되어질 때 쉽게 열리는 구조가 된다.
일반적으로, 영유아가 모유를 빨아먹을 때, 혀끝으로 유두를 위턱으로 밀게 되는데, 종래의 우유병용 젖꼭지는 젖꼭지 머리가 비교적 길고, 상단이 설근에 이르러 유두의 전단을 혀끝으로 위턱까지 미는 동작을 쉽게 재현할 있으므로 설두를단련하는 작용을 할 수가 없게 된다.
이점에 대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젖꼭지(10)는 머리부(13)의 길이를 축소하고 닿는 설첨의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유아가 확실하게 혀끝을 이용하여 젖꼭지(10)의 머리부(13)를 위턱까지 밀어내지 않으면 음료(50)가 나오지 않도록 하므로서, 이와 같은 동작의 반복을 통해 혀근육을 자극할 수가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는 영유아가 모유를 빨아먹는 동작을 보다 충실하게 재현할 수가 있고, 구윤근 내 표정근을 영유아기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젖꼭지는 영유아가 모유를 흡입할 때의 설첨운동을 재현할 수 있어 구윤근을 중심으로 하는 표정근 운동 이외에 연동하는 설첨운동도 재현될 수가 있어 보다 효과적인 단련을 달성할 수가 있게 된다.
예컨대, 일반적인 우유병용 젖꼭지의 구조는 빨기만 하면 우유가 나올 수 있도록 이루어지지만, 본 고안에서의 실시예는 비록 우유병을 사용하여 수유하지만 영유아가 섭취하는 것 외에 입술과 혀끝을 사용하여야만 종합적인 빨아먹는 동작을 달성할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조립부(20)는 본 고안의 실시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압출하지 않을 때에는 유통되지 않고 압력을 가했을 때만 유통되는 기능을 갖는 기타 구조로 변경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는 젖꼭지(10')의 구조가 제 1실시형태와 다른 것 외에 대부분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의 젖꼭지(10')는 플랜지(11), 몸체부(12'), 머리부(13)로 구성된다.
상기 머리부(13)와 몸체부(12')의 연결부(15)는 젖꼭지(10')의 다른 곳 두께보다 두텁게 구성된다.
그 외, 상기 몸체부(12')의 단면도에서 보면 측벽에 허리모양의 허리(16)가 나타나는데, 측벽의 국부는 주위보다 얇게 형성되어지고, 다른 구조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는 제 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의 젖꼭지(10')는 머리부(13)와 몸체부(12')의 연결부 두께가 두꺼운 관계로 이 곳의 근성이 향상된다.
또한, 젖꼭지(10)의 몸체부(12')가 비교적 얇은 구조는 이 곳의 굽어지는 성질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입술이 유방 주변부와 유사한 연결부(15)를 비교적 쉽게 잡을 수 있어 몸체부(12')도 비교적 쉽게 비틀어져 변형된다.
이에 따라, 영유아가 입술로 젖꼭지를 빨아 우유를 흡수하는 것도 비교적 용이해진다.
이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를 나타내는 일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는 젖꼭지 몸체부(12")의 구조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와 다른 것 이외에 대부분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젖꼭지(10")는 플랜지(11), 몸체부(12") 머리부(13)로 구성된다.
상기 젖꼭지 몸체부(12")의 측벽상에 외원주를 두르는 사선으로 표시되는 홈(17) 영역내에 여러 가닥의 사선방향 홈을 설계하고 있다.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는 상기 제 2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실시예에 따른 젖꼭지(10")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와 같고, 상기 머리부(13)와 몸체부(12")의 연결부를 두텁게 하므로서, 그 근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유방 주변부와 유사한 연결부는 입술을 사용하여 비교적 쉽게 붙잡을 수 있고, 젖꼭지 몸체부(12")의 굽어지는 정도도 측벽에 여러 가닥의 홈(17)이 설계되어 있으므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바로 유방 주변부와 유사한 연결부를 입술로 비교적 쉽게 붙잡아 상기 몸체부(12")도 비교적 쉽게 비틀어져 변형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유아가 입술로 젖꼭지(10")를 빨아 우유를 마시는 것도 비교적 용이해지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 1실시예 내지 제 3실시예에 따른 각종 구조는 모두 자유로이 조합 및 결합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우수한 실시예로서 본 고안을 기초로 한 다른 변형된 실시예들이 돌출 된다고 하더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고안에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에 따르면, 영유아가 모유를 빨아먹는 동작을 보다 충실하게 재현할 수는 효과가 있음과 더불어, 구윤근 내 표정근을 영유아기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단련할 수가 있는 효과도 있게 된다.

Claims (7)

  1.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는 후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이루어져 내용물이 유출되는 출구를 구비한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와 일체로 연결되는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몸체부 내에는 내용물의 유출을 제어하는 컵형상의 내부조립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젖꼭지는 위아랫입술을 다물 때 젖꼭지의 변형을 촉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젖꼭지가 변형됨과 동시에 상기 내용물이 유출되도록 하는 컵형상의 내부조립부를 압출 변형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및 몸체부의 연결부에는 위아랫입술로 붙잡기 위한 용도의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젖꼭지의 변형을 촉진하는 구조는 상기 머리부 및 몸체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의 구성 및 젖꼭지의 후렉시블한 성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형상의 내부조립부의 기부면은 그 중심부가 오목하게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기부면의 외측 둘레에는 다수 개의 내외측 절단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증가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그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짐에 따라 후렉시블한 성질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주위에는 다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후렉시블한 성질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KR20-2004-0026952U 2004-09-20 2004-09-20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KR2003709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952U KR200370938Y1 (ko) 2004-09-20 2004-09-20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952U KR200370938Y1 (ko) 2004-09-20 2004-09-20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938Y1 true KR200370938Y1 (ko) 2004-12-23

Family

ID=4935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952U KR200370938Y1 (ko) 2004-09-20 2004-09-20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9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29012B (en) Artificial nipple for a nursing bottle
JP3104866U (ja) 乳首
JP4886518B2 (ja) 瓶、特に哺乳瓶
JP4350524B2 (ja) おしゃぶり
JP5629081B2 (ja) 人工乳首およびこれを用いた哺乳器ならびにおしゃぶり玩具
RU2475229C2 (ru) Соска-пустышка
US10596074B2 (en) Oral Devices
WO2001074293A1 (fr) Anneau de dentition et plaque de support
JP4035574B2 (ja) 哺乳瓶用の吸口
US20020026218A1 (en) Baby pacifier
TW201345517A (zh) 奶嘴
CN218923271U (zh) 一种奶嘴及设有该奶嘴的奶瓶
KR200370938Y1 (ko)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US7934612B1 (en) Bottle nipple system
CN210673794U (zh) 一种用于奶瓶的重力球装置
US20210121371A1 (en) Orthotropic and Orthodontic Oral Device and Method
JP6447192B2 (ja) 哺乳びん用乳首
JP3940345B2 (ja) 吸口
JP3809126B2 (ja) ***器具
TW201124129A (en) Artificial nipple and nursing container using same
US20060011572A1 (en) Infant nursing nipple
EP1933802B1 (en) Soother
JP4979359B2 (ja) 哺乳瓶用人工乳首
JP7445326B1 (ja) 飲料用嚥下補助具
JP2622598B2 (ja) 哺乳器用乳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