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437Y1 -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 - Google Patents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437Y1
KR200361437Y1 KR20-2004-0015322U KR20040015322U KR200361437Y1 KR 200361437 Y1 KR200361437 Y1 KR 200361437Y1 KR 20040015322 U KR20040015322 U KR 20040015322U KR 200361437 Y1 KR200361437 Y1 KR 2003614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waste
container
cutter knif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3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태현
Original Assignee
정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현 filed Critical 정태현
Priority to KR20-2004-00153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4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4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4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2Guards or sheaths for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5/00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 B26B5/001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 B26B5/002Hand knives with one or more detachable blades with blades being slid out of handle immediately prior to use segmented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칼날을 모아서 한꺼번에 버릴 수 있도록 폐칼날 수거통이 형성됨으로서, 마모된 칼날을 절단할 때마다 버리지 않아도 되므로 폐칼날을 일일이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손으로 직접 주워서 버리지 않아도 되므로 손을 다칠 위험이 없는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A CUTTER COMBINE WITH VESSEL FOR USED BLADE}
본 고안은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폐칼날을 모아서 한꺼번에 버릴 수 있도록 수거통이 형성되고, 마모된 칼날을 절단할 때마다 버리지 않아도 되므로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손으로 직접 주워서 버리지 않아도 되므로 손을 다칠 위험이 없는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커터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종래의 커터칼은 커터칼 몸체(12)에 칼날(14)과 슬라이더(16)를 결합시킨 후 삽입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16)를 움직임으로서 칼날(1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칼날(14)이 마모되면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칼날이 마모되면 새로 구입하거나 칼날을 갈아서 사용해야 할 필요가 없어서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슬라이더(16)와 칼날(14)이 커터칼 몸체(12)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커터칼 몸체(12) 뒤쪽에는 커터칼 뚜껑(20)이 결합된다.
도 2는 종래의 커터칼을 이용하여 칼날을 절단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칼날(14)은 부분적으로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칼날(14)이 마모되어 무디어지면 커터칼 뚜껑(20) 후면부에 형성된 칼날 절단홈(28)을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다.
즉, 칼날(14)의 일부분만 마모되었을 경우, 칼날(14)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 마모된 부분만 절단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커터칼 뚜껑(20)에 칼날 절단홈(28)을 형성시킴으로서 별도로 칼날(14)을 절단시키기 위하여 도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마모된 칼날을 절단한 후, 절단된 칼날을 처리하는 데에서 불편함이 발생한다. 마모된 칼날을 절단한 후 그 때 그 때 버려야 한다는 것도 불편함 중의 하나이며, 게다가 절단된 칼날은 크기가 작고 두께도 얕아서 바닥이나 책상 등에떨어지면 손으로 줍기가 쉽지 않고, 손을 다칠 위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마모된 칼날을 절단하여 사용하거나 다 쓴 칼날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폐칼날을 처리하는 과정에서는 여전히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폐칼날을 모아서 한꺼번에 버릴 수 있도록 수거통이 형성되고, 마모된 칼날을 절단할 때마다 버리지 않아도 되므로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절단시킨 폐칼날을 손으로 직접 주워서 버리지 않아도 되므로 손을 다칠 위험이 없는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커터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커터칼을 이용하여 칼날을 절단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이 설치된 커터칼을 도시하는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이 설치된 커터칼을 도시하는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이 설치된 커터칼을 도시하는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커터칼 12: 커터칼 몸체
14: 칼날 16: 슬라이더
20: 종래의 커터칼 뚜껑 22: 뚜껑 몸체
24: 삽입부 26: 고정부
28: 칼날 절단홈 30: 본 고안의 폐칼날 수거통
32: 수거통 몸체 34: 삽입부
35: 고정부 36: 칼날 절단홈
38: 수납부 40: 배출구
42: 뚜껑 44a: 돌출부
44b: 걸림턱 46: 판스프링
48: 폐칼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은 칼날 절단홈과 연결되는 수납부가 내부에 구비되어 폐칼날을 보관하고, 하부에는 배출구를 구비한 수거통 몸체; 걸림턱을 결합 또는 분리시킴으로서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형성된 뚜껑; 및 폐칼날 수거통이 커터칼 몸체와 결합되도록, 커터칼 몸체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폐칼날 수거통은 상기 뚜껑이 원터치 방식으로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수거통 몸체와 뚜껑을 연결하여 설치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의 폐칼날 수거통은 뚜껑의 일부분을 유선형으로 절곡되게 형성하여, 걸림턱끼리 접촉할 때 뚜껑이 약간 휘어짐으로서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이 설치된 커터칼을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커터칼 몸체(12)는 칼날(14)과 슬라이더(16)가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고, 폐칼날 수거통(30)의 전면부에 형성된 삽입부(34)가 커터칼 몸체(12)의 뒤쪽에 삽입됨으로서 커터칼 몸체(12)와 폐칼날 수거통(30)이 결합된다.
본 고안의 폐칼날 수거통(30)은 커터칼 몸체(12)와 결합된 상태에서도 뚜껑(42)을 개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커터칼 몸체(12)와 폐칼날 수거통(30)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수거통 몸체(32)의 하부에 형성된 뚜껑(42)을 열어서 폐칼날을 버릴 수 있다.
또한, 종래에 비하여 커터칼 몸체의 길이를 줄였기 때문에, 수거통 몸체(32)가 형성되더라도 커터칼 전체의 길이에는 거의 차이가 없으므로, 휴대하는 데에도 불편함이 없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수거통 몸체(32)의 전면부에는 커터칼 몸체(12)에 삽입되어 폐칼날 수거통이 설치되도록 삽입부(34)가 형성된다. 수거통 몸체(32) 후면부에는 마모된 칼날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칼날 절단홈(36)이 형성되고, 절단된 칼날은 수거통 몸체(32) 내부에 구비된 수납부(38)에 보관된다.
수거통 몸체(32) 하부에는 폐칼날을 버릴 수 있도록 형성된 배출구(40)를 개폐하도록 뚜껑(42)이 형성되는데, 뚜껑(42)의 끝단이 수거통 몸체(32)보다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서 개폐시키기가 수월해지도록 한다. 그리고, 뚜껑(42)을 개폐할 때 약간 휘어져서 작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뚜껑(42)의 일부분은 유선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된다.
또한, 수거통 몸체(32)와 뚜껑(42)의 연결부분에는 판스프링(46)이 설치되어 원터치 방식으로 뚜껑(42)이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형성시키고, 수거통 몸체(32)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44b)과 결합되어 뚜껑(42)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돌출부(44a)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5(가)는 칼날(14)을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나)는 뚜껑(42)을 열어서 폐칼날(48)을 배출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칼날(14)의 마모된 부분을 칼날 절단홈(36)을 이용하여 절단시키면, 폐칼날(48)은 칼날 절단홈(36)과 연결되어 있는 수납부(48)에 보관된다. 수납부(20)는 다수개의 폐칼날(48)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칼날(14)을 절단할 때마다 버려야할 필요가 없어 매번 폐칼날(48)을 버려야 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또한 수거통 몸체(32) 하부에는 뚜껑(42)이 형성되는데, 상기 뚜껑(42)을 열어 배출구(40)를 개방시킴으로서 폐칼날(48)을 버리게 되므로, 칼날 절단 후 폐칼날(48)이 바닥에 떨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바닥에 떨어진 폐칼날(48)을 주워야 하는 불편함이나 손을 다칠 위험을 없애는 장점이 있다.
수거통 몸체(32)와 뚜껑(42) 후면부가 접하는 위치에 각각 걸림턱(44b)과 돌출부(44a)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4b)은 뚜껑(42)이 임의로 열리지 않도록 돌출부(44a)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면 뚜껑(42)이 개폐되도록 한다.
그리고, 뚜껑(42)을 개폐하기 쉽도록 뚜껑(42) 끝단의 길이를 연장시켜 수거통 몸체(32)로부터 약간 돌출되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42)의 일부분을 유선형 모양으로 형성함으로서, 뚜껑(42) 개폐시 돌출부(44a)와 걸림턱(44b)이 접촉할 때 뚜껑(42)이 약간 휘어지도록 하여, 뚜껑(44)이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거통 몸체(32)와 뚜껑(42)을 연결하도록 판스프링(46)이 설치되어, 뚜껑(42)이 원터치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한다.
폐칼날 수거통은 플라스틱 수지를 사출성형 방식으로 가공함으로서 제작된다. 그러므로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걸림턱(44)을 형성하여 뚜껑(42)이 잘 닫히고 개폐되도록 하는 것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뚜껑(42)을 열었을 때 폐칼날(48)이 배출될 정도로 충분하게 배출구(40)가 확보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때에는 손으로 직접 뚜껑(42)을 완전히 열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거통 몸체(32)와 뚜껑(42)의 연결부위에 판스프링(46)을 설치하여, 조금만 힘을 주어 뚜껑(42)을 밀면서 아래로 당기면 배출구(40)가 완전히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스프링(46)을 설치함으로서 뚜껑(42)을 개폐시키는 것이 쉬워지고, 수거통 몸체(32)에 보관되어 있는 폐칼날(48)을 폐기하는 것도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이 설치된 커터칼을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수거통 몸체(32)를 별도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커터칼 몸체(12)는 종래와 같이 형성하고, 여기에 결합되는 폐칼날 수거통(30)은 삽입부(34)는 종래와 유사하게 형성하고, 고정부를 변형시켜 수거통 몸체(32)가 고정부의 역할도 하게 된다.
수거통 몸체(32)는 커터칼 몸체(12)에 삽입되지 않으므로, 폐칼날 수거통(30)과 커터칼 몸체(12)가 결합된 상태에서도 뚜껑(42)을 열어서 폐칼날을 버릴 수 있게 형성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가)는 칼날(14)을 절단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도 7(나)는 뚜껑(42)을 열어서 폐칼날(48)을 배출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따르면, 수거통 몸체(32)를 비롯한 구성과 작동방식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동일하며, 수거통 몸체(32)가 설치되는 형상만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이 설치된 커터칼을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8에 따르면, 폐칼날 수거통은 종래의 커터칼 뚜껑 몸체의 뒷면에 수거통 몸체(30)를 추가로 형성한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폐칼날 수거통의 사용모습을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삽입부(34)와 고정부(35)가 설치되어 커터칼 몸체(12)와 결합되고, 그 후면부에 수거통 몸체(32)가 형성된다.
수거통 몸체(32)는 커터칼 몸체(12)에 삽입되지 않으므로 뚜껑(42)을 자유롭게 개폐시킬 수 있고, 구성 및 작동방법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동일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커터칼과 다소 형상이 다른 대형 커터칼에도 본 고안의 폐칼날 수거통을 형성하여 설치 및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은 폐칼날을 일일이 버리지 않고 모아서 한꺼번에 버릴 수 있도록 수거통이 형성되고, 마모된 칼날을 절단할 때마다 버리지 않아도 되므로 번거로움이 해소되며, 손으로 직접 주워서 버리지 않아도 되므로 손을 다칠 위험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에 있어서,
    칼날 절단홈(36)과 연결되는 수납부(38)가 내부에 구비되어 폐칼날(48)을 보관하고, 하부에는 배출구(40)를 구비한 수거통 몸체(32),
    배출구(40)를 개방하여 수납부(38)에 보관된 폐칼날(48)을 배출하며, 걸림턱(44b)과 결합되도록 돌출부(44a)가 형성된 뚜껑(42), 및
    폐칼날 수거통이 커터칼 몸체(12)와 결합되도록, 커터칼 몸체(12)에 삽입되는 삽입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2)이 원터치 방식으로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수거통 몸체(32)와 뚜껑(42)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판스프링(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
  3. 제 1항에 있어서,
    돌출부(44a)와 걸림턱(44b)이 접촉할 때 뚜껑(42)이 약간 휘어짐으로서 원활하게 개폐되도록 뚜껑(42)의 일부분을 유선형으로 절곡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
KR20-2004-0015322U 2004-06-02 2004-06-02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 KR2003614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322U KR200361437Y1 (ko) 2004-06-02 2004-06-02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322U KR200361437Y1 (ko) 2004-06-02 2004-06-02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437Y1 true KR200361437Y1 (ko) 2004-09-16

Family

ID=4934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322U KR200361437Y1 (ko) 2004-06-02 2004-06-02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43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4427B1 (en) Illuminating utility knife with easy-access spare blade drawer
US20120073142A1 (en) Cutting Apparatus
CA2683648A1 (en) Corn removal device
EP3663055A1 (en) Convertible utility knife
KR200361437Y1 (ko) 폐칼날 수거통을 구비한 커터칼
KR102037709B1 (ko) 물티슈 케이스 커버
KR200481507Y1 (ko) 손톱 비산방지 케이스
KR20080002643U (ko) 랩 케이스
US4934050A (en) Containment device for a nail clipper
US20050253004A1 (en) Pedal-operated trashcan type paper shredder
KR101910445B1 (ko) 칼날 커팅 장치
KR200270349Y1 (ko) 손톱깍이
JP2006204559A (ja) ホルダー付き爪切り
KR101529400B1 (ko) 과일류 및 채소류 박피용 칼
KR200404371Y1 (ko) 귀이개가 내장된 손톱깍이
GB2405090A (en) A nail collecting device for attaching to a nail clipper
JP4389077B2 (ja) リムーバ
KR200362134Y1 (ko) 손톱깎이의 손톱 캡쳐
KR200423483Y1 (ko) 손톱 비산 방지장치
US20060042092A1 (en) Nail care system with improved nail clipper
KR200443977Y1 (ko) 손톱 절단편 수납 케이스
CN219928280U (zh) 塑料底壳的存储箱
GB2360208A (en) Nail clipper with side blades
KR200340211Y1 (ko) 쓰레기통 덮개의 개폐구조
KR940006349Y1 (ko) 회전착탈식 밧데리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