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968Y1 - Rail for escape - Google Patents

Rail for esca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968Y1
KR200357968Y1 KR20-2004-0009822U KR20040009822U KR200357968Y1 KR 200357968 Y1 KR200357968 Y1 KR 200357968Y1 KR 20040009822 U KR20040009822 U KR 20040009822U KR 200357968 Y1 KR200357968 Y1 KR 2003579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dder
handrail
emergency
railing
evac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98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종식
Original Assignee
배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식 filed Critical 배종식
Priority to KR20-2004-00098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96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9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968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06Devices for preventing acces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6Securing devices or hooks for parts of extensible lad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08Special construction of longitudinal members, or rungs or other treads
    • E06C7/081Rungs or other treads comprising anti-slip fea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7/00Component parts, supporting parts, or accessories
    • E06C7/50Joints or other connec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forming part of a building, such as a balcony grid, window grid, or other window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 E06C9/08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 E06C9/12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with rigid longitudinal members laterally displac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에 사용되는 난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상시 발코니의 미려한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사다리를 아래로 펼쳐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ailings used in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in particular, evacuation to escape quickly and stably to the downstairs by spreading the ladder down in case of emergency such as fire without harming the beautiful appearance of the balcony. It is about dragon railings.

Description

피난용 난간{Rail for escape}Rail for escape {Rail for escape}

본 고안은 아파트 등의 고층건물에 적용되는 피난용 난간에 관한것으로, 특히, 특히, 평상시 발코니의 미려한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화재 등의 긴급상황 발생시 사다리를 아래로 펼쳐 아래층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evacuation railings applied to high-rise buildings such as apartments.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evacuate quickly and stably to a lower floor by spreading a ladder down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without damaging the beautiful appearance of a balcony. It is about evacuation railing to make it possible.

일반적으로 대형건물에는 비상탈출구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비상시에 사용할 비상탈출장비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지만, 가옥이나 소형건물에는 이러한 비상탈출구와 비상탈출장비를 구비하고 있지가 않다.In general, large buildings must not only be equipped with emergency exits, but also must have emergency escape equipment for use in an emergency, but houses and small buildings are not equipped with such emergency exits and emergency escape equipment.

그 결과 소형 상가건물이나 아파트 등에서 화재 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비상탈출 방법이 없어 큰 인명피해를 보는 경우가 허다하다.As a result, when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ccurs in a small mall building or apartment building,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re is no emergency escape method, so that a great loss of life is seen.

특히, 집합적 개인주택인 아파트의 경우에는 대형건물이면서도 소방법상 상용되는 별도의 비상탈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아니하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탈출에 따른 문제가 많고, 고가소방사다리를 사용하여도 건물의 상단에 닿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Particularly, in case of apartments, which are collective private houses, they are not equipped with a separate emergency escape means, which are commercially available in a small building, but there are a lot of problems due to escape in case of a fire. There was also a problem such as not reaching the top of the building.

그리고, 호텔과 같은 대형건물의 경우에 있어서도, 비상탈출구와 비상탈출수단을 구비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 사용방법이 널이 알려져 있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비상의 경우에는 이러한 비상탈출기구를 찾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대형피해가 발생하는 현상이 있다.In addition, even in a large building such as a hotel, although the emergency exit and emergency exit means are provided, the method of use is not known and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an emergency exit mechanism in the case of an emergency.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used effectively, there is a phenomenon that large damage occurs.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실용등록 제20-0265513호에서는 발코니의 난간에 비상시 아래층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비상사다리를 소개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Korean Utility Registration No. 20-0265513 introduces an emergency ladder to escape downstairs in case of an emergency on the balcony railing.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종래의 비상사다리는 건물의 발코니(1)에 설치된 난간(2)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게 형성시킨 통로(3)와, 통로(3)의 양쪽 기둥(3a, 3b)에 지지축(4)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사다리(5) 및, 사다리(5)를 접은 상태에서 난간(2)에 록크시켜 상기 사다리(5)와 난간(2)이 일체의 상태를 이루게 하는 록크기구(6)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5, a conventional emergency ladder has a passage 3 formed so that a person can pass through a railing 2 installed in a balcony 1 of a building, and both pillars 3a of the passage 3, The ladder 5 and the handrail 2 are integrally formed by locking the ladder 5 and the handrail 2 in a state where the ladder 5 is folded, and the ladder 5 is installed to rotate about the support shaft 4 in 3b). It consists of the lock mechanism 6 which makes a state.

상기 사다리(5)는 2개 이상의 부분적인 사다리로 구성되며, 이들 상,하단 사다리(5a,5b)는 힌지축(7)으로 서로 접을 수 있게 연결시킨 절첩식 구조로 되어 있다.The ladder 5 is composed of two or more partial ladders, these upper and lower ladders (5a, 5b) has a folding structure that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hinge shaft (7).

상기 상,하단 사다리(5a,5b)의 연결구조는 상단 사다리(5a)와 난간(2)의 연결상태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는 바, 예컨대, 상단 사다리(5a)를 발코니(1)의 돌출 선단에 걸려지게 하는 걸림부(10)를 형성시켜, 사다리(5)를 펼쳤을 때 상기 걸림부(10)가 이 발코니(1)에 걸려지게 한 구조에서는, 상기 사다리(5)의 구조를 하단 사다리(5b)를 상단 사다리(5a)의 아래쪽에 배치하여, 상하단 사다리(5a,5b)를 접었을 때 난간(2)에 간단하고 콤팩트하게 밀어 부칠 수 있게 할 수가 있다.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ladders (5a, 5b)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nection state of the upper ladder (5a) and the handrail (2), for example, the upper ladder (5a) protruding end of the balcony (1)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10 is formed so that the locking portion 10 is hooked to the balcony 1 when the ladder 5 is opened, the structure of the ladder 5 is defined as a lower ladder ( 5b) can be arranged below the upper ladder 5a so that the upper and lower ladders 5a and 5b can be simply and compactly pushed onto the handrail 2 when folded.

이와 같이 상단 사다리(5a)를 하단사다리(5b)의 아래쪽에 배치한 상태에서 사다리가 지지되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상단 사다리(5a)에 브래킷(8)을 고정 설치하고, 이 브래킷(8)에 상기 힌지축(7)을 설치하여 하단 사다리(5b)가 상단사다리(5a)에 대해 축선회할 수 있게 연결시킬 수가 있다.In order to enable the ladder to be supported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ladder 5a is disposed below the lower ladder 5b, the bracket 8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ladder 5a, and the bracket 8 The hinge shaft 7 may be installed to connect the lower ladder 5b to pivot about the upper ladder 5a.

상기 상하단 사다리(5a,5b)를 브래킷(8)과 힌지축(7)을 통하여 연결시킨 구조로 하면서, 상기 힌지축(7)의 연결지점이 상단 사다리(5a)의 아래쪽 자유단쪽에 설치된 최하측 발판부재(9)의 상단 쪽에 위치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상,하단 사다리(5a,5b)를 펼쳤을 경우에 상단 사다리(5a)의 상기 최하측 발판부재(9)가 하단 사다리(5b)의 양측 세로부재(5b1,5b2)에 닿아 지지되게 함으로써, 펼쳐진 상하단 사다리(5a,5b)가 서로 지지되어지게 함과 더불어, 펼쳐진 상하단 사다리(5a,5b)를 타고 비상 탈출할 때 사다리에 가해지는 사람의 하중을 하단 사다리(5b)가 지지할 수 있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 upper and lower ladders 5a and 5b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bracket 8 and the hinge shaft 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connection point of the hinge shaft 7 is installed at the lower free end side of the upper ladder 5a. It is preferable to be located at the upper side of the scaffold member 9, which means that when the upper and lower ladders 5a and 5b are unfolded, the lower scaffold member 9 of the upper ladder 5a is the lower ladder 5b. The upper and lower ladders 5a and 5b are supported by each other by being brought into contact with and supported by the vertical members 5b1 and 5b2 on both sides of the upper and lower ladders 5a and 5b. The lower ladder 5b can support a human load.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사다리(5)의 상단부에 "ㄱ"자 형으로 꺾여진 걸림부(10)를 형성시켜 둠으로써 사다리를 펼쳤을 때 상기 걸림부(10)가 발코니(1)의 선단에 걸려져 지지되게 할 수가 있는데, 이는 통상 난간(2)이 발코니(1)의 경계턱에 설치될 때 경계턱의 중앙부분에 설치되기 때문에 사다리(5)가 펼쳐질 때 사다리(5)의 상단부가 상기 발코니(1)의 경계턱에 걸려져 방해를 받지 않게 함과 더불어, 사다리(5)의 걸림구조를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인 것이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adder is extended by forming the locking portion 10 which is bent in an "a" shape at the upper end of the ladder 5, the locking portion 10 is caught by the tip of the balcony 1. It is possible to be supported, which is usual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undary jaw when the handrail 2 is installed on the boundary jaw of the balcony 1,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ladder 5 when the ladder 5 is unfolded, the balcony. In order to prevent being disturbed by being caught by the boundary jaw of (1), it is to strengthen the locking structure of the ladder (5).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절첩식으로 연결되는 상하단 사다리(5a,5b)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결정하면 되는데, 이는 발코니(1)에 설치된 난간(2)의 높이와 사다리(5)를 통하여 연결시키고자 하는 지점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개수로 결정하면 된다.In addition, the number of upper and lower ladders (5a, 5b) to be folded as described above may be determined as necessary, which is connected through the ladder 5 and the height of the handrail (2) installed on the balcony (1). The appropriate number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oint to be designed.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비상사다리를 아파트와 같은 다층 구조의 건물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하나의 난간(2)에 설치된 사다리(5)를펼치면 난간(2)의 하단이 아래층의 난간(11)에 접촉되어지게 하면, 각 층의 난간에 설치된 본 고안의 비상사다리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지면위로 내려올 수가 있는 것이다.In the case where the emergency lad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and used in a multi-storey building such as an apartment, the ladder 5 installed on one railing 2 is unfolded, and the lower end of the railing 2 is lowered. When the contact with the handrail 11, it is possible to simply descend onto the ground using the emergency la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on the railing of each floor.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사다리(5a,5b)가 서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하나만의 사다리로 이루어진 비상사다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축(4)을 중심으로 사다리를 접어 올리거나, 안쪽으로 돌려 난간과 일체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난간(2)의 통로(3)를 막아 주게 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록크기구(6)를 사용하여 접혀진 사다리를 록크시키면 난간의 형태로 고정되게 되어, 본 고안의 비상사다리가 설치된 난간을 정상적인 난간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ladders (5a, 5b) is made of a structure connected to each other or do not use an emergency ladder consisting of only one ladder, the ladder is folded up around the support shaft (4), or By turning it into a handrail, the passage 3 of the handrail 2 is blocked by being integrated with the handrail. In this state, when the locked ladder is locked using the lock mechanism 6, it is fixed in the form of the handrail. Railings with emergency ladders can be used as normal railings.

여기서, 상기 록크기구(6)는 난간(2)에 부착되어 접혀진 사다리(5)가 안쪽으로 넘어지지 않게 받쳐 주는 스토퍼(12)와 접혀진 사다리(5)를 난간(2)의 기둥에 고정시켜 주는 록크핀(13)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Here, the lock mechanism 6 is fixed to the pillar of the handrail 2, the stopper 12 and the folded ladder 5 which are attached to the handrail 2 to support the folded ladder 5 so as not to fall inward. It can also be comprised by the lock pin 13.

따라서, 펼쳐진 사다리를 접어 올려 스토퍼(12)에 의해 지지되게 한 다음, 상기 록크핀(13)으로 고정시키면 접혀진 사다리(5)가 난간의 형태로 세팅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raised ladder is lifted up and supported by the stopper 12, and then fixed by the lock pin 13, the folded ladder 5 is set in the form of a railing.

따라서, 화재 등의 비상시에 상기 록크핀(13)을 분리하여 내거나 록크바(21)를 돌려 사다리를 록크상태로부터 해제한 다음, 아래쪽으로 펼쳐 주면 되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event of a fire or the like, the lock pin 13 may be removed or the lock bar 21 may be rotated to release the ladder from the locked state and then spread downward.

한편, 본 고안의 비상사다리가 다층 구조에 설치되어 서로 연계되어 사용되는 경우에, 그 높이에 따른 안전을 보장하기위해, 사다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안전고리(14)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바, 이 안전고리(14)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다리를 난간의 형태로 접을때 함께 접혀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사다리(5)와 연결되는 부분이 힌지(15)를 매개하여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mergency la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ulti-layer structure and us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in order to ensure safety according to its height, safety of a size that a person can pas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adder The hook 14 can be installed and used, and the safety ring 14 is hinged at a part connected to the ladder 5 so that it can be folded together when folding the ladder in the form of a railing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connect via 15).

또한, 상기 사다리(5)의 구조에서 하단 사다리(5b)에 안쪽을 향하도록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재(16)를 설치하여, 다층 구조의 사다리(5)가 펼쳐졌을 때 상기 돌출부재(16)가 아래층 베란다의 유리창을 깨뜨리므로써, 위층에서 화재등의 비상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아래층에서 간단하게 알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위층의 비상사다리와 아래층의 난간의연결이 용이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ladder (5) is installed on the lower ladder (5b) protruding at right angles to protrude inwardly, so that when the multi-layer ladder (5) is unfolded the protruding member (16) By breaking the glass windows of the lower porch, it is possible to easily know from the lower floor in case of an emergency such as a fire on the upper floor, an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of the emergency ladder upstairs and the railing of the lower floor. .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비상사다리는 펼쳐진 상태에서는 아래층의 난간을 통하거나 그 자체의 사다리만으로 지면과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안전하게 비상탈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평상시의 경우에는 간단히 접어 난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The emergency lad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can be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railing of the lower floor or by its own ladder in the unfolded state, so that it can be safely escaped as usual, and in the usual case, it can simply be folded to perform a function as a railing. It can be don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코니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구조는 사다리가 난간과는 별개의 구조물로 구비되어 난간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사다리가 장착된 상태의 난간 외관이 미려하지 못했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adder structure using the conventional balcony railing has a problem that the ladder appearance is not beautiful because the ladder is provided as a separate structure from the railing and mounted on the railing.

또한, 비상시 록크기구를 해제하여 사다리를 난간으로부터 분리한 다음 발코니의 바닥면상에 지지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사다리 구조물에 의해 차단되었던 난간의 통로가 개방되어 자칫 개방된 통로로 사람이 떨어질 수도 있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the lock mechanism is released, the ladder is separated from the railing, and then supported on the floor of the balcony to be used, so that the passage of the railing blocked by the ladder structure is opened and a person may fall into the open passage. There was a problem that may occur.

또한, 종래의 사다리는 복수의 사다리가 서로 접혀있는 구조로서 사다리가 난간과는 별도의 구조물로서 구비되기 때문에, 사다리의 중량으로 인해 비상시 사용자의 사용에도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ladder i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ladders are folded to each other, and the ladder is provided as a structure separate from the railing, the conventional ladder has a problem that a lot of inconveniences occur in use of the user in an emergency due to the weight of the ladder.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기존의 난간 형태를 최대한 유지하면서 사다리를 전개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발코니 난간의 외관을 해지치 않도록 하는 피난용 난간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that can deploy the ladder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existing railings for evacuation for avoiding the appearance of the balcony railings In providing the railing.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난간 아치부를 돌출부로 이용함과 동시에 난간에 비상용 통로를 개폐시킬 수 있는 별도의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평상시나 비상시 사람이 개방된 통로를 통해 떨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피난용 난간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falling through the open passage in the case of ordinary or emergency by having a separate door that can open and close the emergency passage on the railing while using the existing railing arch as a protrusion. It is to provide an evacuation railing to enable.

또한, 하나의 사다리를 가지고서 난간상에 슬라이딩 전개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기존과 같이 2개의 사다리가 합쳐진 구조물을 분리하여 사용하였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설치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피난용 난간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tructure that can be slidably deployed on the railing with a ladder, evacuation railings can solve the inconvenience of separating and using the structure of the two ladders combined as before and simplify the installation structure In providing.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vacuation railin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난용 난간의 사용 상태도.Figure 2 is a state diagram used in evacuation railing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다리의 슬라이딩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liding structure of the ladder shown in FIG.

도 4는 본 고안의 변경예에 따른 피난용 난간의 시공예를 보여주는 예시도.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xample of the handrail for evacuation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발코니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를 도시한 도면.5 is a view showing an emergency ladder using a balcony rail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난간체 102 : 통로부100: handrail 102: passage portion

110 : 슬라브 120 : 수직프레임110: slab 120: vertical frame

122 : 가이드 123 : 가이드홈122: guide 123: guide groove

124 : 걸림돌기 130 : 수평프레임124: locking projection 130: horizontal frame

140 : 돌출부 142,144 : 고리부140: protrusion 142,144: ring portion

145 : 체결공 146 : 록킹핀145: fastener 146: locking pin

150 : 도어 200 : 사다리150: door 200: ladder

220 : 수직레일 230 : 걸림턱220: vertical rail 230: locking jaw

240 : 디딤부 260 : 발판240: stepping portion 260: scaffolding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피난용 난간은 개방된 통로부가 형성된 난간체; 상기 통로부가 위치된 상기 난간체에 전방으로 돌출 설치된 돌출부; 상기 통로부가 위치된 상기 난간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사다리; 및 상기 사다리를 상기 난간체에 접은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Balustrade for evac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handrail formed with an open passage; A protrusion protruding forward to the handrail body in which the passage portion is located; A ladder installed to be slidable up and down in the railing body in which the passage part is located;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ladder in the folded state to the handrail.

이때, 상기 난간체에는 상기 통로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더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ndrail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door that can open and close the passage.

또한, 상기 사다리의 하단에는 사용자의 탈출이 용이하도록 발판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footrest at the bottom of the ladder to facilitate the escape of the user.

이와 함께, 상기 사다리는 좌,우측에 배치된 수직레일 및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직레일상에 지지되는 다수의 디딤부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adder may be composed of a vertical rail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and a plurality of stepped parts having the same shape structure as the protrusion and supported on the vertical rail.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난용 난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피난용 난간의 사용 상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다리의 슬라이딩 구조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andrail for evacu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evacuation handrail shown in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ing structure of the ladder illustrated in FIG. 2.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피난용 난간은 난간체(100)와, 상기 난간체(10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다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3, the handrail for evacu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andrail 100 and a ladder 200 coupled to the handrail 100 to be slidably movable.

상기 난간체(100)는 중앙부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개방된 통로부(102)가 형성되고, 이 통로부(102)측 전방에는 아치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돌출부(140)가 가이드(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 형성되어 있다.The handrail body 100 has an open passage portion 102 of a size that allows a person to pass through the central portion,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40 having an arch shape in front of the passage portion 102 side are guides ( 122 i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돌출부(140)는 난간체(100)의 미려한 외관의 역할을 담당함과 동시에 비상시에는 사람이 사다리(200)를 통해 탈출할 경우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보호대의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The protrusion 140 plays a role of a beautiful appearance of the handrail 100 and at the same time serves as a guard to prevent a fall when a person escapes through the ladder 200 in an emergency.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난간체(100)는 종래의 난간체에 일반적으로 형성된 아치형 구조를 돌출부(140)로 이용하기 때문에 난간체(100)의 외관이 복잡해지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handrail bod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rcuate structure generally formed in the conventional handrail body as the protrusion 140,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handrail body 100 is not complicated.

한편, 상기 난간체(100)에는 상기 통로부(102)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5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handrail 100 is provided with a door 150 that can open and close the passage portion (102).

상기 도어(150)는 일측이 수직프레임(120)과 슬라브(110) 사이에 힌지 고정되어 회동 개폐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The door 150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is hinged between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slab 110 so as to be rotated and opened.

상기 도어(150)의 타측에는 통로부(102)를 폐쇄한 상태에서 수평 프레임(130)상에 록킹시킬 수 있는 소정의 록킹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ther side of the door 15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ocking device (not shown) that can be locked on the horizontal frame 130 in a closed state passage 102.

한편, 사다리(200)는 돌출부(140)가 지지되는 양쪽 가이드(122)상에 결합되는 수직레일(220)과, 상기 돌출부(140)와 동일한 형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직레일상(220)에 지지되는 다수의 디딤부(240), 및 상기 디딤부(240)측 양쪽 가이드(122) 사이에 지지되는 다수의 수평바아(도면부호 생략함)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ladder 200 has a vertical rail 220 coupled to both guides 122 on which the protrusions 140 are supported, and has the same shape structure as the protrusions 140, and is supported on the vertical rails 220.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not shown) suppo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stepping parts 240 and both guides 122 on the stepping part 240 side.

이때, 평상시 상기 사다리(2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디딤부(240)가 상기 돌출부(14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도록 상기 디딤부(240)의 크기는 상기 돌출부(140)의 크기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size of the stepping part 240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protruding part 140 so that the stepping part 240 may be covered by the protruding part 140 in the folded state of the ladder 200. It is preferable.

이와 같은 구조로 형성하게 되면, 평상시 사다리(200)가 접혀진 상태에서 디딤부(240)가 돌출부(140)에 의해 가려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난간체(100)의 외관을 해치지 않는다.When the structure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epping part 240 is normally kept in a state in which the ladder 200 is folded, it is not obstructed by the appearance of the handrail 100.

또한, 상기 사다리(200)를 상기 수평바아가 배제된 상기 수직레일(220)과 디딤부(240)만으로 구성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사다리(200)의 전체적인 무게가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ladder 200 may be composed of only the vertical rail 220 and the stepping portion 240 from which the horizontal bar is excluded, and when configured in this way, the overall weight of the ladder 200 may be reduced. have.

동시에, 상기 디딤부(240)는 탈출시 사용자가 사다리(200)의 안쪽에서 딛고 내려갈 수 있는 기능과 함께 난간체(100)의 돌출부(140)와 동일한 추락방지 안전보호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stepping unit 240 may perform the same fall prevention safety guard function as the protrusion 140 of the handrail 100 with the function that the user can step down from the inside of the ladder 200 when escaping. .

상기 가이드(122)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가이드홈(123)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홈(123)을 따라 사다리(200)가 슬라이딩 이동하며 전개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A guide groove 123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122, and the ladder 200 is slidably moved along the guide groove 123 to be deployed.

그리고, 사다리(200)가 가이드(122)에 대해 소정의 위치만큼 내려간 후에 위치가 고정되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122)에 구비된 가이드홈(123)의 위쪽 및 아래쪽에 각각 걸림돌기(124)를 형성시켜 두고, 상기 걸림돌기(124)에 사다리(200)의 상단에 구비된 걸림턱(210)이 걸려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position to be fixed after the ladder 200 descends by a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guide 122, the locking protrusions 124 respectively above and below the guide groove 123 provided in the guide 122. It is preferable to form a),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210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ladder 200 to the locking projection 124 can be caught and supported.

또한, 상기 가이드(122)의 상단에는 록킹핀(146)이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145)이 형성되며, 사다리(200)가 접혀진 상태에서 사다리(200)의 걸림턱(230) 저면부가 록킹핀(146)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fastening hole 145 into which the locking pin 146 may be inser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guide 122,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ing jaw 230 of the ladder 200 is locked in the folded state of the ladder 200.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be locked to the king pin 146.

또한, 사다리(200)의 하단에는 별도의 발판(260)을 형성되어 비상시에 사다리(200)를 통해 내려온 사용자가 발판(260)을 디디고 아래층으로 용이하게 탈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In addition, a separate footrest 26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adder 200 so that the user who descends through the ladder 200 in an emergency can step down the footrest 260 and easily escape to the lower floor.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al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평상시 사다리(200)는 난간체(100)의 돌출부(140) 안쪽으로 접혀진 상태로 되어 있으며 난간체(100)의 통로부(102)는 도어(150)에 의해 폐쇄된 채로 유지된다.First, the ladder 200 is normally folded into the protrusion 140 of the handrail 100, and the passage part 102 of the handrail 100 is kept closed by the door 150.

이 때문에, 주의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난간체(100)의 통로부(102)에 접근하여 자칫 추락하게 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s in which children lacking attention approach the passage portion 102 of the handrail body 100 and fall.

이와 함게, 본 고안의 난간은 일반적인 난간체에 형성된 아치형상 구조를 돌출부(140)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별도의 구조물로 구비되던 것과 비교하여 난간의 외관 구조가 복잡하지 않다.In addition, since the ra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arch structure formed in a general railing body as the protrusion 140, the exterior structure of the railing is not complicat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tructure provided as a separate structure.

한편, 건물에 화재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되어 탈출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먼저 도어(150)의 록킹장치(미도시)를 해제하여 개방한 다음 록킹핀(146)을 해제하여 사다리(200)를 아래로 내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an emergency occurs such as a fire in the building, the user first releases the locking device (not shown) of the door 150 to open and then releases the locking pin 146 to lift the ladder 200. Descended down.

이때, 사다리(200)는 가이드(122)에 형성된 가이드홈(123)를 따라 자중에 의해 슬라이딩되며 하방으로 전개되고 사용자는 전개된 사다리(200)를 타고 내려와 아래층으로 대피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ladder 200 is slid by its own weight along the guide grooves 123 formed in the guide 122 and is deployed downward, and the user is to descend down the ladder 200 to be deployed.

여기서, 난간체(100) 및 사다리(200)에 형성된 돌출부(140)와 디딤부(240)는사용자가 사다리(200)를 통해 아래층으로 탈출하는 과정에서 부주의에 의해 외부로 추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Here, the protruding portion 140 and the stepping portion 240 formed in the handrail body 100 and the ladder 200 to prevent the user from falling out by carelessness in the process of escaping downstairs through the ladder 200. do.

또한, 사다리(200)의 하단에 발판(260)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사다리(200)를 타고 완전히 내려간 상태에서 상기 발판(260)을 디디고 아래층으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해준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scaffold 260 at the bottom of the ladder 200, the user can step down the scaffold 260 in a completely down state on the ladder 200 to easily evacuate to the lower floor.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서는 아치 구조가 형성된 난간체에 사다리가 접목된 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일반적인 일자형 난간체에 사다리를 시공하여 유사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ladder is grafted to the railings formed arch struc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a similar effect by constructing a ladder in a general straight railings.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난용 난간의 변경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일자형 난간체상에 사다리가 시공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 modification of the handrail for evac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adder is constructed on a general linear balustrad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변경예에서는 가이드(122)와 이에 지지되는 다수의 돌출부(140)로 이루어진 구조물 내부에 상술한 일실시 예에서 보여진 사다리(200)가 슬라이딩식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 하나의 사다리체가 별도 구비된다.As shown, in the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dder 200 show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configured to be slidably folded inside the structure composed of the guide 122 an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40 supported thereto. One ladder body is provided separately.

이 사다리체는 외측 상,하부 돌출부(140)로부터 일체로 연장된 고리부(142)(1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리부(142)(144)는 각각 수평프레임(130)과 수직프레임(120)상에 용접 등의 고정방법을 통해 고정된다.The ladder body is formed with loops 142 and 144 integrally extending from the outer upper and lower protrusions 140, and the loops 142 and 144 are horizontal frames 130 and vertical frames, respectively. 120 is fixed by a fixing method such as welding.

이와 같이, 사다리체가 난간체(100)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측 고리부(142) 사이에 위치된 수평프레임(130)을 절개하여 떼어내면 상술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와 같은 난간체(100) 형태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As such, when the ladder body is cut off and detached from the horizontal frame 130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ring portions 142 in a state where the ladder body is fixed on the handrail body 100, the handrail body 100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can be constructed in the form of).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절개로 인해 발생된 공간부, 즉, 통로는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별도의 도어를 마련하여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pace portion, that is, the passage generated due to the cutting of the horizontal frame 130, be opened and closed by providing a separate door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below It will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can be expected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일반적인 난간체에 형성된 아치구조를 최대한 활용하여 비상시 안전 탈출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별도 구조물 설치에 따른 복잡한 구조를 개선할 수 있고 난간의 외관미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First, by utilizing the arch structure formed in the general railings to the fullest to use as a safe escape means in an emergenc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pl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structure as in the prior art and to minimize the appearance deterioration of the railings.

둘째, 난간체에 돌출부와 통로부를 개폐시킬 수 있는 도어를 구비함으로써 평상시 주의력이 부족한 아이들이 통로부에 접근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음과 동시에, 사다리를 이용한 비상 탈출시에도 사람이 부주의에 의해 추락하게 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Second, by providing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protrusion and the passage in the handrail, it is possible to prevent children lacking attention from accessing the passage at the same time. The situation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셋째, 비상시 사다리를 전개시킬 경우 록킹핀을 해제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사다리의 전개가 용이하고, 종래 처럼 2개의 사다리가 합쳐진 무거운 구조물을 사용자가 직접 분리하여 발코니에 지지한 후 사용해야만 했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Third, when the ladder is deployed in an emergency, the ladder can be easily deployed by a simple operation of releasing the locking pin, and the user has to remove the heavy structure that combines the two ladders and support it on the balcony. can do.

넷째, 사다리의 하단에 발판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사다리를 타고 완전히 내려간 상태에서 발판을 디디고 아래층으로 용이하게 대피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Fourth, by forming a footrest on the bottom of the ladd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step down the footrest in the state completely down the ladder and easily evacuate to the lower floor.

다섯째, 상기 사다리를 수직레일과, 수직레일에 지지되는 돌출부 형상의 다수의 디딤부로 구성함으로써, 평상시 사다리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디딤부가 돌출부 안쪽에 가려지기 때문에 난간체의 외관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fth, by constructing the ladder with a vertical rail and a plurality of stepped portions having a protrusion shape supported by the vertical rail, since the stepping portion is normally hidden inside the protrusion in the folded state of the ladder, the appearance of the handrail can be prevented from deteriorating. have.

또한, 탈출시 사용자는 상기 디딤부만을 딛고서도 탈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평바아의 배제에 따른 사다리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escape even if only stepping on the stepping, when the escap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overall weight of the ladder due to the exclusion of the horizontal bar.

이와 함게, 상기 디딤부는 난간체의 돌출부와 함께 안전보호대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탈출시 사용자가 부주의에 의해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epping portion serves as a safety guard together with the protrusion of the handrail,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 from inadvertently falling down when escaping.

Claims (4)

개방된 통로부가 형성된 난간체;Balustrades with open passages; 상기 통로부가 위치된 상기 난간체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A protrusion protruding forward to the handrail body in which the passage portion is located; 상기 통로부가 위치된 상기 난간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사다리; 및A ladder installed to be slidable up and down in the railing body in which the passage part is located; And 상기 사다리를 상기 난간체에 접은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난간.Handrail for evacu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ladder in the folded state to the handr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체에는 상기 통로부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난간.The handrail for evacuatio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drail further include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assag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의 하단에는 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난간.The evacuation railing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footrest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ladd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다리는 좌,우측에 배치된 수직레일과, 상기 돌출부와 동일한 형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직레일상에 지지되는 다수의 디딤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난용 난간.The handrail for evacua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adder comprises a vertical rail disposed at left and right sides, and a plurality of stepping parts supported on the vertical rail and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protrusion. .
KR20-2004-0009822U 2004-04-09 2004-04-09 Rail for escape KR20035796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22U KR200357968Y1 (en) 2004-04-09 2004-04-09 Rail for esca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9822U KR200357968Y1 (en) 2004-04-09 2004-04-09 Rail for esca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968Y1 true KR200357968Y1 (en) 2004-08-02

Family

ID=4934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822U KR200357968Y1 (en) 2004-04-09 2004-04-09 Rail for esca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968Y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81B1 (en) 2007-01-10 2007-06-07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A safe railing for apartment houses
KR100845297B1 (en) 2007-06-28 2008-07-10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Ladder installed balcony parapet for escaping in case of emergency
KR100870141B1 (en) * 2007-02-07 2008-11-24 임장빈 Gondola for escape from an unforeseen accident
KR100950095B1 (en) 2009-10-22 2010-03-31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The safe railing which possessed a refuge function for apartment
KR101030286B1 (en) 2009-07-03 2011-04-19 주식회사 에스엠텍 A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having a boarding structure using exclusively in a balustrade of veranda
WO2011111998A2 (en) * 2010-03-12 2011-09-15 Park Ki-Han Fire escape staircase which is installed at the veranda of a building and provided with a security device
KR101159646B1 (en) * 2010-01-14 2012-06-26 마루기건 주식회사 life shelter device which is installed at a guardrail of balcony
KR102011442B1 (en) * 2019-04-25 2019-08-16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Reinforcement facility of building railing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381B1 (en) 2007-01-10 2007-06-07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A safe railing for apartment houses
KR100870141B1 (en) * 2007-02-07 2008-11-24 임장빈 Gondola for escape from an unforeseen accident
KR100845297B1 (en) 2007-06-28 2008-07-10 주식회사 은성테크닉스 Ladder installed balcony parapet for escaping in case of emergency
KR101030286B1 (en) 2009-07-03 2011-04-19 주식회사 에스엠텍 A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having a boarding structure using exclusively in a balustrade of veranda
KR100950095B1 (en) 2009-10-22 2010-03-31 (주)알파오메가종합건축사사무소 The safe railing which possessed a refuge function for apartment
KR101159646B1 (en) * 2010-01-14 2012-06-26 마루기건 주식회사 life shelter device which is installed at a guardrail of balcony
WO2011111998A2 (en) * 2010-03-12 2011-09-15 Park Ki-Han Fire escape staircase which is installed at the veranda of a building and provided with a security device
WO2011111998A3 (en) * 2010-03-12 2012-04-19 Park Ki-Han Fire escape staircase which is installed at the veranda of a building and provided with a security device
KR102011442B1 (en) * 2019-04-25 2019-08-16 주식회사 리드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Reinforcement facility of building railing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286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having a boarding structure using exclusively in a balustrade of veranda
KR100996129B1 (en) Foldable rescue device
KR100923639B1 (en) Safety railing for escaping fire
EP1666100A2 (en) Rescue cage
KR20100138585A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1080808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emergency using a balustrade in veranda
KR100965536B1 (en) Escaping equipment for high-rise building
KR200357968Y1 (en) Rail for escape
KR100613880B1 (en) Emergency shelter device using a handrail balcony
KR20070060646A (en) Ladder structure for emergency escape from building
KR101131484B1 (en) Escaping apparatus for emergency evacuation
KR101043592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101171248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0610310B1 (en) The terrace railing that include a emergence ladder
KR101099765B1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200358087Y1 (en) Ladder for Rail
KR101171249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1322422B1 (en) Railing for apartment houses with automatic descending life line
KR20110084639A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200265513Y1 (en) An emergency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balcony
KR101130971B1 (en) 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KR100481693B1 (en) An emergency ladder using a handrail of a balcony
KR100905490B1 (en) Ladder apparatus for disaster escape
KR20100138588A (en) A safety balustrade for escaping emergency
KR200378175Y1 (en) Emergency shelter device using a handrail balco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