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191Y1 - Construction products by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products by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191Y1
KR200355191Y1 KR20-2004-0008285U KR20040008285U KR200355191Y1 KR 200355191 Y1 KR200355191 Y1 KR 200355191Y1 KR 20040008285 U KR20040008285 U KR 20040008285U KR 200355191 Y1 KR200355191 Y1 KR 2003551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weight
parts
synthetic resin
concre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2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선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호에코텍
(주)해성종합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호에코텍, (주)해성종합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호에코텍
Priority to KR20-2004-00082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19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1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191Y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2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8Polyesters; Polycarbon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10Accelerators; Activators
    • C04B2103/14Harden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를 이용한 건설 건자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 20~70중량부와;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되고 입경이 6mm이하인 재활용 모래 40~60중량부와; 경화제 0.5~3.5중량부 및 경화촉진제 0.1~0.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원심 성형한 것으로서,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중공부(120)가 형성된 건설 건자재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강도, 내식성, 내충격성 및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며 건설폐기물의 높은 재활용도를 가짐과 동시에 경제성이 제고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의 건설 건자재는 도로 경계블록, 인터로킹블록 등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construction waste and synthetic resin. The present invention is 20 to 70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esin; 40 to 60 parts by weight of recycled sand produced from construction waste and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6 mm or less; Centrifugally molding a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comprising 0.5 to 3.5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and 0.1 to 0.3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ccelerator, and provides a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 in which the hollow portion 12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corrosion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and has a high recyclability of construction waste and economic efficiency. Construction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ad boundary block, interlocking block and the like.

Description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를 이용한 건설 건자재{CONSTRUCTION PRODUCTS BY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CONSTRUCTION PRODUCTS BY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

본 고안은 경계블록, 인터로킹블록, 벽돌 등과 같은 건설 건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하되, 건설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생산된 재활용 모래 및 무기성 슬러지와 이들의 결합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를 적정 배합하고 이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성형함으로써 강도, 내식성, 내충격성 및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등이 우수하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경제성을 제고시킨 건설 건자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boundary blocks, interlocking blocks, bricks, etc. More 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waste and synthetic resin as the main material, recycled sand and inorganic sludge produced in the process of construction waste and their bind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aterial that is suitable for mixing synthetic resins used for molding and molding using centrifugal force, which is excellent in strength, corrosion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and improves the recycling degree of construction waste and economical efficiency.

일반적으로, 경계블록은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주로 차도의 가장자리(차도와 보도의 사이 등)에 설치되어 경계의 목적 또는 차량의 이탈 방지수단으로 설치되며, 인터로킹블록은 맞물림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주로 보도의 바닥 마감재 등으로 사용된다. 종래, 이러한 경계블록 및 인터로킹블록을 포함한 벽돌등의 건설 건자재는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과 천연 석재 제품이 일반적이었다. 상기와 같은 건설 건자재는 외압에 대한 인장, 휨 및 압축강도는 물론 항상 외기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내식성,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등이 강해야 한다. 특히, 반복적인 동결융해로 인해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강도를 저하시킴은 물론 외관을 불량해지게 하여 잦은 교체를 야기하고 이는 결국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게 하므로 무엇보다 동결융해에 대한 높은 저항성이 요구된다.In general, the boundary block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mainly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roadway (between the road and the sidewalk) and is installed as a purpose of the boundary or a means for preventing departure of the vehicle, and the interlocking block has an engagement structure. It is mainly used for floor finishing of sidewalks. Conventionally,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bricks, including such boundary blocks and interlocking blocks, are generally cement concrete products and natural stone products. Such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s should be strong in corrosion resistance, resistance to freeze-thawing because they are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as well as tensile, bending and compressive strength against external pressure. In particular, repeated freeze-thawing has a direct effect on durability,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strength and a deterioration in appearance, leading to frequent replacements, which in turn leads to economic loss, and above all, high resistance to freeze-thawing is required. .

그러나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은 골재(모래와 자갈)에 시멘트(주로, 포클랜트 시멘트)와 물, 그리고 혼화재로서 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등을 혼합한 모르타르를 양생시켜 제조한 것으로서, 이는 쉽게 부식되고 강도가 약하며, 높은 흡수율에 따른 노화현상 및 대기의 탄산가스에 의한 중성화 현상이 발생된다. 그리고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약하여 쉽게 균열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에, 천연 석재 제품은 주로 화강암 등을 절단 가공한 것으로서, 이는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에 비해 강도, 내식성, 외관성 등에서는 우수하나, 재료비와 가공비가 많이 소요되어 제품원가가 매우 높고 중량이 무거워 경제성 및 작업성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However, cement concrete products are made by curing mortar mixed with aggregate (sand and gravel), cement (mainly forcant cement), water, and blast furnace slag and fly ash as a mixed material, which is easily corroded and weak in strength. Aging due to high absorption rate and neutralization by carbonic acid gas in the air occu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is weak and easily cracked and broken. On the other hand, natural stone products are mainly cut and processed granite, which is superior in strength, corrosion resistance, and appearance compared to cement concrete products, but due to high material cost and processing cost, the product cost is very high and heavy. Problems with workability have been pointed out.

이에 따라, 근래에는 비교적 새로운 재료로서 폴리머 콘크리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머 콘크리트는 골재(모래, 자갈), 폴리머(합성수지), 충전재, 그리고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를 기본 조성으로 한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many studies on polymer concrete have been attempted as relatively new materials. Generally, polymer concrete is based on aggregates (sand, gravel), polymers (synthetic resins), fillers, and hardeners and hardeners.

이때, 폴리머와 충전재는 골재 입자를 상호 결합시키는 바인더(결합재) 역할을 한다. 경화제와 경화촉진제는 제품의 사용용도 및 수지의 특성 및 종류에 따라첨가여부 및 종류 그리고 배합량이 결정된다. 위와 같은 폴리머 콘크리트에 있어서 폴리머와 골재의 혼화성 및 제품의 물성을 감안하여 폴리머의 종류 및 그 배합비가 중요 인자로 설정된다.In this case, the polymer and the filler serve as a binder (binder) to bond the aggregate particles to each other. The curing agent and curing accelerator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product an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 of the resin. In the polymer concrete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miscibility of the polymer and the aggregat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the type of polymer and its blending ratio are set as important factors.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1997-065466호에는 결합재 전체 중량의 10~20중량%의 수축감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결합재 10~16중량%, 조골재와 세골재의 혼합물 60~80중량%, 충전재 8~16중량%, 그리고 개시제와 가교제 0.1~0.16중량%로 이루어진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경계블록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제10-1997-026995호에는 위와 같이 이루어진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샌드위치 단열패널이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3-0056282호에는 55~65중량%를 점유하는 골재, 25~35중량%를 점유하는 모래, 결합재로서 5~15중량%를 점유하는 레진(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를 혼합한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레진 콘크리트가 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1997-065466 discloses 10-16% by weight of a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binder containing 10-20% by weight of the shrinkage reducing agent, 60-80% by weight of a mixture of coarse aggregate and fine aggregate, A boundary block using a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consisting of 8-16% by weight of filler and 0.1-0.16% by weight of initiator and crosslinking agent is shown. In addition, Korean Patent No. 10-1997-026995 discloses a sandwich insulation panel using a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56282 No. 55-65% by weight aggregates, 25-35% by weight of sand, resins that occupy 5-15% by weight as a binder (hardener in polyester resin) And a mixture of a curing accelerator) is provided.

위와 같은 폴리머 콘크리트는 폴리머 자체의 특성으로 인해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 대비 강도는 물론 표면성(외관성), 수밀성 및 내식성 등을 높일 수 있다.Due to the properties of the polymer itself, such polymer concrete can increase the strength as well as surface (appearance), watertightness and corrosion resistance compared to cement concrete products.

그러나 폴리머 콘크리트는 폴리머 자체가 고가인 관계로 물성(강도, 수밀성, 내식성 등)이 보장된 상태에서 그 배합비가 가능한 최소화되어 경제적인 면이 고려되어야 하며, 경화 시 수축에 따른 치수 안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혼합되는 폴리머가 골재 대비 비록 적은 양이 사용되고 있으나, 폴리머 자체가 워낙 고가임에 따라 단위 체적당 생산단가가 기존의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에 비해 5~8배 이상으로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olymer concrete should be considered economically by minimizing the mixing ratio in the state that the physical properties (strength, water tightness, corrosion resistance, etc.) are guaranteed due to the high cost of the polymer itself, and the dimensional stability due to shrinkage during curing should be guaranteed. . However,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amount of the polymer to be mixed is less than the aggregate, although the polymer itself is very expensive, the production cost per unit volume is 5 to 8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cement concrete products. There is this.

따라서 제품의 물성 측면에서 폴리머 콘크리트는 바람직한 소재이나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어떤 수단이 강구되어야 한다.Therefore, polymer concrete i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desirable materials and economics in terms of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so some means must be taken to solve it.

한편, 최근 환경에 대한 인식이 세계적인 문제점으로 부각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환경에 대한 친화노력이 날로 고조되고 있다. 환경에 대한 문제는 대기, 수질 등 사회전반에 걸쳐 산재해 있는데, 그 중에서 특히 건설폐기물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건설폐기물의 처리는 환경 및 기타 문제 때문에 점차 어려워지고 있으며, 재개발 대상건축물의 잔재를 매립할 곳을 찾지 못해 개발계획이 보류되는 상황도 발생하고 있다. 건설폐기물은 다른 폐기물에 비해 대부분 무기성 폐기물로서 비교적 간단한 중간 처리 과정을 거쳐 재활용 모래가 수득될 수 있으며, 특히 폐콘크리트로부터 생산된 재활용 모래의 경우 천연모래의 수급부족의 문제점 해결 및 모래 채취에 따른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익한 재료가 될 수 있다.Meanwhile, as environmental awareness is emerging as a global problem in recent years, effort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re increasing in Korea. Environmental issues are scattered throughout the society, including air and water quality, and the interest in construction waste is increasing. The disposal of construction waste is becoming increasingly difficult due to environmental and other issues, and development plans are being put on hold because there is no place to reclaim the remnants of the redevelopment building. Construction wastes are mostly inorganic wastes compared to other wastes, and recycled sands can be obtained through a relatively simple intermediate treatment process, especially in the case of recycled sands produced from waste concrete. It can be a beneficial material for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현재, 건설폐기물로부터 재활용 모래와 무기성 슬러지를 생산하는 기술은 많이 제시되어 있으며, 실제로 많은 양이 생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재활용 방안에 대해서는 구체화되지 못하여 대부분 매립되어지거나, 일부 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품질이 저하되고 사용자와 시공자간의 인식부족 때문에 재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At present, many techniques for producing recycled sand and inorganic sludge from construction waste have been proposed, and a large amount is actually produced. However, these recycling methods are not specified, and most of them are landfilled, or when applied to some products, it is difficult to recycle due to deterioration in quality and lack of recognition between users and builders.

종래,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된 재활용 모래를 재활용함에 있어서, 일반적인 시멘트 콘크리트의 조성 중에서 천연골재(강모래와 자갈) 대신 재활용 모래로 치환하여 제품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강도 및 흡수율 등이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보다 떨어지고, 제품의 품질이 일률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실제적으로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은 성상에 따라 이물질의 함량이 다르고, 건축물의 시공시기, 지역, 용도에 따른 또는 타설 당시의 골재의 종류 및 성상, 단위 시멘트량, 혼화재료 및 이의 사용량 등의 변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특정적인 수치에 기준을 잡을 수 없고, 재활용 모래의 생산과정에서 선별 및 파쇄 등의 여러 단계의 공정을 거치더라도 정량적인 재료를 생산할 수 없기 때문이다.Conventionally, in recycling the recycled sand produced from construction waste, in the composition of general cement concrete, it is replaced with recycled sand instead of natural aggregate (river sand and gravel) to commercialize it. However, this has a problem that the strength and absorption rate is lower than the cement concrete product, the quality of the product does not appear uniforml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construction wastes generated at construction sites vary in the amount of foreign substances according to their properties, and the types and properties of aggregates, unit cement content, mixed materials, and their contents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time, location, and purpose of the building. This is because it can vary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usage, and it is not possible to set a standard for a specific value, and it is not possible to produce quantitative materials even after several steps such as sorting and crushing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recycled sand.

특히 재활용 모래는 철분, 수분 등의 이물질이 함유되어 있고, 이를 이용한 제품은 제품 내에 공극이 많이 존재하여 강도, 내식성, 및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등이 약하여 제품의 주재료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In particular, recycled sand contains foreign substances such as iron and water, and products using the same have a lot of voids in the product, so that strength, corrosion resistance, and resistance to freezing and thawing have been limited to be used as the main material of the product.

이에 따라, 재활용 모래는 제품의 주재료로서는 재활용이 용이하지 못하여 원재료인 폐콘크리트와 함께 비용을 지불하면서까지 매립 처리되고 있다. 또한, 재활용 모래의 생산 과정에서 부산물로 수득된 무기성 슬러지는 성토나 복토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 역시 비용을 지불하면서까지 매립 처리되고 있다.Accordingly, the recycled sand is not easily recycled as the main material of the product, and is thus landfilled while paying the cost with the waste concrete as the raw material. In addition, the inorganic sludge obtained as a by-product from the production of recycled sand may be used for fill or cover, but this is also landfilled at a cost.

따라서,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된 재활용 모래는 물론 이의 부산물로서 생산되는 무기성 슬러지를 유용하게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이를 이용한 제품의 경우에는 실용화될 수 있도록 우수한 물성을 갖게 할 수 있는 기술적 과제가 요구된다. 그리고 결합재로서 폴리머(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 시멘트 콘크리제품에 상당하는 가격적인 면이 고려되어야 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o usefully recycle not only recycled sand produced from construction waste, but also inorganic sludge produced as a by-product thereof, and in the case of a product using the same, a technical task to hav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to be practically used. do. In addition, when using a polymer (synthetic resin) as a binder, the cost aspect equivalent to existing cement concrete products should be considered.

본 고안자는 재활용 모래에 결합재로서 폴리머(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 이상의 물성을 갖는 건자재를 얻을 수 있었다.The present inventors were able to obtain a building material having properties more than conventional cement concrete products by using a polymer (synthetic resin) as a binder in recycled san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및 과제를 해결한 것으로,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하되, 건설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생산된 재활용 모래 일정 중량부에 이의 결합재로서 합성수지를 일정 중량부 배합하고, 이를 원심력을 이용하여 성형함으로써 강도, 수밀성, 내식성 및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치수 안정성을 가지며 건설폐기물의 재활용도를 높임과 동시에 경제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건설 건자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problems and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ion waste and synthetic resin as the main material, a certain part by weight of the synthetic resin as a binder to a certain weight of recycled sand produced during the treatment of construction waste By molding this by centrifugal force, it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water-tightness, corrosion resistance and resistance to freeze-thawing, dimensional stability, and provides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s that can increase the recycl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construction wastes. Has its purpose.

또한, 본 고안은 재활용 모래의 생산 시 부산물로 얻어지는 무기성 슬러지를 충전재로서 사용함으로써 무기성 슬러지의 재활용도를 높임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increase the degree of recycling of inorganic sludge by using the inorganic sludge obtained as a by-product in the production of recycled sand.

아울러, 본 고안은 위와 같은 건설 건자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열이 공급된 원심 몰드를 이용함으로써 물성 및 표면성이 더욱 향상되고 제조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건설 건자재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 that can improv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urface properties and significantly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by using a centrifugal mold supplied with heat in manufacturing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s as described above have.

이에 더하여, 본 고안은 색상안료 또는 발광안료를 함유시킴으로써 외관성 및 식별력이 우수하여 특히 외곽 도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건설 건자재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construction material that is excellent in appearance and distinguishing power by containing color pigments or light-emitting pigments, which can be particularly useful in the outer road.

도 1은 건설폐기물로부터 재활용 모래 및 무기성 슬러지를 생산하는 후처리 공정도이다.1 is a post-treatment process diagram for producing recycled sand and inorganic sludge from construction wast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건자재의 구체적인 구현예로서 차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경계블록을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tangular boundary block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roadway a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건자재의 다른 구현예를 보인 것으로서, 양측 말단에 결합수단을 갖는 경계블록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cutting block having a coupling means at both ends.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조에 유용하게 적용될 있는 원심력 제조설비의 단면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Figure 4 show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equipment that can be usefully applied to th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기 도 4의 원심력 제조설비를 구성하는 제조형틀의 사시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Figure 5 show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nufacturing mold constituting the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equipment of FIG.

도 6은 상기 도 4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여러 개의 제조형틀이 설치된 원심력 제조설비의 사시 구성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a centrifugal force production facility in which a plurality of production dies are install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FIG. 4.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제조형틀 2 : 구동로울러1: Manufacturing mold 2: Driving roller

3 : 가열수단 4 : 이송수단3: heating means 4: transfer means

11 : 고정형틀 12 : 덮개형틀11: fixed frame 12: cover frame

13 : 피동륜 31 : 캡슐13: driven wheel 31: capsule

32 : 발열체 100 : 본체32: heating element 100: main body

120 : 중공부 150 : 결합수단120: hollow 150: coupling means

150a : 끼움돌기 150b : 끼움홈150a: fitting protrusion 150b: fitting groo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건설 건자재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 using a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합성수지 20~70중량부와;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되고 입경이 6mm이하(체눈금 6mm를 통과한 것)인 재활용 모래 40~60중량부와; 경화제 0.5~3.5중량부 및 경화촉진제 0.1~0.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원심 성형한 것으로서,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 건설 건자재를 제공한다.20 to 70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esin; 40 to 60 parts by weight of recycled sand produced from construction waste and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6 mm or less (those having passed 6 mm of scale); Centrifugally molding a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comprising 0.5 to 3.5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and 0.1 to 0.3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ccelerator, and provides a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 having a hollow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은 임의 선택적으로 재활용 모래의 생산 시 부산물로 얻어진 무기성 슬러지 15~35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합성수지의 함량은 20~3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may optionally further comprise 15 to 35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sludge obtained as a by-product in the production of recycled sand, wherein the content of the synthetic resin is preferably 20 to 35 parts by weight.

또한, 본 고안에 따라서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은 색상안료 0.5~5중량부가 더 함유되어 이루어지거나,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광안료 8~20중량부가 더 함유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휨 성능 및 충격저항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유리섬유 및 고무분말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보강재 5~10중량부가 더 함유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may be made to further contain 0.5 to 5 parts by weight of color pigments, or 8 to 20 parts by weight of light emitting pigment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esin.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reinforcing materials selected from glass fibers and rubber powder may be further contained to increase bending performance and impact resistance.

위와 같은 본 고안의 건설 건자재는,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bove,

합성수지와;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되고 입경이 6mm이하(체눈금 6mm를 통과한 것)인 재활용 모래와;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얻는 단계와;Synthetic resins; Recycled sand produced from construction waste and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6 mm or less (passed 6 mm of scale); Obtaining a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comprising a curing agent and a curing accelerator;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원심 몰드에 투입하는 단계와;Injecting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nto a centrifugal mold;

상기 원심 몰드를 200~400rpm의 회전속도로 5분~10분 동안 회전시켜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이 제품의 외관 형태를 갖추고 그 내부에 중공부(120)가 형성되도록 하는 1차 회전단계와;A first rotation step of rotating the centrifugal mold at a rotational speed of 200 to 400 rpm for 5 to 10 minutes so that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has an appearance form of a product and a hollow portion 120 is formed therein;

상기 원심 몰드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열을 공급하는 단계와;Supplying heat while the centrifugal mold is rotating;

상기 열이 공급된 원심 몰드를 300~500rpm의 회전속도로 10분~30분 동안 더 회전시켜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완전 경화시키는 2차 회전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y manufactu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a second rotation step of completely rotating the heat-treated centrifugal mold 10 minutes to 30 minutes at a rotation speed of 300 ~ 500rpm to completely cure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또한,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얻는 단계에서는 재활용 모래의 생산 시 부산물로 얻어진 무기성 슬러지를 더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원심 몰드에 투입하기 이전에 이형성이 좋도록 원심 몰드의 내부 벽면에 이형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inorganic sludge obtained as a by-product in the production of recycled san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apply a release agent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entrifugal mold so that releasability is good before introducing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nto the centrifugal mold.

아울러, 상기 2차 회전단계에 후속하여 경화된 내용물(제품)을 탈형 제거하여 상기 원심 몰드의 하부에 설치된 이송수단을 통하여 이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secondary rotation step, demolding and removing the cured contents (product) through the transfer mean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ifugal mold; may be further included.

이하,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고안자는 우선, 건설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생산된 재활용 모래의 재활용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재활용할 수 있는 건설 건자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리고 재활용 모래의 생산 시 부산물로 얻어진 무기성 슬러지가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에서 혼화재료로 사용되어 온 고로슬래그나 플라이애쉬(fly ash) 대신에 이용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The inventors first examined the recycling method of recycled sand produced during the treatment of construction waste, and reviewed the construction materials that can be recycled. In addition, it was examined whether inorganic sludge obtained as a byproduct in the production of recycled sand could be used in place of blast furnace slag or fly ash, which has been used as a mixed material in existing cement concrete.

본 고안에 따르면,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된 재활용 모래를 건설 건자재의 주재료로 재활용 시, 이의 결합재로서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공극률이 작아지고 결합력이 향상되어 물성이 우수해지고, 건설폐기물의 원재료에 함유된 이물질의함량, 타설 당시의 골재의 종류 및 성상, 단위 시멘트량, 혼화재료 및 이의 사용량 등에 크게 관계없이 제품의 품질이 일률적으로 거의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재활용 모래의 생산시 부산물로 얻어지는 무기성 슬러지는 재활용 모래 입자 간의 공극을 메워 물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합성수지의 소요량을 줄일 수 있어 충전재로서 사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가 적정 배합되어야만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보다 우수한 물성을 가지면서 경제성이 뒤지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고안자는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하여 건설 건자재를 제조하되, 밀실도를 증가시켜 물성 및 표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조방법을 고안하였다. 이때, 특히 제품의 강도 및 수밀성이 충분히 보장되면서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작업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방법을 완성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ycled sand produced from construction waste is recycled as the main material of construction materials, when synthetic resin is used as a binder thereof, the porosity is reduced and the bonding force is improved, the physical properties are excellent,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raw materials of construction waste. It was found that the quality of the product was almost uniform regardless of the content, the type and property of aggregate at the time of pouring, the amount of unit cement, the mixed materials and the amount of use thereof.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inorganic sludge obtained as a byproduct in the production of recycled sand can be used as a filler by filling voids between the recycled sand particles to improve physical properties as well as reducing the amount of synthetic resin required. In particular,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s must be properly blended to have superior physical properties compared to existing cement concrete products, and it was found to be economically inferio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ors devised a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construction waste and synthetic resin as main materials, and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urface properties by increasing the degree of sealing. In this case, in particular, while the strength and watertightness of the product is sufficiently secured, a method of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significantly reducing work time was completed.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건자재를 상세히 설명한다.First,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고안의 건설 건자재는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며,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은 재활용 모래 40~60중량부에 대하여 합성수지 20~70중량부와, 경화제 0.5~3.5중량부 및 경화촉진제 0.1~0.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nstruction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from a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and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ncludes 20 to 70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esin, 0.5 to 3.5 parts by weight of curing agent and 0.1 to 0.3 parts by weight of curing accelerator based on 40 to 60 parts by weight of recycled sand. It is done by

바람직하게는 재활용 모래의 생산 시 부산물로 얻어지는 무기성 슬러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조성함에 있어서, 합성수지의 함량은 20~35중량부, 무기성 슬러지의 함량은 15~35중량부로 조성된다. 구체적으로, 무기성 슬러지가 함유되는 경우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은 재활용 모래 40~60중량부에 대하여 합성수지 20~35중량부, 무기성 슬러지 15~35중량부, 경화제 0.5~3.5중량부 및 경화촉진제 0.1~0.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Preferably, inorganic sludge obtained as a byproduct in the production of recycled sand is further included. At this time, in the composition of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synthetic resin is 20 to 35 parts by weight,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sludge is 15 to 35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when the inorganic sludge is contained,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may contain 20 to 35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esin, 15 to 35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sludge, 0.5 to 3.5 parts by weight of curing agent and 0.1 to 0.1 to 40 parts by weight of recycled sand. It comprises -0.3 parts by weight.

상기 재활용 모래는 건설폐기물(폐콘크리트, 폐석재 등)로부터 생산된 입경 6mm이하(체눈금 6mm를 통과한 것)의 것으로서, 일정 입도 이상의 폐콘크리트 가루 및 석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건설폐기물 중에서 폐콘크리트의 처리과정에서 생산되어지되, 미분이 제거된 입경 0.08~6mm(체눈금 6mm는 통과하고 0.08mm는 통과하지 못한 것)의 입도 분포를 갖는 것이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8~3mm 입도 분포를 갖는 것으로서, 조립율이 2.5~3.2인 것이 사용된다. 이때, 조립율이 2.5 미만인 경우 밀실도가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즉, 조립율이 2.5 미만인 경우 입자 간에 공극율이 많아 강도 및 흡수율(수밀성) 등의 물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재활용 모래는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의 중량 기준으로 40~60중량부가 함유되는 데, 재활용 모래는 가능한 한 많이 함유되면 경제성 면에서 바람직하나, 6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결합재로서 함유되는 합성수지 및 충전재로서 함유되는 무기성 슬러지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본 고안에서 목적하는 물성을 얻기가 어렵다.The recycled sand has a particle diameter of 6 mm or less (those having passed 6 mm of scale) produced from construction waste (waste concrete, waste stone, etc.), and includes waste concrete powder and stone powder having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or more. Preferably, it is produced in the process of treating waste concrete among construction wastes, and has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having a particle size of 0.08 to 6 mm (diameter 6 mm passes but does not pass 0.08 mm) from which fine powder is removed. More preferably, as hav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0.08 to 3 mm, one having a granulation ratio of 2.5 to 3.2 is used. At this time, when the granulation rate is less than 2.5, the sealing degree is not preferable. That is, when the granulation rate is less than 2.5, the porosity is large between particles, which is not preferable in view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 water absorption (watertightness). Such recycled sand contains 40 to 60 parts by weight based on the weight of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and recycled sand is preferably economically contained as much as possible, but when it exceeds 60 parts by weight, it is contained as a synthetic resin and filler included as a binder.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desired physical properties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sludge becomes relatively small.

상기 무기성 슬러지는 재활용 모래의 생산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진 미분을 응집 처리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입경 0.08mm미만(체눈금 0.08mm를 통과한 것)의 미분이 응집 처리된 결과물이다. 이는 재활용 모래 입자 간의 공극을 메우는 충전재로서 작용하며, 재활용 모래 40~60중량부에 대하여 15~35중량부가 함유된다.The inorganic sludge is a result of agglomeration of the fine powder obtained as a by-product during the production of recycled sand. Specifically, the inorganic sludge is the result of the agglomeration of the fine powder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08 mm (those having passed through 0.08 mm). It acts as a filler to fill the voids between the recycled sand particles and contains 15 to 3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40 to 60 parts by weight of recycled sand.

이때, 15중량부 미만에서는 재활용 모래 입자 간의 공극을 충분을 메우기 어려워 물성이 약해지며, 3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증가되어 성형성이떨어지고, 재활용 모래 입자 사이에 필요한 충전양보다 많아 강도가 저하된다.At this time, less than 15 parts by weight is difficult to fill enough voids between the recycled sand particles, the physical properties are weak, and if it exceeds 35 parts by weight, the viscosity is increased, the moldability is lowered, and the strength is greater than the required filling amount between the recycled sand particles Degrades.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재활용 모래 및 무기성 슬러지는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된 결과물이다. 이러한 재활용 모래 및 무기성 슬러지는 현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득되고 있다. 특히, 재활용 모래와 관련하여 본 고안자도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2-0050185호에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부순모래 제조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재활용 모래는 본 고안자가 제시한 상기 공개특허문헌에 제시된 방법에 의해 수득된 부순모래(재활용 모래)를 포함한다.Therefore, the recycled sand and inorganic sludg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result produced from construction waste. Such recycled sand and inorganic sludge are currently obtained in various way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a method for producing a crushed sand using construction waste i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02-0050185 with respect to recycled sand. The recycled sand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rushed sand (recycled sand) obtained by the method shown in the above-mentioned patent publication proposed by the inventor.

건설폐기물로부터 재활용 모래 및 무기성 슬러지를 수득하는 공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이는 전처리 공정과 후처리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는데, 먼저 전처리 공정에서는 회수된 건설폐기물(폐콘크리트, 폐석재 등)을 조 크러셔(Jaw Crusher)로 파쇄한 후, 철재류 및 토사를 분리제거하고 수중선별장치에서 분진, 합성수지류, 천 조각, 종이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다시 파쇄한 후 스크린을 통과시켜 입경 50mm이하, 바람직하게는 40mm~50mm의 재활용 골재를 선별한다.For example, a process for obtaining recycled sand and inorganic sludge from construction waste may be carried out in a pretreatment process and a post-treatment process. First, the pre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to recover recovered construction wastes (waste concrete, waste stone, etc.). After crushing with Jaw Crusher, remove iron and earth and s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synthetic resin, cloth, paper, etc. from the underwater sorting device, and then shred again and pass through the screen to make particle size less than 50mm. For example, 40 mm to 50 mm recycled aggregates are screened.

다음으로, 후처리 공정이 진행되는 데, 이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건설폐기물의 후처리 공정도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후처리 공정에서는 입경 6mm이하의 재활용 모래와 무기성 슬러지가 수득되는데, 전처리 공정에서 선별된 50mm이하의 재활용 골재는 조 크러셔(Jaw Crusher)에 투입되어 1차 파쇄단계가 진행된 다음, 연속적으로 콘 크러셔(Cone Crusher)에 투입되어 2차 파쇄단계가 진행된다. 그리고 스크린으로 이송되어 습식방식으로 1차 진동분급이 진행된다. 1차 진동분급에서는 6mm이하의 재활용 모래가 선별되어 샌드유닛(sandunit)에 포집되며, 6mm보다 큰 입자는 다시 제2차 파쇄단계로 이송된다. 또한, 1차 진동분급이 진행된 다음 2차 진동분급이 진행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3mm이하의 재활용 모래가 선별되어 샌드유닛(sand unit)에 포집된다. 또한, 2차 진동분급에서 3mm보다 큰 입자는 임팩트 크러셔(Impact Crusher)에 투입되어 파쇄/연마단계가 진행된 다음 다시 2차 진동분급이 진행된다. 이와 같은 공정에서 입경 0.08mm 미만의 미분이 제거되는데, 1차 및 2차 진동분급 과정에서 제거되거나, 샌드유닛에 포집된 다음 체눈금 0.08mm를 갖는 스크린에 통과되어 제거된다. 이에 따라 0.08~6mm의 입도 분포, 바람직하게는 0.08~3mm 입도 분포를 갖는 재활용 모래가 수득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공정을 통한 재활용 모래는 조립율 2.8~2.9의 분포를 갖는다.Next, a post treatment process is performed,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1 shows a post-treatment process diagram of construction waste. Referring to FIG. 1, in the post-treatment process, recycled sand and inorganic sludge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6 mm or less are obtained, and recycled aggregates of 50 mm or less selected in the pretreatment process are introduced into a jaw crusher and then crushed. After proceeding, the secondary crushing step is carried out by continuously entering into the cone crusher (Cone Crusher). Then, the first vibration classification is performed in a wet manner by being transferred to the screen. In the first vibration classification, less than 6 mm of recycled sand is sorted and collected in a sand unit, and particles larger than 6 mm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crushing step again. In addition, the first vibration classification may be progressed and then the second vibration classification may proceed, where recycling sand of 3 mm or less is sorted and collected in a sand unit. In addition, the particles larger than 3mm in the secondary vibration classification is injected into the impact crusher (impact crusher) is subjected to the crushing / polishing step and then the second vibration classification proceeds again. In this process, the fine powder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08 mm is removed, either in the first and second vibration classification processes, or collected in a sand unit and then passed through a screen having a 0.08 mm scale. As a result, recycled sand having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0.08 to 6 mm, preferably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0.08 to 3 mm is obtained. And recycled sand through the above process has a distribution ratio of 2.8 ~ 2.9.

또한, 상기 재활용 모래를 수득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얻어진 입경 0.08mm 미만의 미분은 무기성 슬러지화된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경 0.08mm 미만의 미분은 응집처리조(Thickener Tank)에 투입되어 약품탱크Ⅰ에서는 응집제(폴리아크릴 아마이드, 황산알루미늄 등), 약품탱크Ⅱ에서는 물을 공급받아 응집 및 용수 처리된다. 그리고 미분저장조Ⅰ 및 미분저장조Ⅱ로 분할 분급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된 다음, 여과기로 이송되어 수분함량 8%의 케익 상태가 되면 외부로 배출되어 무기성 슬러지가 수득된다.In addition, the fine powder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08 mm obtained as a by-product in the process of obtaining the recycled sand is inorganic sludg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FIG. 1, fine powder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less than 0.08 mm is added to a thickener tank, and the chemical tank I receives the coagulant (polyacrylamide, aluminum sulfate, etc.), and the water is supplied from the chemical tank II. Flocculation and water treatment. And then divided into finely divided storage tank I and finely divided storage tank II and temporarily stored, and then transferred to the filter when the state of cake of water content of 8%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o obtain inorganic sludge.

위와 같은 처리공정을 통하여 수득된 재활용 모래 및 무기성 슬러지는 합성수지와의 상용성이 좋도록 충분히 건조된 다음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cycled sand and inorganic sludge obtained through the treatment process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used after drying sufficiently to be compatible with the synthetic resin.

상기 합성수지는 결합재로 작용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무기성 슬러지와함께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재활용 모래 입자 상호간을 결합시킨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합성수지는 순수한 수지(virgin resin ;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수지) 및 재활용수지(waste resin ; 폐합성수지) 및 순수한 수지(virgin resin ; 한번도 사용하지 않은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액상 및 고상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및 페놀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점도가 200~500cps(25℃에서)인 액상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올소타입(ortho type)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한다.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강도 및 화학적 성질 그리고 가격 면에서도 다른 수지보다 유리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격 면을 고려한다면 현재 시장에서 저렴하게 보급되고 있는 펠릿형 재활용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The synthetic resin acts as a binder, and in particular, forms a matrix with the inorganic sludge to bond the recycled sand particles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thetic resin may use a virgin resin (a resin that has never been used) and a recycled resin (waste resin; a waste synthetic resin) and a virgin resin (a resin that has never been used). Include. Specifically,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polyurethanes, low density polyethylene, epoxy resins, acrylic resins, phenol resins, and the like may be used, and preferably the viscosity is 200 to 500 cps (at 25 ° C). A liquid unsaturated polyester resin, more preferably an ortho typ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is used.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are preferred over other resins in terms of strength, chemical properties and cost. And, considering the price, it is possible to use a pellet-type recycled resin that is currently inexpensive on the market.

위와 같은 합성수지는 본 고안에 따라서 재활용 모래 40~60중량부에 대하여 20~70중량부가 함유된다. 이때, 20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된 경우 결합력이 약하여 본 고안에서 목적하는 강도 및 수밀성 등의 물성을 얻기 어려우며, 7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성은 우수해지나 가격이 높아지고 작업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무기성 슬러지가 포함되어 조성되는 경우 바람직한 합성수지의 함량은 20~35중량부이다.Synthetic resin as described above contains 20 to 70 parts by weight based on 40 to 60 parts by weight of recycled s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when contained in less than 20 parts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properties such as strength and watertightness of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bonding strength is weak, and when it exceeds 70 parts by weight, the physical properties are excellent but the price is high and workability is poor. And when the inorganic sludge is included, the preferred amount of synthetic resin is 20 to 35 parts by weight.

상기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는 사용되는 합성수지의 종류에 따라 선택되며, 예를 들어 합성수지로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경화제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상용성이 좋은 메틸 에틸 케톤 퍼옥사이드(MEKPO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벤조일 퍼옥사이드(BOP : Benzoil Peroxide) 등의 퍼옥사이드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화촉진제로는 코발트 옥토에이트(Cobalt Octoate) 등의 코발트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ring agent and curing accelerator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synthetic resin used. For example, when unsaturated polyester resin is used as the synthetic resin, the curing agent is methyl ethyl ketone peroxide (MEKPO: Methyl) having good compatibility with the unsaturated polyester resin. It is preferable to use a peroxide system such as Ethyl Ketone Peroxide) or benzoyl peroxide (BOP: Benzoil Peroxide), and a cobalt system such as cobalt octoate (Cobalt Octoate) is preferably used as a curing accelerator.

또한,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은 본 고안에 따라서 색상을 발현하는 색상안료 및/또는 빛을 발산하는 발광안료가 더 함유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색상안료는 일반적인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무기계 또는 유기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재활용 모래 40~60중량부에 대하여 0.5~5중량부가 함유된다. 이때, 0.5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된 경우 색상 발현도가 떨어져 그 효과가 미미하며,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더 상승된 효과도 없으며 가격 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In addition,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may be made to further contain a color pigment and / or a light-emitting pigment that emits l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color pigments may be used inorganic or organic type used in the general industrial field, and contains 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40 to 60 parts by weight of recycled sand. At this time, when the content is less than 0.5 parts by weight, the degree of color expression is reduced, the effect is insignificant, and when it exceeds 5 parts by weight, there is no further effect and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price.

상기 발광안료는 ZnS계, CdS계 등의 황화합물계 또는 스트론튬계, 알루미나계 등의 산화물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품으로는 국내 (주)루미나이트 제품의 LLP-A, LLP-B, LLP-C, LLP-D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안료는 합성수지와 먼저 배합시켜 발광성 마스터배치(master batch)를 얻은 후 여기에 기타 재활용 모래 및 무기성 슬러지가 혼합되는 데,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8~20중량부가 함유되도록 배합된다.(즉, 합성수지 : 발광안료 = 1 : 0.08 ~ 0.2) 이때, 8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된 경우 발광휘도가 낮아 그 효과가 미미하며, 20중량부를 초과한 경우에는 분말 입자가 증가됨에 따라 제품의 강도가 약해지고, 더 상승된 발광성능을 발휘하지 못하며 가격이 증가되어 바람직하지 않다.The light emitting pigment may be a sulfur compound-based, such as ZnS-based, CdS-based, or an oxide-based, such as strontium-based, alumina-based, and the like as LLP-A, LLP-B, LLP-C, LLP-D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luminescent pigments are first blended with synthetic resins to obtain luminescent master batches and then mixed with other recycled sand and inorganic sludge, which are formulated to contain 8 to 20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esin. That is, synthetic resin: luminescent pigment = 1: 0.08 ~ 0.2) At this time, if less than 8 parts by weight of light emission brightness is low, the effect is insignificant, if it exceeds 20 parts by weight, the strength of the product as the powder particles increase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becomes weak, does not exhibit a higher luminous performance, and increases in price.

위와 같은 색상안료 및 발광안료는 제품의 외관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발광안료는 외곽 도로용 경계블록에 적용되는 경우 식별력을 갖게 하여 운전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Color pigments and luminous pigments as described above improves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n particular, luminous pigments improve the driver's safety by having a discriminating power when applied to the boundary block for the outer road.

또한,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유리섬유 및 고무분말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보강재가 재활용 모래 40~60중량부에 대하여 5~10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는 10~12mm의 길이를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고무분말은 폐타이어를 분쇄한 재활용 제품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입경 0.5mm이하(체눈금 0.5를 통과한 것)인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보강재는 제품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특히 경계블록으로 적용되는 경우 내충격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may contain 5 to 1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reinforcing materials selected from glass fibers and rubber powder based on 40 to 60 parts by weight of recycled sand. The glass fiber may be used having a length of 10 ~ 12mm, the rubber powder is a recycled product pulverized waste tire is preferably used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0.5mm or less (those passing through a 0.5 division). Such a reinforcement increases the strength of the product, and especially when applied as a boundary block, the impact resistance is improved is preferable.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건자재는 상기와 같은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원심 몰드에 투입하여 원심력을 이용하여 양생 제조된다. 이와 같이 원심력을 이용하게 되면, 입자 간의 밀실도가 증가되어 물성이 향상되고, 원심 몰드의 형상과 동일하게 외관이 형성되어 치수 안정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중공부(120)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by curing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centrifugal force. When the centrifugal force is used in this way, the degree of closedness between the particles is increased, the physical properties are improved, and the external appearance is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shape of the centrifugal mold, thereby having dimensional stability. Preferably, it is preferable to be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described below, and more preferably, as illustrated in FIG. 2, the hollow part 120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건자재는 위와 같이 합성수지, 재활용 모래, 무기성 슬러지,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가 적정 조성되어 이루어진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원심 성형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차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도로 경계블록, 보도의 바닥에 맞물림 구조로 설치되는 인터로킹블록,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되는 판넬, 지하 주차장 등의 바닥에 타설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재 등과 같은 건설 마감재와, 벽체 구축용 벽돌, 그리고 배수로를 형성하는 흄관 형태의 배수관을 포함한다.The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by centrifugal molding of a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composed of synthetic resin, recycled sand, inorganic sludge, hardener, and hardening accelerator as above. Construction finishing materials such as interlocking blocks installed in the interlocking structure on the floor, panels attached to the walls of the building, and floorings formed on the floor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o form the floor, bricks for building walls, and fume pipes forming the drainage channels A form of drain pip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건자재의 구체적인 구현예로서 차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경계블록을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tangular boundary block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roadway as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으로서 특히 경계블록으로 적용하는 경우 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부(1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부(120)는 휨 강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성형 재료를 절감시키고 경량성을 부여해 준다. 그리고 전선 배관, 배수로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low part 120 penet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is formed when the product is applied as a boundary block. The hollow part 120 not only increases the bending stiffness but also saves the molding material and imparts lightness. And it can be applied to electric wire piping, drainage, and the like.

한편, 도 2에 예시한 경계블록을 포함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건자재는 건설 현장에 설치 시 인접하는 제품과 상호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별도의 결합부재가 사용되어 결합되거나, 제품 자체는 합성수지가 사용되었으므로 수지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는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건설 건자재가 흄관 등의 배수관인 경우 파이프 형태의 결합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지 접착제는 접착력을 가지는 합성수지이면 가능하며, 예를 들어 실리콘,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좀 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결합부재와 수지 접착제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boundary block illustrated in Figure 2 can be mutually coupled with the adjacent product when installed in the construction site, wherein a separate coupling member is used, or the product itself is a synthetic resin As used, it can be bonded by a resin adhesive. For example, the coupling member may be a coupling member in the form of a pipe when the construction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ain pipe such as a fume pipe. In addition, the resin adhesive may be a synthetic resin having an adhesive force, for example, silicone, epoxy resin, polyurethane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bonding member and the resin adhesive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to achieve a more robust bonding.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건자재는 제품 상호간에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결합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경계블록의 다른 구현예를 보인 것으로서, 양측 말단에 결합수단(150)을 갖는 모습을 보여준다. 상기 결합수단(150)은 계단식 구조, 맞물림 구조 또는 끼움구조가 될 수 있으며,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일측 말단에 형성된 끼움돌기(150a)와 타측 말단에 형성된 끼움홈(15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끼움홈(150b)에 수지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여기에끼움돌기(150a)를 삽입 결합시키면 더욱 견고한 결합을 도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upling means to improv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products. 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boundary block, showing a state having a coupling means 150 at both ends. The coupling means 150 may be a stepped structure, an engagement structure or a fitting structure, and may be composed of a fitting protrusion 150a formed at one end and a fitting groove 150b formed at the other end as illustrated in FIG. 3. have. At this time, by applying a resin adhesive to the fitting groove (150b) and then insert the fitting protrusion (150a) combined to achieve a more firm coupling.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건설 건자재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으로서, 본 고안에 따라서 물성 및 표면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치수 안정성을 갖게 할 수 있으며 제조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s a preferabl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s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manufacturing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urface properties, have a dimensional stability and can significantly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건자재는,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합성수지와;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되고 입경이 6mm이하(체눈금 6mm를 통과한 것)인 재활용 모래와;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얻는 단계(Step 1);(a) synthetic resin; Recycled sand produced from construction waste and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6 mm or less (passed 6 mm of scale); Obtaining a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comprising a curing agent and a curing accelerator (Step 1);

(b)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원심 몰드에 투입하는 단계(Step 2);(b) injecting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nto a centrifugal mold (Step 2);

(c) 상기 원심 몰드를 200~400rpm의 회전속도로 5분~10분 동안 회전시켜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이 제품의 형태를 갖추고 그 내부에 중공부(120)가 형성되도록 하는 1차 회전단계(Step 3);(c) a first rotation step of rotating the centrifugal mold at a rotational speed of 200 to 400 rpm for 5 to 10 minutes so that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has the form of a product and a hollow portion 120 is formed therein (Step 3). );

(d) 상기 원심 몰드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원심 몰드에 열을 공급하는 단계(Step 4); 및(d) supplying heat to the centrifugal mold while the centrifugal mold is rotating (Step 4); And

(e) 상기 열이 공급된 원심 몰드를 300~500rpm의 회전속도로 10분~30분 동안 더 회전시켜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완전 경화시키는 2차 회전단계(Step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e) the second centrifugal rotation step (Step 5) to further harden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by further rotating the centrifugal mold supplied with heat for 10 minutes to 30 minutes at a rotational speed of 300 to 500 rpm. It is preferred to be prepared.

또한,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얻는 단계(Step 1)에서는 재활용 모래 40~60중량부에 대하여 합성수지 20~70중량부, 경화제 0.5~3.5중량부 및 경화촉진제0.1~0.3중량부를 함유시켜 콘크리트 조성물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임의 선택적으로 무기성 슬러지를 더 함유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이때 합성수지는 20~35중량부, 무기성 슬러지는 15~35중량부로 조성한다. 또한, 색상안료 0.5~5중량부 및/또는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광안료 8~20중량부를 더 함유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유리섬유 및 고무분말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보강재 5~10중량부를 함유시킬 수 있다.(Step 1) 상기 합성수지는 액상의 합성수지 및 고상의 펠릿형 합성수지(바람직하게는 펠릿형 재활용수지)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Step 1) containing 20 to 70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esin, 0.5 to 3.5 parts by weight of curing agent and 0.1 to 0.3 parts by weight of curing accelerator based on 40 to 60 parts by weight of recycled sand It is desirable to. 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o optionally contain an inorganic sludge further, wherein the synthetic resin is 20 to 35 parts by weight, the inorganic sludge is composed of 15 to 35 parts by weight. In addition, the light-emitting pigment 8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0.5 to 5 parts by weight of the color pigment and / or 100 parts by weight of the synthetic resin may be further contained. And 5 to 10 parts by weight of one or more reinforcing materials selected from glass fibers and rubber powder. (Step 1) The synthetic resin includes a liquid synthetic resin and a solid pellet-shaped synthetic resin (preferably a pellet-type recycled resin). .

상기 원심 몰드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원심 회전하는 것으로서,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투입하기 이전에 그 내부 벽면에 건설 건자재의 탈형이 용이하도록 이형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제는 액상 또는 겔상의 왁스나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심 몰드의 내부 벽면은 경질 크롬으로 도금 처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이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위와 같은 원심 몰드에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투입함에 있어서, 투입량을 원심 몰드의 용적과 동일한 양을 투입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제품에 중공부(120)가 형성되도록 원심 몰드의 용적보다 적은 양을 투입한다. 이때, 투입량에 따라 중공부(120)의 크기가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제품의 중량 및 강도 측면에서 원심 몰드의 용적 대비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의 투입량은 50~70용적%가 되도록 한다. 즉,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이 투입된 후 원심 몰드에 50~30용적%의 빈 공간이 남도록 한다.(Step 2)The centrifugal mold is a centrifugal rotation by receiving the driving force, it is preferable to apply a release agent to facilitate the demoulding of the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 on the inner wall surface before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s injected. The release agent may be a liquid or gel wax, silicone or the like. At this time,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entrifugal mold is more preferably plated with hard chromium. This has the advantage of further improving the releasability. In putting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nto the centrifugal mold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amount may be equal to the volume of the centrifugal mold, but preferably less than the volume of the centrifugal mold so that the hollow portion 120 is formed in the product. do.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hollow portion 120 is set according to the input amount. Preferably, in terms of weight and strength of the product, the dosage of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to the volume of the centrifugal mold is 50 to 70% by volume. That is, 50 to 30% by volume of empty space remains in the centrifugal mold after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s injected. (Step 2)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투입한 다음에는 원심 몰드를 200~400rpm의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300rpm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원심 몰드의 회전속도는 제품의 형태, 밀실도 및 표면성 등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 인자로 작용하게 되는데, 200rpm보다 낮은 속도에서는 중공부(120)의 형태가 양호하지 않고 밀실도가 떨어져 강도 및 수밀성이 약해지며, 400rpm보다 큰 경우에는 재료의 분리현상이 발생되어 표면성이 떨어지고 강도 면에서도 좋지 않다. 그리고 위와 같은 회전속도에서 5분~10분 동안 회전시키면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이 제품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Step 3) 즉, 제품의 외관이 원심 몰드의 형상과 동일하게 되고, 제품의 내부에는 목적하는 형상을 가지는 중공부(120)가 형성된다.After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s added, the centrifugal mold is rotated at a rotational speed of 200 to 400 rpm. Preferably it is rotated at 300 rpm. At this tim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entrifugal mold acts a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shape of the product, the degree of closeness and surface properties, but at a speed lower than 200rpm, the hollow portion 120 is not in good shape and the degree of closedness drops and the strength and Water tightness is weakened, and if it is larger than 400rpm, material separation occurs, resulting in poor surface properties and poor strength. And if the rotation for 5 to 10 minutes at the same rotation speed as described above,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s in the form of the product (Step 3), that is,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centrifugal mold, the inside of the product The hollow part 120 having a shape is formed.

후속하여, 위와 같이 원심 몰드가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원심 몰드에 열을 공급한다.(Step 4) 이때, 액상의 합성수지가 사용된 경우 원심 몰드의 내부 온도가 60~80℃로 유지되도록 하고, 고상의 펠릿형 합성수지가 사용된 경우에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온도를 조절하되 초기에는 융융 가능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한 다음 점차적으로 온도를 낮춰 60~80℃로 유지시킨다. 즉, 액상의 합성수지가 사용된 경우에는 초기부터 60~80℃의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고, 고상의 펠릿형 합성수지가 사용된 경우 초기에는 높은 온도를 가하여 용융시킨 다음 60~80℃의 온도로 유지시켜 경화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온도 범위, 즉 60~80℃에서 300~500rpm의 회전속도로 더 회전시킨다.(Step 5) 바람직하게는 400rpm의 속도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60~80℃로 유지시키면,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의 경화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투입량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10분~30분 정도에서 완전 경화된다.(Step 5)Subsequently, heat is supplied to the centrifugal mold while the centrifugal mold is rotating as described above (Step 4). At this time, when a liquid synthetic resin is use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entrifugal mold is maintained at 60 to 80 ° C, and the solid phase is If pellet type synthetic resin is used, adjust th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n, but keep the meltable temperature at the beginning and then gradually lower the temperature to maintain it at 60 ~ 80 ℃. That is, when liquid synthetic resin is used, the temperature of 60 to 80 ° C. is maintained from the beginning, and when solid pellet-type synthetic resin is used, it is initially melted by applying a high temperature and then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60 to 80 ° C. Allow to cure. And, in the temperature range, that is, 60 ~ 80 ℃ to further rotate at a rotational speed of 300 ~ 500rpm (Step 5) Preferably it is rotated at a speed of 400rpm. If it is maintained at 60 ~ 80 ℃ in this way, the curing time of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can be shortened, and the curing time is completely cured in about 10 minutes to 30 minutes, although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osage.

상기 온도 범위를 벗어난 온도에서는 합성수지의 용융 분해 등의 이유로 경화시간이 길어지거나 경화가 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The temperature outside the above temperature range is not preferable because the curing time is long or hardening due to melt decomposition of the synthetic resin.

상기 1차 회전단계(Step 3)에서는 원심 몰드에 열을 공급하지 않아야 하는데, 그 이유는 제품의 형태를 갖추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1차 회전단계(Step 3)에서 열을 공급하게 되면 제품의 형태가 아직 갖추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경화되어 제품의 형태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1차 회전단계(Step 3)는 제품의 형태를 갖추게 하는 단계이고, 후속하여 진행되는 열 공급(Step 4) 및 2차 회전단계(Step 5)는 제품을 완전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그리고 1차 회전단계(Step 3)보다 2차 회전단계(Step 5)의 회전속도가 더 큰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품의 형태가 갖추어진 상태에서 더 큰 회전속도를 부여하게 되면 밀실도가 증가되어 강도가 향상된다.In the first rotation step (Step 3), the heat should not be supplied to the centrifugal mold,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the shape of the product. That is, when heat is supplied in the first rotation step (Step 3),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hape of the product is hardened because the shape of the product is not yet prepared. Therefore, the first rotation step (Step 3) is a step to take the form of the product, the subsequent heat supply (Step 4) and the second rotation step (Step 5) is a step of completely curing the product.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rotation step (Step 5) is greater than the first rotation step (Step 3). Strength is improved.

또한, 상기 단계(Step 5)에 후속하여 경화된 내용물(제품)을 탈형 제거하여 상기 원심 몰드의 하부에 설치된 이송수단을 통하여 이송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Step 5) it is preferable to further comprise the step of removing the cured contents (product) through the transfer mean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entrifugal mold.

위와 같은 본 고안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물성 및 표면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제조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즉, 원심력에 의해 밀실도가 증가되어 물성 및 표면성이 증가되고, 경화시간이 종래 10시간 이상 소용되는 데 반하여 열이 공급됨에 따라 30분 이내로 대폭 단축된다. 그리고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은 경화 시 수축되는데, 상기와 같이 열이 공급된 상태로 원심력을 이용하면 합성수지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축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제품의 외형은 원심력에 의해 원심 몰드의 형상과 동일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완전 경화되기 때문에 제품은 우수한 치수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 수분은 원심 회전되는 과정에서 비중 차에 의해 제거되어 제품의 성상에 관여하지 않게 된다.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increas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urface properties and can significantly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That is, the closedness is increas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urface properties are increased, and the hardening time is significantly shortened to 30 minutes or less as heat is supplied while the curing time is used more than 10 hours. In addition,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shrinks when hardened. When the centrifugal force is used as described above, even if shrinkage occurs in the process of curing the synthetic resin,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maintained in the same shape as the centrifugal mold by the centrifugal force. The product has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because it is fully cured in the state. In addition, when water is contained in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water is removed by the difference in specific gravity in the process of centrifugal rotation so that it is not involved in the properties of the product.

한편,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원심력 제조설비가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조에 적용될 있는 원심력 제조설비의 단면 구성도를 보인 것이며, 도 5는 상기 원심력 제조설비를 구성하는 제조형틀의 사시 구성도를 보인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여러 개의 제조형틀이 설치된 제조설비를 보여준다. 이와 같은 원심력 제조설비는 본 출원인이 동일자로 특허출원한 "중공 폴리머 경계블록 제조장치"라는 명칭의 명세서 및 도면에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nufactur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fully applied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equipment described below. Figure 4 show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equipment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perspective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manufacturing mold constituting the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equipment. 6 shows a manufacturing facility in which several manufacturing molds are installed. Such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facilities are shown in detail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entitled "Hollow Polymer Boundary Block Manufacturing Apparatus" filed by the applicant.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원심력 제조설비를 설명하면, 이는 원심력 제조형틀(1)과, 이 제조형틀(1)에 열을 공급하는 가열수단(3)과, 상기 제조형틀(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도시하지 않음)과, 제조된 제품을 외부로 이송하는 이송수단(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 4 and FIG. 5, the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equipment is described, which is a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mold 1, a heating means 3 for supplying heat to the manufacturing mold 1, and the manufacturing mold 1. It comprises a drive means (not shown) for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conveying means, and a conveying means 4 for conveying the manufactured product to the outside.

상기 제조형틀(1)은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고정형틀(11)과 덮개형틀(12)로 구성된 원심 몰드와, 이 원심 몰드를 지지하는 두개의 구동로울러(2)로 구성된다. 그리고 원심 몰드에는 피동륜(13)이 착설되어 있으며, 상기 피동륜(13)은 구동로울러(2) 상에 안착된다. 이때, 상기 원심 몰드는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는 데, 이와 같이 2개 이상의 원심 몰드가 설치되는 경우에 각 원심 몰드는 피동륜(13)에 의해 구획된다. 도 6은 4개의 원심 몰드가 구비된 제조형틀이 6개가 설치된 제조설비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원심 몰드 및 제조형틀(1)을 여러 개 설치하면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많은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The mold 1 is composed of a centrifugal mold composed of a stationary mold 11 and a lid 12 as shown in FIG. 5, and two drive rollers 2 supporting the centrifugal mold. In the centrifugal mold, a driven wheel 13 is installed, and the driven wheel 13 is seated on the driving roller 2. At this time, two or more centrifugal molds may be installed. In this case, when two or more centrifugal molds are installed, each centrifugal mold is partitioned by the driven wheels 13. 6 shows a manufacturing facility in which six manufacturing molds having four centrifugal molds are installed. In this way, if a plurality of centrifugal molds and production molds 1 are installed, many products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상기 제조형틀(1)에는 구동력이 전달되는 데, 이를 위한 구동수단은 전기모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구동로울러(2) 또는 피동륜(13)에 연결되어 원심 몰드를 회전시킨다. 이때, 원심 몰드는 200~400rpm으로 회전되게 한다. 또한, 상기 원심 몰드의 내부 벽면에는 이형제(왁스, 실리콘 등)가 도포된 다음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이 투입되는 데, 이때 원심 몰드의 내부 벽면에는 경질 크롬이 도금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은 원심 몰드의 용적 대비 50~70용적%가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iv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manufacturing mold 1, the driving means for this may be an electric motor, which is connected to the drive roller 2 or the driven wheel 13 to rotate the centrifugal mold. At this time, the centrifugal mold is rotated at 200 ~ 400rpm. In addition, a mold release agent (wax, silicon, etc.) is applied to the inner wall of the centrifugal mold, and then a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s added thereto.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hard chromium is pl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centrifugal mold, and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s centrifugal. 50 to 70% by volume of the mold is preferably added.

위와 같이 폴리머 콘크리 조성물이 투입되면, 가열수단(3)으로부터 열이 공급된다. 상기 가열수단(3)은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제조형틀(1)을 덮고 열 수 있도록 설치된 반구형태의 터널식 캡슐(31)과, 상기 캡슐(31)의 내측에 고정 장착된 다수의 발열체(32)로 구성된다. 이때, 설비가 가동 중에는 상기 캘슐(31)은 닫힌 상태이다. 상기 발열체(32)는 가스버너 노즐 또는 전기히터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원심 몰드 내부의 온도가 60~80℃로 유지될 수 있도록 캡슐(31) 내부에 열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터널식 캡슐(31)은 열 공급 효율이 향상되도록 단열성은 물론 반사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캡슐(31)의 내부 벽면에 반사경이 설치하여 반사 특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가열수단(3)은 온도 케이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심 몰드 내부의 온도가60~80℃의 범위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체(32)는 자동 온도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온도 범위가 유지되도록 열을 공급하면서 300~500rpm의 회전속도로 10분~30분 동안 더 회전시키면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은 완전 경화된다.When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s introduced as above, heat is supplied from the heating means 3. As shown in FIG. 4, the heating means 3 covers a hemispherical tunnel capsule 31 installed to cover and open the manufacturing mold 1, and a plurality of heating elements 32 fixedly mounted inside the capsule 31. It is composed of At this time, the knife 31 is in a closed state while the equipment is in operation. The heating element 32 may be selected from a gas burner nozzle or an electric heater, which supplies heat to the capsule 31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entrifugal mold may be maintained at 60 to 80 ° C. At this time, the tunnel type capsule 31 preferably has a heat insulating property as well as reflective properties to improve the heat supply efficiency. In one example, a reflector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psule 31 to have reflect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heating means 3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temperature cage, the heating element 32 is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entrifugal mold can be kept constant in the range of 60 ~ 80 ℃ It is desirable that it is possible.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is completely cured by further rotating for 10 to 30 minutes at a rotational speed of 300 to 500 rpm while supplying heat to maintain the above temperature range.

경화된 내용물(제품)은 제조형틀(1)의 하단에 설치된 이송수단(4)으로 낙하된다. 상기 이송수단(4)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콘베이어 벨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제조된 제품을 외부로 이송시킨다.The hardened contents (product) fall to the conveying means 4 installed in the lower end of the manufacturing mold (1). The conveying means 4 may use a conveyor belt driven by a motor, which conveys the manufactured product to the outside.

위와 같은 원심력 제조설비에 따르면, 원심력이 이용되어 제품에 물성 및 표면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가열수단(3) 및 이송수단(4)이 설치되어 짧은 시간 내에 치수 안정성을 가지는 대량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도 6에 보인 바와 같이 설비 내에 원심 몰드 및 제조형틀(1)을 여러 개 설치하면 대량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the centrifugal force is used to increase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urface properties of the product, as well as the heating means 3 and the transfer means 4 are installed to produce a large amount of products having dimensional stability within a short time. Can be.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ure 6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centrifugal mold and the production mold (1) in the equip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ass productivity.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3][Examples 1-3]

< 재활용 모래 ><Recycled sand>

폐콘크리트부터 생산된 것을 구입 사용하였으며, 물성 평가 결과 조립율은 2.86으로 나타나고, 체눈금 5mm를 모두 통과하였다. 물성 평가는 KS F 2573-'99 및 KS F 2576-'01에 의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재활용 모래의 조립율, 입도, 흡수율 등의 물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The product produced from the waste concrete was used for purchase, and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the physical properties, the assembly rate was 2.86, and the body scale passed all 5 mm. Physical property evaluation was based on KS F 2573-'99 and KS F 2576-'01. Evaluation results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granulation rate, particle size, water absorption rate, and the like of the recycled sand used in this experiment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1].

< 재활용 모래의 물성 평가 결과 ><Property evaluation results of recycled sand> 시 험 항 목Test Items 결 과result 시 험 방 법Test Methods 입도 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 체를 통과하는 것의 무게 백분율(%)% Of weight passing through sieve 10mm10 mm 100100 KS F 2573-'99KS F 2573-'99 5mm5 mm 100100 2.5mm2.5mm 8787 1.2mm1.2 mm 6666 0.6mm0.6mm 3939 0.3mm0.3mm 1616 0.15mm0.15mm 55 0.08mm0.08mm 5.25.2 조립율Assembly rate 2.862.86 유기불순물Organic impurities 표준용액보다 연함Softer than standard solution 단위용적 질량(kg/L)Unit volume mass (kg / L) 1.501.50 입자모양판정실적률(%)Particle shape determination performance rate (%) 61.161.1 밀도(g/㎤)-절건상태Density (g / cm 3)-dry state 2.242.24 흡수율(%)Absorption rate (%) 6.746.74 이물질 함유량(%)Foreign substance content (%) 0.40.4 KS F 2576-'01KS F 2576-'01

< 무기성 슬러지 ><Inorganic sludge>

상기 재활용 모래의 생산 시 발생된 미분을 응집 처리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KS L 5120-'99(기기분석, I.C.P., A.A.S.)에 따라 성분을 분석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유해물질 성분 시험 결과 전 항목에 걸쳐 무해한 것으로 나타났다.The fine powder generat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recycled sand was used to agglomerate, and the compon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KS L 5120-'99 (equipment analysis, ICP, AAS) and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2]. The results were harmless across all items.

< 무기성 슬러지 성분 분석 결과 ><Inorganic sludge component analysis results> 성 분ingredient 함 량(중량%)Content (% by weight) 시 험 방 법Test Methods SiO2 SiO 2 47.247.2 KS L 5120-'99기기분석(I.C.P., A.A.S.)KS L 5120-'99 device analysis (I.C.P., A.A.S.) SO3 SO 3 0.840.84 Fe2O3 Fe 2 O 3 3.863.86 Al2O3 Al 2 O 3 10.710.7 CaOCaO 18.1118.11 MgOMgO 1.941.94 Na2ONa 2 O 1.251.25 K2OK 2 O 2.352.35 TiO2 TiO 2 0.110.11 P2O5 P 2 O 5 0.080.08 감열감량Heat loss 10.410.4

< 합성수지,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 ><Synthetic Resin, Curing Agent and Curing Accelerator>

합성수지로는 국내 크래이밸리코리아사 제품으로서 올소타입(ortho type)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액상수지를 사용하되, 경화촉진제로서 코발트 옥토에이트(Cobalt Octoate)가 첨가된 것을 사용하였다. 경화제로는 메틸 에틸 케톤(MEKPO) 55중량%에 디메틸프탈레이트(DMP) 45중량%가 혼합된 무색 용액을 사용하였다.As the synthetic resin, Korea's Cray Valley Korea Inc. used an ortho type unsaturated polyester liquid resin, but cobalt octoate was added as a curing accelerator. As a curing agent, a colorless solution in which 45% by weight of dimethylphthalate (DMP) was mixed with 55% by weight of methyl ethyl ketone (MEKPO) was used.

위와 같은 재활용 모래, 무기성 슬러지, 합성수지, 경화제 및 경화촉진제를 하기 [표 3]에 보인 함량으로 혼합하여 배합비가 다른 여러 가지의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얻었다. 그리고 상기 각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도 4 및 도 5에 보인 원심력 제조설비를 이용하여 내부에 중공부(120)가 형성된 시험편을 제조하였다.Recycled sand, inorganic sludge, synthetic resins, hardeners and curing accelerators as described above were mixed in the amount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3] to obtain various polymer concrete compositions having different mixing ratios. And using the centrifugal force production equipment shown in each of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shown in Figure 4 and 5 to prepare a test piece having a hollow portion 120 therein.

또한, 각 실시예에 따른 시험편에 대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및 흡수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압축강도는 KS F 2481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시험기를 사용하되,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으로 나타냈으며, 휨 강도는 KS F 4006에서 정한 콘크리트 경계블록 휨 시험법에 따라 측정하되 그 파괴하중을 값으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흡수율은 KS F 4006에서 정한 흡수율 시험법을 따르되, 흡수무게와 건조무게의 차이 값을 건조무게로 나누어 백분율로 나타내었다.In addition, the compressive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water absorption were measured for the test specimens according to each exampl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4]. At this time,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specified in KS F 2481, but the average value was measured three times and the flexural strength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concrete boundary block bending test method defined in KS F 4006. Represented by value. Absorption rat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KS F 4006, but the difference between absorption weight and dry weight was divided by dry weight and expressed as a percentage.

[비교예 1~2][Comparative Examples 1 and 2]

본 시험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재활용 모래 대신에 강모래를 사용하였으며, 무기성 슬러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고로슬래그로 치환하였다. 그리고 사용된 강모래의 물리적 성질은 조립율 2.58, 흡수율 1.69%, 실적율 61.3%, 0.08mm 체통과율 1.52중량%로 나타났다. 본 시험에 따라 조성된 콘크리트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은 [표 3]과 같다. 그리고 본 시험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원심력 제조설비를 이용하여 중공부(120)가 형성된 시험편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해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In this test, steel sand was used instead of the recycled sand of the above example, and part or all of the inorganic sludge was replaced with blast furnace sla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teel sand used were assembling rate 2.58, absorption rate 1.69%, performance rate 61.3%, and 0.08mm passage rate 1.52% by weight.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concrete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this test are shown in [Table 3]. And for the concre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est using a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equipment as in the embodiment was prepared a test piece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120,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for this result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4] .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상기 실시예에서 합성수지의 함량을 대폭 감축하여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따라 조성된 콘크리트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은 [표 3]과 같다. 그리고 본 시험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은 원심력 제조설비를 이용하여 중공부(120)가 형성된 시험편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해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In the above embodiment was carried out 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content of synthetic resin.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concrete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this test are shown in [Table 3]. And for the concre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est using a centrifugal force manufacturing equipment as in the embodiment was prepared a test piece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120,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for this result i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4] .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상기 비교예 1에 사용된 강모래를 사용하되, 통상의 시멘트 콘크리트 제조방법에 따라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제조하였다. 본 시험에 따라 조성된 콘크리트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은 [표 3]과 같다. 그리고 본 시험에 따른 콘크리트 조성물을 직사각형 거푸집에 투입하여 진동 다짐을 한 후 양생하여 시험편을 제조하였으며, 이에 대해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Steel sand used in Comparative Example 1 was used, but concrete mortar was prepa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cement concrete manufacturing method.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concrete composition prepared according to this test are shown in [Table 3]. Then, the concre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est was put into a rectangular formwork and vibrated compacted, and then cured to prepare a test piece. The physical properties thereof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4].

< 콘크리트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Composition and Content of Concrete Composition> 구 분division 실시예1(kg)Example 1 (kg) 실시예2(kg)Example 2 (kg) 실시예3(kg)Example 3 (kg) 비교예1(kg)Comparative Example 1 (kg) 비교예2(kg)Comparative Example 2 (kg) 비교예3(kg)Comparative Example 3 (kg) 비교예4(kg)Comparative Example 4 (kg) 합성수지Synthetic resin 5.45.4 8.258.25 8.2698.269 8.258.25 8.2698.269 2.22.2 -- 재활용모래Recycled sand 16.5416.54 16.5016.50 16.53816.538 -- -- 23.2723.27 -- 강모래River sand -- -- -- 16.5016.50 16.5016.50 -- 28.528.5 무기성슬러지Inorganic sludge 11.0311.03 11.011.0 11.011.0 -- 7.357.35 11.011.0 -- 고로슬래그Blast furnace slag -- -- -- 11.011.0 3.653.65 -- 8.28.2 보통포클랜트시멘트Normal Falkland Cement -- -- -- -- -- -- 12.512.5 경화제Hardener 0.330.33 0.830.83 0.2480.248 0.830.83 0.2480.248 0.150.15 -- 경화촉진제Curing accelerator 0.060.06 0.080.08 0.060.06 0.080.08 0.060.06 0.040.04 -- water -- -- -- -- -- -- 16.516.5 배합량Compounding amount 33.3633.36 36.6636.66 36.11536.115 36.6636.66 36.07736.077 36.6636.66 65.765.7 투입량input 33.0033.00 33.0033.00 33.0033.00 33.0033.00 33.0033.00 33.0033.00 58.0058.00

< 물성 평가 결과 ><Property Evaluation Results> 구 분division 압축강도(kg/㎤)Compressive strength (kg / cm3) 휨 강도(kgf)Flexural strength (kgf) 흡수율(%)Absorption rate (%) 시험편의 크기(가로×세로×길이)Size of specimen (width × length × length) 실시예1Example 1 936.5936.5 27002700 0.320.32 15cm×20cm×150cm15 cm x 20 cm x 150 cm 실시예2Example 2 10571057 36403640 0.180.18 15cm×20cm×150cm15 cm x 20 cm x 150 cm 실시예3Example 3 11021102 36703670 0.190.19 15cm×20cm×150cm15 cm x 20 cm x 150 cm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10821082 36453645 0.250.25 15cm×20cm×150cm15 cm x 20 cm x 150 cm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10901090 36823682 0.210.21 15cm×20cm×150cm15 cm x 20 cm x 150 cm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740740 21152115 2.52.5 15cm×20cm×150cm15 cm x 20 cm x 150 cm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423423 11451145 4.64.6 15cm×20cm×150cm15 cm x 20 cm x 150 cm

상기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재활용 모래 및 무기성 슬러지가 사용되는 경우(실시예)에도 결합재로서 합성수지가 사용되어 기존 시멘트 제품(비교예4)에 비교하여 우수한 물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1~3)와 비교예(1~2)의 결과로부터 재활용 모래는 합성수지와 혼합 사용되는 경우 강모래를 대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무기성 슬러지는 기존 시멘크 콘크리트에 혼화재로 사용되어 온 고로슬래그의 대체가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3의 결과로부터 재활용 모래는 합성수지의 함량에 따라 강도는 물론 특히 흡수율에 있어서 큰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results, even when recycled sand and inorganic sludge are used (Example), synthetic resin is used as a binder, and it can be seen that it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compared to existing cement products (Comparative Example 4). And from the results of Examples (1-3) and Comparative Examples (1-2) it can be seen that the recycled sand can replace the steel sand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ynthetic resin, the inorganic sludge is admixture to existing cementum concrete It can be seen that replacement of blast furnace slag has been used. In addition, it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of Comparative Example 3 that the recycled sand remains largely different in strength as well as water absorption,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synthetic resi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과 합성수지를 주재료로 하되, 건설폐기물의 처리과정에서 생산된 재활용 모래 및 무기성 슬러지와 이들의 결합재로 사용되는 합성수지가 적정 배합됨과 동시에 원심 성형되어 강도,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고, 건설폐기물의 재활용도가 높음과 동시에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제고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struction waste and synthetic resin as the main material, the recycled sand and inorganic sludge produced during the treatment of construction waste and the synthetic resin used as a combination thereof are appropriately blended and centrifugally molded to achieve strength and internal resistance. It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such as impact, high recyclability of construction waste, and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구체적으로, 합성수지에 의해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보다 강도, 내식성, 및 내충격성 등이 우수하고 흡수율이 감소되어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동경융해에 대한 저항성은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합성수지 자체는 가격이 높다하더라도 유상으로 공급받는(비용을 받고 공급받음) 재활용 모래 및 무기성 슬러지가 주재료로 사용되어 기존 시멘트 콘크리트 제품에 상당한 가격으로 보급될 수 있으며, 화강암 석재 제품보다는 훨씬 경제성이 제고된다. 그리고, 원심 성형됨에 따라 밀실도가 증가되어 물성이 향상되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Specifically, the synthetic resin is superior in strength, corrosion resistance, impact resistance and the like than conventional cement concrete products, and the absorption rate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the resistance to freeze-thawing. Such resistance to copper melting improves durability. In addition, the synthetic resin itself is recycled sand and inorganic sludge, which is supplied as a main material (received by cost), even though the price is high. This is uplifted. As the centrifugal molding is performed, the degree of closedness is increased, thereby improving physical properties and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부가적으로, 색상안료 또는 발광안료가 함유된 경우 외관성 및 식별력이 우수하고 특히 발광안료가 외곽 도로에 설치되는 경계블록에 함유된 경우 운전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블록의 경우 주재료로 사용된 합성수지 자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유연성을 가지므로 외부 충격에 대한 완충성을 갖게 되어 차량사고 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건자재는 쉽게 재활용이 가능하다. 즉, 주재료로 사용된 합성수지는 용융이 가능하므로 다시 새로운 제품으로 재성형이 가능하여 건설 폐기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when color pigments or luminous pigments are contained, the appearance and discriminating power are excellent, and in particular, when the luminous pigments are contained in the boundary block installed on the outer road, the driver's safety can be secured. In addition, since the boundary block has flexibili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ynthetic resin itself used as the main material, it has a buffer against external impacts, thereby reducing damage in a vehicle accident.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recycled. In other words, the synthetic resin used as the main material can be melted, so it can be re-molded into a new product to reduce th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한편, 본 고안에 따른 건설 건자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열이 공급된 원심 몰드가 이용되는 경우 물성 및 표면성이 향상됨은 물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며 제조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On the other hand, in manufacturing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t-driven centrifugal mold is used, the physical properties and surface properties are improved as well as excell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significantly shorten the manufacturing tim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Have

Claims (10)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한 건설 건자재에 있어서,In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s using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합성수지 20~70중량부와; 건설폐기물로부터 생산되고 입경이 6mm이하(체눈금 6mm를 통과한 것)인 재활용 모래 40~60중량부와; 경화제 0.5~3.5중량부 및 경화촉진제 0.1~0.3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을 원심 성형한 것으로서, 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중공부(1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자재.20 to 70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esin; 40 to 60 parts by weight of recycled sand produced from construction waste and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6 mm or less (those having passed 6 mm of scale); A centrifugally molded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comprising 0.5 to 3.5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and 0.1 to 0.3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ccelerator, wherein the hollow construction part 120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은 합성수지의 함량이 20~35중량부이고, 재활용 모래의 생산 시 부산물로 얻어진 무기성 슬러지가 15~35중량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자재.The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has 20 to 35 parts by weight of synthetic resin, and 15 to 35 parts by weight of inorganic sludge obtained as a by-product in the production of recycled san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폭시 수지, 아크릴 수지 및 페놀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자재.The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ynthetic resin is one or two or more selected from unsaturated polyester resins, polyurethanes, low density polyethylene, epoxy resins, acrylic resins, phenol resins, and the lik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는 펠릿형 재활용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자재.The construction building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ynthetic resin is a pellet type recycled res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은 색상안료 0.5~5중량부가 더 함유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자재.The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0.5 to 5 parts by weight of color pigmen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은 합성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발광안료 8~20중량부가 더 함유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자재.The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8 to 20 parts by weight of a luminescent pigm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 synthetic resi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콘크리트 조성물은 유리섬유 및 고무분말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보강재 5~10중량부가 더 함유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자재.The 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5 to 10 parts by weight of at least one reinforcing material selected from glass fibers and rubber pow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건자재는 차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도로 경계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자재.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 is a road boundary block installed at an edge of a roadway.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건설 건자재는 그 양측에 결합수단(15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자재.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wherein 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 has coupling means (150) on both sides thereof.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150)은 일측 말단에 형성된 끼움돌기(150a)와, 타측 말단에 형성된 끼움홈(150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건자재.Th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terial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coupling means (150) is formed of a fitting protrusion (150a) formed at one end and a fitting groove (150b) formed at the other end.
KR20-2004-0008285U 2004-03-25 2004-03-25 Construction products by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 KR20035519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285U KR200355191Y1 (en) 2004-03-25 2004-03-25 Construction products by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285U KR200355191Y1 (en) 2004-03-25 2004-03-25 Construction products by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461A Division KR100490260B1 (en) 2004-03-25 2004-03-25 Construction products by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191Y1 true KR200355191Y1 (en) 2004-07-03

Family

ID=49433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285U KR200355191Y1 (en) 2004-03-25 2004-03-25 Construction products by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519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132A (en) * 2021-11-17 2023-06-29 대영 사회적협동조합 Mixed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waste composition, And the material using a mix composi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132A (en) * 2021-11-17 2023-06-29 대영 사회적협동조합 Mixed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waste composition, And the material using a mix composition
KR102631822B1 (en) * 2021-11-17 2024-02-01 주식회사 엘투텍 Mixed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waste composition, And the material using a mix composi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219942C (en) Pavement material for pedestrian walk and manufacture thereof
AU681083B2 (en) Recycled fibre reinforced resin containing product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8545748B2 (en) Building bricks including plastics
CA2162116A1 (en) Composite block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GB2460707A (en) Polymer concrete aggregate
US58796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recycled fiber reinforced resin containing products
JP2022529415A (en) Carbonated c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wet cast slag concrete products
CN2823312Y (en) Improvement of permeable brick structure
US5403117A (en) Pavement, a paving material and methods of producing said pavement and said paving material
KR100490260B1 (en) Construction products by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
KR200355191Y1 (en) Construction products by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
KR100508543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construction products by using construction wastes and synthetic resin
KR100994833B1 (en) Polymer Concrete Composition Using Waste Foundry Sand
KR100371579B1 (en) Construction material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in use of waste materials
AU2008303142B2 (en) Artificial marble and methods
KR20050110435A (en) Method and composite for cement brick, footpath block using waste sand, pebbles
KR10062140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ivil engineering materials
JP2003063850A (en) Inorganic formed body and producing method therefor
KR101568315B1 (en) manufacture method of sewer pipe using steel mill slag ball
JP2003253139A (en) G.r.c. compositio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772483B1 (en) Block with water permeability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KR20010070721A (en) Manufacturing method of crashed matter for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waste PCB
KR100533288B1 (en) Interlocking block made of recycled-aggreg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JPH084267A (en) Resin lining material
Ramdani Doctorat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