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3556Y1 - 도어용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3556Y1
KR200353556Y1 KR20-2004-0008118U KR20040008118U KR200353556Y1 KR 200353556 Y1 KR200353556 Y1 KR 200353556Y1 KR 20040008118 U KR20040008118 U KR 20040008118U KR 200353556 Y1 KR200353556 Y1 KR 2003535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se
see
limit switch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81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문규
Original Assignee
(주)도어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어닉스 filed Critical (주)도어닉스
Priority to KR20-2004-00081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35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35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35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46Electric or magnetic means in the striker or on the frame; Operating or controlling the striker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0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electro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황실에서 제어부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해 출입을 단속함과 아울러, 도어의 개,폐 여부와 단선 여부를 리미트스위치와 스위치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게 하므로서, 외부인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단속할 수 있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고, 다른 목적으로는 평상시에 전류를 차단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게 하고, 오픈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류를 공급하여 개,폐 여부를 파악하게 하므로서, 특수한 경우인 보안실이나 금고 등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전면벽상에 가이드홈(12)을 형성하며 문틀(2)에 장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양측벽에 고정 설치되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14)과; 상기 힌지축(14)에 토션스프링(22)을 포함하여 결합되면서 앞부분이 케이스(10)의 가이드홈(12)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로커(16)와; 상기 힌지축(14)에 토션스프링(34)을 포함하는 매스(26)가 결합되고, 매스(26) 일측에 로커(16)를 회동시키며 통과한 도어(8)의 스트라이커(6)에 의해 눌려지는 핑거(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랫치(24)와; 상기 케이스(10) 바닥면에 설치되면서 랫치(24)에 의해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36)와; 상기 케이스(10)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핑거(28)가 노출될 수 있게 관통된 안내공(66)을 형성하는 가아드(60)와; 상기 리미트스위치(36)에 연결되면서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여 도어(8)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부(56)로 되는 도어용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용 로킹장치{Locking device of door}
본 고안은 도어용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황실에서 제어부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해 출입을 단속함과 아울러, 도어의 개,폐 여부와 단선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리미트스위치와 스위치를 설치하여 상황실에서 파악할 수 있게 하므로서 외부인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단속할 수 있게 하고, 또한 평상시에는 전류를 차단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게 하며, 오픈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류를 공급하여 개,폐 여부를 파악하게 하므로서, 특수한 경우인 보안실이나 금고 등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킨 도어용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에 장착되는 로킹장치는 사무실의 출입문이나 보안실, 금고 등에 적용되어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좀더 진보된 기술로서는 주로 상황실에서 도어를 자유롭게 개,폐시킬 수 있게 조정하거나, 필요에 따라서 도어의 오픈이 불가능하게 하므로서 도난 방지와 함께 출입을 통제하는 단계에 있다.
한편 선출원되어 등록된 등록번호 제20-0316155호(명칭:도어록 장치)를 도 13과 도 14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출입문인 도어(200)(도13참조)에는 도어록장치(1)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록장치(1)에는 도어(200)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12)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2)에는 전,후진하는 스프링볼트(16)와, 개,폐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홀센서(11)와, 잠김 기능을 갖는 고정볼트(14)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홀센서(11)에는 전원공급부(30)(도14참조)와 제어부(18)가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18)(도13참조)에는 전달되는 명령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부(19)가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19)에는 고정볼트(14)가 결합 된다.
상기 도어록장치(1)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걸림역할을 하는 리시버(20)는 도어틀(300)에 설치되는데, 상기 리시버(20)에는 스프링볼트(16)가 출입하는 고정공(24)과 상기 홀센서(11)와, 접촉하는 자석(21)과, 상기 고정볼트(14)가 출입하는 잠김공(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기술을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볼트(16)가 후진한 상태에서 도어(200)(도13참조)를 닫게 되면 스프링볼트(16)가 리시버(20) 측벽에 부딪히면서 후진하였다가 고정공(24)에 위치하면 전진하여 유입된다.
동시에 상기 홀센서(11)가 자석(21)에 접하게 되면 정보를 제어부(18)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18)는 도어(200)가 닫힌 상태라고 판단하여 구동부(19)에 작동명령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볼트(14)는 구동부(19)에 의해 전진하여 잠김공(22)으로 유입되는데, 이로 인해 도어(200)는 잠김 상태가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도어(200)를 오픈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어부(18)를 조정하여 구동부(19)에 재차 명령을 전달하므로서 고정볼트(14)를 후진시켜 잠김공(22)으로 부터 이탈시킨다.
계속하여 사용자가 도어(200)를 당기게 되면, 스프링볼트(16)가 후진하면서 고정공(24)으로 부터 이탈하게 됨에 따라 상기 도어(200)는 열리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현재의 위치에서 도어(200)의 개,폐를 단속하므로, 외부인이 홀센서(11)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도어(200)를 열게 되면, 사용자는 도어(200)를 어떠한 형태로든 관리할 수 없게 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는 사용자가 외부에 있게 되면 외부인의 출입을 한정적으로 단속할 수 없게 되고, 또한 도어(200)를 오픈시 경보를 알릴 수 없게 되어 효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황실에서 제어부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해 출입을 단속함과 아울러, 도어의 개,폐 여부와 단선 여부를 리미트스위치와 스위치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게 하므로서, 외부인의 출입을 효과적으로 단속할 수 있게 하는 데에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평상시에 전류를 차단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게 하고, 오픈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류를 공급하여 개,폐 여부를 파악하게 하므로서, 특수한 경우인 보안실이나 금고 등에도 적용할 수 있게 하여 실용성을 향상시키는 데에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이 도어의 문틀에 설치된 상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도 4의 A - A선 단면도.
도 6 은 도 4의 B - B선 단면도.
도 7 은 랫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8 은 솔레노이드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9 (a) (b) (c) (d) 는 도어가 닫히는 과정을 나타낸 작용도.
도 10 은 본 고안의 배면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은 A모드(일반용도)의 순서도.
도 12 는 B모드(특수용도)의 순서도.
도 13 은 종래의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 는 종래의 실시 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문틀 4:잠금장치 6:스트라이커
8:도어 10:케이스 12:가이드홈
14:힌지축 16:로커 18:아암
20:블레이드 22,34:토션스프링 24:랫치
26:매스 28:핑거 30:프레셔
32:홈 36:리미트스위치 38:바아
40:솔레노이드 42:로드 44:지지판
46:브래킷 48:고정나사 50:조정나사
52:슬롯 54:스위치 56:제어부
58:경보등 60:가아드 62:고정판
64:경사면 66:안내공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전면벽상에 가이드홈(12)을 형성하며 문틀(2)에 장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양측벽에 고정 설치되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14)과; 상기 힌지축(14)에 토션스프링(22)을 포함하여 결합되면서 앞부분이 케이스(10)의 가이드홈(12)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로커(16)와; 상기 힌지축(14)에 토션스프링(34)을 포함하는 매스(26)가 결합되고, 매스(26) 일측에 로커(16)를 회동시키며 통과한 도어(8)의 스트라이커(6)에 의해 눌려지는 핑거(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랫치(24)와; 상기 케이스(10) 바닥면에 설치되면서 랫치(24)에 의해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36)와; 상기 케이스(10)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핑거(28)가 노출될 수 있게 관통된 안내공(66)을 형성하는 가아드(60)와; 상기 리미트스위치(36)에 연결되면서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여 도어(8)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부(56)로 된다.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를 구성하는 문틀(2)에 잠금장치(4) 형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잠금장치(4)를 출입하는 스트라이커(6) 끝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면을 형성하면서 도어(8)의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잠금장치(4)는 도 2 내지 8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잠금장치(4)(도2참조)에는 상부를 개방하고 있는 사각형 모양의 케이스(10)가 구성되는데, 상기 케이스(10) 전면벽에는 스트라이커(6)(도1참조)가통과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홈(12)(도2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양측벽 후미에는 회동 중심을 이루는 힌지축(14)(도3참조)이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고정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14)에는 스트라이커(6)(도1참조)의 출입을 단속하는 로커(16)(도3참조)가 설치된다.
상기 로커(16)는 힌지축(14) 양측에 각각 슬립 결합되는 아암(18)이 구성되고, 상기 아암(18) 선단부에는 블레이드(20)가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힌지축(14)에 로커(16)가 회전하였다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22)이 결합되는데, 상기 토션스프링(22)의 탄지편 하나는 아암(18) 내측면에 위치하고, 다른 탄지편은 케이스(10)의 후면벽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블레이드(20) 외면은 스트라이커(6)(도1참조)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상기 힌지축(14)(도3참조)에는 스트라이커(6)(도1참조)에 의해 회동하는 랫치(24)(도3참조)이 설치되는데, 상기 랫치(24)에는 힌지축(14)에 슬립 결합되는 매스(26)가 형성되고, 상기 매스(26) 일측에는 스트라이커(6)(도1참조)와 접촉하는 핑거(28)(도3참조)가 상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형성되며, 상기 매스(26) 타측에는 작용력을 전달하는 프레셔(30)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스(26) 내측에는 종 방향으로 관통된 홈(32)이 형성되고, 상기 홈(32) 내부에는 회전하였다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34)이 위치하면서 힌지축(14)에 결합된다.
이때 토션스프링(34)의 탄지편 하나는 매스(26)측에 위치하고, 다른 탄지편은 케이스(10) 후면벽에 위치한다.
상기 케이스(10)의 바닥면에는 랫치(24)가 회전하므로서 스트라이커(6)(도1참조)가 잠금장치(4)(도3참조)에 위치하였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리미트스위치(36)가 설치되는데, 상기 리미트스위치(36)를 구성하는 바아(38)는 상기 랫치(24)의 프레셔(30)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계속하여 상기 케이스(10) 바닥면에는 로커(16)의 회전을 단속하는 솔레노이드(40)가 로드(42)를 구비하면서 설치되고, 상기 로드(42) 선단부에는 아암(18)의 저부를 바쳐 주는 지지판(44)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40)에는 "ㄱ"자로 절곡된 바아 모양의 브래킷(46)이 결합되고, 상기 브래킷(46)은 케이스(10)의 후면벽에 고정나사(48)와 조정나사(50)로 결합되어 설치되며, 상기 조정나사(50)가 결합되는 케이스(10)의 후면벽에는 솔레노이드(4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게 한 슬롯(52)이 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관통되어 형성 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벽 내면에는 솔레노이드(40)가 작동하였다는 정보를 제공하는 스위치(54)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위치(54)는 지지판(44)의 전면에 접촉할 수 있게 설치 된다.
한편 상기 리미트스위치(36)와 솔레노이드(40)와 스위치(54)에는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현재 상황을 파악하는 제어부(56)(중앙 통제실에 설치됨)가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56)에는 위급상황을 나타내는 경보등(58)이 연결된다.
상기 케이스(10) 상단부에는 커버 역할을 하는 가아드(60)와, 케이스(10)를 문틀(2)(도1참조)에 고정시키는 고정판(62)(도3참조)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가아드(60)에는 진입한 스트라이커(6)(도1참조)가 위치하는 경사면(64)(도3참조)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64)의 중간부에는 랫치(24)의 핑거(28)가 스트라이커(6)(도1참조)와 접촉할 수 있게 한 안내공(66)(도3참조)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출입이 잦은 낮 시간대에는 제어부(56)(도3참조)에서 잠금장치(4)에 공급한 전류를 차단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40)의 로드(42)가 후진한 상태여서 지지판(44)은 로커(16)의 아암(18)이 회전하는 위치로 부터 벗어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잠금장치(4)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A모드(일반용도)로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출입문에 적용되어 사용될 경우에,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8)(도1참조)가 오픈된 상태에서는 스트라이커(6)가 잠금장치(4)로 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게 되고, 도어(8)(도1참조)가 닫히게 되면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6)가 잠금장치(4)로 진입하면서 블레이드(20)의 외면을 가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블레이드(20)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스트라이커(6) 끝단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관계로, 상기 블레이드(20)는 스트라이커(6)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20)가 하강하면 아암(18)은 힌지축(14)상에서 토션스프링(22)(도3참조)의 탄성력에 반발하며 역 회전하여 블레이드(20)를 상승시키게 된다.
계속하여 상기 스트라이커(6)(도9c참조)가 전진하여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랫치(24)의 핑거(28)를 가압하면서 경사면(64)과 일치되도록 하강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핑거(28)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매스(26)가 힌지축(14)상에서 토션스프링(34)(도3참조)의 탄성력에 반발하면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프레셔(30)가 도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미트스위치(36)의 바아(38)로 부터 이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미트스위치(36)는 오프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스트라이커(6)가 블레이드(20)로 부터 벗어나면서 핑거(28)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토션스프링(22)(도3참조)의 반발력에 의해 아암(18)이 역 방향으로 회전하며 하강한 블레이드(20)(도9c참조)를 상승시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커(6)는 상승한 블레이드(20)에 의해 잠금장치(4)(도1참조) 내부에 갇히게 되어, 상기 도어(8)는 닫힘 상태가 된다.
상기와는 반대로 도어(8)를 열게 되면 스트라이커(6)는 핑거(28)(도3참조)를 벗어나게 되는데, 이로 상기 랫치(24)는 토션스프링(22)의 반발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핑거(28)는 상승하여 가아드(60)의 경사면(64) 상으로 돌출되고, 프레셔(30)는 리미트스위치(36)의 바아(38)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리미트스위치(36)가 온 상태가 되게 한다.
계속하여 상기 스트라이커(6)(도1참조)는 블레이드(20)(도3참조)의 내면을 가압하여 하강시키면서 잠금장치(4)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블레이드(20)는 토션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아암(18)과 함께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결국 상기 스트라이커(6)(도1참조)가 잠금장치(4)를 벗어나게 되면 도어(8)는 열림상태가 된다.
한편 직원이 퇴근한 후에 출입을 통제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1의 순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통제실에 위치한 제어부(56)(도3참조)에서는 출입문을 통제하기 위해 도어(8)를 닫고 전류를 공급한다.(S1)
상기 S1 이후로 전류가 공급되면 솔레노이드(40)가 작동한다.(S2)
상기와 같이 솔레노이드(40)가 작동하면 로드(42)가 전진하면서 지지판(44)을 랫치(24)의 아암(18)이 회전하는 위치에 도달시키고, 동시에 상기 지지판(44)이 케이스(10)의 측벽에 설치된 스위치(54)를 온 시킨다.
상기 S2 이후로 제어부(56)에서는 스위치(54)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3)
상기와 같이 스위치(54)가 온,오프된 상태에 따라 솔레노이드(40)의 작동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되는데, 스위치(54)가 오프된 상태일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56)는 솔레노이드(40)에 재차 작동명령을 전달한다.
상기 S3 이후로 제어부(56)에서는 리미트스위치(36)가 오프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4)
상기 리미트스위치(36)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스트라이커(6)(도1참조)가 랫치(24)(도3참조)의 핑거(28)를 가압하여 힌지축(14)상에서 회전시키므로서 프레셔(30)가 리미트스위치(36)의 바아(38)를 이격시킨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도어(8)(도1참조)는 닫혀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는 달리 리미트스위치(36)(도3참조)가 온 상태일 경우에는 스트라이커(6)(도1참조)가 랫치(24)(도3참조)의 핑거(28)로 부터 이탈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랫치(24)에 설치된 토션스프링(34)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프레셔(30)가 리미트스위치(36)의 바아(38)를 가압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리미트스위치(36)는 온 상태가 되는데, 이로 인해 상황실에서는 도어(8)(도1참조)가 열려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S4 이후로 리미트스위치(36)(도3참조)가 오프 상태가 아닐 경우 제어부(56)는 경고등(58)을 온 시킨다.(S5)
또한 상기 S4 이후로 리미트스위치(36)가 오프 상태일 경우, 상기 제어부(56)는 스위치(54)가 오프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6)
상기 스위치(54)가 온 되었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40)에 전류가 공급되어 로드(42)와 지지판(44)이 전진한 상태이고, 스위치(54)가 오프 되었을 경우에는 솔레노이드(40)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어 로드(42)와 지지판(44)이 후진한 상태가 된다.
상기 S6 이후로 스위치(54)가 오프 상태이면 경고등(58)을 온 시키고, 스위치(54)가 오프 상태가 아니면 리미트스위치(36)가 오프 상태인가를 재차 판단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장치(4)를 B모드(특수용도)를 적용하여 금고 및 보안실에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나사(48)와 조정나사(50)를 풀어 솔레노이드(40)와 브래킷(46)을 앞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이후로 브래킷(46)을 케이스(10)의 후면벽에 밀착시키고 조정나사(50)를 B모드측으로 이동시켜 브래킷(46)에 체결시킨 후, 상기 고정나사(48)를 후면벽에 형성된 다른 홀에 결합하여 브래킷(46)에 체결한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40)는 전진한 상태가 되고, 상기 지지판(44)은 아암(18) 저부에 위치하여 있게 되므로 블레이드(20)(도3참조)는 하강할 수 없게 되는데, 이로 인해 스트라이커(6)(도1참조)는 로커(16)(도3참조)를 벗어날 수 없게 되어 도어(8)(도1참조)는 닫힌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열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8)를 열고자 할 경우의 작동상태를 도12의 순서도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56)(도3참조)에서 스위치(54)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11)
상기와 같이 스위치(54)가 온 상태이면 전류가 공급되어 솔레노이드(40)가 작동하면서 스위치(54)를 온 시키게 된다.
상기 S11 이후로 스위치(54)가 온 상태이면 제어부(56)는 경보등(58)을 온 시킨다.(S12)
또한 상기 S11 이후로 스위치(54)가 온 상태가 아니면 제어부(56)는 리미트스위치(36)가 온 상태인가를 다시 판단한다.(S13)
상기와 같이 리미트스위치(36)가 온 상태이면 스트라이커(6)(도1참조)가 랫치(24)(도3참조)의 핑거(28)로 부터 이탈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랫치(24)은 토션스프링(34)의 반발력에 의해 역회전 하게 디는데, 이로 인해 프레셔(30)가 바아(38)를 가압하여 리미트스위치(36)를 온 시키게 된다.
상기 S13 이후로 리미트스위치(36)가 온 상태이면 제어부(56)는 경보등(58)을 온 시킨다.
또한 상기 S13 이후로 리미트스위치(36)가 온 상태가 아니면 제어부(56)는 전류 공급을 차단한다.(S14)
상기와 같이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솔레노이드(40)는 작동이 중지되어 구비된 스프링의 반발력에 의해 로드(42)와 지지판(44)을 후진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해 스위치(54)가 오프되면서 지지판(44)이 아암(18)의 저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커(16)의 아암(18)은 저부에 위치한 지지판(44)에 의해 회동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되어, 상기 스트라이커(6)(도1참조)는 랫치(24)(도3참조)의 핑거(28)를 가압한 상태에서 잠금장치(4) 내부에 머물러 있게 된다.
상기 S14 이후로 도어(8)(도1참조)를 열고자 할 때 전류를 공급하여 솔레노이드(40)(도3참조)를 작동시킨다.(S15)
상기와 같이 제어부(56)에서 전류를 공급시키면, 솔레노이드(40)가 작동하면서 로드(42)를 전진시키는 동시에 지지판(44)을 아암(18)의 저부로 부터 이탈시켜 스위치(54)를 온 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아암(18)은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S15 이후로 제어부(56)는 스위치(54)가 온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16)
상기 스위치(54)가 온 상태이면 지지판(44)이 로드(42)의 저부로 부터 이탈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로커(16)는 힌지축(14) 상에서 회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됨에 따라 도어(8)(도1참조)를 용이하게 오픈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S16 이후로 스위치(54)(도3참조)가 온 상태가 아니면 제어부(56)에서는 솔레노이드(40)에 작동 명령을 지속적으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S16 이후로 스위치(54)가 온 상태이면, 제어부(56)에서는 리미트스위치(36)가 온 상태인가를 재차 판단한다.(S17)
상기 리미트스위치(36)는 도어(8)(도1참조)가 오픈되면서 스트라이커(6)가 핑거(28)로 부터 이탈하게 되면, 상기 랫치(24)은 토션스프링(34)의 반발력에 의해 역회전 하면서 프레셔(30)가 리미트스위치(36)의 바아(38)를 가압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리미트스위치(36)는 온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커(6)(도1참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20)(도3참조) 내면을 밀어 하강시키면서 케이스(10) 외부로 이탈하게 된다.
상기 S17 이후로 리미트스위치(36)가 온 상태가 아니면 제어부(56)는 대기하고 있는다.(S18)
상기 리미트스위치(36)가 온 상태가 아니면, 상기 스트라이커(6)(도1참조)가 핑거(28)(도3참조)로 부터 이탈하지 않은 상태(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리미트스위치(36)는 오프 상태로 머물러 있게 된다.
또한 상기 S17 이후로 리미트스위치(36)가 온 상태이면 제어부(56)는경보등(58)을 온 시킨다.
상기 리미트스위치(36)가 온 상태이면 스트라이커(6)(도1참조)가 랫치(24)(도3참조)의 핑거(28)로 부터 이탈하여 도어(8)(도1참조)가 오픈된 것으로 판단하고, 제어부(56)(도3참조)는 경보등(58)을 온 시킨다.
상기와 같이 도어(8)(도1참조)의 개,폐 여부는 리미트스위치(36)(도3참조)에 의해 판단하게 되고, 스위치(54)에 의해서는 도어(8)(도1참조)의 개,폐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황실에서 제어부를 통하여 전류를 공급 및 차단해 출입을 단속함과 아울러, 도어의 개,폐 여부와 단선 여부를 리미트스위치와 스위치를 통하여 파악할 수 있으므로 외부인의 출입을 안정되게 단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효과로는 평상시에 전류를 차단하여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게 하고, 오픈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류를 공급하여 개,폐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하므로서, 특수한 경우인 보안실이나 금고등에도 적용할 수 있어 실용성이 향상 된다.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되고 전면벽상에 가이드홈(12)을 형성하며 문틀(2)에 장착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양측벽에 고정 설치되면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힌지축(14)과;
    상기 힌지축(14)에 토션스프링(22)을 포함하여 결합되면서 앞부분이 케이스(10)의 가이드홈(12)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로커(16)와;
    상기 힌지축(14)에 토션스프링(34)을 포함하는 매스(26)가 결합되고, 매스(26) 일측에 로커(16)를 회동시키며 통과한 도어(8)의 스트라이커(6)에 의해 눌려지는 핑거(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랫치(24)와;
    상기 케이스(10) 바닥면에 설치되면서 랫치(24)에 의해 온,오프되는 리미트스위치(36)와;
    상기 케이스(10)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핑거(28)가 노출될 수 있게 관통된 안내공(66)을 형성하는 가아드(60)와;
    상기 리미트스위치(36)에 연결되면서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여 도어(8)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제어부(56)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도어용 로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스(26)의 타측에 리미트스위치(36)와 접촉하는 프레셔(30)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도어용 로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로드(42)를 구비한 솔레노이드(40)가 제어부(56)에 연결되면서 설치되고, 상기 로드(42) 선단부에 로커(16)의 아암(18) 저부를 바치는 지지판(4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도어용 로킹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측벽에는 지지판(44)에 의해 온,오프되는 스위치(54)가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54)는 제어부(5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도어용 로킹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40)에 브래킷(46)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46)은 케이스(10)의 후면벽에 고정나사(48)와 조정나사(50)로 결합되며, 상기 조정나사(50)를 내측에 결합하는 슬롯(52)이 후면벽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도어용 로킹장치.
KR20-2004-0008118U 2004-03-24 2004-03-24 도어용 로킹장치 KR2003535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18U KR200353556Y1 (ko) 2004-03-24 2004-03-24 도어용 로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8118U KR200353556Y1 (ko) 2004-03-24 2004-03-24 도어용 로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3556Y1 true KR200353556Y1 (ko) 2004-06-18

Family

ID=4943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118U KR200353556Y1 (ko) 2004-03-24 2004-03-24 도어용 로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355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177B1 (ko) 2005-12-22 2012-12-24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저장장치의 출입구 도어 개폐장치
US20210222466A1 (en) * 2009-08-10 2021-07-22 Hanchett Entry Systems, Inc. Door strike having a kicker and an adjustable dead latch relea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5177B1 (ko) 2005-12-22 2012-12-24 두산디에스티주식회사 저장장치의 출입구 도어 개폐장치
US20210222466A1 (en) * 2009-08-10 2021-07-22 Hanchett Entry Systems, Inc. Door strike having a kicker and an adjustable dead latch rele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4891B2 (en) Door strike having a kicker and an adjustable dead latch release
TWI428499B (zh) 電子式推按縮回出口裝置
US6874830B2 (en) Electric strike assembly
US6581332B1 (en) Remote controllable device for opening/closing of a window
US5626039A (en) Electronic safety-lock
US6834464B2 (en) Overhead door lock system and control unit therefor
US5718135A (en) Locks
EP1546495B1 (en) Electric strike assembly
KR200353556Y1 (ko) 도어용 로킹장치
JP5351822B2 (ja) 電気錠付き引戸装置
JP2006125149A (ja) 引き違いサッシ
KR100446415B1 (ko)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
CA2405642C (en) Electric strike assembly
KR100994344B1 (ko) 도어록 장치
KR100391803B1 (ko) 현관문용 도어록
US20240191546A1 (en) Door-strike
KR200278038Y1 (ko) 전기 전자식 디지털 도어록
JP2006219820A (ja) 自動扉の施錠装置
KR200338884Y1 (ko) 자동문 잠금장치
JPH0213662Y2 (ko)
KR200214412Y1 (ko) 전자 도어록
JP4464202B2 (ja) サムターン装置
GB2151689A (en) Security device
JPH11235451A (ja) 遊技機の解錠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