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873Y1 -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 Google Patents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873Y1
KR200342873Y1 KR20-2003-0033349U KR20030033349U KR200342873Y1 KR 200342873 Y1 KR200342873 Y1 KR 200342873Y1 KR 20030033349 U KR20030033349 U KR 20030033349U KR 200342873 Y1 KR200342873 Y1 KR 2003428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owder discharge
discharge hole
touch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성수
Original Assignee
우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수 filed Critical 우성수
Priority to KR20-2003-0033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8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8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8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30Other containers or devices used as table equipment
    • A47G19/32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 A47G19/34Food containers with dispensing devices for bread, rolls, sugar, or the like; Food containers with movable covers dispensing a certain quantity of powdered or granulated foodstuffs, e.g. sug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 내부의 분말을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가이드를 상부면에 구비하고, 바닥판의 일측에는 분말배출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직선운동부재와; 상기 가이드와 직선운동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직선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가이드의 내측에서 상기 직선운동부재의 변위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며 케이스 바닥판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회전개폐부재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ONE-TOUCH TYPE TOOL FOR DISCHARGING POWDER}
본 고안은, 용기 내부의 분말을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설탕, 소금, 후추가루와 같은 각종 조미료 분말이 담겨지는 양념통이나 커피, 프림가루가 담겨있는 분말통은, 뚜껑을 열고 통 본체 내에 담겨진 분말가루를 숟가락 등으로 일일이 덜어내는 구조로 되어 있어, 다른 용기로 분말을 옮기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특히 양념통에 흔한 분말배출구조로서, 용기 상부에 하나 또는 다수개의 작은 직경의 분말배출공을 형성한 것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양념통은상기 분말배출공을 통하여 양념 분말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서는, 다른 용기의 위에서 양념통을 뒤집어 흔들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더구나, 상기와 같은 종류의 분말저장용기로는, 떠내지거나 배출되는 분말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의 감에 의존하여 음식물 조리 등을 할 수 밖에 없는 등, 분말통 내의 분말을 필요한 적정량만큼 배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 뚜껑을 열거나 흔들 필요없이, 원터치식으로 간편하게 분말을 배출할 수 있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1회 배출량이 일정하여 적정량의 분말을 배출할 수 있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분말배출량의 조절이 가능한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말배출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말배출용기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말배출용기의 회전부재와 회전개폐부재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배출용기의 직선운동부재 및 회전부재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배출용기의 회전개폐부재의 작동과정을 설명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말배출용기의 회전개폐부재 몸체부에 용량조절부재가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한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걸림부재, 110...중공 테두리,
200...직선운동부재, 210...피안내부,
300...탄성부재, 400...회전부재,
410...나선형 가이드홈, 500...케이스,
510...상부케이스, 511...가이드,
511a...가이드홈, 520...분말저장부 케이스,
530...회전개폐부재 작동부, 531...중간판,
531a...상부배출공, 540...바닥판,
540a...분말배출공, 600...회전개폐부재,
620...상부날개, 630...하부날개,
640...몸체부, 700...마개,
800...용량조절부재, 801...리브,
S...축.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는,
가이드를 상부면에 구비하고, 바닥판의 일측에는 분말배출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직선운동부재와; 상기 가이드와 직선운동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직선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가이드의 내측에서 상기 직선운동부재의 변위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며 케이스 바닥판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회전개폐부재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의 측벽에는 직선형의 가이드홈을 형성하거나, 상기 가이드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반원형 가이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직선운동부재의 일부가 안내되는 나선형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는 바닥판의 분말배출공과 소정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부배출공이 형성된 중간판이 설치되며; 중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부배출공을 개폐하는 상부날개 및 상기 몸체부 하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말배출공을 개폐하는 하부날개로 구성되는 회전개폐부재를 상기 중간판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판의 상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의 최하단부에 상부배출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개폐부재 몸체부에는 몸체부보다 부피가 작은 용량조절부재를 끼울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중간판과 바닥판 및 케이스 측면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측면 일측에 상기 회전개폐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간판과 회전개폐부재의 상부날개 사이에 상부배출공과 동일한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차단막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선형 가이드홈의 위쪽 일부는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닥판 또는 바닥판의 분말배출공에 원터치식 마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말배출용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말배출용기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말배출용기의 회전부재와 회전개폐부재(6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배출용기의 직선운동부재(200) 및 회전부재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분말배출용기의 회전개폐부재(6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분말배출용기의 회전개폐부재 몸체부(640)에 용량조절부재(800)가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분말배출용기에 따른 케이스(500)는, 그 상부면에 직선운동부재(200)의 직선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511)가 형성되어 있다. 직선운동부재(200)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예컨대 가이드(511)의 측벽에 직선형의 가이드(511)홈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511)홈의 직선경로를 따라 직선운동부재(200)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도 1 참조). 이 때, 가이드(511)의 형태는 중요하지 않으나, 후술하는 회전부재(400)의 설치관계상 대략 중공형의 원통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511)의 또 다른 구성으로는, 가이드(511)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반원형 가이드로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 사이 간격을 따라 직선운동부재(200)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도 4 참조). 물론, 여기에 기재된 구성 외에도 직선운동부재(200)를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형태의 가이드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511)의 외측에는 직선운동부재(200)의 운동을 외측에서 가이드하는 외측가이드(5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가이드(512) 바깥쪽의 케이스 상부 테두리에는 다른 구성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51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500)의 내부에는 분말가루가 저장되며, 케이스 바닥판(540) 일측에는 분말배출공(540a)이 형성된다.
한편, 케이스(500)는 일체인 형태의 하나의 단품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여러 개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를 여러 개로 분리하여 구성하면, 분말을 용기에 주입하거나 용기를 세척하기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500)가 직선운동부재(200)가 장착되는 상부케이스(510)와 분말이 저장되는 분말저장부 케이스(520)와, 회전개폐부재(600)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회전개폐부재 작동부(530) 및 바닥판(5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예컨대 상부케이스(510) 만을 분말저장부 케이스의 결합부(521)로부터 분리하면, 분말저장부 케이스(520)에 간편하게 분말을 채워넣을 수 있을 뿐 아니라, 분말저장부 케이스(520)를 간단하게 세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분말저장부 케이스(520), 회전개폐부재 작동부(530) 및 바닥판(540)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회전개폐부재 작동부(530) 및 바닥판(540)만을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직선운동부재(200)는, 상술한 가이드홈(511a)이나 가이드(511) 사이를 따라 안내되는 피안내부(210)를 구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운동부재(200)가 소경부와 대경부로 이루어진 이단형의 뚜껑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피안내부(210)는 소경부 내측 테두리의 돌출리브에 해당한다.
본 고안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상기 직선운동부재(200)의 운동에 대응하여 회전하는 회전부재(400)가 구비된다는 점이다. 회전부재(400)의 형태는, 직선운동부재(200) 및 가이드(511)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측면에 나선형의 가이드홈(410)이 형성된 원통형 회전부재(400)로 구성하고 있다. 상기 회전부재(400)는, 나선형 가이드홈(410)의 시작부가 상기 가이드(511)의 가이드홈(511a) 또는 가이드(511)의 사이 부분과 일치하도록 가이드(511)의 내측에 배치되며, 직선운동부재(200)의 피안내부(210)가 상기 나선형 가이드홈(410) 내에서 안내된다. 이 때, 상기 나선형 가이드홈(410)이 시작되는 위쪽 일부를 직선형으로 형성하면, 상기 피안내부(210)를 더욱 용이하게 가이드홈으로 안내할 수 있다.
가이드(511)를 따라 안내된 직선운동부재(200)를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리기위해서, 상기 직선운동부재(200)와 가이드(511)의 사이에는 탄성부재(300)가 개재된다.
또한,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하여 직선운동부재(200)가 분말배출용기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상부에는 걸림부재(1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재(100)가 직선운동부재(200)의 소경부가 삽입되는 중공을 구비한 재떨이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경부의 상부면이 상기 걸림부재(100) 중공 테두리(110)에 걸려 직선운동부재(200)의 상부방향 이동이 규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그 외에도 예컨대 상기 외부가이드(512)나 상부케이스(510)의 측벽 상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대경부의 상부면에 걸리도록 대경부 상부면 위로 연장되는 리브 형태로 걸림부재(10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요컨대, 걸림부재(100)는, 상기 직선운동부재(200)의 일부를 걸어서 직선운동부재(200)가 용기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바닥판(540)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부재(400)와 연결되어 회전부재(40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개폐부재(600)가 구비된다. 회전부재(400)와 회전개폐부재(600)는 예컨대, 일단이 회전부재(400)에 결합되고, 타단이 회전개폐부재(600)의 결합부(610) 및 바닥판(540)의 결합부(541)에 결합되는 축(S)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개폐부재(600)는, 바닥판(540)의 분말배출공(540a)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공보다 큰 면적의 개폐날개를 구비하고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 중 하나는, 회전개폐부재(600) 및 회전개폐부재 작동부(530)의 특징적인 구성에 의하여, 분말배출용기의 1회 배출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즉, 본 고안은 상기 케이스의 바닥판(540) 상부에 바닥판(540)의 분말배출공(540a)과 소정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부배출공(531a)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축(S)이 결합되는 결합부(532)를 구비한 중간판(531)을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540)과 중간판(531) 사이에 상기 상부배출공(531a)과 바닥판(540)의 분말배출공(540a)을 교대로 개폐하는 회전개폐부재(6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개폐부재(600)는, 중공형의 몸체부(640)와, 상기 몸체부(640) 상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부배출공(531a)을 개폐하는 상부날개(620) 및 상기 몸체부 하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말배출공(540a)을 개폐하는 하부날개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은, 상기 몸체부(640)의 부피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분말을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판(531)의 상부면을 경사지게 형성하고, 그 최하단부에 상부배출공(531a)을 형성하면, 분말이 상부배출공(531a) 쪽으로 흘러내려 보다 용이하게 분말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분말을 배출하는 작동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직선운동부재(200)의 소경부 상부면을 손으로 눌러주면, 직선운동부재(200)의 피안내부(210)가 케이스(510)의 가이드홈(511a)(또는가이드(511) 사이)과 회전부재(400)의 나선형 가이드홈(410)에 동시에 안내되어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400)는, 직선운동부재(200)의 이동경로인 변위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가이드(511)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회전부재(400)가 회전하면, 그와 연결된 회전개폐부재(600)가 회전하여 그 개폐날개(하부날개)가 분말배출공(540a)을 개방하여 분말이 용기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직선운동부재(200)를 원터치식으로 한 번 눌러주는 것만으로, 분말을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초의 위치에서는, 상기 회전개폐부재(600)의 몸체부가 상부배출공(531a)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몸체부의 중공(640a)로 몸체부 부피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분말이 유입되게 된다(도 5(b) 참조). 이 때, 회전개폐부재(600)의 하부날개(630)는 바닥판(540)의 분말배출공(540a)을 덮고 있으므로, 분말은 용기 밖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그 후, 직선운동부재(200)를 눌러 상기 몸체부가 바닥판(540)의 분말배출공(540a) 상부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부재(400) 및 회전개폐부재(600)를 회전시키면, 몸체부 부피에 해당하는 양만큼의 분말이 용기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 때, 상부배출공(531a)은 상부날개(620)에 의하여 여전히 폐쇄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회전개폐부 작동부 내로는 더 이상의 분말이 유입되지 않는다(도 4(a) 참조).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하부날개(620,630) 및 중공형 몸체부(640)를 구비한 회전개폐부재(600)에 의해서 상하부의 분말배출공(531a, 540a)을 교대로 개폐함으로써, 몸체부 부피에 해당하는 일정량의 분말만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상기 상하부날개(620,630)는 각각 상하부의 배출공(531a,540a)을 덮을 만큼의 충분한 면적을 가져야 할 뿐 아니라, 회전개폐부재(600)의 회전과정에 있어서 하나의 배출공이 개방된 상태에서 다른 배출공이 폐쇄된 상태(즉, 상부배출공(531a) 개방시에 하부의 분말배출공(540a) 폐쇄, 하부의 분말배출공(540a) 개방시에 상부배출공(531a) 폐쇄상태) 를 유지함으로써 회전과정 중에 분말이 회전개폐부 작동부(530) 내로 유입되거나 상하부배출공(531a,540a)으로부터 분말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유지할 수 있을 만큼의 설계면적을 가질 필요가 있다. 또한, 설계에 다소 이상이 있더라도, 상부배출공(531a)과 동일한 크기의 구멍을 가진 차단막(미도시)을, 그 구멍이 상부배출공(531a) 하부에 위치하도록 중간판(531)과 상부날개(620) 사이에 설치하면, 회전개폐부재(600)의 회전과정 중에 분말이 회전개폐부 작동부(5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배출공(531a)과 하부의 분말배출공(540a)의 설치각도, 상하부날개(620,630)의 설치각도, 몸체부(640)의 직경 등은, 회전부재(400)의 나선형 가이드홈(410)의 길이 및 이와 관련된 회전부재(400)의 회전각도 등을 고려하여, 가장 합리적인 선에서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개폐부재 몸체부(640) 내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몸체부(640)보다 부피가 작은 중공형의 용량조절부재(800)를 설치하면, 1회 배출되는 분말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용량조절부재(800)는 몸체부(640)보다 작은 부피를 가지는 것으로서, 그 형태와 부피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배출량을 조절하고 싶을 때에는, 상기 회전개폐부재(600) 자체를 교환할 필요없이, 단지 필요한 용량조절부재(80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몸체부(640) 내에 끼워넣음으로써, 간편하게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용량조절부재(800)의 외주면에 회전개폐부재 몸체부(640) 내벽에 의하여 지지되는 리브(801)를 설치하면, 회전개폐부재(600)의 회전운동 시에 용량조절부재(800)가 몸체부(640) 내에서 흔들리거나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브의 수는 조정이 가능하나, 적어도 서로 대향하는 2개 이상의 리브가 필요하며, 바람직하게는 용량조절부재를 전후좌우로 지지할 수 있도록 4개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직선운동부재(200)는 상기 가이드홈(511a)의 말단부에 이르면 멈추게 되므로, 회전부재(400) 및 회전개폐부재(600)의 회전도 자연적으로 멈추게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바닥판(540), 또는 중간판(531)의 하부, 또는 바닥판(540)과 중간판(531) 사이의 회전개폐부재 작동부(530) 측면 등에 별도의 스토퍼를 설치하며 회전개폐부재(600)의 회전을 규제할 수도 있다.
한편, 하강된 직선운동부재(200)는,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하여 다시 제자리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부재(400) 및 회전개폐부재(600)도 최초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며, 이 때 다시 상기 회전개폐부재(600)의 몸체부 내로 일정량의 분말이 유입되어 언제라도 하부의 분말배출공(540a)을 개방하면 배출될 수 있는 상태로 대기하게 된다.
분말배출공(540a)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판(540)의 하부에 별도의 원터치식 마개(70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마개(700)는, 분말배출공과 대향하는 일측에 마개부(700a)를 구비하며, 또한 그 일측이 바닥판(540)의 일측과 연결되고 그 대향하는 일측에는 바닥판(540)의 대향하는 일측에 걸려지는 걸림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걸림부재의 해제에 의하여 간편하게 마개를 열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말배출공(540a) 자체에 상기의 마개부(700a)와 같은 별도의 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역시 원터치식으로 분말배출공(540a)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직선운동부재를 가볍게 눌러주는 것만으로 분말을 간편하게 용기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하부배출공을 교대로 개방 및 폐쇄하고 일정량이 담겨지는 몸체부를 가지는 회전개폐부재를 구비함으로써, 1회 배출양이 일정하여 분말배출량을 적정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몸체부의 크기를 다양하게 변경함으로써, 분말배출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가이드(511)를 상부면에 구비하고, 바닥판(540)의 일측에는 분말배출공(540a)이 형성된 케이스(500)와;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직선운동부재(200)와; 상기 가이드와 직선운동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부재(300)와; 상기 가이드의 상부에 설치되어 직선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재(100)와; 상기 가이드의 내측에서 상기 직선운동부재의 변위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회전하는 회전부재(400)와; 상기 회전부재와 연결되며 케이스 바닥판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배출공을 개폐하는 회전개폐부재(600)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511)의 측벽에는 직선형의 가이드홈(51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511)는,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한 쌍의 반원형 가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4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 측면에는 상기 직선운동부재(200)의 일부가 안내되는 나선형 가이드홈(4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540)의 상부에는 바닥판의 분말배출공(540a)과 소정각도만큼 이격된 위치에 상부배출공(531a)이 형성된 중간판(531)이 설치되며; 상기 중간판의 하부에 중공형의 몸체부(640)와, 상기 몸체부 상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부배출공을 개폐하는 상부날개(620) 및 상기 몸체부 하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분말배출공을 개폐하는 하부날개(630)로 구성되는 회전개폐부재(60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531)의 상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면의 최하단부에 상부배출공(53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개폐부재 몸체부(640)에는 몸체부보다 부피가 작은 용량조절부재(800)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531)과 바닥판(540) 및 케이스(500) 측면으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측면 일측에 상기 회전개폐부재(600)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54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531)과 회전개폐부재(600)의 상부날개(620) 사이에 상부배출공(531a)과 동일한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차단막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가이드홈(410)의 위쪽 일부는 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540)에 원터치식 마개(7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540)의 분말배출공(540a)에 원터치식 마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KR20-2003-0033349U 2003-10-24 2003-10-24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KR2003428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349U KR200342873Y1 (ko) 2003-10-24 2003-10-24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349U KR200342873Y1 (ko) 2003-10-24 2003-10-24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873Y1 true KR200342873Y1 (ko) 2004-02-19

Family

ID=4942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349U KR200342873Y1 (ko) 2003-10-24 2003-10-24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87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763B1 (ko) * 2016-11-16 2018-01-15 김현지 휴대용 발열용기
KR101884287B1 (ko) * 2018-06-18 2018-08-0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동결 건조 타입 듀얼 믹싱용기
KR101896075B1 (ko) 2017-06-07 2018-09-07 김용태 분말 배출기
KR200493736Y1 (ko) * 2020-04-22 2021-05-27 이상민 용액 및 분말 분사 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763B1 (ko) * 2016-11-16 2018-01-15 김현지 휴대용 발열용기
KR101896075B1 (ko) 2017-06-07 2018-09-07 김용태 분말 배출기
KR101884287B1 (ko) * 2018-06-18 2018-08-01 주식회사 네스필러피케이지 동결 건조 타입 듀얼 믹싱용기
KR200493736Y1 (ko) * 2020-04-22 2021-05-27 이상민 용액 및 분말 분사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59555A1 (en)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KR200342873Y1 (ko) 원터치식 분말배출용기
US11109700B2 (en) Utensil having self-storage handle
AU2004245587B2 (en) Water reservoir for a refrigerator
JP5105319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20020076781A (ko) 정용량 토출식 휴대용 분유통
KR200390589Y1 (ko) 정량배출쌀통
US11918151B2 (en) Coffee storage container
JP6078680B1 (ja) 調節容器
JP2002264975A (ja) 粉末定量振出容器
JP3999451B2 (ja) 振出し容器
JP5605808B2 (ja) 振り出し容器
JP6458077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S638308Y2 (ko)
KR200315080Y1 (ko) 정량조절 배출용기
JP3103661U (ja) 振り出し容器
KR20230122207A (ko) 막힘 방지용 분말용기
KR910004386Y1 (ko) 병 마개의 내용물 분출장치
KR20180048357A (ko) 통과 장치 및 내용물 이동 기구
KR200343513Y1 (ko) 벽걸이용 수동식 미니 자판기
CA3206637A1 (en) Tumbler with vent shield
JP3568903B2 (ja) 粉末定量振出容器
KR200166457Y1 (ko) 냉음료용쉐이커용기
JP3096976B2 (ja) 集魚用まき餌入れ容器
JP4342246B2 (ja) パウダー収納室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