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265Y1 - 흄관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흄관 연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265Y1
KR200342265Y1 KR20-2003-0033070U KR20030033070U KR200342265Y1 KR 200342265 Y1 KR200342265 Y1 KR 200342265Y1 KR 20030033070 U KR20030033070 U KR 20030033070U KR 200342265 Y1 KR200342265 Y1 KR 2003422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me pipe
fume
connection
suppor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3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배
Original Assignee
김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배 filed Critical 김성배
Priority to KR20-2003-0033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2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2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26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흄관 연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그 구조는, 흄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다른 흄관의 단부를 받쳐주는 반원형 연결지지부와, 상기 연결지지부의 양측단에서 상기 연결되는 흄관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되어 연결 흄관의 안내와 측면 거푸집 기능을 하는 안내지지부와, 하부에 상기 연결지지부와 대응되어 원을 이루고 조립시 상기 흄관의 상부 둘레에 밀착되는 밀착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다른 흄관의 조립 후 양측 안내지지부에 체결구로 결합되는 거푸집판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흄관이 연결되는 다른 흄관의 입구부 둘레에 거푸집기능의 연결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흄관의 결합후 연결지지부 내측 공간 또는 몰탈충진홈에 몰탈을 채운후 매립하면 몰탈의 양생 후 흄관이 기밀하면서 견고하게 연결되며, 또 연결된 흄관은 외부에서의 어떤 충격에 의해서도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는 누수로 인항 발생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시 흄관의 내부공간에 몰탈을 충진시키고 흙을 되메우기만 하면 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에 빠른 시간내에 시공이 이루어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흄관 연결 구조물{Hume concrete pipe connection structure}
본 고안은 흄관 연결 방법 및 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흄관은 빗물이나 오수 등의 배수를 위해 지중에 설치되는 것으로 주로 콘크리트관을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합성수지재 관을 사용하기도 한다. 흄관은 설계 배수용량에 맞게 그 크기를 달리하며 다수개의 흄관을 연결하여 배수로를 형성한다. 상기 흄관으로 이루어진 배수로는 다수개로 분기된 가지관들이 특정 위치에 설치된 맨홀에 연결되어 집수되고, 맨홀에 유입된 우수 또는 오수는 연결된 메인 흄관을 통하여 하수종말처리장이나 하천으로 흘러가도록 되어 있다.
흄관을 연결할 때에는 다른 흄관의 일측에 단순히 흄관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형성하여, 이에 흄관의 단부를 삽입시킨 다음 그 둘레에 몰탈을 채워 흄관과 흄관과의 공간을 메우는 마무리작업과 함께 완성된다.
상기한 종래의 흄관 연결구조와 같이 흄관이 다른 흄관의 일단에 단순히 삽입되어 몰탈에 의해 틈새를 메우는 마무리작업을 실시하였더라도 차량의 통행에 따른 진동이나 계절변화에 따른 지반의 침하 또는 융기 등과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약화되어 마무리된 부분이 떨어지게 되고, 그로인하여 그 결합부에서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누수현상은 지반의 연약화를 초래하게 되고 더 나아가서는 흄관의 누수부위가 침식되어 설치된 흄관이 기울어지거나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또 심하게는 연결부가 깨어지는 폐단이 있다. 그로 인하여 누수 정도가 발전하여 결국 지하수를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흄관의 연결작업을 실시할 때 흄관을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그 일단을 연결하는 관의 중심과 나란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이를 수평이동시켜 확장부에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흄관에 흄관을 연결하는 구조를 단순화하고 그에 따른 연결작업이 매우 간단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그 연결된 상태가 기밀하고도 견고한 상태를 반영구적으로 유지할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흄관의 연결구조물 사시도.
도 2a,2b는 도 1의 흄관 분리단면 및 결합 종단면도.
도 3a,3b는 본 고안의 흄관에 거푸집판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흄관 상부에 인상고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흄관의 연결구조물 사시도.
도 6a,6b는 도 2의 흄관 분리 단면 및 결합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0a - 흄관 14 - 연결지지부 26 - 안내지지부
262 - 가이드면 27,27a - 거푸집판 28 - 밀착홈부
29 - 체결구 30 - 흄관 34 - 연결지지부
35 - 몰탈충진홈 45 - 인상고리장치 46 - 너트
47 - 인상고리 P1,P3 - 패킹홈 P2,P4 - 패킹,패킹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흄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다른 흄관의 단부를 받쳐주는 반원형 연결지지부와,
상기 연결지지부의 양측단에서 상기 연결되는 흄관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되어 연결 흄관의 안내와 측면 거푸집 기능을 하는 안내지지부와,
하부에 상기 연결지지부와 대응되어 원을 이루고 조립시 상기 흄관의 상부 둘레에 밀착되는 밀착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다른 흄관의 조립 후 양측 안내지지부에 체결구로 결합되는 거푸집판으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흄관의 연결구조물 사시도이고, 도 2a,2b는 도 1의 흄관 분리단면 및 결합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는 흄관과 흄관(10)을 연결할 때 그 연결부를 기밀하고 견고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흄관(10)의 일측단에 다른 흄관의 단부를 받쳐주는 반원형으로 돌출된 연결지지부(14)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지지부(14)의 양측단 상부에는 안내지지부(26)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지지부(14)의 내주면에는 후술될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패킹홈(P3)을 형성하여 이에 패킹(P4)을 설치할 수 있다. 이 패킹(P4)은 연결되는 흄관(10)의 하부가 연결지지부(14)와 기밀한 상태를 유지하게 해준다. 또한 연결지지부(14)에 안착되는 흄관(10)의 단부 둘레에도 패킹홈(P1)을 형성하여 이에 패킹링(P2)이 설치된다. 이 패킹링(P2) 또한 기밀성을 유지 및 흄관(10)의 내부로 몰탈(M)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안내지지부(26)는 연결되는 흄관(10)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되어 흄관(10)의 삽입을 안내하는 기능과 측면 거푸집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 안내지지부(26)는 양측의 간격이 연결되는 흄관(10)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흄관(10)이 연결될 때 안내지지부(26)의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시켜 연결지지부(14)에 안착시키므로 여유간격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연결지지부(14)와 안내지지부(26)의 경계부 내측면은 간격이 좁아지는 구간을 이루게 되는데, 그 경계부에 경사진 가이드면(262)을 형성하여 안착되는 흄관(10)의 단부가 연결지지부(14)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안내지지부(26)의 전방에는 거푸집판(27)이 설치된다. 이 거푸집판(27)은 하부에 상기 연결지지부(14)와 대응되는 반원형 밀착홈부(28)가 형성되고, 양측에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상기 연결지지부(14)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29)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연결지지부(14)에는 너트를 미리 매입해 둘 수도 있다.
도 3a,3b는 본 고안의 흄관에 거푸집판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로서,상기 거푸집판(27a)은 흄관(10a)(20b)에 일체로 형성할 수가 있다. 흄관(10a)(20b)과 일체로된 거푸집판(27a)(27b)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가지로 나눌 수가 있다. 그 중 하나는 도 3a에서와 같이 거푸집판(27a)의 넓이가 상기 양측 안내지지부(26)의 외측단이 이루는 넓이와 같아 결합시 거푸집판(27a)의 양단이 안내지지부(26)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구조이고, 다른 한 가지는 거푸집판(27b)의 넓이가 양측 안내지지부(26b)의 내측단 넓이와 같거나 작아 결합시 거푸집판(27b)이 양측 안내지지부(26b)의 사이에 삽입되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거푸집판(27a)(27b)가 흄관(10a)(20b)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거푸집판(27a)(27b)을 안내지지부(26)(26b)에 체결하기 위한 체결구(29)가 없어도 무방하다. 그렇지만 도 3a에서와 같은 거푸집판(27a)의 경우에는 체결구(29)를 사용하여 안내지지부(26)에 결합 고정시킬 수가 있으며, 이와 같이 결합되면 더욱더 견고한 결합 상태를 이룰 수가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흄관 상부에 인상고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흄관(10)(10a)(20b)(30)의 연결작업의 편리성을 위해 흄관(10)(10a)(20b)(30)의 상부에 인상조작시 전후,좌우의 수평을 이루는 무게중심부에 인상고리장치(45)가 구비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흄관(10)(10a)(20b)(30)의 연결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장치한 것으로써, 상기 인상고리장치(45)는 흄관(10)에 일체화된 복수개의 너트(46)와, 상기 복수개의 너트(46)에 체결되는 인상고리(47)들로 구성된다. 물론 인상고리(47)가 흄관(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너트(46)는 흄관(10)의 몸체에 탭을내어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본 고안의 흄관(10)(10a)(20b)(30)을 연결할 때에는 상기 흄관(10)(10a)(20b)(30)의 상부 무게중심부에 형성된 너트(46)에 인상고리(47)를 체결한 후 이에 와이어를 걸어 기중기와 같은 장비로 들어올려 흄관(10)(10a)(20b)(30)의 단부를 다른 흄관(10)(10a)(20b)(30)의 연결지지부(14)에 일치시켜 삽입시킨다. 삽입시 약간의 오차는 연결지지부(14)의 안내지지부(26)에 의해 유도되어 정확한 삽입위치를 찾게 된다. 삽입이 완료되면 체결된 인상고리(47)를 분리하여 재활용한다. 물론 그대로 두어도 관계는 없다.
그리고 상기 안내지지부(26)의 전면에 거푸집판(27)을 밀착시키면서 하부의 밀착홈부(28)를 연결되는 흄관(10)(10a)(20b)(30)의 상부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그 양측을 안내지지부(26)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29)로 체결하여 견고히 결합한다.
거푸집판(27a)과 흄관(10a)(20b)이 일체로 구성될 경우에는 흄관(10a)(20b)을 세팅하게 되면 상기 거푸집판(27)이 안내지지부(26)에 자동적으로 밀착된다. 이때에는 체결구(29)가 필요 없으나 필요시에는 체결구(29)를 이용하여 안내지지부(26)에 체결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거푸집판(27)과 안내지지부(26)가 이루는 공간으로 몰탈(M)을 주입하여 양생시킨 후 매립하면 작업이 완료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흄관의 연결구조물 사시도이고, 도 6a,6b는 도 2의 흄관 분리 단면 및 결합 종단면도이다.(동일부분은 동일부호를 부여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흄관(30) 연결구조는 연결지지부(34)의 내측면에 몰탈충진홈(35)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안내지지부(26)의 내측면 선단부 즉, 상기 몰탈충진홈(35)의 앞쪽에 패킹홈(P3)을 형성하여 이에 패킹(P4)이 설치된다. 그리고 흄관(30)의 단부 둘레에도 패킹홈(P1)을 형성하여 이에 패킹링(P2)이 끼워진다. 이 패킹들은 차후 결합시 그 사이의 중앙부에 상기 몰탈충진홈(35)이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거푸집판(27)과 안내지지부(2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몰탈(M)을 주입하면, 상기 몰탈(M)은 상기 공간과 물탈충진홈(65)에 충진된다. 이때 상기 패킹(P3)과 패킹링(P1)은 흄관(30)의 내외부 수밀성을 유지해줌과 동시에 주입된 몰탈(M)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몰탈(M)이 충진되면 흙을 덮어 매립시키고 그 상태로 일정시간 후 양생되어 굳게 되면 연결된 흄관과 흄관(20)은 견고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그리고 연결되는 양측 흄관(30)과의 사이에는 틈새가 몰탈(M)에 의해 제거되기 때문에 수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 연결부를 연결지지부(34)와 안내지지부(26) 및 거푸짚판(27)이 지지해주기 때문에 어떠한 외부적 충격이 가해져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흄관이 연결되는 다른 흄관의 입구부 둘레에 거푸집기능의 연결지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흄관의 결합후 연결지지부 내측 공간 또는 몰탈충진홈에 몰탈을 채운후 매립하면 몰탈의 양생 후 흄관이 기밀하면서 견고하게 연결되며, 또 연결된 흄관은 외부에서의 어떤 충격에 의해서도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는 누수로 인항 발생할 수 있는 지하수 오염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시 흄관의 내부공간에 몰탈을 충진시키고 흙을 되메우기만 하면 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에 빠른 시간내에 시공이 이루어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흄관의 일단에 연결되는 다른 흄관의 단부를 받쳐주는 반원형 연결지지부와,
    상기 연결지지부의 양측단에서 상기 연결되는 흄관의 상단보다 높게 연장되어 연결 흄관의 안내와 측면 거푸집 기능을 하는 안내지지부와,
    하부에 상기 연결지지부와 대응되어 원을 이루고 조립시 상기 흄관의 상부 둘레에 밀착되는 밀착홈부를 구비하여 상기 다른 흄관의 조립 후 양측 안내지지부에 결합되어 개방된 전방을 차단하는 거푸집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연결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지지부의 간격을 상기 연결지지부 보다 넓게 형성하고, 상기 연결지지부와 상기 안내지지부 사이의 연결부 내측면에 흄관의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경사진 가이드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의 연결 구조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의 내측면에 몰탈충진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의 연결 구조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판은, 상기 양측 안내지지부의 전면에 체결구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연결 구조물.
  5.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판은 상기 흄관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연결 구조물.
  6.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지지부의 내측면 선단부에 패킹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연결구조물.
  7.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되는 흄관의 상부에 결합시 전후좌우의 수평을 이루는 무게중심부에 인상고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연결구조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상고리장치는,
    상기 흄관에 일체화된 너트와,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고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연결 구조물.
  9. 제 1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흄관의 단부 둘레에 패킹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 연결 구조물.
KR20-2003-0033070U 2003-10-22 2003-10-22 흄관 연결 구조물 KR2003422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070U KR200342265Y1 (ko) 2003-10-22 2003-10-22 흄관 연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3070U KR200342265Y1 (ko) 2003-10-22 2003-10-22 흄관 연결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774A Division KR20050038434A (ko) 2003-10-22 2003-10-22 흄관 연결 방법 및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265Y1 true KR200342265Y1 (ko) 2004-02-18

Family

ID=49424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3070U KR200342265Y1 (ko) 2003-10-22 2003-10-22 흄관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26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45B1 (ko) * 2004-07-05 2007-04-05 김성배 관 연결방법 및 그 장치
KR100796955B1 (ko) 2006-04-07 2008-01-22 김성배 관 연결구
KR100825833B1 (ko) 2006-12-18 2008-04-28 거성건설 주식회사 관 연결 구조
WO2010076965A2 (ko) * 2008-12-30 2010-07-08 Seong Ki Jong 모르타르 몰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145B1 (ko) * 2004-07-05 2007-04-05 김성배 관 연결방법 및 그 장치
KR100796955B1 (ko) 2006-04-07 2008-01-22 김성배 관 연결구
KR100825833B1 (ko) 2006-12-18 2008-04-28 거성건설 주식회사 관 연결 구조
WO2010076965A2 (ko) * 2008-12-30 2010-07-08 Seong Ki Jong 모르타르 몰드
WO2010076965A3 (ko) * 2008-12-30 2010-08-19 Seong Ki Jong 모르타르 몰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054B1 (ko) 협소한 테두리 여유공간을 갖는 지하 구조물의 흙막이벽 구축공법
TW200413663A (en) Method of repairing flow passage
CN108331026B (zh) 一种预制装配式钢筋混凝土检查井及其施工方法
CN102839691B (zh) 无砂水泥管深井降水井口快速封堵方法及其装置
KR100952608B1 (ko) 기초보강 콘크리트관 구조체
KR200342265Y1 (ko) 흄관 연결 구조물
KR101901154B1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KR200345860Y1 (ko) 흄관 연결 구조물
KR200318113Y1 (ko) 흄관용 받침부재
KR20050038434A (ko) 흄관 연결 방법 및 구조물
JP4327026B2 (ja)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KR200211157Y1 (ko) 지중관체 보수장치
JP3893052B2 (ja) 推進管用マンホールの継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3776987B2 (ja) マンホール壁兼用筒状体を用いた立坑構築方法
KR102136256B1 (ko) 탑다운 공법을 이용한 빗물저류조 시공 방법
KR100836512B1 (ko) 관로의 보수재, 보수 구조 및 그 보수 방법
KR100769478B1 (ko) 플라스틱 하수관의 변형방지를 위한 보강연결구
JPH10205270A (ja) 立抗ブロック、立抗掘削方法及び管渠推進方法
KR200381471Y1 (ko) 수로관 유니트
KR100992693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과 관로간의 방수용 연결구조
JPS5914667B2 (ja) 管路の敷設方法
KR100524188B1 (ko) 콘크리트 흄관의 연결구조
KR200184230Y1 (ko) 매설관 지지장치
KR200310034Y1 (ko) 맨홀과 관 사이의 밀봉구조
KR100637048B1 (ko) 토목공사에서의 상,하수관용 콘크리트 흄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