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6984Y1 - 전기-음향변환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음향변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6984Y1
KR200326984Y1 KR20-2003-0017584U KR20030017584U KR200326984Y1 KR 200326984 Y1 KR200326984 Y1 KR 200326984Y1 KR 20030017584 U KR20030017584 U KR 20030017584U KR 200326984 Y1 KR200326984 Y1 KR 200326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ody
electro
acoustic
area
acoustic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7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현
Original Assignee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전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17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6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6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69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인이동통신기기에서 음향재생능력(음량/음압)의 최대화를 위해 허용가능한 최대의 면적으로 타원형 케이스를 설계하고 개인이동통신기기 내부에서의 점유면적의 최소화를 위해 그 타원형 케이스의 양측을 컷팅하여 형성된 구조의 전기-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는 케이스체내에 요크부재와 마그네트, 플레이트, 보이스코일이 권취된 진동판이 순차 배치되어 형성된 구조에서 상기 케이스체는 그 내부가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타원형 케이스체의 진동면적의 축소를 극복하면서 그 케이스체에 의한 점유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양측면(단축 양면)을 컷팅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전기-음향변환장치{ELECTRIC-ACOUSTIC TRNSDUCER}
본 고안은 전기-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이동통신기기에 탑재되는 경우 최소화된 점유면적을 가지면서 충분한 음향재생능력(음량/음압)을 발휘하도록 설계된 전기-음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휴대폰으로 대표되는 개인이동통신기기에는 상대방으로부터 전송된 전기적인 음향신호를 원래의 음향으로 재생하기 위해 전기-음향변환장치가 채용된다.
그러한 전기-음향변환장치에 따르면, 그 중앙에 일정한 섬형상(대개는 원형)으로 돌출된 요크부재상에 배치되는 내부중공형태의 마그네트와, 그 마그네트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 및, 음향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진동하는 진동판의 일면에 권취된 보이스코일을 구비하게 되는 바, 상기 보이스코일은 상기 요크부재의 섬형상 외주와 상기 플레이트 및 마그네트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이격배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전기-음향변환장치에서는 상기 보이스코일의 양단에 음향신호에 대응하는 교류형태의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그 보이스코일이 여자되면서 상기 마그네트와 플레이트의 사이에 자계회로가 형성됨에 따라 그 보이스코일이 취부된 진동판이 상하 진동하여 음향을 재생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한 전기-음향변환장치의 구성요소는 소정 형상의 케이스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커버부재에 의해 상측이 커버링되는 바, 도 1은 종래의 일예에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의 케이스체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10으로 표시된 케이스체는 타원형상을 이루면서, 그 중앙에는 요크부재(12)의 섬형상 부분이 노출되고, 그 요크부재(12)의 섬형상 외주에 마그네트와 플레이트(도시는 생략)가 배치되며, 그 전체적인 상부에 보이스코일이 권취된 진동판(도시는 생략)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한 케이스체(10)의 경우 그 전체적인 면적이 증가되면 진동판의 전체적인 면적도 증가되어 충실한 음향신호의 재생이 가능하게 되는 반면, 그 적용대상의 개인이동통신기기의 소형화 설계 및 영상표시를 위한 화면의 최대화를 위해서는 그 케이스체(10)의 치수가 축소되어야만 바람직하게 된다는 상반적인 설계사양이 필요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부가 타원형으로 형성된 케이스체를 설계상 허용가능한 최대의 치수로 형성하여 충분한 음향재생능력을 확보하면서 점유면적을 최소화하도록 된 전기-음향변환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케이스체내에 요크부재와 마그네트, 플레이트, 보이스코일이 권취된 진동판이 순차 배치되어 형성된 전기-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는 그 내부가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타원형 케이스체의 진동면적의 축소를 극복하면서 그 케이스체에 의한 점유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양측면(단축 양면)을 컷팅하여 형성된 전기-음향변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구조의 본 고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에서는 상기 케이스체가 타원형으로 형상화된 경우 그 양측면(단축 양면)을 컷팅함으로써 그 케이스체를 포함하는 전기-음향변환장치가 개인이동통신기기에 채용되는 경우 그 케이스체는 설계상 허용가능한 최대의 치수로 형성됨에 따라 진동판의 진동면적이 충분하게 확보되어 음향재생능력이 향상되는 반면 그 양측면(단축 양면)은 컷팅되기 때문에 해당하는 개인이동통신기기내에서의 점유면적은 축소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체의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체의 개략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체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의 조립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종래의 전기음향변환장치의 케이스체와 본 고안의 전기-음향변환장치의 케이스체를 대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d는 종래의 전기-음향변환장치와 본 고안의 전기음향변환장치의 특성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0: 케이스체, 12;34: 요크부재,
14.36: 방음구, 38: 마그네트,
40: 플레이트, 42: 진동판,
44: 보이스코일.
이하, 본 고안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에 구성되는 케이스체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스체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즉, 도면을 참조하면 30으로 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체는 그 내부가 타원형으로 형성되면서 대향하는 양측면(단축 양면)이 컷팅부(32)의 형태로 형상화되어 도면에서 단축(短軸)방향의 치수가 축소된 형태를 갖게 된다.
또, 그 케이스체(30)의 중앙에는 요크부재(34)가 배치되고, 그 케이스체(30)의 소정 위치에는 음향의 출력을 위한 방음구(36)도 형성된다.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케이스체(30)를 적용하여 형성되는 전기-음향변환장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케이스체(10)의 요크부재(34)의 외주에는 환형상 마그네트(38)가 배치되고, 마그네트(38)상에는 플레이트(40)가 배치된다.
또, 상기 요크부재(34)의 섬형상 부분과 상기 마그네트(38) 및 플레이트(40)의 사이에 형성된 간극에는 진동판(40)에 취부된 보이스코일(44)이 개재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의 전기-음향변환장치에서 상기 보이스코일(44)의 양단에 음향신호에 대응하는 교류성분의 전기신호가 인가되면 그 보이스코일(44)이 여자되어 상기 요크부재(34)와 상기 마그네트(40) 및 플레이트(40)의 사이에 자계회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 경우, 상기 보이스코일(44)은 인가되는 교류성분의 전기신호의 극성에 따라 진동력을 발생하게 되어 상기 진동판(42)이 상하방향으로 진동하여 음향을 재생하게 되며, 그 재생된 음향이 상기 방음구(36)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체(30)는 설계상 허용가능한 최대의 치수로 형성되어 그 양측면이 컷팅부(32)의 형태로 가공되는 바, 상기 진동판(42)은 그 케이스체(30)의 전체 면에 취부되기 때문에 그 케이스체(30)의 도면상 단축 방향의 치수가 축소되어도 상기 진동판(42)은 상기 케이스체(30)가 최대의 설계면적으로 형성된 상태이기 때문에 역시 최대의 진동면적을 갖게 되어 음향재생능력이 충실하게 보장되게 된다.
즉, 도 5a와 도 5b를 참조하면, 종래의 전기-음향변환장치의 케이스체(10)에서 단축방향의 치수(a1)와 장축방향의 치수(b1)(도 5a 참조)에 대해 본 고안의 전기-음향변환장치(30)의 케이스체(30)의 장축방향의 치수(B1)는 종래의 케이스체(10)와 동일하게 유지하는 상태에서 그 단축방향의 치수(A1)(즉, 도 5a에도시된 종래의 전기-음향변환장치의 케이스체(10)의 단축방향 치수(a1)에 대응)에 비해 확장된 치수(A3)로 설계하여 진동판의 설치면적을 보다 확장되도록 하고서 단축방향의 양측면을 컷팅해냄으로써 컷팅부치수(A2)가 얻어지도록 하게 되면, 도 5c에 대비적으로 설명된 종래의 케이스체의 진동판설치를 위한 면적(c1)에 비해 본 고안에 따른 케이스체의 진동판설치를 위한 유효면적(c2)이 보다 확장되면서 해당하는 개인이동통신기기내에서의 점유면적이 상기 컷팅부(32)에 의해 축소되게 된다.
따라서, 도 5d에 나타낸 특성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전기-음향변환장치의 케이스체(도 1에서 10)를 채용하는 경우의 특성도(10A)에 비해 본 고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의 케이스체(30)를 채용하는 경우 보다 큰 진동판의 적용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보다 높은 음압과 음량(도 5c의 특성도 30A 참조)을 얻어질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고안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한 예에서는 케이스체가 타원형상인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였지만, 그 케이스체가 원형인 경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음향변환장치에 의하면, 요크부재와 마그네트, 플레이트 및 진동판이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케이스체의 내부가 타원으로 설계되는 경우 동일한 외곽치수(즉, 한정된 치수)에서도 그 케이스체에 장착되는 진동판의 물리량을 증대시켜 그 진동판 주변의 상/하 공기밀도의 진동량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음압 및 음량이 충분하게 확보되도록 하면서, 그 케이스체의 양측면(단축 양면)을 컷팅하여 점유면적을 전체적으로 축소시킴으로써 개인이동통신기기에 적용하는 경우 점유면적의 최소화와 음량의 저하를 극복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개인이동통신기기에서 전기음향변환장치의 탑재를 위한 설계상 유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Claims (1)

  1. 케이스체내에 요크부재와 마그네트, 플레이트, 보이스코일이 권취된 진동판이 순차 배치되어 형성된 전기-음향변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는 그 내부가 타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타원형 케이스체의 진동면적의 축소를 극복하면서 그 케이스체에 의한 점유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양 단축을 컷팅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2003-0017584U 2003-06-04 2003-06-04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0326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584U KR200326984Y1 (ko) 2003-06-04 2003-06-04 전기-음향변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7584U KR200326984Y1 (ko) 2003-06-04 2003-06-04 전기-음향변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6984Y1 true KR200326984Y1 (ko) 2003-09-19

Family

ID=4941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7584U KR200326984Y1 (ko) 2003-06-04 2003-06-04 전기-음향변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69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30B1 (ko) 2006-05-10 2007-12-03 에스텍 주식회사 무선단말기용 스피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230B1 (ko) 2006-05-10 2007-12-03 에스텍 주식회사 무선단말기용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2032B1 (ko) 마이크로 스피커
JP3794986B2 (ja) 骨伝導スピーカ
US8379905B2 (en) Micro-speaker
JP4307488B2 (ja) 骨伝導デバイスユニット並びに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及びヘッドセット
WO2004082327A1 (ja) 骨伝導デバイス
KR101092958B1 (ko) 이어셋
KR20040000346A (ko) 전기 음향 변환기용 다이어프램
US11950071B2 (en) Acoustic device
JP2006203709A (ja) 振動体
KR20190123992A (ko) 하이브리드 액추에이터
KR102069140B1 (ko) 전기 음향 변환 장치
WO2019131283A1 (ja) 骨伝導スピーカユニット
JP2005204215A (ja) 電気音響変換器
KR20020003169A (ko)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수신 유니트
KR100413374B1 (ko) 스피커 일체형 리시버
KR200326984Y1 (ko) 전기-음향변환장치
KR200221515Y1 (ko)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 구조
JP3927782B2 (ja) 電気音響変換装置
KR200338060Y1 (ko) 보이스 코일이 결합된 피에조 세라믹 진동판을 이용한 다기능 전자 음향 변환기의 구조
CN219834359U (zh) 声学装置
KR102021181B1 (ko) 전기 음향 변환 장치
KR100455100B1 (ko) 통화음, 호출음 및 진동기가 통합된 3-모드 일체형 마이크로 스피커
KR100630440B1 (ko) 양방향 전자음향변환장치
KR200278880Y1 (ko) 전기음향변환장치
KR100497084B1 (ko) 다기능 전자음향변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