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0912Y1 -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 - Google Patents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0912Y1
KR200320912Y1 KR20-2003-0005220U KR20030005220U KR200320912Y1 KR 200320912 Y1 KR200320912 Y1 KR 200320912Y1 KR 20030005220 U KR20030005220 U KR 20030005220U KR 200320912 Y1 KR200320912 Y1 KR 2003209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clip
piece
vehicl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52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만흥
Original Assignee
지에스오토모티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오토모티브(주) filed Critical 지에스오토모티브(주)
Priority to KR20-2003-00052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09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09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091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전선을 고정하여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전선이 이탈 및 단선되지 않도록 하는 클립으로서 특히 각기 두께가 다른 차량의 철판에 용이하게 직접 장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에 관한 것이다.
즉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고정편(21)의 일측 상부에, 중앙이 장공(12)으로 형성된 일정두께를 유지하는 장착구(11)의 상부에 경사진 삽입부(16)를 형성하고 하측 외부 둘레에 안착편(13)을 형성하며, 삽입부(16) 측이 장착구(11)에 부착되고 안착편(13) 측에 장착면(15)이 형성된 장착돌기(14)를 중앙부 양측에 돌출시킨 장착부(10)를 일체로 성형시킨 차량 전선고정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의 장착돌기(14) 하부에 다수개의 장착면(15)을 계단형태로 구성하고, 안착편(13)을 모서리 부위가 제거된 상태로 일정 폭과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방으로 각각 형성시킨 구조이다.

Description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 The multi clip for a electric wire fixing to cars }
본 고안은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전선을 고정하여 차량의 진동이나 충격에도 전선이 이탈 및 단선되지 않도록 하는 클립으로서 특히 각기 두께가 다른 차량의 철판에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에 관한 것이다.
생활의 필수품으로 사용되는 자동차의 점화, 등화, 충전 등이 점점 자동화 되어감에 따라 자동차의 차체 내에 설치, 배선되는 전선의 양이 많아짐으로 여러 가닥의 전선들을 함께 묶음처리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장착용 클립을 여러 형태로 구성하여 차체 내의 철판에 장착 고정시키고 여러 가닥의 전선을 묶음처리 하여 전선을 안정적으로 신속하게 안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의 전선장착용 클립은 전선을 묵음처리 하는 전선고정부와 클립 자체를 차량의 내부에 장착하는 장착부로 구성하여 장착 고정시키는 것으로서,전선고정부는 통상의 케이블타이 등을 이용하여 전선을 고정시키는 등 전선의 형태 및 성질과 굵기, 가닥수에 따라 각각의 형태로 구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황에 따라 케이블타이가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등의 다양한 형태와 용도로 이용할 수 있는데 반하여 장착부는 차체의 철판 등에 직접 장착됨으로서 전선고정용 클립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차체의 체결공의 형태 및 크기도 변형되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로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자동차 업계에서는 자체적으로 장착부의 크기와 형태의 기준을 정하여 전선고정용 클립과 함께 장착부위의 형태와 크기를 표준화함으로서 제작 및 조립에 의한 생산단가와 작업공정을 절감하는 표준화작업으로 전선장착용 클립의 장착부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고 있다.
즉 각기 다른 형태와 기능을 가지는 고정편(21)과 케이블타이(4)로 구성되는 전선고정부(20)의 일측 상부에, 중앙이 장공(12)으로 형성된 일정두께를 유지하는 장착구(11)를 구성시킴에 있어 장착구의 상부에 경사진 삽입부(16)를 형성하고 하측에 일정경사각을 유지하는 안착편(13)을 형성하며, 삽입부(16) 측이 장착구(11)에 부착되고 안착편(13) 측에 장착면(15)이 형성된 장착돌기(14)를 중앙부 양측에 돌출되도록 구성시킨 장착부(10)를 일체로 형성된 전선고정용 클립(1)을 구비하여 차체에 배선되는 전선(2)이 묵임, 고정되어야 될 부위의 차체의 철판(3)에 체결공(31)을 형성시켜서 배선되는 여러 가닥의 전선을 전선고정부(20)로 묵음처리하고 장착구(11)를 체결공(31)에 삽입하여 배선되는 전선(2)들을 차체에 안착 고정시키고 있다.
이때 차량의 종류 및 부위에 따라 차체의 철판두께가 달라지며 이로 인해 철판두께의 변화에 따라 장착부의 크기가 변형되어야 하므로 차체의 철판 두께에 맞는 장착부를 구성시킨 전선고정용 클립을 형성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지 못하고 철판의 두께에 따른 각각의 전선고정용 클립을 생산하여 생산단가의 상승에 의한 금전적 손실을 보면서도 관련업계에서는 이에 적절한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일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장착부의 장착돌기 하부에 다수개의 장착면을 계단형태로 구성되도록 형성하고 안착편을 방향에 따라 각각 형성하여 장착부가 장착되는 차체의 철판에 형성되는 체결공에 삽입하여 장착시킴으로서 철판의 두께에 따라 각각의 장착면 중 하나의 장착면이 철판에 장착고정 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두께가 각각 다른 모든 차체 철판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고 각각 구성시킨 안착편의 탄성력에 의해 보다 경고하게 장착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3의 (가)(나)(다)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체결 순서도.
도 4의 (가)(나)(다)는 본 고안이 각각 다른 두께의 철판에 장착된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장착 상태도.
도 5는 존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주요부호의 설명 □
1:클립 2:전선
3:철판 4:케이블타이
10:장착부 11:장착구
12:장공 13:안착편
14:장착돌기 15:장착면
16:삽입부 20:전선고정부
21:고정편 31:체결공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3의 (가)(나)(다)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체결 순서도이고, 도 4의 (가)(나)(다)는 본 고안이 각각 다른 두께의 철판에 장착된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장착 상태도이며, 도 5는 존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로서 이를 통하여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고정편(21)의 일측 상부에, 중앙이 장공(12)으로 형성된 일정두께를 유지하는 장착구(11)의 상부에 경사진 삽입부(16)를 형성하고 하측 외부 둘레에 안착편(13)을 형성하며, 삽입부(16) 측이 장착구(11)에 부착되고 안착편(13) 측에 장착면(15)이 형성된 장착돌기(14)를 중앙부 양측에 돌출시킨 장착부(10)를 일체로 성형시킨 차량 전선고정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의 장착돌기(14) 하부에 다수개의 장착면(15)을 계단형태로 구성하고, 안착편(13)을 모서리 부위가 제거된 상태로 일정 폭과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방으로 각각 형성시킨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장착구(11)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판(3)에 장공으로 형성된 체결공(31)에 장착구(11)의 삽입부(16)를 주입하여 전진시키면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구(11)의 양측에 돌출된 장착돌기(14)의 돌출된 외면이 체결공(31)의 내면에 의해 장착돌기(14)가 장공(12)내로 점점 밀려서 장착돌기(14)의 외면이 장착구(11)의 외면과 동일하게 된 상태에서 장착구(11)가 체결공(31)에 삽입된 상태로 전진하며 도 3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돌기(14)가 체결공(31)에 완전히 삽입되면 안착편(13)의 끝부분이 철판(3)의 전면에 밀착되고 장착돌기(14)가 탄성에 의해 다시 장착구(11) 외부로 돌출되면서 철판(3)에 형성된 체결공(31)의 내면과 철판(3)의 전면에 장착돌기(14) 하단에 형성된 장착면(15)이 각각 접촉되어 차체의 철판(3)에 전선고정용 클립(1)을 장착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안착편(13)의 끝부분이 철판(3)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로 체결됨으로서, 모서리 부위가 제거된 상태로 일정 폭과 일정 각도를 유지하면서 사방으로 형성된 각각의 안착편(13)의 끝부분이 철판(3)의 전면에 각각 밀착됨으로서 각각 따로 형성된 안착편(13)의 지지면이 하나가 되므로 탄성에 의해 이송되는 이송각도가 크질 뿐만 아니라 안착편(13)이 다수 구성됨으로서 탄력성력 보다 강해지게 되어 클립(1)의 장착을 더욱 견고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안착편(13)을 사방으로 각각 형성되도록 성형함으로서 성형용 금형의 제작이 용이하고, 사출시 제품을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두께가 다른 각각의 철판(3)에도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통상적으로 차량의 차체로 사용하는 철판(3)의 두께를 0.8㎜, 1㎜, 1.2㎜, 1.6㎜, 2㎜로 각각 규정하여 표준화함으로서 본 고안이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에 착안한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2)을 전선고정부(20)에 고정시킨 클립(1)을 서로 다른 두께를 유지하는 각각의 철판(3)에 장착시킬 경우 안착편(13)이 의해 철판의 전면에 접촉되어 고정된 상황에서 철판(3)의 두께에 따라 각각의 안착면(15)이 철판(3)의 전면과 장착공(31)의 내경에 접촉된 상태로 장착 고정 된다.
철판(3)에 장착 고정된 클립(1)을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양측에 구성된 장착돌기(14)의 외부에 압력을 가하여 장공(12)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서 체결공(31)의 내경보다 장착돌기(14)의 외부면의 폭이 작아지도록 하면 안착편(13)의 탄성에 의해 일정거리 배출되고 이때 클립(1)을 후진시키면 철판(3)에서 전선고정용 클립(1)이 이탈된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자동차 등에 적용시킬 경우 자동차 한대에 사용되는 양이 약 개임을 감안할 때 자동차 자체의 가격에도 영향이 미치게 되므로 자동차 업계의 생산비용 절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고안인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차량의 전선고정용 다단클립은 통상의차량의 전선고정용 클립의 장착돌기 일측에 다수개의 장착면을 계단형태로 구성되도록 형성시키고, 탄성범위와 탄성력 강한 안착편을 방향에 따라 각각 형성함으로서 한 종의 클립으로 각각 다른 두께의 철판에 장착고정 시킬 수 있도록 하여 클립의 생산비용 및 유지관리비의 절감은 물론 클립 장착을 보다 효율적이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자동차 자체의 가격을 다운시킬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그 기대되는 바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고정편(21)의 일측 상부에, 중앙이 장공(12)으로 형성된 일정두께를 유지하는 장착구(11)의 상부에 경사진 삽입부(16)를 형성하고 하측 외부 둘레에 안착편(13)을 형성하며, 삽입부(16) 측이 장착구(11)에 부착되고 안착편(13) 측에 장착면(15)이 형성된 장착돌기(14)를 중앙부 양측에 돌출시킨 장착부(10)를 일체로 성형시킨 차량 전선고정용 클립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10)의 장착돌기(14) 하부에 다수개의 장착면(15)을 계단형태로 구성하고, 안착편(13)을 모서리 부위가 제거된 상태로 일정 폭과 일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여 사방으로 각각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
KR20-2003-0005220U 2003-02-21 2003-02-21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 KR2003209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220U KR200320912Y1 (ko) 2003-02-21 2003-02-21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5220U KR200320912Y1 (ko) 2003-02-21 2003-02-21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0912Y1 true KR200320912Y1 (ko) 2003-07-22

Family

ID=49411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5220U KR200320912Y1 (ko) 2003-02-21 2003-02-21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09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437B1 (ko) * 2007-02-13 2008-03-13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차량의 브레이크호스용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3437B1 (ko) * 2007-02-13 2008-03-13 주식회사 대흥알앤티 차량의 브레이크호스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1417B1 (en) Guide anchor for seat belt of veh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020037206A1 (en) Fastener
JPWO2007013635A1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4210040A (ja) 衝撃吸収部材の取付構造
US7204396B1 (en) One-piece support with integrated rail attachment mechanism and interchangeable outer cover
US5943823A (en) Lower sash made of synthetic resin for automotive vehicle door
KR102452685B1 (ko) 차량용 휠 공명기 장착 구조체 및 장착 방법
KR200320912Y1 (ko) 차량 전선고정용 다단클립
JP2009120029A (ja) 車両のテールエンドトリム取付構造
CN113002465B (zh) 外装部件的连接构造
JPH08150885A (ja) 車両のバンパフェイシア構造
JPH08175287A (ja) 合成樹脂成形品
JP3235959B2 (ja) 自動車用モール
US6683257B1 (en) Attachment clip
KR970002213Y1 (ko) 자동차의 휠가드 마운팅 클립
CN218352850U (zh) 车辆控制器
CN219838602U (zh) 一种转向盘组件及车辆
CN220662466U (zh) 保险杠安装总成及车辆
JP2019172186A (ja) 車両用スポイラ
CN213862101U (zh) 汽车铝合金门饰条
CN220199420U (zh) 车身组件和车辆
KR20040005803A (ko) 자동차의 리어 셀프트림
CN219428243U (zh) 轮眉总成和车辆
KR100357791B1 (ko) 자동차용 아웃 사이드 미러 프레임
CN110116682B (zh) 汽车门护板与门内板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