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6329Y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6329Y1
KR200316329Y1 KR20-2003-0006319U KR20030006319U KR200316329Y1 KR 200316329 Y1 KR200316329 Y1 KR 200316329Y1 KR 20030006319 U KR20030006319 U KR 20030006319U KR 200316329 Y1 KR200316329 Y1 KR 2003163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se
tank
water leve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3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옥
Original Assignee
김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옥 filed Critical 김태옥
Priority to KR20-2003-00063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63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63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63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2Transportable units, e.g. for cleaning room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공기청정기는 구조가 복잡하며 공기청정기를 이루는 각 방식을 조화시키지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필터식과 전기집진식을 조화시킨 것으로, 공기확산형태의 케이스를 마련하여 강제흡입된 공기의 유속이 케이스내부에서 급감되도록 하고 케이스 하방에 +전극이 인가되는 수조를 형성시키되, 이 수조에 충진된 물표면의 전구역에 걸쳐 전기 집진이 수행되도록 하방에 격자형태의 방전침조립체가 설치된 것이며, 수조는 그 소제가 용이하도록 서랍식으로 케이스에 장착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자연가습에 의한 수위의 저감시 물을 보충하기 위한 수위제어수단이 마련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Treatment Apparatus}
본 고안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를 이루면서도 필터식과 전기집진식이 유기적으로 조합된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근래에 들어 실외보다 실내가 더 오염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거주환경에 따른 것으로, 기밀성 높은 고단열 주택이나 아파트는 냉난방효과를 높이는 장점이 있느나, 반면 실내공기가 오염되었을 경우 그 오염물질이 장시간 실내에 잔존하기 때문이다.
특히, 성인이 하루 평균 20시간을 실내에서 생활함을 감안할때, 이러한 실내오염은 진지하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실내오염 물질은 약 100㎛ 이상의 강하성 먼지부터 부유오염물질인 10~100㎛ 정도의 꽃가루나 25㎛ 정도의 미세먼지, 10㎛ 정도의 곰팡이나 진드기 부산물, 0.001~1㎛ 정도의 담배연기 등을 둘 수 있다.
이러한 실내오염물질이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청정기가 개발되어 있으며, 공기기청정기는 그 방식에 따라 크게 기계집진식과 전기집진식으로 구분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미립자제거방식과 악취제거방식에 의해 세분류되어, 미립자 제거방식에 따라 전기식 여과방식, 전기침전방식, 음이온발생방식, 기계적필터방식으로 구분되며, 악취제거방식에 따라 오존발생방식과 카본흡착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전기집진식은 코로나 방전에 의한 음이온화 영역에서 공기 중 부유물을 대전시켜 집진을 수행토록 한 것이다.
즉, 방전에 의한 이온화 영역을 생성하고 여기에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방전에 의해 세균등을 제거함과 더불어 미세물질의 대전에 의해 +극판이 집진을 수행토록 한 것이다.
한편, 기계식은 각 기능의 필터조합을 응용한 것으로, 예를 들어 카본흡착필터로 악취를 제거하고 미립자제거필터로 균이나 미세분진이 제거되도록 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는 이러한 방식들이 혼용된 것이 안출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본 고안과 대비될 수 있는 종래의 특허출원 제 10-1997-0003694 호는 전기집진식과 기계식이 혼용된 것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예시도면 도 1 과 같이 본체(1)의 저면의 좌우양측에 흡기구(2)를 설치하고 본체(1)내에는 순차로 제1집진부(3)와 팬(4)을 설치하고 이 팬(4)의 회전에 의해 흡기구(2)로부터 외기를 흡인해서 제1집진부(3)에서 먼지를 제거한 후 배기구(5)로부터 기외로 방출하는 팬식공기정화수단과, 본체 전면에 부착되고 방전극(6)과 대향전극간(7)에 고전압이 인가되어서 발생하는 이온풍에의해 투과구멍으로부터 외기를 흡인해서 먼지를 대전시켜 대향전극에 부착된 집진지(8)로서 먼지를 제거한 후 투과구멍(9)으로부터 실내로 방출하는 이온풍식공기정화수단을 선택적으로 혹은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오염이 심한 경우 팬식공기정화수단을 구동시키고, 오염이 심하지 않은 경우 이온풍식공기정화수단을 구동시켜, 오염상황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운전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혼용방식의 공기청정기는 필터식이나 전기집진식에서 선택적으로 공기정화를 수행하도록 한 것이지, 필터식과 전기집진방식이 조합되어 공기정화가 수행되도록 한 것이 아니다.
즉, 전기집진방식은 코로나 방전이 제공하는 이온화영역에 공기를 통과시켜 미세분진이나 세균 등을 흡착 또는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흡입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그 영역(컨트롤볼륨)을 충분히 이온화시키기 위하여는 소정의 공기유입량이 필요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약 0.3m/sec 정도의 유속이 적당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공기청정기에서는 팬(4)에 의해 흡입된 공기의 유속을 급감시키는 내부구조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방식에서는 필터식과 전기집진방식의 조합을 활용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된 종래의 고안으로부터는 오염상태에 따른 필터식과 전기집진방식의 선택적 운영만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과 대비될 수 있는 다른 종래의 것으로 특허출원 제 10-1999-0009480 호(명칭: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는 예시도면 도 2 에서와 같이, 상부커버(10)의 팬(4)에 의해흡입되는 외부공기가 수조(11)의 물과 직접 접촉되어 1차 정화 및 가습되도록 중앙 부분으로 송풍되게 유도하도록 공기안내대(12)를 설치하고, 공기안내대(12)의 외측부로 방전핀을 구비하며 수조내의 물에는 플러스 전하를 인가받는 접지선(13)을 침지시켜 배기구(14)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전기집진에 의해 2차 정화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공기청정기 본연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여 공기 정화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에서 1차정화는 단순한 자연식 가습수단에 불과하며 표면장력에 의한 공기정화효율을 기대하기 어렵다.
여기서, 1차 정화는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공기 중 먼지를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한 것이나, 이는 표면장력이라는 물의 특성을 오인한 것으로, 즉 단순히 세수대야에다가 물을 담고 여기에 선풍기를 강제적으로 쏘이면 공기정화가 일어난다는 말과 다름이 없는 것이다.
이러한 오인과정에서 부터 공기정화기의 구조적 불합리가 발생된 것으로, 외기가 팬(4) 및 공기안내내(12)에 의해 강제적으로 수조 중앙부분으로 집중유도되어 측면의 배기구(14)로 배기되게 하는 공기유도에 있어서 유속의 저하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술된 이유와 마찬가지로 이온화영역에서 충분한 공기정화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며, 더욱이 이온화영역을 충분히 활용치 못하는 것이다.
즉, 상기된 공기정화기는 그 중앙구역이 공기와 강제로 충돌시키기 위한 구역으로 할당되어 이온화영역은 외측부에 산재되어 있다.
따라서, 수조내의 물표면 전체를 이온화영역화 시키지 못하며, 단순히 상부커버 외주부에 형성된 배기구 측의 물표면만을 이온화영역화하여 이온화영역의 활용도가 급감되고 이에 의한 공기정화효율 감소는 필연적인 것이다.
더욱이, 비교적 큰 분진, 예를 들어 100㎛ 를 초과하는 강하성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는 수만볼트에 달하는 이온화영역을 마련하여 했던 것이다.
또한, 자연가습이 발생되면 수위가 저감되고 이에 의해 코로나 방전을 위한 간극조정이 필수적일진데, 간극조절을 위한 수위보충이나 경고수단이 마련되어 있지도 않은 것이다.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집진방식의 문제점으로는 집진부의 청소를 자주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극판에 미세분진이 흡착되어 집진판이 오염되고 이 집진판에 오염층이 두터워질수록 흡착력이 급감된다.
따라서, 집진판의 청소를 자주해주어야 하며, 이에 따른 집진판의 탈부착수단이 필수적이고,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는 집진판에 청소장치, 예를 들어 와셔액을 분사하고 오염액을 수거하여 처리하는 수단을 구비해야 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구조가 간단한 전기집진식 공기청정기에서 구조의 복잡성을 야기시키고 생산성을 하락시키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이루면서도 필터식과 전기집진식이 유기적으로 조합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공기확산형태의 케이스를 마련하여 강제흡입된 공기의 유속이 케이스내부에서 급감되도록 하고 케이스 하방에 +전극이 인가되는 수조를 형성시키되, 이 수조에 충진된 물표면의 전구역에 걸쳐 전기 집진이 수행되도록 하방에 격자형태의 방전침조립체가 설치된 것이며, 수조는 그 소제가 용이하도록 서랍식으로 케이스에 장착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자연가습에 의한 수위의 저감시 물을 보충하기 위한 수위제어수단이 마련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단면설명도,
도 2 는 종래 공기청정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설명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기의 외관설명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개요도로서, 도 3 의 A-A 선 단면설명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방전핀조립체를 나타낸 평면설명도,
도 6a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 수위제어수단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설명도 및 단면설명도,
도 6b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 수위제어수단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개념도,
도 6c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 수위제어수단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개념도,
도 7a 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위제어수단의 제 3 실시예에서 보충탱크와 수위감시수단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설명도,
도 7b 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위제어수단의 제 3 실시예에서 보충탱크와 수위감시수단의 다른 실시예로서 케이스에 어항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외관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PCB기판, 101 - 스위치패널,
102 - 전압부, 20 - 케이스,
22 - 블로어조립체, 24 - 흡구,
26 - 필터조립체, 28 - 방전핀조립체,
30 - 수조, 32 - 수위제어수단,
34 - 정화배출구, 36 - 이격커버,
38,38' - 투시창, 40 - 표시부,
42 - 물주입통로, 44 - 경고수단,
46 - 수위감지센서, 48 - 컨트롤유니트,
50 - 보충탱크, 52 - 물공급라인,
54 - 솔레노이드밸브, 56 - 물주입구
58 - 어항,
이하,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고안의 목적, 작용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뿐, 이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또한, PCB기판(100)이나 스위치패널(101) 또는 전압부(102) 등은 전기집진식 공기청정기의 일반적인 것으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생략된다.
예시도면 도 3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외관설명도이고, 예시도면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단면설명도이며, 예시도면 도 5 은 본 고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방전핀조립체를 나타낸 평면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공기의 유속이 급감되도록 하방확산형태의 케이스(20)가 마련되어, 이 케이스(20)에서 외기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확산이 유도되게 블로어 조립체(22)가 설치되며, 블로어 조립체(22)와 연결되는 케이스(20)의 흡구(24)에는 강하성분진을 포집하는 필터조립체(26)가 설치되는 한편, 케이스(20)의 하방에는그 전역부분에 걸쳐 전기집진을 위한 방전핀조립체(28)가 설치되고 이 방전핀조립체와 대전되는 집진부로서 +극이 인가되는 물이 충진된 수조(30)가 설치됨과 더불어, 이 수조(30) 또는 케이스(20)에는 수위제어수단(32)이 마련되고 수조(30)는 케이스(20)에서 서랍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방전핀조립체(28) 외측인 수조 주위의 케이스(20)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정화배출구(3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에는 그 흡구측(24)에 이를 은폐하기 위한 이격커버(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를 이루면서도 필터식과 전기집진식이 유기적으로 조합된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즉, 필터를 이용하여 강하성 분진을 포집하고 뒤이어 코로나 방전에 의한 이온화에 의하여 미세분진을 포집하고 세균을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필터식과 전기집진식의 조합, 특히 전기집진에 의해 미세분진을 제거하기 위하여 케이스내부에서 공기의 유속이 급감될 것이 요구되며, 공기의 통로 전역에 걸쳐 이온화영역화함으로써, 전기집진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것이 요구된다.
이에 의해 본 고안의 케이스(20)는 외기를 확산시켜 유속을 급감시키기 위하여 입체형상으로 마련되어진 것이며, 도시된 삼각뿔(피라미드)형태나 깔대기 형상 등으로 되어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스(20)의 측부에 외기를 케이스(20) 내로 흡입 방출하기 위한 블로어 조립체(22)가 설치되며, 이 블로어 조립체(22)는 외기를 상방으로 토출시키며, 상방으로 토출된 공기는 케이스(20)에 의해 하방으로 유도된다.
상기 블로어 조립체(22)의 흡구에 필터조립체(26)가 설치되며, 이 필터조립체(26)에서 100㎛ 를 초과하는 강하성 분진을 포집하게 된다.
한편, 흡구(24)측에 설치된 이격커버(36)는 흡구(24)를 시각적으로 은폐하며, 이격커버(36))와 케이스(20)의 이격공간으로부터 외기가 유입된다.
상기 필터조립체(26)에 의해 케이스(10) 내부에는 100㎛ 미만의 미세분진이나 세균 등이 확산되며, 이에 의해 전기집진식의 방전전압에 이익이 있다.
즉, 100㎛를 초과하는 강하성 분진이 그대로 유입될 경우 이를 이온화시켜 포집시키기 위하여 수만볼트의 코로나 방전이 필요하다.
반면,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필터조립체가 강하성 분진을 포집하므로, 약 5000내지 7000V 의 코로나 방전으로 충분한 공기청정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 개발된 필터식 공기청정기와 대비해 보면, 필터식 공기청정기는 강하성 분진을 포집하기위한 1차필터조립체, 미세분진이나 세균을 포집하기 위한 2차필터조립체, 그리고 탈취필터조립체로 이루어지는데, 본 고안은 상기 2차필터와 탈취필터의 역할을 코로나 방전이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조립체의 조합은 고가의 필터와 구조적 복잡성을 야기시키는데, 본 고안은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해 구조적 단순화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코로나 방전은 방전핀조립체(28)와 수조의 물표면에서 일어나게 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핀조립체(28)는 케이스(10) 하방 전구역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이를 위한 방전핀조립체(28)는 격자형으로 마련되어 그 격자 하나 하나 마다이온화영역을 이루게 되며, 이 이온화 영역을 통과하면서 방전에 의해 세균이 제거되고, 미세분진이 음이온으로 대전되어 양극으로 대전된 수조(30)의 물에 포집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피라미드 형태의 케이스 하부인 하방에 가장 넒은 구역에 수조(30)가 설치되어 여기에 충진된 물이 집진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
수조(30)의 물표면은 집진판으로서 역할을 하게 되며, 수심에 따른 체적은 집진판에 집진된 분진을 흡수하는 흡수체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종래의 일반적인 전기집진 공기청정기와 비교하면, 종래의 집진판은 고체(금속판) 형태로서 이 집진판에 미세분진이 집진되어 적층될 경우 집진효율이 급감되지만, 본 고안은 수조의 물표면이 집진판으로 역할을 함과 더불어, 집진된 분진은 물속으로 산재되어 수조(30)에 충진된 물이 집진판과 분진의 포집흡수부가 되어지는 것이다.
이에 의해, 집진판을 자주 탈거하여 소제할 필요가 없으며, 전술된 바와 같이 집진판의 소제를 위해 소제수단을 내설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수조(30)가 서랍식으로 내설되어 케이스(20)에서 탈착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수조(30) 내부가 오염될 경우 그 소제의 용이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또 다른 하나의 구조적 단순화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조(30)를 이용한 집진부는 전술된 종래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의 집진부와 유사하다는 오류가 있을 수 있으나, 본 고안은 특히 수조(30) 표면 전구역에 걸쳐 이온화영역으로 이용하는 점에서 종래와는 엄격한 차이가 있다.
즉, 전술된 개시사항에 수조를 이용한 것은 공기의 유속을 급감시킬 수 없을 뿐더러, 수조에 충진된 물표면 전역을 이온화영역으로 이용치 못하며, 이것은 물표면이 집진판으로 역할을 하고 수위에 따른 물의 체적이 분진 흡수부로서 역할을 한다는 점이 간과된 결과인 것이다.
또한, 가장 큰 이유로서 종래에 개시된 것은 가습기의 역할이 부가되어 그 수위가 저감될 것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수위하락에 의한 방전간극의 이격을 제어할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한편, 본 고안 역시 수조에 의해 자연 가습되는 작용은 피할 수 없는 사항이고, 수위의 감소는 대전판의 방전간극이 멀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방전간극의 이격은 코로나 방전에 영향을 끼치므로, 적절한 간극을 유지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에는 수위제어수단(32)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수위제어수단(32)은 수위감시수단과 수위보충수단으로 구분되며, 이러한 수위제어수단에 의해 본 고안은 다수의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예시도면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수위제어수단을 나타낸 각 실시예로서 도 6a 과 같이 수위제어수단은 수조(30)와 케이스(20)에 수조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38)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투시창(38)에 방전간극에 따른 수위구역을 나타내는 표시부(40)가 형성되고, 케이스(20)의 측부에는 수조(30)에 연결되는 물주입통로(42)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는 케이스(20)에 형성된 투시창(38) 및 표시부(40)를 통해 적절한수위의 확인이 가능하며, 수위가 저감되어 있을 경우 물주입통로를 통해 물을 주입하면 적절한 수위가 유지된다.
여기서, 표시부(40)는 방전간극에 따른 최고수위와 최저수위를 나타내는 구역이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38)을 통해 수조의 오염상태 확인도 가능하게 되며, 본 고안은 서랍식으로 이루어진 수조이므로, 오염될 물의 제거와 소제가 용이해 지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예시도면 도 6b 과 같이 수위제어수단은 케이스(20)에 경고수단(44)이 설치되고, 이 경고수단(44)은 수조(30)의 수위가 설정된 최저수위 미만인 방전간극 초과시 발동되도록 수조에 수위감지센서(46)가 설치되는 한편, 케이스에(20)는 수조에 연결되는 물주입통로(42)가 형성됨과 더불어 수조(30)와 케이스(20)에는 수위의 확인이 가능하게 투시창(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수위를 관찰할 필요없이 수위감지센서(46)가 수조의 수위를 감시하여 수위가 저감으로 간극이 이격될 경우 경고수단(46)인 경고음이나 경고등을 작동시켜 물보충을 요구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적정수위가 세팅될 것이며, 컨트롤유니트(48)는 이 수위구역을 감시하여 그 설정범위를 벗어날 경우 릴레이 스위치 등을 통해 경고수단(46)으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예시도면 도 6c 와 같이 수위제어수단은 케이스(20)에 보충탱크(50)가 설치되고 이 보충탱크(50)와 수조(30)가 물공급라인(52)으로 연결되며, 수조(30)의 수위가 설정된 최저수위 미만인 방전간극의 초과시 적정수위 까지 상기 보충탱크(50)로부터 물이 공급되게 상기 상기 수조(30)에 수위를 감시하는 수위감지센서(46)가 설치되고 물공급라인(52)에는 상기 수위감지센서(46)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54)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보충탱크(50)에는 수위감시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보충탱크(50)로부터 수조(30)의 물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보충탱크(50)와 수조(30)를 연결하는 물공급라인(52)에 출력수단인 솔레노이드밸브(54)가 설치되고, 수조(30)에는 입력수단으로 수위감지센서(46)가 설치되어 컨트롤유니트(48)가 상기된 수위구역을 감시하여 이 수위구역을 유지토록 한 것이다.
이에 의해 보충탱크(50)로의 물충진이 수조(30)로의 물충진 주기보다 더욱 길게되어 수위의 저감시 사용자가 일일이 물을 보충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한편, 보충탱크(50)에는 이것의 수위를 감시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되어 보충탱크로(50)의 수위를 감시함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수위감시수단은 도 7 과 같이 보충탱크(30)에 투시창(38')이 설치되어 이 투시창(38')으로부터 보충탱크(30)의 수위가 감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보충탱크(30)에는 물주입구(56)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이와 더불어 다른 수위감시수단으로 보충탱크가 케이스(20)를 둘러싸는 어항(58)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어항(58)은 관상용으로서 사용자의 시각을 집중시키는 역할을 하며, 어항(58) 자체가 수위감시수단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어항(58)에 수위가 감소될 경우 일반적으로 물을 보충함이 자연스러운 것이기 때문에, 어항자체가 수위감시수단으로서 충분한 역할을 하게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공기청정기는 관상용 어항의 기능도 수행하는 장식물로서의 역할도 담당하게 되며, 공기청정기를 이루는 케이스(20)에 의해 독특한 형상의 어항(58)이 마련되는 것이다.
다만, 수조에 대한 관심이 하락되어 수조의 오염이 방치될 염려가 있으므로, 상기된 바와 같이 수조와 케이스에 투시창을 설치하여 수조의 오염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배려함도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그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집진부가 수조로 되어 집진이 편리하면서도 소제가 용이하고, 수위제어수단이 마련되어 물보충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공기의 유속이 급감되도록 하방확산형태의 케이스(20)가 마련되어, 이 케이스(20)에서 외기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확산이 유도되게 블로어 조립체(22)가 설치되며, 블로어 조립체(22)와 연결되는 케이스(20)의 흡구(24)에는 강하성분진을 포집하는 필터조립체(26)가 설치되는 한편, 케이스(20)의 하방에는 그 전역부분에 걸쳐 전기집진을 위한 방전핀조립체(28)가 설치되고 이 방전핀조립체와 대전되는 집진부로서 +극이 인가되는 물이 충진된 수조(30)가 설치됨과 더불어, 이 수조(30) 또는 케이스(20)에는 수위제어수단(32)이 마련되고 수조(30)는 케이스(20)에서 서랍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방전핀조립체(28) 외측인 수조 주위의 케이스(20)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정화배출구(34)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스(20)에는 그 흡구측(24)에 이를 은폐하기 위한 이격커버(3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위제어수단은 수조(30)와 케이스(20)에 수조내부를 확인하기 위한 투시창(38)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투시창(38)에 방전간극에 따른 수위구역을 나타내는 표시부(40)가 형성되고, 케이스(20)의 측부에는 수조(30)에 연결되는 물주입통로(42)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수위제어수단은 케이스(20)에 경고수단(44)이 설치되고, 이 경고수단(44)은 수조(30)의 수위가 설정된 최저수위 미만인 방전간극 초과시 발동되도록 수조에 수위감지센서(46)가 설치되는 한편, 케이스에(20)는 수조에 연결되는 물주입통로(42)가 형성됨과 더불어 수조(30)와 케이스(20)에는 수위의 확인이 가능하게 투시창(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수위제어수단은 케이스(20)에 보충탱크(50)가 설치되고 이 보충탱크(50)와 수조(30)가 물공급라인(52)으로 연결되며, 수조(30)의 수위가 설정된 최저수위 미만인 방전간극의 초과시 적정수위 까지 상기 보충탱크(50)로부터 물이 공급되게 상기 상기 수조(30)에 수위를 감시하는 수위감지센서(46)가 설치되고 물공급라인(52)에는 상기 수위감지센서(46)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54)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보충탱크(50)에는 수위감시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수위감시수단은 보충탱크(30)에 투시창(38')이 설치되어 이 투시창(38')으로부터 보충탱크(30)의 수위가 감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수위감시수단은 보충탱크가 케이스(20)를 둘러싸는 어항(5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기.
KR20-2003-0006319U 2003-03-04 2003-03-04 공기청정기 KR2003163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319U KR200316329Y1 (ko) 2003-03-04 2003-03-04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319U KR200316329Y1 (ko) 2003-03-04 2003-03-04 공기청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451A Division KR20030024754A (ko) 2003-03-04 2003-03-04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6329Y1 true KR200316329Y1 (ko) 2003-06-18

Family

ID=49334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319U KR200316329Y1 (ko) 2003-03-04 2003-03-04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632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886A (ko) 2019-06-19 2020-12-31 이명준 공기 정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5886A (ko) 2019-06-19 2020-12-31 이명준 공기 정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772B1 (ko) 공기 정화기
KR102198329B1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CN206310698U (zh) 抽屉式新风空气净化***
JP3222973U (ja) 湿式空気清浄器
KR100507996B1 (ko) 분리형 공기정화장치
JP6204493B2 (ja) 水イオンの空気清浄機
KR101839063B1 (ko) 역 설치형 음이온 발생기와 산소 클러스터 발생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장치
JP2016507274A5 (ko)
CA2613444A1 (en) Systems for and methods of providing air purification in combination with odor elimination
US20060278074A1 (en) Electrostatic air purifier with a laterally removable collection grid module
KR102302355B1 (ko) 공기 중 유해 물질 및 바이러스 제거 성능이 개선된 공기 정화기
WO2011062328A1 (ko) 공기청정기
JP2007021411A (ja) 電気集塵機および空気調和機
WO2011035632A1 (zh) 空气清净机
CN107694755A (zh)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KR20080087220A (ko) 공기청정가습기
CN106642396A (zh) 一体化复合空气净化器及空气净化方法
KR19990045575A (ko) 전자식 집진기의 집진전극의 자가청소방법 및 그 기능을 가진전자식집진기 및 전자식집진기가 부착된 공기조화기
JP2016209791A (ja) 空気清浄機
CN202803044U (zh) 空气净化器
KR20180026127A (ko) 창문용 털필터 공기정화기
KR20090035990A (ko) 천장형 공기청정기
KR200316329Y1 (ko) 공기청정기
CN209893559U (zh) 一种光触媒空气处理器
CN206996842U (zh) 静电除尘模块及空气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