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778Y1 -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 Google Patents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778Y1
KR200315778Y1 KR20-2003-0008754U KR20030008754U KR200315778Y1 KR 200315778 Y1 KR200315778 Y1 KR 200315778Y1 KR 20030008754 U KR20030008754 U KR 20030008754U KR 200315778 Y1 KR200315778 Y1 KR 2003157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mboo
board
wooden board
wood
bo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8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규
Original Assignee
일진아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아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아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08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7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7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7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5Layered panels only of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2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1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2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grooves positioned on the rear-side of the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3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and grooves being formed by projecting or recessed parts of the panel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에 관한 것으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대나무를 편으로 가공하여 상기 대나무와 함께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다른 목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표면이 강하면서도 그 표면에 일반 나무에서는 볼 수 없는 대나무 특유의 마디가 표출되면서 기존 제품과의 차별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체가 하나로 된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되어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로 된 중간 나무판(11)과, 상기 중간 나무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상부 대나무판(12)과, 상기 중간 나무판(11)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하부 대나무판(13)과,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12)(13) 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돌기(14) 및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12)(13) 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삽입돌기(14)와 함께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홈(15)으로 구성된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를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floor board using bemboo}
본 고안은 실내의 바닥재로 사용되는 마루판재 분야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상세하게는 일반나무를 사이에 두고 그 상,하부에 각각 대나무를 접착에 의해 구비시켜 재료비는 절감되면서도 높은 강도가 유지되도록 함과 함께 외부로 보여지는 표면에는 대나무 특유의 아름다운 나무결이 나타나도록 한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루판재는 아파트나 단독주택 등의 거실 바닥재는 물론 사무실의 실내 바닥재로 사용되는데, 시공시에는 마닥면 위로 여러개의 마루판재를 길이 및 폭방향으로 조립하여 전체적으로 모자이크식 배열을 갖도록 한다.
근래에 들어서면서는 아파트나 단독주택 등의 고급화에 힘입어 실내 인테리어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거실이나 방바닥을 시공할 때 바닥재로서 자연친화적인 마루판재를 이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기 마루판재의 수요 또한 급속히 증가되는 추세에 있고, 더불어 관련 기술의 개발도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먼저 종래 마루판재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마루판재 중 일 실시예는 전체가 단일화된 하나의 나무로 이루어진 것이고, 다른 실시예는 합판의 상부면에 원목을 얇게 켜서 만든 무늬판을 접착하여 이루어진 것인데, 상기 종래 일 실시예의 마루판재는 기 설명된 바와 같이 전체가 단일화된 하나의 나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마루판재로 사용되는 나무란 강도가 강하면서도 결이 바르며 색깔이 잔잔한 특수 수종(단풍나무, 너도 밤나무 등)으로서 수령이 수십년은 되어야 하고, 수요 및 공급의 불균형시에는 가격이 폭등되는 현상이 일어나며, 전체 원목중에서 옹이부분 처럼 상품성이 없는 부분이 상당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여러가지 이유로인해 원재료비용이 증가되어 제품가격이 올라감에 따라 대중화가 되지 못하고 일부 부유층에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시공업자가 비용절감을 위해 마루판재의 두께를 조금이라도 얇게한 상태라면 시공후 나무가 건조될 때 전체가 동일한 성질로서 동일방향으로의 휨성을 가지므로 어느 순간 부터는 나무판재가 한쪽으로 휘어지게 됨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체 두께를 두껍게 할 수 밖에 없어 이로 인한 다른 문제점(재료비 증가, 무게 증대 등의 가중)을 가지게 된다.
상기한 일 실시예의 여러 문제점을 감안하여 저렴한 가격에 매우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마루판재가 다른 실시예로 제공되고 있는바, 상기 다른 실시예의 마루판재는 저가의 합판에 얇은 두께로 켜진 무늬판을 접착시켜 시공상태에서는 상기 무늬판 만이 외부로 표출되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시각적 느낌이 마치 일 실시예 처럼 고가인 하나의 나무로 제조된 마루판재와 같도록 한 것으로, 이는 원재료비의 절감에 의해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구성요소의 하나인 합판은 얇게 켜진 다수겹의 판재가 여러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접착되어 이루어진 상태임을 감안할 때 전체 두께를 필요이상 두껍게 하지 않더라도 시공후 사용하는 과정에서 건조에 의해 한쪽으로 휨이 일어나지도 않아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면 여기서 종래 다른 실시예의 마루판재를 도 2 내지 도 4에 의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적당한 크기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합판(1)이 있고, 상기 합판(1)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에는 조립을 위해 삽입돌기(2)가 형성됨과 함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에는 조립을 위해 삽입홈(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합판(1)의 상부면에는 얇은 두께로 켜진 박판상의 무늬판(4)이 접착되어 있고, 상기 무늬판의 상부면에는 UV 코팅물질이나 우레탄 코팅물질 등의 도포에 의해 표면보호층(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합판(1)의 하부면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바둑판 모양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요입홈(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마루판재를 바닥면에 시공할 때 이를 고정하는 접착물질이 상기 요입홈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는 것으로, 반드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루판재의 제조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6∼8㎜ 두께에 길이가 약 90㎝ 내외이면서 폭이 약 8㎝ 내외가 되는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된 적정한 크기의 합판(1)을 가공에 의해 얻고, 상기 합판과는 별도로 두께가 1㎜ 내외이면서 길이와 폭은 합판(1)과 같은 크기의 무늬판(4)을 가공에 의해 각각 얻은 다음 상기 합판(1)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으로 삽입돌기(2)를 형성함과 함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으로 삽입홈(3)을 형성한다.
이후 상기 합판(1)의 상부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접착제 위로 무늬판(4)을 가볍게 올려 놓고, 이를 열프레스기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가압, 가열시키면 상기 무늬판(4)이 접착제에 의해 합판(1)에 접착된다.
계속해서 상기 무늬판(4)의 상부면을 센딩기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센딩 처리한 다음 그 센딩된 표면으로 UV 코팅제나 우레탄 코팅제를 롤코팅에 의해 수회 도포한 후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면 도 2 내지 도 3과 같은 구조의 마루판재가 제조 완료 된다.
한편 상기의 과정에 의해 제조된 마루판재에는 합판(1)의 하부면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바둑판 모양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요입홈(6)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는 제조된 마루판재를 바닥면에 시공할 때 상기 마루판재를 고정하는 접착물질(에폭시 등)이 상기 요입홈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상기 합판(1)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요입홈(6)을 형성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고려하여 그 순서가 정해지면 되므로 특별히 어느 한 순서에 고정시킬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한 순서로는 합판(1)을 구비시킨 이후에 곧바로 수행하거나 아니면 무늬판(4)의 상부면으로 표면보호층(5)을 형성한 이후에 곧바로 수행함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마루판재는 합판(1)의 상부면에 얇은 두께로 켜진 무늬판(4)이 접착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가격면에서는 저렴하지만 오랜기간 사용하다 보면 상기 무늬판이 부분적으로 자주 벗겨지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부분적으로 보수를 하였을 경우에는 그 부분의 색상이 다른 부분과 잘 맞지 않는 경우(탈색 또는 색상차이)가 대부분임에 따라 보기에도 흉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 생산되는 대부분의 마루판재는 원목 및 무늬판에 배하여진 무늬에 한정될 수 밖에 없었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볼 때에는 어느 집이나 사무실을 가더라도 거의 동일한 무늬 모양만을 시각적으로 반복해서 보여짐에 따라 금방 실증을 느끼게 되어 사용자의 제품 선호도가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대나무를 편으로 가공하여 상기 대나무와 함께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다른 목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표면이 강하면서도 그 표면에 일반나무에서는 볼 수 없는 대나무 특유의 마디가 표출되면서 기존 제품과의 차별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마루판재의 사용상태를 참고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종래 마루판재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마루판재를 사용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를 사용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의 구성요소인 대나무판의 제조 과정을 참고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중간 나무판 12. 상부 대나무판
13. 하부 대나무판 14. 삽입돌기
15. 삽입홈 16. 표면보호층
17. 요입홈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전체가 하나로 된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되어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로 된 중간 나무판과, 상기 중간 나무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상부 대나무판과, 상기 중간 나무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하부 대나무판과, 상기 중간 나무판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 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중간 나무판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 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삽입돌기와 함께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돼ㅣㄹ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를 사용상태로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는, 전체가 하나로 된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되어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재로 된 중간 나무판(11)과, 상기 중간 나무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11)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도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상부 대나무판(12)과, 상기 중간 나무판(11)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11)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도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하부 대나무판(13)과,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12)(13) 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돌기(14) 및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12)(13) 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삽입돌기(14)와 함께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홈(15)과, 상기 상부 대나무판(12)의 상부면에 UV 코팅물질이나 우레탄 코팅물질 등이 도포됨에 따라 형성되어 표면을 보호하는 표면보호층(1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 대나무판(13)의 하부면에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바둑판 모양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요입홈(17)이 형성되는데, 이는 마루판재를바닥면에 시공할 때 이를 고정하는 접착물질이 상기 요입홈(17)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다.
상기한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의 구성에서 상부 대나무판(12)과 하부 대나무판(13) 사이에 있는 중간 나무판(11)은 그 나무결이 상기 상,하부 대나무판(12)(13)의 나무결과 반대방향을 이루도록 교차되게 하여 이후 사용 과정에서 주변의 여건에 따라 수축 및 팽창이 일어나더라도 한쪽 방향으로도 휨이 일어나거나 하지 않도록 하는데, 상기 중간 나무판(11)과 상,하부 대나무판(12)(13)의 나무결은 반드시 서로 교차되지 않더라도 상기 일반나무와 대나무는 그 성질이 서로 다르므로 사용 과정에서 쉽게 휨이 일어나거나 하지 않음은 이해 가능하다.
한편 상,하부 대나무판(12)(13) 사이에 있는 중간 나무편(11)이 상기 상,하부 대나무판(12)(13)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재질이어야 하는 것은, 상기 상,하부 대나무판(12)(13)은 그 재질의 특성상 세포가 치밀하고 강도가 매우 강해 온,습도에 민감함에 따라 수축 및 팽창 편차가 심하므로 이를 보완하고자 함에 있음은 물론 사용 과정에서 가압력이 제공될 때 이를 충분히 흡수하여 완충력을 확보하기 위함에 있는데, 상기 중간 나무편(11)은 바람직하기로 쿠션력이 다른 나무편에 비해 상당히 우수한 오동나무로 만들어짐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마루판재의 제조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길이가 대략 90㎝ 내외인 2∼3년생 대나무를 길이방향으로 쪼개서 여러개의 대나무 원편을 구비한 다음 상기 구비된 각 대나무 원편의 겉표면 부분과 속표면부분을 수평상태로 절단하여 약 3∼4㎜ 두께를 가지면서 양면이 평편한 여러개의 대나무 가공편을 구비하고, 상기 여러개의 대나무 가공편이 구비되고 나면 상기 구비된 각 대나무 가공편을 약 8㎝ 정도의 높이 만큼 적층시켜 그 마주보는 면을 접착제로서 접착하여 일체화하는데, 상기 각 내나무 가공편을 접착에 의해 일체화하기 위해서는 각 내나무 가공편의 접착될 면(도면상 가장 하부에 위치되는 대나무 가공편은 상부면이고, 도면상 가장 상부에 위치되는 대나무 가공편은 하부면이며, 도면상 나머지 대나무 가공편은 상부면 및 하부면이다)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접착제 도포면이 서로 접촉되도록 각 대나무 가공편을 적층시킨 다음 이를 열프레스기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가압, 가열시켜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한 과정에서 양면이 평편한 여러개의 대나무 가공편을 구비하기 위해 각 대나무 원편의 겉표면 부분과 속표면 부분을 수평상태로 절단하는 것은, 대나무는 마디를 갖는 빈 원통형이므로 상기 마디를 갖는 원통형 대나무를 쪼개서 구비한 직후의 대나무 원편은 약간 휘어진 상태이면서 겉표면 과 속표면은 물론 마디도 그대로 가지고 있어 후가공 없이 바로 사용한다면 마디를 포함한 겉표면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짐은 물론 대나무 원편이 휘어져 있으므로 인해 압력을 받을 경우 쉽게 쪼개어지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일체화된 상태로 적층된 대나무 가공편을 대략 3㎜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절단기에 의해 반복 절단하면 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이 수평상태로 접착된 형태이면서 직사각판상을 이루는 적정한 크기(두께는 대략 3㎜, 길이는 대략 90㎝, 폭은 대략 8㎝)의 대나무판이 복수개 얻어지게 되는데, 상기 대나무판을 얻기 까지의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에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상기 과정에 의해 대나무판을 얻는 것과는 별도로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를 가공하여 대나무판과 동일한 규격을 가지면서 상기 대나무판과 교차되는 폭방향으로 나무결이 배열된 중간 나무판(11)을 얻는다.
이와 같이 하여 대나무판과 중간 나무판(11)이 얻어지면, 상기 구비된 중간 나무판의 상부면 및 하부면으로 접착제를 도포함과 함께 상기 중간 나무판에 접촉될 대나무판의 일면으로도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상기 중간 나무판(11)을 사이에 두고 그 상,하부면에 각각 대나무판을 위치시켜 가접착시키고, 이를 열프레스기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가압, 가열시키면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상부면으로 상부 대나무판(12)이 구비됨과 함께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하부면으로 하부 대나무판(13)이 구비되는데, 상기 상부 대나무판(12)을 구비하기 위해 대나무판을 중간 나무판(11)의 상부면으로 접착시킴과 함께 하부 대나무판(13)을 구비하기 위해 대나무판을 중간 나무판(11)의 하부면으로 접착시킬 때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이 상,하부 대나무판(12)(13) 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중간 나무판(11)에 대해 상,하부 대나무판(12)(13)을 장변측 및 단변측으로 엇갈리게 하면 상기 튀어나온 부분이 삽입돌기(14)를 형성하게 됨은 물론 상기 중간 나무판(11)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이 상,하부 대나무판(12)(13) 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중간 나무판(11)에 대해 상,하부 대나무판(12)(13)을 장변측 및 단변측으로 엇갈리게 하면 상기 들어간 부분이 삽입홈(15)을 형성하게 된다.
이후로 상기 상부 대나무판(12)의 상부면을 센딩기를 이용하여 매끄럽게 센딩 처리한 다음 그 센딩된 표면으로 UV 코팅제나 우레탄 코팅제를 롤코팅에 의해 수회 도포한 후 건조하는 과정을 거치면 도 4 내지 도 5와 같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가 제조 완료된다.
한편 상기의 과정에 의해 제조된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에는 하부 대나무판(13)의 하부면으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바둑판 모양을 이루도록 복수개의 요입홈(17)을 형성하기도 하는데, 이는 제조된 마루판재를 바닥면에 시공할 때 상기 마루판재를 고정하는 접착물질(에폭시 등)이 상기 요입홈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고정력이 향상되도록 하기 위함에 있고, 상기 하부 대나무판(13)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요입홈(17)을 형성하는 작업은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고려하여 그 순서가 정해지면 되므로 특별히 어느 한 순서에 고정시킬 필요는 없지만 바람직한 순서로는 중간 나무판(11)의 하부면에 하부 대나무판(13)을 구비시킨 이후에 곧바로 수행하거나 아니면 상부 대나무판(12)의 상부면으로 표면보호층(16)을 형성한 이후에 곧바로 수행함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에서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로 된 중간 나무판(11)은 오동나무로 함이 바람직 할 것인데, 이는 오동나무가 다른 나무에 비해 쿠션력이 상당히 우수하므로 사용과정에서 가압력이 제공될 경우 이를 충분히 흡수하여 완충력을 확보기 때문임은 물론 상기 쿠션력을 위해 휨력을 탄력적으로 상쇄시켜 휘어짐을 방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의 대나무와 상기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다른 목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상기 대나무가 상부면인 표면으로 표출되도록 함에 따라 표면이 강하면서도 그 무늬가 일반 나무에서는 볼 수 없는 특유의 마디를 가지고 있어 기존의 고정관념이 탈피되면서 차별화가 이루어지고, 이는 곧바로 상품의 고급화로 이어져 부가가치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대나무와 상기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의 조화로 인해 오래도록 사용하여도 어느쪽으로 던지 휨이 일어나지 않음은 물론 표면에 흠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되어 소비자에 의한 제품의 이미지가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전체가 하나로 된 직사각형상의 판상으로 되어 대나무 보다 쿠션력이 더 좋은 나무로 된 중간 나무판과,
    상기 중간 나무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상부 대나무판과,
    상기 중간 나무판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복수개의 대나무 가공편으로 분할 구성되어 중간 나무판의 하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접착됨과 함께 폭방향을 따라서는 서로 수평상태로 접착되어 전체적으로 평판을 이루는 하부 대나무판과,
    상기 중간 나무판의 일측 장변측 및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 보다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돌기 및 상기 중간 나무판의 다른 일측 장변측 및 다른 일측 단변측에 상,하부 대나무판 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삽입돌기와 함께 조립에 이용되는 삽입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 나무판은 오동나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중간 나무판과 상,하부 대나무판은 그 결이 서로 교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KR20-2003-0008754U 2003-03-24 2003-03-24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KR2003157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54U KR200315778Y1 (ko) 2003-03-24 2003-03-24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8754U KR200315778Y1 (ko) 2003-03-24 2003-03-24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8207 Division 2003-03-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778Y1 true KR200315778Y1 (ko) 2003-06-11

Family

ID=4933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8754U KR200315778Y1 (ko) 2003-03-24 2003-03-24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77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078B1 (ko) * 2004-05-06 2006-04-24 주식회사 동문마루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의 제조방법
KR100847004B1 (ko) 2007-12-18 2008-07-21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자연 친화적 대나무 바닥재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한대나무 바닥재
KR101326369B1 (ko) 2008-09-03 2013-11-11 (주)엘지하우시스 폭 방향 변형에 강한 합판마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3078B1 (ko) * 2004-05-06 2006-04-24 주식회사 동문마루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의 제조방법
KR100847004B1 (ko) 2007-12-18 2008-07-21 주식회사 휴다임건축사사무소 자연 친화적 대나무 바닥재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한대나무 바닥재
KR101326369B1 (ko) 2008-09-03 2013-11-11 (주)엘지하우시스 폭 방향 변형에 강한 합판마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3469B2 (en) Textured laminate flooring
US20060024465A1 (en) Laminate flooring members
US20050281986A1 (en) Flooring having surface layer of synthetic resin and wood-based board
CA2435673C (en) Textured laminate flooring
US7597947B2 (en) Veneered panel
KR200315778Y1 (ko)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JP3068380B2 (ja) 化粧床材
CN211994515U (zh) 一种可调整板面凹凸、弯曲的复合板材
ES2874785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material derivado de la madera contrachapado y material derivado de la madera formado por una placa de soporte y al menos dos chapas de madera
JP3101661B2 (ja) 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3078B1 (ko)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의 제조방법
KR20030009923A (ko) 소경재를 이용한 적층 플로링, 적층 집성판재 및 이들의제조방법
KR200358864Y1 (ko) 대나무를 이용한 마루판재
KR100967051B1 (ko) 조립식 마루판
CN211313225U (zh) 实木厚芯基材板
KR20040001390A (ko) 마루용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23043464A (ja) 天然の木目模様の装飾シート
KR101675407B1 (ko) 장식합판 제조방법
KR200293422Y1 (ko) 천연무늬목으로 무늬를 표현한 강화마루판
KR200189929Y1 (ko) 메라민 화장판을 이용한 의자
KR200345408Y1 (ko) 상감 장식편
JP3081829B2 (ja) 床 板
JPH0249300Y2 (ko)
JPH049125Y2 (ko)
JP2024072076A (ja) 木質床材、木質床材の製造方法及び木質板状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