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4781Y1 -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4781Y1
KR200314781Y1 KR20-2003-0000087U KR20030000087U KR200314781Y1 KR 200314781 Y1 KR200314781 Y1 KR 200314781Y1 KR 20030000087 U KR20030000087 U KR 20030000087U KR 200314781 Y1 KR200314781 Y1 KR 200314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display
appearance
photographing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0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직
Original Assignee
이근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직 filed Critical 이근직
Priority to KR20-2003-00000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47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4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4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1)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타인의 도움이 없는 상태에서 스스로 자기외모를 실시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 또는 장치에 관한 분야.
(2) 고안의 목적
신체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다각도에서 용이하게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간 관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스로의 외모관리에 편리성과 효율성이 제공되도록 함.
(3) 고안의 구성
본 고안은, 사람이 활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에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춘 촬영장치와 표시장치 그리고 입력장치와 영상송수신 제어처리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자기외모를 스스로 다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임.
(4) 고안의 효과
자기 이미지(Image) 또는 외모관리에 보다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하며, 의류나 헤어스타일(Hair Style)의 선택 또는 신체의 특정부분에 대한 미용관리에 도움을 주게되고, 기타 다양한 영상 활용기회를 제공하는 효과를 거두게 함.

Description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Self image checking system}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는, 인체의 외모를 다각도에서 관찰하기 위한 도구 또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타인의 도움이 없는 상태에서 스스로 자기외모를 실시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 분야의 종래기술은, 거울을 이용하거나 카메라(Camera)의 촬영 녹화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 사례이며, 거울의 경우 신체의 뒷모습이나 옆모습 등을 관찰하기 곤란한 점과 좌우 측이 바뀌어 보여지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고, 카메라의 경우에는 타인의 촬영행위가 수반되어야 하거나 스스로 자기외모를 촬영할 수 있다고 하여도 실시간으로 다각도에서 관찰하기 곤란한 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 일반적 사례이다.
또한 디지털영상녹화장치(DVR: Digital Video Recorder)나 폐회로텔레비전(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등의 경우에는 주로 보안 감시용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자신의 다각도외모를 자연스럽게 실시간 관찰하는 데에는 많은 미비점과 여러 제약조건에 따른 보완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는 것이 일반적사례이다.
자기신체의 외모를 다각도로 관찰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신체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용이하게 실시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의류나 헤어스타일의 선택 등과 관련하여 다각도 자기외모의 영상을 일시에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비교관찰 할 수 있도록 하거나 특정부분을 자유롭게 확대 관찰 할 수 있게 하며, 촬영된 영상데이터(Data)를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스스로의 외모관리 및 영상 활용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장치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발판형 입력제어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시스템 작동환경설정 및 입력제어기능을 갖춘 리모콘에 대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사례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세로형 단일 표시장치(display unit)의 4분할 영상표시화면 구성도
도 6은 가로형 단일 표시장치의 2분할 영상표시화면 구성도
도 7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두 대의 표시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8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세 대의 표시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9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네 대의 표시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10은 회전식 촬영장치부로 구성되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1은 궤도이동식 촬영장치부로 구성되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2는 거울이 겸비된 각도조절용 표시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 대한 평면도
도 14는 도 12의 좌우 표시장치 각도가 각 30도 정도 조정된 상태에 대한 평면도
도 15는 각도조절용 거울이 겸비된 표시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16은 도 15에 대한 평면도
도 17은 도 15의 좌우 거울 각도가 각 30도 정도 조정된 상태에 대한 평면도
도 18은 거울이 겸비된 각도조절용 표시장치의 적용사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각도조절용 거울이 겸비된 표시장치의 적용사례를 나타낸 평면도
도 20은 본 고안의 기본 구성장치 실시사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회전식 촬영장치부의 실시사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2는 궤도이동식 촬영장치부의 실시사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3은 거울이 겸비된 각도조절용 표시장치 등의 실시사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사례 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세로형 단일 표시장치의 4분할 영상표시 사례도
도 26은 가로형 단일 표시장치의 2분할 영상표시 사례도
도 27은 도25의 단일 표시장치 전체화면 확대표시 사례도(축소도)
도 28은 도26의 단일 표시장치 전체화면 확대표시 사례도
도 29는 두 대의 표시장치로 실시된 전체화면 표시 사례도
도 30은 세 대의 표시장치로 실시된 전체화면 표시 사례도
도 31은 네 대의 표시장치로 실시된 전체화면 표시 사례도
도 32는 거울이 겸비된 각도조절용 표시장치의 2분할 영상표시 사례도
도 33은 거울이 겸비된 각도조절용 표시장치의 전체화면 확대표시 사례도
도 34는 도19에서 이용자가 좌측거울에 비춰진 상태의 4분할 표시 사례도
도 35는 도19에서 이용자가 우측거울에 비춰진 상태의 4분할 표시 사례도
도 36은 도19에서 이용자가 우측거울에 비춰진 상태의 2분할 표시 사례도
도 37은 도19에서 이용자가 좌측거울에 비춰진 상태의 2분할 표시 사례도
도 38은 도19에서 이용자가 우측거울에 비춰진 상태의 전체화면 표시 사례도
도 39는 도19에서 이용자가 좌측거울에 비춰진 상태의 전체화면 표시 사례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람이 활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을 육면체형태와 같은 가상의 입체공간(A)으로 설정하고 그 육면체형태의 내부공간이 자기의 외모를 스스로 다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공간으로 구성됨으로써 완성되는 것인 바, 이러한 자기외모 관찰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요소는 신체를 촬영할 수 있는 촬영장치와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 그리고 촬영방법과 표시방법 및 기타 활용방법 등을 결정하고 실행시키는 입력장치와 입력장치의 명령(신호)을 처리하는 입출력제어처리장치로 이뤄지는 것이며, 아울러 각각의 장치는 기계적 작동을 위한 전원공급장치를 비롯하여 상호 연계기능 유지를 위한 연결수단을 공통적인 필수구비요소로 하는 것이다.
상기된 각 구성요소의 유형과 주요기능 등을 우선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촬영장치의 경우, 줌(Zoom)기능과 조명등(211) 그리고 비접촉식 센서(Sensor)와 묶여진 무선통신부(213)를 갖춘 카메라(212)가 각도회전부(Pan-Tilt, 210)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촬영장치부(200)로 구성되는 것이다.
표시장치의 경우, 컴퓨터모니터(Computer Monitor)나 텔레비전(TV)수상기와 같은 화면 표시장치, 평면 액정디스플레이(TFT-LCD: Thin Film Transistor - 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플라스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등으로 구성되거나, 이러한 표시장치(400)에 거울이 결합된 표시장치(600, 650)로 구성되는 것이다.
입력장치의 경우, 촬영이나 영상수신, 녹화, 다양한 형태의 저장 및 재생과 영상표시,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연결과 같은 외부통신접속 등을 입력(명령)하게 되는 발판형태의 입력제어장치(100) 그리고 이러한 입력제어장치의 기능과 함께 시스템 작동환경설정기능 등을 갖춘 리모콘(150/ remote control:원격제어)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입출력제어처리장치의 경우, 입력장치(100과 150)의 제반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중앙입출력제어처리장치(300) 그리고 이러한 중앙입출력제어처리장치의 영상수신과 영상표시 및 영상데이터 외부기기전송 등의 기능만을 갖춘 영상송수신장치(350)로 구성되는 것이다.
전술된 구성요소들의 기능에 따른 시스템 구축방법과 그 실시사례 등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사람이 활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을 육면체형태와 같은 입체공간(A)으로 설정하고 그 육면체형태의 내부공간을 자기의 외모를 스스로 다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공간으로 구성하고자 하여, 공간 내부의 밑면 중앙부위에 무선통신부(110)와 스피커(Speaker, 114)를 갖춘 발판형태의 입력제어장치(100)를 설치하고, 그 입력제어장치의 무선통신유효지역 내 적정위치에는 외부 접속기기(500)인 프린터(520)나 컴퓨터(510) 등에 연결 가능한 중앙입출력제어처리장치(300)가 구비되며, 입력제어장치가 향하는 벽면 쪽의 적정위치에는 중앙입출력제어처리장치의 접속구(303)와 케이블(Cable, 304)로 연결된 표시장치(400)를 설치하고, 입력제어장치의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서 있게 될 사람을 촬영할 수 있는 적정한 거리의 네 위치(201, 202, 203, 204)에는 벽면부착용 상하이동식 높이조절봉(214)에 결합되는 촬영장치부(200F)가 설치됨으로써, 도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제어장치의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서 있는 사람(900)이 스스로 동시 다각도에서 자기외모를 촬영녹화하고 실시간으로 표시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다각도 자기외모영상이 표출되도록 하며, 중앙입출력제어처리장치를 통하여 영상을 외부기기(500)로 전송하거나 출력할 수 있게 하는 등, 스스로 자기외모를 다각도에서 용이한 방법과 다양한 형태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의 한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와 도 3은, 상기된 도 1의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입력제어장치의 각종 버튼(Button)에 대한 기능을 나타낸 것으로서, 발판형 입력제어장치(100)의 경우, 무선통신부(110) 및 버튼신호음과 함께 시스템 이용안내음성이나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114)를 구비하고 아울러 동영상이나 정지영상을 보기 위한촬영버튼부(111), 촬영된 영상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내기 위한 재생버튼부(112), 녹화하지 않고 거울처럼 비춰보기 위한 비춰보기버튼(115), 화면이동을 위한 버튼부(117), 화면 축소 또는 확대를 위한 버튼(118), 화면분할 및 지정화면 전체표시용 버튼부(120), 하나의 파일(File)형태로 저장된 다른 그룹의 영상을 나타내기 위한 점프(JumP)버튼(121), 선택되는 복수의 영상에 대한 비교하기 버튼부(122) 그리고 영상의 저장이나 출력 또는 외부 전송 등을 처리하기 위한 부속기능버튼부(119) 및 종료버튼(113)이, 관찰위치표시구역(116)의 주변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며, 도 3에 나타낸 리모콘(150)의 경우는, 무선통신부(151) 및 발판형 입력제어장치의 기능과 함께 카메라, 스피커, 표시장치, 조명, 녹화기능, 센서, 네트워크 접속 등, 작동모드(Mode) 선택버튼(152)과 관찰용 모드설정부(153) 또는 감시용 모드설정부(154)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음으로써, 시스템 전체의 기본적인 작동환경 설정은 물론 이러한 시스템이 자기외모 관찰용과 외부 침입자 감시용에 겸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사례를 나타내기 위한 사시도로서, 좌우측면에 경첩기능의 조인트(640)로 연결된 각도조절용 거울이 구비되는 표시장치(650)를 입체공간(A) 내부의 한 쪽 벽면 적정위치에 설치하고, 그 표시장치 전면방향의 입체공간(A) 밑면 적정위치에는 관찰위치표시구역(116)이 표시되며, 그 관찰위치표시구역 안에 서 있게 될 사람을 촬영할 수 있는 적정위치에는 공간환경에 적합한 구조의 촬영장치부(200)를 설치하고, 촬영장치부의 무선통신유효지역 내 표시장치와 케이블(304)로 연결될 수 있는 적정위치에는 리모콘(150)의 무선송신에 따라서 영상수신, 하나의 표시장치에 분할화면(4001, 4011) 또는 전체화면(4021, 410W) 표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표시장치에 다중영상분배표시(4031, 4041, 4051) 및 영상데이터 외부기기전송 등의 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영상송수신장치(350)가 구비됨으로써, 도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서 있는 사람(900)이 정면의 표시장치(610) 또는 좌측(621)이나 우측(622)의 거울을 향하여 신체각도를 변경하게 됨에 따라 도34 내지 도39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다각도 자기외모영상이 표출됨과 함께 거울에 신체의 좌우가 바뀌어 반사되는 영상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영상송수신장치의 접속구(303)를 통하여 영상을 외부기기(500)로 전송하거나 저장, 출력할 수 있게 하는 등, 스스로 자기외모를 다각도에서 용이한 방법과 다양한 형태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의 또 다른 한 유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된 공간환경에 적합한 구조의 촬영장치부(200)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장부착용(215) 신축형 높이조절봉(216)에 결합되는 촬영장치부(200T), 천장과 바닥을 이용한 고정장치로서 양 끝에 밀착면(221, 222)이 부착되고 높이고정용 볼트(Bolt, 219와 220)가 구비된 신축형 높이조절봉(216)에 결합되는 촬영장치부(200P) 및 높이조절버튼(217)을 구비하고 스탠드(Stand)와 같이 바닥에 세워놓을 수 있는 신축형 높이조절봉(216)에 결합되는 촬영장치부(200S)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5는 하나의 세로형 표시장치(410)가 가로분리선(411)과 세로분리선(412)에 의해 4분할됨으로써 네 개의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되는 영상표시화면(401,402, 403, 404)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하나의 가로형 표시장치(410W)가 세로분리선(413)에 의해 2분할됨으로써 두 개의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되는 영상표시화면(405, 406)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두 대의 표시장치(421, 422)에 의해 두 개의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되는 영상표시화면(451, 452)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세 대의 표시장치(431, 432, 433)에 의해 세 개의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되는 영상표시화면(461, 462, 463)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네 대의 표시장치(441, 442, 443, 444)에 의해 네 개의 프레임(Frame)으로 구성되는 영상표시화면(471, 472, 473, 474)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회전식 촬영장치부(200G)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21은 이에 대한 실시사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촬영장치부가, 관찰위치표시구역(116)의 중앙과 수직선상인 천장위치에 고정되는 천장고정판(232)에는 센서 및 무선통신기(233) 그리고 신축형 높이조절봉(216)과 거리조절봉(234)이 장착되는 전동식 회전장치(230)를 고정 설치하고, 신축형 높이조절봉(216)에 촬영장치부(200)를 결합시킨 회전식 촬영장치부(200G)를 나타낸 것이며,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고정자세로 서 있는 사람(900)이 원(240)을 따라 회전하는 촬영장치부로 하여금 360도에서 자기외모를 촬영 녹화하여 실시간 또는 재생작동으로 표시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영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회전식촬영장치부의 거리조절봉 장착구(231)는 네 개로 구성되어 촬영장치부를 총 4개까지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거리조절봉에는 거리조절버튼(235)을, 높이조절봉에는 높이조절버튼(217)을 각각 구비함으로써 전자동 또는 수동으로 겸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1은 궤도이동식 촬영장치부(200R)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22는 이에 대한 실시사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촬영장치부가, 자동충전장치(260)와 좌표지정포인트(P1∼P8)를 구비한 천장고정식 원형의 궤도(250) 그리고 충전식 전지(battery)와 좌표지정포인트인식용 센서가 내장되고 신축형 높이조절봉(216)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궤도이동장치(251)를 갖춘 궤도이동식 촬영장치부(200R)로 구성됨으로써, 궤도이동장치가 정지위치(P1)에 멈춰있는 동안에는 전지가 자동 충전되도록 하고 궤도를 따라 이동 중에는 좌표지정포인트별 설정기능이 작동되도록 하여,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고정자세로 서 있는 사람(900)이 원형의 궤도를 따라 360도 회전하는 촬영장치부로 하여금 다각도에서 자기외모를 촬영 녹화하여 실시간 또는 재생작동으로 표시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영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2는 거울(620)이 겸비된 각도조절용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13은 이에 대한 평면도 그리고 도 14는 좌측표시장치(611)와 우측표시장치(612)가 각각 안쪽방향으로 각 30도정도 조정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3은 이에 대한 실시사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표시장치가, 고정장치(630)로 벽면 등에 고정 설치된 거울(620)의 좌우측면에 경첩기능을 갖춘 조인트(640)로 표시장치를 결합시킨 거울이 겸비된 각도조절용 표시장치(600)로 구성됨으로써,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서 있는 사람(900)이 정면의 거울 또는 좌측이나 우측의 표시장치를 향하여 신체각도를 변경하게 됨에 따라 일정위치에 설치된 촬영장치부로 하여금 다각도에서 자기외모를 촬영 녹화하여 실시간 또는 재생작동으로 표시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영상이 표출되도록 하고, 아울러 거울에 신체의 좌우가 바뀌어 반사되는 영상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5는 각도조절용 거울(621, 622)이 겸비된 표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16은 이에 대한 평면도 그리고 도 17은 좌측거울(621)과 우측거울(622)이 각각 안쪽방향으로 각 30도정도 조정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24는 이에 대한 실시사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고정장치(630)로 벽면 등에 고정 설치된 표시장치(610)가 그 좌우측면에 경첩기능을 갖춘 조인트(640)로 거울을 결합시킨 각도조절용 거울이 겸비된 표시장치(650)로 구성됨으로써,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서 있는 사람(900)이 정면의 표시장치 또는 좌측이나 우측의 거울을 향하여 신체각도를 변경하게 됨에 따라 일정위치에 설치된 촬영장치부로 하여금 도 32와 도 3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다각도에서 자기외모를 촬영 녹화하여 실시간 또는 재생작동으로 표시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영상이 표출되도록 하고, 아울러 거울에 신체의 좌우가 바뀌어 반사되는 영상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8과 도 19는 각각 거울이 겸비된 각도조절용 표시장치(600)와 각도조절용 거울이 겸비된 표시장치(650)의 적용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서, 촬영장치부(200)의 설치위치(S1∼S12)와 신체(900)의 방향각도에 따라 신체의전후좌우면(901, 902, 903, 904)이 도 32 내지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표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25는 세로형 단일 표시장치(410)의 4분할 영상표시 사례도로서, 도 10과 도 2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장치부(200)가 네 위치(201, 202, 203, 204)에 설치된 경우, 신체가 표시장치를 향하였을 때의 표시화면(4001)은 신체의 45도 각도부분(즉, 401a, 402a, 403a, 404a)이 나타나게 되고, 신체가 표시장치 좌측의 촬영장치부(201)를 향하였을 때의 표시화면(4002)은 신체의 90도 각도부분(즉, 401b, 402b, 403b, 404b)이 나타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27은 분할 표시된 네 영상 중에서 하나(401a)를 선택하여 전체화면에 단계적으로(즉, 4021, 4022, 4023) 확대 표시(즉, 401a1, 401a2, 401a3)되도록 하는 과정은 나타낸 것이다.
도 26은 가로형 단일 표시장치(410W)의 2분할 영상표시 사례도로서, 촬영장치부(200)가 도 18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전면(S2)과 후면(S8)에 각 1대씩 설치된 경우, 신체가 표시장치를 향하였을 때의 표시화면(4011)은 신체의 전면(405a)과 배면(406a)이 나타나게 되고, 신체가 좌측 45도 각(즉, 201의 위치)을 향하였을 때의 표시화면(4012)은 신체의 우측 전면부(405b)와 좌측 배면부(406b)가 나타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28은 분할 표시된 두 영상 중에서 하나(406b)를 선택하여 도 27과 같이 전체화면에 확대 표시(406b1)되도록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9는 두 대의 표시장치(즉, 421과 422)로 실시된 전체화면 표시 사례도로서, 도 26에 대하여 설명된 상황과 같이, 신체가 표시장치를 향하였을 때의 표시화면(4031)은 신체의 전면(451a)과 배면(452a)이 나타나게 되고, 신체가 좌측 45도 (즉, 201의 위치)을 향하였을 때의 표시화면(4032)은 신체의 우측 전면부(451b)와 좌측 배면부(452b)가 표시되도록 한 것이며, 이 가운데 하나의 화면(451b)만 확대시킨 경우의 표시화면(4033)은 확대된 우측 전면부(451b1)와 변동 없는 좌측 배면부(452b)가 표시되도록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0은 세 대의 표시장치(즉, 431, 432, 433)로 실시된 전체화면 표시 사례도로서, 촬영장치부(200)가 도 18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전면위치(S2)와 도 10에 표시된 바와 같은 우측 배면위치(203) 및 좌측 배면위치(204)에 각 1대씩 설치된 경우, 신체가 표시장치를 향하였을 때의 표시화면(4041)은 신체의 좌측 배면부(461a)와 전면(462a) 및 우측 배면부(463a)가 나타나게 되고, 신체가 표시장치를 등지고 서 있을 때의 표시화면(4042)은 신체의 좌측 전면부(461b)와 배면(462b) 및 우측 전면부(463b)가 표시되도록 한 것이며, 이 가운데 두 개의 화면(461b와 463b)만 확대시킨 경우의 표시화면(4043)은 확대된 좌측 전면부(461b1)와 변동 없는 배면(462b) 및 확대된 우측 전면부(463b1)가 표시되도록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1은 네 대의 표시장치(즉, 441, 442, 443, 444)로 실시된 전체화면 표시 사례도로서, 도 25에 대하여 설명된 상황과 같이, 신체가 표시장치 좌측의 촬영장치부(201)를 향하였을 때의 표시화면(4051)은 신체의 90도 각도부분(즉, 471a, 472a, 473a, 474a)이 나타나도록 한 것이며, 모든 촬영장치부의 줌 기능을 확대 설정하고 신체가 표시장치를 향하였을 때의 표시화면(4052)은 신체의 45도 각도부분(즉, 471b, 472b, 473b, 474b)이 확대된 상태로 표시되도록 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2는 거울(620)이 겸비된 각도조절용 표시장치(611과 612)의 2분할 영상표시 사례도로서, 촬영장치부(200)가 도 23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전면위치(200T)와 우측 배면위치(200S)에 각 1대씩 설치되고 좌측 표시장치(611)와 우측 표시장치(612)가 안쪽방향으로 각 30도정도 조정된 상태인 경우, 신체가 거울을 향하고(즉, 620a) 녹화한 화면(즉, 61a와 62a) 그리고 신체가 우측 표시장치(612)를 향하고 녹화한 화면(즉, 63a와 64a)을 각각 펼쳐놓은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3은 거울(620)이 겸비된 각도조절용 표시장치(611과 612)의 전체화면 확대표시 사례도로서, 도 32에 대하여 설명된 상황에서 촬영장치부의 줌 기능을 확대설정하고 신체가 표시장치를 향하였을 때의 전면(61b)과 우측 배면부(62b)가 확대표시된 화면을 각각 펼쳐놓은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4는 도19에서 이용자가 좌측거울(621)에 비춰진 상태의 4분할 표시 사례도로서, 촬영장치부(200)가 전면(S2)과 우측(S5), 배면(S8), 좌측(S11)위치에 각 1대씩 설치되고 좌측 거울(621)과 우측 거울(622)이 안쪽방향으로 각 30도정도 조정된 상태인 경우, 신체가 좌측거울을 향하고(즉, 621a) 촬영함으로써 중앙의 4분할 표시화면(610)은 우측 전면부(65a)와 우측 배면부(66a), 좌측 배면부(67a)와 좌측 전면부(68a)로 각각 표시되도록 한 것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5는 도19에서 이용자가 우측거울(622)에 비춰진 상태의 4분할 표시 사례도로서, 촬영장치부(200)가 전면(S2)과 후면(S8)에 각 1대씩 설치된 경우, 신체가 표시장치를 향하고 녹화한 화면(즉, 65b와 66b) 그리고 신체가 우측 거울를 향하고(즉, 622b) 녹화한 화면(즉, 67b와 68b)을 각각 펼쳐놓은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6은 도19에서 이용자가 우측거울(622)에 비춰진 상태의 2분할 표시 사례도로서, 촬영장치부(200)가 도 23에 표시된 바와 같은 전면위치(200T)와 우측 배면위치(200S)에 각 1대씩 설치된 경우, 신체가 우측거울을 향하고(즉, 622c) 촬영함으로써 중앙의 2분할 표시화면(610)은 좌측 전면부(65c)와 우측면(66c)으로 각각 표시되도록 한 것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7은 도19에서 이용자가 좌측거울(621)에 비춰진 상태의 2분할 표시 사례도로서, 촬영장치부(200)가 전면(S2)과 후면(S8)에 각 1대씩 설치된 경우, 신체가 좌측거울을 향하고(즉, 621d) 촬영함으로써 중앙의 2분할 표시화면(610)은 우측 전면부(65d)와 좌측 배면부(66d)로 각각 표시되도록 한 것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8은 도19에서 이용자가 우측거울(622)에 비춰진 상태의 전체화면 표시 사례도로서, 촬영장치부(200)가 도 23에 표시된 바와 같은 우측 배면위치(200S)에 1대만 설치된 경우, 신체가 우측거울을 향하고(즉, 622e) 촬영함으로써 중앙의 표시화면(610)에 우측면(66c)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한 것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39는 도19에서 이용자가 좌측거울(621)에 비춰진 상태의 전체화면 표시 사례도로서, 도 38에 대하여 설명된 상황에서 신체가 좌측거울을 향하고(즉, 621f) 촬영함으로써 중앙의 표시화면(610)에 배면(65f)이 전체화면으로 표시되도록 한 것을 펼쳐놓은 상태에서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춘 촬영장치와 표시장치 그리고 입력장치와 영상송수신 제어처리장치를 구비함으로서,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위치한 사람이 스스로 자기외모를 다각도에서 용이한 방법과 다양한 형태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고안의 목적이 달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신체의 전부 또는 일부분을 타인의 도움 없이 스스로 용이하게 다각도에서 실시간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자기 자신의 이미지 또는 외모관리에 보다 직접적인 도움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서, 자기외모의 영상을 일시에 다양한 방법으로 서로 비교관찰 할 수 있는 기능은 의류나 헤어스타일 등을 보다 확실한 감각으로 선택 또는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며, 신체의 특정부분을 자유롭게 확대 관찰할 수 있는 기능은 신체의 특정부분에 대한 미용관리 또는 표현방법에 도움을 주게되고,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외부로 전송 또는 출력할 수 있는 기능은 기타 다양한 영상 활용기회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9)

  1. 사람이 활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을 육면체형태와 같은 입체공간(A)으로 설정하고 그 육면체형태의 내부공간을 자기의 외모를 스스로 다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공간으로 구성하고자 하는 데에 있어서, 공간 내부의 밑면 중앙부위에는 무선통신기능을 갖춘 발판형태의 입력제어장치(100)를 설치하고, 그 입력제어장치의 무선통신유효지역 내 적정위치에는, 시스템 작동환경설정 및 입력제어기능을 함께 갖춘 리모콘(150)과 입력제어장치의 무선송신에 따라서 촬영, 영상수신, 디지털영상녹화, 하나의 표시장치(400)에 분할화면(4001, 4011) 또는 전체화면(4021, 410W) 표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표시장치에 다중영상분배표시(4031, 4041, 4051), 인터넷 또는 네트워크연결과 같은 외부통신접속 등의 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중앙입출력제어처리장치(300)가 구비되며, 입력제어장치가 향하는 벽면쪽의 적정위치에는 촬영 또는 저장된 영상이 다양한 화면형태로 실시간 표출 또는 재생 표출될 수 있는 표시장치(400)를 설치하고, 입력제어장치의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서 있게 될 사람을 촬영할 수 있는 적정위치에는 각도회전과 줌 기능을 갖춘 카메라가 조명등, 센서, 무선통신부와 함께 높이조절봉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촬영장치부(200)를 설치함으로써, 입력제어장치의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서 있는 사람이 스스로 동시 다각도에서 자기외모를 촬영녹화하고 실시간으로 표시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다각도 자기외모영상이 표출되도록 하며 중앙입출력제어처리장치를 통하여 영상을 외부기기(500)로 전송하거나 출력할수 있게 하는 등, 스스로 자기외모를 다각도에서 용이한 방법과 다양한 형태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2. 사람이 활동할 수 있는 일정 공간을 육면체형태와 같은 입체공간(A)으로 설정하고 그 육면체형태의 내부공간을 자기의 외모를 스스로 다각도에서 살펴볼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공간으로 구성하고자 하는 데에 있어서, 좌우측면에 경첩기능의 조인트(640)로 연결된 각도조절용 거울이 구비되는 표시장치(650)를 입체공간(A) 내부의 한 쪽 벽면 적정위치에 설치하고, 그 표시장치 전면방향의 입체공간(A) 밑면 적정위치에는 관찰위치표시구역(116)이 표시되며, 그 관찰위치표시구역 안에 위치하게 될 사람을 촬영할 수 있는 적정위치에는 각도회전과 줌 기능을 갖춘 카메라가 조명등, 센서, 무선통신부와 함께 높이조절봉에 일체형으로 결합된 촬영장치부(200)를 설치하고, 촬영장치부의 무선통신유효지역 내 표시장치와 케이블(304)로 연결될 수 있는 적정위치에는 시스템 작동환경설정 및 입력제어기능을 갖춘 리모콘(150)의 무선송신에 따라서 영상수신, 하나의 표시장치에 분할화면(4001, 4011) 또는 전체화면(4021, 410W) 표시,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표시장치에 다중영상분배표시(4031, 4041, 4051) 및 영상데이터 외부기기전송 등의 명령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영상송수신장치(350)가 구비됨으로써, 관찰위치표시구역 안에 위치한 사람이 정면의 표시장치 또는 좌측이나 우측의 거울을 향하여 신체각도를 변경하게 됨에 따라 다각도에서 자기외모를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표시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다각도 자기외모영상이 표출됨과 함께 거울에 신체의좌우가 바뀌어 반사되는 영상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며, 영상송수신장치의 접속구(303)를 통하여 영상을 외부기기(500)로 전송하거나 저장, 출력할 수 있게 하는 등, 스스로 자기외모를 다각도에서 용이한 방법과 다양한 형태로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외모관찰 시스템.
  3. 청구항1에 있어서, 중앙입출력제어처리장치와 촬영장치부, 표시장치 및 리모콘과 함께 설치되는 입력제어장치를 스피커(114)가 내장된 발판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입력제어장치의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서 있는 사람이 촬영(111), 재생(112) 등에 필요한 입력기능의 버튼을 발끝으로 눌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버튼신호음과 함께 시스템 이용안내음성이나 음악이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4.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촬영장치부를 리모콘(150)의 시스템 작동모드(152, 153, 154) 설정결과에 따라 관찰용 또는 감시용으로 작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정된 시간과 공간 내에서 감시기능으로도 겸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5.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촬영장치부가, 관찰위치표시구역(116)의 중앙과 수직선상인 천장위치에 고정되는 천장고정판(232)에 센서 및 무선통신기와 신축형 높이조절 및 거리조절봉이 장착되는 전동식 회전장치(230)를 고정 설치하고 신축형 높이조절봉(216)에 촬영장치부(200)를 결합시키는 회전식 촬영장치부(200G)로 구성됨으로써,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고정자세로 서 있는 사람이 입력제어신호에 따라 360도 회전하는 촬영장치부로 하여금 다각도에서 자기외모를 촬영 녹화하여 실시간 또는 재생작동으로 표시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영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6.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촬영장치부가, 자동충전장치(260)와 좌표지정포인트(P1∼P8)를 구비한 천장고정식 원형의 궤도(250) 그리고 충전식 전지(battery)와 좌표지정포인트인식용 센서가 내장되고 신축형 높이조절봉(216)에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궤도이동장치(251)를 갖춘 궤도이동식 촬영장치부(200R)로 구성됨으로써, 궤도이동장치가 정지위치(P1)에 멈춰있는 동안에는 전지가 자동 충전되도록 하고 궤도를 따라 이동 중에는 좌표지정포인트별 설정기능이 작동되도록 하여,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고정자세로 서 있는 사람이 원형의 궤도를 따라 360도 회전하는 촬영장치부로 하여금 다각도에서 자기외모를 촬영 녹화하여 실시간 또는 재생작동으로 표시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영상이 표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7. 청구항1 내지 청구항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표시장치가, 거울의 좌우측면에 경첩기능을 갖춘 조인트(640)로 표시장치를 결합시킨 거울이 겸비된 각도조절용 표시장치(600)로 구성됨으로써,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서 있는 사람이 정면의 거울 또는 좌측이나 우측의 표시장치를 향하여 신체각도를 변경하게 됨에 따라 촬영장치부로 하여금 다각도에서 자기외모를 촬영 녹화하여 실시간 또는 재생작동으로 표시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영상이 표출되도록 하고, 아울러 거울에 신체의 좌우가 바뀌어 반사되는 영상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8. 청구항1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표시장치가 그 좌우측면에 경첩기능을 갖춘 조인트(640)로 거울을 결합시킨 각도조절용 거울이 겸비된 표시장치(650)로 구성됨으로써, 관찰위치표시구역(116) 안에 서 있는 사람이 정면의 표시장치 또는 좌측이나 우측의 거울을 향하여 신체각도를 변경하게 됨에 따라 촬영장치부로 하여금 다각도에서 자기외모를 촬영 녹화하여 실시간 또는 재생작동으로 표시장치에 다양한 형태의 영상이 표출되도록 하고, 아울러 거울에 신체의 좌우가 바뀌어 반사되는 영상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9.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있어서, 촬영장치부가, 벽면부착용 상하이동식 높이조절봉(214)에 결합되는 촬영장치부(200F)와 천장부착용 신축형 높이조절봉(216)에 결합되는 촬영장치부(200T), 천장과 바닥을 이용한 고정장치로서 양 끝에 밀착면(221, 222)이 부착된 신축형 높이조절봉(216)에 결합되는 촬영장치부(200P) 및 스탠드와 같이 바닥에 세워놓을 수 있는 신축형 높이조절봉(216)에 결합되는 촬영장치부(200S)로 구성됨으로써, 이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효율적인 장소에 촬영장치부를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KR20-2003-0000087U 2003-01-02 2003-01-02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KR2003147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087U KR200314781Y1 (ko) 2003-01-02 2003-01-02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087U KR200314781Y1 (ko) 2003-01-02 2003-01-02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4781Y1 true KR200314781Y1 (ko) 2003-05-27

Family

ID=49334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087U KR200314781Y1 (ko) 2003-01-02 2003-01-02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47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464A (ko) * 2014-07-16 2016-01-26 유용호 전신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464A (ko) * 2014-07-16 2016-01-26 유용호 전신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94605B1 (ko) * 2014-07-16 2016-02-16 유용호 전신 디스플레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45773A1 (en) Panoramic adapter system and method with spherical field-of-view coverage
US7079173B2 (en) Displaying a wide field of view video image
JP3290993B2 (ja) 球形画像を作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60024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 capture of a spherical image
US20110254914A1 (en) Immersive viewer, a method of providing scenes on a display and an immersive viewing system
KR100960781B1 (ko) 전방향성 카메라 및 마이크로폰 어레이에 관한 집적 설계
KR100355216B1 (ko) 방향에 의존하여 회전가능한 이미지를 갖는 디스플레이/모니터
AU708728B1 (en) Video camera system
US20010048464A1 (en) Portable videoconferencing system
US20040027451A1 (en) Immersive imaging system
US20090040291A1 (en) Omniview motionless camera orientation system
US20020075295A1 (en) Telepresence using panoramic imaging and directional sound
WO2014162324A1 (en) Spherical omnidirectional video-shooting system
EP1654878A1 (en) Portable surveillance camera and personal surveillance system using the same
US20090237509A1 (en) Motion activated camera system
KR20100121086A (ko) 음원인식을 이용한 촬영영상 추적 ptz 카메라 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JP4583717B2 (ja) 撮像装置及び方法、画像情報提供システム、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装置
US7140789B1 (en) Remote controlled pan head system for video cameras and its method of operation
KR200314781Y1 (ko) 자기외모 관찰 시스템
JP2004266511A (ja) 撮像装置
US20080055452A1 (en) Remote cinematography viewing device
JP2001204015A (ja) 周囲カメラ・システム、周囲カメラの撮像画像に基づいて周囲画像を生成する方法、隣接カメラによる撮像画像の接続処理装置及び方法、並びに、隣接カメラを用いた距離測定装置及び方法
US20030071896A1 (en) Multiple camera arrangement
US20020118284A1 (en) Video camera system
JP2004264492A (ja) 撮影方法及び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