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592Y1 -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592Y1
KR200303592Y1 KR20-2002-0031980U KR20020031980U KR200303592Y1 KR 200303592 Y1 KR200303592 Y1 KR 200303592Y1 KR 20020031980 U KR20020031980 U KR 20020031980U KR 200303592 Y1 KR200303592 Y1 KR 2003035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key
input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운용
장경근
Original Assignee
이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운용 filed Critical 이운용
Priority to KR20-2002-0031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5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5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5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9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synthe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이얼링을 위한 키 입력에 상응하는 음성을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다이얼링을 위한 전화번호 또는 단축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번호에 관련된 번호 데이터 및 단축키에 관련된 문자열 데이터, 상기 번호 데이터 및 음소에 관련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음성 추출 모듈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처리부, 상기 음성 처리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및 상기 키 입력부, 음성 처리부, 스피커 및 저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Function For Generating Voice Signal Of Input-Key}
본 고안은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 입력의 종류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음성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전화 번호 입력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용 단말기의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여 소형화되어 가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번호 입력을 위한 키패드도 그 크기가 작아지고 있다. 그에 따라서, 잘못 키 입력을 하여 원하는 번호가 아닌 다른 번호와 통화가 연결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한다. 특히, 운전중인 경우에는 운전자의 주의력이 분산되어 틀린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반적으로 키 입력부에는 특정 키의 위치를 인지할 수 있도록 특정 표시가 되어 있도록 하여 시각 장애자들을 배려하고 있으나, 여전히 시각 장애자들에게 있어서, 전화번호 입력의 오류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키를 누를 때 누른 키에 해당하는 음성이 발생되도록 하는 음성 발성 전화기의 버튼 장치가 개발된 적이 있으나, 하드웨어적으로 구성되어 비용이 고가인 문제점 등으로 인해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저가로서 전화번호 입력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소프트웨어적으로 키 입력에 대한 음성 신호의 송출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보다 저가의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전화번호의 입력 뿐만 아니라 단축키의 입력시에도 입력된 단축키에 상응하는 문자열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3 목적은 제어부에서 음소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는 음성 합성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단축키의 변경에 관계없이 단축키에 상응하는 음성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열 데이터의 저장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에 따른 음성 송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도 3에서 입력된 다이얼 키가 단축 키인 경우, 음성 데이터 신호 처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세부흐름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를 입력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관한 간단한 설명>
10 : 키 입력부, 30 : 마이크,
50 : 제어부, 60 : 저장부,
70 : 음성 처리부, 80 : 음성 출력부.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다이얼링을 위한 키 입력에 상응하는 음성을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다이얼링을 위한 전화번호 또는 단축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번호에 관련된 번호 데이터 및 단축키에 관련된 문자열 데이터, 상기 번호 데이터 및 음소에 관련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음성 추출 모듈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처리부, 상기 음성 처리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및 상기 키 입력부, 음성 처리부, 스피커 및 저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키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통화 키가 입력되면 상기 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저장된 일련의 키 데이터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단축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단축기에 상응하는 문자열 데이터를 추출한 후, 상기 문자열 데이터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각 음성 데이터를 합성 처리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키 입력부(10), 표시부(20), 마이크(30), 전원부(40), 제어부(50), 저장부(60), 음성 처리부(70), 음성 출력부(80) 및 무선 송수신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부(20), 무선 송수신부(90) 및 전원부(40)의 구성은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과 동일하고, 본 발명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키 입력부(10)는 입력부(7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작동하기 위한 각종 작동 명령 신호를 입력하는 부분으로서, 키패드가 많이 사용되나 터치 스크린, 트랙 패드, 트랙 포인트, 스타일러스 등의 입력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마이크(30)는 소리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전자 기기로서,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기 위한 통상의 기능 외에 단축키를 위한 음성 데이터로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마이크(30)는 진동판(미도시), 변환부(미도시), 출력부(미도시)로 구성되며, 카본 마이크, 크리스털 마이크, 다이내믹 마이크, 콘덴서 마이크 등이 있다.
저장부(60)는 전화번호에 관련된 번호 데이터 및 단축키에 관련된 문자열 데이터, 번호 데이터 및 음소에 관련된 음성 데이터 및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키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음성 추출 모듈를 저장하고 있다. 문자열 데이터에 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음성 데이터는 번호 데이터에 해당하는 각 문자의 음성 주파수 특성 정보에 대한 코드 및 우리말에 있는 모든 음소의 음성 주파수 특성 정보에 대한 코드를 말한다.
저장부(90)로는 각종 프로그램과 문자열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음성 추출 모듈을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와 프로그램 및 점멸 제어 모듈의 실행시 프로그램을 적재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된다. 비휘발성 메모리로는 단축키에 상응하는 문자열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비휘발성이면서도 메모리의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가 주로 사용된다.
음성 처리부(70)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거나, 마이크(30)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음성 출력부(80)는 상기 음성 처리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스피커가 사용된다. 스피커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를 발생시켜 음파를 복사하는 음향기기로서, 그 작동원리에 따라서, 다이내믹형과 콘덴서형 등이 있다.
도 2는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열 데이터의 저장 구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열 데이터에는 번호 데이터와 단축키에 상응하는 문자열 데이터의 2 가지가 있다.
번호 데이터는 0 내지 9의 숫자에 해당하는 문자로서 실제는 상기 문자에 대한 ASCII코드로 저장되어 있다.
단축키에 상응하는 문자열 데이터는 사용자가 자주 통화를 하는 대상의 전화번호를 지정한 단축키에 대하여 상응하는 대상의 성명 또는 명칭이 저장되어 있으며, 번호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ASCII코드로 저장되어 있다.
도 2에서 숫자 옆의 "-" 표시는 단축키를 의미한다. 즉, "1-"은 키입력부(10)에서 1을 길게 누르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에 따른 음성 송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의 과정들은 제어부(50)가 저장부(6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추출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우선, 키 입력부(10)를 통해 다이얼 키가 입력된다(S100). 즉, 사용자가 키 입력부에서 숫자를 눌러 번호를 입력한다.
제어부(50)는 입력된 다이얼 키가 숫자인지를 확인하고, 숫자이면, 다이얼 키가 눌러진 시간을 산출한다. 눌러진 시간이 설정 시간 이상이면 단축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단축키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추출된다(S110). 예를 들면, 만일 1번이 설정 시간 이상 눌러지면 1번 단축키가 눌러진 것으로 판단하여 저장부(60)로부터 단축키 1번에 대한 문자열 "강 석희"(도 2 참조)에 관한 문자열 코드가 추출되고, 각 음소 "강", "석", "희"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부(60)로부터 추출되어 음성 처리부(70)로 전송된다.
만일, 다이얼 키가 눌러진 시간이 설정 시간 이하이면 통화 키가 눌러질 때까지 입력된 다이얼 키가 저장부(60)에 저장되고, 다음 다이얼 키를 입력받기 위한 대기모드로 들어간다(S120). 즉, 전화 번호가 모두 입력될 때까지 저장된 전화 번호를 저장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면, 통화 키의 입력없이 연속해서 "0, 1, 1, 1, 2, 3, 4, 5, 6, 7" 이 입력되면 이 일련이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부(60)에 저장 된다.
만일, 통화 키가 눌러지면 일련의 다이얼 키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저장부(60)로부터 추출된다(S130). 예를 들면, "0, 1, 1, 1, 2, 3, 4, 5, 6, 7" 의 일련의 다이얼 키가 입력된 후 통화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50)는 저장부(50)로부터 상기 일련의 다이얼 키의 각 숫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를 저장부(60)로부터 추출한 후 각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부(60)로부터 추출하여 음성 처리부(70)로 전송한다.
그 다음, 음성 처리부(70)는 전송된 음성 데이터를 신호 처리한다(S140). 음성 처리부(70)는 입력된 다이얼 키가 단축 키인 경우에는 각 음소 데이터를 음성 신호 처리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입력된 다이얼 키가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마지막으로, 변환된 음성 아날로그 신호가 음성 출력부(80)를 통해 음성 신호로 출력된다(S150).
도 4는 도 3에서 입력된 다이얼 키가 단축 키인 경우 음성 데이터 신호 처리 과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세부흐름도이다. 도 4의 과정들은 도 3과 마찬가지로 제어부(50)가 저장부(6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추출 모듈을 실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우선, 다이얼 키에 상응하는 문자열 데이터가 추출된다(S200).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 키로 단축 키 "1"이 눌러지면, 제어부(50)는 그에 상응하는 문자열 데이터 "강 석희"를 저장부(60)로부터 추출한다.
그 다음, 문자열의 음소에 대한 코드값이 추출된다(S210). 즉, 제어부(50)는 문자열의 음소 "강", "석", "희"에 대한 ASCII 코드값을 저장부(60)로부터 추출한다.
그 다음, 음소에 대한 음성 데이터가 추출된다(S220). 즉, 제어부(50)는 각 음소 "강", "석", "희" 에 상응하는 주파수 특성 정보를 가진 음성 데이터를 저장부(60)로부터 추출한다.
그 다음, 제어부(50)는 추출된 음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음소에 대한 음성 신호를 생성하도록 한다(S230).
그 다음, 제어부(50)는 생성된 음소에 대한 음성 신호를 합성한다(S240). 예를 들면, 각 음소 "강", "석", "희"의 각각에 대한 음소의 음성 신호가 합성된다.
그 다음, 음성 처리부(70)에 의해 합성된 음성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S250), 음성 출력부(80)를 통해 출력된다(S260).
도 5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30)를 통해 음성 신호를 입력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마이크(30)를 통해 다이얼링 입력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부(60)에 미리 저장하여 두는 방식으로 키 입력에 대한 음성 송출과정에서 음성 신호의 합성 단계를 요하지 않게 된다.
우선, 음성 데이터 저장 기능 선택이 입력된다(S300). 즉,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 메뉴에서 음성 데이터 저장 기능을 선택한다.
그 다음, 저장할 음성 데이터의 종류가 선택된다(S310). S300 단계에서 음성 데이터 저장 기능 선택이 입력되면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은 저장할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사용자가 화면에서 번호 키 또는 단축키 문자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다.
그 다음, 마이크(30)를 통해 음성 신호가 입력된다(S320). 만일, 사용자가 단축키 문자열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지정할 단축 키를 입력한 후, 자신의 음성을 입력한다. 예를 들면, 단축 키로 "1"을 지정한 후, "강 석희"라고 음성을 입력한다. 번호 키도 같은 방식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그 다음, 입력된 음성 신호가 음성 데이터로 변환된다(S330). 음성 처리부(70)는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마지막으로, 변환된 음성 데이터가 저장부의 해당 영역에 저장된다(S340). 즉, 변환된 음성 데이터가 번호 키에 대한 음성 데이터이면 번호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역에 저장되고, 변환된 음성 데이터가 단축키에 대한 문자열이면 문자열을 저장하는 영역에 저장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휴대용 단말기에 한정하여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일반 전화기, 호출기, 무전기, 컴퓨터 등의 각종 통신 장치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문자열 데이터, 음성 데이터 및 음성 추출 모듈이 모두 하나의 저장부에 구비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 문자열 데이터를 저장하는 문자 데이터 저장부,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음성 데이터 저장부 등을 더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의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적으로 키 입력에 대한 음성 신호의 송출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보다 저가의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화번호의 입력 뿐만 아니라 단축키의 입력시에도 입력된 단축키에 상응하는 문자열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송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제어부에서 음소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합성하는 음성 합성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단축키의 변경에 관계없이 단축키에 상응하는 음성을 송출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1)

  1. 다이얼링을 위한 키 입력에 상응하는 음성을 송출하는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다이얼링을 위한 전화번호 또는 단축키를 입력하기 위한 키입력부;
    번호에 관련된 번호 데이터 및 단축키에 관련된 문자열 데이터, 상기 번호 데이터 및 음소에 관련된 음성 데이터 및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음성 추출 모듈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성 처리부;
    상기 음성 처리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 및
    상기 키 입력부, 음성 처리부, 스피커 및 저장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전화번호가 입력된 경우,
    입력된 키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통화 키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저장된 일련의 키 데이터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화번호 호출시간 동안 입력된 전화번호의 음성을 상기 음성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단축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저장부를 참조하여 단축키에 상응하는 문자열 데이터를 추출한 후, 상기 문자열 데이터의 각 음소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각 음성 데이터를 합성 처리하여 상기 음성 처리부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입력된 단축키에 상응하는 문자열에 대한 음성을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2002-0031980U 2002-10-26 2002-10-26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3035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980U KR200303592Y1 (ko) 2002-10-26 2002-10-26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980U KR200303592Y1 (ko) 2002-10-26 2002-10-26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592Y1 true KR200303592Y1 (ko) 2003-02-11

Family

ID=4933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980U KR200303592Y1 (ko) 2002-10-26 2002-10-26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59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80179A (ja) 携帯端末
JP2006221270A (ja) 音声認識機能を備えた携帯端末装置のマルチタスク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4501520A (ja) 無線通信装置のためのオーディオ・フィードバックを持つ直観的なキーパッド・ナビゲーション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3138370B2 (ja) 情報処理装置
KR200303592Y1 (ko) 키 입력 음성 송출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7136677B2 (en) Portable terminal
KR100346745B1 (ko) 전자펜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데이터 입력장치및 그 방법
US20070117080A1 (en) Auxiliary operation system of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4011095B2 (ja) 携帯端末装置
JP4070963B2 (ja) 移動体通信機器
KR100238542B1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전자 사전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JP2002300241A (ja) 携帯型通信端末
KR2006006019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음성인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2006332751A (ja) 携帯端末、携帯端末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651403B1 (ko) 휴대폰에서의 전자식 조율기 기능 구현방법
KR20060072877A (ko)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mp3 파일을 이용한 알람벨 설정방법
KR19990015990A (ko) 사용자 선택기능에 대한 음성안내메시지 출력기능을 갖춘 통신단말기
KR20070057605A (ko) 방향선택 입력기를 이용한 키입력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JP4750986B2 (ja) 日本語の入力装置、日本語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60580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소리음 제어방법
KR2004005185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통한 기능별 메뉴 검색방법
KR100283167B1 (ko) 음성인식전화기의음성메모장치
JP2000188627A (ja) 携帯電話機
JP2006128783A (ja) 携帯端末装置とその着信処理方法
JP2001285413A (ja) 携帯端末の文字入力方法及び音声認識機能付き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