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2512Y1 - 공구 연삭기 - Google Patents

공구 연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2512Y1
KR200302512Y1 KR20-2002-0032035U KR20020032035U KR200302512Y1 KR 200302512 Y1 KR200302512 Y1 KR 200302512Y1 KR 20020032035 U KR20020032035 U KR 20020032035U KR 200302512 Y1 KR200302512 Y1 KR 200302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table
tool
angle
grinding
chuck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2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진
Original Assignee
김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진 filed Critical 김명진
Priority to KR20-2002-0032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2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2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2512Y1/ko
Priority to AU2003272134A priority patent/AU2003272134A1/en
Priority to CNB2003801003882A priority patent/CN100431788C/zh
Priority to PCT/KR2003/002268 priority patent/WO2004037487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9/00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 B24B19/02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 B24B19/04Single-purpose machines or devices for particular grinding operations not covered by any other main group for grinding grooves, e.g. on shafts, in casings, in tubes, homokinetic joint elements for fluting drill sh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3/00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 B24B3/02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milling cutters
    • B24B3/06Sharpening cutting edges, e.g.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holding the tools of milling cutters of face or end milling cutters or cutter heads, e.g. of shank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5Feeding or manipul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grind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2Frames; Beds;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7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radially supporting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구 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즉, 척홀더부 몸체 중앙에 힌지부를 형성하고, 그 힌지부 상부에는 기울기눈금판이 부착되어 있어, 앤드밀과 같은 공구의 밑날의 각도를 정확하게 연삭할 수 있도록 하고, 척홀더부 선단에는 각도조절레바를 이용하여 공구의 외주절삭날 1,2번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선회부의 각도눈금판 에는 고정블록게이지를 기준으로 하여 원하는 각을 싸인값에 다시 고정블록게이지를 밀착시켜 공구의 밑날과 외주절삭날 1, 2번각을 정확하게 연삭할 수 있도록 하고, 연삭부 본체를 상하부로 구분시켜 상부몸체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때 회전된 상태의 각도를 작업자가 알아볼 수 있도록 각도 눈금판이 형성되어 있어, 공구의 구면각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공구 연삭기{TOOL GRINDING MACHINE}
본 고안은 공구연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구연삭기는 공구를 기계에 장착하여 사용하다 날이 마모되었을 경우 또는 새로운 공구를 기계에 장착하기 전 공구의 날을 연삭하는 것으로 종래의 연삭기는 기기본체의 이송대를 전후 및 좌우로 이송하고, 이송대에는 공구를 고정시키는 척홀더부를 선회할 수 있도록 하는 선회부를 설치하여 척홀더부를 연삭부에 설치된 연삭물의 최적연삭 위치에 공구가 오도록 전후좌우로 이송 및 선회하여 공구의 날을 연삭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공구를 연삭하기 위하여는 공구를 고정하고 있는 척홀더부를 연삭물에 대하여 공구가 적정 연삭각도를 유지하도록 회전시켜야 하는 일련의 작업공정이 작업자의 숙련된 기능에 의해서 연삭각도를 조정하는 것으로서, 공구의 연삭날의 각도가 부정확한 면이 있으며,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앤드밀과 같이 날의 각도가 정확하지 않게 연삭을 하게 되면 기계에 장착에 되어 면처리 가공이 잘못 되어 제품의 불량률을 높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척홀더부 몸체 중앙에 힌지부를 형성하고, 그 힌지부 상부에는 기울기눈금판이 부착되어 있어, 앤드밀과 같은 공구의 밑날의 각도를 정확하게 연삭할 수 있도록 하고, 척홀더부 선단에는 각도조절레바를 이용하여 공구의 외주절삭날 1,2번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선회부의 각도눈금판 에는 고정블록게이지를 기준으로 하여 원하는 각을 싸인값에 다시 고정블록게이지를 밀착시켜 공구의 밑날과 외주절삭날 1, 2번각을 정확하게 연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고안의 주된 목적이 있으며, 또 다른 목적은 연삭부 본체를 상하부로 구분시켜 상부몸체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때 회전된 상태의 각도를 작업자가 알아볼 수 있도록 각도 눈금판이 형성되어 있어, 공구의 구면각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작업테이블B의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이송핸들A와,
연삭부의 작용상태 개략 정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척홀더부의 내부 분해사시도
도5는 본 고안의 요부인 각도분활판의 발췌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착탈레바의 작용상태 개략도로서,
(a)는 착탈레바가 하향된 상태이며,
(b)는 착탈레바가 상향된 상태이다.
도7은 본 고안에 적용된 스프링압력볼트의 작용상태 정면도
도8은 본 고안에 적용된 중심게이지의 측면도
도9는 본 고안의 연삭부와 공구의 수직교차 상태의 정면 개략도로서,
(a)는 접촉하기 전에 상태이며,
(b)는 공구의 외주절삭 6°인 1번각이 형성된 것이고,
(c)는 공구(P)의 외주절삭 15°인 2번각이 형성된 것이다.
도10은 본 고안에 적용된 잠금레바의 작용상태도
도11은 본 고안의 척홀더부의 작용상태 측단면도
도12는 본 고안의 싸인측정에 의한 고정블록게이지의 작용상태 평면도로서,
(a)평면 삼각함수
(b)는 다이얼게이지에 의해 0°각 맞춰진 상태에서 고정블록게이지가
중심볼에 밀착되는 상태이며,
(c)는 90°회전시킨 다이얼게이지를 0°를 맞춰진 상태에서 고정블
록게이지의 작용상태도이다.
도13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바이트의 고정구 사시도.
도14는 도13의 측단면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의 작업테이블A 일측단부에는 작업테이블A 내부에 있는 나사봉을 회전시켜 작업테이블B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이송핸들A와, 상기 작업테이블B 측면 하부에는 작업테이블A로부터 해제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레바와, 상기 작업테이블A 전면에는 작업테이블B 일측단부에 형성된 레크기어와 맞물려 작업테이블B를 전, 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평기어를 갖는 양측손잡이와, 상기 작업테이블B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에는 상기 잠금레바의 해제 후 공구의 연삭 행정거리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전, 후방의 블록게이지와, 상기 전, 후방의 블록게이지 사이에는 작업테이블B 가 공구의 연삭 행정거리 값을 설정한 뒤 이를 제동하는 스톱퍼가 고정된 작업테이블A와, 상기 작업테이블B후방에는 작업테이블B를 작업테이블A상에서 전, 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핸들B와, 상기 작업테이블B 상에 배치된 선회부에는 공구의 밑날 연삭각의 값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정된 각도눈금판과, 이 각도눈금판에는 공구의 밑날과 외주 1, 2번각의 연삭의 각을 싸인값에 의해 연삭할 수 있도록 하는 중심각의 고정블록게이지 및 싸인각을 설정하는 고정블록게이지와, 상기 선회부에 고정된 작업테이블C 상에는 공구의 중심 및 수평을 설정하기 위한 중심게이지와, 상기 작업테이블C 상의 상광하협의 안내돌기에는 공구의 연삭을 전, 후방으로 이송하여 연삭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홈을 갖는 작업테이블D와, 이 작업테이블D 상의 상광하협의 안내돌기에는 공구의 연삭을 좌, 우로 이송하여 연삭할 수 있는 안내홈을 갖는 작업테이블E와, 이 작업테이블E의 힌지축에는 공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척홀더부와, 상기 힌지축에는 척홀더부가 기울기각을 조정할 수 있도록 체결된 볼트와, 척홀더부의 기울기각을 확인 할 수 있는 기울기눈금판과, 척홀더부 후방에는 척홀더부 내부에 탄설된 판스프링을 회전으로 탄압하고, 이 탄압된 판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역회전으로 복귀하는각도눈금판을 갖는 각도조정레바와, 척홀더부 내부의 축 외주면에 결합되는 부싱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일측단부와 결합되는 볼트와, 척홀더부에 장착된 클립 내주면에는 상기 판스프링의 일측단부와 연결된 볼트와, 상기 클립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클립홈에는 클립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스프링압렵볼트와, 척홀더부 중앙 상부에는 척홀더부 축에 축설된 15°분할판과 착탈이 될 수 있도록 끝단에 돌기를 갖는 착탈레바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체의 작업테이블A 일측면에 배치된 연삭부 하부에는 공구의 여유각을 연삭할 수 있도록 하는 여유각조정부와, 상기 여유각조정부 회전할 수 있는 회전편과, 작업테이블A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여유각조정부 후방에는 회전편이 이동과 제동할 수 있도록 한 복수의 볼트와, 상기 회전편과 고정편내부에는 상기 볼트의 해제에 의해 회전편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편에는 래크기어와, 고정편에는 평기어와, 상기 고정편 정면에는 상기 회전편의 회전각을 확인하기 위한 여유각눈금판이 형성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 연삭부(20) 선단에는 구동모타(도시생략)에 의해 구동되는 연삭숫돌(21)이 축단에 축설되고, 연삭부(20) 하부에 배치되는 여유각조정편(22)에는 상부의 회전편(23)과 하부의 고정편(24)로 구획하되, 고정편(24) 전면에는 여유각눈금판(24a)이 호형으로 형성되고, 고정편(24) 후방에는 회전편(23)을 해제하여 회전편의 여유각의 값을 설정한 다음 회전편(23)을 고정시킬 수 있는 복수의 볼트(24b)가 체결되며, 회전편(23)과 고정편(24)사이에는 상기 볼트(24b)를 해제할경우 회전편(23)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편(23)에는 레크기어(23a)를 호형으로 형성되고 고정편(24)에는 평기어(24c)가 형성되며,
본체(10) 작업테이블A(30)일측단부에 배치된 이송핸들A(31)에는 나사봉(32)이 일체로 결합되고 이 나사봉(32)에는 작업테이블A(30)상에 배치된 작업테이블B(40) 하부의 나사홈(41)과 결합되어 작업테이블B(40)를 좌, 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고, 작업테이블B(40)일측면 하부에는 작업테이블B(40)를 작업테이블A(30)로부터 고정되거나, 해제시킬 수 있는 잠금레바(42)형성되며, 작업테이블B(40)일측단부에 형성된 레크기어(43)에는 작업테이블A(30)후방에 고정된 양측손잡이(33)의 평기어(33′)와 맞물려 있으며, 작업테이블B(40)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44)에는 상기 잠금레바(42)를 해제하여 작업테이블B(40)를 전, 후이동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공구(P)의 연삭할 수 있는 행정거리 값을 설정한 다음 이 설정한 값내에서 연삭할 수 있도록하는 전, 후방 블록게이지(45)(45′)가 끼워지고, 이 전, 후방 블록게이지(45)(45′)사이에는 스톱퍼(34)가 작업테이블A(30)상측에 배치되며,
작업테이블B(40) 후방에 형성된 이송핸들B(46)에는 나사봉(46′)이 일체로 결합되고, 이 나사봉(46′)은 작업테이블A(30)의 너트(35)와 결합되어, 이송핸들B(46)를 회전하면 작업테이블B(40)가 전, 후방으로 이송하게 되며,
상기 작업테이블B(40)상에 배치되는 선회부(50)에는 공구(P)의 밑날 연삭각의 값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정된 각도눈금판(51)이 원형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눈금판(51)에는 공구 밑날과 외주절삭 1, 2번각을 싸인값에 의해 연삭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블록게이지(52)가 배치되고, 또한 동일선상에 중심각을갖는 또 다른 고정블록게이지(52′)가 배치되며,
상기 선회부(50) 상측에 배치된 작업테이블C(60)상에는 공구의 중심과 수평을 잡기 위한 중심게이지(61)가 입설되고, 작업테이블C(60)의 하부에는 싸인값의 0°가 되는 20㎜의 봉(62)이 끼워져 있으며, 이 작업테이블C(60)상의 상광하협의 안내돌기(63)에는 작업테이블D(70)하부에 형성된 안내홈(71)과 결합되며, 작업테이블D(70)에 배치된 각도조절레바(72)의 나사봉(73)은 상기 작업테이블C(60)상에 형성된 나사홈(64)과 결합되어 있어, 작업테이블D(70)를 전, 후방으로 이송할 수 있도록하고, 상기 작업테이블D(70)상의 상광하협의 안내돌기(74)에는 상부에 배치된 작업테이블E(80)의 안내홈(81)과 결합되며,
상기 작업테이블E(80) 배치된 각도조절레바(82)의 나사봉(83)은 상기 작업테이블D(70)의 나사홈(75)와 결합되어 있어, 작업테이블E(80)를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작업테이블E(80)상에 입설된 측판(84)에는 힌지축(84′)에 끼워지는 척홀더부(90)가 배치되며,
이 척홀더부(90) 상부 일측에 표기된 기울기눈금판(91)은 상기 힌지축(84′)에 체결된 볼트(85)를 풀은 후 척홀더부(90)를 기울기를 조정하여 고정된 공구(P)의 밑날 기울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척홀더부(90) 후방에 배치된 각도조정레바(93)에는 각도눈금판(93′)이 표기되고, 상기 각도조정레바(93)는 축(94)에 축설되며, 축(94) 외주면에 축설된 부싱(95)에는 볼트(96)가 체결되고, 이 볼트(96)는 판스프링(97) 일측단부에 천공된 나사구멍(97a)에 체결되며, 판스프링(97) 타측단부에 천공된 나사구멍(97b)에는 원형클립(98)에 체결된 볼트(99)와체결되고, 상기 원형클립(98)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클립홈(98′)에는 스프링압력볼트(100)의 끝단과 접촉과 이탈이 되도록 형성되며, 척홀더부(90) 중앙에 배치된 착탈레바(101) 축(101a)에는 스프링(S)이 탄설되고, 착탈레바(101)의 돌기(101b)는 척홀더부(90)돌출된 돌기(102)와 착탈이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축(101a)하단부는 15°간격으로 다수 분활된 분활판(103)과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며, 분활판(103)은 축(94)에 축설되어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작업테이블E(80)상에 척홀더부(90)와 측판(84)을 해체시키고 그 위치에 바이트부(120)을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작업테이블E(80)상에 바이트부(120)부의 측판(121)을 입설하고, 이 측판(121)에 천공된 트랙형의 구멍(122)에는 바이트고정편(123)의 보스(123a)와 블록(124)이 결합되어 볼트(125)로 체결하며, 측판(121)과 블록(124)의 상부에는 높낮이볼트(126)가 체결되는 나사구멍(121a)(124′)가 천공되고, 바이트고정편(123)상부에 천공된 나사구멍(123b)에는 바이트삽입공(123c)에 끼워진 바이트(127)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128)가 체결되며, 측판(121)의 일측면에는 바이트고정편(123)이 상하로 이동할때 그 높낮이를 알 수 있도록 높낮이눈금(121b)표기되어 있으며, 바이트고정편(123)일측면에는 바이트고정편(123)이 회전하는 각도를 알 수 있도록 회전각눈금(123d)이 표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1]
(공구의 밑날 1, 2차 여유각을 연삭할 경우)
작업테이블E(80)에 있는 척홀더(104)를 연삭부(20) 상부에 배치된 연삭숫돌(21)과 수직교착점 까지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작업테이블A(30)일측단부에 있는 이송핸들A(31)를 회전시키면 이송핸들A(31)와 연결된 나사봉(32)이 회전하게되고 이 나사봉(32)은 작업테이블B(40)하부에 있던 너트(41)와 결합되어 있어 작업테이블B(40)를 수평으로 이송시킨다.
작업테이블B(40)가 이송되어 작업테이블E(80)에 있는 척홀더(104)와 연삭숫돌(21)수직교차되면 척홀더(104)에 공구(P)를 끼워 고정시킨 다음 작업테이블C(60)상에 있는 중심게이지(61)를 이용하여 공구(P)의 중심과 수평을 잡게 된다.
이어서 척홀더부(90)를 전진시켜 공구 연삭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작업테이블B(40) 하부에 있는 잠금레바(42)를 해제시키면 작업테이블B(40)는 작업테이블A(40)로부터 자유로워지게 된다.
그리고 공구의 밑날을 연삭하게 되는 연삭부(20)의 작동은 연삭부(20) 내부에 있는 구동모타(도시생략)를 작동시키면, 그 축에 축설된 연삭숫돌(21)을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구(P)의 밑날 여유각을 연삭하기 위한 초기 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작업테이블B(40) 후방에 있는 이송핸들B(4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송핸들B(46)와 일체로된 나사봉(46′)은 작업테이블A(30) 하단 있는 나사홈(35)과나사 결합되어있어, 작업테이블B(40)를 전방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작업테이블B(40)일측단에 있는 래크기어(43)는 작업테이블A(30)에 형성된 평기어(33′)와 맞물려 있어 작업테이블B(40)을 수평상태로 전진 하게되며, 공구(P) 밑날이 전진하여 연삭숫돌(21)에 접촉하면, 그 상황에서 작업테이블B(40)에 있는 잠금레바(42)를 잠금으로 전환시켜 작업테이블B(40)를 고정된 상태에서 공구의 밑날 1차 여유각을 연삭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구(P) 밑날 1차 여유각을 연삭 한 다음 다음 단계인 공구(P)의 밑날 2차 여유각을 연삭하기 위하여는 작업테이블E(80) 측면에 있는 볼트(85)를 풀게되면 힌지축(84)에 축설된 척홀더부(90)는 힌지축(84)을 중심으로 전, 후방 자유롭게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다. (척홀더부의 전, 후방 최대 기울기각은 20°)
척홀더부(90)를 20°내에서 각을 선정한 다음 다시 볼트(85)를 조임하여 척홀더부(90)가 고정되게 하고, 상기 기술된 바와같이 이송핸들B(4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작업테이블B(40)를 전방으로 이송됨과 동시에 그 상측에 있는 작업테이블C(60), 작업테이블D(70),작업테이블E(80), 및 척홀더부(90)가 동시에 전진하여 공구(P) 밑날이 연삭숫돌(21)에 접하게 되면 잠금레바(42)를 잠금으로 전환시켜 공구(P)가 고정된 상태에서 2차 여유각을 연삭 하게 된다.
[실시예2]
(공구의 외주절삭날 1, 2번각을 연삭할 경우)
상기 전술된 바와같이 작업테이블E(80)에 있는 척홀더(104)를 연삭부(20) 상부에 배치된 연삭숫돌(21)과 수직교착점 까지 이동하는 것과 작업테이블C(60)상에 있는 중심게이지(61)를 이용하여 공구(P)의 중심과 수평을 설정 하는 작용은 동일하며,
다만 상기 수직교차점 까지 이동된 공구(P)의 선단 위치가 밑날의 연삭 시작점이기 때문에 그 위치에 작업테이블B(40) 측면 안내홈(44)에 있는 후방 블록게이지(45′)를 이동 고정시켜 작업테이블B(40)가 후진할 때 스톱퍼(34)더 이상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작업테이블B(40)는 테이블(A)상에서 전, 후 왕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과 동시에 공구(P)의 외주 절삭날 1, 2번각의 연삭 길이(ℓ) 맞도록 작업테이블B(40)의 왕복 행정거리를 설정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연삭부(20)상부에 설치된 안내봉(25) 끝단을 공구(P)외주절삭날 선단에 위치시키고, 작업테이블B(40)후방에 있는 이송핸들B(46)를 회전시키면 작업테이블B(40)는 전진하고, 공구(P)외주 절삭날 선단에 놓여있는 안내봉(25)은 공구(P)의 날홈(P-1)을 따라 하향되면서 날홈의 끝단까지 도달된다.
이 시점이 외주절삭날의 끝점으로서 작업테이블B(40)측면 안내홈(44)에 있는 전방 블록게이지(45)를 이동 고정시켜 작업테이블B(40)가 전진할 때 스톱퍼(34)에 의해 더 이상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한편 공구(P)의 외주절삭의 1번각은 통상 6°를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상기 6°를 설정하기 위한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안내봉(25) 끝단을 공구(P)외주절삭날 선단에 위치시키기고, 척홀더부(90)에 있는 스프링압력볼트(97)를 오른방향으로 하향시키면 볼트하단부가
원형클립(98)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클립홈(98′)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원형클립(98)은 스프링압력볼트(97)에 의해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원형클립(98)에 있는 볼트(99)가 판스프링(97)과 결합되어 있어 후술하는 각도조정레바(93)에 의해 탄압되는 것이다. 즉, 척홀더부(90)에 있는 각도조정레바(93)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척홀더부(90)내부에 있는 축(94)이 회전함과 동시에 축(94)에 고정된 볼트(96)는 판스프링(97)을 감압하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판스프링(97)이 압축된 상태에서 각도조정레바(93)를 작업자 놓게되면 판스프링(97)의 탄성에 의해 각도조정레바(93)가 시계방향으로 복귀함과 동시에 척홀더(104)에 고정된 공구(P)도 같이 역회전 하므로서, 공구(P)외주절삭날 선단에 있는 안내봉(25)이 내부에 탄설된 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상승한다.
상기와 같이 역회전하는 과정에서 각도조정레바(93)에 표기된 각도눈금판(93′)이 6°만큼 회전되면, 각도조정레바(93)를 작업자가 역회전을 정지시키고, 안내봉(25)의 높낮이 조절레바(25′)를 조절하여 안내봉(25)이 항상 공구(P)외주절삭날 선단에 6°에서 연삭이 시작되도록 1번각이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 동일한 방법으로 통상 2번각의 15°를 맞추어 설정할 수 가 있다.
외주절삭날 1번각을 설정하고, 공구(P)연삭의 왕복해정거리(ℓ)가 설정된 상태에서, 공구(P)외주절삭날 선단에 안내봉(25)이 위치시키고, 척홀더부(90)의 각도조정레바(93)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판스프링(95)을 감압하며, 연삭부(20)의 연삭숫돌(21)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각도조정레바(93)를 작업자가 놓게되면 판스프링(95)이 탄성에 의해 축(94)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축(94) 선단에 있는 공구(P)가회전하게 된다. 이때 공구(P)외주절삭날 선단에 있는 안내봉(25)은 날홈을 따라 수직으로 하향되고, 연삭숫돌(21)과 접촉한 공구(P)는 회전과 동시에 전방으로 진행하게 되며, 척홀더부(90)가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다.
또한 작업테이블B(40)는 같이 전방으로 진행하다가 측면의 안내홈(44)에 있는 블록게이지(45′)가 스톱퍼(34)에 제동되어 작업테이블B(40)를 정지시키게 된다.
전방으로 이송된 척홀더부(90)를 작업자는 작업테이블B(40)에 있는 이송핸들B(46)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작업테이블B(40)를 후방으로 이송하게되며, 작업테이블B(40) 후방으로 진행하다가 측면의 안내홈(44)에 있는 블록게이지(45)가 스톱퍼(45″)에 제동되어 작업테이블B(40)를 정지시켜 상기 동일한 방법으로 수회에 걸져 공구(P)의 외주절삭날 1번각을 연삭하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3]
(공구의 싸인(Sin)에 의한 연삭할 경우)
평면에서의 삼각함수에 의한 싸인 연삭은 도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방식에 의하여 성립된다.즉, 평면에 0를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를 정하고 이 평면 위의 점의 좌표를 (x.y)로서 표시하고, x축의 양의 방향에 대하여 각 θ를 만들는 사선 OP를 그어 0를 중심으로 하는 단위원과의 교점을 P로 하여, P의 좌표를 (x,y)라면, θ가 주어질 때마다 x.y가 정해진다. 이때 함수 θ→y를 싸인함수라 하며, y=sinθ로 표시한다.상기와 같은 싸인함수에 의하여 본 발명을 싸인값에 의한 연삭을 할 경우 예를 들어 0점을 중심으로 x축 거리를 100mm보고, 싸인각을 10°설정할 경우에는 다양한 크기의 측정블록게이지(c)중 싸인값에 의해 17.3648mm의 측정블록게이지(c)를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즉 도12b,c에 의하여 살표볼 것 같으면, 작업테이블C(60)상에 평면에 0를 원점으로 하는 좌표계를 정하기 위하여 통상의 다이얼게이지(도시생략)를 놓고 작업테이블C(60)를 0°에 맞춘 상태에서 선회부(50)에 있는 볼트(53)로 조임하여 작업테이블C(60)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 다음, 선회부(50)중심점부터 작업테이블C(60)하부에 설치된 봉(62)의 기준거리를 100mm를 정한 후 선회부(50)외주면에서 회전할 수 있는 일측의 고정블록게이지(52)를 밀착시켜 0점을 설정한다. 이때 고정블록게이지(52)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블록게이지(52)를 체결하기 위하여 랜지볼트(V)를 선회부(50)방향으로 조임하여 고정블록게이지(52)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상기와 같이 일측의 고정블록게이지(52)위치가 설정된 후 연삭공구의 싸인각 10°인 경우에 고정된 고정블록게이지(52)측면에 싸인값에 의해 설정된 17.3648mm의 측정블록게이지(c)를 밀착시킨 다음 이 측정블록게이지(c)는 상기 봉(62)이 밀착되어 선회부(50)를 고정한 다음 연삭공구의 싸인방법에 의해 연삭되는 것이다.한편 선회부(50)에 있는 고정블록게이지(52′)는 봉(62)밀착시키거나, 선회부(50)에서 0°∼360°까지 회전이 가능하며, 선회부(50)의 고정블록게이지(52′)가 회전할 때마다 봉(62)이 밀착되어 0점을 찾을 수 있으며, 공구(P)의 +, - 의 싸인값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참고적으로 측정블록게이지는 폭이1.005mm ∼ 50mm 까지 다양하며, 폭에 따라 높이가 다르며 형상은 장방형이 되어있다.)또한 선회부(50)에 있는 고정블록게이지(52)가 필요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된 후에도 원위치 정점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있도록 하였다.
[실시예4]
(바이트팁의 연삭)
작업테이블E(80)상에 척홀더부(90)와 측판(84)을 해체시키고 그 위치에 바이트부(120)을 설치하여 바이트팁을 연삭할 수 있는 것으로서, 먼저 작업테이블E(80)상에 바이트부(120)를 설치하고, 바이트삽입공(123d)에 바이트(127)한 상태에서 바이트의 1차여유각(중심점)을 설정한다,
즉, 측판(121)후방에 있는 볼트(125)를 풀어 바이트고정편(123), 블록(124)이 상하로 슬라이드되게 한 다음 측판(121)상부에 있는 높낮이볼트(126)를 조절하게되면 바이트고정편(123)의 보스(123a)는 트랙형구멍(122)을 따라 상하로 안내되어 바이트(127)의 중심점을 설정하게 된다.
이어서 바이트의 2차여유각(회전각도)을 설정하는 것으로서, 회전각눈금(123c)의 0점을 기준으로 바이트고정편(123)을 회전각도를 설정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바이트고정편(123)의 중심점과 회전각도를 설정한 다음 상기 전술된 바와 같이 연삭부(20)의 연삭숫돌(21)에 작업테이블E(80)을 이동시켜 바이트(127)와 수직교차된 상태에서 연삭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척홀더부 몸체 중앙에 힌지부를 형성하고, 그 힌지부 상부에는 기울기눈금판이 부착되어 있어, 앤드밀과 같은 공구의 밑날의 각도를 정확하게 연삭할 수 있도록 하고, 척홀더부 선단에는 각도조절레바를 이용하여 공구의 외주절삭날 1,2번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선회부의 각도눈금판 에는 고정블록게이지를 기준으로 하여 원하는 각을 싸인값에 측정블록게이지를 밀착시켜 공구의 밑날과 외주절삭날 1, 2번각을 정확하게 연삭할 수 있도록 하며, 연삭부 본체를 상하부로 구분시켜 상부몸체가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때 회전된 상태의 각도를 작업자가 알아볼 수 있도록 각도 눈금판이 형성되어 있어, 공구의 구면각을 형성시킬 수 있으며, 소형원통연마, 단차, 테이퍼, 분할, 바이트, 드릴, 캇타에도 적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본체(10)의 작업테이블A(30) 일측단부에는 작업테이블A(30) 내부에 있는 나사봉(32)을 회전시켜 작업테이블B(40)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핸들A(31)와,
    상기 작업테이블B(40) 측면 하부에는 작업테이블A(30)로부터 해제 또는 고정시킬 수 있는 잠금레바(42)와,
    상기 작업테이블A(30) 전면에는 작업테이블B(40) 양측단부에 형성된 레크기어(43)와 맞물려 작업테이블B(40)를 전, 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평기어(33′)를 갖는 손잡이(33)와,
    상기 작업테이블B(40) 측면에 형성된 안내홈(44)에는 상기 잠금레바(42)의 해제 후 공구의 연삭 행정거리 값을 설정하기 위한 전, 후방의 블록게이지(45)
    (45′)와,
    상기 전, 후방의 블록게이지(45)(45′)사이에는 작업테이블B(40)가 공구의 연삭 행정거리 값을 설정한 뒤 이를 제동하는 스톱퍼(34)가 고정된 작업테이블A(30)와,
    상기 작업테이블B(40)후방에는 작업테이블B(40)를 작업테이블A(30)상에서 전, 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핸들B(46)와,
    상기 작업테이블B(40) 상에 배치된 선회부(50)에는 공구의 밑날 연삭각의 값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고정된 각도눈금판(51)과,
    상기 각도눈금판(51)에는 공구의 밑날 외주절삭날 1, 2번각의 연삭의 각을 싸인값에 의해 연삭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블록게이지(52)와 이 고정블록게이지(52)를 기준으로 하여 싸인값에 밀착되는 또 다른 고정블록게이지(52′)와,
    상기 선회부(50)에 고정된 작업테이블C(60) 상에는 공구의 중심과 수평을 설정하기 위한 중심게이지(61)와, 작업테이블C(60)의 하부에는 싸인값의 0°가 되는 20㎜의 봉(62)과, 작업테이블C(60) 상의 상광하협의 안내돌기(63)에는 공구의 연삭을 전, 후방으로 이송하여 연삭할 수 있도록 하부에 안내홈(71)을 갖는 작업테이블D(70)와,
    상기 작업테이블D(70) 상의 상과하협의 안내돌기(74)에는 공구의 연삭을 좌, 우로 이송하여 연삭할 수 있도록 하부에 안내홈(81)을 갖는 작업테이블E(80)와,
    상기 작업테이블E(80)의 힌지축(84)에는 공구를 고정시킬 수 있는 척홀더부(90)와,
    상기 척홀더부(90) 상부 일측에는 상기 힌지축(84)에 체결된 볼트(85)를 풀은 후 척홀더부(90)의 기울기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표기된 기울기눈금판(91)과,
    척홀더부(90) 후방에는 척홀더부(90)내부에 탄설된 판스프링(97)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으로 탄압하고, 이 탄압된 판스프링(97)의 탄성에 의해 역회전으로 복귀하는 각도눈금판(93′)이 표기된 각도조정레바(93)와,
    척홀더부(90) 내부의 축(94)에는 볼트(96)가 체결된 부싱(95)과, 상기 볼트(96)는 판스프링(97) 일측단부에 천공된 나사구멍(97a)에 체결되며, 판스프링(97) 타측단부에 천공된 나사구멍(97b)에는 원형클립(98)에 체결된볼트(99)와 체결되고
    상기 원형클립(98)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클립홈(98′)에는 원형클립(98)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스프링압렵볼트(100)와,
    척홀더부(90)중앙 상부에는 척홀더부(90) 축(94)에 축설된 15°분할판(103)과 착탈이 될 수 있도록 끝단에 돌기(101c)를 갖는 착탈레바(1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연삭기.
  2. 본체(10)의 작업테이블A(30) 일측면에 배치된 연삭부(20) 하부에는 공구의 밑날의 여유각을 연삭할 수 있도록 하는 여유각조정부(22)와,
    상기 여유각조정부(22)전방에는 이동할 수 있는 회전편(23)과, 작업테이블A(30)에 고정되는 고정편(24)과,
    상기 여유각조정부(22)후방에는 회전편(23)이 이동과 제동할 수 있도록하는 복수의 볼트(24b)와,
    상기 회전편(23)과 고정편(24)내부에는 상기 볼트(24b)의 해제에 의해 회전편(23)이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편(23)에는 래크기어(23a)와, 고정편(24)에는 평기어(24c)와,
    상기 고정편(24) 정면에는 상기 회전편(23)의 회전각을 확인하기 위한 여유각눈금판(24a)이 형성된 공구 연삭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핸들B(46)과 일체로된 나사봉(46′)에는 작업테이블A(30)에 형성된 나사홈(35)과 결합되어 이송핸들B(46)의 회전시 작업테이블B(40)가 전, 후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연삭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D(70)에 형성된 각도조절레바(72)의 나사봉(73)에는 작업테이블C(60)에 형성된 나사홈(64)과 결합되어 작업테이블D(70)를 전, 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연삭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테이블E(80)에 형성된 각도조절레바(82)의 나사봉(83)에는 작업테이블D(70)에 형성된 나사홈(74)과 결합되어 작업테이블E(80)를 좌, 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연삭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레바(101) 봉(101a)에는 착탈레바(101)의 돌기(101b)가 척홀더부(90)에 돌출된 돌기(102)와 착탈될 수 있도록 스프링(S)이 탄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연삭기.
  7. 제1항에 있어서,
    작업테이블E(80)상에 설치되는 바이트부(120)일측에는 측판(121)을 입설하고, 이 측판(121)에 천공된 트랙형구멍(122)에는 바이트고정편(123)의 보스(123a)와 블록(124)이 결합되어 볼트(125)로 체결하며, 측판(121)과 블록(124)의 상부에는 높낮이볼트(126)가 체결되는 나사구멍(121a)(124′)가 천공되고, 바이트고정편(123)상부에 천공된 나사구멍(123b)에는 바이트삽입공(123c)에 끼워진 바이트(127)를 고정시킬 수 있는 볼트(128)가 체결되며, 측판(121)의 일측면에는 바이트고정편(123)이 상하로 이동할때 그 높낮이를 알 수있도록 높낮이눈금(121b)표기되어 있으며, 바이트고정편(123)일측면에는 바이트고정편(123)이 회전하는 각도를 알 수 있도록 회전각눈금(123d)이 표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 연삭기.
KR20-2002-0032035U 2002-10-28 2002-10-28 공구 연삭기 KR200302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035U KR200302512Y1 (ko) 2002-10-28 2002-10-28 공구 연삭기
AU2003272134A AU2003272134A1 (en) 2002-10-28 2003-10-25 Tool grinding machine
CNB2003801003882A CN100431788C (zh) 2002-10-28 2003-10-25 工具磨床
PCT/KR2003/002268 WO2004037487A1 (en) 2002-10-28 2003-10-25 Tool grind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2035U KR200302512Y1 (ko) 2002-10-28 2002-10-28 공구 연삭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528A Division KR100474637B1 (ko) 2002-11-27 2002-11-27 공구 연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2512Y1 true KR200302512Y1 (ko) 2003-02-05

Family

ID=32171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2035U KR200302512Y1 (ko) 2002-10-28 2002-10-28 공구 연삭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302512Y1 (ko)
CN (1) CN100431788C (ko)
AU (1) AU2003272134A1 (ko)
WO (1) WO200403748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3123A (zh) * 2017-03-07 2017-06-20 昆山日日先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防抖动的磨床机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45051C (zh) * 2006-11-16 2008-12-24 上海交通大学 用于自动装配或者对接***的被动柔顺机构
CN102416599B (zh) * 2011-12-06 2015-02-11 东莞市升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微钻钻头研磨检测机中转机构
CN103447948B (zh) * 2013-08-15 2015-10-28 张满九 可转动磨床卡盘连接结构
CN105479330B (zh) * 2015-12-31 2018-03-27 吕宏伟 一种多自由度打磨工作台
TWI583489B (zh) * 2016-02-03 2017-05-21 Can directly view and locate the tool with the tool fixture
CN105773353B (zh) * 2016-04-08 2018-04-10 宁波明润机械制造有限公司 全自动轴承套圈的内圈沟道磨超一体机的磨削装置
CN105751037B (zh) * 2016-04-08 2018-01-09 宁波明润机械制造有限公司 全自动轴承套圈的内圈沟道磨超一体机
CN106078369B (zh) * 2016-08-18 2018-07-06 东莞亦准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磨刀机
CN106493613B (zh) * 2016-12-31 2019-01-11 马鞍山市博垠机械刀具制造有限公司 一种岩棉切割刀磨削装置及其磨削方法
CN107160244A (zh) * 2017-06-29 2017-09-15 芜湖泰庆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机械刀具刃磨装置
CN107322417A (zh) * 2017-08-16 2017-11-07 付祖俊 一种数控磨槽机床
CN110340782B (zh) * 2019-06-05 2021-08-13 邵阳学院 一种打磨机
CN110919496A (zh) * 2019-11-28 2020-03-27 利辛县雨果家居有限公司 一种钢针工作架
CN111113197A (zh) * 2019-12-24 2020-05-08 嘉善金嘉塑业有限公司 一种塑料制品加工用打磨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65590A1 (de) * 1981-05-27 1982-12-01 Günther Allmendinger Schleifmaschine zum Bearbeiten der Schneiden von Werkzeugen oder dgl.
TW218408B (ko) * 1991-12-27 1994-01-01 Dana Corp
CN2173139Y (zh) * 1993-09-27 1994-08-03 安徽省宿州机械厂 一种超硬材料刀具刃磨机床
US5649853A (en) * 1996-07-23 1997-07-22 Kuo; Chun-Lin Drill bit grinding machine
JPH10151523A (ja) * 1996-11-21 1998-06-09 Kyushu Toshiba Kikai Kk 歯面研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3123A (zh) * 2017-03-07 2017-06-20 昆山日日先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防抖动的磨床机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72134A1 (en) 2004-05-13
CN100431788C (zh) 2008-11-12
WO2004037487A1 (en) 2004-05-06
CN1692002A (zh)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2512Y1 (ko) 공구 연삭기
EP0286266B1 (en) Apparatus for sharpening edge tools
US7033247B2 (en) Electric sharpener
KR100474637B1 (ko) 공구 연삭기
US20120270479A1 (en) Adjustable Grinding Platform and Mounting Assembly
US3848865A (en) Cutting tool holding device
US4916866A (en) End mill sharpener
JPS6094261A (ja) ドリルの仕上げ研削のための補助装置
US2005028793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pening a cutting tool
US6386068B1 (en) Apparatus for sharpening/bevelling of ski or snowboard edges
US5142947A (en) Adjustable motor-operated circular saw sharpener
US5033333A (en) Saw chain grinding machine
US6016854A (en) Woodworking apparatus for making curved components
US3535826A (en) Template-controlled tool grinding machines
CN2683313Y (zh) 钻头研磨机
US3759118A (en) Circular saw grinding attachment
CN109623512A (zh) 一种磨削车床用成型r刀的磨刀架
JP2006312220A (ja) 研削装置
US4404773A (en) Tool grinding fixture
US5065733A (en) Dressing tool for form dressing of a grinding wheel
CN2238704Y (zh) 精密刃磨机工件夹具
JPH0337885Y2 (ko)
CN213496548U (zh) 端面v型环槽刀
JPS6322942B2 (ko)
JP2591759Y2 (ja) 刃物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