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83686A - 디스크 지지 장치, 디스크 유지 장치, 및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지지 장치, 디스크 유지 장치, 및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83686A
KR20030083686A KR10-2003-7007809A KR20037007809A KR20030083686A KR 20030083686 A KR20030083686 A KR 20030083686A KR 20037007809 A KR20037007809 A KR 20037007809A KR 20030083686 A KR20030083686 A KR 200300836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table
disk
tray
support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9895B1 (ko
Inventor
우테치카라
가와쿠보기요시
사노다케시
마쓰모토유키오
이시하라아키라
후지타노보루
오가사와라유타카
마쓰다히로아키
마쓰오다이스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83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3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9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9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 G11B17/0283Two or more turntab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1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ith movable magazin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4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having a toroidal or part-toroidal sh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3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playing unit is mov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record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평면의 면적을 작게 함과 동시에 간단하고 저가로 한다.
복수의 지지부(44)를 정상부(46)를 정점으로 하여 경사지도록 구성한다. 즉, 트레이(26)가 대략 삼각뿔(입체) 형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종래예의 턴테이블 평면에서의 면적보다 작아지고, 이로 인해 평면에서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26)의 평면 면적이 종래의 턴테이블보다 작아짐으로써, 복수의 디스크를 공간 절약형 트레이(26)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의 지지부(44)를 도어에 대응하여 평행하도록 배치하는 경우에는, 종래와 같이 트레이를 슬라이드시키는 기구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즉, 트레이(26)의 회전 구동 수단만으로 소망의 디스크를 착탈할 수 있으므로, 스테레오 장치에 배치되는 기구가 간단하고 저가로 된다.

Description

디스크 지지 장치, 디스크 유지 장치, 및 디스크 장치 {DISK SUPPORTER, DISK HOLDER, AND DISK DEVICE}
도 7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체인저(490)는 디스크(10)를 탑재하는 탑재부가 복수(도 74의 예에서는 3개소) 형성된 평판형의 턴테이블(492)과, 이 턴테이블(492)을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트레이(494)를 구비한다. 즉, 디스크 체인저(490)에는 턴테이블(492)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 및 트레이(494)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트레이(494)는 베이스(496)에 대하여 슬라이드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장치 본체의 도어로부터 인출되거나 다시 복귀된다. 즉, 도시하지 않은 배출 버튼을 조작하면, 트레이(494)는 장치 본체의 도어로부터 인출되거나 다시 복귀된다.
또, 트레이(494)가 장치 본체의 도어로부터 인출된 상태에 있어서는 트레이(494)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턴테이블(492)의 탑재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턴테이블(492)의 탑재부에는 12cm의 디스크(10), 또는 8cm의 디스크(도시 생략)의 외형에 대응하는 오목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디스크(10)는 클램퍼 지지부(493)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클램퍼와, 이 클램퍼에 대향하여 턴테이블(492) 하방에 배치된 디스크 재생 장치의 도시하지 않은 턴테이블에 끼워져 재생된다.
사용자는 도시하지 않은 배출 버튼의 조작에 의해 개방된 탑재부에 디스크를 탑재시키고, 배출 버튼을 다시 조작함으로써 트레이(494)는 장치 본체 내로 다시 복귀되고, 도시하지 않은 플레이 버튼 등을 조작함으로써 재생 등이 행하여진다.
그런데, 도 74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490)에서는 턴테이블(492)을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 및 트레이(494)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체인저(490)에 배치되는 기구가 복잡하게 되는 동시에 고가가 된다.
또, 디스크 체인저(490)에서는 디스크를 턴테이블(492)에 대하여 평면형으로 복수 정렬시키는 상태로 배치하기 때문에, 트레이(494)의 평면 면적이 넓고, 따라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한다.
한편, 도 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플레이어(80)는 12cm의 디스크(10) 또는 8cm의 디스크(도시 생략)를 탑재하는 동심원 형상의 탑재부(83A 및 83B)가 형성된 평판형의 탑재 테이블(82), 이 탑재 테이블(82)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는 턴테이블(84), 이 턴테이블(84)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링형의 클램퍼(90), 및 탑재 테이블(82)을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1 이동 수단을 구비한다. 또, 탑재부(83A, 83B)가 탑재 테이블(82)에 복수 설치되는 경우, 디스크 장치(80)는 디스크 체인저로서 기능한다.
턴테이블(84)은 디스크(10)를 탑재하는 부분에 금속제의 링부(85A)와, 디스크(10)의 구멍의 내주 직경부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외경으로 되어 있는 몸통부(85B)를 구비한다. 또, 몸통부(85B)의 선단은 끝이 가늘게 되어 있다. 또, 턴테이블(84)에는 모터(86)의 모터 축(87)이 고정되어 있고, 모터(86)가 구동함으로써 턴테이블(84)이 회전한다.
탑재 테이블(82)의 탑재부(83A)는 12cm의 디스크(10)의 외형에 대응하는 오목형으로 되어 있고, 탑재부(83B)는 8cm의 디스크의 외형에 대응하는 오목형으로 되어 있다. 또, 탑재부(83A 및 83B))에는 그 중심에 턴테이블(84)을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공(8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공(82A)은 턴테이블(84)의 링부(85A)의 직경보다도 약간만 크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턴테이블(84)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는 탑재 테이블(82)에 대하여 승강하고, 그 때 삽입공(82A)을 통과한다. 즉, 턴테이블(84)은 디스크(10)를 탑재부(83A)로부터 들어 올리거나, 또는 탑재부(83A)에 다시 탑재시킨다.
클램퍼(90)는 지지체(9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링형의 자석(92)을 구비하고 있다. 또, 클램퍼(90)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은 턴테이블(84)의 몸통부(85B)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84)과 클램퍼(90)(자석(92)을 포함함)는 몸통부(85B)가 도시하지 않은 구멍에 삽입되는 상태에 있어서, 자석(92)이 금속제의 턴테이블(84)의 링부(85A)를 자력에 의해 흡착함으로써, 디스크(10)를 턴테이블(84)에 끼운다(척킹한다).
그런데, 도 75에 나타낸 디스크 장치(80)에서는 디스크(10)를 탑재부(83A)에 탑재시킨 상태에 있어서, 턴테이블(84)을 상승시킴으로써 디스크(10)를 척킹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탑재부(83A)에 대한 디스크(10)의 탑재 상태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 즉 디스크(10)가 탑재부(83A)에 대하여 어긋난 상태로 탑재되는 경우에서는 디스크(10)를 척킹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긴다. 또, 이와 같이 디스크(10)를 탑재부(83A)에 단지 놓아둔 구성에서는 디스크가 항상 수평 상태가 되도록 디스크 장치를 구성해야 한다.
또, 디스크 장치(80)에서는 탑재 테이블(82)에 12cm의 디스크(10) 또는 8cm의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부(83A)(또는(83B))를 각각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해야한다. 또한, 디스크의 평면 형상을 하트 모양 등으로 변형시킨 이른바 변형 디스크를 탑재 테이블(82)의 탑재부(83A)에 대하여 적정하게 탑재시키기 위해서는 탑재부의 형상을 변형 디스크의 외형에 대응시킬 필요가 있지만, 탑재부의 형상을 그들의 변형 디스크 모두에 대응시키는 것은 곤란하다.
즉, 변형 디스크 등의 모든 디스크를 탑재부(83A 또는 83B)에 적정하게 탑재시켜 척킹시키기 어렵고, 따라서 모든 디스크에 대한 척킹이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탑재 테이블(82)에 턴테이블을 장착하고, 이 턴테이블에 대하여 접속 가능하게 하는 모터를 배치시키는 경우에는 모터의 접속부가 턴테이블의 접속부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시킬 필요가 있다. 한편, 턴테이블에 장착되는 디스크의 디스크면과, 픽업의 거리에 편차가 생기면, 초점 거리가 어긋남으로써, 포커스 서보 제어가 적정하게 기능하지 않는 사태가 생긴다.
즉, 디스크면과 픽업과의 거리는 대단히 엄밀하여, 그 허용 범위는 기준치에 대하여 예를 들면 플러스·마이너스 0.1mm의 오차이다. 또, 턴테이블의 회전 중에, 그 회전 중심이 직경 방향으로 어긋나면, 트래킹 서보 제어가 적정하게 기능하지 않는 사태가 생긴다. 상기와 같이 포커스 서보 또는 트래킹 서보의 제어가 적정하게 기능하지 않는 경우에는 재생 처리를 할 수 없는 사태가 된다.
또,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는 디스크를 탑재하는 턴테이블이 복수 배치되는 트레이, 이 트레이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연결된 트레이용 모터, 턴테이블에 탑재된 디스크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픽업, 턴테이블에 접속되는 스핀들 모터의 스핀들, 스핀들 모터 및 픽업을 배치한 섀시, 및 스핀들이 트레이의 턴테이블에 접속되도록 섀시를 이동시키는 섀시용 모터를 구비한다.
그리고, 턴테이블에 탑재된 임의의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체인지를 행한 후에 스핀들과 턴테이블을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즉, 임의의 디스크를 탑재한 턴테이블이 섀시의 스핀들에 대응하도록 트레이를 트레이용 모터를 통하여 회전시키고, 그 후 스핀들이 트레이의 턴테이블에 접속되도록 섀시를 섀시용 모터를 통하여 이동(상승)시킨다.
그런데,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에서는 트레이의 회전 동작과 섀시의 이동(승강)동작을 별도의 모터 즉 트레이용 모터 및 섀시용 모터에 의해서 행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에서는 2개의 모터가 필요했기 때문에, 그 구동 경로를 형성하는 기어 등도 별도로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에서는 부품 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게 되는 동시에 고가가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 중에는 디스크를 탑재하는 턴테이블이 복수 배치되는 트레이, 턴테이블에 탑재된 디스크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픽업, 턴테이블에 접속되는 스핀들 모터의 스핀들, 및 스핀들 모터와 픽업을 배치한 섀시를 구비하는 타입이 있다.
즉, 상기 타입의 디스크 체인저는 트레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턴테이블과, 섀시에 배치된 스핀들 모터의 스핀들이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턴테이블과 스핀들이 접속되어 있지 않는 상태(디스크 체인지 모드 등)에서는 예를 들면 턴테이블의 바닥면이 트레이의 상면에 접촉되어 있다.
한편, 턴테이블과 스핀들이 접속되어 있는 상태(플레이 모드 등)에서는 턴테이블의 회전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령 스핀들에 의해 턴테이블을 트레이로부터 부상시켜, 턴테이블과 트레이가 접촉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에 탑재된 임의의 디스크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체인지를 행한 후에, 스핀들과 턴테이블을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즉, 임의의 디스크를 탑재한 턴테이블이 섀시의 스핀들에 대응하도록 트레이를 회전시키고, 그 후 스핀들이 트레이의 턴테이블에 접속되도록 섀시를 이동(상승)시킨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에서는 트레이에 배치된 턴테이블과, 섀시에 배치된 스핀들 모터의 스핀들이 분리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턴테이블을 트레이로부터 이격(부상) 시키기 위해서는 턴테이블과 트레이 사이에 간극(여유)이 필요하다.
즉, 턴테이블과 스핀들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 예를 들면 트레이가 회전하고 있는 디스크 체인지 시 또는 디스크 장치의 운반 시 등에서는 턴테이블과 트레이의 간극에 의해 이른바 덜컹거리는 소리가 발생하고 있다.
또, 상기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에 있어서, 스핀들과 턴테이블이 연결되는 연결 모드에서는 섀시가 장치 본체에 대하여 조작 레버만으로 지지되고 있었다. 즉, 상기 연결 모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착탈할 때는 의도하지 않은 하중이 트레이에 가해져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우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착탈하는 작업이 곤란해진다.
또한 상기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에 있어서, 트레이가 모서리부를 가지는, 예를 들면 평면 형상이 사각형 등인 경우에는 트레이가 회전하기 위해, 트레이에 배치된 턴테이블과 패널 개구부와의 간극을 넓게 해야 한다. 즉, 이 경우, 사용자는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는 턴테이블까지 손을 뻗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착탈하는 작업이 곤란해진다.
한편, 종래의 디스크 장치의 중에는 디스크를 턴테이블의 탑재면 상에 위치 결정하는 걸림 부재(볼, 코일 스프링 등)를 턴테이블에 설치하는 타입이 있다. 그리고, 디스크를 턴테이블의 탑재면 상에 위치 결정(장착)하는 데에는, 디스크는 걸림 부재를 통과해야 한다.
그런데, 디스크가 턴테이블에 완전히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시킬 수 없다. 또, 트레이가 회전하는 타입의 디스크 체인저에 있어서, 디스크가 트레이에 배치된 턴테이블에 완전히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트레이의 회전 중에 디스크가 원심력에 의해서 턴테이블로부터 날아갈 우려가 있다.
또,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체인저(300)에서, 디스크(10)를 탑재하는 턴테이블(302)이 배치되는 지지부(305)를 복수 구비하고, 또한 평면 형상이 삼각형의 모서리부(304A)를 가지는 트레이(304)를 구비하는 타입의 것이 고려된다. 그리고, 이 디스크 체인저(300)는 트레이(304)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고 있다.
그런데, 도 59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300)에서는 도 6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304)가 회전하여 디스크를 체인지할 때에, 트레이(304)의모서리부(304A)가 도 60의 일점쇄선으로부터 돌출된다. 즉, 디스크 체인저(300)는 그 베이스(301)의 좌우 방향의 길이에 있어서, 길이 LC의 2배가 필요하게 된다. 즉, 베이스(301)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트레이(304)의 최대 반경 LA의 2배, 즉 트레이(304)의 회전 중심 PA로부터 모서리부(304A)의 선단까지의 거리(트레이(304)의 최대 반경) LA의 2배가 필요하다.
또,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유지하는 종래의 디스크 유지 장치에서는 볼척(ball chuck) 기구를 턴테이블의 몸통부에 설치하고 있었다. 즉, 도 76 및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척 기구는 볼(474)과, 볼(474)의 일부를 턴테이블(470)의 몸통부(471)로부터 돌출시키는 코일 스프링(476)을 구비하고 있었다.
도 77에 나타낸 디스크(10)를 턴테이블(470)에 장착할 때는 볼(474)이 디스크(10)의 내주 직경부에 의해서 가압되기 때문에, 디스크(10)가 볼(474)을 통과하여 턴테이블(470)의 탑재부(472) 상에 탑재된다. 디스크(10)가 탑재부(472) 상에 탑재되면, 볼(474)이 코일 스프링(476)의 가압력에 의해서 밀려나간다. 즉, 볼(474)은 디스크(10)에 접촉하고 또한 탑재부(472) 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디스크(10)가 턴테이블(470)에 확실하게 유지(세트)된다.
그런데, 도 76 및 도 77에 나타낸 볼척 기구에서는 디스크(10)를 턴테이블(47O)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볼(474)에 가해지는 코일 스프링(47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디스크(10)를 강제적으로 탑재부(472)의 몸통부(471)로부터 빼내고 있었다.
즉, 볼(474)에 걸린 디스크(10)를 턴테이블(47O)로부터 무리하게 분리할 때는 디스크(10)가 파손되기 쉽기 때문에, 분리 시의 디스크(10) 취급을 신중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 해결 수단으로는 코일 스프링(476)의 가압력을 약하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 경우 장치 본체에 충격 등이 가해지면 디스크(10)가 몸통부(471)로부터 간단히 분리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 등의 음향기기에 장착되는 디스크 플레이어 등에 적용하는 바람직한 디스크 지지(支持) 장치, 디스크 유지(保持) 장치 및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복수 매의 컴팩트 디스크 등을 탑재하는 트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배치하는 디스크 체인저에 적용하는 바람직한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컴팩트 디스크 등을 탑재하는 트레이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컴팩트 디스크 등을 탑재하는 턴테이블을 구비하는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컴팩트 디스크 등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의 재생 등을 실행하는 디스크 장치에 적용하는 바람직한 디스크 유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 내에 배치되는 디스크 체인저와 도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의 주요부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턴테이블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턴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턴테이블의 지지부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도 2에 나타낸 턴테이블에 관한 주요부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나타낸 턴테이블에 링 부재가 접속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6에 나타낸 접속 기구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나타낸 턴테이블에 링 부재가 접속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7에 나타낸 구멍에 모터 축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구멍에 모터 축이 삽입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는 도 8에 나타낸 접속 기구의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9(A)의 9B-9B 선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도 9(A)에 나타낸 턴테이블의 구멍에 모터 축이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10B-10B 선의 단면도이다.
도 11(A)는 도 8에 나타낸 접속 기구의 또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나타낸 구멍에 모터 축이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2(A)는 도 8에 나타낸 접속 기구의 또 다른 변형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B)는 도 12(A)에 나타낸 구멍에 모터 축이 삽입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의 지지부에 12cm의 디스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의 지지부에 8cm의 디스크를 배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제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에 관한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6은 제1 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예에 관한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7(A)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변형예의 디스크 체인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7(B)는 도 17(A)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A)는 제1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변형예의 디스크 체인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18(B)는 도 18(A)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 내에 배치되는 디스크 체인저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트레이가 파단된 상태의 디스크 체인저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트레이의 구동 경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구동 경로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나타낸 트레이의 저면도이다.
도 24는 도 20에 나타낸 캠 기어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25-25선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26-26선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 20에 나타낸 캠 기어의 캠부 및 캠 홈을 전개한 전개도이다.
도 28은 도 20에 나타낸 트레이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 경로에 관한 설명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낸 트레이를 약간만 회전 구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0은 도 29에 나타낸 트레이를 약간만 회전 구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1은 도 30에 나타낸 트레이를 약간만 회전 구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나타낸 트레이를 약간만 회전 구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나타낸 트레이를 약간만 회전 구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4는 도 33에 나타낸 트레이를 약간만 회전 구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나타낸 트레이를 약간만 회전 구동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36은 도 3에 나타낸 캠 기어가 회전한 상태에서의 설명도이다.
도 37은 도 20에 나타낸 디스크 구동 유닛이 상승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8은 도 20에 나타낸 디스크 구동 유닛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20에 나타낸 조작 레버 및 위치 결정 레버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20에 나타낸 디스크 구동 유닛이 회전하여, 스핀들의 선단이 턴테이블의 구멍부에 약간만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1은 도 4O에 나타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2(A)는 도 40에 나타낸 스핀들이 또 턴테이블의 구멍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2(B)는 도 42(A)에서의 유지부와 결합 핀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A)는 도 42(A)에 나타낸 스핀들이 다시 턴테이블의 구멍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3(B)는 도 43(A)에서의 유지부와 결합 핀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A)는 도 43(A)에 나타낸 스핀들이 다시 턴테이블의 구멍부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4(B)는 도 44(A)에서의 유지부와 결합 핀과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는 도 40에 나타낸 디스크 구동 유닛이 회전하여 스핀들과 턴테이블의 연결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6은 도 45에 나타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7은 제2 실시예에 관한 디스크 장착에 관한 검출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8은 도 47에 나타낸 검출 구조에 있어서 디스크가 적정하게 탑재된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49는 도 47에 나타낸 검출 구조에 있어서 디스크가 적정하게 탑재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설명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관한 디스크 체인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평면도이다.
도 51은 도 50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2는 도 51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가 경사 이동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관한 디스크 체인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4는 도 53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5(A)는 도 54에 나타낸 구동 기어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55(B)는 도 55(A)에 나타낸 기어의 맞물림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6은 도 53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57은 도 56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를 좌측으로 슬라이드한 평면도이다.
도 58은 도 57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를 우측으로 슬라이드한 평면도이다.
도 59는 디스크 체인저에서의 트레이 형상을 대략 삼각뿔 형상으로 한 경우의 평면도이다.
도 60은 도 59에 나타낸 트레이가 회전한 경우의 돌출 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디스크 유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62는 도 61의 62-62선의 단면도이다.
도 63은 도 62에 나타낸 훅 레버 및 잠금 부재가 접촉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4는 도 62에 나타낸 턴테이블과 스핀들의 연결 부재가 연결되고, 또한 턴테이블을 지지부로부터 들어 올린 플레이 모드 또는 스톱 모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5는 도 64에 나타낸 배출 버튼을 가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관한 디스크 유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7은 도 66에 나타낸 칼라의 사시도이다.
도 68은 도 66에 나타낸 칼라의 사시도이다.
도 69(A)는 도 67의 69A-69A 선의 단면도이고, 도 69(B)는 도 67의 69B-69B 선의 단면도이다.
도 70은 도 66에 나타낸 칼라가 턴테이블의 연결 오목부에 접촉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1은 도 66에 나타낸 턴테이블과 스핀들의 연결 부재가 결합한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2는 배출 버튼이 눌러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3은 제1 실시예를 변형시킨 디스크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4는 종래예에 관한 디스크 체인저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5는 종래예에 관한 디스크 플레이어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6은 종래예에 관한 턴테이블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7은 도 76에 나타낸 턴테이블의 단면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면에서의 공간을 작게 하는 동시에, 간단하고 또한 저가인 디스크 지지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디스크의 턴테이블에 대한 위치 결정 및 턴테이블의 위치 결정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하는 디스크 유지 장치 및 디스크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턴테이블을 복수 배치한 트레이의 회전과, 정보 처리 수단을 배치한 홀더의 이동을 공통의 구동 경로를 통하여 행하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턴테이블과 트레이의 간극에 의한 덜컹거림을 방지하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착탈하는 작업성을 양호하게 하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가 턴테이블에 적정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할 수 있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평면 형상이 삼각형인 트레이를 구비하여 장치 본체를 소형화하는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고정 수단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의 가압력이 약하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디스크를 턴테이블 상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디스크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턴테이블과 제1 구동 수단이 접속 가능한 타입의 디스크 유지 장치에 있어서, 제1 구동 수단과 턴테이블의 위치 결정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하는 디스크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디스크 지지 장치는 디스크가 유지되는 동시에 그 디스크를 회전 지지하는 제1 유지 수단과,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동심 형상으로 복수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가지고, 상기 지지 수단이 상기 동심을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지지 수단에 동심 형상으로 복수 지지된 제1 유지 수단이 디스크를 유지하는 동시에 회전 지지하기 때문에, 디스크를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장착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디스크 지지 장치의 평면에서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평면에서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서는, 상기 제1 유지 수단은 상기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에 설치된 디스크 구동 수단에 접속 또는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유지되는 디스크의 재생 가능 상태에 있어서, 각각의 디스크면이 상기 축 상의 소정의 점을 정점(頂点)으로 하는 다각뿔 형상의 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재생 가능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면이 축 상의 소정의 점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뿔 형상의 면을 구성하도록 제1 유지 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디스크 지지 장치의 평면에서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평면에서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청구범위 제3항 기재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 지지 장치의 평면에서의 면적이 종래의 턴테이블보다도 작아지기 때문에, 복수의 디스크를 공간 절약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배치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5항 기재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서는,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개방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디스크의 반경보다 짧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5항 기재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걸림부로부터 지지부의 개방 단부까지의 거리가 디스크의 반경보다 짧게 구성되었기 때문에, 지지부의 크기를 종래예의 턴테이블의 탑재부의 크기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6항 기재의 디스크 유지 장치에서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 및 상기 제1 구동 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을 접속 가능하게 하는 접속 수단을 가지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제1 구동 수단을 자기 유지(自己保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7항 기재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과 접속 및 개방 가능한 디스크 구동 수단,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제1 구동 수단을 접속하는 접속 수단, 및 상기 턴테이블을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제1 구동 수단을 접속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6항 또는 제7항 기재의 디스크 유지 장치 또는 디스크 장치에서는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유지시킨다. 접속 수단은 제1 구동 수단과 턴테이블을 접속한다. 이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접속 수단이 턴테이블과 제1 구동 수단을 자기 유지한다. 여기에서, 「자기 유지」란, 제1 구동 수단과 턴테이블의 양자를 자력 등으로 견고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개념이다. 즉, 청구범위 제6항 또는 제7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접속 수단이 턴테이블과 제2 의 구동 수단을 자기 유지하기 때문에, 턴테이블과 제1 구동 수단의 접속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제1 구동 수단이 구동하여 턴테이블을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턴테이블에 유지되는 디스크는 회전한다. 또, 접속 수단은 제1 구동 수단과 턴테이블과의 접속을 개방한다.
청구범위 제6항 또는 제7항 기재의 디스크 유지 장치 또는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제1 이동 수단에 의해서 턴테이블을, 턴테이블과 제1 구동 수단을 접속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성의 디스크 장치 등이더라도, 디스크가 미리 턴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턴테이블에 대하여 어긋나는 일이 없고, 종래와 같은 디스크의 척킹의 실패가 없어진다. 또, 청구범위 제6항 또는 제7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디스크를 미리 턴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변형 디스크 등이더라도 턴테이블에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8항 기재의 디스크 유지 장치에서는, 제1 접속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턴테이블, 상기 제1 접속부와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 상기 접속부끼리를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제1 구동 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을 접속시키는 접속 수단, 및 상기 접속부끼리를 접속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상기 제2 접속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8항 기재의 디스크 유지 장치에서는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유지시킨다. 접속 수단은 제1 구동 수단과 턴테이블을 접속하고, 또한 제1 위치 결정 수단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접속시킨 상태에 있어서, 제1 접속부 또는 제2 접속부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제1 구동 수단이 구동하여 턴테이블을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턴테이블에 유지되는 디스크는 회전한다. 또, 접속 수단은 제1 구동 수단과 턴테이블의 접속을 개방한다.
청구범위 제8항 기재의 디스크 유지 장치에 의하면, 제1 위치 결정 수단이 접속부를 예를 들면 하나의 방향(후술하는 제1 실시예 중의「기준면」 등)으로 가압시킴으로써, 제1 구동 수단과 턴테이블과의 직경 방향의 위치 맞춤이 행하여지고, 따라서 제1 구동 수단의 회전 시에 턴테이블의 회전 치우침이 방지된다.
또, 청구범위 제8항 기재의 디스크 유지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 장치에 배치되는 픽업과, 턴테이블에 장착되는 디스크와의 거리 및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이 항상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포커스 서보 및 트래킹 서보의 제어가 적정하게 기능한다.
또한, 청구범위 제9항 기재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제1 이동 수단에 의해서 턴테이블을 턴테이블과 제1 구동 수단을 접속하는 위치와 기타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성의 디스크 장치 등이더라도 디스크가 미리 턴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턴테이블에 대하여 어긋나는 일이 없고, 종래와 같은 디스크 척킹의 실패가 없어진다. 또, 청구범위 제9항 기재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를 미리 턴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변형 디스크 등이더라도 턴테이블에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10항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디스크를 탑재하는 턴테이블이 복수의 지지부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되는 트레이와 상기 턴테이블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접속 수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접속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에 대한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수단을 배치하는 홀더와 상기 트레이의 회전과 상기 홀더의 이동을 공통의 구동 경로를 통하여 행하는 제2 구동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10항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단일의 제2 구동 수단이 트레이의 회전과 홀더의 이동을 공통의 구동 경로를 통하여 행한다. 즉, 청구범위 제10항의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공통의 제2 구동 수단 및 구동 경로를 통하여 트레이의 회전 및 홀더의 이동이 각각 행하여지기 때문에,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에 비해 부품 수가 줄고, 따라서 구성이 쉽게 되는 동시에 저가로 된다.
청구범위 제11항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디스크를 탑재하는 턴테이블이 복수의 지지부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되는 트레이와, 상기 턴테이블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접속 수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접속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에 대한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미접속 모드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잠금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11항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접속 수단이 턴테이블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미접속 모드에 있어서, 잠금 수단이 턴테이블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한다. 한편, 접속 수단이 턴테이블에 접속되어 있는 접속 모드에서는 잠금 수단이 턴테이블로부터 이격되고, 턴테이블이 트레이로부터 부상하여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청구범위 제11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미접속 모드에 있어서, 잠금 수단이 턴테이블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기 때문에, 턴테이블과 스핀들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예를 들어 트레이가 회전하고 있는 디스크 체인지 시 또는 디스크 장치의 운반 시 등에 있더라도, 턴테이블과 트레이의 간극에 의한 덜컹거림, 즉 덜컹거리는 소리의 발생이 방지된다.
청구범위 제12항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디스크를탑재하는 턴테이블이 배치되는 트레이와 상기 턴테이블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접속 수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접속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에 대한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수단과, 상기 접속 수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접속하는 접속 완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을 상기 접속 완료 상태로 위치 결정하는 제3 위치 결정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12항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접속 수단이 턴테이블에 접속되는 접속 완료 상태에 있어서, 제3 위치 결정 수단이 정보 처리 수단을 접속 완료 상태로 위치 결정한다. 즉, 청구범위 제12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접속 완료 상태에 있어서, 제3 위치 결정 수단이 정보 처리 수단을 접속 완료 상태로 위치 결정하기 때문에,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착탈할 때에 의도하지 않은 하중이 트레이에 가해지더라도 트레이가 확실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12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접속 완료 상태에서의 트레이가 제3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서 확실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착탈하는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13항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디스크를 탑재하는 턴테이블이 배치되는 동시에 모서리부를 가지는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 본체, 상기 디스크를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착탈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패널, 및 상기 디스크가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착탈할 때 상기 장치 본체를 상기 트레이가 상기 패널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이동 수단은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대하여 착탈할 때, 즉 트레이를 회전시킨 후(예를 들어 디스크 체인지 후), 장치 본체를 트레이가 패널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킨다. 즉, 청구범위 제13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 체인지 후, 제2 이동 수단이 장치 본체를 트레이가 패널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키기 때문에, 턴테이블과 패널 개구부와의 간극이 종래보다도 작아진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13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턴테이블과 패널 개구부와의 간극이 종래보다도 작아지기 때문에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착탈하는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14항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구비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크를 상기 탑재면에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 및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2 유지 수단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가 상기 탑재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크가 턴테이블에 적정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제2 지지 수단 상에 위치하는 경우, 검출 수단은 디스크가 턴테이블의 탑재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검출한다. 한편, 디스크가 턴테이블에 적정하게 장착되어 있는 경우, 검출 수단은 디스크가 제2 유지 수단에 의해서 턴테이블의 탑재면 상에 평행 상태로 탑재(적정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검출한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14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가 턴테이블에 적정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 수단이 검출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디스크 체인저에 있어서, 트레이의 회전 중에 디스크가 원심력에 의해서 턴테이블로부터날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범위 제15항 기재의 디스크 장치에서는, 디스크를 탑재하는 턴테이블이 배치되는 지지부를 복수 구비하고, 또한 평면 형상이 삼각형인 모서리부를 가지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 본체, 및 상기 트레이의 회전 시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지지부가 상기 장치 본체의 정면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모서리부가 돌출되는 돌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이드 수단은, 트레이의 회전 시에 있어서, 트레이를 지지부가 장치 본체의 정면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로부터 모서리부가 돌출되는 돌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즉, 청구범위 제15항 기재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트레이의 회전 시에 있어서, 트레이를 트레이의 모서리부가 장치 본체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슬라이드시키기 때문에 장치 본체를 종래보다도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16항 기재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서는,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부 및 상기 디스크의 중심 구멍을 끼워 넣은 장착부를 구비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배치되고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디스크를 상기 장착부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턴테이블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 수단을 상기 장착부 외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 상기 턴테이블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장착부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 및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이 이동에 연동되는 상기 규제 수단을 상기 고정 수단으로부터 후퇴시키는 해제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크가 턴테이블에 탑재되면, 고정 수단이 디스크에 접촉하여 디스크를 턴테이블 상에 유지시킨다. 디스크를 턴테이블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해제 수단을 이동시킨다. 해제 수단이 이동하면, 고정 수단이 장착부 내측으로 이동 가능해져서 디스크가 탑재부에서 분리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디스크를 턴테이블로부터 분리한다.
한편, 고정 수단과 규제 수단이 대향하는 상태(예를 들면, 스톱 모드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디스크에 대하여 외부로부터 의도하지 않은 힘(하중) 등이 가해진 경우, 고정 수단의 위치가 규제 수단에 의해서 규제되기 때문에 고정 수단이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유지시킨다.
즉, 청구범위 제16항 기재의 디스크 유지 장치에 의하면, 가령 장치 본체 등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고정 수단과 규제 수단이 접촉하기 때문에, 디스크가 간단히 턴테이블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되어, 디스크를 턴테이블 상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18항 기재의 디스크 유지 장치에서는, 제3 접속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연결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3 접속부에 접속하는 제4 접속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 및 상기 접속부끼리를 접속시킨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속부 및 상기 제4 접속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 결정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위치 결정 수단은 제3 접속부 및 제4 접속부를 접속시킨 상태에 있어서,제3 접속부 또는 제4 접속부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제1 구동 수단이 구동하여 턴테이블을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턴테이블에 유지되는 디스크는 회전한다.
청구범위 제18항 기재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서는, 제1 구동 수단을 턴테이블에 대하여 접속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어도, 턴테이블의 제3 접속부와 제1 구동 수단의 제4 접속부 사이에 제2 위치 결정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이 제2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서 제3 접속부와 제4 접속부가 견고하게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턴테이블이 진동에 강하게 된다.
또, 청구범위 제18항 기재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제3 접속부 및 제4 접속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 결정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제1 구동 수단과 턴테이블과의 직경 방향의 위치 맞춤이 행하여지고, 따라서 제1 구동 수단의 회전 시에 턴테이블의 회전 치우침이 방지된다.
또한, 청구범위 제18항 기재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 장치에 배치되는 픽업과, 턴테이블에 장착되는 디스크와의 거리 및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이 항상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포커스 서보 및 트래킹 서보의 제어가 적정하게 기능한다.
(제1 실시예)
이하, 도 1 내지 도 6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디스크 지지 장치, 디스크 유지 장치 및 디스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는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에 조립되는 디스크 체인저에서의 예이다.
또, 도 1은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 내에 배치되는 디스크 체인저와 도어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의 주요부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턴테이블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턴테이블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나타낸 턴테이블의 지지부의 정면도이다.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이하, 단순히「스테레오 장치」라고 한다)의 캐비넷(12)에는 디스크 체인저(20)가 내장되어 있는 동시에, 캐비넷(12)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부(13)가 디스크 체인저(20)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스테레오 장치에는 도어(14)가 개구부(13)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스테레오 장치에는 도어(14)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개폐 버튼이 배치되어 있고, 개폐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도어(14)가 슬라이드하여 개구부(13)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또, 스테레오 장치에는 도시하지 않은 튜너, 테이프레코더 등이 내장되어 있다.
(디스크 체인저의 구성)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체인저(20)는 프레임(22)에 배치되는 디스크 구동 유닛(24)과, 복수의 디스크를 지지하는 트레이(26)를 구비한다. 디스크 구동 유닛(24)은 그 베이스(28)에 장착되는 지지 축(30)이 프레임(22)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32)에 삽입 통과되고, 베어링(32)을 통하여 프레임(22)에 연결되어 있다. 또, 지지 축(32)의 일단에는 제1 구동 수단인 모터(34)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28)는 모터(34)가 회전함으로써, 지지 축(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한, 디스크 구동 유닛(24)에는 픽업(36)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트레이(26)에 배치된 턴테이블(42)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으로서의 모터(38)(도 6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38)의 모터 축(39)에는 접속 수단을 구성하는 링 부재(40)가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링 부재(40)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트레이(26)의 턴테이블(42)에 대하여 접속 또는 이격된다(도 6(A) 및 도 6(B) 참조).
링 부재(40)의 선단에는 모터 축(39)의 직경보다도 직경이 큰 헤드부(4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헤드부(40A)의 선단은 끝이 가늘게 되어 있다. 또, 링 부재(40)의 헤드부(40A) 측에는 접속 수단을 구성하는 자석 부재(41)가 고정되어 있고, 이 자석 부재(41)는 링 부재(40)와 동심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26)는 12cm의 디스크(10)(도 13 참조) 또는 8cm의 디스크(11)(도 14 참조) 등의 디스크를 지지한 턴테이블(42)을 지지하는 판형의 지지부(44)가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매) 설치되고 또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부(44)는 트레이(26)의 회전 중심이 되는 스핀들(50)의 축심 P2(도 4 참조), 즉 회전 중심이 정점 P1이 되도록 경사져 있다. 즉, 트레이(26)는 대략 삼각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들 측면을 형성하는 부위가 지지부(44)로 되어 있다.
또, 트레이(26)의 회전 중심부가 되는 정상부(46)는 플랫형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트레이(26)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26)는 그 정상부(46)의 중심에 스핀들(50)의 선단이 장착되어 있다. 또, 트레이(26)는 그 일면의 지지부(44)가 개구부(13)에 대응하고, 그 개구부(13)로부터 디스크(10)를 인출 또는 장착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스핀들(50)의 기단에는 트레이(26)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52)가 장착되어 있고, 모터(52)가 회전함으로써 트레이(26)는 정점 P1(스핀들(50)의 축심 P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 스테레오 장치에는 각 지지부(44)에 대응하는 도시하지 않은 선택키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지지부(44)에는 고유의 식별자(식별 번호)가 미리 부여되어 있고, 이들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선택키를 조작함으로써 트레이(26)가 스핀들(5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선택된 지지부(44)가 도 1에 나타낸 도어(14)(개구부(13))에 대향한다.
도 2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지지부(44)에는 합성수지제의 턴테이블(42)이 디스크 구동 유닛(24)에 배치되는 링 부재(40)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42)은 12cm의 디스크(10) 또는 8cm의 디스크(11) 등의 디스크를 탑재시키는 탑재부(42A)와, 디스크(10)(또는(11) 등)의 구멍의 내주 직경부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외경으로 되어있는 몸통부(42B)를 구비한다.
또, 턴테이블(42)에는 그 몸통부(42B)에 디스크(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수단인 볼척(ball chuck)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척 기구는 그 구성 부품인 볼(54)의 일부를 턴테이블(42)로부터 돌출시키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 등이 턴테이블(42)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볼(54)이 디스크(10)의 내주 직경부에 의해서 가압되면, 디스크(10)는 볼(54)을 통과하여 탑재부(42A) 상에 탑재된다.
디스크(10)가 탑재부(42A) 상에 탑재되면, 볼(54)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려나간다. 즉, 볼(54)은 디스크(10)에 접촉하고 또한 탑재부(42A) 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디스크(10)가 턴테이블(42)에 확실하게 지지된다.
또한,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42)에는 탑재부(42A)와 동일 직경의 기부(42C)와, 이 기부(42C)와 탑재부(42A)를 연결하는 연결부(42D)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턴테이블(42)은 지지부(44)를 탑재부(42A)와 기부(42C) 사이에 끼우고, 연결부(42D)가 지지부(44)에 설치된 관통 구멍(45)에 삽입 통과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턴테이블(42)에는 그 기부(42C)에 접속 수단인 금속제의 링 부재(43)가 고정되어 있다. 또, 턴테이블(42) 및 링 부재(43)에는 도 6의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구멍(5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56)은 링 부재(40)의 헤드부(40A)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42)과 링 부재(40)(자석(41)을 포함함)는, 헤드부(40A)가 구멍(56)에 삽입되는 상태에 있어서, 자석 부재(41)가 금속제의 링 부재(43)를 자력으로 흡착함으로써 확실하게 접속된다.
즉, 도 2에 나타낸 베이스(28)를 프레임(22)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링 부재(40)를 대응하는 지지부(44)에 대하여 이격, 근접시킴으로써, 링 부재(40)를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턴테이블(42)로부터 이격시키거나,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턴테이블(42)에 접속시킨다.
그리고, 링 부재(40)가 턴테이블(42)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도 6(A)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트레이(26)는 모터(52)(도 4 참조)에 의해서 회전 가능한 동시에, 원하는 지지부(44)는 도어(14)(도 1 참조)에 대응하여 정지한다. 또, 디스크 체인저(2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레이(26)의 정지 상태에 있어서, 자석 부재(41)가 링 부재(43)에 접속되는 턴테이블(42)의 회전 가능 상태(도 6(B)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 턴테이블(42)의 회전 가능 상태에 있어서, 턴테이블(42)이 모터(38)에 의해서 회전하는 동시에, 도 2에 나타낸 픽업(36)이 디스크(10 또는 11)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행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44)는 12cm의 디스크(10)를 턴테이블(42)에 탑재시킨 경우에 디스크(10)의 대략 절반 정도가 대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본 실시예에 있어서, 평판 형상의 지지부(44)는 턴테이블(42)을 지지하면 되기 때문에, 트레이(26)의 크기를 도 75에 나타낸 종래예의 탑재 테이블(82)의 탑재부의 크기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또, 이 제1 실시예는 제4항에 대응하는 것이며, 걸림부에서의 관통 구멍(45)으로부터 지지부(44)의 개방 단부까지의 거리가 디스크(10)의 반경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26)는 12cm의 디스크(10)가 지지부(44)에 각각 지지되는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10)끼리 중복(오버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12cm의 디스크(10)를 3개소의 지지부(44)에 각각 탑재하더라도, 3매의 디스크(10)끼리 오버랩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개구부(13)를 통하여 신속하고 또한 용이하게 디스크(10)를 장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를 디스크 체인저(20)의 트레이(26)에 장착하는 데에는 먼저, 도시하지 않은 선택키를 조작하여 원하는 지지부(44)를 개구부(13)에 대향시킨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개폐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도어(14)를 슬라이드시켜 개구부(13)를 개방시킨다.
개방된 개구부(13)에는 원하는 지지부(44)가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이 지지부(44)의 턴테이블(42)에 디스크(10)를 장착시킨다. 즉, 디스크(10)는 볼척 기구(볼(54) 등)를 가지는 턴테이블(42)에 의해 지지부(4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26)가 대략 삼각뿔 (입체) 형상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종래예의 턴테이블(492)(도 74 참조)의 평면에서의 면적보다도 작아지고, 따라서 평면에서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이(26)의 평면에서의 면적이 도 74에 나타낸 종래예의 턴테이블(492)보다도 작아지기 때문에, 복수의 디스크(10 또는 11)를 공간 절약의 트레이(26)에 배치할 수 있다.
또, 디스크(10 또는 11)를 지지하는 턴테이블(42)은 지지부(44)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지 않고, 디스크 구동 유닛(24)이 지지부(44)의 턴테이블(42)로부터 이격되는 도 6(A)에 나타낸 대기 상태로 놓을 수 있는 디스크(10 또는 11)는 지지부(44)와 같은 각뿔면을 형성하지 않는다.
한편, 디스크 구동 유닛(24)에 배치된 자석 부재(41)가 턴테이블(42)의 링 부재(43)에 접속되는 재생 가능 상태(도 6(B)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그 대응하는 디스크(10 또는 11)는 지지부(44)와 평행하게 되는 다각뿔면을 형성한다.
또, 트레이(26)의 지지부(44)를 개구(13)에 대응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하는 경우에는 트레이(26)의 회전축 P2를 적절하게 경사지게 하면 되고, 디스크 장착 또는 디스크 인출을 위해, 종래예와 같은 트레이(494)(도 74 참조)를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기구가 불필요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이(26)의 회전 구동 수단만으로 원하는 디스크(10 또는 11)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테레오 장치에 배치되는 기구가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저가로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턴테이블(42)에 볼(54) 등을 포함하는 볼척 기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 방향 또는 수평 또는 경사 방향으로 배치되는 디스크(10 또는 11)이더라도, 턴테이블(42)에 의해 트레이(26)에 각각 확실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디스크 장치에 대하여 디스크가 어떠한 방향이더라도, 디스크 장치 내외에 대하여 유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26)의 정지 상태(도 1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모터(34)가 회전함으로써, 베이스(28)는 지지 축(30)을 중심으로 하여 개구부(13)에 대향하는 지지부(44) 측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베이스(28)에 배치되는 모터(38)(도 6(A) 참조)가 지지부(44)를 향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모터(38)에 연결된 링 부재(4Q) 및 자석 부재(41)가 턴테이블(42)의 링 부재(43)에 접속된다(도 6(B) 참조).
즉,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42)과 링 부재(40)는, 헤드부(40A)가 구멍(56)에 삽입되는 상태에 있어서, 자석 부재(41)가 금속제의 링 부재(43)를 자력에 의해서 흡착하여 접속한다. 이 접속 상태에 있어서, 자석 부재(41) 및 링 부재(43)가 턴테이블(42)과 링 부재(40)를 자기 유지한다.
여기에서, 「자기 유지」란, 제1 구동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링 부재(40)와 턴테이블(42)의 양자를 자력으로 견고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지지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자석 부재(41)와 링 부재(43)의 면이 자력에 의해서 자기 유지된 상태로 접속하기 때문에, 턴테이블(42)과 링 부재(40)의 접속이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되는 동시에, 모터(38)와 턴테이블(42)의 축 방향 위치 맞춤이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된다.
그리고, 이 턴테이블(42)의 회전 가능 상태에 있어서, 모터(38)가 구동함으로써 턴테이블(42)은 회전한다. 이로 인해, 디스크(10)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픽업(36)에 의해서 재생된다.
또, 디스크를 체인지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28)를 개구부(13)에 대향하는 지지부(4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회전시킨다. 즉, 도 6(B)에 나타낸 모터(38)가 지지부(4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하기 때문에, 링 부재(40)의 자석 부재(41)는 턴테이블(42)의 링 부재(43)로부터 이격되어 자석 부재(41)와 링 부재(43)와의 접속이 해제된다(도 6(A) 참조).
이로 인해, 도 2에 나타낸 스핀들(50)이 회전함으로써,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26)는 회전 가능해지고, 선택된 지지부(44)가 개구부(13)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정지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10)를 턴테이블(42)에 장착시킨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에 나타낸 모터(34)를 회전시킴으로써, 자석 부재(41)와 링 부재(43)를 접속시키고, 턴테이블(42)을 회전 가능 상태로 만든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10 또는 11)를 미리 턴테이블(42)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키기 때문에, 디스크(10)가 턴테이블(42)에 대하여 어긋나는 일이 없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디스크(10)에 대한 척킹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은 디스크의 척킹의 실패가 없어진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8cm의 디스크(11), 디스크의 형상을 하트 모양 등으로 변형시킨 이른바 변형 디스크, 또는 라벨 등을 첨부한 CD-R 등을 각 지지부(44)에 탑재하는 경우에도, 종래와 같이 특별한 기구(클램퍼 또는 8cm의 디스크의 외형에 대응하는 오목한 형상을 탑재부에 설치하는 등)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턴테이블(42)에 볼척과 같은 디스크 유지 가능한 기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레오 장치, 즉 디스크 체인지(20)에 대한 충격이나 기울기 등에 의하는 디스크 탑재부에서의 디스크의 튀어나감을 방지하는 튀어나감 방지 기구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14)를 투명 또는 반투명 등으로 성형함으로써 트레이(2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 디스크 체인지를 행할 때의 트레이(20)의 회전 상태를 인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하는 트레이(20)가 대단히 독특한 동작을 하기 때문에, 미관이 양호하게 되는 동시에,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접속 기구는 도 6에 나타낸 접속 기구의 다른 변형예이다. 또, 도 7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예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또, 도 7의 예에는 볼(54)의 일부를 턴테이블(42)로부터 돌출시키는 코일 스프링(55)이 도시되어 있다.
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축(39)은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선단부(39A)는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로 되어 있다. 또, 링 부재(40)는 모터 축(39)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고 있고, 그 턴테이블(42)에 대향하는 대향부에 접속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링형의 자석 부재(41)가 고정되어 있고, 이 자석 부재(41)는 링 부재(40)와 동심으로 되어 있다.
또한, 탑재부(42A)에는 홈(42C)이 탑재부(42A)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44)에는 탑재부(42A)의 홈(42C)에 대응하는 부위에 관통 구멍(45)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45)에 탑재부(42A)의 홈(42C)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 져 있다.
즉, 턴테이블(42)은 그 홈(42C)을 지지부(44)의 관통 구멍(45)에 끼워 넣은 것에 의해, 지지부(4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턴테이블(42)에는 그 탑재부(42A)의 링 부재(40)에 대응하는 면에 접속 수단인 금속제의 링 부재(43)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턴테이블(42)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멍(56)이 형성되어 있어, 이 구멍(56)에 모터 축(39)이 삽입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56)은 그 링 부재(43)측의 단부에 형성된 진원형의 가이드부(56A)와, 이 가이드부(56A)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제1 위치 결정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준부(56B)를 구비한다.
가이드부(56A)는 모터 축(39)의 대략 2배의 직경을 가지고, 기준부(56B)는 모터 축(39)과 가이드부(56A)의 대략 중간의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 가이드부(56)의 기준부(56B) 측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고, 모터 축(39)이 구멍(56)의 기준부(56B)에 삽입될 때 가이드가 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준부(56B)에는 그 주벽에 직선형의 한 쌍의 기준면(56C)이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기준부(56B)는 기준면(56C)이 교차하는 교점 P3으로부터 V자형으로 나누어지고, 가이드부(56A)와 동심원 형상의 원호면(56D)이 연속하고 있다. 기준면(56C)의 각도 θ1은 모터 축(39)이기준면(56C)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모터 축(39)과 기준부(56B)와의 축심 P4(도 8(B) 참조)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턴테이블(42)에는 그 기준면(56C)에 대향하는 부위에 장착부(56E)가 원호면(56D)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56E)에는 제1 위치 결정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판 스프링(57)이 배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57)은 그 기부(57A)가 턴테이블(42)의 몸통부(42B)의 외면에 도시하지 않은 고정 수단(예를 들면, 나사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판 스프링(57)의 자유단 측에는 대략 V자형으로 절곡한 절곡부(57B)가 형성되어 있다. 또, 판 스프링(57)은 그 절곡부(57B)가 기준부(56B) 내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7(B)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 스프링(57)은 모터 축(39)이 기준부(56B)에 삽입되어 절곡부(57B)가 모터 축(39)과 접촉하는 상태에 있어서, 모터 축(39)을 기준면(56C) 측으로 가압한다.
또, 턴테이블(42)과 모터(38)는, 모터 축(39)이 구멍(56)에 삽입되는 상태에 있어서, 자석 부재(41)가 금속제의 링 부재(43)를 자력으로 흡착함으로써 접속된다. 즉, 도 2에 나타낸 베이스(28)를 프레임(22)에 대하여 회전시키고, 링 부재(40)를 대응하는 지지부(44)에 대하여 이격, 근접시킴으로써, 링 부재(40)를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응하는 턴테이블(42)로부터 이격시키거나,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턴테이블(42)에 접속시킨다.
이 접속 상태에 있어서는 판 스프링(57)이 모터 축(39)을 기준면(56C)에 가압시킴으로써, 모터 축(39)의 외주면과 기준면(56C)에 의해 모터 축(39)과 턴테이블(42)의 축심 P4를 함께 정렬한다. 또, 모터(38)와 턴테이블(42)과의 축 방향의 거리는 자석 부재(41)와 링 부재(43)의 면이 접속함으로써 위치 맞춤이 행하여진다.
즉, 도 7의 예에서는 베이스(28)에 배치되는 모터(38)가 지지 축(30)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는 지지부(44) 측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축(39)의 선단부(39A)가 턴테이블(42)의 가이드부(56A)에 가이드되면서 기준부(56B)로 이동한다. 그리고, 모터 축(39)이 판 스프링(57)의 절곡부(57B)에 접촉하면, 판 스프링(57)은 모터 축(39)을 기준면(56C) 측으로 가압시킨다.
이로 인해,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축(39)은 각 기준면(56C)에 대하여 각각 접촉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모터 축(39)과 기준부(56B)의 축심 P4가 동일하게 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판 스프링(57)이 모터 축(39)을 기준면(56C)으로 가압시킴에 따라 모터 축(39)의 외주면과 기준면(56C)에 의해 모터 축(39)과 턴테이블(42)의 축심 P4를 함께 정렬하기 때문에,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모터 축(39)과 턴테이블(42)의 직경 방향 위치 맞춤을 할 수 있는 동시에, 모터 축(39)의 회전 시에 턴테이블(42)의 회전 치우침이 방지될 수 있다.
모터 축(39)이 구멍(56) 내에 소정 길이 삽입되면, 자석 부재(41)가 링 부재(43)에 접촉하고, 따라서 자석 부재(41)는 금속제의 링 부재(43)를 자력으로 흡착 접속한다. 이 접속 상태에 있어서, 자석 부재(41) 및 링 부재(43)가 턴테이블(42)과 링 부재(40)를 자기 유지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크 구동 유닛(24)에 배치되는 픽업(36)과, 턴테이블(42)에 장착되는 디스크(10)와의 거리 L1(도 7(B) 참조) 및 턴테이블(42)의 회전 중심이 항상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포커스 서보 및 트래킹 서보의 제어가 적정하게 기능한다.
그리고, 턴테이블(42)의 회전 가능 상태(도 7(B)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모터(38)가 구동함으로써 턴테이블(42)은 회전한다. 이로 인해, 디스크(10)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픽업(36)에 의해서 재생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도 7의 제1 위치 결정 수단(구멍(56), 판 스프링(57) 등으로 구성되는 수단)을 변형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판 스프링(57) 대신, 합성수지제의 턴테이블(42)의 일부에 탄성부(48)를 설치하는 예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42)에는 그 기준면(56C)에 대향하는 부위에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탄성부(4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탄성부(48)의 기준부(56B)의 반대측에는 원호부(49)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준부(56B)는 그 평면 형상이 모터 축(39)의 원호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따라서 모터 축(39)이 기준부(56B) 내에 삽입될 때에 모터 축(39)이 탄성부(48)에 대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모터(38)가 턴테이블(42) 측으로 이동함으로써, 도 9(B)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축(39)의 선단부(39A)의 테이퍼 부분은기준면(56C) 및 탄성부(48)에 접촉한다. 또한,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축(39)이 이동함으로써, 탄성부(48)는 모터 축(39)에 의해 원호부(49) 측으로 가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48)가 모터 축(39)에 의해 원호부(49) 측으로 가압됨으로써, 기준부(56B)가 모터 축(39)에 의해서 변형한다. 그리고, 모터 축(39)은 기준부(56B)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탄성부(48)에 의해서 기준면(56C)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모터 축(39)의 외주면과 기준면(56C)에 의해 모터 축(39)과 턴테이블(42)의 축심 P4를 함께 정렬하기 때문에,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모터 축(39)과 턴테이블(42)의 직경 방향 위치 맞춤을 할 수 있다. 또, 기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11을 참조하여, 도 9에 나타낸 제1 위치 결정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기준면의 평면 형상을 변형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기준면(74)은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원호부(49)의 원호면과 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축(39)이 기준부(56B) 내에 삽입되어 탄성부(48)에 의해서 기준면(74) 측을 향하여 가압되면, 모터 축(39)은 기준면(74)의 정점(74A)과, 정점(74A)에 대응하는 탄성부(48)의 부분에 접촉한다.
즉, 모터 축(39)은 기준부(56B)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탄성부(48)에 의해서 기준면(74)의 정점(74A)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모터 축(39)의 외주면과 기준면(74)에 의해 모터 축(39)과 턴테이블(42)의 축심 P4(도 11(B) 참조)를 함께 정렬하기 때문에,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모터 축(39)과 턴테이블(42)의 직경 방향 위치 맞춤을 할 수 있다. 또, 기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여, 도 7에 나타낸 제1 위치 결정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판 스프링 및 기준면을 변형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판 스프링(76)은 V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부(76A)를 중심으로 하여 절곡되는 경우에 판 스프링(76)의 단부(76B)끼리가 가까이 가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구멍(78)은 그 평면 형상이 대략 화살촉 형상으로 되어 있다.
턴테이블(42)에는 판 스프링(76)의 단부(76B)에 대응하는 구멍(78)의 부분에 접촉부(79)가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76) 및 접촉부(79)는 모터 축(39)을 구멍(78) 내에 삽입시킨 상태에 있어서, 모터 축(39)과 구멍(78)의 축심 P4(도 12(B) 참조)가 동심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접촉부(79)는 구멍(78)의 축 방향에서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판 스프링(76)은 한 쌍의 접촉부(79)에 의해서 구멍(78)의 축 방향을 따르는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 인해,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축(39)이 구멍(78) 내에삽입되고 판 스프링(76)을 접촉부(79)의 교점(79A) 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시키면, 판 스프링(76)은 접촉부(79)를 따라 절곡된다.
이로 인해, 모터 축(39)은 구멍(78)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판 스프링(76)이 구멍(78)의 판 스프링(76)에 대응하는 측벽(78A)을 향하여 가압된다. 그리고, 모터 축(39)은 판 스프링(76)의 2점과, 구멍(78) 측벽(78A)의 1점과 접촉하고, 모터 축(39)과 구멍(78)의 축심 P4가 동심이 된다. 즉, 본 실시예는 구멍(78)에 대한 모터 축(39)의 위치 결정을 판 스프링(76)에 의해 행하도록 한 예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판 스프링(76)과 구멍(78)의 판 스프링(76)에 대응하는 측벽(78A)에 의해, 모터 축(39)과 턴테이블(42)의 축심 P4를 함께 정렬하기 때문에,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모터 축(39)과 턴테이블(42)의 직경 방향 위치 맞춤을 할 수 있다. 또, 기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 따라, 제1 실시예에 관한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예의 스테레오 장치는 그 캐비넷(12)의 상면에 개구부(13) 및 도어(14)를 설치하고, 이 도어(14)에 대응하도록 디스크 체인저(20)를 배치하는 예이다.
또, 본 실시예의 도어(14)는 지지 축(59)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기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16에 따라, 제1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1 및 도 15의 구성을 조합하는 것이며, 캐비넷(12)의 전면 및 상면에 개구부(13) 및 도어(14)를 각각 설치하는 예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 및 도 15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디스크 체인저(20)의 지지부(44)는 도어(14)에 대응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체인저(20)의 지지부(44) 중 2개소의 지지부(44)가 직각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기타 구성은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10)를 착탈 가능하게 하는 도어(14)가 2개소에 설치되기 때문에, 한 쪽 지지부(44)에 배치된 디스크(10)의 재생 중에, 다른 쪽의 지지부(44)에 대하여 디스크(10)를 착탈할 수 있다. 기타 작용 효과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7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예는 디스크(10)(또는 11)의 척킹 기구가 턴테이블(60)과 클램퍼(62)(도 17(A)의 가상선 참조)에 의해 디스크(10)를 끼우는 예이다. 즉, 본 실시예의 턴테이블(60)은 볼척 기구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는 턴테이블(60)과 클램퍼(62)에 의해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이(64)의 지지부(66)의 넓이는 도 1에 나타낸 예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동시에, 지지부(66)의 선단에는 12cm의 디스크(10)에 대응하는 부위에 탈락방지편(6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17(B) 참조). 탈락방지편(68)은 턴테이블(60)에 지지된 디스크(10)가 트레이(64)의 회전 시에 탈락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디스크는 턴테이블(60)과 탈락방지편(68)에 의해, 경사 상태라도 트레이(64)에 유지 가능하게 된다.
또, 클램퍼(62)는 개구부(13)에 대향하는 부위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디스크 체인저(58)에서는 턴테이블(60)이 링 부재(40)와 접속된 상태(디스크 회전 가능 상태)로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를 탈락방지편(68)으로부터 떠오른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탈락방지편(68)은 8cm의 디스크(11)를 턴테이블(60)에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타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탈락방지편(68)에 의해서 턴테이블(60)에 지지된 디스크(10)가 트레이(64)의 회전 시에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디스크(10)가 턴테이블(60) 및 클램퍼(62)에 의해서 끼워지고, 디스크(10)의 재생이 행하여진다.
이 형태는 미니 디스크와 같은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를 유지하는데 알맞다. 카트리지를 지지부(66)에 설치한 유지부에 의해서 지지하고, 카트리지에 수납된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유지함으로써, 전술한 것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기타 작용 효과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도 18에 따라, 제1 실시예에 관한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본 실시예는 도 17에 나타낸 실시예의 지지부(44)에 관한 구성을 변경한 예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17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본 실시예는 도 17에 나타낸 실시예의 지지부(44)의 형상 및 지지부(44)에 대한 탈락방지편(68)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며, 1개의 지지부(44)에 한 쌍의 탈락방지편(68)을 설치하는 것이다. 즉, 지지부(44)는 그 관통 구멍(45)(도 6 참조)부터 지지부(44)의 개방 단부까지 거리가 12cm의 디스크(10)의 반경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락방지편(68)은 지지부(44)의 개방 단부의 코너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청구범위 제5항에 대응하는 것이다. 또, 기타 구성은 도 17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하면, 관통 구멍(45)(도 6 참조)으로부터 지지부(44)의 개방 단부까지의 거리가 디스크(10)의 반경보다 짧아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부(44)의 크기를 도 74에 나타낸 종래예의 턴테이블(492)의 탑재부의 크기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기타 작용 효과는 도 17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19내지 도 49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디스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디스크 장치는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에 조립되는 디스크 체인저에서의 예이다.
또, 도 19는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 내에 배치되는 디스크 체인저의 평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나타낸 트레이가 파단된 상태인 디스크 체인저의 측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에 나타낸 트레이의 구동 경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나타낸 구동 경로의 평면도이고, 도 23은 도 21에 나타낸 트레이의 저면도이다.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의 전체 구성)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이하, 단순히「스테레오 장치」라고 한다)의 캐비넷(112)(도 20의 가상선 참조)에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스크 체인저(120)가 내장되어 있는 동시에,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비넷(112)의 일부를 구성하는 프론트 패널에는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부(113)가 디스크 체인저(120)에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스테레오 장치에는 도어(114)가 개구부(113)에 대응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스테레오 장치에는 도어(114)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개폐 버튼이 배치되어 있고, 개폐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도어(114)가 슬라이드하여 개구부(113)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또, 스테레오 장치에는 도시하지 않은 튜너, 테이프레코더 등이 내장되어 있다.
(디스크 체인저의 전체 구성)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체인저(120)는 프레임(122)에 배치되는 홀더에서의 디스크 구동 유닛(124)과, 복수의 디스크(10)(도 19 참조)를 지지하는 트레이(126)를 구비한다. 디스크 구동 유닛(124)은 그 베이스(129)에 배치되는 지지 축(130)이 프레임(122)에 설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132)에 삽입 통과되고, 베어링(132)을 통하여 프레임(122)에 연결되어 있다.
즉, 디스크 구동 유닛(124)(베이스(129))은 프레임(122)에 대하여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회전(경사 이동)하고, 트레이(126)는 프레임(122)으로부터 세워서 설치된 지주(12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트레이(126)는 대략 삼각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들 측면을 형성하는 부위가 지지부(128)로 되어 있다. 즉, 트레이(126)에는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3개소)의 지지부(12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지지부(128)에는 12cm의 디스크(10)(도 19 참조) 또는 8cm의 디스크(도시 생략) 등의 디스크를 지지하는 턴테이블(180)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 지지부(128)는 트레이(126)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심 P6(도 20 참조)즉 회전 중심이 정점 P5(도 19 참조)가 되도록 경사져 있다. 또, 트레이(126)의 회전 중심부가 되는 정상부(126A)는 플랫형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트레이(126)는 다각뿔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6)는 그 정상부(126A) 의 중심에 지지 축(123A)이 장착되고, 따라서 정점 P5(지지 축(123A)의 축심 P6)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6)는 그 일면의 지지부(128)(즉, 디스크 구동 유닛(124)에 대향하는 지지부(128))가 개구부(113)에 대응하고, 그 개구부(113)로부터 디스크(10)를 인출 또는 장착 가능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스테레오 장치에는 각 지지부(128)에 대응하는 도시하지 않은 선택키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즉, 각 지지부(128)에는 고유의 식별자(식별 번호)가 미리 부여되어 있고, 이들 식별 번호에 대응하는 선택키를 조작함으로써 트레이(126)가 스핀들(183)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선택된 지지부(128)가 도어(114)(개구부(113))에 대향한다.
(디스크 구동 유닛(124) 및 트레이(126)의 구동 구성)
이하, 디스크 구동 유닛(124) 및 트레이(126)의 구동 구성에 대해, 도 20 내지 도 23에 따라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22)에는 제2 구동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터(134)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134)의 모터 축(135)에는 웜 기어(136)가 고정되어 있고, 웜 기어(136)에 맞물리는 웜 기어부(138A)를 형성한 기어(138)는 프레임(12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어(138)에는 웜 기어부(138A)의 상부에 웜 기어부(138A)보다도 작은 직경인 소기어부(13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소기어부(138B)에 맞물리는 하측 기어부(141A)를 형성한 캠 기어(140)는 프레임(122)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도 24 내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140)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고, 하측 기어부(141A), 상측 기어부(141B), 캠부(142), 캠 홈 (143), 및 한 쌍의 핀(144A 및 144B)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기어부(141A)는 캠 기어(140)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측 기어부(141B)는 캠 기어(140)의 상부에 형성되고, 캠부(142)는 하측 기어부(141A) 측에 형성되고, 캠 홈(143)은 하측 기어부(141A)와 상측 기어부(141B) 사이에 형성되고, 핀(144A,144B)은 상측 기어부(141B) 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캠부(142), 캠 홈(143) 등의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한다.
상측 기어부(141B)에 맞물리는 소기어부(148A)를 형성한 기어(148)는 지주(123) 상에 장착된 지지 베이스(14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어(148)에는 소기어부(148A)의 상부에, 소기어부(148A) 보다도 직경이 큰 대기어부(148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기어부(148B)에 맞물리는 구동 기어(150)는 지지 베이스(146)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150)는 트레이(126)에 형성된 내측 치열(127A)에 맞물린다. 즉, 모터(134)가 구동하면, 구동 경로를 형성하는 웜 기어(136), 기어(138), 캠 기어(140), 기어(148), 및 구동 기어(150)를 통하여 트레이(126)가 지주(123)에 설치된 지지 축(123A)을 중심 축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 내측 치열(127A)과 캠 기어(140)의 상측 기어부(141B)의 기어비는 3:1(내측 치열(127A):상측 기어부(141B))로 되어 있다. 즉, 무치부(無齒部)(127B) 사이의 내측 치열(127A) 부분과, 상측 기어부(141B)의 기어비는 1:1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캠 기어(140)가 3회전하면 트레이(126)는 1회전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6)에는 그 구동 기어(150)에 대응하는 부위에, 내측 치열(127A) 및 무치부(127B)를 구비하는 기어부(127)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치열(127A)은 100°의 각도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무치부(127B)는 20°의 각도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또, 내측 치열 (127A) 및 무치부(227B)는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중치(127A) 및 무치부(127B)는 트레이(126)를 소정의 위치까지 회전시키는 동시에, 소정의 위치에서 트레이(126)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도 30,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6)는 구동 기어(150)가 내측 치열(127A)에 대응하여 맞물려 있는 경우 회전한다. 한편, 도 28,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6)는 구동 기어(150)가 무치부(127B)에 대응(즉, 내측 치열(127A)로부터 이격)하고 있는 경우 회전하지 않는다.
또,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6)의 기어부(127)의 외측에는 캠 기어(140)의 핀(144A 및 144B)에 대향하도록 레그부(126B)가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어 있다. 레그부(126B)는 구동 기어(150)에 대하여 내측 치열(127A) 또는 무치부(127B)로 강제적으로 이행시키기 위한 수단이며, 120°의 각도 범위를 가지고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캠 기어(140)의 회전 중에 있어서, 핀(144A 또는 144B)이 레그부(126B)에 접촉함으로써, 구동 기어(150)에 대하여 내측 치열(127A) 또는 무치부(127B)에서 약간만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126)에는 그 기어부(127)의 내측에, 트레이(126)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맞물림 돌출부(154A, 154B, 154C)가 120°의 각도 범위를 가지고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 돌출부(154A, 154B), 및(154C)에 대응하는 지지 베이스(146) 상에는 한 쌍의 스위치(156, 157)가 배치되어 있다.
스위치(156 및 157)에는 조작자(156A 및 157A)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156 또는 157)는 조작자(操作子)(156A 또는 157A)가 가압됨으로써, 온 신호가 제어 수단인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맞물림 돌출부(154A)는 스위치(156 및 157)의 조작자(156A 및 157A)의 양자가 대향하도록 하는 원주 방향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맞물림 돌출부(154B)는 스위치(156)의 조작자(156A)만이 대향하도록 하는 원주 방향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맞물림 돌출부(154C)는 스위치(157)의 조작자(157A)만이 대향하도록 하는 원주 방향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는 이들 스위치(156) 또는(157)의 검출 신호(온 신호)에 따라 트레이(126)의 회전 위치를 판단한다. 또, 지지 베이스(146)에는 트레이(126)의 스톱 모드에서의 소정의 정지 위치(즉, 지지부(128)에 배치된 턴테이블(180)이 디스크 구동 유닛(124)에 배치된 스핀들 모터(182)의 스핀들(183)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검출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 등의 정지 위치 센서가 배치되어 있다. 또, 턴테이블(180) 및 스핀들(183)은 접속 수단의 일부를 각각 구성하는 것이다.
또, 캠 기어(14O)에는 상기 정지 위치 센서에 대응하는 부위에, 도시하지 않은 검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검출부의 위치는 트레이(126)가 상기 정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정지 위치 센서가 온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트레이(126)의 회전 위치 및 상기 정지 위치의 유무를 검출하는 구성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캠 기어(140)와 트레이(126)의 내측 치열(127A)의 비를 1:1로 하는 동시에, 캠 기어(140)에 대하여만 위치 검출을 행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스위치(156, 157)만으로, 트레이(126)(지지부(128))의 회전 위치 및 상기 정지 위치가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에,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구동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디스크 구동 유닛(124)은 캠 기어(14O)의 캠 홈(143)을 따라 승강 동작을 한다. 즉, 디스크 구동 유닛(124)과 캠 기어(140)와의 사이에는 도 20 및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작 레버(152)가 프레임(122)의 측벽(122A)(도 39의 가상선 참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152)의 대략 중앙에는 핀 수용부(152A)가 형성되고, 이 핀 수용부(152A)에 측벽(122A)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핀(122B)(도 20 참조)이 삽입되어 있다. 즉, 조작 레버(152)는 핀(122B)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조작 레버(152)의 기단 측(캠 기어(140) 측)에는 결합 핀(152B)이 돌출 형성되고, 이 결합 핀(152B)은 캠 기어(140)의 캠 홈(143) 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캠 기어(140)가 제2 구동 수단 및 구동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터(134) 및 기어(138)를 통하여 회전하면, 결합 핀(152B)이 캠 홈(143)의 캠 형상을 따라 승강하기 때문에, 조작 레버(152)는 핀(122B)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또, 도 20 및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122B)은 디스크 체인저(120)의 상하 방향으로 캠 홈(143)에 형성되는 상하 위치의 대략 중간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조작 레버(152)의 선단 측(디스크 구동 유닛(124) 측)에는 장공(152C)이 형성되고, 장공(152C)은 조작 레버(152)의 대략 길이 방향을 따르는 직선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져 있다. 조작 레버(152)는 그 장공(152C) 내에 디스크 구동 유닛(124)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결합 핀(124A)이 삽입되고, 디스크 구동 유닛(124)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조작 레버(152)가 회전하면, 디스크 구동 유닛(124)은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경사 이동)한다.
또, 디스크 구동 유닛(124)은 캠 기어(140)의 캠부(142)에 따라 작동하는 위치 결정 레버(위치 결정 수단)(160)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즉, 디스크 구동 유닛(124)과 캠 기어(140) 사이에는 도 20 및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위치 결정 레버(160)가 프레임(122)의 측벽(122A)(도 39의 가상선 참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도 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레버(160)는 프레임(122) 상에 배치되는 연결간(連結杆)(161)을 통하여 좌우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위치 결정 레버(160)는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따라서 디스크 구동 유닛(124)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인 위치 결정 레버(160)의 앞쪽에는 핀(162)이 내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이 핀(162)이 프레임(122)에 형성된 핀 수용부(122C)에 삽입되어 있다. 즉, 위치 결정 레버(160)는 핀(16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위치 결정 레버(160)의 기단 측(캠 기어(140) 측)에는 결합 핀 (163)이 돌출 형성되어, 이 결합 핀(163)은 캠기어(140)의 캠부(142)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22)에는 결합 핀(163)을 항상 상방(캠부(142) 측)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166)이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캠 기어(140)가 제2 구동 수단 및 구동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터(134) 및 기어(138)를 통하여 회전하면, 결합 핀(163)이 캠부(142)의 캠 형상을 따라 승강하기 때문에, 위치 결정 레버(160)는 핀(16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한편, 위치 결정 레버(160)의 선단 측(디스크 구동 유닛(124) 측)에는 핀 수용부(164)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핀 수용부(164)는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위치 결정 핀(124B)이 삽입되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37 참조). 즉, 도 20의 위치에 있는 위치 결정 레버(160)가 핀(16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수용부(164)가 상승한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위치 결정 핀(124B)에 대응하여 삽입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 구동 유닛(124)은 그 위치 결정 핀(124B)이 위치 결정 레버(160)의 핀 수용부(164)에 삽입됨으로써,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스핀들 모터(182)의 스핀들(183)이 턴테이블(180)에 접속되는 접속 완료 상태(도 37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 레버(160)가 디스크 구동 유닛(124)을 접속 완료 상태로 위치 결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접속 완료 상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 레버(160)가 디스크 구동 유닛(124)을 접속 완료 상태로 위치 결정하기 때문에, 도 19에 나타낸 디스크(10)를 턴테이블(180)에 대하여 착탈할 때에, 의도하지 않은 하중이 트레이(126)에 가해지더라도, 트레이(126)가 확실하게 지지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접속 완료 상태에서의 트레이(126)가 위치 결정 레버(160)에 의해서 확실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디스크(10)를 턴테이블(180)에 착탈하는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다음에, 도 27에 따라, 캠 홈(143)의 캠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27에 있어서, 캠 기어(140)의 시점을 O°로 하고, 캠 기어(140)의 외주면을 일주한 후(즉, 종점)를 360°로 하여 설명한다. 즉, 디스크 체인지 조작이 행하여지면, 캠 기어(14O)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시점 측으로부터 종점 측을 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캠 홈(143)의 캠 형상으로 있어, 캠 홈(143)이 캠 기어(14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구동 유닛(124)을 조작 레버(152)를 통하여 하강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캠 홈(143)이 캠 기어(14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디스크 구동 유닛(124)을 조작 레버(152)를 통하여 상승시키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홈(143)에는 제1 캠부(143A), 제2 캠부(143B), 제3 캠부(143C), 및 제4 캠부(143D)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캠부(143A)는 0°∼10° 및 295°∼360°의 캠 영역(75°의 각도 범위) K1이며, 제2 캠부(143B)는 10°∼80°의 캠 영역(70°의 각도 범위) K2이며, 제3 캠부(143C)는 80°∼225°의 캠 영역(145°의 각도 범위) K3이며, 제4 캠부(143D)는 225°∼295°의 캠 영역(70°의 각도 범위) K4이다.
그리고, 캠 영역 K3에서는 디스크 구동 유닛(124)을 조작 레버(152)를 통하여 하강시키는 상태(대기 모드)로 하는 동시에, 트레이(126)를 회전시키는 회전 모드(디스크 체인지 모드)로 되어 있다. 한 쪽 캠 영역 K1, K2, 및 K4를 모두 포함하는 캠 영역 K5는 트레이(126)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디스크 구동 유닛(124)을 승강시키는 승강 모드(척킹 모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캠부(143A)에서는 결합 핀(152B)(도 37 참조)을 하강시키기 때문에,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52)는 반시계 방향(도 37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제3 캠부(143C)에서는 결합 핀(152B)(도 20 참조)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152)는 시계 방향(도 20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제2 캠부(143B)는 제1 캠부(143A)로부터 제3 캠부(143C)로 향하여 상향 경사를 이루고, 제4 캠부(143D)는 제3 캠부(143C)로부터 제1 캠부(143A)를 향하여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다. 즉, 제2 캠부(143B) 및 제4 캠부(143D)는 결합 핀(152B)을 제1 캠부(143A) 및 제3 캠부(143C)로 각각 이행시키는 것이다.
한편, 캠부(142)는, 제1 캠면(142A)은 0°∼10° 및 295°∼360°의 캠 영역(75°의 각도 범위) K6이며, 제2 캠면(142B)은 10°∼295°의 캠 영역(285°의 각도 범위) K7이다. 또, 제1 캠면(142A)에서의 직선 부분은 320°∼345°의 범위이다. 또, 제1 캠면(142A)의 상기 직선 부분의 전후는 상향 경사 또는 하향 경사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제2 캠면(142B)에서는 결합 핀(163)(도 37 참조)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레버(160)는 시계 방향(도 37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편, 제1 캠면(142A)에서는 결합 핀(163)(도 20 참조)을 하강시키기 때문에,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레버(160)는 반시계 방향(도 20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런데, 디스크 체인저(120)에서의 스톱 모드 또는 플레이 모드에서는 조작 레버(152) 및 위치 결정 레버(160)가 도 37에 나타낸 위치로 된다. 즉, 도 27에 나타낸 캠 기어(140)의 캠부(142) 및 캠 홈(143)의 위치는 결합 핀(152B 및 163)이 330°의 위치(도 27에서는 「ST」라고 나타냄)에 대응하는 위치이다.
또, 캠 기어(140)의 ST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크 체인저(120)의 상태는 디스크 체인저(120)에서의 초기 위치에 대응하고,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스핀들(183)이 지지부(128)의 턴테이블(180)에 연결되어 있는 스톱 모드이다.
이로 인해, 도 37에 나타낸 스톱 모드 또는 플레이 모드에서는 조작 레버(152)의 결합 핀(152B)이 캠 영역 K1에 위치하여 디스크 구동 유닛(124)을 상승시키고, 스핀들 모터(182)의 스핀들(183)을 턴테이블(180)에 연결시키고 있다. 또, 스톱 모드 또는 플레이 모드에서는 위치 결정 레버(160)의 결합 핀 (163)이 캠 영역 K6에 위치하고, 위치 결정 레버(16C)의 핀 수용부(164)가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위치 결정 핀(124B)을 지지하고 있다.
즉, 위치 결정 레버(160)는 디스크 구동 유닛(224)을 확실하게 지지함으로써, 스톱 모드 또는 플레이 모드의 상태로 유지하고 있다. 또, 스톱 모드에서는 디스크 체인저(120)의 각 구성 요소가 초기 상태(캠 기어(140)의 ST 위치에 대응하는 상태)로 된다. 즉, 사용자가 플레이 모드 중에 도시하지 않은 스톱키를 조작한 경우에 있어서, 캠 기어(14O)의 도시하지 않은 검출부가 정지 위치 센서(도시 생략)를 온으로 하면,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가 디스크 체인저(120)의 각 구성 요소를 초기 위치의 상태로 정지시킨다.
이하, 캠 기어(140)의 캠부(142)(캠면(142A, 142B)) 및 캠 홈(143)(캠부(143A∼143D)에 대응하는 디스크 체인저(120)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27 중의 눈금(각도 0°∼360°)에 대응하도록 붙인 도면 번호(도 28∼도 35)는 각 캠부(142) 및 캠 홈(143)에 대응하는 구동 경로(캠 기어(140), 기어(148), 구동 기어(150), 및 트레이(126)의 기어부(127))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캠 기어(140)에 대응하는 레버(152 및 160)의 동작 상태의 설명)
결합 핀(163)이 캠 기어(140)의 ST 위치로부터 캠 영역 K7에 위치하면, 위치 결정 레버(160)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핀 수용부(164)가 위치 결정 핀(124B)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캠 영역 K7에 대응하는 상태에서는 위치 결정 레버(160)가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지지(잠금)를 해제한다.
그리고, 결합 핀(152B)이 캠 기어(140)의 캠 영역 K2를 따라 이동하면, 결합 핀(152B)이 상승하기 때문에, 조작 레버(15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디스크 구동 유닛(124)은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서서히 하강한다.
다음에, 결합 핀(152B)이 캠 기어(140)의 캠 영역 K(3)에 위치하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183)이 지지부(128)의 턴테이블(180)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 즉, 디스크 체인지 모드로 이행하여 트레이(126)가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캠 기어(140)가 다시 회전하고, 결합 핀(152B)이 캠 영역 K4를 따라 이동하면, 결합 핀(152B)이 하강하기 때문에, 조작 레버(15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 인해, 디스크 구동 유닛(124)은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서서히 상승한다.
그리고, 결합 핀(152B)이 캠 기어(140)의 캠 영역 K1에 위치하면,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183)이 지지부(128)의 턴테이블(180)에 접속되는 상태가 된다. 즉, 플레이 모드로 이행하여 턴테이블(180)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캠 기어(140)에 대응하는 구동 경로의 동작 상태의 설명)
다음에, 도 28 내지 도 35에 따라, 각 캠부(142) 및 캠 홈(143)에 대응하는 구동 경로(캠 기어(140), 기어(148), 구동 기어(150), 및 트레이(126)의 기어부(127))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28은 도 27 중의 눈금의 각도 70°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29는 도 27 중의 눈금의 각도 80°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0은 도 27 중의 눈금의 각도 90°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1은 도 27 중의 눈금의 각도 110°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또, 도 32는 도 27 중의 눈금의 각도 220°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3은 도 27 중의 눈금의 각도 230°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4는 도 27중의 눈금의 각도 240°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35는 도 27 중의 눈금의 각도 260°에 대응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8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구동 기어(150)가 트레이(126)의 무치부(127B)에 대응하고, 트레이(126)의 회전이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는 동시에, 캠 기어(140)의 핀(144A)은 대향하는 트레이(126)의 레그부(126B)에 접촉한다. 또 캠 기어(140)가 회전하면,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144A)이 레그부(126B)를 가압하고, 트레이(126)를 반시계 방향으로 가압시킨다. 이로 인해, 도 29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구동 기어(150)가 트레이(126)의 내측 치열(127A)에 맞물리는 상태가 된다.
즉,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150)가 트레이(126)의 내측 치열(127A)에 맞물리고, 트레이(12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이로 인해, 도 30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레그부(126B)가 핀(144A)으로부터 이격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6)는 맞물린 구동 기어(150)와 트레이(126)의 내측 치열(127A)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다시 회전한다.
도 27 중의 눈금의 각도 220°에 대응하는 상태(캠 영역 K3이 종료되기 직전의 상태)에서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부터 이행하는 트레이(126)의 레그부(126B)가 캠 기어(140)의 핀(144B)에 대향한다. 또, 도 32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구동 기어(150)가 트레이(126)의 내측 치열(127A)로부터 무치부(127B)로 이행하는 상태가 된다.
캠 기어(140)가 다시 회전하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6)의 레그부(126B)가 캠 기어 (140)의 핀(144B)에 근접하는 동시에, 구동 기어(150)가 트레이(126)의 무치부(127B)에 대응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33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트레이(126)의 회전 속도 및 캠 기어(140)의 회전 속도에서는 트레이(126)의 회전 속도 쪽이 캠 기어(140)의 회전 속도보다도 빠른, 즉 양자에게는 속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레그부(126B)가 핀(144B)에 접촉하면, 트레이(126)의 회전에 대하여 브레이크(저항)를 거는 것이 되어, 트레이(126)를 정지시키고 위치 결정한다.
그리고, 도 34에 나타낸 상태가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126)의 회전이 강제적으로 정지되기 때문에, 구동 기어(150)가 트레이(126)의 무치부(127B)에 대향하여 내측 치열(127A)에 맞물리지 않는 상태가 된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1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핀(144B)은 레그부(126B)로부터 이격된다. 또, 도 35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캠 기어(140)의 회전에 의해서 핀(144B)이 레그부(126B)로부터 더욱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의 제2 구동 수단인 모터(134)가 트레이(126)의 회전과, 홀더인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이동(경사 이동)을 공통의 구동 경로(모터 축(135), 웜 기어(136), 기어(138), 및 캠 기어(140))를 통하여 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공통의 모터(134) 및 모터 축(135), 웜 기어(136), 기어(138), 및 캠 기어(140)를 통하여 트레이(126)의 회전 및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경사 이동이 각각 행하여지기 때문에,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에 비해 부품 수가 줄고, 따라서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저가로 된다.
(트레이(126)와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위치 결정 구조)
먼저, 스토퍼 레버(170)에 관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베이스(146)에는 단면 형상이 대략 L자형인 스토퍼 레버(17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스토퍼 레버(170)에는 대략 중앙에 핀(170A)이 좌우 양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한 쪽 지지 베이스(146)에는 핀(170A)에 대응하는 부위에 베어링부(14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핀(170A)이 베어링부(147A)에 지지됨으로써, 스토퍼 레버(170)는 핀(170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레버(170)의 기단 측(상단 측)에는 평면 형상이 대략 V자형인 맞물림부(17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림부(171A)는 트레이(126)의 환형체(168)의 외주면(168A)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형체(168)는 기어부(127)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는 동시에, 환형체(168)에는 오목부(169)가 기어부(127)의 무치부(127B)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즉, 오목부(169)는 120°의 각도 범위를 가지고 각각 배치되고, 도 28 및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69) 내에 맞물림부(171A)가 삽입된다. 또,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169)에는 그 둘레 방향을 따르는 양단에 테이퍼부(169B)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169B)는 맞물림부(171A)를 오목부(169) 내에 원활히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레버(170)에는 걸림부(170B)가 핀(170A)과맞물림부(17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 레버(170)의 걸림부(170B)에는 코일 스프링(172)의 일단이 걸려고, 코일 스프링(172)의 타단은 지지 베이스(146) 상에 배치된 걸림부(147B)에 걸려 있다.
이로 인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레버(170)는 코일 스프링(172)의 가압력에 의해 항상 반시계 방향 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즉, 코일 스프링(172)은 스토퍼 레버(170)의 맞물림부(171A)를 항상 트레이(126)의 환형체(168)의 외주면(168A)에 가압(접촉)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 레버(170)의 선단 측(하단 측)에는 측면 형상이 대략 아치형인 혀부(171B)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후면에는 평면 형상이 대략 C자형인 걸림부(124C)가 혀부(171B)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6)의 오목부(169) 내에 스토퍼 레버(170)의 맞물림부(171A)가 삽입되고, 스토퍼 레버(1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상태에서 또한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상승하고, 스핀들 모터(182)의 스핀들(183)을 턴테이블(180)에 연결한 연결 상태(도 37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혀부(171B)가 걸림부(124C) 내에 삽입되고, 스토퍼 레버(170)가 디스크 구동 유닛(124)을 위치 결정한다.
즉, 캠 기어(140)에 연동되는 트레이(126), 및 디스크 구동 유닛(124) 등은 스토퍼 레버(17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상승하기 직전에 혀부(171B)의 선단이 걸림부(124C)에 대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상승하면, 혀부 (171B)가 대향하는 걸림부(124C) 내에 삽입된다.
다음에, 고정 핀(125A)에 관한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원기둥 형상의 고정 핀(125A)은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측판 상면에 위치되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핀(125A)에 대응하는 트레이(126)에는 스토퍼부(17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8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부(174)는 트레이(126)의 외주 에지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트레이(126)의 지지부(128)가 캐비넷(112)의 개구부(113)에 대응하는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고정 핀(125A)이 스토퍼부(174F)에 삽입되고,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트레이(126)의 위치를 결정하여 트레이(126)의 회전을 방지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스핀들 모터(182)의 스핀들(183)을 턴테이블(180)에 연결하는 플레이 모드 또는 스톱 모드에 있어서, 디스크 구동 유닛(124)과, 트레이(126)의 지지부(128)를 스토퍼 레버(170) 및 고정 핀(125A) 등의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위치 결정한다.
(디스크 장착에 관한 검출 구조)
도 19 및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레이(126)의 각 지지부(128)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턴테이블(180)은 12cm의 디스크(10) 또는 8cm의 디스크(도시 생략) 등의 디스크를 탑재시키는 탑재부(180A)와, 디스크(10)의 구멍의 내주 직경부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외경으로 되어있는 몸통부(180B)를 구비한다.
턴테이블(180)에는 그 몸통부(180B)에 디스크(10)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 수단인 척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 기구는 그 구성 부품인 복수 개(예를 들면, 3개)의 래칭 멈춤쇠(190)와, 래칭 멈춤쇠(190)를 항상 몸통부(180B)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을 구비한다. 래칭 멈춤쇠(190)는 몸통부(18Q)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120°의 각도 범위를 가지고 각각 배치된다. 이들 래칭 멈춤쇠(190)는 각 지지부(128)에 배치된 턴테이블(14)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래칭 멈춤쇠(190)가 디스크(10)의 내주 직경부에 의해서 가압되면, 디스크(10)는 래칭 멈춤쇠(190)를 통과하여 탑재부(180A) 상에 탑재된다. 한편, 디스크(10)가 탑재부(180A) 상에 탑재되면, 래칭 멈춤쇠(190)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가압력에 의해서 도 4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려나온다. 즉, 래칭 멈춤쇠(190)는 디스크(10)에 접촉하고 또한 탑재부(180A) 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디스크(10)가 턴테이블(180)에 확실하게 지지된다.
또, 턴테이블(14)에는 그 몸통부(180B)의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배출 버튼(192)을 구비한다. 그리고, 배출 버튼(192)을 조작하면, 래칭 멈춤쇠(190)가 몸통부(180B) 내로 이동하고, 따라서 디스크(10)를 턴테이블(14) 상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180B)에 대한 복수의 래칭 멈춤쇠(190)는 그 중에서 최소한 1개의 래칭 멈춤쇠(190)가 다른 래칭 멈춤쇠(190)의 측부(190A)(몸통부(180B)로부터외측으로 돌출되는 부위)에서의 탑재부(180A)에 대한 높이 위치를 변경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각 래칭 멈춤쇠(190)에서의 측부(190A)의 탑재부(180A)에 대한 높이 위치가 최소한 1개소 높게 또는 낮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가 각 래칭 멈춤쇠(190)의 측부(190A) 상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크(10)는 턴테이블(180)의 탑재부(180A)의 탑재면(180D)에 대하여 경사진다.
또,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체인저(120)에는 한 쌍의 발광 수단인 적외선 LED(194), 반사판(196), 및 수광 수단인 포토 트랜지스터(198)가 배치되어 있다. 검출 수단은 상기 적외선 LED(194), 반사판(196), 및 포토 트랜지스터(198)로 구성되고,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정보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에 공급된다. 그리고, 디스크(10)가 턴테이블(180)에 적정하게 장착되어 있는 지 여부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 생략)가 상기 검출 수단의 정보에 따라 판단한다.
즉, 적외선 LED(194) 및 포토 트랜지스터(198)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체인저(120)는 마이크로컴퓨터(도시 생략)부터의 조작 신호에 의해서 적외선 LED(194)이 발광하고, 반사판(196)으로부터 수광한 포토 트랜지스터(198)의 검출 신호가 마이크로컴퓨터에 공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적외선 LED(194), 반사판(196), 및 포토 트랜지스터(198)는 도 47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선 LED(194)의 적외선 또는 반사판(196)으로부터의 반사 광선이 턴테이블(180)에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적외선 LED(194), 반사판(196), 및 포토 트랜지스터(198)를 한 쌍 설치한 것은 디스크 (10)의 어떠한 경사에도 대응하기 위해서이며, 이에 따라 검출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가 턴테이블 (180)에 적정하게 탑재되어 있는 경우, 즉 탑재면(180D) 상에 평행 상태로 탑재되어 있는 경우, 적외선 LED(194)의 적외선 및 반사판(196)으로부터의 반사 광선은 디스크(10)에 의해 차단되는 일이 없고, 상기 반사 광선은 포토 트랜지스터(198)에 공급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는 디스크(10)가 턴테이블(180)에 적정하게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한편,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가 턴테이블(180)에 적정하게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디스크(1Q)가 각 래칭 멈춤쇠(190)의 측부(190A) 상에 위치하는 경우, 적외선 LED(194)의 적외선 및 반사판(196)으로부터의 반사 광선은 디스크(10)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반사 광선은 포토 트랜지스터(198)에 공급되지 않는다. 즉, 마이크로컴퓨터는 디스크(10)가 탑재면(180D)에 대하여 경사지고, 적정하게 턴테이블(180)에 탑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가 디스크(10)의 장착을 적정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플레이 모드에서의 턴테이블(180)의 회전 또는 디스크 체인지 모드에 의한 트레이(126)의 회전을 금지하여, 도시하지 않은 표시 수단(디스플레이 등) 또는 경고 수단(스피커로부터의 음성 등)에서 디스크(10)의 장착이 적정이 아닌 것을 표시 또는 경고한다.
(턴테이블(18O)의 척킹 기구에 관한 구성)
도 3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구동 유닛(124) 상에는 정보 처리 수단으로서의 픽업 장치(176)가 탑재되어 있다. 픽업 장치(176)에는 대물 렌즈(179)를 구비하는 픽업(178)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픽업 장치(176)에는 트레이(126)에 배치된 턴테이블(180)을 회전 구동시키는 스핀들 모터(182)(도 48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즉, 도 48에 나타낸 스핀들 모터(182)의 스핀들(183)에는 접속 수단을 구성하는 링 부재(184)가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링 부재(184)가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있는 트레이(126)의 턴테이블(180)에 대하여 접속 또는 이격된다(도 20 및 도 37 참조).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부재(184)에는 그 턴테이블(180)에 대향하는 대향부에 접속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링형의 자석 부재(185)가 고정되어 있고, 이 자석 부재(185)는 링 부재(184)와 동심으로 되어 있다. 또, 도 4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부재(184)에는 삽입 통과부(184A)가 배치되어 있고, 삽입 통과부(184A)의 선단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0 및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지지부(128)에는 합성수지제의 턴테이블(180)이 디스크 구동 유닛(124)에 배치되는 스핀들 (183)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즉, 캠 기어(140)에 연동되는 트레이(126), 및 디스크 구동 유닛(124) 등은 트레이(126)가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지지부(128)의 턴테이블(180)과 스핀들(183)이 연결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180)에는 홈(180C)이 턴테이블(180)의외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28)에는 턴테이블(180)의 홈(180C)에 대응하는 부위에 관통 구멍(128A)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128A)에 홈(180C) 부분이 끼워져있다.
즉, 턴테이블(180)은 그 홈(180C)을 지지부 (128)의 관통 구멍(128A)에 끼워 넣은 것에 의해, 지지부(12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턴테이블(180)에는 그 탑재부(180A)의 링 부재(184)에 대응하는 면 측에 접속부(180E)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180E)는 관통 구멍(128A)의 직경보다도 직경이 크게 되어 있다. 또, 접속부(180E)에는 자석 부재(185)에 대응하는 부위에 접속 수단인 금속제의 링 부재(181)가 고정되어 있다.
턴테이블(180)에는 도 4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멍(186)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186)에 스핀들(183)이 삽입된다. 도 4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186)에는 링 부재(184)의 삽입 통과부(184A)보다도 약간만 직경이 큰 구멍부(186A), 스핀들(183)보다도 약간만 직경이 큰 구멍부(186B), 구멍부(186A 및 186B)를 연속적으로 연통되게 하는 테이퍼부(186C)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186C)는 구멍(186)에 삽입된 스핀들(183)의 선단을 가이드한다. 또, 턴테이블(180)에는 그 구멍부(186B)에 대응하는 부위에, 대략 V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도시 생략)가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판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판 스프링은 스핀들(183)이 구멍부(186B)에 삽입되어 도시하지 않은 절곡부가 스핀들(183)과 접촉하는 상태에 있어서, 스핀들(183)을 구멍부(186B) 주벽에 가압한다.
도 40 및 도 4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180)과 스핀들 모터(182)는, 스핀들(183)이 구멍(186)에 삽입되는 상태에 있어서, 자석 부재(185)가 금속제의 링 부재(181)를 자력으로 흡착함으로써 접속된다. 즉, 도 45에 나타낸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도 45의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하면 링 부재(184)가 턴테이블(180)로부터 이격된다(도 40 참조). 한편, 도 40에 나타낸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도 40의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하면 링 부재(184)가 턴테이블(180)에 접속된다(도 45 참조).
이 접속 상태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은 판 스프링이 스핀들(183)을 구멍부(186B)의 주벽으로 가압함으로써, 스핀들(183)의 외주면과 구멍부(186B)의 주벽에 의해 스핀들(183)과 턴테이블(180)의 축심 P7이 함께 정렬된다. 또, 스핀들 모터(182)와 턴테이블(180)과의 축 방향의 거리는 자석 부재(185)와 링 부재(181)의 면끼리가 접속함으로써 위치 맞춤이 행하여진다.
한편, 링 부재(184)가 턴테이블(180)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도 20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트레이(126)가 지지 축(123A)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원하는 지지부(128)는 도어(114)(도 20 참조)에 대응하여 정지한다. 또, 디스크 체인저(120)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트레이(126)의 정지 상태에 있어서, 자석 부재(185)가 링 부재(181)에 접속되어 턴테이블(18O)이 회전 가능 상태(도 44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또, 상기 회전 가능 상태에서는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182)의 링 부재(184)가 턴테이블(180)을 지지부(128)로부터 부상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 가능 상태에서는 턴테이블(180)의 회전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턴테이블(180)과 지지부(128)가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턴테이블(180)의 회전 가능 상태에 있어서, 턴테이블(180)이 스핀들 모터(182)에 의해서 회전하는 동시에, 도 38에 나타낸 픽업(178)이 디스크(10)(도 19 참조)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 처리를 행한다.
(지지부(128)에 대한 턴테이블(180)의 잠금 구성)
도 40 내지 도 46에 따라, 지지부(128)에 대한 턴테이블(180)의 잠금 수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지부(128)의 이면 측에는 잠금 수단을 구성하는 끼움 부재(200)가 턴테이블(180)의 홈(180C)에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끼움 부재(200)는 대략 판형으로 되어 있고,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점(20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한 쌍의 끼움부(202)를 구비한다. 또, 지지점(201)은 지지부(128)에 고정되어 있다.
끼움부(202) 사이에는 항상 한 쌍의 끼움부(202)를 끼워 넣는 방향(즉, 끼움부(202)가 턴테이블(180)의 홈(180C)으로 각각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코일 스프링(206)이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부(202)의 접촉부(203)는 코일 스프링(2C)(6)의 가압력에 의해서 턴테이블(180)의 홈(180C)을 끼워 넣고, 홈(180C) 주벽에 접촉한다.
즉, 접속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링 부재(184)의 자석 부재(185)가 턴테이블(180)의 링 부재(18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미접속 모드에 있어서,턴테이블(180)은 그 자중에 의해서 지지부(128) 상에 탑재되는 상태(도 40, 도 42 참조)가 된다. 그리고, 도 4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180), 지지부(128), 끼움부(202) 등은 미접속 모드에 있어서, 접촉부(203)가 턴테이블(180)의 홈(180C) 부분에 끼워 넣기가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각 끼움부(202)에는 끼움부(202) 사이를 개방하기 위한 개입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개입부(204)는 끼움부(202)의 지지점(201) 측에 위치하고, 이에 따라 접촉부(203) 사이의 개방 각도가 넓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디스크 구동 유닛 (124)에는 개입 핀(125B)이 개입부(204)에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개입 핀(125B)의 선단에는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125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도 20의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하면, 도 4O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183)의 선단이 턴테이블(180)의 구멍부(186A) 내에 삽입된다. 또한,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회전하면, 도 4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183)의 선단은 구멍부(186B) 내에 약간만 삽입되는 동시에, 도 4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입 핀(125B)의 테이퍼부(125C)가 끼움부(202)의 개입부(204)에 약간만 침입한다.
즉, 개입 핀(125B)의 테이퍼부(125C)가 개입부(204)에 약간만 침입하기 때문에, 끼움부(202)는 코일 스프링(206)(도 41 참조)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약간만 개방된다. 이로 인해, 도 42(A)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끼움부(202)는 그접촉부(203)가 턴테이블(180)의 홈(180C) 주벽에 접촉하는 상태로부터 약간만 이격된다.
또, 끼움부(202) 사이를 개방하는(즉, 접촉부(203) 사이를 이격시키는) 타이밍은 개입 핀(125B)이 개입부(204)에 침입하는 타이밍이므로, 개입 핀(125B)의 길이(높이)에 의해서 조정(설정)된다. 또, 도 42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판 스프링의 절곡부가 스핀들(183)에 접촉하지 않는다.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다시 회전하면, 도 4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183)의 선단은 구멍부(186B) 내에 더욱 삽입되는 동시에, 도 4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입 핀(125B)이 끼움부(202)의 개입부(204)에 개입 핀(125B)의 직경만큼까지 침입한다. 이로 인해, 도 4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203) 사이는 턴테이블(180)의 링 부재(181)의 외주면 부근까지 이격된다.
그리고, 도 43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판 스프링의 스핀들(183)에 접촉한다. 즉, 끼움 부재(200)의 접촉부(203)는 판 스프링의 절곡부(도시 생략)가 스핀들(183)에 접촉하여 스핀들(183)을 위치 결정할 때까지, 지지부(128)에 대한 턴테이블(180)의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회전하면, 도 4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183)의 구멍부(186B) 내로의 삽입이 완료되는 동시에, 도 4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입 핀(125B)의 개입부(204)로의 삽입이 완료된다. 즉, 도 44(A) 및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203) 사이는 턴테이블(180)의 링 부재(181)로부터 이격된다.
또, 도 44 및 도 45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접속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링 부재(184)의 자석 부재(185)와 턴테이블(18Q)의 링 부재(181)가 접속하는 접속 모드가 되고, 지지부(128)에 대한 턴테이블(180)이 잠금이 해제된다. 또한, 상기 접속 모드에서는 턴테이블(180)이 스핀들 모터(182)의 링 부재(184)에 의해서 밀어 올려지고 지지부(128)로부터 부상하여 회전 가능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접속 모드로부터 자석 부재(185)가 링 부재(181)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미접속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는 상기 동작과는 반대인 동작에 의해 끼움 부재(200)가 턴테이블(180)을 지지부(128)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미접속 모드에 있어서, 끼움 부재(200)가 턴테이블(180)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때문에, 턴테이블(180)과 스핀들(183)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예를 들면 트레이(126)가 회전하고 있는 디스크 체인지 시 또는 디스크 장치의 운반 시 등에 있더라도, 턴테이블(180)과 지지부(128)의 간극에 의한 덜컹거림 즉 덜컹거리는 소리의 발생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작용)
계속해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톱 모드는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상승하고, 스핀들 모터(182)의 스핀들(183)이 턴테이블(180)에 연결되어 있다. 또, 위치 결정 레버(160)는 그 핀 수용부(164)가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위치 결정 핀(124B)을 지지함으로써, 디스크 구동 유닛(124)을 확실하게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스톱 모드에 있어서, 디스크(10)를 지지부(128)의 턴테이블(180)에장착하는 데에는, 도시하지 않은 개폐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도어(114)를 슬라이드시켜 개구부(113)를 개방시킨다. 개방된 개구부(113)에는 지지부(128)가 대응하여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 지지부(128)의 턴테이블(180)에 디스크(10)를 장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톱 모드, 즉 스핀들 모터(182)의 스핀들(183)이 턴테이블(180)에 접속하는 접속 완료 상태에 있어서, 위치 결정 레버(160)가 디스크 구동 유닛(124)을 접속 완료 상태로 위치 결정하기 때문에, 도 19에 나타낸 디스크(10)를 턴테이블(180)에 대하여 착탈할 때, 의도하지 않은 하중이 트레이(126)에 가해지더라도 트레이(126)가 확실하게 지지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접속 완료 상태에서의 트레이(126)가 위치 결정 레버(160)에 의해서 확실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디스크(10)를 턴테이블(180)에 착탈하는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 디스크(10)를 턴테이블(180)에 장착한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가 도 47 내지 도 49에 나타낸 적외선 LED(194)의 적외선 및 반사판(196)으로부터의 반사 광선에 의해, 디스크(10)가 턴테이블(180)에 적정하게 탑재되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디스크(10)가 각 래칭 멈춤쇠(190)의 측부(190A) 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적외선 LED(194)의 적외선 및 반사판(196)으로부터의 반사 광선이 디스크(10)에 차단되어, 상기 반사 광선은 포토 트랜지스터(198)에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는 디스크(10)가 턴테이블(180)에 적정하게 탑재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가 디스크(10)의 장착을 적정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플레이 모드에서의 턴테이블(180)의 회전 또는 후술하는 디스크 체인지 모드에 의한 트레이(126)의 회전을 금지하여, 도시하지 않은 표시 수단 또는 경고 수단에서 디스크(10)의 장착이 적정이 아닌 것을 표시 또는 경고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크(10)가 턴테이블(180)에 적정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 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LED(194), 반사판(196), 및 포토 트랜지스터(198)가 검출하기 때문에, 플레이 모드에서의 턴테이블(180)의 회전 또는 디스크 체인지 모드에 의한 트레이(126)의 회전을 금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이(126)의 회전 중 등에 디스크(10)가 원심력에 의해서 턴테이블(180)로부터 날아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디스크(10)가 트레이(126)로부터 낙하하지 않는다.
또, 디스크(10)가 턴테이블(180)에 적정하게 탑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사판(196)으로부터의 반사 광선이 디스크(10)에 의해 차단되는 일이 없어, 포토 트랜지스터(198)에 공급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는 디스크(10)가 턴테이블(180)에 적정하게 탑재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마이크로컴퓨터는 플레이 키 또는 디스크 체인지용 선택키의 조작 신호에 따라, 스핀들 모터(182) 또는 모터(134) 등을 구동시킨다.
플레이 모드에서는 스핀들 모터(182)가 회전하고, 또한 픽업(178)이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한 디스크(10)의 데이터의 판독 처리를 하고 있는 동작 이외에, 스톱 모드와 동일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 턴테이블(180)이 회전하는 동시에, 픽업(178)이 슬라이드하기 때문에, 디스크(10)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는 픽업(178)에 의해서 재생 처리된다. 또, 지정한 재생 처리(플레이 모드)가 종료되면, 도 37에 나타낸 대기 모드(스톱 모드)로 된다.
(디스크 체인지에서의 동작)
먼저, 디스크 체인지하는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 체인지용 선택키를 조작하여 원하는 지지부(128)를 개구부(113)에 대향시킨다. 즉,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는 도 37에 나타낸 모터(134)를 구동시킴으로써, 캠 기어(140)의 캠부(142) 및 캠 홈(143)을 통하여 조작 레버(152) 및 위치 결정 레버(160)를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위치 결정 레버(160)의 핀 수용부(164)가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위치 결정 핀(124B)으로부터 이격되고, 조작 레버(152)에 의해서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부재(184)의 자석 부재(185)는 턴테이블(180)의 링 부재 (181)로부터 이격되어 자석 부재(185)와 링 부재(181)의 접속이 해제된다(도 40참조).
또,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입 핀(125B)이 끼움 부재(200)의 개입부(204)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도 42(A)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203)가 턴테이블(180)의 홈부(180C) 주벽에 접촉하고, 끼움 부재(200)가 턴테이블(180)을 지지부(128)에 대하여 위치 결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41에 나타낸 미접속 모드에 있어서, 끼움 부재(200)가 턴테이블(180)을 소정의 위치에 위치 결정하기 때문에, 트레이(126)가회전하는 디스크 체인지 시 또는 디스크 장치의 운반 시 등에 있더라도, 턴테이블(180)과 지지부(128)의 간극에 의한 덜컹거림, 즉 덜컹거리는 소리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런데, 트레이(126)는 모터(134), 캠 기어(140), 기어(148), 구동 기어(150), 및 트레이(126)의 기어부(127) 등의 구동 경로를 통함으로써, 선택된 지지부(128)가 개구부(113)에 대향하는 위치에서 정지한다.(도 28 내지 도 35에서의 상술한 구성에서의 설명 부분 참조). 이 정지 상태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마이크로컴퓨터는 도 20에 나타낸 모터(134)를 구동시킴으로써, 캠 기어(140)의 캠부 (142) 및 캠 홈(143)을 통하여 조작 레버(152) 및 위치 결정 레버(160)를 회전시킨다.
즉, 조작 레버(152)에 의해서 디스크 구동 유닛(124)이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위치 결정 레버(160)의 핀 수용부(164)가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위치 결정 핀(124B)에 삽입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핀들 모터(182)의 스핀들 (183)을 턴테이블(180)에 연결하는 스톱 모드(또는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 디스크 구동 유닛(124)과 트레이(126)의 지지부(128)를 스토퍼 레버(170) 및 고정 핀(125A) 등의 구성에 의해 확실하게 위치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0에 나타낸 트레이(126)는 모터(134)의 구동력이 캠 기어(140), 기어(148), 구동 기어(150), 및 트레이(126)의 기어부(127) 등의 구동 경로를 통하여 회전한다. 한편, 상술한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승강 동작도공통의 구동 경로(모터 축(135), 웜 기어(136), 기어(138), 및 캠 기어(140))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공통의 모터(134) 및 모터 축(135), 웜 기어(136), 기어(138), 및 캠 기어(140)를 통하여 트레이(126)의 회전 및 디스크 구동 유닛(124)의 경사 이동이 각각 행하여지기 때문에,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에 비해 부품 수가 줄고, 따라서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저가로 된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의 구성을 도 50 내지 도 52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120) 전체를 캐비넷(112)에 대하여 경사 이동시키는 예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또, 도 50 및 도 51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120)는 제3 실시예의 디스크 체인저(120)의 주요부만을 나타낸다.
도 50 및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120) 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장치(210)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장치(210)의 앞쪽에는 디스크 체인저(120)의 지지 축(130)을 축 지지하는 베어링부(212)가 좌우 양단에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체인저(120)의 앞부분은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한편, 지지 장치(210)의 후측에는 판형의 캠판(214)이 전후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판(214)에는 앞쪽으로부터 뒤쪽을 향하는 상향 경사형의 캠 홈(215)이 형성되어 있다. 또, 캠 기어(140)의 캠 홈(143)과캠판(214)의 캠 홈(215) 사이에는 이동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경사 이동 레버(216)가 연결되어 있다. 또,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형의 경사 이동 레버(216)는 그 측면 형상이 대략 L자형으로 되어 있다.
즉, 경사 이동 레버(216)의 기단에는 캠판(214)의 캠 홈(215) 내에 삽입되는 결합 핀(217)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경사 이동 레버(216)의 선단에는 캠 기어(140)의 캠 홈(143) 내에 삽입되는 결합 핀(218)이 형성되어 있다. 또, 경사 이동 레버(216)의 레그부(216A)에는 프레임(122)의 측벽(22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지지 핀(222)이 축 지지되어 있다.
이로 인해, 경사 이동 레버(216)는 결합 핀(218)이 캠 홈(143)의 규제를 받아 승강하기 때문에 지지 핀(22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트레이(126)를 회전시킬 때 즉 디스크 체인지할 때는 도 5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핀(218)이 캠 홈(143)의 캠부(143C)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지 핀(222)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도 51의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경사 이동 레버(216)의 결합 핀(217)이 캠 홈(215)의 앞쪽으로 이동한다.
즉, 경사 이동 레버(216)는 디스크 체인저(120)를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도 51의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폐쇄 상태의 도어(114)에 대향하는 지지부(128)가 이격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트레이(126)가 지지 축(123A)을 중심으로 회전하더라도, 트레이(126)가 패널인 캐비넷(112)(도어(114)를 포함함)에 간섭하지 않는다. 또, 도 51 및 도 52에 나타낸 캐비넷(112)에는 개구부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본 실시예의 캐비넷(112)에도 도20과 동일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 핀(218)이 캠 홈(143)의 캠부(143A)에 위치하면, 도 51 및 도 52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이동 레버(216)는 디스크 체인저(120)를 지지 축(130)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도 52의 화살표 참조)으로 회전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10)를 턴테이블(180)에 대하여 착탈할 때 즉 트레이(126)를 회전시킨 후(예를 들면, 디스크 체인지 후), 폐쇄 상태의 도어(114)에 대향하는 지지부(128)가 폐쇄 상태의 도어(114)에 근접하도록 경사 이동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턴테이블(180)과 캐비넷(112)의 간극이 종래보다도 좁아지기 때문에 디스크(10)를 턴테이블 (180)에 착탈하는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구동 유닛(124)을 이동시키는 캠 기어(140)의 캠 홈(143)을 이용하여, 디스크 체인저(120) 전체를 캐비넷(112)에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디스크 체인지의 타이밍에 동기시킬 수 있다.
또, 기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디스크 체인저 전체를 캐비넷에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구성은 도시하지 않은 센서 등에 의해, 별도의 구동 수단(모터, 작동간 등)을 이용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의 구성을 도 53 내지 도 58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120) 전체를 캐비넷(112)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예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또, 도 53 내지 도 56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120)는 제4 실시예의 디스크 체인저(120)의 주요부만을 나타낸다.
도 53 및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낸 디스크 체인저(120) 전체를 좌우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장치(230)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장치(230)의 앞쪽에는 디스크 체인저(120)의 지지 축(130)을 축 지지하는 베어링부(232)가 좌우 양단에 한 쌍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크 체인저(120) 전체는 지지 축(130)의 축심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드된다. 또, 도 57 및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부(232)는 디스크 체인저(120)의 베어링(132)에 접촉하는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한편, 도 5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장치(230)의 후측에는 슬라이드 수단인 슬라이드 장치(234)가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장치(234)는 지지 장치(230)의 기판(231)으로부터 설치된 핀(231A), 핀(231A)에 연결되는 캠 장치(236), 캠 장치(236)를 프레임(1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원통형의 지지부(128), 캠 장치(236)의 기어(237)에 맞물리는 간헐 기어(242)를 구비한다. 또, 지지부(240)는 프레임(122)에 형성되고, 간헐 기어(242)는 캠 기어(140)에 형성된다.
캠 장치(236)는 기어(237), 캠판(238), 기어(237) 및 캠판(238)을 연결하는 연결 샤프트(239)를 구비한다. 캠판(238)에는 도 5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타원형의 캠 홈(23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판(231)의 핀(231A)은 캠판(238)의 캠 홈(238A)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 캠 장치(236)가 회전하면, 프레임(122)에 탑재된 디스크 체인저(120)는 지지 축(130)에 가이드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도 5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140)에 형성된 간헐 기어(242)와 기어(237)의 기어비는 1:1의 관계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캠 기어(140)가 1회전하면 기어(237)(캠판(238))는 1회전한다. 즉, 트레이(126)는 3분의1회전(120°회전)하기 때문에, 인접하는 각 지지부가 정면으로 순차 이동한다. 또, 캠 장치(236)는 지지부(240)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계속해서, 도 56 내지 도 58에 따라,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6은 트레이(126)의 지지부(128)가 디스크 체인저(120)의 정면, 즉 지지 축(130)에 대향하는 위치 상태(초기 위치, 즉 스톱 모드 또는 플레이 모드)를 나타낸다. 이 초기 위치에서는 디스크 체인저(120)가 지지 축(130)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베어링 (132)이 베어링부(232)에 접촉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캠 기어(140)가 회전하면, 트레이(126)가 회전하는 동시에, 도 5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판(238)(도 57에서는 캠 홈(238A)만을 나타냄)이 90°회전하여, 디스크 체인저(120)(프레임(122))는 지지 축(130)에 가이드되어 좌측 방향(도 57의 화살표 참조)으로 슬라이드한다. 또한, 캠 기어(140)가 회전하면,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판(238)(도 58에서는 캠 홈(238A)만을 나타냄)이 180°회전하여, 디스크 체인저(120)(프레임(122))는 지지 축(130)에 가이드되어 우측 방향(도 58의 화살표 참조)으로 슬라이드한다.
캠 기어(140)가 다시 회전함으로써 캠판(238)이 90°회전하면, 도 56에 나타낸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즉, 트레이(126)는 3분의1회전(120°회전)하여 인접하는 지지부(128)가 정면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캠 기어(140)와 이 캠 기어(14O)에 연동되는 캠 장치(236)에 의해, 트레이(126)의 회전 시에 있어서 트레이(126)를 지지부(128)가 장치 본체의 정면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로부터 모서리부가 돌출되는 돌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도 57 및 도 58 참조).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크 체인저(120)를 지지 장치(230)(기판(231))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기 때문에, 장치 본체인 디스크 체인저(120)를 종래보다도 소형화(예를 들면, 기판(231)의 좌우 방향의 길이를 도 59에 나타낸 거리 LA 및 LB를 가산한 길이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캠 기어(140)와 캠 장치(236)를 연결시키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디스크 체인지의 타이밍에 동기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트레이(126)가 3분의1회전(120°회전)하여 인접하는 지지부(128)가 정면으로 이동할 때에, 디스크 체인저(120)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126)의 회전과 디스크 체인저(120)의 좌우 방향의 이동(슬라이드)이 함께 고유인 동작이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투명 재료 등으로 성형한 경우, 사용자의 취미감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 기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15항에 있어서, 디스크 체인저 전체를 지지 장치에 대하여 이동(슬라이드)시키는 구성은 도시하지 않은 센서 등에 의해, 별도의 구동 수단(모터, 작동간 등)을 이용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내지 4실시예를 임의로 조합하여 변경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이하, 도 61 내지 도 65에 따라,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인 디스크 지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1은 본 실시예의 디스크 지지 장치의 평면도, 도 62는 도 61의 62-62선의 단면도이다. 또, 도 61은 도 62에 나타낸 되는 배출 버튼(426) 및 잠금 부재(428)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평면도로 되어 있다.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성)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성형된 턴테이블(414)에는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의 중심 구멍(10A)을 끼워 넣는 대략 원통 형상의 장착부(415), 디스크(10)를 탑재하는 평판형의 탑재부(416), 및 제1 구동 수단인 스핀들 모터(440)를 연결하는 연결부(4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부(415)의 상부 외주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부(415)의 직경은 디스크(10)의 중심 구멍(10A)보다도 약간만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417)는 탑재부(416)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연결부(417)의 하부(417A)와 탑재부(416) 사이에 삽입 통과부(417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통과부(417B)는 하부(417A)보다도 약간만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 삽입 통과부(417B)에는 탑재부(416)로부터 삽입 통과부(417B)를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417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417)의 하부(417A)에는 링형의 금속판(432)이 장착되어 있다.
턴테이블(414)의 삽입 통과부(417B)는 트레이(434)의 구멍(435)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구멍(435)은 테이퍼부(417C)의 최대 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핀들 모터(44O)를 턴테이블(414)에 연결시킨 연결 상태(도 64에 나타낸 상태에서 플레이 모드 또는 스톱 모드에 대응함)에서는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440)가 턴테이블(414)을 트레이(434)로부터 부상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연결 상태에서는 턴테이블(414)의 회전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턴테이블(414)과 트레이(434)가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핀들 모터(440)가 회전하면 스핀들(20)을 통하여 턴테이블(414)이 회전한다.
또, 본 실시예의 트레이(434)는 복수(예를 들면, 3매)의 지지부(436)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지지부(436)에 턴테이블(414)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트레이(434)는 각 지지부(436)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대략 삼각뿔의 형상을 이루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핀들 모터(440)는 소정 위치의 1개소에만 배치되어 있다.
턴테이블(414)의 중심에는 삽입공(418)이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공(418)에 스핀들 모터(440)의 스핀들(441)이 삽입 통과된다. 또, 연결부(417)에는 삽입공(418)에 연속하는 연결 오목부(4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오목부(419)는 삽입공(418)보다도 직경이 크고, 연결 오목부(419)의 삽입공(418) 측에는 삽입공(418)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419A)가 형성되어 있다.
스핀들(441)의 대략 중앙에는 연결 부재(442)가 배치되어 있고, 이 연결 부재(442)의 선단에 형성된 연결부(443)는 턴테이블(414)의 연결 오목부(419)의 형상에 대략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연결부(443)의 최대 직경은 연결 오목부(419) 구경의 최대 직경보다도 약간만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즉, 연결부(443)가 연결 오목부(419)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이 삽입 도중에 연결부(443)가 연결 오목부(419)의 내벽에 걸리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연결부(443)에는 그 연결부(417)에 배치된 금속판(432)에 대응하는 부위에, 링형의 자석(444)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440)를 턴테이블(414)에 연결시킨 연결 상태에서는 자석(444)이 그 자력에 의해서 금속판(432)을 흡착시키고, 연결 부재(442)와 턴테이블(414)이 일체로 결합한다.
또,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440)를 턴테이블(414)에 연결시킨 연결 상태에 있어서, 스핀들(441)의 선단(441A)이 후술하는 잠금 부재(428)에 접촉하고, 잠금 부재(428)를 밀어 올리고 후술하는 훅 레버(422)로부터 이격시키는 해제 상태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스핀들(441)이 잠금 부재(428)를 해제시키는 해제 수단 또는 연결 부분으로 되어 있다. 또, 해제 수단 또는 연결 부분은 스핀들(441) 이외에, 별도로 새로이 스핀들 모터(440)에 설치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스핀들 모터(440)는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고, 이 베이스가 이동함으로써 스핀들(441)이 턴테이블(414)의 연결 오목부(419) 및 삽입공(418)에 대하여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디스크 유지 장치의 구성)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장치(412)는 고정 수단인 훅 레버(422), 가압 수단인 반전 스프링(424), 배출 버튼(426), 규제 수단인 잠금 부재(428), 및 배출 버튼(426) 및 잠금 부재(428)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430)을 구비한다. 그리고, 디스크 지지 장치(412)는 턴테이블(414)에 배치되어 있다.
훅 레버(422)는 판형으로 되어 있고, 잠금부(422A) 및 압출부(422B)가 형성되어 있다. 훅 레버(422)는 잠금부(422A)와 압출부(422B) 사이에 삽입 통과된 핀(450)을 통하여 턴테이블(414)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6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414)에는 훅 레버(422)의 잠금부(422A) 또는 압출부(422B)를 개방시키는 구멍(414A)이 장착부(415) 및 탑재부(416)에 연속하여 복수 개소(본 실시예에서는 3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414A)은 원하는 각도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120도의 각도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도 62 또는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부(422A) 또는 압출부(422B)는 구멍(414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디스크(10)를 턴테이블(414)에 위치 결정하는 경우에는 구멍(414A)으로부터 돌출되는 잠금부(422A)의 잠금면(423D)이 디스크(10)를 탑재면(416A) 측으로 누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를 턴테이블(414)로부터 압출하는 경우에는 구멍(414A)으로부터 돌출되는 압출부(422B)가 디스크(10)를 탑재면(416A)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반전 스프링(424)은 대략 평판형의 장착부(424A), 및 장착부(424A)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스프링부(425)를 구비한다. 또, 반전 스프링(424)은 단일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424A)는 장착부(415)의 베이스(415B) 상에 장착되어 있는 동시에, 삽입공(418)에 대응하는 부위에 노치(424B)(도 6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즉, 도 64 및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441)의 선단(441A)은 삽입공(418) 및 노치(424B)를 삽입 통과하여 잠금 부재(428)와 접촉한다.
스프링부(425)는 각 훅 레버(422)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되고(도 61참조),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부(425)의 대략 중앙에는 경사부(425A)가 형성되어 있다. 또, 경사부(425A)의 형상은 단면이 대략 V자형 이외에, 예를 들면 원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경사부(425A)의 형상을 단면이 대략 V자형이 되도록 한 것은 "찰칵"하고 걸리는 느낌을 얻기 위해서이다.
경사부(425A)의 배치 위치는 훅 레버(422)의 핀(450)에 대략 대응하고 있고, 스프링부(425)는 잠금부(422B)의 접촉면(423A∼423C)에 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스프링부(425)의 경사부(425A)가 잠금부(422B)의 접촉면(423A)에 접촉하는 제1 접촉 상태(도 62 내지도 64 참조)에 있어서, 경사부(425A)와 접촉면(423A)의 접촉 위치가 핀(450)의 중심 위치보다도 높기 때문에, 스프링부(425)는 훅 레버(422)를 시계 방향(도 62 내지 도 64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시킨다.
한편, 스프링부(425)의 경사부(425A)가 잠금부(422B)의 접촉면(423A)에 접촉하는 제2 접촉 상태(도 65에 실선으로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경사부(425A)와 접촉면(423B)의 접촉 위치가 핀(450)의 중심 위치보다도 낮기 때문에, 스프링부(425)는 훅 레버(422)를 반시계 방향(도 65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시킨다.
또, 제2 접촉 상태에서는 훅 레버(422)의 접촉면(423C)이 스프링부(425)의 접속부(425B)에 접촉한다. 즉, 반전 스프링(424)은 훅 레버(422)의 스프링부(425)에 접촉하는 위치에 의해, 훅 레버(422)의 가압 방향을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대략 원판형인 잠금 부재(428)는 베이스(415B) 의 베이스면(415C)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가이드부(415D)를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잠금 부재(428)는 턴테이블(414)의 축심을 따라 슬라이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 부재(428)의 잠금면(외주면)(429)은 제1 접촉 상태에 있어서, 훅 레버(422)의 접촉면(423C)에 대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잠금면(429)과 훅 레버(422)의 접촉면(423C) 사이에는 클리어런스(간극 및 여유)가 약간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잠금 부재(428)는 코일 스프링(430)에 의해서 베이스면(415C) 측으로 가압되는 한편, 배출 버튼(426)은 코일 스프링(430)에 의해서 장착부(415)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배출 버튼(426)은 턴테이블(414)의 축심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배출 버튼(426)에는 턴테이블(4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규제하는 도시하지 않은 스토퍼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도 65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훅 레버(422)를 반시계 방향으로 강제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가압부가 배치되어있다. 즉, 상기 가압부는 훅 레버(422)의 접촉부(423C) 부근을 가압함으로써, 훅 레버(422)를 회전시킨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임의의 디스크(10)를 턴테이블(414)에 장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스톱 모드(도 65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10)를 원하는 지지부(436)의 턴테이블(414)에 탑재시킨다.
스톱 모드에서는,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테이블(414)의 연결부(417)와 스핀들(441)의 연결 부재(442)가 연결된 연결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핀들(441)의 선단(441A)은 잠금 부재(428)를 베이스면(415C)으로부터 밀어 올리고, 잠금 부재(428)의 잠금면(429)을 훅 레버(422)로부터 이격시켜서 잠금 해제 상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상태에 있어서, 훅 레버(422)가 도 65에 실선 또는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10)가 훅 레버(422)의 잠금부(422A) 또는 압출부(422B)에 접촉함으로써 훅 레버(422)를 회전시킨다.
즉, 도 6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면(423D)이 장착부(415)의 외주면(415A)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로 되는 동시에, 디스크(10)를 탑재면(416A) 측(도 62에서는 하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장착 상태의 디스크(10)는 턴테이블(470)의 탑재면(416A) 상에 지지된다. 또, 도 64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플레이 모드로 되어 있고, 턴테이블(414)이 지지부(436)로부터 부상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 체인지를 하는 경우 즉 디스크(10)를 턴테이블(470)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트레이(434)를 회전시킬 때에는 연결 부재(442)가 연결부(417)로부터 이격된다. 즉, 도 6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441)의 선단(441A)이 삽입공(418)으로부터 이탈되기 때문에, 잠금 부재(428)는 코일 스프링(430)의 가압력에 의해서 베이스면(415C) 측으로 가압되어 베이스면(415C)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이 상태(즉, 스핀들(441)의 연결 부재(442)가 턴테이블(414)에 연결된 스톱 모드 또는 플레이 모드)에서는 잠금 부재(428)의 잠금면(429)이 훅 레버(422)의 접촉면(423C)에 대향하고, 훅 레버(422)는 의도하지 않은 회전을 규제하는 잠금 상태로 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스핀들(441)이 턴테이블(414)로부터 완전히 이격된 상태에서 트레이(434)는 회전한다.
한편, 도 62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10)에 대하여 외부에서 의도하지 않은 힘(하중) 등이 가해지면, 도 6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 레버(422)의 접촉면(423C)이 잠금 부재(428)의 잠금면(429)에 접촉하여, 훅 레버(422)의 잠금면(423D)을 디스크(10)에 대향하는 상태로 지지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예를 들면 디스크 장치의 장치 본체 등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디스크(10)가 간단히 턴테이블(414)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되어, 디스크(10)를 턴테이블(414) 상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436)를 경사지게 한 트레이(434)와, 이러한 트레이(434)를 회전시키는 구성에서는 턴테이블(414)에 장착된 디스크(10)가 턴테이블(414)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또, 스톱 모드(도 65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도 65에 도시한 바와 같이배출 버튼(426)을 누르면, 훅 레버(422)가 반시계 방향으로 강제 회전하여, 압출부(422B)가 디스크(10)를 탑재면(416A)으로부터 압출한다. 즉, 이에 따라, 디스크(10)가 턴테이블(414)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핀들(441)을 청구범위 제16항에 관한 해제 수단으로 한 예이지만, 청구범위 제16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턴테이블의 상부에 배치하는 버튼 등을 해제 수단으로 할 수도 있다. 즉, 청구범위 제17항에 관한 발명에서는 턴테이블과 스핀들 모터를 연결 가능한 장치 이외에, 스핀들을 턴테이블에 고정하는 타입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의 조작에 연동되어, 훅 레버로 디스크를 턴테이블로부터 압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디스크의 착탈 시에만 규제 수단을 고정 수단으로부터 후퇴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6 실시예)
이하, 도 66내지 도 72에 따라,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인 디스크 유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 66은 본 실시예의 디스크 유지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7 및 도 68은 도 66에 나타낸 칼라의 사시도이다.
(디스크 유지 장치의 구성)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장치(512)는 트레이(534)의 지지부(536)에 배치된 턴테이블(514) 및 제1 구동 수단인 스핀들 모터(540)를 구비한다. 또, 본 실시예의 디스크 유지 장치(512)는 스핀들 모터(540)를 턴테이블(514)에 대하여 접속 가능하게 하는 타입의 장치이다.
턴테이블(514)에는 디스크(10)의 중심 구멍(10A)을 끼워 넣는 대략 원통 형상의 장착부(515), 디스크(10)를 탑재하는 평판형의 탑재부(516), 스핀들 모터(540)를 연결하는 제3 접속부로서의 연결부(5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장착부(515)의 상부 외주에는 테이퍼면(515A)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부(515) 외주면(515B)의 직경은 디스크(10)의 중심 구멍(10A)보다도 약간만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연결부(517)는 탑재부(516)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연결부(517)의 하부(517A)와 탑재부(516) 사이에 삽입 통과부(517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 통과부(517B)는 하부(517A)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또, 삽입 통과부(517B)에는 탑재부(516)로부터 삽입 통과부(517B)를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517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517)의 하부(517A)에는 링형의 금속판(532)이 장착되어 있다.
턴테이블(514)의 삽입 통과부(517B)는 트레이(534)의 구멍(535)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구멍(535)은 테이퍼부(517C)의 최대 직경과 대략 동일한 직경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핀들 모터(540)를 턴테이블(514)에 연결시킨 연결 상태(도 71에 나타낸 상태에서 플레이 모드 또는 스톱 모드에 대응함)에서는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540)는 턴테이블(514)이 트레이(534)로부터 부상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이 연결 상태에서는 턴테이블(514)의 회전에 지장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턴테이블(514)과 트레이(534)가 접촉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핀들 모터(540)가 회전하면 스핀들(20)을 통하여 턴테이블(514)이 회전한다.
또, 본 실시예의 트레이(534)는 복수(예를 들면, 3매)의 지지부(536)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 지지부(536)에 턴테이블(514)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 트레이(534)는 각 지지부(536)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대략 삼각뿔의 형상을 이루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스핀들 모터(540)는 소정 위치의 1개소에만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517)에는 삽입공(518)이 장착부(515)의 내측에서 장착부(51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공(518)에 스핀들 모터(540)의 제4 접속부인 스핀들(541)이 삽입 통과된다. 또, 연결부(517)에는 삽입공(518)에 연속하는 연결 오목부(51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오목부(519)는 삽입공(518)보다도 직경이 크게 되어 있고, 연결 오목부(519)의 삽입공(518) 측에는 삽입공(518)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는 형상의 테이퍼부(519A)가 형성되어 있다.
스핀들(541)의 대략 중앙에는 연결 부재(542)가 고정되어 있고, 이 연결 부재(542)는 링형이고 또한 단면이 대략 T자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연결 부재(542)에는 그 연결부(517)에 배치된 금속판(532)에 대응하는 부위에 링형의 자석(544)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71 및 도 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 모터(540)를 턴테이블(514)에 연결시킨 연결 상태에서는 자석(544)이 그 자력에 의해서 금속판(532)을 흡착하여, 연결 부재(542)와 턴테이블(514)이 일체로 결합된다.
또, 턴테이블(514)에는 장착부(515)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훅 레버(522), 훅 레버(522)를 항상 장착부(515)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524), 장착부(515)의 상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배출 버튼(526), 배출 버튼(526) 및 연결부(517)의 상면(517D)에 배치되는 코일 스프링(530), 및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압출 레버(528)를 구비한다.
압출 레버(528)는 탑재부(515)에 형성된 장공(516A) 내에 배치되고, 배출 버튼(526)의 조작에 연동되어 장공(516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훅 레버(522) 및 압출 레버(528)는 원하는 각도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120도의 각도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6, 도 70, 및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를 턴테이블(514)에 위치 결정하는 경우에는 훅 레버(522)가 장착부(515A)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디스크(10)를 탑재면(516A) 측으로 누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도 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10)를 턴테이블(514)로부터 꺼내는 경우에는 장공(516A)으로부터 돌출되는 압출 레버(528)(가상선으로 나타냄)가 디스크(10)를 탑재면(516B)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배출 버튼(526)에는 턴테이블(514)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규제하는 스토퍼(527)가 배치되어 있다. 또, 배출 버튼(526)은 코일 스프링(530)에 의해서 장착부(515)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는 동시에, 배출 버튼(526)의 조작 시에 스프링(524)이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위치 결정 수단에 관한 구성)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541)에는 제2 위치 결정 수단인 칼라(546)가 스핀들(541)의 축심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칼라(546)는 연질의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고, 대략 다각뿔대 형상의 헤드부(547) 및 이 헤드부(547)로부터 연장되는 복수 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레그부(548)를 구비한다. 또, 레그부(548)는 원하는 각도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120도의 각도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다.
레그부(548)의 선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화살촉 형상의 훅(54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훅(549)은 칼라(546)를 스핀들(541) 및 연결 부재(542)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연결 부재(542)의 하면(542A)에 대향한다. 즉, 훅(549)은 칼라(546)가 연결 부재(54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
도 66 내지 도 6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라(546)의 헤드부(547)에는 스핀들(541)의 직경과 대략 동일한 구멍(547A)이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칼라(546)는 구멍(547A)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칼라(546)를 스핀들(541)에 장착하는 경우, 스핀들(541)을 칼라(546)의 구멍(547A)에 삽입한다.
도 67 및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547)에는 그 선단 부근으로부터 타단까지의 범위에서 축 방향을 따르는 슬릿(547B)이 복수 개(본 실시예에서는 3개) 형성되어 있다. 또, 슬릿(547B)은 원하는 각도 간격(본 실시예에서는 120도의 각도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레그부(548)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547) 선단 부근의 슬릿(547B)은 그 직경 방향에 있어서, 헤드부(547)의 외주면으로부터 구멍(547A)의 바로 앞까지의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6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547)의 타단 부근의 슬릿(547B)은 그 직경 방향에 있어서, 헤드부(547)의 외주면으로부터 구멍(547A)까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헤드부(547)의 외주면에는 타단을 향하여 끝이 넓어지도록 한 원호 형상의 노치(547C)가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 노치(547C)는 헤드부(547)의 선단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547)에는 그 내주면에 링형의 홈(547D)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부(547)에 형성된 슬릿(547A), 노치(547B), 및 홈(547C)은 도 70 및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547)가 턴테이블(514)의 연속 오목부(519) 내에 삽입된 경우에, 헤드부(547)가 탄성 변형하여 칼라(546)의 외주면과 연속 오목부(519)의 내주면을 밀착시키는 것이다.
또, 칼라(546)의 헤드부(547)는 턴테이블(514)의 연결 오목부(519)의 형상에 대략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헤드부(547)가 연결 오목부(519)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는 동시에, 이 삽입의 도중에 헤드부(547)가 연결 오목부(519)의 내벽에 걸리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라(546)의 헤드부(547)와 연결 부재(542) 사이에는 스핀들(541)에 삽입 통과된 코일 스프링(550)이 배치되어 있다. 또, 연결 부재(542)에는 칼라(546)의 레그부(548)에 대응하는 부위에, 축 방향을 따르는 홈(542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칼라(546)는 레그부(548)의 선단을 홈(542B) 내에 끼워 넣은 것에 의해, 스핀들(541) 및 연결 부재(542)에 장착된다. 또, 칼라(546)는 코일 스프링(550)의 가압력에 의해 항상 스핀들(541)의 선단(541A) 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여기에서, 코일 스프링(550)의 가압력은 자석(544)이 그 자력에 의해서 금속판(532)을 흡착시켜 연결 부재(542)를 턴테이블(514)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경우에서의, 상기 자석(544)의 자력보다도 약하게 설정되어 있다. 즉, 턴테이블(514)과 연결 부재(542)(즉, 스핀들 모터(540))의 결합 상태(도 71 및 도 72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55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자석(544)과 금속판(532)의 자력에 의한 결합이 턴테이블(514) 및 연결 부재(542)의 결합 상태를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칼라(546)는 훅(549)에 의해서 연결 부재(542)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규제된다. 또, 스핀들 모터(540)는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에 장착되어 있고, 이 베이스가 이동함으로써 스핀들(541)이 턴테이블(514)의 연결 오목부(519) 및 삽입공(518)에 대하여 삽입되거나 인출된다.
계속해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플레이 모드로 하는 동작, 즉 도 66에 나타낸 분리 상태로부터 도 71에 나타낸 결합 상태(스톱 모드 또는 플레이 모드)로 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 레버(522)가 장착부(515)의 외주면(515A)으로부터 돌출되는 상태로 되는 동시에, 디스크(10)를 탑재면(516A) 측(도 66에서는 하측)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장착 상태의 디스크(10)는 턴테이블(70)의 탑재면(516A) 상에 유지된다.
턴테이블(514)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스핀들 모터(540)는 소정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턴테이블(514)의 연결 오목부(519)를 향하여 이동한다. 스핀들 모터(540)가 연결 오목부(519) 측으로 이동하면, 스핀들(541) 및 칼라(546)는 연결 오목부(519) 내에 삽입되어, 도 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라(546)의 외주면이 연결 오목부(519)의 내벽에 접촉한다.
또한, 스핀들 모터(540)가 연결 오목부(519) 측으로 이동하면,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핀들(541)에 배치된 연결 부재(542) 및 칼라(546)와, 턴테이블(514)의 연결부(517)는 연결된 상태로 된다. 즉, 자석(544)의 자력에 의해서 금속판(532)이 흡착되어 연결 부재(542)와 연결부(517)를 연결하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550)의 가압력에 의해서 칼라(546)의 외주면이 연결 오목부(519)의 내벽에 가압된다.
칼라(546)의 외주면이 연결 오목부(519)의 내벽에 가압되면, 헤드부(547)에 형성된 슬릿(547A), 노치(547B), 및 홈(547C)에 의해 헤드부(547)가 탄성 변형되어 칼라(546)의 외주면과 연속 오목부(519)의 내주면을 보다 강력하게 밀착시킨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칼라(546)와 턴테이블(514)을 밀착시킴으로써, 칼라(546) 및 턴테이블(514)을 일체화하여 강체(剛體)로 만드는 동시에, 스핀들(541) 선단(541A)과 턴테이블(514) 삽입공(518)과의 덜그럭거림을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550)이 칼라(546)를 연결 오목부(519)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시키기 때문에, 스핀들(541) 선단(541A)과 턴테이블(514) 삽입공(518)과의 덜그럭거림을 방지한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스핀들 모터(540)를 턴테이블(514)에 대하여 접속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더라도, 턴테이블(514)의 연결부(517)와 스핀들 모터(540)의 연결 부재(542) 사이에 제2 위치 결정 수단인 칼라(546)를 설치했기 때문에, 완충재로서의 기능도 함께 갖는 칼라(546)에 의해서 연결부(517)와 연결 부재(542)가 견고하게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턴테이블(514)이 진동에 강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석(544)의 힘에 의해, 연결부(517)의 하부(517A)와, 연결 부재(542)의 상면(542C)이 견고하게 연결되어, 또한 고정되기 때문에, 턴테이블(514)이 진동에 강하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칼라(546)를 턴테이블(514)의 연결부(517)와 스핀들(541)의 연결 부재(542) 사이에 설치했기 때문에, 턴테이블(514)과 스핀들(541)의 직경 방향 위치 맞춤이 행하여지고, 따라서 제1 구동 수단의 회전 시에 턴테이블의 회전 치우침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 장치에 배치되는 픽업(도시 생략)과, 턴테이블(514)에 장착되는 디스크(10)와의 거리 및 턴테이블(514)의 회전 중심이 항상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포커스 서보 및 트래킹 서보의 제어가 적정하게 기능한다.
또, 코일 스프링(550)의 가압력에 의해서 칼라(546)가 연결 오목부(519)의 내벽에 밀착된 후에는 칼라(546)는 코일 스프링(55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스핀들 모터(540) 측으로 이동한다. 즉, 칼라(546)는 스핀들(541)에 대하여 그 축 방향을따라 슬라이드하는 동시에, 코일 스프링(550)의 가압력에 의해서 칼라(546)가 연결 오목부(519)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 칼라(546)가 스핀들(541)을 따라 슬라이드할 때, 칼라(546)의 레그부(548)는 연결 부재(542)의 홈(542B)을 따라 슬라이드하게 된다.
다음에, 스톱 모드(도 72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도 7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 버튼(526)을 누르면, 훅 레버(52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도 72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압출 레버가 디스크(10)를 탑재면(516A)으로부터 압출한다. 즉, 이에 따라, 디스크(10)가 턴테이블(514)로부터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다. 또, 도 72에 나타낸 상태(플레이 모드 또는 스톱 모드)에서는 턴테이블(514)이 지지부(536)로부터 부상되어 있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트레이(26)의 형상을 대략 삼각뿔 형상으로 한 예이지만, 트레이의 형상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대략 4각뿔, 대략 5각뿔, 다각면을 형성하는 각기둥 등의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 지지 장치를 대략 4각뿔, 대략 5각뿔 등으로 한 경우에는 지지부가 4개소 또는 5개소가 되기 때문에, 공간 절약형의 트레이(26)에 다수의 디스크(4매 이상의 디스크)를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14), 턴테이블(42), 턴테이블(42)을 구동시키는 모터(38), 및 트레이(26)를 구동시키는 모터(52) 등의 구성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또, 청구범위 제1항에서는 트레이(26)의 형상을 종래의 회전 테이블(492)과 마찬가지로 평면 형상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73에 따라, 트레이를 평면 형상으로 한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이동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탑재 테이블(70)을 디스크 장치의 캐비넷(72)에 대하여 슬라이드시키고, 판형의 탑재 테이블(70)을 캐비넷(72)으로부터 인출 또는 복귀되도록 구성한 예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탑재 테이블(70)에는 원형의 오목부(71)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71)의 중심에는 턴테이블(42)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턴테이블(42)의 구성은 도 6에 나타낸 예와 동일이며, 그 몸통부(42B)에 볼(54)을 포함하는 볼척 기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은 디스크를 오목부(71) 내에 삽입하고, 볼척 기구를 통하여 몸통부(42B)에 장착한다.
또, 캐비넷(72) 내에는 탑재 테이블(70)이 캐비넷(72) 내로 복귀된 경우에, 턴테이블(42)에 대응하는 부위에 도 6에 나타낸 링 부재(40)를 장착 고정한 모터(38)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38)가 이동함으로써 링 부재(40)가 턴테이블(42)의 링 부재(43)에 접속되어, 모터(38)가 회전함으로써 턴테이블(42)을 회전시킨다.
또한, 캐비넷(72) 내에는 탑재 테이블(70)이 캐비넷(72) 내로 복귀되어 턴테이블(42)과 모터(38)를 접속 가능하게 하는 위치와, 탑재 테이블(70)이 캐비넷(72)으로부터 인출되어 탑재 테이블(70)의 오목부(71)에 디스크를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기구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넷(72)의 탑재를 도 7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하는 경우 이외에, 수직 방향으로 할 수도 있다. 기타 작용 효과는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의 접속 수단은 모터(38)에 연결되는 링 부재(40) 및 자석 부재(41) 및 턴테이블(42)에 연결되는 링 부재(43)로 한 예이지만, 상기 각 실시예의 접속 수단은 턴테이블과 모터를 자기 유지하여 접속시키는 구성이면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접속부는, 상기 각 실시예의 구성(링 부재(40), 턴테이블(42) 구멍(56) 등의 구성)과 반대가 되도록 할 수도 있고, 예를 들면 링 부재(40)에 구멍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구멍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턴테이블에 설치하고, 또한 구멍에 설치되는 판 스프링, 기준면 등에 의해 돌출부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는 이른바 미니 디스크, 컴팩트 디스크,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 본 발명의 디스크 장치는 컴포넌트 스테레오 장치 이외의 전자 기기, 예를 들면 디스크 장치를 구비한 퍼스널 컴퓨터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디스크 지지 장치가 적용되는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 체인저, 휴대용 디스크 플레이어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범위 제1항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지지수단에 동심 형상으로 복수 지지된 제1 유지 수단이 디스크를 유지하는 동시에 회전 지지하기 때문에, 디스크를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장착하거나, 수직 방향으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디스크 지지 장치의 평면에서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평면에서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재생 가능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면이 축 상의 소정의 점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뿔 형상의 면을 구성하도록 제1 유지 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디스크 지지 장치의 평면에서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고, 따라서 평면에서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청구범위 제3항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 지지 장치의 평면에서의 면적이 종래의 턴테이블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복수의 디스크를 공간 절약형 디스크 지지 장치에 배치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6항 또는 제7항의 디스크 유지 장치 또는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접속 수단이 턴테이블과 제1 구동 수단을 자기 유지하기 때문에, 턴테이블과 제1 구동 수단의 접속을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한다.
또, 청구범위 제6항 또는 제7항의 디스크 유지 장치 또는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제1 이동 수단에 의해서 턴테이블을 턴테이블과 제1 구동 수단을 접속하는 위치와 기타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성의 디스크 장치 등이더라도, 디스크가 미리 턴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턴테이블에 대하여 어긋나는 일이 없고, 종래와 같은 디스크의 척킹 실패가 없어진다.
또한, 청구범위 제6항 또는 제7항의 디스크 유지 장치 또는 디스크 장치에의하면, 디스크를 미리 턴테이블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변형 디스크 등이더라도 턴테이블에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8항 또는 제9항의 디스크 유지 장치 또는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접속 수단은 제1 구동 수단과 턴테이블을 접속하고, 또한 제1 위치 결정 수단은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제1 접속부 또는 제2 접속부의 위치를 결정하기 때문에, 턴테이블의 위치 결정이 원활하고 또한 확실하여 진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8항 또는 제9항의 디스크 유지 장치 또는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 장치에 배치되는 픽업과, 턴테이블에 장착되는 디스크와의 거리 및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이 항상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포커스 서보 및 트래킹 서보의 제어가 적정하게 기능한다.
청구범위 제10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공통의 제2 구동 수단 및 구동 경로를 통하여 트레이의 회전 및 홀더의 이동이 각각 행하여지기 때문에, 종래의 디스크 체인저에 비해 부품 수가 줄고, 따라서 구성이 간단하게 되는 동시에 저가로 된다.
청구범위 제11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미접속 모드에 있어서, 잠금 수단이 턴테이블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기 때문에, 턴테이블과 스핀들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예를 들면 트레이가 회전하고 있는 디스크 체인지 시 또는 디스크 장치의 운반 시 등에 있더라도, 턴테이블과 트레이의 간극에 의한 덜컹거림, 즉 덜컹거리는 소리의 발생이 방지된다.
청구범위 제12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접속 완료 상태에 있어서, 제3 위치 결정 수단이 정보 처리 수단을 접속 완료 상태로 위치 결정하기 때문에,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착탈할 때에 의도하지 않은 하중이 트레이에 가해지더라도 트레이가 확실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12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접속 완료 상태에서의 트레이가 제3 위치 결정 수단에 의해서 확실하게 지지되기 때문에,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착탈하는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13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 체인지 후, 제2 이동 수단이 장치 본체를 트레이가 패널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키기 때문에, 턴테이블과 패널 개구부와의 간극이 종래보다 좁아진다. 따라서, 청구범위 제13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턴테이블과 패널의 개구부와의 간극이 종래보다 좁아지기 때문에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착탈하는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청구범위 제14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가 턴테이블에 적정하게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검출 수단이 검출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디스크 체인저에 있어서, 트레이의 회전 중에 디스크가 원심력에 의해서 턴테이블로부터 날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범위 제15항의 디스크 장치에 의하면, 트레이의 회전 시에 있어서, 트레이를 트레이의 모서리부가 장치 본체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슬라이드시키기 때문에 장치 본체를 종래보다 소형화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16항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장치 본체 등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고정 수단과 규제 수단이 접촉하기 때문에, 디스크가 간단히 턴테이블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게 되어, 디스크를 턴테이블 상에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18항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제3 접속부 및 제4 접속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 결정 수단을 설치했기 때문에, 제1 구동 수단과 턴테이블의 직경 방향 위치 맞춤이 행하여지고, 따라서 제1 구동 수단의 회전 시에 턴테이블의 회전 치우침이 방지된다.
또, 청구범위 제18항의 디스크 지지 장치에 의하면, 디스크 장치에 배치되는 픽업과, 턴테이블에 장착되는 디스크와의 거리 및 턴테이블의 회전 중심이 항상 일정하게 되기 때문에, 포커스 서보 및 트래킹 서보의 제어가 적정하게 기능한다.

Claims (18)

  1. 디스크가 유지(保持)되는 동시에 그 디스크를 회전 지지하는 제1 유지 수단, 및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동심 형상으로 복수 지지하는 지지 수단
    을 가지고,
    상기 지지 수단이 상기 동심을 통과하는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을 수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지 수단은 상기 디스크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에 설치된 디스크 구동 수단에 접속 또는 개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지지되는 디스크의 재생 가능 상태에 있어서, 각각 의 디스크면이 상기 축 상의 소정의 점을 정점(頂点)으로 하는 다각뿔 형상의 면을 구성하도록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복수의 평판형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지 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가 각각 구성하는 면이 상기 축 상의 다른 소정의 점을 정점으로 하는 다각뿔 형상의 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걸림부로부터 상기 지지부의 개방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디스크의 반경보다 짧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지지 장치.
  6.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 및
    상기 제1 구동 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을 접속 가능하게 하는 접속 수단
    을 가지며,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제1 구동 수단을 자기 유지(自己保持)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유지 장치.
  7.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과 접속 및 개방 가능한 디스크 구동 수단,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제1 구동 수단을 접속하는 접속 수단, 및
    상기 턴테이블을,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제1 구동 수단을 접속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8. 제1 접속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턴테이블,
    상기 제1 접속부와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제1 구동 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을 접속시키는 접속 수단, 및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상기 제2 접속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유지 장치.
  9. 제1 접속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턴테이블,
    상기 제1 접속부와 접속하는 제2 접속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접속시킴으로써 상기 제1 구동 수단과 상기 턴테이블을 접속시키는 접속 수단,
    상기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속부 또는 상기 제2 접속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1 위치 결정 수단, 및
    상기 턴테이블을,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제1 구동 수단을 접속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제1 이동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0.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디스크를 탑재하는 턴테이블이 복수의 지지부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되는 트레이,
    상기 턴테이블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접속 수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접속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에 대한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수단을 배치하는 홀더, 및
    상기 트레이의 회전과 상기 홀더의 이동을 공통의 구동 경로를 통하여 행하는 제2 구동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1.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디스크를 탑재하는 턴테이블이 복수의 지지부에 대응하여 각각 배치되는 트레이,
    상기 턴테이블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접속 수단이상기 턴테이블에 접속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에 대한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수단, 및
    상기 접속 수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미접속 모드인 경우, 상기 턴테이블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잠금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2.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디스크를 탑재하는 턴테이블이 배치되는 트레이,
    상기 턴테이블에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접속 수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접속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에 대한 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처리 수단, 및
    상기 접속 수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접속하는 접속 완료 상태에서, 상기 정보 처리 수단을 상기 접속 완료 상태로 위치 결정하는 제3 위치 결정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3. 디스크를 탑재하는 턴테이블이 배치되는 동시에 모서리부를 가지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 본체,
    상기 디스크를 상기 턴테이블에 착탈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지는 패널, 및
    상기 디스크가 상기 턴테이블에 착탈될 때에, 상기 장치 본체를 상기 트레이가 상기 패널에 근접하도록 이동시키는 제2 이동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4.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구비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크를 상기 탑재면에 유지하는 제2 유지 수단, 및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2 유지 수단 상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디스크가 상기 탑재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5. 디스크를 탑재하는 턴테이블이 배치되는 지지부를 복수 구비하고, 또한 평면 형상이 삼각형인 모서리부를 가지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치 본체, 및
    상기 트레이의 회전 시에, 상기 트레이를 상기 지지부가 상기 장치 본체의 정면에 위치하는 초기 위치로부터 상기 모서리부가 돌출되는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장치.
  16.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부, 및 상기 디스크의 중심 구멍을 끼워 넣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배치되고,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디스크를 상기 장착부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
    상기 턴테이블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수단을 상기 장착부의 외측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
    상기 턴테이블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 수단이 상기 장착부 내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 및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턴테이블의 이동에 연동되는 상기 규제 수단을 상기 고정 수단으로부터 후퇴시키는 해제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유지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에 연결 가능하게 배치되고, 또한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해제 수단을 상기 제1 구동 수단의 연결 부분으로 하여, 상기 제1 구동 수단이 상기 턴테이블에 연결된 연결 상태에서 상기 연결 부분이 상기 규제 수단을 이동시켜 상기 고정 수단의 규제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유지 장치.
  18. 제3 접속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디스크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연결 가능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3 접속부에 접속하는 제4 접속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 구동시키는 제1 구동 수단, 및
    상기 제3 접속부와 제4 접속부를 접속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3 접속부 및 상기 제4 접속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제2 위치 결정 수단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유지 장치.
KR1020037007809A 2000-12-12 2001-12-06 디스크 지지 장치 KR100839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77219 2000-12-12
JP2000377216 2000-12-12
JP2000377217 2000-12-12
JPJP-P-2000-00377216 2000-12-12
JPJP-P-2000-00377219 2000-12-12
JPJP-P-2000-00377217 2000-12-12
JP2001087257 2001-03-26
JP2001087258 2001-03-26
JPJP-P-2001-00087257 2001-03-26
JPJP-P-2001-00087258 2001-03-26
JPJP-P-2001-00102400 2001-03-30
JP2001102401 2001-03-30
JP2001102400 2001-03-30
JP2001102403 2001-03-30
JPJP-P-2001-00102401 2001-03-30
JP2001102404 2001-03-30
JP2001102402 2001-03-30
JPJP-P-2001-00102399 2001-03-30
JP2001102399 2001-03-30
JPJP-P-2001-00102404 2001-03-30
JPJP-P-2001-00102402 2001-03-30
JPJP-P-2001-00102403 2001-03-30
PCT/JP2001/010672 WO2002049028A1 (fr) 2000-12-12 2001-12-06 Support de disques, porte-disques et dispositif a dis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3686A true KR20030083686A (ko) 2003-10-30
KR100839895B1 KR100839895B1 (ko) 2008-06-19

Family

ID=27582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7809A KR100839895B1 (ko) 2000-12-12 2001-12-06 디스크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31648B2 (ko)
EP (1) EP1357552B1 (ko)
JP (1) JPWO2002049028A1 (ko)
KR (1) KR100839895B1 (ko)
CN (1) CN1242403C (ko)
AU (1) AU2002218530A1 (ko)
WO (1) WO20020490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2908A1 (de) * 2007-05-14 2008-11-20 Krones Ag Verfahren zum Be- und Entladen einer Palette und entsprechender Palettierer
CN106820692B (zh) * 2017-03-09 2023-02-03 伍志勇 一种用于家具的可调节式开闭锁离机构
AU2021275773A1 (en) * 2020-05-18 2023-01-19 Truvian Sciences, Inc. Capture assembly and method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9372A (en) * 1981-05-15 1982-11-2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Random access animation filing device
GB2137797B (en) * 1983-02-03 1986-10-29 Pioneer Electronic Corp Dual mode disc player
US4562570A (en) * 1983-11-28 1985-12-31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Video disc turntable having clamping device
US4773052A (en) * 1984-09-20 1988-09-20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ual mode disk player/recorder
US4655342A (en) * 1985-05-17 1987-04-07 Allsop, Inc. Disc storage case
US5067116A (en) * 1990-05-07 1991-11-19 Kadrmas Kenneth A Automatic disc changer apparatus
JPH04111039U (ja) 1991-02-27 1992-09-28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カルーセルcdチエンジヤー用ターンテーブル
JPH04278253A (ja) * 1991-03-05 1992-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3064720B2 (ja) * 1992-04-22 2000-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H06139690A (ja) * 1992-10-30 1994-05-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DE19527259A1 (de) * 1994-08-04 1996-03-07 Matthias Utzinger Ablageanordnung aus stapelbaren Elementen
JPH08339659A (ja) * 1995-06-09 1996-12-24 Fujitsu General Ltd ディスク駆動装置
JPH09326152A (ja) * 1996-06-06 1997-12-16 Aiwa Co Ltd ディスク装置の制御方法
JPH1064157A (ja) * 1996-08-20 1998-03-06 Alpine Electron Inc ディスク装置
JP3022380B2 (ja) * 1997-03-14 2000-03-21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213729B1 (ko) * 1997-06-13 1999-08-02 윤종용 디스크 자동 보상형 턴테이블
WO1999016066A1 (en) * 1997-09-20 1999-04-01 Daewoo Electronics Co., Ltd. Cd changer
JP3570892B2 (ja) 1998-05-21 2004-09-29 日本電気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集合型光ディスク装置の媒体駆動装置
JP2000195080A (ja) * 1998-08-06 2000-07-14 Ricoh Co Ltd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000100044A (ja) 1998-09-21 2000-04-07 Pioneer Electronic Corp コンパチブルプレーヤ
JP2000322799A (ja) 1999-05-12 2000-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231648B2 (en) 2007-06-12
AU2002218530A1 (en) 2002-06-24
JPWO2002049028A1 (ja) 2004-04-15
KR100839895B1 (ko) 2008-06-19
CN1479920A (zh) 2004-03-03
EP1357552A4 (en) 2008-03-19
EP1357552B1 (en) 2009-09-16
WO2002049028A1 (fr) 2002-06-20
EP1357552A1 (en) 2003-10-29
US20040139455A1 (en) 2004-07-15
CN1242403C (zh) 200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06874B2 (ja) 円盤記録再生装置
EP1467369B1 (en) Disk cartridge
US6388974B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apparatus
EP0158359B1 (en) Disc case
KR100839895B1 (ko) 디스크 지지 장치
US6307828B1 (en)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disc container casing used therein
US5796709A (en) Disk reproduct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connection between the centering member and turntable
KR100410707B1 (ko) 기록매체의로딩장치및기록재생장치
KR100538022B1 (ko) 디스크장치
JPH07182659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US6631112B1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disc cartridge loading, holding and ejection mechanism
US6680882B2 (en) System for reproducing a disc
KR101017308B1 (ko) 디스크 카트리지
US7305686B2 (en) Optical disk player
EP0833333B1 (en) Disk package
JP3178047B2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3900290B2 (ja) ディスクチャッキング機構及び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3642165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100244528B1 (ko) 디스크재생장치
JPH0955011A (ja) 記録媒体再生装置
KR100486226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픽업용캐리지의직선운동장치
US20040071051A1 (en) Disk table rotation supporting structure
KR19980018975A (ko) 디스크 장치, 그 헤드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에의 억세스 방법 및 대피 방법(Disk Apparatus, Access and Shunting Methods to the Disk Type Recording Medium of the Head of Said Apparatus)
JP2000040287A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H075007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