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5838A -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 - Google Patents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5838A
KR20030065838A KR1020020005867A KR20020005867A KR20030065838A KR 20030065838 A KR20030065838 A KR 20030065838A KR 1020020005867 A KR1020020005867 A KR 1020020005867A KR 20020005867 A KR20020005867 A KR 20020005867A KR 20030065838 A KR20030065838 A KR 20030065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obile phone
landline
telephon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복규
Original Assignee
(주)두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레테크 filed Critical (주)두레테크
Priority to KR1020020005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5838A/ko
Publication of KR20030065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83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from a stretched w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전화기와 이동전화기간의 3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가 가능한 유선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개시한 본 발명의 유선전화기는, 본체의 적소에 이동전화기를 착탈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플랫홈을 갖는 거치대; 플랫홈의 저면에 설치되어 이동전화기가 거치될 때 이동전화 신호를 전달하는 카킷 콘넥터; 본체의 적소에 설치되어 전화통화모드를 선택·입력하는 통화모드선택수단; 통화모드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전화통화모드에 따라 카킷 콘넥터의 이동전화 라인과 국선의 유선전화 라인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유선전화기의 송수화부에 연결해 주어 통화하도록 하며 유선 및 이동전화 통화 중 다른 전화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훅크 온/오프를 제어하는 통화통제수단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이동전화기의 사용이 최대한 억제되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선전화기의 송수화부를 통해서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또한 이동전화기의 교체 때마다 발생되는 축전지의 사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Wire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Third Party Call Mobile Phone And Wire Phone}
본 발명은 유선전화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선전화기상에 이동전화기(Mobile Phone)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설치하여 PCS폰이나 셀룰라폰과 같은 이동전화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로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유선전화기와 이동전화기간의 3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별도의 충전기 없이도 이동전화기 충전의 편리성 및 전자파 영향의 최소화를 양립하도록 하는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선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기 위해서는 그 유선전화기가 공중전화망(PSTN)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비록 수신자가 PCS폰이나 셀룰라폰 등과 같은 이동전화기를 사용한다 하여도 유선전화기 자체는 공중회로망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역으로 발신자가 이동전화기를 이용하여 유선전화기 사용자와 통화를 하는 경우에도 수신자의 유선전화기는 공중전화망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이것은 유선전화기를 사용하여 통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유선전화기가사용되는 지역에는 반드시 공중전화망이 설치되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망과 공중전화망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이동통신망, 예컨대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의 이동통신망에 있어서는 각각 할당 통신영역인 셀(Cell)내의 이동전화기(10)(11)와 각각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 개의 기지국(BTS: 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12)(13)과, 기지국(12)(13)을 각각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14)와, 기지국 제어기(14)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요청된 호 신호를 타 교환기 또는 공중전화망(15)으로 선택 교환하는 이동교환기(16)와, 이동교환기(16)와 공중전화망(15)간의 망간 접속을 제공하는 게이트웨이(17)로 구성되는 한편, 공중전화망(15)에는 가입자의 복수의 유선전화기(18)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통신망에서 이동전화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방법은, 상기 이동통신 서비스에 가입된 이동전화기(10)로부터 발신되는 호 신호가 기지국(12)으로 무선 수신되면 기지국(12)에 의해 수신된 호 신호가 광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 등과 같은 유선 케이블로 연결 접속된 기지국 제어기(14) 및 이동교환기(16)에 전송되고, 상기 전송되어진 호 신호에 해당하는 통신 서비스가 이동교환기(16)에 의해 제공되는데, 이때 통신 서비스에는 이동전화간(10)(11)의 이동전화 서비스 또는 이동전화기(10)와 공중전화망(15)에 연결된 유선전화기(18)간의 이동전화 서비스 등이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셀룰라폰과 PCS폰과 같은 이동전화기가 급속하게 보급되어 대부분의 통신 가입자가 유선전화기와 이동전화기 또는 유선전화기와 유선전화기간의 통화 대신에 이동의 편리성 이유로 이동전화기와 이동전화기 간의 통화를 많이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사무실 또는 가정 내에서 이동하지 않은 상태에서 업무를 보고 있는 중에 이동전화기로 전화통화가 수신되면 호출 수신자는 하던 일을 멈추고 이동전화기를 손에 든 상태에서 통화를 해야하는데, 이는 가정 및 사무실에 가입 설치된 유선전화기의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로 이동전화기에 걸려오는 전화통화 내용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이동전화기간의 전화통화 때 수신자가 일일이 이동전화기를 들고 통화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장시간 통화를 할 경우 축전지의 과부하로 인한 열발생과 이동전화기에서 방사되는 전자파에 노출되어 불안감을 느낄 수 있으며, 또 통화하는 위치가 이동전화의 통화 음영지역일 경우 통화상태가 양호한 위치로 이동하면서 통화를 유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동전화간의 장시간 통화에 의해 축전지의 전압이 소진되었을 경우 별도로 구비된 이동전화기용 충전기에 거치시켜 재충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이동전화기로 걸려오는 전화를 유선전화로 받거나 또는 유선전화와 이동전화간의 3자 통화가 불가능, 즉 다시 말해서 유선전화 통화 중에 이동전화가 왔을 경우, 또는 이동전화 통화 중에 유선전화가 왔을 경우, 또는 이동전화 통화 중에 유선전화를 걸어 통화하고자 할 경우, 부득이 먼저 통화 중인 전화를 종료한 다음 유선전화기 또는 이동전화기를 통해 전화를 받거나 또는 전화를 걸어 주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치유하면서도 비용 면에서는 3자 통화가 가능한 저가의 유선전화기를, 그리고 신뢰성 면에서는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의 전자파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유선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전화기로 걸려오는 이동전화를 유선전화기의 송수화부를 통해 받고, 또한 유선전화와 이동전화 간의 3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여, 한정된 공간 내에서의 이동전화의 사용을 최대한 억제시켜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시키도록 하는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유선전화기는 본체에 이동전화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설치하여, 본체에 이동전화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동전화가 수신되었을 때, 통화라인을 유선전화기 쪽으로 자동 전환하여 주어 유선전화기의 송수화부로 전화를 받도록 하고, 또한 통화모드의 선택에 따라 유선전화기와 타 유선전화기 및 이동전화기의 통화라인을 동시에 연결해 주어 3자 통화가 가능하도록 해 줌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전화기의 교체 시에 폐기처분 되는 축전지의 자원낭비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유선전화기는 이동전화기가 본체에 장착되었을 때 별도의 축전지 없이도 본체를 통해 제공되는 전압에 의해서 동작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망과 공중전화망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유선전화기에 이동전화기가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유선과 이동전화간의 3자 통화를 위한 유선전화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유선전화 통화모드키 42 : 이동전화 통화모드키
44 : 통화대기모드키 46 : 3자통화모드키
100 : 유선전화기 102 : 통화통제부
104 : 키패드부 104a : 통화모드선택부
106 : 마이크로 프로세서 108 : 송수화부
110 : 카킷 콘넥터 130 : 거치대
200 : 이동전화기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에 의하면, (1) 유선전화기의 본체에 이동전화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와 통화모드선택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전화기가 거치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통화모드의 선택을 검색하는 단계; (2) 상기 검색한 모드가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 통화모드이면 상기 유선전화기의 송수화부를 국선 또는 이동전화기로 선택·전환하여 통화로를 형성하여 주는 단계; (3) 상기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 통화 중에 다른 전화가 수신될 때, 상기 통화대기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통화중인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의 통화를 보류시키고 상기 수신전화를 상기 송수화부로 연결하여 통화하도록 하며 통화완료 후 상기 보류시킨 이전의 전화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주는 단계; 및 (4) 상기 유선전화 통화 중에 이동전화가 수신되거나 또는 이동전화 통화 중에 유선전화가 수신되고 상기 통화모드선택수단으로부터 3자 통화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유선전화기와 이동전화기의 통화라인을 상기 송수화부에 동시에 연결시켜 3자 통화로를 형성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의 통화가 종료되고 상기 다른 전화가 수신될 때 상기 통화대기모드 선택없이 상기 수신전화의 모드를 선택하여 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이동전화 통화 중에 유선전화를 걸고자 상기 3자 통화모드를 선택하였을 때, 상기 유선전화기와 이동전화기의 통화라인을 상기 송수화부에 동시에 연결시켜 3자 통화로를 형성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유선전화 및 이동전화 통화 중에 상기 유선전화기상의 훅크스위치에 상기 송수화부를 올려놓았을 때 통화가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3자 통화가 가능한 유선전화기에 의하면, 기지국과 무선통화로를 형성하는 입출력 콘넥터를 갖는 이동전화기와, 국선에 연결되어 키이패드부 및 송수화부에 따른 훅크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유선 통화로를 형성하는 유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유선전화기는, (1) 본체의 적소에 상기 이동전화기를 착탈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플랫홈을 갖는 거치대; (2) 상기 플랫홈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전화기가 거치될 때 상기 입출력 콘넥터와 접속되어 이동전화 신호를 전달하는 카킷 콘넥터; (3) 상기 본체의 적소에 설치되어 전화통화모드를 선택·입력하는 통화모드선택수단; 및 (4) 상기 통화모드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전화통화모드에 따라 상기 카킷 콘넥터의 이동전화 라인과 상기 국선의 유선전화 라인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상기 송수화부에 연결해 주어 통화하도록 하며 상기 유선 및 이동전화 통화 중 다른 전화와 통화 가능하도록 훅크 온/오프를 제어하는 통화통제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통화모드선택수단은 상기 국선의 유선전화 라인을 상기 송수화부로 전환하도록 선택하는 유선전화 통화모드키와, 상기 이동전화 라인을 상기 송수화부로 전환하도록 선택하는 이동전화 통화모드키와, 상기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 통화 중에 다른 전화가 수신될 때, 상기 통화중인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의 통화를 보류시키고 상기 수신된 전화를 상기 송수화부로 전환하도록 선택하는 통화대기모드키와, 상기 유선전화기와 이동전화기의 통화라인을 상기 송수화부에 동시에 연결시켜 3자 통화가 가능하도록 선택하는 3자통화모드키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본체의 적소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카킷 콘넥터 및 외장형 충전기에 연결되며 상기 카키트 콘넥터를 통해 이동전화기에 충전용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 전원잭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하면, 유선전화기의 본체에 형성된 거치대에 이동전화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이동전화가 수신되거나 또는 유선전화가 수신될 때, 통화모드선택수단의 통화모드 선택에 따라 유선 또는 이동전화 통화라인을 유선전화기의 송수화부로 자동 전환하여 주어 송수화부를 통해 전화를 받도록 하고, 또한 유선전화기와 타 유선전화기 및 이동전화기간의 통화라인을 동시에 연결해 줌으로써 3자 통화가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가정 또는 사무실 내에서의 이동전화기의 사용이 최대한 억제되어 인체에 해가되는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또한 유선전화기의 송수화부를 통해서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가 동시에 부여될 뿐만 아니라 이동전화기의 교체 때마다 발생되는 축전지의 사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예시할 목적으로 도시한 첨부 도면과 관련해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를 가지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유선전화기에 이동전화기가 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어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유선과 이동전화간의 3자 통화를 위한 유선전화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기지국과 무선통화로를 형성하는 입출력 콘넥터를 갖는 이동전화기(200)와, 국선(T: Tip)(R: Ring)에 연결되어 상대방과 유선 통화로를 형성하는 유선전화기(10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의 유선전화기(1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00a)의 적소에 이동전화기(200)를 착탈 가능하게 거치 또는 고정될 수 있는 플랫홈(130a)을 갖는 거치대(103)와, 마이크와 스피커를 구비하여 통화를 하는 송수화부(108)와, 국선(T)(R)을 본체(100a) 내의 훅크 스위치(118)에 연결해 주는 국선 라인잭(120)과, 훅크 스위치(118)를 통해 전화가 걸려올 경우 착신벨을 울려주는 링신호 발생부(112)와, 사용자가 키패드부(104)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할 때 이를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를 발생하는 DTMF발생부(114)와, 국선(T)(R)으로부터 전달되는 통화음을 변환하여 송수화부(108)의 스피커에 전달하고 송수화부(108)의 마이크의 통화음을 신호 변환하여 국선(T)(R)으로 전달하는 통화회로부(116)와, 유선전화의 착신상태와 키패드부(104)의 키를 주기적으로 스캔하여 유선전화기(100)의 전체 시스템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6)와, 본체(100a)에 형성된 거치대(130)의 플랫홈(130a) 저면에 설치되어 이동전화기(200)가 거치될 때 상기 입출력 콘넥터와 접속되어 이동전화 신호를 전달하는 카킷(cal-kit)콘넥터(110)와, 본체(100a)의 키패드부(104)에 설치되어 전화통화모드를 선택·입력하는 통화모드선택부(104a)와, 통화모드선택부(104a)에서 선택한 전화통화모드에 따라 카킷 콘넥터(110)의 이동전화 라인과 국선(T)(R)의 유선전화 라인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송수화부(108)에 연결해 주어 통화하도록 하며 유선 또는 이동전화 통화 중 다른 전화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훅크스위치(118)를 제어하는 통화통제부(102)와, 본체(100a)의 적소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고 카킷 콘넥터(110) 및 외장형 충전기(도면에 미도 시)의 전원선(124)에 연결되어 이동전화기(200)에 충전용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 전원잭(1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화모드선택부(104a)는 국선(T)(R)의 유선전화 라인을 송수화부(108)로 전환하도록 선택 입력하는 유선전화 통화모드키(40)와, 이동전화 라인을 송수화부(108)로 전환하도록 선택 입력하는 이동전화 통화모드키(42)와,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 통화 중에 다른 전화가 수신될 때, 그 통화중인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의 통화를 보류시키고 수신된 전화를 유선전화기(100)의 송수화부(108)로 전환하도록 선택 입력하는 통화대기모드키(44)와, 상기 유선전화 라인과 이동전화 라인을 송수화부(108)에 동시에 연결시켜 3자 통화가 가능하도록 선택 입력하는 3자통화모드키(46)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4는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 통화 중에 다른 전화가 수신되고 또한 통화모드선택부(104a)로부터 선택되어지는 통화모드에 기초하여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로를 형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하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가 가능한 유선전화기의 전체적인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전화기(200)가 유선전화기(100)의 본체(100a)에 설치되어 있는 거치대(130)의 플랫홈(130a)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었거나 또는 플랫홈(130a)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선전화기(100)의 국선(T)(P), 국선 라인잭(120), 훅크 스위치(118)를 통하여 링신호 발생부(112)로부터 착신벨이 발생하거나 또는 이동전화기(200)로부터 착신벨이 발생하면 사용자가 유선전화기(100)의 본체(100a)에 놓여진 송수화부(108)를 들고 착신벨이 발생한 모드를 선택하면, 즉 다시 말해서 본체(100a)의 키패드부(104)에 형성된 통화모드선택부(104a)의 유선전화 통화모드키(40) 또는 이동전화 통화모드키(42)를 선택하게 되면, 본체(100a) 내의 통화통제부(102)가 해당 모드로, 즉 송수화부(108)의 마이크 및 스피커 단자를 마이크로 프로세서(106)를 통해 통화회로부(116)에 연결하거나 또는 카킷 콘넥터(110)를 통해 이동전화기(200)의 입출력 콘넥터에 연결하여 유선 또는 이동전화의 통화라인을 형성해 줌으로써, 유선전화기(100)의 송수화부(108)를 통해서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의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유선전화 통화 중에 이동전화기(200)로부터 착신벨이 발생했을 경우 사용자가 통화모드선택부(104a)의 통화대기모드키(44)를 선택하여 대기모드 신호를 통화제어부(102)에 제공하면 통화통제부(102)는 유선전화기(100)의 훅크 스위치(118)를 통제하여 유선전화 통화 대기중 상태로 유지시킴과 아울러 송수화부(108)의 스피커와 마이크단자를 카킷 콘넥터(110)를 통해 상기 착신벨이 울린 이동전화기(200)의 입출력 콘넥터로 연결하여 이동전화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고, 이동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다시 사용자가 통화모드선택부(104a)의 유선전화 통화모드키(40)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대기중인 유선전화 통화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드별 통화 동작방법을 도 3 및 도 4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선전화기(100)의 초기화(단계; S10) 상태에서 유선전화 통화를 하기 위해 유선전화기(100)의 본체(100a)에 올려진 송수화부(108), 즉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면 동작이 시작된다. 유선전화기(100)의 착신벨이 울리거나 또는 유선전화기(100)로 송신할 경우 본체(100a) 상에 설치된 통화모드선택부(104a)에서 유선전화 통화모드키(40)를 선택하면(단계; S12) 통화통제부(102)에서 유선통화 모드신호를 받아 송수화부(108)의 통화경로를 통화회로부(116), 훅크 스위치(118) 및 국선 라인잭(120)을 통해 국선(T)(R)에 연결시켜(단계; S14) 유선통화를 수행하게 한다(단계; S16). 이때, 통화모드선택부(104a)에서 통화대기모드키(44)를 선택하면(단계; S24) 통화통제부(102)에 의해 통화대기 상태로 전환되며(단계; S26), 다시 통화모드선택부(104a)의 유선전화 통화모드키(40)를 선택하여 계속 유선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선전화기(100)의 본체(100a)에 송수화부(108)를 올려놓으면 훅크 스위치(118)가 훅크 온(ON)되어(단계; S28) 유선전화 통화가 종료되며(단계; S30) 초기상태로 리턴하게 된다.
또한, 유선전화기(100)의 초기화(단계; S10) 상태에서 이동전화 통화에 있어서는, 먼저 유선전화기(100)의 본체(100a)에 설치된 거치대(130)의 플랫홈(130a)에 이동전화기(200)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이동전화기(200)로부터 착신벨이 울리고 유선전화기(100)의 송수화부(108), 즉 전화기의 송수화기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이동전화 통화모드를 선택하면 이동전화 통화모드의 동작이 시작된다. 즉 유선전화기(100)의 본체(100a) 상에 설치된 통화모드선택부(104a)에서 이동전화 통화모드키(42)를 선택하면(단계; S18) 통화통제부(102)에서 이동통화 모드신호를 받아 송수화부(108)의 통화경로를 카킷 콘넥터(110)를 통해 이동전화기(200)의 입출력 콘넥터에 연결시켜(단계; S20) 이동전화 통화를 수행하게 한다(단계; S22). 이때에도 상기 유선전화 통화모드에서와 같이, 통화모드선택부(104a)에서 통화대기모드키(44)를 선택하면(단계; S24) 통화통제부(102)에 의해 통화대기 상태로 전환되며(단계; S26), 다시 통화모드선택부(104a)의 이동전화 통화모드키(42)를 선택하여 계속 이동전화 통화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유선전화기(100)의 송수화부(108)를 올려놓으면 이동전화 통화가 종료되며(단계; S30) 초기상태로 리턴하게 된다.
또한, 송수화부(108)를 통해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 통화중에 타 전화, 즉 이동전화 또는 유선전화 통화방법은 다음과 같다.
유선(또는 이동)전화 통화 중에 이동전화기(200) 또는 유선전화기(100)로부터 착신벨이 울릴 때 두 가지 동작으로 구분된다.
첫째, 통화종료 후 다른 전화와 통화할 때, 이때에는 통화모드선택부(104a)의 통화대기모드키(44) 선택 없이도 전화를 받고자 하는 모드를 선택하면 기 통화중인 전화는 종료되며 선택한 전화모드로 전환되어 통화가 이루어진다.
둘째, 통화가 보류상태에서 다른 전화 수신 때, 이때에는 유선전화기(100)의 본체(100a)에 설치된 통화모드선택부(104a)에서 통화대기모드키(44)가 선택되면 통화통제부(102)에서 유선전화기(100)의 훅크스위치(118)를 통제하여 유선전화 대기상태를 유지시킨 후 송수화부(108)의 스피커 및 마이크 단자를 다른 전화기 쪽으로 전환하여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이때, 유선전화기(100)의 훅크 스위치(118)를 통화라인에 연결시켜 통화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이동전화기(200)의 경우 종료 버튼을 누르지 않으면 통화 종료가 되지 않는 전화특성을 활용한다.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유선전화와 이동전화 통화를 교대로 할 수 있으며 각 모드에서 종료모드(유선전화기인 경우 상기 송수화부를 상기 훅크 스위치 상에 올려놓고, 이동전화기인 경우에는 종료버튼을 누른다)를 선택하면 종료모드를 선택한 전화기와의 통화가 종료된다.
또한, 유선전화와 이동전화간의 3자 통화방법에 있어서는, 유선전화기(100)의 키패드부(104)에 형성된 통화모드선택부(104a)의 3자통화모드키(46)를 선택하여 주면(단계; S32), 통화통제부(102)에서 유선전화기(100)의 통화회로부(116)의 입출력단자 및 이동전화기(200)의 입출력 콘넥터와 접속된 카킷 콘넥터(110)를 송수화부(108)의 스피커 및 마이크 단자에 동시에 연결시켜(단계; S34) 3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한다(단계; S36). 이 경우는 유선전화 통화중 이동전화가 왔을 시, 또는 이동전화 통화중 유선전화가 왔을 시, 또는 이동전화 통화중 유선전화를 걸어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유선전화기(100)의 본체(100a) 적소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 충전 전원잭(122)이 전원선(124)을 통해 외장형 충전기(도면에 미 도시)에 연결되어 카킷 콘넥터(110)를 통해 이동전화기(200)의 축전지에 충전전압을 공급하여 줌으로써, 장시간 통화를 해도 축전지의 전력이 소모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에서 이동전화기(200)가 거치대(130)의 플랫홈(130a)에 착탈가능하게 거치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이동전화기(200)의 입출력 콘넥터와 거치대(130)의 플랫홈(130a) 저면에 형성된 카킷 콘넥터(110)가 고정 연결, 즉 다시 말해서 이동전화기(200)의 착탈이 불가능하도록 고정될 수도 있다.
한편, 비교 예로서, 종래의 기술, 즉 다시 말해서 유선전화기의 송수화기로 이동전화기에서 걸려오는 전화통화 내용을 받을 수 없고, 이것에 의해 이동전화 송수신 때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에 노출되는 것과는 달리, 본 발명은 유선전화기에 형성된 거치대에 이동전화기를 장착한 상태에서 이동전화가 수신되거나 또는 유선전화가 수신될 때, 유선전화기의 송수화부를 통해 전화를 받도록 하고, 또한 유선전화기와 타 유선전화기 및 이동전화기간의 3자 통화를 유선전화기의 송수화부를 통해 통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전화기의 사용이 최대한 억제되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선전화기의 송수화부를 통해서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또한 이동전화기의 교체 때마다 발생되는 축전지의 사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본 발명의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에 의하면, 유선전화기에 이동전화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를 형성하여, 유선전화는 물론 이동전화를 유선전화기의 송수화부로 통화할 수 있는 편리성이 제공되고, 이것에 의해 이동전화기의 사용이 최대한 억제되어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또한 유선전화기에 외부 충전용 전원을 연결시켜 이동전화기의 교체 때 폐기처분되는 축전지를 유선전화기로 이용할 수 있어 국가적으로 불필요한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1) 유선전화기의 본체에 이동전화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와 통화모드를 선택하는 통화모드선댁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이동전화기가 거치대에 장착된 상태에서 통화모드의 선택을 검색하는 단계;
    (2) 상기 검색한 모드가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 통화모드이면 상기 유선전화기의 송수화부를 국선 또는 이동전화기로 선택·전환하여 통화로를 형성하여 주는 단계;
    (3) 상기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 통화 중에 다른 전화가 수신될 때, 상기 통화대기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통화중인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의 통화를 보류시키고 상기 수신전화를 상기 송수화부로 연결하여 통화하도록 하며 통화완료 후 상기 보류시킨 이전의 전화통화 모드로 전환하여 주는 단계; 및
    (4) 상기 유선전화 통화 중에 이동전화가 수신되거나 또는 이동전화 통화 중에 유선전화가 수신되고 상기 통화모드선택수단으로부터 3자 통화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유선전화기와 이동전화기의 통화라인을 상기 송수화부에 동시에 연결시켜 3자 통화로를 형성하여 주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의 통화가 종료되고 다른 전화가 수신될 때 상기 통화대기모드 선택없이 상기 수신전화에 해당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통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통화 중에 유선전화를 걸고자 상기 3자 통화모드를 선택하였을 때, 상기 유선전화기와 이동전화기의 통화라인을 상기 송수화부에 동시에 연결시켜 3자 통화로를 형성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선전화 및 이동전화 통화 중에 상기 유선전화기상의 훅크 스위치에 상기 송수화부를 올려놓았을 때 통화가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5. 기지국과 무선통화로를 형성하는 입출력 콘넥터를 갖는 이동전화기와, 국선에 연결되어 키패드부 및 송수화부에 따른 훅크 스위치의 온/오프에 의해 유선 통화로를 형성하는 유선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유선전화기는,
    (1) 본체의 적소에 상기 이동전화기를 착탈 가능하게 거치할 수 있는 플랫홈을 갖는 거치대;
    (2) 상기 플랫홈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전화기가 거치될 때 상기 입출력 콘넥터와 접속되어 이동전화 신호를 전달하는 카킷 콘넥터;
    (3) 상기 본체의 적소에 설치되어 전화통화모드를 선택·입력하는 통화모드선택수단; 및
    (4) 상기 통화모드선택수단에서 선택된 전화통화모드에 따라 상기 카킷 콘넥터의 이동전화 라인과 상기 국선의 유선전화 라인을 선택적 또는 동시에 상기 송수화부에 연결해 주어 통화하도록 하며 상기 유선 및 이동전화 통화 중 다른 전화와 통화가 가능하도록 훅크 온/오프를 제어하는 통화통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자 통화가 가능한 유선전화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통화모드선택수단은
    (1) 상기 국선의 유선전화 라인을 상기 송수화부로 전환하도록 선택하는 유선전화 통화모드키;
    (2) 상기 이동전화 라인을 상기 송수화부로 전환하도록 선택하는 이동전화통화모드키;
    (3) 상기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 통화 중에 다른 전화가 수신될 때, 상기 통화중인 유선전화 또는 이동전화의 통화를 보류시키고 상기 수신된 전화를 상기 송수화부로 전환하도록 선택하는 통화대기모드키; 및
    (4) 상기 유선전화기와 이동전화기의 통화라인을 상기 송수화부에 동시에 연결시켜 3자 통화가 가능하도록 선택하는 3자통화모드키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자 통화가 가능한 유선전화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적소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카킷 콘넥터 및 외장형 충전기에 연결되며 상기 카킷 콘넥터를 통해 이동전화기에 충전용 전원을 제공하는 충전 전원잭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자 통화가 가능한 유선전화기.
KR1020020005867A 2002-02-01 2002-02-01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 KR20030065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867A KR20030065838A (ko) 2002-02-01 2002-02-01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5867A KR20030065838A (ko) 2002-02-01 2002-02-01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838A true KR20030065838A (ko) 2003-08-09

Family

ID=27764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867A KR20030065838A (ko) 2002-02-01 2002-02-01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583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489A (ko) * 1998-05-19 1999-12-06 강병호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KR200195365Y1 (ko) * 2000-03-28 2000-09-01 오병선 전화기
KR20010088994A (ko) * 2001-08-31 2001-09-29 안명훈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0004222A (ko) * 2000-07-04 2002-01-16 장철 휴대전화기의 전자식 다이얼 톤 음으로 접속되는 전화기
KR20030018952A (ko) * 2001-08-31 2003-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이 결합 가능한 유선전화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489A (ko) * 1998-05-19 1999-12-06 강병호 휴대폰 접속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시스템
KR200195365Y1 (ko) * 2000-03-28 2000-09-01 오병선 전화기
KR20020004222A (ko) * 2000-07-04 2002-01-16 장철 휴대전화기의 전자식 다이얼 톤 음으로 접속되는 전화기
KR20010088994A (ko) * 2001-08-31 2001-09-29 안명훈 휴대폰 충전 및 연동이 가능한 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18952A (ko) * 2001-08-31 2003-03-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이 결합 가능한 유선전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6175B2 (en) Cordless and wireless telephone docking station
US6987988B2 (en) Cordless and wireless telephone docking station with land line interface and switching mode
EP0705522B1 (en) Multinetwork terminal
CA2386576C (en) Information system with detachable information module
CN1095873A (zh) 用于蜂窝电话的有线接口
CN1852526A (zh) 融合终端
KR20040079440A (ko) 유선 셀룰러 전화 시스템
JPH0278348A (ja) 無線電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146180B1 (en) Wireless node multiple handset cordless telephone system
CN102111696A (zh) 降低蓝牙耳机功耗的方法
JPH06291814A (ja) 自動電話転送及び応答装置のための制御方法と制御装置
US9125227B2 (en) Communications device for a wireless and land-line network
KR20030065838A (ko) 유선과 이동전화간 3자 통화방법 및 그 유선전화기
KR200380553Y1 (ko) 통합형 통신 운용 장치
JP2000286932A (ja) 移動端末
KR100277620B1 (ko) 무선 전화기의 구내 송, 수신 방법
KR100572698B1 (ko) 유무선 통합 가능 유선 단말 장치 및 그의 유무선 통합서비스 방법
KR20030018470A (ko) 이동전화와 일반전화간의 착신 전환 자동 다이얼링 방법
KR100233167B1 (ko) 하나의 전화번호에 둘 이상의 핸드폰을 등록하여 사용하는방법
JP3156371B2 (ja) 無線電話装置
JPH06311102A (ja) 移動機有線接続用アダプタシステム
KR20000024011A (ko) 유선 전화 부가 서비스의 자동적인 활성 및 비활성 방법
KR100728433B1 (ko)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방법
KR20010069233A (ko) 유무선전화기를 이용한 휴대폰 통화시스템
WO2012031470A1 (zh) 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