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5550A - 컨트롤 센터 - Google Patents

컨트롤 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5550A
KR20030065550A KR10-2003-7008166A KR20037008166A KR20030065550A KR 20030065550 A KR20030065550 A KR 20030065550A KR 20037008166 A KR20037008166 A KR 20037008166A KR 20030065550 A KR20030065550 A KR 20030065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control unit
power distributor
control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0865B1 (ko
Inventor
하야시가즈후미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65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5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1Bus-bar arrangements for rack-mounted device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6Cooling;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컨트롤 센터는 대략 박스형으로 이루어지고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제어유닛이 수평방향으로 복수 수용되는 유닛실과, 유닛실의 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제어유닛에 각각 전력을 분배하는 전원 분배기와, 전원 분배기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컨트롤 센터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배기실을 구비하고, 전원 분배기는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며, 전원 분배기의 유닛실측에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를 흡입하는 흡기구가 설치되고, 전원 분배기의 배기실측에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기실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며,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 및 배기실을 경유하여 외부에 배출시킨다.

Description

컨트롤 센터{CONTROL CENTER}
컨트롤 센터는 전력용 플랜트 등에 사용되어 모터와 조명 등의 설비기기와 각각 전선으로 접속되어, 각 설비기기에 전력을 배전함과 동시에 설비기기의 제어를 하는 것이다. 이 컨트롤 센터내에는 일반적으로 각 설비기기와 각각 전선으로 접속하는 제어유닛과 그 제어유닛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이 수용되어 있다.
제어유닛은 상기의 설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브레이커 또는 퓨즈스위치 또한 릴레이, 스위치 등에 내장되어 유닛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유닛은 모선에서의 전력을 설비기기에 배전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어신호 또는 외부에서의 수동조작에 의거하여 그 배전을 컨트롤한다. 또, 제어유닛은 브레이커 또는 퓨즈에 의해 사고전류로부터 설비기기를 보호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컨트롤 센터에서는, 제어유닛은 브레이커 또는 스위치 등을 내장하여 있음으로 통전시에 발열한다. 그리고, 그 발열이 소정의 온도이상에 도달하며는 오동작이나 기기의 손상의 원인이 됨으로 냉각할 필요가 있다.
한편, 근년, 컨트롤 센터의 소형ㆍ집약화를 도모하기 위해 1개의 컨트롤 센터에 다수의 제어유닛을 고밀도로 실장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다수의 제어유닛을 고밀도로 실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어유닛의 냉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력용 플랜트 등에 사용되는 모터의 기동제어ㆍ보호 등을 행하는 배전반으로서의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의 제어유닛을 수용하는 컨트롤 센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 - Ⅲ선을 따라서 절단한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 - Ⅳ선을 따라서 절단한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 6은 1개의 제어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어유닛을 배후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컨트롤 센터에서 제어유닛을 모두 제거하고 또 배선실의 문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제어유닛을 제거한 1개의 유닛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유닛실을 형성하는 선반판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선반판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유닛실을 칸막이하는 칸막이판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칸막이판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칸막이판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어유닛과 전원 분배기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전원 분배기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컨트롤 센터 내부의 제어유닛의 측면부분을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다.
도 18은 전원 분배기와 수직 분기모선과의 접속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콘솔내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전원 분배기의 상면도이다.
도 21은 전원 분배기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전원 분배기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전원 분배기의 내부를 상세히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전원 분배기의 내부의 분기도체의 배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XXV - XXV선을 따라서 절단한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26은 분기초데 및 분배도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1개의 제어유닛을 시험위치에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제어유닛의 접속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도 27의 XXVIII - XXVIII선을 따라서 절단한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어유닛이 시험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도 27의 XXVIIII - XXVIIII선을 따라서 절단한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면에 대한 주요부분의 부호의 설명>
1 : 컨트롤 센터, 2 : 유닛실,
3 ; 제어유닛, 4 : 전원 분배기,
5 : 모선실, 6 : 배선실,
7 : 공통 전원그립, 8 : 분기도체,
9 : 분배도체, 10 :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
11 :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
12 :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
16 : 수직 분기모선, 31 : 전면판,
32 : 유닛 베이스, 33 : 조작핸들,
35 : 전자 개폐기, 36 :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
37 :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 38 : 주회로 커넥터 고정금구,
39 :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 40 : 제어회로 커넥터 고정금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컨트롤 센터(배전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대략 구형 박스상의컨트롤 센터(배전반)(1)의 내부에는 복수의 제어유닛(3)이 종횡격자상으로 규칙 정확하게 배열되어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컨트롤 센터(1)에서는, 수평방향으로 4열, 종방향으로 10단, 전체로 40개의 제어유닛(3)의 수용되어 있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Ⅲ - Ⅲ선을 따라서 절단한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 - Ⅳ선을 따라서 절단한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 3 ~ 도 5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4개 배열된 제어유닛(3)의 배면축에 대략 얇은 박스상의 전원 분배기(4)가 배설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각 단에 병설된 4개의 제어유닛(3)에 대해서 1개가 설치되어 있다. 즉, 전원 분배기(4)는 다음에 기재하는 것 같이 그 4개의 제어유닛(3)에 전력을 분배하는 작용을 한다.
전원 분배기(4)에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하는 흡기구(4a) 및 배기구(4b,4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원 분배기(4)의 이면에는,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모선실(5)이 형성되어 있다. 모선실(5)내에는 전원 분배기(4)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직 분기모선(모선)(16)이 상하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수직 분기모선(16)은 외부에서 컨트롤 센터(1)의 내부에 3상 4극의 전력을 공급한다. 수직 분기모선(16)은 3상 및 중성상의 4개의 도체로 되고, 3개의 도체는 단면 L자형을 형성하고, 1개의 도체는 단면 I자형을 이루고 있다. 모선실(5)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고 있다.
한편, 제어유닛(3) 및 전원 분배기(4)의 측방에는,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배선실(6)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실(6)에는 제어유닛(3)에서 외부의 설비기기에 연장하는 도면생략된 배선이 수용되어 있다. 배선실(6)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고 있다.
도 6은 1개의 제어유닛(3)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어유닛(3)을 배후에서 본 사시도이다. 1개의 제어유닛(3)은 컨트롤 센터(1)의 깊이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어유닛(3)은 전면을 덮는 전면판(31), 저면 및 한쪽의 측면을 덮는 유닛 베이스(32) 및 이면을 덮는 주회로 커넥터 고정금구 (38), 제어회로 커넥터 고정금구(40)를 가지고 있다. 유닛 베이스(32)는 상부의 한측에 형성된 세판부(32a)와 한쪽의 측면을 전면에 걸쳐서 덮은 측면부(32b)를 가지고 있다. 제어유닛(3)의 상면 및 유닛 베이스(32)와 반대측의 측면은 밀폐되지 않고 크게 개구되어 있다. 이것은 제어유닛(3) 조립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제어유닛(3)은 외부의 설비기기를 제어하기 위해 내부에 여러가지 기기를 탑재하고 있다. 즉, 먼저 전면에 퓨즈스위치 또는 노퓨즈 브레이커로 이루어진 차단장치(34)를 탑재하고 있다. 그리고 후부에 전자 개폐기(35)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전자 개폐기(35)는 상세하게는 전자 접속기(35a)와 서멀 릴레이(35b)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유닛(3)의 전면에는, 차단장치(34)의 온/오프를 절체하는 조작핸들(33)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핸들(33)은 전면판(31)을 관통하여 차단장치(34)와 접속되어 있어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서 차단장치(34)의 온/오프를 전환한다.
한편, 제어유닛(3)의 후부에서는 먼저 상측에 설치된 주회로 커넥터 고정금구(38)에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유닛측 전원그립)(36)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유닛측 부하그립)(37)가 상하방향으로 평행으로 한줄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에 설치된 제어회로 커넥터 고정금구(40)에는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컨트롤 센터(1)에서 제어유닛(3)을 모두 제거하고 배선실(6)의 문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어유닛(3)을 제거한 1개의 유닛실 (2)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컨트롤 센터(1)에는 선반판(1a)으로 칸막이된 복수의 유닛실(2)이 상하방향으로 복수단 형성되어 있다.
각 단에 설치된 유닛실(2)은 다음에 설명하는 칸막이판으로 칸막이 되어 제어유닛(3)을 각각 4개 수용하는 부실을 형성한다.
도 10은 유닛실(2)을 형성하는 선반판(1a)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선반판(1a)의 상면도이다. 도 12는 유닛실(2)을 칸막이하는 칸막이판(1b)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칸막이판(16)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칸막이판 (1b)의 측면도이다. 선반판(1a)에는 깊이방향으로 연장한 4조의 슬릿(1a1)이 천공되어 있다. 칸막이판(1b)은 그 슬릿(1a1)에 하부에 형성된 돌부(1b1)를 삽입하여 입설된다.
칸막이판(1b)은 각 단의 선반판(1a)에 각각 4매가 입설되며, 각 단의 유닛실(2)은 4개의 격실로 칸막이한다. 칸막이판(1b)은 대략 단면 Γ(감마)상으로 되며, 측면판(1b2)과 측면판(1b2)의 상부에서 수평으로 굽혀진 폭이 좁은 가이드부(1b4)를 가지고 있다.
깊이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의 제어유닛(3)은 칸막이판(1b)으로 칸막이된 깊이방향으로 긴 대략 직방체의 공간에 수용된다. 그리고, 전면 개구부방향으로 서랍과 같이 끄집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의 가이드부(1b4)는 다음에 설명하는 것 같이 제어유닛(3)은 인입하고 인출할 때에 가이드의 역할을 한다.
도 15는 제어유닛(3)과 전원 분배기(4)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원 분배기(4)에는 4개의 제어유닛(3)이 접속가능하나, 도 15에서는 이해하기 쉽도록 양단에 각각 1개의 제어유닛(3)이 접속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 (4)는 접속된 복수의 제어유닛(3)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의 전원 분배기(4)는 횡방향으로 병설된 4개의 제어유닛(3)에 대해서 1개가 설치되어 두께가 얇은 직방체상의 케이스를 가지며, 대응하는 4개의 제어유닛(3)의 이면을 전원 분배기의 판표면으로 덮도록 제어유닛(3)에 인접되게 배설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는 각 단의 유닛실(2)의 뒤에 1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즉, 상하방향으로 복수개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고, 전체로 격자식상(gridiron-like patrern)으로 배열된 제어유닛(3)군의 이면을 덮도록 배설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것 같이 전원 분배기(4)군의 뒤측에 모선실(5)이 설치되어 있으며, 모선실(5)은 컨트롤 센터(1)의 상하방향으로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모선실(5)내에는 전원 분배기(4)에 전력을공급하는 수직 분기모선(16)에 수용되어 있다.
도 16은 전원 분배기(4)의 사시도이다. 도 16에 나타난 것 같이 전원 분배기(4)의 전면, 즉, 제어유닛(3)측에는 제어유닛(3)에서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는 슬릿(slit)상의 흡기구(4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원 분배기(4)의 이면, 즉, 모선실(5)측에는 제어유닛(3)에서의 열기를 배출하는 슬릿상의 배기구(4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분배기(4)의 내부에는 제어유닛(3)에서의 열기를 유통시키는 통풍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원 분배기(4)군의 후부에 설치된 모선실(5)에는 상하방향으로 뻗은 통풍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모선실(5)의 상방에는 도면생략된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3)에서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4) 및 모선실(5)을 경우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즉, 모선실(5)은 전원 분배기(4)를 통하여 이동한 열기를 외부에 배출하는 배기실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 센터(1)에서는, 유닛실(2)의 전면 개구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어유닛(3)에서 가열되어 전원 분배기(4) 및 배기실로서의 모선실(5)을 통하여 외부에 흘러간다. 즉, 전원 분배기(4)를 열기를 추방하는 통풍로로서 활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것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컨트롤 센터(1)는 다수의 제어유닛(3)을 고밀도로 실장할 수가 있으며, 더구나, 특별한 통풍구조를 설치하지 않고 제어유닛(3)에서의 열기를 외부에 배출할 수가 있다.
도 17은 컨트롤 센터(1) 내부의 제어유닛(3)의 측면부분을 일부 확대하여 나타내나 요부 사시도이다. 제어유닛(3)군 및 전원 분배기(4)군의 측면측에 배선실(6)이 형성되어 있다.
배선실(6)은 제어유닛(3)과 외부의 설비기기를 연결하는 배선을 수용하는 컨트롤 센터(1)의 상하방향 전장에 걸쳐서 형성된 공간이다. 배선실(6)의 내부에는 제어유닛(3)에서의 열기를 유통시키는 충분한 통풍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전원 분배기(4)의 전면, 즉, 제어유닛(3)측에는, 상기와 같이 제어유닛(3)에서 가열된 공기를 흡입하는 슬릿상으로 흡입구(4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전원 분배기(4)의 측면, 즉, 배선실(6)측은 전면에 걸쳐서 개구되어 있으며, 그 개구는 제어유닛(3)에서의 열기를 배출하는 배출구(4c)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배선실(6)의 내부에는 제어유닛(3)에서의 열기를 유통시키는 통풍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그 통풍공간은 컨트롤 센터(1)의 상하방향으로 뻗고, 배선실(6)의 상방에는 도면생략된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유닛(3)에서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4) 및 배선실(6)을 경유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즉, 배선실(6)은 전원 분배기(4)를 통하여 이동한 열기를 외부에 배출하는 배기실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 센터에서는, 유닛실(2)의 전면 개구부에서 유입한 공기는 제어유닛(3)에서 가열되어, 전원 분배기(4) 및 배기실로서의 배선실(6)을 통하여 외부에 흐른다.
즉, 전원 분배기(4)를 열기를 추방하는 통풍로로서 활용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많은 제어유닛(3)을 고밀도로 실장될 수가 있으며, 더구나, 특별한 통풍구조를 설치하지 않고 제어유닛(3)에서의 열기를 외부에 배출할 수가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한편, 전원 분배기(4)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4c)는 전원 분배기(4)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방출용의 개구를 겸하고 있다. 즉, 도 17에 나타난 것과 같이 흡기구(4a) 및 배기구(4c)를 구비한 전원 분배기(4)의 상부에 형성된 방은 전혀 어떠한 기기도 설치되지 않은 공간이다. 그리고, 그 공간은 배기전용으로 특별히 설치된 것이다. 그 때문에, 제어유닛(3)의 사고로 발생하는 예를 들면 아크가스를 그 공간을 통하여 용이하게 방출할 수가 있어, 모선실(5)내에 수용된 모선에 영향을 끼칠 염려가 없으며, 유닛실(2)내에서 발생한 사고의 확대를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8은 전원 분배기(4)와 수직 분기모선(16)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콘솔내의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전원 분배기(4)의 후면에는, 외부의 모선에 접속되어 컨트롤 센터(1)내에 거의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이 설치되어 있다. 수직 분기모선(16)은 도전재료로 제조된 단면 L자상 또는 단면 I자상을 이루고 한측의 넓은 측면을 서로 대향하도록 하여 상하방향으로 1렬로 정열하여 병설되어 있다. 그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은, 상하방향으로 병설된 복수의 전원 분배기(4)의 후면측에 컨트롤 센터(1)의 높이방향으로 거의 전장에 걸쳐서 수직으로 연설되어 있다. 그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은 컨트롤 센터(1)내에 3상 4극의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도 20은 전원 분배기(4)의 상면도이다. 도 21은 전원 분배기(4)의 우측면도이다. 도 22는 전원 분배기(4)의 구성부품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전원 분배기(4)의 내부를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분기도체가 전원 분배기(4)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XXV - XXV선을 따라서 절단한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26은 분기도체(8) 및 분배도체 (9)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 도 26에서, 전원 분배기(4)는 대략 얇은 긴 박스상의 입방체되고 전면인 제어유닛(3)측에 평판상의 전면 패널(4d), 이면인 수직 분기모선(16)측에 후부 패널(4e)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전원 분배기(4)의 이면에는, 모선 결합수단으로서 4쌍의 공통 전원그립(7)이 수직 분기모선(16)측에 연장되도록 직립 설치되어 있다.
4쌍의 공통 전원그립(7)은 각각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공통 전원그립(7)은 대향하는 2개의 단자(7a,7b)를 가지며, 그 2개의 단자(7a,7b)에서 4개의 수직 분기모선(16)을 사이에 끼워 소위 그립 접속한다. 2개의 단자(7a,7b)는 소정의 간격으로 거의 병행으로 설치되고, 선단부 내측에는 약간의 면따기(chamfer)가 실시되고, 또 선단부 및 대향하는 내측부에는 1단 낮게된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2개의 단자(7a,7b)는 입설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즉, 컨트롤 센터(1)의 깊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직 분기모선(16)을 사이에 끼우고 수직 분기모선(16)과 접속된다.
전원 분배기(4)를 컨트롤 센터(1)에 배치하는 경우에는, 전원 분배기(4)를 수직 분기모선(16)에 향하여 공통 전원그립(7)의 입설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서, 공통 전원그립(7)이 수직 분기모선(16)을 사이에 끼워서, 공통 전원그립(7)과 수직 분기모선(16)이 접속된다.
다음, 전원 분배기(4)의 내부구조를 설명한다. 도 23에 잘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4개의 분기도체(8)는 1단(8a)을 볼트(8c)로 클램프하여 각각 공통 전원그립(7)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4개의 분기도체(8)는 각각 전원 분배기(4)내에 놓여져, 타단(8a)을 4개의 분배도체(9)에 접속하고 있다. 4개의 분배도체(9)는 전원 분배기(4)내에서 수평방향으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다.
4개의 분배도체(9)에는 전원측 주회로 결합수단으로서 각각 4개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이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 (10)은 제어유닛(3)측에 돌출하는 평판상부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은 각각 제어유닛(3)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평판상부가 동일 평면내에 위치하도록 상하방향에 1렬로 정열되어 배설되고 있다. 분배기측 그립 탭(10)은 1측을 분배도체(9)에 접속되고, 타단을 후술하는 제어유닛(2)의 유닛측 전원그립 (36)에 끼워 소위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닛(3)에 대해서 수직 분기모선(16)에서의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분배기(4)의 각각의 제어유닛(3)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또한 부하측 주회로 결합수단으로서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가 설치되어 있다.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는 상하방향으로 정열하여 설치된 4개의 접속 결합자(11a)를 가지고 있다. 그 4개의 접속 결합자(11a)는 후술하는 제어유닛(3)의 유니측 부하그립(37)에 끼워 소위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닛(3)에서의 배전을 외부에 출력한다. 또한,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에는, 4개의 접속 결합자에 대응하는 나사잠금부(11b)가 설치되어 있다. 그 나사잠금부(11b)에는 도면생략된 외부 케이블 단자대를 통하여 설비기기에서 뻗은 전선이 접속된다.
전원 분배기(4)의 각각의 제어유닛(3)에 대응한 위치에는, 또한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가 설치되어 있다.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는 직선상으로 뻗은 볼록단면과 오목단면을 가진 2개의 커넥터로 되고 후술하는 제어유닛(3)의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와 결합 접속되어 제어유닛(3)에 제어신호를 공급하고 외부에 출력한다.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는, 도면생략된 외부 케이블 단자대를 통하여 제어판에서의 제어신호가 접속된다.
도 16에 되돌아가서, 상기의 전원 분배기(4)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는 모두 전면 패널(4d)에 거의 동일면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과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는 전면 패널(4d)에 천공된 슬릿(slit)상의 구멍에 놓여 있다. 또,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는 전면 패널(4d)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다음, 전원 분배기(4)의 전면 패널(4d)에 대향하는 제어유닛(3)의 이면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제어유닛(3)의 이면에는, 전원 분배기 (4)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유닛측 전원그립)(3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 분배기측 그립 단자대(11)에 대응한 위치에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유닛측 부하그립)(37)가 돌출 설치된다.
유닛측 전원그립(36) 및 유닛측 부하그립(37)은 각각 상하방향으로 정열하여설치된 4개의 그립 접속단자를 가지고 있다.
그 그립 접속단자는 대향하는 2개의 가위상의 단자로 되어, 그 대향하는 2개의 단자는 선단부에서 간격이 넓혀져 있다.
그 대향하는 단자는 입설방향으로 이동되면 대향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및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의 접속 결합자(11a)가 단자 사이에 끼워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전원 분배기(4)의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 대응한 위치에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가 돌설되어 있다.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는 직선상으로 뻗은 볼록단면과 오목단면을 가진 2개의 커넥터로 되고,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와 결합 접속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칸막이판(1b)은 개략 단면 Γ(감마)상을 이루고, 수평으로 굽혀진 수평부(1b3)에서 다시 하방으로 굽혀진 폭이 좁은 가이드부(1b4)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칸막이판(1b)은 제어유닛(3)의 세판부(narrow plate potrion)(32a)와 측면부(32b)를 덮도록 직립 설치된다. 그리고, 칸막이판(1b)의 상부에서 수평부(1b3)와 가이드부(1b4)와로 성형되는 하방으로 개구를 가진 단면 ㄷ자의 가이드부는, 세판부(32a)에 대해서 세판부(32a)가 제어유닛(3)의 출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미세한 갭을 가지고 이에 결합한다. 그리고, 제어유닛(3)은 선반판(1a)에 배치될 때에 그 칸막이판(1b)에 가이드되어 소정의 정밀도를 가지고 컨트롤 센터(1)에 삽입된다. 그 때문에, 제어유닛(3)에 설치된 유닛측 전원그립 (36), 유닛측 부하그립(37) 및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는, 각각 전원 분배기(4)에 설치된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 양호하게 결합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유닛 베이스 (32)의 세판부(32a)와 칸막이판(1b)은, 제어유닛(3)을 전원 분배기(4)에 대해서 진퇴동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컨트롤 센터에서는, 수직 분기모선(16)에서 공급된 전력은 전원 분배기(4)에서 분배되어 복수의 제어유닛(3)에 공급된다. 제어유닛(3)은 공급된 전력을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에 입력된 제어신호 또는 외부에서의 수동조작에 따라 제어하여 유닛측 부하그립(37)에 출력한다. 유닛측 부하그립(37)에 출력된 전력은,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를 통하여 외부의 설비기기에 배전되어 이것을 구동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원 분배기(4)에서는, 한측을 분기도체(8)에 접속되어 타측을 제어유닛(3)의 유닛측 전원그립(36)에 끼워져 그립 제어되어 제어유닛 (3)에 수직 분기모선(16)에서의 전력을 공급하는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과, 제어유닛(3)의 유닛측 부하그립(37)에 끼워져 그립 접속되어 제어유닛(3)에서의 배전을 외부에 출력하는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와, 제어유닛(3)의 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가 접속되어 제어유닛(3)에 제어신호를 공급 및 외부에 출력하는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어유닛(3)의 추가ㆍ변경을 할 경우, 제어유닛(3)을 전원 분배기(4)에 대하여 진퇴동시켜서 접속ㆍ이간시킬 수가 있어, 수직 분기모선(16)을 정전하는 것 없이 제어유닛(3)의 추가ㆍ변경을 할 수가 있다.
또, 전원 분배기(4)에서는 제어유닛(3)에 대응하는 복수의 분배기측 전원그립 탭(10), 분배기측 부하그립 단자대(11) 및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들은 전면 패널(4d)에 거의 일면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컨트롤 센터(1)내에서, 일단으로 복수대의 제어유닛(3)을 병설하여 수용될 수 있게 하여 수용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27은 1개의 제어유닛(3)을 시험위치에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28은 제어유닛(3)이 접속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도 27의 XXVIII - XXVIII선을 따라서 절단한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도 29는 제어유닛(3)이 시험위치인 것을 나타내는 도 27의 XXVIIII - XXVIIII선을 따라서 절단한 화살표방향 단면도이다.
제어유닛(3)은 각 제어유닛(3)의 하부에 배설된 선반판(1a)의 상면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각 상 단자가 상하방향으로 되도록 주회로 커넥터 고정금구(38)에 부착된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에 의해 전원 분배기(4)와 접속되어 수직 분기모선(16)에서 주회로 전원의 공급을 받을 수가 있다.
또한, 제어유닛(3)이 선반판(1a)위를 전방으로 이동하여 주회로 커넥터 (36,37)를 전원 분배기(4)에서 인출하여 주회로가 단로상태에 있을 때에도 제어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를 부착하는 제어회로 커넥터 부착금구(40)가 제어유닛 베이스(32)위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분배기측 제어회로 커넥터(12)에서 분리않되도록 시험위치 상태를 얻을 수가 있다.
여기서, 주회로 커넥터(36,37)는 도 7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각 상 단자가 상하방향으로 되도록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의 각상 단자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 (37)의 각상 단자와가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비교적 작은 점유공간에서 주회로 커넥터(36,37)의 배치가 가능하게 되어 고밀도 실장을 만족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이 주회로 커넥터(36,37)에 대하여는 각상 단자가 수평좌우 방향으로 되도록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의 각상 단자와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의 각상 단자를 일렬로 배치되도록 하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도, 비교적 작은 점유공간에서 주회로 커넥터(36,37)의 배치가 가능하게 되어, 고밀도 실장을 만족하에 실현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제어유닛(3)의 전후방향에 차단장치(34), 전자 개폐기(35)를 일렬로 배치하고, 제어유닛(3) 후면에 전원측 주회로 커넥터(36), 부하측 주회로 커넥터(37), 제어유닛측 제어회로 커넥터(39)를 배치함으로서 고밀도 실장을 가능하게 하며, 또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 제어유닛 베이스 (32)를 사용함으로서, 제어유닛(3) 조립시의 작업성 향상이 얻어짐과 동시에 주회로 차단상태에서도 제어회로만의 조작이 가능한 시험위치 상태를 얻음으로서, 외부에서의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시험시에 작업효율 향상의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코솔의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제어유닛(3)을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장착하는 복수의 유닛실(2)의 후부에 전원 분배기(4)의 구성요소로서 제공되며 제어유닛(3)의 주회로를 모선(16)으로 이루어진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는 주회로 접속부를 가진 컨트롤 센터(1)에 있어서, 조작핸들(33)을 구비한 퓨즈스위치 또는 노퓨즈 브레이커로 이루어진 차단장치(34)와, 제어동작을 시행하기 위한 전자 개폐기(35)와, 제어유닛(3)의 주회로를 전원측 및 부하측 외부 주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주회로 커넥터(36,37)와, 제어유닛(3)의 제어회로를 모터제어회로 등의 외부 회로에 접속하기 위한 제어회로 커넥터(39)를 구비하고, 제어유닛(3)의 전후방향에 상기 조작핸들(33), 차단장치(34), 전자 개폐기(35), 주회로 커넥터(36,37)를 일렬로 배치하고,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39)를 상기 주회로 커넥터(36,37)의 하부에 일렬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주회로 커넥터(36,37)는 각상 단자가 상하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되도록 전원측, 부하측의 커넥터를 일렬로 배치하고, 또 상기 제어회로 커넥터(39)는 제어유닛(3)의 주회로 접속위치 및 시험위치에서 모터제어회로 등의 외부 회로에 접속 가능하게 하였으므로, 퓨즈스위치 또는 노퓨즈 브레이커로 구성된 차단장치를 사용한 것에서 고밀도 실장을 적절하게 실현됨과 동시에 주회로 차단로 상태에서도 제어회로만의 조작이 가능하여 시험시에서의 작업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컨트롤 센터를 얻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배전반은 대략 박스형을 이루고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복수의 제어유닛이 수용되는 유닛실과, 유닛실의 이면에 구비되어 복수의 제어유닛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원 분배기와, 전원 분배기에 인접하게 설치된 전원 분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을 수용하고 배전반의 상하방향으로 연설된 모선실을 가진 배전반이며, 전원 분배기는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며, 전원 분배기의 유닛실측에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를 흡입하는 흡입구가 구비되며, 전원 분배기의 모선실측에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모선실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며,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 및 모선실을 경유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그 때문에, 많은 제어유닛을 고밀도로 실장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제어유닛의 냉각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또, 유닛실내에 수용된 제어유닛은 종횡격자상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그때문에, 많은 제어유닛을 작은 공간에 더욱 고밀도로 실장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배선, 보수 또는 관리 등의 사용상태를 향상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분배기에 설치된 흡기구 및 배기구는 슬릿(slit)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원 분배기의 케이싱(casing)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열기를 배출할 수가 있다.
또, 배전반은 대략 박스형을 이루고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복수의 제어유닛이 수용되는 유닛실과, 유닛실의 이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제어유닛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원 분배기와, 전원 분배기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제어유닛에서 외부의 설비기기에 뻗는 배선을 수용하며 배전반의 상하방향으로 연설된 배선실을 구비한 배전반이며, 전원 분배기는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며, 전원 분배기의 유닛실측에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를 흡입하는 흡기구가 설치되고, 전원 분배기의 배선실측에 제어유닛에서의 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선실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며,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 및 배선실을 경유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그 때문에, 많은 제어유닛을 고밀도로 실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어유닛의 냉각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또, 유닛실내에 수용된 제어유닛은 종횡격자상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그 때문에, 많은 제어유닛을 작은 공간에 더욱 고밀도로 실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배선, 보수 또는 관리 등의 사용상태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전원 분배기의 설치된 흡기구 및 배기구는 슬릿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원 분배기의 케이싱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효율적으로 열기를 배출할 수가 있다.
또한, 전원 분배기에 설치된 흡기구 및 배기구는 배기전용으로 형성된 개구이다. 그 때문에, 제어유닛의 사고로 발생하는 예로써 아크가스를 그 경로에서 방출할 수가 있어, 아크가스 등의 모선에의 분출에 의한 모선단락이라는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없게 되어 사고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트롤 센터는, 대략 박스형을 이루고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제어유닛이 수평방향으로 복수 수용되는 유닛실과, 유닛실의 이면에 설치되어 복수의 제어유닛에 각각 전력을 분배하는 전원 분배기와, 전원 분배기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컨트롤 센터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배기실을 구비하고, 전원 분배기는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며, 전원 분배기의 유닛실측에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기실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며,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 및 배기실을 경유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또, 배기실은 전원 분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을 수용하는 모선실이다.
또, 배기실은 제어유닛에서 외부의 설비기기에 연장하는 배선을 수용하는 배선실이다.
또, 유닛실은 수직방향으로 복수단 설치되고, 제어유닛은 전체로 종횡격자상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또, 전원 분배기에 설치된 흡기구 및 배기구는 슬릿(slit)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전원 분배기에 설치된 배기구를 전원 분배기 내부에 발생하는 아크방출용의 개구를 겸하고 있다.
본 발명의 컨트롤 센터는 대략 박스형을 이루고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제어유닛이 수평방향으로 복수 수용되는 유닛실과, 유닛실의 이면에 설치된 복수의 제어유닛에 각각 전력을 분배하는 전원 분배기와, 전원 분배기에 인접하여 설치되고 컨트롤 센터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배기실을 구비하고, 전원 분배기는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며, 전원 분배기의 유닛실측에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를 흡입하는 흡기구가 설치되고, 전원 분배기의 배기실측에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기실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며,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 및 배기실을 경유하여 외부에 배출된다.
그 때문에, 다수의 제어유닛을 고밀도로 실장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복수의 제어유닛에 전력을 분배하는 전원 분배기를 통풍경로에 사용하였으므로, 제어유닛의 냉각성을 향상할 수가 있다.
또, 배기실은 전원 분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을 수용하는 모선실이다. 그 때문에, 배기실로서 특별한 방을 설치하지 않고 배선실을 겸용함으로 더욱 소형화로 할 수가 있다.
또, 배기실은 제어유닛에서 외부의 설비기기에 연장하는 배선을 수용하는 배선실이다. 그 때문에, 배기실로서 특별한 방을 설치하지 않고 배선실을 겸용함으로 더욱 소형화로 할 수가 있다.
또, 유닛실은 수직방향으로 복수단 설치되고, 제어유닛은 전체로 종횡격자상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수의 제어유닛을 소공간을 더욱 고밀도로 실장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배선, 보수 또는 관리 등의 사용상태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전원 분배기에 설치된 흡기구 및 배기구는 슬릿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전원 분배기의 케이싱의 강도를 저하하지 않고 효율적으로 열기를 배출할 수가 있다.
또, 전원 분배기에 설치된 배기구는 전원 분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방출용의 개구를 겸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어유닛의 사고로 발생하는 예로써 아크가스를 이 결로에서 방출할 수가 있어 아크가스 등의 모선에의 분출에 의한 모선단락 등의 2차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없게 되어 사고의 확대를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6)

  1. 대략 박스형을 이루고 전면에 개구부를 가지며 제어유닛이 수평방향으로 복수 수용되는 유닛실과, 상기 유닛실의 이면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어유닛에 각각 전력을 분배하는 전원 분배기와, 상기 전원 분배기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컨트롤 센터의 상하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배기실을 구비하고, 상기 전원 분배기는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며, 상기 전원 분배기의 상기 유닛실측에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를 흡입하는 흡기구가 설치되어, 상기 전원 분배기의 상기 배기실측에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기실은 내부에 통풍공간을 가지며, 상기 제어유닛에서의 열기는 전원 분배기 및 배기실을 경유하여 외부에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 센터.
  2. 상기 배기실은 상기 전원 분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모선을 수용하는 모선실임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컨트롤 센터.
  3. 상기 배기실은 상기 제어유닛에서 외부의 설비기기에 연장하는 배선을 수용하는 배선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컨트롤 센터.
  4. 상기 유닛실은 수직방향으로 복수단 설치되고, 상기 제어유닛은 전체로 종횡격자상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컨트롤 센터.
  5. 상기 전원 분배기에 설치된 상기 흡기구 및 상기 배기구는 슬릿(slit)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컨트롤 센터.
  6. 상기 전원 분배기에 설치된 상기 배기구는 상기 전원 분배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아크방출용의 개구를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컨트롤 센터.
KR10-2003-7008166A 2001-10-25 2002-03-08 컨트롤 센터 KR1005008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27986 2001-10-25
JP2001327993 2001-10-25
JPJP-P-2001-00327993 2001-10-25
JPJP-P-2001-00327986 2001-10-25
PCT/JP2002/002208 WO2003036772A1 (fr) 2001-10-25 2002-03-08 Centre de comman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5550A true KR20030065550A (ko) 2003-08-06
KR100500865B1 KR100500865B1 (ko) 2005-07-18

Family

ID=26624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166A KR100500865B1 (ko) 2001-10-25 2002-03-08 컨트롤 센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3036772A1 (ko)
KR (1) KR100500865B1 (ko)
CN (1) CN1248383C (ko)
TW (1) TW556377B (ko)
WO (1) WO20030367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3333B2 (ja) * 2006-03-28 2010-09-15 村田機械株式会社 制御盤
KR101336969B1 (ko) 2013-09-04 2013-12-04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다적재 멀티 모터 컨트롤 센터
CN104218468A (zh) * 2014-09-28 2014-12-17 国家电网公司 一种可调式供电箱体
EP3776764A1 (en) * 2018-04-04 2021-02-17 ABB Schweiz AG Compartment for a withdrawable module
WO2019192690A1 (en) * 2018-04-04 2019-10-10 Abb Schweiz Ag Arrangement comprising a compartment and a slide-in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728Y2 (ja) * 1979-05-24 1985-07-06 日立造船株式会社 コントロ−ルセンタ
JPS59222003A (ja) * 1983-05-31 1984-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ロ−ルセンタ
JPH0317525Y2 (ko) * 1986-08-08 1991-04-12
US5532907A (en) * 1993-11-02 1996-07-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system with improved power bus
DE19511347A1 (de) * 1995-03-28 1996-10-02 Kloeckner Moeller Gmbh Niederspannungs-Schaltanlage zur Abgabe oder Verteilung elektrischer Energ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48383C (zh) 2006-03-29
TW556377B (en) 2003-10-01
KR100500865B1 (ko) 2005-07-18
WO2003036772A1 (fr) 2003-05-01
CN1479961A (zh) 2004-03-03
JPWO2003036772A1 (ja) 200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0864B1 (ko) 전원 분배기 및 컨트롤 센터
KR101337012B1 (ko) 스위치기어
US7417848B2 (en) Multiple height, high density horizontal low voltage motor control center
US4498119A (en) Electronic circuit board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management thereof
EP0144753B1 (en) Enclosed switchgear
US6160699A (en) Equipment module and cabinet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US3394287A (en) Frames for electrical communication apparatus
US7924550B2 (en) Multiphase line fuse module
US4677524A (en) Metalclad switchgear having separate assemblies
US4977484A (en) Dimmer rack
CA2263639A1 (en) Upgradable functional feeder unit of a low-voltage electrical cubicle
KR100500865B1 (ko) 컨트롤 센터
KR100548174B1 (ko) 컨트롤 센터
US20060120026A1 (en) Modular arrangement of components of electrical equipment enclosure
JP2012070627A (ja) 配電盤
US4133994A (en) Cell of low-voltage feed and distribution cellular switchboard
JP2010206894A (ja) 配電盤
JP3206074B2 (ja) 配電盤
RU2806084C1 (ru) Улучшенный четырехполюсный выходной штепсельный узел
US11996678B2 (en) Switching and/or distributing device
CN107591262B (zh) 控制与保护开关
PL196532B1 (pl) Elektryczna rozdzielnica
JP2874502B2 (ja) 配電盤
JPH03164007A (ja) 配電盤装置
CZ3836U1 (cs) Zařízení pro rozvod elektrické energ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