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218A - 화장용 체질 안료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화장용 체질 안료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218A
KR20030063218A KR10-2003-0003923A KR20030003923A KR20030063218A KR 20030063218 A KR20030063218 A KR 20030063218A KR 20030003923 A KR20030003923 A KR 20030003923A KR 20030063218 A KR20030063218 A KR 20030063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o
fine particles
cosmetic
pigment
flaky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660B1 (ko
Inventor
와타나베유키타카
Original Assignee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6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09C1/0021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comprising a core coated with only one layer having a high or low refractive inde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15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e.g. transparent platelets of appropriate thinness or flaky substrates, e.g. mica, bearing appropriate thin transparent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0078Pigments consisting of flaky, non-metallic substrates, characterised by a surface-region containing free meta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 C01P2006/64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b* (yellow-blue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1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 C09C2200/102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zed by the core material the core consisting of glass or silicate material like mica or clays, e.g.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30Interference pigments characterised by the thickness of the core or layers thereon or by the total thickness of the final pigment particle
    • C09C2200/301Thickness of the co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00/00Compositional and structural details of pigments exhibiting interference colours
    • C09C2200/50Interference pigments comprising a layer or a core consisting of or comprising discrete particles, e.g. nanometric or submicrometer-sized particles
    • C09C2200/505Inorganic particles, e.g. oxides, nitrides or carb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2220/00Methods of preparing the interference pigments
    • C09C2220/10Wet methods, e.g. co-precipitation

Abstract

피부 감촉이 양호하고, 청색이 없고, 소프트 포커스(soft focusing) 효과가 높고(반사광 강도의 시야각 의존성이 낮고), 피부에 대해 자연스러운 색조를 갖고, 적절한 은폐성(주름 은폐 효과)을 갖는 화장용 체질 안료가 제공된다. 상기 화장용 체질 안료는 박편상 기질의 표면에 TiO2미립자가 산재된 상태로 단일층의 형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용 체질 안료 및 이의 제조 방법{COSMETIC BODY PIGMENT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용 체질 안료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펄 안료(예를 들어, 산화티탄 피복 운모)는 그의 양호한 피부 감촉 때문에 화장품의 체질 안료로 일부 사용되고 있다. 펄 안료에서는 펄광택 발생을 목적으로 균일한 광학층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따라서 TiO2입자의 크기는 작고 밀도는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으로 100㎚ 이하이다. 운모의 표면에 대한 TiO2입자의 흡착은 물리적인 힘(반데르발스 힘)에 의한 것이라고 여겨진다. 그러나, 화장용 체질 안료로서의 사용에서, 펄광택의 발생은 반짝거림을 야기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점에서, 피복량을 단순히 감소시키는 것이 펄광택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생각되지만, 이는 상기 피복을 위한 TiO2의 입자 크기가 작기 때문에 청색 효과를 내고,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다.
최근 펄광택없이 낮은 광택을 유지하면서, (1) 미끄럼성 및 부착성과 같은피부 감촉이 양호하고, (2) 건강하지 않은 색상을 나타내는 청색이 적고, (3) 반사광의 시야각 의존성(소프트 포커스 효과)이 낮고, (4) 반투명성 및 피부에 대한 자연스러운 색조를 기본으로 하는 적절한 은폐성(주름 은폐 효과)과 같은 특징을 갖는 화장용 체질 안료가 요구되고 있다.
박편상 기질을 기본으로 하는 다양한 안료가, 그의 형상에 기인하는 양호한 미끄럼성 및 피부에 대한 커버력을 갖는다는 사실 때문에, 특히 콤팩트 케익 및 파운데이션 크림과 같은 화장용 체질 안료로서 개발되고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1993-287212 호,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1991-181411 호,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1988-254169 호 등). 그러나, 이들은 상기 목적하는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1997-132514 호에는 무기 화합물의 미립자를 정전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박편상 기질에 부착시켜 미립자를 그의 표면상에서 이동 탈락시킴으로써 피부 감촉이 양호한 화장료에 사용되는 박편상 분말을 개시하고 있지만, 이는 자외선 차폐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미립자가 균일하게 분산되고 실질적으로 단일층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이 박편상 미분말은 색상 효과를 기대하지 않고 특히 양호한 피부 감촉을 겨냥한 것이고, 미립자는 산재된 상태로 부착되는 것이 아니다.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1999-199441 호에는 금홍석형의 TiO2미립자로 피복된 운모를 포함하는 분말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지만, 이의 목적은 펄광택을 유지하면서 자외선 차폐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고, 따라서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저광택)의 면에서 본 발명과 상반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감촉이 양호하고, 청색이 없고, 소프트 포커스 효과가 높고(반사광 강도의 시야각 의존성이 낮고), 피부에 대해 자연스러운 색조를 갖고, 적절한 은폐성(주름 은폐 효과)을 갖는 화장용 체질 안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박편상 기질 및 TiO2미립자를 기본으로 하는 화장용 체질 안료에 대해 예의 연구를 실시한 결과, 박편상 기질의 표면상에 서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TiO2미립자를 부착시켜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박편상 기질의 표면에 TiO2미립자가 단일층을 형성하도록 산재 상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체질 안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TiO2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50 내지 4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체질 안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TiO2미립자의 입경이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체질 안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TiO2미립자가 미처리되거나, Si, Al, Zn 및 F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의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1종 이상의 수산화물 및/또는 수화산화물로 표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체질 안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TiO2미립자의 양이 화장용 체질 안료의 총량의 15 내지 5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체질 안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TiO2미립자와 이의 인접하는 6개의 TiO2미립자의 중심간 평균 거리가 TiO2미립자 평균 입경의 1.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체질 안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박편상 기질의 평균 입경이 0.5 내지 50㎛이고, 그의 평균 두께가 0.01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체질 안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박편상 기질이 운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체질 안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TiO2미립자가 박편상 기질의 표면에 표면 전하적 인력에 의해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체질 안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에 박편상 기질을 현탁시키고, 여기에 TiO2미립자를 교반하면서 가하는 단계, 박편상 기질 및 TiO2미립자를 함유하는 현탁액의 pH 값을변경시킴으로써 박편상 기질의 표면에 TiO2미립자를 부착시는 단계, 및 상기 현탁액중의 고체 성분을 여과하고 세척하여 회수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용 체질 안료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용 체질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장용 체질 안료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는 하기에서 고려되는 메커니즘에 의거하여 하기 특징을 동시에 나타낸다.
1) 피부 감촉(미끄럼성 및 부착성)
박편상 기질의 표면상의 TiO2미립자가 박편상 기질의 평면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상기 미립자가 서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부착되므로 박편상 기질의 평면과 피부의 직접적인 접촉이 감소하여 TiO2미립자와 피부의 접촉이 용이하게 된다. 그 결과, 피부에 대한 화장용 체질 안료의 접촉 면적은 입자가 부착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실질적으로 감소되고, 이로 인해 마찰이 감소하여 미끄럼성을 증가시킨다. 박편상 기질 표면에 TiO2미립자가 산재되어 있으므로, TiO2미립자가 피부의 함몰 부분으로 들어가서 피부에 대한 부착성도 향상시킨다.
2) 감소된 청색
본 발명의 TiO2미립자의 크기는 가시광역의 범위의 광을 반사하기에 적당하므로, 자외선 산란 효과가 적어서 청색이 눈에 띄지 않는다. 또한, 적절한 크기를 갖는 TiO2미립자가 산재하여 있으므로, 광학적 발광층이 형성되지 않고, 펄광택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3) 소프트 포커스 효과(광 반사의 낮은 시야각 의존성)
박편상 기질의 표면상의 TiO2미입자가 서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부착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각도로부터의 입사광이 미립자의 표면으로부터 산란광으로서 사방으로 반사되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반사광의 시야각 의존성이 감소되어 양호한 소프트 포커스 효과를 나타낸다.
4) 피부에 대한 자연스러운 색조
박편상 기질상에 TiO2미립자가 서로 적절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부착되기 때문에, TiO2미립자의 표면으로부터 반사광이 산란되는 부분 및 피복되지 않은 박편상 기질의 표면으로부터 반사광이 산란되지 않는 부분이 혼재하게 된다. 따라서, 박편상 기질의 물성에 기인하는 반투명한 부분 및 TiO2미립자에 기인하는 자연광을 산란시키는 산란 부분이 적절히 혼재하고, 그 결과로서 피부에 맞은 자연스러운 산란광이 수득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통해, 본 발명은 상기 효과를 동시에 달성하는 종래의 과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박편상 기질의 표면에 첨가한 TiO2미립자의 거의 전량을 서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산재 상태로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제조 방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태양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박편상 기질로는, 일반적으로 화장용 체질 안료를 제조하기 위해 기질로서 사용되는 임의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연 운모, 합성 운모, 탈크, 견운모, 실리카, 박편상 황산바륨, 알루미나 플레이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재료중에서, 운모가 입수 용이성 및 반투명성 때문에 피부에 대해 자연 색조를 발색시키므로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불소 4가 규소 운모가 바람직하다.
박편상 기질의 평균 입경은 미끄럼성, 박편상 기질 자체의 응집성, 화장품으로서 광채 및 피부 감촉을 고려하면 0.5 내지 50㎛가 바람직하고, 1 내지 20㎛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박편상 기질의 평균 두께는 투명성과 은폐성의 밸런스(반투명성)로부터 적절히 선택되지만, 박편상 기질의 박편상 형상을 유지하는 기계적 강도, 박편상 기질 자체의 투명성, 자연광 산란 효과를 고려할 경우에 0.01 내지 0.1㎛가 바람직하다. 즉, 반투명성을 제공하고 피부에 대해 자연스러운 색조를 발색시키는데 적합한 두께가 선택된다. 따라서, 평균 두께는 박편상 기질의 투명성과 은폐성의 밸런스 및 박편상 기질의 고유의 색상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TiO2미립자는 예추석형 또는 금홍석형일 수 있지만, 이의 크기는 일반적인 자외선 차폐를 목적으로 한 크기와는 다르며,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다.
TiO2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150 내지 450㎚가 바람직하고, 180 내지 300nm가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입경이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 가시광을 산란시키고 적절한 은폐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가능한 한 조밀하게 분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250㎚의 평균 입경을 갖는 TiO2미립자는 가시광 영역에서 광 산란을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TiO2미립자의 입경은 1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입경이 100㎚ 이상일 경우, 청색의 발생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가시광의 산란 효과를 수득하여 피부에 대해 자연스러운 색조를 발색시킬 수 있다.
또한, 소프트 포커스 효과를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하기 위해, TiO2미립자의 형상은 구상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따라서, 박편상 기질의 표면에 TiO2미립자를 산재된 상태로 단일층으로 부착시키는 경우, 가시광이 산란되어 청색이 감소하고 적절한 은폐성이 유지되며, 이로 인해 소프트 포커스 효과가 효과적으로 나타나므로 화장용으로 적합한 체질 안료가 달성된다.
이에 반하여, TiO2미립자의 크기가 작을 경우, 점차로 가시광선의 산란이 일반적으로 감소하여 투과를 용이하게 하고 자외선 영역에서 산란이 발생하여 청색 색조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광학적 반사(광택 및 간섭)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또한, 이 경우에 TiO2미립자가 서로 응집하기 쉬워 TiO2미립자 사이의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평균 입경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보다 작은 TiO2미립자가 박편상 기질의 표면에 부착될 경우, 전체의 체질 안료 자체가 청색을 나타내고, 또한 TiO2미립자가 서로 응집하여 불균질물 또는 덩어리가 생성되며, 이 때문에 TiO2미립자 사이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TiO2미립자를 산재된 상태로 부착시키기 어렵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는 청색이 없고 높은 피부 감촉을 갖는 안료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목적을 충족시키지 못할 것이다.
평균 입경이 클 경우, TiO2미립자 끼리의 응집을 억제하지만, 박편상 기질의 표면에 대한 부착력이 급속히 감소하여 TiO2미립자가 박편상 기질로부터 벗겨져 나오기 쉽게 된다. 따라서, 이는 TiO2미립자를 산재된 상태로 부착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용 체질 안료를 제조하기 어렵게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TiO2미립자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들어, 열 가수분해 방법 또는 중화 가수분해 방법에 의해 황산티타닐 및 사염화티탄으로부터 TiO2미립자를 제조할 수 있다. 소성 온도를 선택하거나 보조제를 첨가함으로써 금홍석형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조는 티탄 알콜레이트류를 사용하여 졸-겔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TiO2미립자"란 용어는 완전한 이산화티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이산화티탄을 주성분로 하는 수산화물 및 수화물을 함유하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일체의 혼재된 상태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이렇게 하여 수득된 TiO2미립자를 미처리된 상태로 사용하거나, Si, Al, Zn 또는 Fe의 1종 이상의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산화물 및/또는 수화산화물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Si, Al, Zn 또는 Fe의 1종 이상의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산화물 및/또는 수화산화물"이란 용어는 이들 금속의 산화물, 수산화물 및 수화물이 일체의 상태로 혼재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 표면 처리는 일반적으로 5중량% 이하의 양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에서, 시판되는 안료급의 TiO2미립자도 사용할 수 있고, 이는 간편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타이패크(TIPAQUE) CR-50"(평균 입경: 250㎚,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ISHIHARA SANGYO Ltd.) 제조) 및 "티타닉스(TITANIX) JA-C"(평균 입경: 180㎚, 테이카 가부시키가이샤(TAYCA CORPORATION) 제조)가 예시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6개의 인접하는 미립자 중에서 TiO2미립자 사이의 중심간 평균 거리는 TiO2미립자의 평균 입경의 1.5배 이상이다.
인접하는 6개의 미립자 중에서 TiO2미립자의 중심간 평균 거리는 SEM 사진의 관찰에 의해 초점화된 입자를 기준으로 6개의 가장 인접한 미립자를 선택하여 이들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을 산출하고, 이어서 다른 초점화된 입자를 임의로 선택하여 상기와 같이 6개의 가장 인접한 미립자의 평균 거리를 측정하고, 20개의 초점화된 입자에 대해 유사한 측정을 반복하여 그 측정값을 기초로 평균을 산출하였다.
상기 범위내에서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산재된 상태로 부착된 TiO2미립자의 분포는 박편상 기질상의 TiO2미립자 사이의 접촉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박편상 기질을 화장료로서 사용할 경우, 박편상 기질이 TiO2미립자를 통해 피부에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화장료의 퍼짐성(spreadability)에 영향을 주어 피부 감촉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TiO2미립자의 양은 화장용 체질 안료의 총량의 15 내지 55중량%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50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다량의 TiO2미립자를 사용할 경우, TiO2미립자 사이의 접촉 가능성이 증가하여 블록을 형성하게 되고, 이 때문에 TiO2미립자의 중심 사이에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어 피부 감촉이 저하된다. 또한, 박편상 기질 기재의 표면상의노출 부분이 감소하기 때문에, 투명성과 은폐성 사이의 적절한 밸런스를 달성하지 못하고, 따라서 피부에 대한 자연스러운 색조를 또한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제조시에 TiO2미립자 끼리의 응집이 증가하여, 기질에 부착되지 않은 TiO2미립자가 증가한다. 한편, 소량의 TiO2미립자를 사용할 경우, 박편상 기질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 가능성이 증가하고, 이는 피부에 대한 미끄럼성을 감소시키고 피부 감촉을 또한 감소시킨다. 따라서, 박편상 기질의 고유의 특성 및 색조를 사실 그대로 나타내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Ti02미립자의 양은 박편상 기질의 밀도와 표면적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기에서 기술된 범위내에서 결정된다.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의 제조 방법으로는 습식 방법 또는 건식 방법 중 어떠한 방법도 채택될 수 있다. 건식 제조 방법으로는 기계화학적 방법(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1993-214257 호)을 채택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TiO2미립자를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부착시키고 간격을 가능한 한 균일하게 하기 위해 습식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채택되는 제조 방법으로는 하기 방법이 추천된다.
먼저, 물에 박편상 기질을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에 소정의 입경을 갖는 TiO2미립자를 임의의 전처리없이 또는 TiO2미립자를 물에 분산시켜 현탁액을 제조한 후에 첨가한다. TiO2미립자의 입경이 작을수록 미립자가 응집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미리 TiO2미립자 현탁액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이 현탁액의 pH 값을 변경시킴으로써 TiO2미립자를 박편상 기질의 표면상에 부착시키고, 알루미늄 등으로 표면 처리된 경우, 산성 수용액을 교반하면서 pH를 3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사용한다. 이어서, pH를 중성 지점으로 조절하고, 고체 성분을 여과하고 세척하고 건조시킨다. 상기 방법에 따라, 거의 대부분의 첨가된 TiO2미립자를 박편상 기질의 표면상에 산재된 상태로 부착시키고, 또한 이의 표면상에 만족스러울 정도로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 방법이 바람직하다.
박편상 기질의 표면에 TiO2미립자를 산재된 상태로 부착시키는 메커니즘은 반드시 명확하지는 않지만, TiO2미립자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산기 및/또는 수화기에 있어 pH를 조절함으로써 TiO2미립자의 표면과 박편상 기질의 표면 사이에 표면 전하적 인력이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경우, 특히 Al, Zn 및 Fe의 경우에, 이들의 수산기 및/또는 수화기의 일부가 용해되고, 상기한 바와 같이 TiO2미립자의 노출된 부분과 박편상 기질 사이에 표면 전하적 인력이 작용하고, 또한 용해된 표면 처리 금속염의 일부가 pH를 다시 중성으로 할 때 석출되어 접착제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는 화장료 조성물, 수지 조성물 등에 사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하기에서 상세히 기술한다.
(1)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는 다양한 표면 처리(예를 들어, 실란 커플링 처리, 티탄 커플링 처리, 플루오로 화합물 처리, 하이드로겐폴리실록산 처리, 퍼플루오로인산에스테르염 처리 등)를 실시한 후 사용될 수 있다.
화장료에서의 사용예로는 메이크업 화장료, 모발용 화장료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료는 젤, 립스틱, 파운데이션(유제형, 액체형 오일형 등을 포함함), 루즈, 마스카라, 네일 에나멜, 눈썹 연필,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모발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의 함량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운데이션에서는 1 내지 50중량%, 아이섀도에서는 1 내지 80중량%, 립스틱에서는 1 내지 40중량%, 네일 에나멜에서는 0.1 내지 20중량%가 언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 이외의 혼합물은 다음과 같이 예시된다.
무기 안료, 체질 안료 등의 예로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점토, 탈크, 황산바륨, 화이트 카본, 산화크롬, 산화아연, 황화아연, 아연 분말, 금속 분말 안료, 흑철,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황연, 카본 블랙, 몰리브데이트 오렌지, 감청, 군청, 카드뮴계 안료, 형광 안료, 가용성 아조 염료, 불용성 아조 염료, 축합형 아조 염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축합 다환 안료, 복합 산화물계 안료, 흑연, 운모(예를 들어,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불소 사규소 운모 등), 금속 산화물 피복 운모(예를 들어, 산화티탄 피복 운모,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수화)산화철 피복 운모, 산화철 및 산화티탄 피복 운모, 저급 산화티탄 피복 운모), 금속 산화물 피복 흑연(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피복 흑연 등), 박편상 알루미나, 금속 산화물 피복 박편상 알루미나(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피복 박편상 알루미나, 산화철 피복 박편상 알루미나, Fe2O3피복 박편상 알루미나, Fe3O4피복 박편상 알루미나, 간섭색성 금속 산화물 피복 박편상 알루미나 등), MIO, 견운모, 탄산마그네슘, 실리카, 제올라이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산화크롬, 티탄산 코발트, 유리 비드, 나일론 비드, 실리콘 비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안료의 예로는 적색 2, 3, 102, 104, 105, 106,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13, 214, 215, 218, 219, 220, 221, 223, 225, 226, 227, 228, 230-1, 230-2, 231, 232, 405 호, 황색 4, 5, 201, 202-1, 202-2, 203, 204, 205, 401, 402, 403, 404, 405, 406, 407 호, 녹색 3, 201, 202, 204, 205, 401, 402 호, 청색 1, 2, 201, 202, 203, 204, 205, 403, 404 호, 오렌지색 201, 203, 204, 205, 206, 207, 401, 402, 403 호, 갈색 201 호, 보라색 201, 401 호, 흑색 401 호 등을 들 수 있다.
천연 착색제의 예로는 살롤 옐로우, 카민, β-카로틴, 히비스커스 색소, 캡사이신, 카민산, 락카산, 구르쿠민, 리보플라빈, 시코닌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성분의 예로는 유지, 왁스,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UV 흡수제, 비타민, 호르몬, 스쿠알란, 액체 파라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밀랍, 미리스트산미리스틸 등, 아세톤, 톨루엔,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에스테르 등의 유기 용매, 산화방지제, 방부제, 다가 알콜,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성분과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효과가 달성된다.
(2)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수지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를 실란 커플링제 또는 티타네이트 커플링제로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의 바람직한 함유량은, 예를 들어 수지 성분의 0.1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0중량%,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이다.
수지 조성물의 수지 성분으로 열가소성 수지 및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로는 폴리에틸렌,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메틸펜텐, AAS, ABS, ACS, AES, AS, EEA,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EVOH, 이오노머, 메타크릴레이트, PCT, 폴리스티렌,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탄성중합체, 디알릴 프탈레이트, 에폭시, 멜라민, 페놀, 우레아,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실리콘, 폴리아미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옥시메틸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에테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불소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케톤, 액정 중합체,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아릴 설폰,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설폰,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 아세트산셀룰로스, 폴리부타디엔, 폴리디사이클로펜타디엔, 폴리케톤, 폴리프탈아미드, EMAA, 폴리부텐,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아세탈, 폴리비닐 아세탈, 아미노-, 알키드-, 생분해성 플라스틱(예를 들어, 미생물계 재료로서 박테리아 셀룰로스 및 바이오폴리에스테르, 화학 합성계 재료로서 폴리카프로락탐, 폴리에틸렌 숙시나이트 및 폴리락트산, 및 천연물로서 전분 및 아세트산셀룰로스), 그의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배합물의 예로는 안료, 염료, 도료, 가교제, 가황제, 가황 촉진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충전제, 강화재, 윤활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발포제, 경화제, 개질재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 이외의 안료로는 이산화티탄, 탄산칼슘, 점토, 탈크, 황산바륨, 화이트 카본, 산화크롬, 산화아연, 황화아연, 아연 분말, 금속 분말 안료, 흑철, 황색 산화철, 적색 산화철, 황연, 카본 블랙, 몰리브데이트 오렌지, 감청, 군청, 카드뮴계 안료, 형광 안료, 가용성 아조 염료, 불용성 아조 염료, 축합형 아조 염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축합 다환 안료, 복합 산화물계 안료, 흑연, 운모(예를 들어, 백운모, 금운모, 합성 운모, 불소 사규소 운모 등), 금속 산화물 피복 운모(예를 들어, 산화티탄 피복 운모, 이산화티탄 피복 운모, (수화)산화철 피복 운모, 산화철 및 산화티탄 피복 운모, 저급 산화티탄 피복 운모), 금속 산화물 피복 흑연(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피복 흑연 등), 박편상 알루미나, 금속 산화물 피복 박편상 알루미나(예를 들어, 이산화티탄 피복 박편상 알루미나, 산화철 피복 박편상 알루미나, Fe2O3피복 박편상 알루미나, Fe3O4피복 박편상 알루미나, 간섭색성 금속 산화물 피복 박편상 알루미나 등), MIO 등을 들 수 있다.
이 수지 조성물의 성형물로는, 예를 들어 수지 성형물, 적층체, 필름(농업용, 식품용, 건축 화장용 등), 시이트(농업용, 식품용, 건축 화장용 등), 포장재, 식품 포장용 시이트 또는 필름을 들 수 있고, 이의 용도 분야로는 다양한 용기, 전기 및 전자용 부품, 가전제품, OA/AV 기기 부품, 고무 제품, 자동차용 부품, 화장재, 화장판, 파형 판재, 건축재, 벽지, 마루재, 벽지재, 밴드, 타이어, 캡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 조성물은 레이저 마킹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수지 조성물의 성형 및 제조 방법으로는 사출 성형, 주형 성형, 압출 성형, 트랜스퍼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연신 성형, 진공 성형, 블로우 성형, 캘린더링 가공, 라이닝 가공, 적층 성형, 슬래시 성형, 트랜스퍼 성형, 페이스트 성형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그의 실시태양을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지만, 이는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화장용 체질 안료의 제조
실시예 1
운모(평균 입경: 5㎛, 200g)를 물 2,000㎖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75℃로 가열한다. 이 현탁액에 30% 염산 수용액을 가하여 pH 값을 2로 조정한다. 또한, TiO2미립자(평균 입경: 250㎚, 86g, 알루미늄 표면 처리됨,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타이패크 CR-50")를 교반하면서 현탁액에 가한다. 약 30분 동안 교반한 후, 이 현탁액의 pH 값을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 5로 증가시킨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건조(110℃)시켜 화장용 체질 안료를 수득한다. 첨가된 TiO2미립자의 양은 화장용 체질 안료의 총량에 대해 30중량%이고, 여과액이 투명하므로 첨가된 TiO2미립자의 거의 전량이 부착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
운모(평균 입경: 5㎛, 50g)를 물 1,000㎖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75℃로 가열한다. 이 현탁액에 30% 염산 수용액을 가하여 pH 값을 2로 조정한다. 또한, TiO2미립자(평균 입경: 250㎚, 12.5g, 알루미늄 표면 처리됨,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타이패크 CR-50")를 교반하면서 현탁액에 가한다. 약 30분 동안 교반한 후, 이 현탁액의 pH 값을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 5로 증가시킨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건조(110℃)시켜 화장용 체질 안료를 수득한다. 첨가된 TiO2미립자의 양은 화장용 체질 안료의 총량에 대해 20중량%이고, 현탁액이 투명하므로 첨가된 TiO2미립자의 거의 전량이 부착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3
운모(평균 입경: 5㎛, 50g)를 물 1,000㎖에 현탁시키고, 이 현탁액을 교반하면서 75℃로 가열한다. 이 현탁액에 30% 염산 수용액을 가하여 pH 값을 2로 조정한다. 또한, TiO2미립자(평균 입경: 250㎚, 50g, 알루미늄 표면 처리됨,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타이패크 CR-50")를 교반하면서 현탁액에 가한다. 약 30분 동안 교반한 후, 이 현탁액의 pH 값을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 5로 증가시킨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건조(110℃)시켜 화장용 체질 안료를 수득한다. 첨가된 TiO2미립자의 양은 화장용 체질 안료의 총량에 대해 50중량%이고, 현탁액이 투명하므로 첨가된 TiO2미립자의 거의 전량이 부착된 것으로 생각된다.
피부 감촉의 평가
마찰 시험기(KES-SE-DE, 가토테크 가부시키가이샤(KATOTECH Co., Ltd.) 제조)를 사용하여 실시예 1 내지 3 및 시판되는 종래 안료의 피부 감촉을 대신하는 퍼짐성(MIU)을 평가하였다.
퍼짐성의 평가
MIU
실시예 1(30%) 0.513
실시예 2(20%) 0.561
실시예 3(50%) 0.490
운모 0.876
TiO2 0.782
MP-1005 0.786
저광택 안료 0.525
체질-W(body-W) 0.548
MIU는 마찰 시험기(KES-SE-DE, 가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에 의해 측정된 마찰 계수를 나타낸다. 낮은 MIU 값은 높은 퍼짐성(높은 미끄럼성)을 나타낸다.
운모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 원료로서 사용된 것이다. TiO2는 실시예 1 내지 3에서 원료로서 사용된 것이다. MP-1005는 통상적인 습식 제조 방법으로 티탄염 수용액을 가수분해하여 운모에 TiO2를 직접 피복한 TiO2피복 운모(메르크(MERCK)사제)이다. 낮은 광택 안료는 습식 제조 방법에 의해 티탄염 수용액 및 바륨염 수용액을 사용하는 가수분해 및 염 형성 반응을 통해 운모에 직접 피복한 TiO2및 BaSO4피복 운모(메르크사제)(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85-94464 호 참조)이고, 체질-W는 먼저 티탄염을 가수분해하여 조질 입자 TiO2를 수득하고, 이어서 여기에 운모를 가하여 TiO2미립자를 부착시킨 후, TiO2미립자로 추가로 피복한 운모(메르크사제)(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89-272668호 참조)이다.
측정용 시료의 제조
다양한 안료 1g을 인키미디움 9g에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액을 수득한다. 이 혼합액을 바-코터 No. 20을 사용하여 흑백 은폐지의 시이트에 도포한다. 이 시이트를 풍건하여 측정용 시료(D.D.C.(Draw Down Card))를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측정용 시료를 청색 및 소프트 포커스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청색의 평가
청색의 색조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b*값을 측정하였다. 높은 b*값은 낮은 청색을 나타낸다.
b*값의 측정 결과
15° 25° 45° 75° 110°
실시예 1(30%) -4.59 -5.70 -6.61 -7.55 -7.22
실시예 2(20%) -4.88 -6.23 -7.40 -8.59 -8.25
실시예 3(50%) -4.75 -5.64 -6.27 -7.02 -6.84
MP-1005 -7.70 -6.92 -8.42 -11.83 -15.41
저광택 안료 -13.32 -12.87 -11.60 -9.57 -9.13
체질-W -7.56 -8.53 -10.98 -12.29 -12.28
바탕색인 흑색에 대한 D.D.C.(Draw Down Card)의 b*값을 변각 시차 비색계(X-RiTEMA 68)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는 기타 시판되는 안료보다 높은 값을 가져 낮은 청색을 나타낸다는 것이 증명된다.
소프트 포커스 효과의 평가
표 3은 입사광 각도 45°에서 시야각의 변경에 따른 확산 반사율(Y)을 나타낸다.
시야각의 변경에 따른 확산 반사율(Y)
측정 각도 15° 30° 45° 60°
실시예 1(30%) 13.5 14.7 25.7 53.7 24.5
실시예 2(20%) 10.4 12.0 23.9 53.6 24.1
실시예 3(50%) 18.6 20.0 29.2 50.7 26.7
운모 1.0 2.7 19.5 68.4 21.6
MP-1005 16.7 32.8 63.3 95.6 47.9
입사 각도: 45°
표 3은 바탕색인 흑색에 대해 디지털 변각 광택계(UGV-5D 스가 시험 기기(SUGA TEST INSTRUMENT))를 사용하여 측정된 D.D.C.(Draw Down Card)의 확산 반사율(Y)을 나타낸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용 체질 안료는 기타 안료보다 시야각의 변경시 Y 값의 변화가 적다는 것이 증명되고, 따라서 소프트 포커스 효과가 확인된다.
산재화되는 TiO 2 미립자의 중심간 거리의 측정
SEM 사진의 관찰에 의해, 초점화된 입자를 기준으로 6개의 가장 인접한 입자를 선택하고, 이들의 거리를 측정하여 평균을 산출하고, 이어서 다른 초점화된 입자를 임의로 선택하여 상기와 같이 6개의 가장 인접한 입자의 평균 거리를 측정하고, 20개의 초점화된 입자에 대해 유사한 측정을 반복하여 그 측정값을 기초로 평균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에 대한 입자간 평균 거리는 표 4에 나타나 있다.
입자간 거리
입자간 거리(입자 중심으로부터)
실시예 1(30%) 700㎚
실시예 2(20%) 960㎚
실시예 3(50%) 400㎚
제조예 1(화장료 용도)
(콤팩트 분말의 사용예)
탈크 50중량부
실시예 1 내지 3의 안료 25중량부
착색 안료 5중량부
미리스트산이소프로필 적당량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중량부
[파운데이션 처방예 1]
탈크 38중량부
실시예 1 내지 3의 안료 25중량부
운모(8㎛) 10중량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중량부
나일론 분말 12 8중량부
황색 산화철 1.9중량부
적색 산화철 0.8중량부
산화티탄 1.0중량부
광유 적당량
(카프릴산, 카프르산)트리글리세리드 3.3중량부
부틸파라벤 0.1중량부
[파운데이션 처방예 2]
탈크 49.0중량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0중량부
나일론 분말 15.0중량부
적색 산화철 0.9중량부
황색 산화철 2.4중량부
흑색 산화철 0.4중량부
실시예 1 내지 3의 안료 20.0중량부
스쿠알란 4.0중량부
디메틸 폴리실록산 0.8중량부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3.0중량부
액체 파라핀 1.2중량부
파라벤 적당량
산화방지제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제조예 2(수지 조성물에 대한 용도)
[플라스틱에 대한 사용예]
고농도 폴리에틸렌(펠렛) 100중량부
실시예 1 내지 3의 안료 1중량부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1중량부
스테아르산아연 0.1중량부
이들을 건식 블렌딩하여 사출성형한다.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된 화장용 체질 안료는 피부 감촉이 양호하고, 청색이 없고, 소프트 포커스 효과가 높고(반사광 강도의 각 의존성이 낮고), 또한 피부에 대해 자연스러운 색조를 가지며, 그 결과로서 적절한 은폐성(주름 은폐 효과)을 갖고, 화장료용 체질 안료로서 바람직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지용 충전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Claims (12)

  1. 박편상 기질의 표면에 TiO2미립자가 산재된 상태로 단일층의 형태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체질 안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iO2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150 내지 4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체질 안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TiO2미립자의 입경이 1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체질 안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iO2미립자가 미처리되거나, Si, Al, Zn 및 F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의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1종 이상의 수산화물 및/또는 수화산화물로 표면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체질 안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iO2미립자의 양이 화장용 체질 안료의 총량의 15 내지 5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체질 안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6개의 인접하는 미립자 중에서 TiO2미립자 사이의 중심간 평균 거리가 상기 TiO2미립자의 평균 입경의 1.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체질 안료.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편상 기질의 평균 입경이 0.5 내지 50㎛이고, 그의 평균 두께가 0.01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체질 안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편상 기질이 운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체질 안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iO2미립자가 표면 전하적 인력에 의해 상기 박편상 기질의 표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체질 안료.
  10. 물에 박편상 기질을 현탁시키고, 여기에 TiO2미립자를 교반하면서 가하는 단계, 상기 박편상 기질 및 상기 TiO2미립자를 함유하는 현탁액의 pH 값을 변경시킴으로써 박편상 기질의 표면에 TiO2미립자를 부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현탁액의 고체 성분을 여과하고 세척함으로써 회수한 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용 체질 안료의 제조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용 체질 안료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장용 체질 안료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1020030003923A 2002-01-22 2003-01-21 화장용 바디 안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76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13009A JP3745688B2 (ja) 2002-01-22 2002-01-22 化粧用体質顔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2-00013009 2002-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218A true KR20030063218A (ko) 2003-07-28
KR100976660B1 KR100976660B1 (ko) 2010-08-18

Family

ID=1919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923A KR100976660B1 (ko) 2002-01-22 2003-01-21 화장용 바디 안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30147819A1 (ko)
EP (1) EP1329483A3 (ko)
JP (1) JP3745688B2 (ko)
KR (1) KR100976660B1 (ko)
CN (1) CN1289050C (ko)
TW (1) TW2003027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0665A1 (en) 2006-08-14 2008-02-21 Cqv Co., Ltd. Flake pigm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smetic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74473A1 (en) * 2003-10-07 2005-04-07 Cabot Corporation Soft-focus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umed alumina
US20050220741A1 (en) * 2004-03-22 2005-10-06 Christophe Dumousseaux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oncave particles
JP2007091717A (ja) * 2005-08-31 2007-04-12 Toyo Shinyaku:Kk スクラブ剤
US7750073B2 (en) 2005-12-21 2010-07-06 Avon Products, Inc. Use of thermoplastic elastomers in a composition and compositions thereof
KR101349997B1 (ko) 2006-10-12 2014-01-13 닛키 쇼쿠바이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다기능성 복합분체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화장료
JP4879834B2 (ja) * 2006-10-12 2012-02-22 日揮触媒化成株式会社 多機能性複合粉体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JP5535425B2 (ja) * 2006-12-22 2014-07-02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フィラー、そ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料
WO2008099467A1 (ja) * 2007-02-13 2008-08-21 Sakai Chemical Industry Co., Ltd. 薄片状粒子及び化粧料
EP2123721B1 (de) 2008-04-15 2013-11-27 Eckart GmbH Perlglanzpigmente auf Basis von feinen und dünnen Substraten
JP5413554B2 (ja) * 2008-04-25 2014-02-12 戸田工業株式会社 太陽光高反射塗料用着色顔料
JP2010105990A (ja) * 2008-10-31 2010-05-13 Noevir Co Ltd 複合粉体を含有する粉体化粧料
JP2010105989A (ja) * 2008-10-31 2010-05-13 Noevir Co Ltd 複合粉体及びこれを含有する粉体化粧料
US20100160190A1 (en) * 2008-12-19 2010-06-24 Kuvshinnikova Olga I Weatherable colored resinous composition and method
JP5973169B2 (ja) * 2009-07-24 2016-08-23 コリアナ コスメティッ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赤外線及び紫外線同時遮断用複合粉体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組成物
WO2011013654A1 (ja) * 2009-07-30 2011-02-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化粧料
JP5558061B2 (ja) * 2009-09-18 2014-07-23 日本メナード化粧品株式会社 固形粉末化粧料
DE102009049413A1 (de) * 2009-10-14 2011-04-21 Eckart Gmbh Perlglanzpigmente auf Basis von feinen und dünnen synthetischen Substraten
EP2501646A4 (en) * 2009-11-20 2015-07-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INORGANIC PIGMENT COMPOSITIONS COMPRISING SURFACE-MODIFIED NANO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5653697B2 (ja) * 2010-03-29 2015-01-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ベースメイクアップ用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906024B (zh) * 2010-06-04 2016-03-23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微球体和包含它的光防护性个人护理组合物
DE102013009390A1 (de) * 2012-06-29 2014-01-02 Kronos International, Inc. Verfahren zur Oberflächenbehandlung von anorganischen Pigmentpartikeln
EP2900198A4 (en) * 2012-08-10 2016-07-20 Oreal COLORED COSMETIC COMPOSITION HAVING INCREASED COLOR INTENSITY
JP6084541B2 (ja) * 2013-09-30 2017-02-22 大塚化学株式会社 レピドクロサイト型チタン酸塩を含有する樹脂組成物
CN103788713A (zh) * 2014-02-12 2014-05-14 铜陵瑞莱科技有限公司 一种含绢云母粉的氧化铁红颜料
CN104263017B (zh) * 2014-09-24 2016-01-27 南阳市凌宝珠光颜料有限公司 一种铁系列水晶效果颜料的制备方法
JP6733326B2 (ja) * 2016-06-09 2020-07-29 堺化学工業株式会社 液状分散体及びその用途
KR102019783B1 (ko) * 2016-07-27 2019-09-10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마찰력 감소에 의한 미세먼지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06542573B (zh) * 2016-10-17 2020-08-18 中国科学院过程工程研究所 一种制备颜料二氧化钛的方法
JP7000420B2 (ja) * 2017-04-28 2022-01-1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光輝性顔料、顔料含有組成物、及び顔料含有塗装体
EP3812429B1 (en) 2018-11-02 2022-05-18 Merck Patent GmbH Transparent colorless flaky pigment, process for the production anduse thereof
CN113226476B (zh) * 2018-12-28 2024-04-12 联合利华知识产权控股有限公司 用于光泽和模糊的新方法和化妆品组合物
CN112472611A (zh) * 2019-09-11 2021-03-12 海南光宇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保湿固色作用的口红类产品
JP7120193B2 (ja) * 2019-09-20 2022-08-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化粧料のソフトフォーカス効果を評価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26468A (ja) * 1983-01-11 1984-07-21 Shiseido Co Ltd 雲母チタン系顔料
JPS62187770A (ja) * 1986-02-14 1987-08-17 Teikoku Kako Kk 紫外線遮へい顔料
JP2559037B2 (ja) 1986-12-23 1996-11-27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真珠光沢がない雲母チタン顔料及びこれを配合してなるメークアップ化粧料
JP2568480B2 (ja) 1987-04-10 1997-01-08 鐘紡株式会社 被覆顔料およびその製造法
JPH0813943B2 (ja) * 1988-04-26 1996-02-14 メルク・ジヤパン株式会社 薄片状体質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H03181411A (ja) 1989-12-11 1991-08-07 Miyoshi Kasei:Kk 化粧品用複合粉体および化粧料
JP2835796B2 (ja) 1992-02-06 1998-12-14 メルク・ジヤパン株式会社 新規な薄片状顔料
JP3184608B2 (ja) 1992-04-10 2001-07-09 メルク・ジヤパン株式会社 超微粒硫酸バリウム被覆薄片状顔料およびその製造法
JPH09132514A (ja) 1995-11-10 1997-05-20 Catalysts & Chem Ind Co Ltd 薄片状微粉末および化粧料
JPH11199441A (ja) 1998-01-12 1999-07-27 Noevir Co Ltd 粉体化粧料
US6649154B1 (en) * 1999-06-03 2003-11-18 Shiseido Co., Ltd. Hairdressing cosmetic preparation and hairdressing method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0665A1 (en) 2006-08-14 2008-02-21 Cqv Co., Ltd. Flake pigm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cosmetic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9050C (zh) 2006-12-13
KR100976660B1 (ko) 2010-08-18
JP2003212721A (ja) 2003-07-30
JP3745688B2 (ja) 2006-02-15
TW200302738A (en) 2003-08-16
US20030147819A1 (en) 2003-08-07
EP1329483A2 (en) 2003-07-23
EP1329483A3 (en) 2004-05-12
CN1459279A (zh)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660B1 (ko) 화장용 바디 안료 및 이의 제조 방법
EP1072651B1 (en) Pigment in thin flake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1672036B1 (en) Pearlescent pigment
US8067090B2 (en) Color effect pigment with a layer made of discrete metal particle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its use
US7507285B2 (en) Aluminum effect pigment blends
KR101290386B1 (ko) 투명한 고니오크로마틱 다층 효과 안료
US20070134179A1 (en) Colored bright pigment
EP1509575B8 (en) Rutile titanium dioxide effect pigments and production thereof
US20160113848A1 (en) Filler,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cosmetic
KR20050094854A (ko) 다층 효과 안료
EP2727967A1 (en) Interference pigment having higher color intensity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EP2008641A1 (en)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flaky glass
KR0145423B1 (ko) 박편형상 미분말 및 그 제조방법 및 화장료
JP2001098186A (ja) 薄片状顔料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13485A1 (en) Flaky particles, and cosmetic,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resin composition and ink composition ezch containing the same
JPS62187770A (ja) 紫外線遮へい顔料
JP4979995B2 (ja) ベージュ色の色相を呈する非干渉性のカラーフロップ粉体および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