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0561A -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0561A
KR20030060561A KR1020020001304A KR20020001304A KR20030060561A KR 20030060561 A KR20030060561 A KR 20030060561A KR 1020020001304 A KR1020020001304 A KR 1020020001304A KR 20020001304 A KR20020001304 A KR 20020001304A KR 20030060561 A KR20030060561 A KR 20030060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ange
outlet
pipes
we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1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219B1 (ko
Inventor
강석자
Original Assignee
강석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자 filed Critical 강석자
Priority to KR10-2002-0001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219B1/ko
Publication of KR20030060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0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16L23/02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by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2Flanged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플랜지에 파이프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플랜지 몸체 출구측 외주면에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실링공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몸체 출구측으로 끼워지는 파이프와, 상기 플랜지와 파이프가 대응된 출구측 몸체 단부와 파이프 외면을 용착하고, 출구 측에 끼워지 파이프 일측단과 대응된 플랜지 입구 내면을 용착한 구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외면과 플랜지 몸체 단부를 용착시켜 수밀을 유지하는 동시에 플랜지의 비틀림을 방지하므로 지반침하, 수압, 외부의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이음부에 틈이 생기지 않아 누수현상이 없어 보수공사 등의 관리가 간편하고, 이로 인한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파이프와 플랜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The structure coupling flange and pipe}
본 발명은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도록 된 플랜지에 파이프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하수관, 배수관 등과 같이 내경이 큰 파이프을 연결할 때 파이프의 양측면에 플랜지를 설치하여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을 간단 용이하게 하되 파이프 일측단이 끼워지는 플렌지 출구측단부를 용착시켜 수밀을 더욱 견고하게 함으로서 파이프 배관 후 지반침하, 파이프의 비틀림, 수압 등에 의한 누수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파이프의 연결작업 공정과 시간을 절약하여 신속한 보수공사와 파이프 설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발명된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파이프 이음 부재는 내부 양측에 수밀패킹을 설치하여 끼워지는 파이프의 단부와 이음부재의 수밀을 패킹이 유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수밀 패킹의 경우 합성수지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져 있어 여름철과 겨울철과 같이 영하의 온도 또는 고온의 온도에서는 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일정기간 사용시 탄성력을 잃어 누수 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파이프의 이음부재에 누수가 발생되면 다시 보수공사를 해야 하는 일이 반복되어 인적과 시간, 물적 낭비가 반복됨에 따라서 국가 또는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소요비용이 상당히 지출되는 비경재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등록 된 실용신안등록 제20-158352호는 관 연결구 본체내에 연결시키고자 하는 관을 끼우고 상기 관 연결구 본체에 형성된 확개부에 고무링을 삽입한 다음, 캡에 볼트를 관통시켜 너트로 조여주면 캡의 내주단부가 상기 고무링을 관 연결구 본체 내부로 압박하여, 관이 서로 연결되는데, 상기 확개부의 표면에 다수의 환형 돌출팁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무링과 확개부의 접촉면적이 넓어짐과 아울러 돌출팁이 고무링으로 파고 들어가 밀봉효과가 향상되고 상기 고무링의 외측면이 호형상으로 만곡되어 다수의 환형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관의 각도가 변경되어 캡의 내주단부의 위치가 다소 변경되는 경우에는 고무링에 작용하는 단위 압박력의 차이가 적게 되어 관과 관의 연결구 사이로 누수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이러한 관 연결구들은 내경이 작은 관들에 한정되는 것으로서, 하수관, 배수관 등과 같이 내경이 큰 관을 연결구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플랜지 몸체 출구측 외주면에는 다수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다수의 실링공이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몸체 출구측으로 끼워지는 파이프과, 상기 플랜지와 파이프가 대응된 출구측 몸체 단부와 파이프 외면을 용착하고, 출구 측에 끼워지 파이프 일측단과 대응된 플랜지 입구 내면을 용착한 구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파이프의 외면과 플랜지 몸체 단부를 용착시켜 수밀을 유지하는 동시에 플랜지의 비틀림을 방지하므로 지반침하, 수압, 외부의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이음부에 틈이 생기지않아 누수현상이 없어 보수공사 등의 관리가 간편하고, 이로 인한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파이프와 플랜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랜지를 파이프 일측 단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플랜지에 받침봉이 일체로 형성된 단면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플랜지 저부의 받침봉이 볼트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파형 파이프에 플랜지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요철 파이프에 플랜지를 결합한 상태의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플랜지 11:몸체
12:출구 13:입구
14:볼트공 15:실링공
16,16a,16b:파이프 17,17':단부
18:받침봉 19:볼트
20:파형홈 21:요철홈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1) 출구(12)측 외주면에는 다수의 볼트공(14)이 형성되고, 출구(12)측에는 다수의 실링공(15)이 형성된 플랜지(10)와,
상기 플랜지(10) 몸체(11) 출구(12)측으로 끼워지는 파이프(16)와,
상기 플랜지(10)와 파이프(16)가 대응된 출구(12)측 몸체 단부(17)와 파이프 외면을 용착하고, 출구측에 끼워지 파이프(16) 일측단과 대응된 플랜지 입구(13) 내면을 용착한 구성이다.
이와 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16)의 양측단이 플랜지(10) 출구(12) 측 내부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플랜지 출구(12)측으로 파이프(16)의 일측단이 끼워지면 몸체(11)에 형성된 실링공(15)을 통하여 합성수지액 또는 금속액으로 된 실링액을 주입하여 플랜지(10)와 파이프(16)를 고정한다.
상기 실링 후에는 플랜지(10)의 출구(12)측 몸체(11)단부와 이에 대응된 파이프(16) 외면을 용착하여 플랜지와 파이프를 고정하는 동시에 수밀을 유지토록 한다.
상기 파이프 외면을 용착한 후에는 플랜지(10) 출구(12)로 끼워진파이프(16) 단부와 이에 대응된 플랜지 입구( )측 내주면을 용착시켜 플랜지와 파이프를 고정하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관 하고자 하는 파이프 양측단에 플랜지를 연결한 후에는 파이프(16)에 연결된 플랜지와 플랜지를 서로 대응시켜 플랜지 외주면에 형성된 볼트공(15)을 통하여 볼트로 플랜지를 고정한다.
이때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통상의 패킹을 개재시켜 연결하면 플랜지이음부에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되는 본 발명의 플랜지의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1
상기 구성에 있어서 플랜지(10)는, 도2와 같이 몸체(11) 출구(12)측 외주면에는 다수의 볼트공(14)이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10) 입구(13)측 몸체(11) 저부에 받침봉(18)을 일체로 형성시킨 구성으로서, 플랜지(10)의 출구(12)측 몸체(11)단부와 이에 대응된 파이프의 외면을 용착하여 플랜지와 파이프를 고정하는 동시에 수밀을 유지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파이프 단부에 플랜지를 연결한 후 파이프와 파이프 연결시 배관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플랜지 저부에 형성된 받침봉(18)을 이용하게 되는데 파이프를 배관하기 위해 형성된 지반 통로의 높낮이 또는 맨홀의 통로의 지지행거의 높이 위치에 따라서 받침봉(18)을 이용하여 플랜지와 플랜지의 높이를 맞출 수 있으며, 또한 파이프 양측단에 연결되는 플랜지중 일측단의 플랜지(10)에는받침봉(18)을 형성하고 타측단에는 받침봉(18)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을 형성하여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시 프랜지의 볼트공(14)을 쉽게 일치시킬 수 있음은 물론 파이프 설치 후 비틀림이 생겨 연결부에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2
상기 구성에 있어서 플랜지(10)는, 도3과 같이 몸체(11) 출구(12)측 외주면에는 다수의 볼트공(14)이 형성되고, 출구(12)측에는 다수의 실링공(15)을 형성한다.
상기 출구(12)측 몸체(11) 단부(17')를 여러층으로 형성한 다음 이의 단부(17')와 파이프(16) 외면을 용착한다.
상기 플랜지(10) 입구(13)측 몸체(11) 저부에 받침봉(18)을 볼트(19)로 고정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플랜지(10)의 출구(12)측 몸체(11) 단부(17')를 여러층으로 형성함으로서 용착부의 단면적을 넓게 하여 견고성을 증강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3과 같이 플랜지 저면에 받침봉(18)을 볼트(19)로 고정함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받침봉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실시예 3
상기 구성에 있어서 플랜지는, 도4 및 5와 같이 프랜지 내면에 파형 홈(20) 또는 요철 홈(21)을 형성시켜 끼워지는 파형 파이프(16a) 또는 요철 파이프(16b)와 결합할 수 있도록 프랜지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플랜지 입구 내주면을 약간 돌출되도록 하여 파이프를 끼운후 내주면이 내측으로 절곡시켜 끼워진 파이프 단부를 고정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된 본 발명은 작은 수도관, 유압관등에 적용할 수도 있지만 배수관, 하수관, 송유관과 같이 내경이 100mm 이상에서 1,000mm 크기의 관과 관을 연결시 그 작업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관단부에 끼워진 플랜지와 플랜지를의 볼트공 위치를 짧은 시간에 간단 용이하게 일치시켜 결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첫째, 하수관, 배수관, 송유관 등과 같이 취급이 불편하고 수압 및 유압이 발생되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을 견고히 할 수 있으며, 둘째, 수밀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관 연결작업을 플랜지를 이용하여 연결작업 공정을 간단히 하게 할 수 있으며, 셋째, 플랜지와 플랜지의 위치 조절을 플랜지 저면에 고정된 받침봉을 이용하여 간단 용이하게 일치시킴으로서 파이프와 파이프를 정확하게 맞춰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수밀을 유지 시킬 수 있며, 넷째, 파이프의 외면과 플랜지 몸체 단부를 용착시켜 수밀을 유지하는 동시에 플랜지의 비틀림을 방지하므로 지반침하, 수압, 외부의 진동 등이 발생하더라도 이음부에 틈이 생기지 않아 누수현상이 없어 보수공사 등의 관리가 간편하고, 이로 인한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효과 를 갖는다.

Claims (5)

  1. 몸체(11) 출구(12)측 외주면에는 다수의 볼트공(14)이 형성되고, 출구(12)측에는 다수의 실링공(15)이 형성된 플랜지(10)와,
    상기 플랜지(10) 몸체(11) 출구(12)측으로 끼워지는 파이프(16)와,
    상기 플랜지(10)와 파이프(16)가 대응된 출구(12)측 몸체 단부(17)와 파이프 외면을 용착하고, 출구측에 끼워지 파이프(16) 일측단과 대응된 플랜지 입구(13) 내면을 용착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랜지는, 내면에 파형 홈(20)을 형성시켜 파형 파이프(16a)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랜지는, 내면에 요철 홈(21)을 형성시켜 파형 파이프(16a)가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0)는, 입구(13)측 몸체(11) 저부에 받침봉(18)을 일체로 형성시킨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출구(12)측 몸체(11) 단부(17')를 여러 층으로 형성한 다음 이의 단부(17')와 파이프(16) 외면을 용착하고,
    상기 플랜지(10) 저부에 받침봉(18)을 볼트(19)로 고정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10-2002-0001304A 2002-01-09 2002-01-09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KR100488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304A KR100488219B1 (ko) 2002-01-09 2002-01-09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1304A KR100488219B1 (ko) 2002-01-09 2002-01-09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0561A true KR20030060561A (ko) 2003-07-16
KR100488219B1 KR100488219B1 (ko) 2005-05-11

Family

ID=32217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304A KR100488219B1 (ko) 2002-01-09 2002-01-09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2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887B1 (ko) * 2009-02-18 2009-07-30 주식회사 세종화학 연결 고정용 하수관
KR101049280B1 (ko) * 2009-09-10 2011-07-13 주식회사 퍼팩트 연결관 용융접합용 장치
KR102220519B1 (ko) * 2020-05-08 2021-02-24 김경철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KR102231734B1 (ko) * 2020-05-08 2021-03-23 김경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에 걸림홈과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530B1 (ko) 2007-10-23 2011-05-27 민병이 유지 보수용 상,하수관
KR101171334B1 (ko) * 2012-03-07 2012-08-10 영남산업 주식회사 파형강관 연결장치
CN111336331A (zh) * 2020-03-13 2020-06-2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L型撘焊法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5090A (ja) * 1986-01-14 1987-07-21 金尾 史朗 フランジ付合成樹脂管とその製造方法
JPH0651676U (ja) * 1992-12-21 1994-07-15 日本スタンド・サービス株式会社 配管の接合継手
KR950023599U (ko) * 1994-01-22 1995-08-23 윤승규 합성수지관의 플랜지 연결구
KR200203024Y1 (ko) * 2000-05-13 2000-11-15 코스모산업주식회사 플랜지를 이용한 상,하수관의 연결구조
KR100398788B1 (ko) * 2001-06-13 2003-09-19 윤종경 관 이음 플랜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887B1 (ko) * 2009-02-18 2009-07-30 주식회사 세종화학 연결 고정용 하수관
KR101049280B1 (ko) * 2009-09-10 2011-07-13 주식회사 퍼팩트 연결관 용융접합용 장치
KR102220519B1 (ko) * 2020-05-08 2021-02-24 김경철 다수개의 볼트로 배관덕트가 결합되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의 하부면에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KR102231734B1 (ko) * 2020-05-08 2021-03-23 김경철 배관덕트의 하단에 고정된 플랜지부에 걸림홈과 가압홈부들을 구비한 배관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8219B1 (ko)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9615A (en) Branch pipe connection
US4298206A (en) Flexible packing for sealing pipeline joints
KR100488219B1 (ko) 파이프와 플랜지의 연결구조
US5957505A (en) Branch pipe connection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0521061B1 (ko) 배관 분기용 연결장치
KR10039878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100398787B1 (ko) 관이음 플랜지
KR100234898B1 (ko) 연결수단이 구비된 합성수지 나선관
KR20030060562A (ko) 일체형 플랜지 관
KR100488218B1 (ko) 관 이음 플랜지
KR200258641Y1 (ko) 스테인리스 배급수관 연결기구
KR200347922Y1 (ko) 배관용 분기관
RU2187737C2 (ru) Соединение гладких труб
CN219796402U (zh) 一种具有套筒连接结构的双波峰直壁管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0453736B1 (ko) 고밀폐 관 접속구
JPH072774Y2 (ja) 下水管の工事用止水用具
JP2533704Y2 (ja) 水道用器具の接続パッキン
KR200216504Y1 (ko) 클립 플랜지를 이용한 관이음장치
KR100521771B1 (ko) 피복형 클립 플랜지 하수관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구조
JP2012041958A (ja) 管継手
KR200419728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166988Y1 (ko) 배수관연결용접속장치
KR200165409Y1 (ko) 상ㆍ하수도관누수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