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871A -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 - Google Patents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871A
KR20030027871A KR1020020059801A KR20020059801A KR20030027871A KR 20030027871 A KR20030027871 A KR 20030027871A KR 1020020059801 A KR1020020059801 A KR 1020020059801A KR 20020059801 A KR20020059801 A KR 20020059801A KR 20030027871 A KR20030027871 A KR 20030027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hinges
plate
joi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5438B1 (ko
Inventor
원상태
Original Assignee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신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2-005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438B1/ko
Publication of KR2003002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형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이음판을 경첩으로 주형의 복부판에 부착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 시공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은, 하나의 주형 구조체를 이루기 위한 상·하부 플랜지와 양측면에 배치되는 복부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형 구조체의 복부판을 연결하는 이음판은 그 몸체의 일부분이 경첩에 의해 상기 양측면에 배치된 복부판들에 내·외측면으로 미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Girder for building bridge structures using hinges}
본 발명은 교량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주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강합성형교를 가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주형으로써, 특히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합성형교가 가설될 경우 공장에서 현장까지 강재주형(steel box girder 또는 steel plate girder)의 운반이 편리하도록 주형을 분절(segment)하여 공장에서 제작한다. 공장에서 제작된 각 분절은 이음판(splice)과 고장력 볼트를 포함하여 가설현장까지 운반된다. 현장까지 운반된 각 분절은 지상에서 일부 조립한 후 조립된 강재 주형을 교각 및 가벤트(bent)에 거치한 후 강재주형들을 서로 연결할 때, 주형의 복부판 연결이 먼저 선행된 후 상부 및 하부 플랜지의 연결 순서로 볼트이음작업을 하게 된다. 주형을 연결하는 장소는 대개는 고공(高空)에서 이루어지며, 크고 작은 이음판들을 소운반하여 볼트이음을 한다. 이때 이음판의 크기는 정량적인 것이 없으며, 현장여건에 맞는 이음판 규격을 정하게 되는데 개략적인 이음판 1개의 중량 및 크기는 무거운 것은 250kg(710mm×12mm×3,740mm) 이상이 되고, 가벼운 것은 14kg(505mm×12mm×295mm) 이내의 강판들이다.
따라서, 강재주형들을 서로 연결할 때 선행되는 주형의 복부판 연결은 지상 및 고공에서 주형 내·외부에 무거운 이음판을 들고 볼트이음작업을 하여야 하고,여러 개의 이음판을 적정한 위치까지 소운반하여 볼트체결이 되어야 하므로 작업 효율성 및 시공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현장에서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강재주형이 고장력 볼트이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주형을 가설현장에서 연결할 때 복부판과 이음판에 볼트이음 시공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주형의 운반시 이음판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내·외측면으로 경첩에 의해서 복부판에 고정되는 이음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형20 : 상부 플랜지
30 : 하부 플랜지40 : 복부판
42 : 이음판44 : 경첩
50 : 고장력볼트60 : 자석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주형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되는 이음판을 경첩으로 주형의 복부판의 내·외측에 부착함으로써 작업 효율성, 시공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은,
하나의 주형 구조체를 이루기 위한 상·하부 플랜지와 양측면에 배치되는 복부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형 구조체의 복부판을 연결하는 이음판은 그 몸체의 일부분이 경첩에 의해 상기 양측면에 배치된 복부판들에 내·외측면으로 미리 부착되어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 도 1a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a 내지 도 3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명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주 요소들의 결합및 고정을 위한 보강 리브(판), 볼트 및 너트, 구멍 등의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으며 기본적인 부품의 사용 및 설치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특히,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주형은 강재주형이다. 이 주형(10)은 상부 플랜지(20), 하부 플랜지(30) 및 양측면에 배치되는 복부판(40)으로 크게 구성된다. 이 주형(10)은 고장력볼트(50)에 의한 이음으로 상부 플랜지(20), 하부 플랜지(30) 및 복부판(40)을 연이어 결합시킴으로써 주형의 길이 연장이 가능하다. 상기 복부판(40)의 내측과 외측(도 3 참조)에는 경첩(44)에 의해서 이음판 (42)이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이음판(42)은 경첩(44)에 의해서 힌지운동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내·외부에 있는 이음판(42)이 경첩(44)에 의해서 양쪽면으로 복부판에 미리 설치되므로, 소운반 후 고공에서 각각의 분절(segment)된 주형의 복부판을 서로 연결할 때 작업자가 이음판(42)을 잡지 않고도 볼트 이음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음판(42)이 부착된 각 분절의 주형(10)을공장에서 현장까지 육상 또는 수상 운반시 이음판(42)이 분리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강력자석(60)을 부착하여 현장까지 안전하게 운반되도록 안전장치를 설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강재주형 복부판의 연결을 위한 이음판이 경첩으로 복부판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지상 및 고공에서 무거운 이음판을 들고 볼트이음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하나의 주형 구조체를 이루기 위한 상·하부 플랜지와; 양측면에 배치되는 복부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주형 구조체의 복부판을 연결하는 이음판은 그 몸체의 일부분이 경첩에 의해 상기 양측면에 배치된 복부판들에 내·외측면으로 미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
KR10-2002-0059801A 2002-10-01 2002-10-01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 KR100465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801A KR100465438B1 (ko) 2002-10-01 2002-10-01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9801A KR100465438B1 (ko) 2002-10-01 2002-10-01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053U Division KR200263286Y1 (ko) 2001-09-28 2001-09-28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871A true KR20030027871A (ko) 2003-04-07
KR100465438B1 KR100465438B1 (ko) 2005-01-13

Family

ID=2957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9801A KR100465438B1 (ko) 2002-10-01 2002-10-01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4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40B1 (ko) * 2009-04-23 2012-01-31 (주)지가캡 미아 발생 방지 기능을 갖는 모자
CN110607759A (zh) * 2019-10-17 2019-12-24 合肥正浩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架桥机机臂联接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640B1 (ko) * 2009-04-23 2012-01-31 (주)지가캡 미아 발생 방지 기능을 갖는 모자
CN110607759A (zh) * 2019-10-17 2019-12-24 合肥正浩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架桥机机臂联接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5438B1 (ko) 2005-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352102B2 (en) Self-jacking scaffold for large cylindrical tanks
US5401122A (en) Excavation shield apparatus and method
CN110872846A (zh) 一种装配式钢波纹综合管廊
KR100465438B1 (ko)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
KR101672933B1 (ko) 공장제작형 소켓부재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제작방법
KR200263286Y1 (ko) 경첩을 이용한 교량 구조물 구축용 주형
CN111503382A (zh) 密闭结构及人防工程建筑
JPH10273976A (ja) コンクリート柱の耐震補強装置
CN102011432B (zh) 多边形组合式钢管
CN211815487U (zh) 一种钢箱拱肋内部检修通行结构
JP2011241084A (ja) 壁つなぎ装置及び壁つなぎ装置の取付方法
JP2020204263A (ja) 上部工部材運搬設備および上部工部材運搬方法
JPH10140525A (ja) 橋 桁
JP2004116124A (ja) 鉄塔の基礎構造
CN220908153U (zh) 一种桥梁预制梁吊点转换装置
CN211899528U (zh) 拆卸式的简易工作平台
CN212672596U (zh) 密闭结构及人防工程建筑
JPH10331569A (ja) 外表面に継手ボックスが開口する鋼製セグメントピースおよび該鋼製セグメントピースを用いた沈設体の構築方法
JP2005090109A (ja) 橋梁の架設工法および橋梁の上部工ユニット
CN216663845U (zh) 一种用于钢箱梁的连接机构
JPH0953223A (ja) 水上架設構造物構築用ジャケットの支持杭取付構造
CN214656284U (zh) 一种预制装配式悬索桥主梁
CN218292772U (zh) 一种土建主体施工快速拆装模板
JP2002155695A (ja) シールドトンネル接続部の施工方法
JP6798527B2 (ja) 上部工部材運搬設備および上部工部材運搬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