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459Y1 -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459Y1
KR200286459Y1 KR2020020000855U KR20020000855U KR200286459Y1 KR 200286459 Y1 KR200286459 Y1 KR 200286459Y1 KR 2020020000855 U KR2020020000855 U KR 2020020000855U KR 20020000855 U KR20020000855 U KR 20020000855U KR 200286459 Y1 KR200286459 Y1 KR 2002864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board
waterproof
plat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주복
Original Assignee
엄주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주복 filed Critical 엄주복
Priority to KR2020020000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4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4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459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구 건축구조물의 유지보존과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내,외부에 필수적으로 갖추어 주어야 하는 보온, 단열, 방음, 내화, 방수기능과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치장 마감까지 갖추면서 건물의 보강기능도 함께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다기능성의 결속보강 고정지지대로서, 이에 사용되는 범용자재로는 섬유방수판재와 유, 무기질의 보온단열재 및 내,외장재 등이 모두 해당되며 특히 내화성을 갖춘 광재면 울(보드)을 보다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건축구조물의 기능과 효과를 크게 개선시킬 수가 있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의 다기능성의 결속보강 고정지지대 구조는 다음과 같이 고정지지붕(12), 고정지지대(13), 큰날개(14), 고정홈부(15), 단턱부(16), 통공부(17), 작은날개(18), 판재안착부(19), 돌기부(20), 연결쫄대요홈부(21), 결합연결보강쫄대(22), 괘합고정연결대(23)로 구성되며 내,외부 용으로 분리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의 본 고안물을 먼저 구조물표면에 고정, 안착 후, 보온단열재(보드)를 적층 후, 이를 보호 되도록 방수성을 갖춘 섬유방수판재(24)를 보온단열재(보드)(10)의 표면 판재안착부(19)에 적층만 시켜주면, 건축물은 보온, 단열, 방음, 방습, 방수 효과를 갖추게 되고, 불필요한 하중도 줄이면서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하는 두께의 표면 보호층을 얻을 수가 있어 보다 근본적인 완벽한 기능 효과로 건축물에 유지보존을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A panel-coupler to protect concrete construction.}
본 고안의 다기능성의 결속보강 고정지지대 구성물은 모든 건축물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특히 신,구 콘크리트건축구조물의 근본적인 유지보호를 위해 일정한 장소에 국한시키지 않고 내, 외부 모든 장소에 통합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범용기구에 관한 것이다.상세하게는 차음, 흡은, 보냉, 내화성을 갖는 보온단열재와 내,외장재 및 기타 다른 성분의 재질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보온단열재중에는 가격이 저렴하고 내화성이 뛰어난 무기질의 광재면울(보드)등을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치장마감까지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지금까지는 유, 무기질의보온단열재(보드)는 주로 내부에 국한시키고 외부에는 외장재(석재, 칼라강판, 합성판, 치장타일)등으로 마감하였다. 이는 종래의 공사방법이 상기의 보온단열재를 간편하게 적용 사용시키기에는 적합치 않은 방법이였고, 또한 각재(角材)들 (나무, 철, 프라스틱) 등도 각각 성분도 다르고 형태도 다르게 사용되어 이 같은 불편으로 내,외부에 통합적으로 사용할 수가 없었으나, 본 고안은 이를 하나로 통합하여 내,외벽, 천장, 바닥까지도 모두 적용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기구를 통하여 사용하면 사용된 보온단열재나, 내,외장(보드)재 등은 철거 및 해체 시에도 폐자재를 발생시키지 않고, 모두 재조립하여 다시 사용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같은 사용방법으로 본 고안은 외벽을 세로지지봉(12)과 가로지지봉(13)으로 이를 상호 연결(결합) 사용하고, 내부와 천장은 가로지지대(13) 만으로 사용하며, 바닥층 등은 세로지지봉(12) 만으로 분류 사용한다.종래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보온단열, 방음, 내화성의 공사방법들을 살펴보면 구조물의 외,내부 벽면이나 천장, 바닥 등을 보호하는 구성여건의 부족으로 방수효과는 극히 미흡하며, 특히 차음, 흡음과 내화성이 우수하고 가격도 저렴한 무기질의 광재면울(보드)보온단열재는 내부에도 일반적으로는 사용이 제한 적이고 외부에는 전혀 사용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능과 효과를 갖추어 주기 위해선 과다한 비용과 번거롭고 긴 공정을 거쳐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로 유기질의 EPS발포(보드)만을 사용하거나, 아니면 나무합판과 석고보드를 표면 보호제로 사용하지만 각 자재의 장,단점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일부 장소에서만 국한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로 각 장소마다 효과도 일정치 않아 건축구조물은 보호기능이 부족할 수 밖에 없고, 하자가 발생해도 일반적인 개 보수만 가지고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 할 수 없는 어려움으로 쉽게 개선을 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별도의 추가 부대공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도 철거 및 해체에 따른 폐자재 발생 등 불필요한 자재낭비 및 경비부담을 가져야 하고, 재시공후에도 그 시공된 구조상의 문제, 즉 기능의 복합적인 결함으로 인해 기초시공부터 새로이 실시해야하므로 건축물의 수명이 단축 될 수밖에 없다.
도 1은 종래의 외벽 단열 방음, 방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내부에 실시되는 단열 및 방음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먼저 도 1은 현재 신축이나 개수 시 많이 실시중인 외 벽면의 보온단열 방음, 방수 구조인 일명 드라이비트공법으로, 이는 경량의 EPS발포(보드)(3)와 몰탈접착제(2)를 사용하여 콘크리트벽면에 고정(접착)한 후, 보강메쉬(heavyduty mesh)(4), 무기질(시멘트계) 몰탈접착제(6), 일반 메쉬(lightduty mesh)(5), 다시 몰탈접착제(6), 단열 마감몰탈(7) 등을 순차적으로 압착, 도포시켜 치장마감 한 것이다. 그러나 EPS발포스치로플(보드)표면을 얇은 두께의 접착몰탈만으로 유기질의 스치로플폼(보드)재를 보호하는 방법이므로 자재 및 시공의 특성상 공사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되면 열악한 외부환경에 의해 스치로플폼(보드)는 조기 부식이 도래할 수밖에 없다. 또한 탈락, 충격, 파손에 따른 보수의 어려움과 공정과 공기도 번거롭고 길며, 자재의 성분에 따른 안전성의 문제도 있어 건축물을 근본적으로 보호하는 수단으로는 완전하지 못하지만 현재로서는 스치로플폼(보드)을 외벽에 적용시키는 공사방법은 이것밖에 없는 실정이다.따라서 통상적인 방법은 외부보호 및 표면치장 마감재로 석재, 치장벽돌, 합성칼라판 등이 있고, 모두 우수한 내구성과 보강효과로 오래 전부터 사용 되오고 있지만, 먼저 보온단열재 등으로 표면을 보호하게 감싸준 후 시공하는 방법이 아니므로 열악한 주변환경으로부터 건축구조물을 근본적으로 보호하는 기능이 미흡하여 열화에 의한 손상으로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것이다.
도 2는 내부에 실시되는 통상의 보온단열 및 방음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먼저 콘크리트(1)벽면에 일정 한 간격으로 각재(8)등을 고정한 후, 그 각재의 사이에 보온단열재(10)를 삽입하고, 마감판재(11)로는 합판이나 석고보드 등을 고정시켜 마감하는 것이다. 상기 공정에는 EPS 보드, 광재면, 우레탄폼, 폴리에스테르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가격도 일정치 않고 기능과 효과도 많은 차이를 가지고 있어 밀도를 더 주거나 다른 물질로 표면을 처리한 보온단열재는 특별한 건축물일 경우에만 수용(사용)되는 실정이며, 일반건축물에는 값싼 보온단열재도 일부분에 국한시켜 사용을 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종래의 방법으로는 값싼 단열재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없는 문제와 사용을 한다해도 다량의 부자재 및 보호자재의 소모가 불가피 하다. 즉 보온단열재의 표면을 보호시켜주기 위해선 장소에 따라 목재합판이나 석고보드 등을 부득이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고, 시공 후, 다시 발생될 수 있는 폐자재 발생 등으로 원만한 기능과 효과를 일률적으로 갖출 수 없는 한계성으로 건축물의 보호수단이 미흡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고 신속하며 안전하고 완전하게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案出(안출)된 것으로서,일정한 장소에 국한시키지 않고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신,구 모든 건축물이 보온단열, 내화, 방음과 방수 효과를 갖는 특히 콘크리트 건축물을 구성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한적으로 사용하였던 다소 낮은 밀도의 저비용 무기질보온단열재를 외부 및 천장, 지하, 바닥 층에도 모두 적용 사용할 수 있게 하여 건물에 하중을 최소화시키면서, 공기 단축효과 및 시공 후, 하자가 발생되어도 해체 후, 다시 재조립하여 사용하게 하여 철거로 인한 폐자재 발생을 억제시키고, 추가공사의 재원을 절감시켜 구조물에 보강기능을 더욱 갖게하면서, 보온단열과 방음성 및 방수성을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고루 갖추므로 건축물의 보호 유지방법을 개선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외 단열, 방음, 방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내부에 적용되는 종래의 단열, 방음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을 적용한 단열, 방음, 방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적용한 방수, 단열, 방음 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범용기구의 결합연결대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8은 본 고안을 적용한 방수, 단열, 방음 구조의 사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콘크리트 2 : 몰탈 접착제
3 : EPS 보드 4 : 보강메쉬(heavyduty mesh)
5 : 일반메쉬(lightduty mesh) 6 : 무기계 몰탈 접착제
7 : 단열 마감몰탈 8 : 각재
9 : 콘크리트용 고정나사 (못) 10 : 보온단열재
11 : 마감판재 12 : 괘합세로지지봉
13 : 괘합가로지지대 14 : 큰날개
15 : 고정홈부 16 : 단턱부
17 : 통공부 18 : 작은날개
19 : 판재안착면 20 : 돌기부
21 : 결합쫄대요홈부 22 : 결합연결보강쫄대
23 : 괘합고정연결대 24 : 섬유방수판재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인 보온단열, 방음, 방수 구조의 구성 시에 적용되는 보온단열재와 마감판재 및 고정부재 등을 구성물로 사용함으로써 내, 외부의 벽면, 바닥, 천장 등에 부위에 따라 자유롭게 본 고안의 다기능성의 결속보강 고정지지대와 임의의 보온단열재를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편리함을 제공한다. 이에 사용되는 보온단열재로는 유, 무기질 성분의 EPS보드, rock wool, Glass wool, 우레탄 폼, 폴리에스터, 광재면(보드)류를 사용하여 효과를 극대화한다. 또한 이를 은폐, 마감하는 판재로는 합판이나 석고보드류 등도 모두 사용하나, 특히 다음과 같은 특성과 구성을 갖는 섬유판재를 적용 사용하게 하므로 효과를 더 할 수 있다. 즉 완전한 방수성을 갖춘 섬유방수판재(24)로서, 내,외부 모든 장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화학안정성, 내용제성, 내열성 등이 우수하고 내후, 내구성 물질로 성형 수축율이 적은 두께 5mm이상의 판상의 폴리에스터 부직포를 특유의 혼화성, 접착성, 내수성, 내알칼리성이 우수한 고무성분의 아크릭 폴리머 방수혼화제와 포틀랜드 복합시멘트, 소석회 내지는 생석회 등과 계면 활성제 등의 일정한 혼합물이 수화반응에 의해 경화하여 조성된 유,무기질 성분으로 융합된 구성물질이므로, 내화성도 우수하고, 내수, 내구, 내후성을 갖추고 있어 충격에 의한 파손 및 빗물습기에도 전혀 손상되지 않으며 약품성에도 강한 섬유판재로서, 방수를 요하는 모든 장소에 적용이 되며, 특히 이를 외벽이나 바닥 등에 적용 사용할 시 우수한 보강기능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보온단열재(10)는 완전한 표면보호 효과를 이루게 되며, 섬유방수판재(24)의 표면은 벽지나 치장몰탈 등으로 마감을 시킬 수 도 있으며, 또는 기타 내·외장재로 다시 적층, 마감시킬 수도 있어 단열, 보온, 방음, 내화 및 방수성을 동시에 갖추며 치장도 함께 이루게 되어 건축구조물을 더욱 완벽하게 보호시킬 수가 있게 된다.이하에서는 상기한 고안의 판재고정물을 이용한 보온단열, 방음, 방수 구조의 구성과정과 본 고안인 판재 고정물의 부위별 기능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외벽에 본 고안의 다기능성의 결속보강 고정지지대의 사용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의 다기능성의 결속보강 고정지지대물은 건축구조물과 안정적으로 접합되도록 큰날개(14)부에 다수개의 고정홈부(15)를 각각 갖는다. 따라서 형성된 큰날개부(14)의 기능은 구조물 표면을 감싸는 보온단열재의 충분한 두께를 자유롭게 선택 안착(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과 둘째 시공 후에 만에 하나 발생할 수도 있는 빗물침투나 그 외의 내부누수로 인한 벽면의 피해와 손상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물 흐름 유도로의 기능을 갖는다. 이 같은 세로지지봉(12)과 가로지지대(13)의 큰날개(14)는 보온단열재(보드)(10)를 안착시키는 부위 면으로, 이를 완전하게 보완하는 기능으로 각각의 단턱부(16)와 작은날개부(18)를 가지며, 이때의 세로지지봉(12)의 역할은 외부의 공기흐름 통로 기능이 되어 습한 수분배출을 이루도록 직사각체의 단턱부(16)로 형성이 갖추어 지는데 이 같은 구성은 어떠한 무거운 중량에도 견딜 수 있고, 또한 가로지지대(13)와 병행함으로서, 가로지지대(13)에 구성된 작은날개(19)부를 중량이나 강한 힘이 가해 저도 손상 및 파손되지 않게 하는 보강 역할을 이룬다.
이 같은 기능들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큰날개(15)와 작은날개(18), 돌기부(19), 요홈부(21) 등으로 구성된 가로지지대(13)의 일측 끝단부가 기 고정(설치)된 세로고정지지봉(12)의 단턱부(16), 즉 통공부(17)와 밀착되게 삽입되는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지지대(13)는 세로지지봉(12)의 좌우측에 십자형 구조로 결합되므로, 가로지지대(13), 즉 큰날개(15)면은 유도수로의 역할이 되며 세로지지대(12)의 단턱부(16)와 통공부(17)는 각각 공기 및 물의 배출통로 기능 역할이 되는 것이다.
상기의 기능효과를 기존의 방법과 비교해보면 기존의 석재 및 칼라강판 등을 외벽에 설치 마감할 경우 외벽 치장 방법은 벽면과 일정한 공간을 띄우는 시공방법이므로, 누수 발생 시 수분 공기 등의 증발시간을 빠르게 증발시키는 효과는 양호하지만, 한편으론 오염된 공기나 습기 및 빗물 침투를 방치하는 결과를 갖고있어 오히려 구조물에 열화를 빠르게 하여 노후화와 부식을 촉진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오며, 보온단열효과와 방수기능도 근본적으로 갖출 수가 없고 보수 및 개수의 어려움도 있다.그러나 본 고안을 이용한 공사방법은 콘크리트구조물의 외벽면을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시킴은 물론 보온단열과 완벽한 방수효과로 구조물을 감싸주는 보호기능이 갖추어지므로, 열악한 환경에도 열화 및 부식 등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세로지지봉(12)은 바닥 층에는 밀도가 낮은 무기질의 광재면(보드) 등을 사용할 수 있게 하므로 바닥층에도 보온단열과 방음 및 방수성을 간편하게 갖출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보온단열재(10)를 본 판재고정물에 안착시키는 공정에 있어 중요한 다수의 기능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세로지지봉(12)은 큰날개(15)면과 단턱부(16)에, 가로지지대(13)는 큰날개(15)면과 작은날개(18)의 하부 면에 보온단열재(10)가 놓여지게 되는데, 이때가로지지대(13)의 큰날개(14)와 작은날개(18)의 폭은 그 위치하는 보온단열재의 두께에 비례하게 구성되어 보온단열재(10)가 안정되게 위치(결합)하게 되므로 외벽 작업 또는 내벽 및 천장 작업 시에도 다음 작업(공정)을 원활하게 수행해 나갈 수 있다.
또한 가로지지대(13)에 구성된 작은날개(18)의 윗면과 돌기부(21), 세로지지봉(12)에 구성된 단턱부(16) 윗면과 돌기부(18)를 각각 포함하는 판재 안착부(19)는 보온단열재(10)의 표면을 외부로부터 보호시켜주기 위한 섬유방수판재(24)나 기타 외장마감재를 적층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은 적층을 이루는 판재류 및 내, 외장재 등을 간편하고 안정되게 결합해주는 보강대 역할의 연결쫄대요홈부(21)와 결합연결보강쫄대(22)로 구성된다. 이때의 삽입(연결)되는 연결쫄대요홈부(21)의 내부구조와 결합연결보강쫄대(22)의 구조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둥그스름한 요철모양의 형태를 가지며 상호 결합력이 매우 강하다. 따라서 이를 더욱 강하게 날틀형태를 이루게 하면, 삽입되는 결합력은 더욱 강해지겠지만, 이를 해체 및 재사용 시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뿐더러 파손 및 손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도 있게 된다. 또한 연결쫄대요홈부(21)와 결합연결보강쫄대(22)는 간격에 따라 마감판재 및 그 외의 내, 외장재 두께를 자유롭게 선택 적층 할 수 있도록 요홈부(21)의 깊이와 결합보강쫄대(22)의 높이가 상호 편리하게 조절될 수 있게 구성하며, 이 같은 구성으로 하여 별도의 외장재를 보온단열재(10)나 섬유방수판재(24)위에 다시 적층, 마감할 경우 (석재)까지도 본 고안물에 마감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물의 연결쫄대요홈부(21)와 결합연결보강쫄대(22)를 결속 사용하게 됨으로서, 그 동안 까다롭고 번잡하며 하자발생과 작업에 위험성도 따랐던 줄눈시공의 씰링(충진) 작업을 대체케 하여 신속 간편하고 확실한 공정으로 안전하게 할 수 있음으로 공기 단축과 공사비 절감 및 하자발생을 방지 개선시킬 수가 있다. 또한 결합연결보강쫄대(22)의 외부 표면은 통상의 마감재 즉 뿜칠, 색조몰탈, 도료 등을 도포 하면, 그 형태를 은폐시킬 수가 있어 통상적인 외부마감공정의 구획된 표면처리 구조를 연속적인 형태의 일체화된 표면 마감하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본 고안은 그 동안 유, 무기질 보온단열재와 이를 보호 마감하는 목재의 합판류나 석고보드류는 주로 내부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단열재 중에도 보온, 단열, 차음, 흡음, 내화성의 광재면울(보드)은 사용을 잘 하지 않는 형편이나, 본 고안을 통하여 내부는 물론 외부와 바닥, 천장, 지하 등에도 적용(사용)이 모두 가능하며, 유.무기질의 보온단열재나 다른 타 내,외장재 들의 두께와 폭, 크기, 길이의 규격에 따라 건물상태에 맞게 자유롭게 임의선택 하여 간편 신속하고 안전한 공정과 완전한 기능효과를 갖출 수 있다.
특히 콘크리트건축구조물에 문제 시 되어 온 단열, 보온, 방음, 방수성과 화재에 대한 안전성을 보다 확실하게 개선시켜 주거생활의 불편 해소와 에너지절감효과도 갖게 한다. 또한 해체나 철거 시 사용된 모든 자재들을 다시 재조립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폐기물 발생방지와 자재손실을 억제시켜 이에 대한 비용일체를 절감시키는 효과가 크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 외부 장소에 사용되는 모든 유, 무기질성분의 자재들 (석재, 합성판재, 프라스틱, 알미늄, 펄프, 도료, 몰탈, 내, 외장재, 기타) 등을 모두 수용, 장소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 적용 사용할 수 있어 치장 마감까지 동시에 갖추므로, 불필요한 하중방지 효과도 갖게된다. 또한 오랜 사용으로 변형된 외장을 교체시킬 때에는, 본 고안에 안착되어 있는 내,외장재 표면에 그대로 적층만 시켜 주면 간편하게 바로 이루어저 가장 저렴한 공사비용으로 외장기능도 완벽하고 새롭게 되어 건축구조물의 수명을 근본적으로 보호, 유지 보존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두께 5mm 이상의 판상 폴리에스터 부직포층과 아크릭 폴리머 에멀젼, 포틀랜드시멘트, 소석회 내지는 생석회, 혼화재, 계면활성제가 혼합되어 구성된 섬유판재와 그 내부에 위치하는 EPS보드, Rock wool, Glass wool, 우레탄 폼, 폴리에스터 보드, Mineral wool(광재면) 중에서 선택된 일개의 보온단열재(10)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함에 있어서 콘크리트(1) 면과 수평으로 접착되는 세로지지봉(12) 및 가로지지대(13)의 각각의 큰날개(14)의 상단에 위치하는 보온단열재(10)와 이를 보호하는 섬유방수판재(24)가 놓여지는 단턱부(16), 작은 날개부(18), 판재 안착면(19)과 돌기부(20)를 구성하되 그 결합연결보강쫄대(22)와 세로지지봉(12), 그리고 가로지지대(13)을 결합하는 수단으로는 세로지지봉(12)과 가로지지대(13)와 결합연결보강쫄대(22)에 각각 구성된 결합쫄대요홈부(21)의 걸림부와 결합연결보강쫄대(22)의 걸림턱을 결속함으로서 구성하고, 그 가로지지대(13) 및 세로지지봉(12)는 좌우측 표면에 각기 구성된 고정홈부(15)와 콘크리트용 고정나사(9)에 의해서 설치되는 단열, 방음, 방수구조 콘크리트용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2. 제 1항에 있어서 섬유판재가 위치하는 단턱부(16)는 가로, 세로 지지대(12, 13)에 위치할 보온단열재(10)의 표면과 일직선상으로 수평되게 위치하거나 좌우 큰날개(14)부와는 ∠90°절곡되어 연결되되 사각의 통공부(17)를 형성하여 공기 및 수분의 흐름을 유도하는 특징을 가진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KR2020020000855U 2002-01-10 2002-01-10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KR2002864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855U KR200286459Y1 (ko) 2002-01-10 2002-01-10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855U KR200286459Y1 (ko) 2002-01-10 2002-01-10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459Y1 true KR200286459Y1 (ko) 2002-08-22

Family

ID=7307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855U KR200286459Y1 (ko) 2002-01-10 2002-01-10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45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372Y1 (ko) 2009-04-29 2011-06-30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용 목재빔
KR101222290B1 (ko) 2005-09-23 2013-01-16 주식회사 케이티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KR102165081B1 (ko) * 2020-02-28 2020-10-13 주식회사 이화건설 절연성을 갖춘 조립식 외장패널
KR102289912B1 (ko) * 2021-04-08 2021-08-13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외장재 설치용 트러스 구조체
KR102634675B1 (ko) * 2023-06-19 2024-02-08 주식회사 이화건설 열차단율이 향상된 절연성 조립식 외장패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290B1 (ko) 2005-09-23 2013-01-16 주식회사 케이티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KR200454372Y1 (ko) 2009-04-29 2011-06-30 진성토건 주식회사 거푸집용 목재빔
KR102165081B1 (ko) * 2020-02-28 2020-10-13 주식회사 이화건설 절연성을 갖춘 조립식 외장패널
KR102289912B1 (ko) * 2021-04-08 2021-08-13 주식회사 원스케이프 외장재 설치용 트러스 구조체
KR102634675B1 (ko) * 2023-06-19 2024-02-08 주식회사 이화건설 열차단율이 향상된 절연성 조립식 외장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5576B1 (ko) 보강재가 포함된 단열패널 및 이를 이용한 패널 시공 방법
PL60237Y1 (en) Structural element, particularly designed for erection of buildings
KR19980087583A (ko) 건축물 내, 외장용 칼라록 단열판재와 그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100512119B1 (ko) 단열보드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 방법
KR20090086733A (ko) 무석면 섬유강화 시멘트 보드와 경량 기포콘크리트 패널을이용한 건식 벽체 시공방법
KR200286459Y1 (ko) 콘크리트 구조물 보호용 판재 고정물
CN211523508U (zh) 一种用于住宅保温一体板外墙保温节点
CN112459307A (zh) 一种预制保温结构一体化墙体外模板的施工方法
KR101283253B1 (ko) 고기능성 단열마감패널구조체
KR20050073708A (ko) 건물 벽체용 일체형 적층 복합패널과 이를 이용한 건물의벽체 시공 방법
KR20230115106A (ko) 친환경 무기질계 고탄성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CN210032236U (zh) 内模固定外模装配式免拆复合模板
JP4495529B2 (ja) 耐火被覆及び耐火被覆の施工方法
EP3059354B1 (en) Structural module and method for mounting structural modules
KR101798457B1 (ko) 외단열 미장마감 시스템의 단열재 시공방법
KR200334341Y1 (ko) 건축물의 내외부면용 경량복합패널 및 경량복합패널조립체
KR102634651B1 (ko) 불연 외벽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0141558Y1 (ko) 건축물의 외벽시공용 타일판넬구조
KR20120006263A (ko) 벽체 시공방법
KR20120140284A (ko) 욕실용 덕트마감재의 시공방법
KR100360335B1 (ko) 건축 자재로서 공사에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방수 처리된패널
KR960002341B1 (ko) 욕실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CN218622781U (zh) 非承重自保温节能墙体预制构件及包含其的节能墙体构造
US20240218659A1 (en) Structural block systems, roof membrane systems, composite structural boards, floor and deck systems, and related methods
KR200207048Y1 (ko) 단열 및 방수층을 갖는 슬라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