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984Y1 -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984Y1
KR200277984Y1 KR2020020002829U KR20020002829U KR200277984Y1 KR 200277984 Y1 KR200277984 Y1 KR 200277984Y1 KR 2020020002829 U KR2020020002829 U KR 2020020002829U KR 20020002829 U KR20020002829 U KR 20020002829U KR 200277984 Y1 KR200277984 Y1 KR 200277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shoe
brake
lin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량
Original Assignee
김창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량 filed Critical 김창량
Priority to KR2020020002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9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984Y1/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장크레인용 드럼 타입 전자석 브레이크 등에 적용되어 브레이크 라이닝이 마모되면 이로 인한 드럼과 라이닝 상간의 갭(gab)을 자동으로 조정해 줄 수 있는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모터와 연결된 드럼(5)을 프레임(15)에 회전핀(16)으로 설치된 레버(7,10)상에 슈우핀(18)으로 설치된 슈우(17)에 고정된 라이닝(6)으로 좌우에서 클램핑, 언클램핑하면서 제동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전자석(2)에 전원 인가여부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브레이크(1)용 갭 자동조정장치를 구성하되, 브레이크(1)의 프레임(15) 양단부에는 수직으로 기준막대(20)를 설치하고, 상기 기준막대(20)에 형성된 상부홈(21)에는 수직 기울기를 조정하는 고정관(22)이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관(22) 내부로 관통하여 슬립할 수 있는 갭측정막대(24)를 좌우 레버(7,10)상에 슈우핀(18)으로 결합된 슈우(17)에 형성된 고정편(27)상의 결합공(28)으로 경유시켜 갭측정압축스프링(31)을 개재시켜 갭측정뭉치(29)로 고정하고, 상기 갭측정막대(24)의 고정관(22)을 경유한 좌우에는 최초 설치시 제동시 거리를 고정하는 마모갭기준너트(26a)와 제동시 생성된 갭을 개방시 밀어주는 갭보상기준너트(26)를 나사결합하며, 갭측정뭉치(29)의 경사면(29a)에는 슈우(17)에 일단이 지지되는 갭측정압축스프링(31)에 탄력설치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한 삼각형의 갭보상편(30)을 설치하고, 갭보상편(30) 타측에는 상부 경사면(32a)을 가진 슬라이드푸셔(32)의 후측면이 연접되게 설치하되, 상기 슬라이드푸셔(32)는 슈우(17)에 형성된 승강홈(35,36)상에 승강가능하게 연결편(40)으로 연결되고 압축스프링(39)에 탄력설치된 수직슬라이더(33,34)의 상부 경사공(33a,34a)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슬라이더(33,34)에는 상호 평행되게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33b,34b)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3b,34b)에 대응하는 경사면(38a)을 가진 수평슬라이더(38)를 승강홈(35,36)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수평슬라이드홈(37)상에 결합하며, 상기 수평슬라이더(38)에는 축공(38b)을 형성하여 슈우(17)의 대응부에 형성된 장공형 축공(17a)을 통하여 레버(7,10)상에 슈우핀(18)으로 축고정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브레이크(1) 작동시 자동적으로 드럼(5)과 라이닝(6) 사이의 간격이 조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전자석(2)과 개방판(4)의 간격이 외부 도움없이 처음 조절상태로 계속 유지되며, 라이닝(6)과 드럼(5) 사이의 간격도 라이닝(6) 교환시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종래 브레이크(1)의 제동상태가 해제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모터의 과열로 인한 손상을 일소함은 물론, 제동거리의 부정확성에 의한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별도의 관리인력 소모도 대폭 줄일 수 있어 경제성 또한 극히 우수한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Automatic gap adjusting device for the brake system}
본 고안은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천장크레인용 드럼 타입 전자석 브레이크 등에 적용되어 브레이크 라이닝이 마모되면 이로 인한 드럼과 라이닝 상간의 갭(gab)을 자동으로 조정해 줄 수 있는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산업현장에서 각종 물품, 장치 등을 운반하는 운반수단으로는 천장에 설치되어 사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상하로 리프팅이 가능한 천장 크레인이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상기한 크레인의 제동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드럼 타입 전자석 브레이크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크레인용 드럼 타입 전자석 브레이크(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자석(2)에 전기가 인가되면 자력이 발생하여 스프링(3)을 압축하면서 개방판(4)을 끌어당겨 제동상태가 해제되고, 전자석(2)에 인가된 전기를 차단시키면 전자석(2)의 자력이 상실됨으로써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3)의 반발탄성에 의해 개방판(4)을 밀어주므로 스프링(3)의 힘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용 드럼 타입 전자석 브레이크(1)는 모터(도시되지 아니함)측 드럼(5)의 회전을 브레이크(1)에 설치된 라이닝(6)의 마찰로 정지시킬 때 라이닝(6)은 드럼(5)과의 마찰에 따른 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라이닝(6)의 위치와 스프링(3), 전자석(2)의 위치적 차이를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스프링(3)과 전자석(2)의 용량을 줄여 주고 있으므로 라이닝(6)의 마모에 의해 생긴 갭은 전자석(2)과 개방판(4)의 거리(t)를 배로 늘려주게 되어 있어 제동시 반복되는 마모에 의해서 전자석(2)과 개방판(4)의 간격이 배가되어 늘어나게 되므로 전자석(2)의 자력이 개방판(4)을 끌어 당기지 못하여 제동상태가 해제되지 못하는 경우에 드럼(5)의 회전중지로 인한 모터의 과열로 모터가 타는 등의 손상이 오게 문제점도 있으며,
드럼(5)이 회전하게 되더라도 라이닝(6)에 예열이 발생되어 러이닝(6)이 타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라이닝(6) 마모에 의해 비례되게 벌어진 전자석(2)과 개방판(4)의 간격(t)에 의해 제동시 슬립이 발생되어 제동거리가 길어지게 됨으로써 작업시 위험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에 따라 주기적인 보수가 관리자에 의해 계속되어야 하므로 다수의 천장 크레인 등을 사용하는 업체의 경우 관리인력을 별도로 두어야 하고, 그로 인한 인력소모 및 제 경비의 지출 등 다수의 불편이 가중되어 왔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산업현장용 천장 크레인 등에 사용되는 브레이크에 있어서, 사용 중 라이닝 마모로 인한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있는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브레이크 작동 자체로서 갭이 자동으로 조정되어 전자석과 개방판의 간격이 외부 도움없이 초기 조절상태로 일정하게 유지되며, 라이닝과 드럼의 간격도 라이닝의 마모로 인한 교체시까지 일정 간격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되는 다양한 브레이크 중 드럼브레이크에 적용한 경우
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갭 자동조정장치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갭 자동조정장치를 발췌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갭 자동조정장치를 발췌한 평면도
도 5,6은 본 고안의 갭 자동조정장치를 발췌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브레이크 2:전자석
3:스프링 4:개방판
5:드럼 6:라이닝
7:레버 8:고정너트
9:연결봉 10:레버
11:스프링조절봉 12:스프링조절너트
13:스프링조절스토퍼 14:스프링스토퍼
15:프레임 16:회전핀
17:슈우 17a:축공
18:슈우핀 19:라이닝 수평조절볼트
20:기준막대 21:상부홈
22:고정관 23:결합공
24:갭측정막대 25:숫나사
26:갭보상기준너트 26a:마모갭기준너트
27:고정편 28:결합공
29:갭측정뭉치 29a:경사면
30:갭보상편 30a:갭보상압축스프링
30a':가이더 31:갭측정압축스프링
32:슬라이드푸셔 32a:(상부)경사면
32b:가이드홈 33,34:수직슬라이더
33a,34a:경사공 33b,34b:경사면
35,36:승강홈 37:수평슬라이드홈
38:수평슬라이더 38a:경사면
38b:축공 39:압축스프링
40:연결편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단, 종래 구성 설명 등에서 사용한 부분과 본 고안에서 동일한 구성부분은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키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브레이크(1)용 갭 자동조정장치는 통상의 브레이크(1)상에 설치,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브레이크(1)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2)으로부터 자력이 발생되지 않을 경우 스프링(3)의 복원력에 의해 개방판(4)을 밀어 제동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개방판(4)에 고정되어 전자석(2)의 중앙부 구멍으로 통과하여 일측 레버(7) 상부에 고정너트(8)에 의해 고정되어진 연결봉(9)과, 타측 대응 레버(10)에 고정된 스프링조절봉(11)에 적절한 압력으로 조절되어 스프링조절너트(12)에 고정되어 있으나 연결봉(9)과 슬립되게 설치되어진 스프링조절스토퍼(13)와 연결봉(9)에 고정된 스프링스토퍼(14) 사이에 압축제동 스프링(3)이 내재된 연결봉(9)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드럼(5)을 중심축으로 하여 이의 양쪽에 설치된 레버(7,10)는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된 프레임(15)과 회전핀(16)에 의해 각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레버(7,10)에는 드럼(5)을 중심으로 하여 슈우(17)가 슈우핀(18)에 의해 축설치되어 있고, 상기 슈우(17)의 평행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라이닝 수평조절볼트(19)가 프레임(15)에서 슈우(17)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브레이크(1)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프레임(15) 양 단부에 수직으로 기준막대(2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기준막대(2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홈(21)에 상하로 각운동 가능하게 고정관(22)을 축핀 결합하고, 상기 고정관(22)에 형성된 결합공(23)으로 갭측정막대(24)를 관통되게 결합한다.
상기 갭측정막대(24)에는 숫나사(25)가 전후로 형성되어 최초 설치시 개방상태에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갭보상기준너트(26)와 마모갭기준너트(26a)를 각각 고정관(22)의 좌우로 나사결합하며, 레버(7,10)에 슈우핀(18)으로 결합되어 있는 슈우(17) 후측에 형성된 고정편(27) 중심에 형성된 결합공(28)을 관통하여 슬립될 수 있도록 갭측정막대(24)를 결합시켜 단부에서 갭측정뭉치(29)를 나사결합하되, 상기 고정편(27)과 갭측정뭉치(29) 상간에는 갭측정압축스프링(31)을 탄력설치한다.
상기 갭측정뭉치(29)는 상부에 경사면(32a)을 갖는 슬라이드푸셔(slidepusher; 32)의 후측에서 연접되는데, 이들 상간에는 슈우(17)에 일단이 지지되는 갭보상압축스프링(30a)에 탄력설치되는 삼각형의 갭보상편(30)을 개재시켜 슬라이드푸셔(32)의 후측면 및 갭측정뭉치(29)의 경사면(29a)과 상호 안내되면서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드푸셔(32)의 후측면과 갭보상편(30)에는 가이드홈(32b)과 가이더(30a')를 각각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푸셔(32)는 슈우(17)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좌우 승강홈(35,36)상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슬라이더(vertical slider; 33,34)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공(33a,34a)상에 끼움결합되며, 상기 경사공(33a,34a)의 내측 상부의 경사도는 전기한 슬라이드푸셔(32)의 상부 경사면(32a)과 동일한 경사도를 갖도록 한다.
상기 수직슬라이더(33,34)에는 수직면부에는 경사면(33b,34b)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33b,34b)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절될 수 있는 수평슬라이더(horizontal slider; 38)를 좌우 승강홈(35,36) 중간에 관통되게 형성된 수평슬라이드홈(37)상으로 삽입시켜 조립한다.
수평슬라이더(38)의 좌우 단부는 상기한 수직슬라이더(33,34)의 경사면(33b,34b)과 대응하여 슬라이드 접촉될 수 있는 경사면(38a)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에는 슈우핀(18)이 결합될 수 있는 축공(38b)이 형성되어 슈우(17)를 레버(7,10)상에 슈우핀(18)으로 고정시 동시에 축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축공(38b)의 전후 대응부인 슈우(17)상에 형성되는 축공(17a)은 슈우(17)가 좌우로 소폭(약 6~8mm 정도) 슬라이드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장공 타입으로 구성한다.
상기 좌우 승강홈(35,36)에 결합되는 수직슬라이더(33,34)는 작동시 충격 등에 의한 유격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단부에서 연결편(40)으로 연결하고, 슈우(17)와 연결편(40) 상간에 압축스프링(39)을 개재시켜 상호 탄력설치되도록 한다.
참고로 본 고안에서 개시되는 이와 같은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의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초기 설정후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사용방법 및 작용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가 설치된 브레이크(1)를 사용코자 할 시는 초기 셋팅을 다음과 같이 행한다.
즉, 초기 설치시에는 라이닝(6)의 마모가 없는 상태이므로 브레이크(1) 제동 상태에서 갭측정막대(24)를 고정편(27)에 형성된 결합공(28)을 통하여 끼운 후 갭측정막대(24)의 단부-즉, 기준막대(20)의 외측부-에 2개의 마모갭기준너트(26a)를 나사결합시켜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브레이크(1)를 해제하면 갭측정막대(24)는 저항없이 움직이게 된다.
이때 2개의 갭보상기준너트(26)를 나사회전시켜 기준막대(20) 내측에 접촉되게 조절하면 라이닝(6)의 마모가 없을 때 제동시키면 마모갭기준너트(26a)가 기준막대(20)에 연접되었다가 브레이크(1)를 해제하면 갭보상기준너트(26)가 기준막대(20)에 연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갭측정막대(24)상에 마모갭기준너트(26a)와 갭보상기준너트(26)를 나사조절하여 셋팅한 후 브레이크(1)를 필요시에 제동 및 해제하게 되는바,
운전자가 브레이크(1) 제동을 위하여 스위치에 전원을 차단하면, 개방시 전자석(2)으로부터 전자력이 상실되어 개방판(4)을 잡아 당기지 못하므로 압축되어 있던 압축제동 스프링(3)의 복원력에 의해 개방판(4)이 밀리게 되므로 제동이 행해진다.
상기한 개방판(4)은 연결봉(9)의 끝에 고정되어 있으며, 연결봉(9)은 전자석(2)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하여 레버(7) 상단에 고정너트(8)에 의해 고정되어지며, 레버(7) 상부에는 슬립되며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타측 레버(10)에 고정된 스프링조절봉(11) 끝에 스프링조절스토퍼(13) 중심에 난 구멍에 연결봉(9)과 슬립되게 끼워지고 스프링조절봉(11)에 또 다른 구멍에 끼워져 스프링조절너트(12)에 의해 적절히 압축제동 스프링(3)을 압축하여 고정하면 또 다른 측의 압축제동 스프링(3) 연결봉(9) 홈에 고정된 스프링스토퍼(14)와 사이에서 팽창하여 스프링스토퍼(14)를 밀게 되어 있으며,
레버(7,10)는 하부 프레임(15)에 회전핀(16)에 의해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어 레버(10) 상단은 압축제동 스프링(3)의 반발에 의해 드럼(5)측으로 기울게되며 연결봉(9)의 다른 끝에 고정된 레버(7)도 개방판(4)이 밀리는 방향, 즉 드럼(5)측으로 기울어지다 레버(7,10)에 형성된 구멍에 슈우핀(18)이 축공(17a)을 통하여 끼워져 고정된 슈우(17)에 붙은 라이닝(6)이 드럼(5)에 접촉되면서 레버(7,10)가 더 이상 기울어지지 못하고 스프링(3)의 남은 팽창력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하는 드럼(5)과 라이닝(6)의 마찰에 의해 라이닝(6)은 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마모된 만큼 레버(7,10)가 더 기울고 전자석(2)과 개방판(4)의 거리(t)도 초기 설정된 거리(t)보다 더 벌어지게 되는데 라이닝(6)이 고정된 위치보다 높은 곳에 있어 벌어지는 거리(t)는 배 이상 많이 벌어지게 된다.
이때 초기 설치시 기준막대(20)에 맞추어 고정시킨 마모갭기준너트(26a)에 의해 갭측정막대(24)의 정해진 길이에 의해 갭측정뭉치(29)와 갭보상편(30) 사이에 형성된 틈 사이로 갭보상압축스프링(30a)의 팽창력에 의해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갭보상편(30)이 진입하여 틈 사이를 메우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갭측정압축스프링(31)은 갭보상편(30)을 벌어진 틈만큼 움직이도록 통제하여 기억한다. 이로서 제동시 동작이 끝나게 된다.
그리고 제동된 브레이크(1)를 해제할 경우는 전자석(2)에 전기가 인가되면 전자석(2) 표면에 전자력이 발생하게되어 상기한 전자력에 의해 압축제동 스프링(3)을 압축시키며 개방판(4)이 전자석(2) 표면에 자력에 의하여 흡착된다.
상기 개방판(4)과 고정된 연결봉(9)에 고정된 스프링스토퍼(14)가 레버(10)에 고정된 스프링조절봉(11) 끝에 연결봉(9)과 실링되게 고정된 스프링조절스토퍼(13) 사이에서 개방판(4)이 전자석(2) 표면에 흡착된 거리만큼 연결봉(9)은 레버(7,10) 사이를 넓히고 압축제동 스프링(3)을 압축하면서 제동을 해제시킨다.
이때 프레임(15)에 레버(7,10) 하부가 회전핀(16)에 회전되게 고정되어 레버(7,10)는 제동시 반대방향, 즉 드럼(5) 축 반대방향으로 벌어지게 되고 이때 레버(7,10)에 슈우핀(18)으로 고정된 슈우 라이닝(6)도 드럼(5) 표면에서 떨어지게 되면서 제동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초기 설치시 갭측정막대(24)에 고정시킨 갭보상기준너트(26)가 레버(7,10)가 기울어지면서 프레임(15) 좌우 끝에 수직으로 선 기준막대(20)에 닫게 되나, 제동 때 라이닝(6) 마모에 의해 갭보상편(30)에 의해 보상된 갭만큼 슬라이드푸셔(32)를 밀어주면서 최초 설치시 조정된 거리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슬라이드푸셔(32)의 상부 경사면(32a)은 수직슬라이더(33,34)의 상부 경사공(33a,34a)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드푸셔(32)의 수평 슬라이딩 작동에 대해 수직슬라이더(33,34)가 수직으로 상승되고, 수직슬라이더(33,34)의 내부 경사면(33b,34b)에 상호 경사면(38a)에 의하여 연접되며 슈우(17)의 내부에 형성된 수평슬라이드홈(37)상에 결합되어 있는 수평슬라이더(38)는 수직슬라이더(33,34)의 경사면(33b,34b)의 상하 승강폭에 비례하여 수평 이동폭을 갖게된다.
즉, 이와 같은 수직슬라이더(33,34)의 상승작용에 의해 수평슬라이더(38)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시에 상기 수평슬라이더(38)에 축결합된 슈우핀(18)은 레버(7,10)상에 형성된 장공 타입의 축공(17a)에 결합되어 있어 슈우(17)만 드럼(5)방향으로 제동시 라이닝(6)이 마모된 만큼 수평 슬라이드 조절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브레이크(1)가 제동될 때 마모된 라이닝(6) 양(즉, 두께)을 측정하고 있다가 개방시 보상하여 브레이크(1) 작동자체만으로 초기 설정된 전자석(2)과 개방판(4)의 거리를 자동으로 유지하고 라이닝(6)과 드럼(5)간의 간격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는 천장 크레인용 드럼 타입 전자석 브레이크(1)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브레이크(1) 작동시 자동적으로 드럼(5)과 라이닝(6) 사이의 간격이 조정이 이루어짐으로써 전자석(2)과 개방판(4)의 간격이 외부 도움없이 처음 조절상태로 계속 유지되며, 라이닝(6)과 드럼(5) 사이의 간격도 라이닝(6) 교환시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그로 인하여 종래 브레이크(1)의 제동상태가 해제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모터의 과열로 인한 손상을 일소함은 물론, 제동거리의 부정확성에 의한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고, 별도의 관리인력 소모도 대폭 줄일 수 있어 경제성 또한 극히 우수한 것이며,
그 적용분야를 예시한 드럼 타입 전자석 브레이크는 물론 산업용 운반기계 제동장치에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모터와 연결된 드럼(5)을 프레임(15)에 회전핀(16)으로 설치된 레버(7,10)상에 슈우핀(18)으로 설치된 슈우(17)에 고정된 라이닝(6)으로 좌우에서 클램핑, 언클램핑하면서 제동 및 해제할 수 있도록 전자석(2)에 전원 인가여부에 따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브레이크(1)용 갭 자동조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1)의 프레임(15) 양단부에는 수직으로 기준막대(20)를 설치하고, 상기 기준막대(20)에 형성된 상부홈(21)에는 수직 기울기를 조정하는 고정관(22)이 각도조절될 수 있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정관(22) 내부로 관통하여 슬립할 수 있는 갭측정막대(24)를 슈우(17)일측에 형성된 고정편(27)상의 결합공(28)으로 경유시켜 갭측정압축스프링(31)을 개재시켜 갭측정뭉치(29)로 고정하고, 상기 갭측정막대(24)의 고정관(22)을 경유한 좌우에는 최초 설치시 제동시 거리를 고정하는 마모갭기준너트(26a)와 제동시 생성된 갭을 개방시 밀어주는 갭보상기준너트(26)를 나사결합하며,
    상기 갭측정뭉치(29) 일측에는 슈우(17)에 일측이 지지되는 갭측정압축스프링(31)에 탄력설치되어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한 삼각형의 갭보상편(30)을 설치하여 갭측정뭉치(29)의 경사면(29a)과 연접토록 하고,
    상기 갭보상편(30) 타측에는 상부 경사면(32a)을 가진 슬라이드푸셔(32)의 후측면이 연접되게 설치하되, 상기 슬라이드푸셔(32)는 슈우(17)에 형성된승강홈(35,36)상에 승강가능하게 연결편(40)으로 연결되고 압축스프링(39)에 탄력설치된 수직슬라이더(33,34)의 상부 경사공(33a,34a)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슬라이더(33,34)에는 상호 평행되게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33b,34b)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3b,34b)에 대응하는 경사면(38a)을 가진 수평슬라이더(38)를 승강홈(35,36)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수평슬라이드홈(37)상에 결합하며,
    상기 수평슬라이더(38)에는 축공(38b)을 형성하여 슈우(17)의 대응부에 형성된 장공형 축공(17a)을 통하여 레버(7,10)상에 슈우핀(18)으로 축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
KR2020020002829U 2002-01-29 2002-01-29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 KR200277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829U KR200277984Y1 (ko) 2002-01-29 2002-01-29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829U KR200277984Y1 (ko) 2002-01-29 2002-01-29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191A Division KR20020033661A (ko) 2002-01-29 2002-01-29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984Y1 true KR200277984Y1 (ko) 2002-06-15

Family

ID=7305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829U KR200277984Y1 (ko) 2002-01-29 2002-01-29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98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400B1 (ko) 2009-04-09 2009-10-19 김광 갭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모터 브레이크
CN109465652A (zh) * 2018-11-30 2019-03-15 广东工业大学 接触式刚度切换装置及使用其的刚柔耦合运动平台和方法
CN109767667A (zh) * 2019-01-16 2019-05-17 山东星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起重机制动器机械调整考核的模拟装置及方法
KR20210001424A (ko) * 2019-06-28 2021-01-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동 제어가 가능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400B1 (ko) 2009-04-09 2009-10-19 김광 갭 자동조절장치를 갖는 모터 브레이크
CN109465652A (zh) * 2018-11-30 2019-03-15 广东工业大学 接触式刚度切换装置及使用其的刚柔耦合运动平台和方法
CN109465652B (zh) * 2018-11-30 2023-09-22 广东工业大学 接触式刚度切换装置及使用其的刚柔耦合运动平台和方法
CN109767667A (zh) * 2019-01-16 2019-05-17 山东星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起重机制动器机械调整考核的模拟装置及方法
KR20210001424A (ko) * 2019-06-28 2021-01-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동 제어가 가능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KR102216888B1 (ko) * 2019-06-28 2021-02-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수동 제어가 가능한 철도차량용 제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8863B2 (en) Safety device for elevators
US9663326B2 (en) Brake device for a travel body of an elevator system
CN101980911B (zh) 恒力轨道夹钳
US8991561B2 (en) Elevator braking equipment
EP3208223B1 (en) Automatic reset steel wire rope brake
CN107614796B (zh) 用于联接器的视觉指示器
US20240068196A1 (en) A locking device for a quick coupler
BRPI0710998B1 (pt) disco de freio, pastilha de freio e placa de pressão
US4014413A (en) Brakes for vehicles
US3807532A (en) Self-energizing rail clamp
CA2651926A1 (en) Wear compensating device for a brake device, and brake device
KR200277984Y1 (ko)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
JP2018505113A (ja) 伸縮式レールクランプ
CN109963805A (zh) 线缆制动器、电梯轿厢和电梯***
US7857109B2 (en) Adjustable cam actuated brake assembly
KR101387337B1 (ko) 판타 그라프 슈 편마모 방지장치 및 그 방법
US11840425B2 (en) Safety brake for an elevator
KR20020033661A (ko) 브레이크용 갭 자동조정장치
JP2009035416A (ja) ブレーキ装置
KR100933908B1 (ko) 정전시 낙하방지용 리니어 액추에이터 브레이크 블록
KR200182234Y1 (ko) 천정 기중기의 비상 제동장치
US3022537A (en) Sliding door hanger assembly
US20220412124A1 (en) Automatic blocking device for limiting a sliding movement of a first structure mounted adjacent to a second structure
NZ727394B2 (en) A Locking Device for a Quick Coupler
CN210193131U (zh) 一种电梯导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